KR100459038B1 -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 Google Patents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9038B1
KR100459038B1 KR1020040007234A KR20040007234A KR100459038B1 KR 100459038 B1 KR100459038 B1 KR 100459038B1 KR 1020040007234 A KR1020040007234 A KR 1020040007234A KR 20040007234 A KR20040007234 A KR 20040007234A KR 100459038 B1 KR100459038 B1 KR 100459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ater treatment
membrane module
flat membrane
support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2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재홍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레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레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레드
Priority to KR1020040007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0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038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2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6Flat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6External membrane module supporting or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2Specific discharg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4Specific spa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1Specific headers, end ca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PURPOSE: To provide a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which is able to reduce a manufacturing cost by simplifying a manufacturing process and has an improved structure, thereby improving a manufacturing efficiency. CONSTITUTION: The membrane module comprising a membrane assembly (40) including a support body (10) to form a flow path (12), a pair of spacers (20), each of which is laminated on a front side or a rear side of the support, and a pair of solid-liquid separation membranes (30), each of which is laminated on the spacer to transmit liquid and solid having a size of not more than a predetermined size, and a frame (50) that is fixed to circumference of the membrane assembly and includes an outlet (51) to discharge a fluid in the flow path to the out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includes many protrusions (11) that are protruded from a front side and a rear side perpendicular to the front and rear sides, the flow path is a space formed among each sides of the supporting body, the protrusions and the spacers and the frame further includes upper side supporting portions on both sides of an upper end and lower side supporting portions on both side of a lower end.

Description

수처리용 평막모듈{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축산폐수, 산업폐수 및 생활하수 등의 오염수에 함유되어 있는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막분리형 생물학적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수처리용 평막모듈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수처리용 평막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used in a membrane separation type biological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suspended solids contained in contaminated water, such as livestock wastewater, industrial wastewater and domestic sewage, and more particularly, to reduce production costs. It relates to a flat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so that the structure is improved.

가정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 농축산에 사용된 후의 축산폐수 및 산업폐수 등이 환경문제, 특히 수질오염에서 커다란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현대에는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이러한 오폐수의 효과적 처리가 중요한 사회적 관심사로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오폐수처리방식이 개발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Household sewage discharged from homes, livestock wastes after industrial wastes and industrial wastes, etc. are emerging as environmental problems, especially water pollution. In particular, as environmental concerns are amplified in modern times, effective treatment of wastewater is becoming an important social concern. Accordingly, various methods of wastewater treatment are being developed.

일반적으로 이러한 오폐수는 하수처리장 등에서 일정한 처리를 거쳐 정화되어 하천 등으로 방류되고 있다. 하수처리장 등에서는 오폐수를 정화하기 위하여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 대표적인 것이 생물학적 방식과 물리,화학적 방식이 결합된 이른바 오염수 고도처리방식이다. 이 고도처리방식에서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며, 오염수내의 질소화합물이나 인화합물을 제거함으로써 오염수를 정화하고 있다.In general, such waste water is purified through a certain treatment in a sewage treatment plant and discharged into a river. In the sewage treatment plant and the like, various methods are used as described above to purify the waste water, but the representative one is the so-called advanced water treatment system combining biological and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In this advanced treatment method, microorganisms are used to decompose organic matter and to purify contaminated water by removing nitrogen compounds and phosphorus compounds in contaminated water.

이러한 고도처리방식의 하나의 공정에 사용되는 것이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이다.The flat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is used in one of such advanced treatment methods.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수처리용 평막모듈이 도시되어 있다.1 and 2 show a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flat membrane modul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처리용 평막모듈(1)은 지지체(2), 상기 지지체의 앞뒷면에 적층되는 스페이서(3), 상기 스페이서의 외측면에 적층되는 고액분리막(4)으로 이루어진 평막조립체와(7), 이 평막조립체의 테두리에 고정되는 프레임(9)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이 프레임(9)에는 배출펌프와 연결되어 있는 배출구(8)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flat membrane module (1) is a support (2), a spacer (3) laminated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support, a solid-liquid separation membrane (lamin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pacer ( It is generally composed of a flat membrane assembly 7 composed of 4) and a frame 9 fixed to an edge of the flat membrane assembly. In addition, the frame 9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8 connected to the discharge pump.

이러한 수처리용 평막모듈은 오염수가 수용되어 있는 수조(폭기조)내에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처리용 평막모듈의 최외측면은 상기 고액분리막(4)이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오염수 중 일정크기 이상의 고체는 상기 고액분리막(4)을 투과할 수 없게 되며, 일정크기 이하의 고체와 액체만이 상기 고액분리막(4)을 통과하여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오염수 중 액체와 일정크기 이하의 고체가 상기 고액분리막(4)을 통과하고 상기 스페이서(3)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지지체(2)와 접하게 된다. 이 지지체(2)의 내부에는 관형태의 다수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형태의 유로(2a)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2)의 양면에는 다수의 유공(2b)이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액분리막(4)과 스페이서(3)를 통과한 유체는 상기 유공(2b)을 통해 상기 지지체(2)내의 유로(2a)로 유입되며, 이 유체는 유로(2a)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배출구(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한 방식으로 오염수의 정화작업이 이루어 지게 된다.The flat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is installed in a water tank (aeration tank) in which contaminated water is accommodat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olid-liquid separation membrane 4 is stack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flat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a solid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in the contaminated water cannot penetrate the solid-liquid separation membrane 4 and is below a predetermined size. Only solids and liquids may pass through the solid-liquid separation membrane 4 to flow into the flat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When the liquid in the contaminated water and a solid below a certain size pass through the solid-liquid separation membrane 4 and pass through the spacer 3, the liquid 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2. A plurality of tubular flow paths are formed in the support 2, and a plurality of holes 2b are drill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2 so that fluid can flow into the tubular flow path 2a. It is. Accordingly,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solid-liquid separation membrane 4 and the spacer 3 flows into the flow path 2a in the support 2 through the hole 2b, and the fluid is moved along the flow path 2a.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8).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water is carried out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이러한 종래의 수처리용 평막모듈, 특히 상기 지지체(2)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많은 공정이 요구되기 때문에 경제성에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 종래의 지지체(2)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우선 압출성형에 의하여 내부에 유로(2a)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체본체를 제작하여야 하고, 다시 이 지지체본체의 양면에 무수히 많은 유공(2b)을 일일이 천공하여야 한다. 제작과정이 복잡하며 특히 무수히 많은 수의 유공(2b)을 일일이 천공해야 됨에 따라 제작비용이 상승됨은 물론 생산효율도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order to manufacture such a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flat membrane module, in particular, the support 2, there is a problem in economic efficiency because many processes are required. That is, in order to manufacture the conventional support body 2, first, the support body in which the flow path 2a is formed by extrusion molding must be manufactured, and again, numerous holes 2b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body. It must be drilled one by on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in particular, a large number of perforations (2b) have to be drilled one by one, resulting in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and a decrease in production efficienc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조공정을 간소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생산효율도 향상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수처리용 평막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flat membrane module whose structure is improved to not only reduce the production cost but also improve the production efficiency 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도 1은 종래의 수처리용 평막모듈의 평막조립체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at membrane assembly of a conventional flat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도 2는 종래의 수처리용 평막모듈의 개략적 사시도이다.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평막모듈의 평막조립체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lat membrane assembly of the flat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평막모듈의 개략적 사시도이다.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lat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처리용 평막모듈의 고액분리막 및 스페이서를 제거한 상태의 개략적 정면도이다.FIG. 5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membrane and the spacer of the water treatment flat membrane module shown in FIG. 4.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평막조립체의 Ⅵ-Ⅵ선 개략적 단면도이다.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the flat membrane assembly shown in FIG. 4. FIG.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수처리용 평막모듈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stallation of the flat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shown in FIG.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수처리용 평막모듈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se of the water treatment flat membrane module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수처리용 평막모듈 10 ... 지지체100 ...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10 ... support

11 ... 돌기 12 ... 공간(유로)11 ... protrusion 12 ... space (euro)

14 ... 캡 16 ... 제1지지체요소14 ... Cap 16 ... First support element

17 ... 제2지지체요소 18 ... 제3지지체요소17 ... second support element 18 ... third support element

19 ... 제4지지체요소 20 ... 한 쌍의 스페이서19 ... fourth support element 20 ... a pair of spacers

30 ... 한 쌍의 고액분리막 40 ... 평막조립체30 ... one pair of solid-liquid separation membrane 40 ... flat membrane assembly

50 ... 프레임 51 ... 배출구50 ... frame 51 ... outlet

54 ... 보강부 210 ... 배출펌프54 ... reinforcement 210 ... discharge pump

300 ... 폭기조 310 ... 기포발생장치300 ... aeration tank 310 ... bubble generator

320 ... 상부지지봉 330 ... 하부지지봉320 ... upper support rod 330 ... lower support rod

W ... 오염수 220 ... 호스W ... contaminated water 220 ... h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평막모듈은,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앞뒷면에 적층되는 한 쌍의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의 외측면에 적층되며 액체와 일정크기 이하의 고체만을 투과시키는 한 쌍의 고액분리막으로 이루어진 평막조립체와 상기 평막조립체의 테두리에 고정되며 그 상단에는 상기 유로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수처리용 평막모듈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앞뒷면에는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고 상기 지지체의 앞뒷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돌출된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로는 상기 지지체의 각 측면과 다수의 돌기들과 상기 스페이서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것에 특징이 있다.The flat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upport for forming a flow path for the flow of fluid, a pair of spacers stacked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suppor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pacer is laminated liquid And a flat membrane assembly composed of a pair of solid-liquid separation membranes for transmitting only a solid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and a frame having an outlet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for discharging the fluid in the flow path to the outside. In the flat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support and are project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back of the support, the flow path is each side and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of the support And a space formed between the spacer and the spac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돌기는 그 단면의 전체적 형상이 십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jections have a cross shape in the overall shape of the cross s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체는 복수개의 지지체요소들 및 각 지지체요소와 그 지지체요소에 인접된 다른 지지체요소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각 지지체요소의 돌기와 그에 인접된 지지체요소의 돌기를 함께 수용하도록 그 돌기들에 덮어씌워지는 캡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has a plurality of support elements and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each support element and other support elements adjacent to the support element, the connecting means is a projection of the support elements and the It is preferred to have a cap overlying the protrusions to receive the protrusions of adjacent support elements toget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는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r is preferably a nonwoven fabric.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의 상단의 양측에는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상측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프레임의 하단의 양측에는 각각 하방으로 돌출된 하측지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frame is provided with an upper support projecting upward,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lower support projecting downwar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체는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작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is preferably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평막모듈의 평막조립체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평막모듈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처리용 평막모듈의 고액분리막을 제거한 상태의 개략적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평막조립체의 Ⅵ-Ⅵ선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수처리용 평막모듈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수처리용 평막모듈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lat membrane assembly of the water treatment flat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lat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olid solution of the flat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shown in FIG. 6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the flat membrane assembly shown in FIG. 4, and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stallation of the flat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shown in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se of the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shown in FIG.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은 평막조립체(40)와, 프레임(50)을 구비하고 있다.3 to 8, the flat membrane module 100 for wa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t membrane assembly 40 and a frame 50.

상기 평막조립체(40)는 지지체(10), 한 쌍의 스페이서(20) 및 한 쌍의 고액분리막(30)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flat membrane assembly 40 includes a support 10, a pair of spacers 20, and a pair of solid-liquid separation membranes 30.

상기 지지체(10)는, 앞뒷면을 가지는 얇은 판형으로, 서로 밀착하여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제1지지체요소 내지 제4지지체요소의 4개의 지지체요소(16,17,18,19)와 이 4개의 지지체요소(16,17,18,19)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지지체(10)의 앞뒷면에는, 각각 이 앞뒷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돌기(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11)들은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으며, 그 단면의 전체적 형상은 십자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4개의 지지체요소(16,17,18,19)는 동일한 금형에 의하여 사출성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동일한 형상과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4개의 지지체요소 중 하나의 하단부와 그 지지체요소에 인접한 다른 지지체요소의 상단부가서로 밀착한 상태에서 이 두 개의 지지체요소는 연결수단인 캡(14)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다. 즉, 상기 제1지지체요소(16)의 하단부에는 상기 대칭인 십자형 돌기의 하부 절반이 잘려나간 형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지지체요소(17)의 상단부에는 상기 대칭인 십자형 돌기의 상부 절반이 잘려나간 형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들이 서로 맞닿게 되면 완전한 십자형의 돌기형태가 되며, 이 제1지지체요소(16)의 상기 절반의 돌기와 제2지지체요소(17)의 절반의 돌기가 합쳐진 완전한 십자형의 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인 십자형으로 된 상기 캡(14)이 가압에 의하여 억지끼워맞춤된다. 즉, 제1지지체요소(16)의 돌기와 제2지지체요소(17)의 돌기가 함께 수용되도록 그 돌기들에 상기 캡(14)이 씌워짐으로써 제1지지체요소(16)와 제2지지체요소(17)가 서로 결합되게 된다. 상기 여러 쌍의 돌기에 상기 캡(14)이 각각 씌워짐으로써 제1지지체요소(16)와 제2지지체요소(17)는 더욱 공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지지체요소(17)와 제3지지체요소(18) 및 제3지지체요소(18)와 제4지지체요소(19)도 동일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되게 된다.The support 10 has a thin plate shape having front and back sides, and four support elements 16, 17, 18, 19 of the first to fourth support elements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our support elements 16. It consists of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support elements 16, 17, 18, 19. On the other hand,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support 10, a plurality of projections 11 are formed to protrude perpendicularly to the front and back, respectively.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1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overall shape of the cross section is a cross. The four support elements 16, 17, 18 and 19 are of the same shape and shape because they are produced by injection molding by the same mold. In the state where the lower end of one of the four support elements and the upper end of the other support element adjacent to the support element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two support elements are joined to each other by a cap 14 as a connecting means.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element 16 is formed with a protrusion of the lower half of the symmetrical cross-shaped projection is forme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element 17, the upper portion of the symmetrical cross-shaped projection The protrusions are cut in half. When these protrusion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y become a complete cross-shaped protrusion, and the corresponding cross-sectional protrusions of the half of the first support element 16 and the half of the second support element 17 are combined. The cap 14, which is made of a phosphorus cross, is press-fitted by pressing. That is, the cap 14 is covered on the protrusions so that the protrusions of the first support element 16 and the protrusions of the second support element 17 are accommodated together so that the first support element 16 and the second support element ( 17)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cap 14 is covered by the pair of protrusions,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support element 16 and the second support element 17 are more firmly coupled. 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element 17 and the third support element 18 and the third support element 18 and the fourth support element 19 are also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same manner.

상기 한 쌍의 스페이서(20)는 상기 지지체(10)의 양측면에 적층된다. 이 스페이서(20)는 상기 지지체(10)와 후술할 상기 고액분리막(30)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지지체(10)와 상기 고액분리막(30)을 서로 이격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페이서(20)는 부직포로 이루어져 있다.The pair of spacers 20 are stack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10. The spacer 20 is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10 and the solid-liquid separation membrane 30 to be described later to separate the support 10 and the solid-liquid separation membrane 30 from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spacer 20 is made of a nonwoven fabric.

상기 스페이서(20)가 상기 지지체(10)에 적층되면, 상기 지지체(10)의 외측면과 상기 다수의 돌기(11)들과 상기 스페이서의 내측면 사이에는 공간(12)이 형성되며, 이 공간(12)은 유체가 흐르게 되는 유로를 형성한다.When the spacer 20 is stacked on the support 10, a space 12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10,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r, and the space 12 forms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상기 한 쌍의 고액분리막(30)은 상기 한 쌍의 스페이서(20)의 각 외측면에 적층된다. 이 한 쌍의 고액분리막(30)에는, 액체와 일정크기 이하의 고체만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미세한 구멍이 전체에 걸쳐 고루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액분리막(30)에는 그 크기가 0.2 마이크로미터 이하인 액체와 고체만을 투과시킬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The pair of solid-liquid separation membranes 30 are stacked on each outer surface of the pair of spacers 20. The pair of solid-liquid separation membranes 30 allows only liquid and solids of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to pass therethrough. Fine holes are formed evenly througho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olid-liquid separation membrane 30 is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only a liquid and a solid having a size of 0.2 micrometer or less can pass therethrough.

상기 프레임(50)은 상기 평막조립체(40)의 테두리에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50)의 상단에는 배출구(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51)는 상기 유로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유로와 통해 있다. 또한, 이 배출구(51)에는 배출펌프(210)와 연결되어 있는 호스(220)가 끼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50)의 상단의 양측에는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상측지지부(52)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50)의 하단의 양측에는 각각 하방으로 돌출된 하측지지부(53)가 마련되어 있다. 다수의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이 일렬로 배열되어 상기 기포발생장치(310)가 마련되어 있는 폭기조(300)내에 설치되는 경우, 이 폭기조(300)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는 두 개의 상부지지봉(320)이 상기 상측지지부(52)의 각 내측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50)의 상단에 놓여지게 된다. 상기 두 개의 상부지지봉(320)의 각 외측 사이의 거리는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의 각 상측지지부(52)의 내측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크다. 한편, 상기 하측지지부(53)는 상기 다수의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이 일렬로 배열되어 상기 기포발생장치(310)가 마련되어 있는 폭기조(300)내에 설치되는 경우, 이 폭기조(300)의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두 개의 하부지지봉(330)이 상기 하측지지부(53)의 각 내측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이 상기 하부지지봉(330)에 얹어져 지지된다. 상기 프레임(5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두 개의 하부지지봉(330)의 각 외측 사이의 거리는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의 각 상하측지지부(53)의 내측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크다. 한편, 상기 프레임(50)의 상단에는 상기 평막모듈의 좌우단부가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평막모듈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 있는 보강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부(54)는 상기 프레임(50)의 상단의 중앙부에서 가장 길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50) 상단의 양측으로 가면서 중앙부에 비하여 그 연장된 길이가 점차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을 집어 넣어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을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부(54)의 중앙에는 구멍(55)이 형성되어 있다.The frame 50 is fixed to the edge of the flat membrane assembly 40. An outlet 51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rame 50. The discharge port 51 is for discharging the fluid in the flow path to the outside and is through the flow path. 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51 is fitted with a hose 220 which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ump 210. On the other hand,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frame 50 is provided with an upper support portion 52 protruding upwards, respectively, and a lower support portion 53 protruding downwardly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frame 50, respectively. When the plurality of water treatment flat membrane modules 100 are arranged in a line and installed in the aeration tank 300 in which the bubble generator 310 is provided, two upper support rods 320 provided above the aeration tank 300. ) Is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frame 50 in close contact with each inner side of the upper support 52. The distance between each outer side of the two upper support rods 320 is slightly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ide of each upper support portion 52 of the flat membrane module 100 for water treatme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wer support portion 53 is installed in the aeration tank 300 in which the plurality of water treatment flat membrane modules 100 are arranged in a line and the bubble generator 310 is provided, the lower side of the aeration tank 300 Two lower support rods 330 provided in the state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inner side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53, the water treatment flat membrane module 100 is supported on the lower support rods 330. The frame 50 is supported. The distance between each outer side of the two lower support rods 330 is slightly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ide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ortions 53 of the flat membrane module 100 for water treatment. On the other hand, the upper end of the frame 50 is formed with a reinforcing portion 54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t membrane module to preven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lat membrane modul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reinforcement 54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longest part of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frame 50, and the length of the reinforcement is gradually reduced compared to the central part while going to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frame 50. . In addition, a hole 55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einforcement part 54 so that a user can easily grasp the flat membrane module 100 for water treatment.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의 사용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using the flat membrane module 100 for wa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의 제작을 위해서는, 우선 상기 복수개의 제1지지체요소(16) 내지 제4지지체요소(19)를 차례로 인접되게 배열한다. 이 복수의 지지체요소들은 동일한 금형에 의하여 사출성형에 의하여 매우 간단하게 일괄적으로 제작된다. 그 후, 상기 제1지지체요소(16)의 하단부에 위치한 돌기(11)와 이 제1지지체요소(16)에 인접해 있는 제2지지체요소(17)의 상단부에 위치한 돌기(11)를 함께 수용하는 상기 캡(14)을 상기 돌기(11)들에 가압하여 끼워 넣는다. 이렇게 상기 캡(14)을 상기 지지체요소들의 양측면의 여러 쌍의 돌기에 끼워 넣으면 제1지지체요소(16)와 제2지지체요소(17)가 상호 결합되며, 같은 방식으로 제2지지체요소(17)와 제3지지체요소(18) 및 제3지지체요소(18)와 제4지지체요소(19)를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지지체(10)의 조립을 매우 간단하게 완성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체요소의 수를 조정함으로써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의 규격을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In order to manufacture the flat membrane module 100 for water treatment, first,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elements 16 to fourth support elements 19 are sequentially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These plurality of support elements are produced in a very simple batch by injection molding by the same mold. Thereafter, the projection 11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element 16 and the projection 11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element 17 adjacent to the first support element 16 are housed together. Press the cap 14 to the protrusions 11. When the cap 14 is inserted into the pair of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elements, the first support element 16 and the second support element 17 are mutu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support element 17 in the same manner. And the third support element 18 and the third support element 18 and the fourth support element 19. In this way, the assembly of the support 10 can be completed very simply, and the size of the flat membrane module 100 for water treatment can be freely adjusted as necessary by adjusting the number of support elements.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10)의 조립이 완성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10)의 앞뒷면에 상기 부직포로 이루어진 한 쌍의 스페이서(20)를 적층시키고, 이 한 쌍의 스페이서(20)의 각 외측면에 다시 한 쌍의 고액분리막(30)을 적층시켜 평막조립체(40)를 구성한 후, 이 평막조립체(40)의 테두리에 상기 프레임(50)을 고정시킴으로써 제작된다.When the assembly of the support 10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3, a pair of spacers 20 made of the nonwoven fabric are stacked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support 10, and the pair A pair of solid-liquid separation membranes 30 are laminated on each outer surface of the spacer 20 to form the flat membrane assembly 40, and then the frame 50 is fixed to the edge of the flat membrane assembly 40. .

이렇게 제작된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일렬로 배열되어 설치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은 상기 폭기조(300)에 마련된 두 개의 하부지지봉(330)에 끼워져 지지된다. 그러나,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의 하측지지부(53)의 각 내측 사이의 거리가 상기 하부지지봉(330)의 각 외측 사이의 거리보다 좁기 때문에.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을 상기 하부지지봉(330)에 끼워 넣기 위해서는,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을 하방향으로 가압하여야 한다. 이렇게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을 가압하여 상기 하부지지봉(330)에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이 끼워지게 되면, 상기 하측지지부(53)의 각 내측은 상기 하부지지봉(330)의 외측에 밀착하게 된다. 이렇게 다수의 수처리용 평막모듈(10)을 상기 하부지지봉(330)에 끼워 넣은 후, 상기 상부지지봉(320)을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의 프레임(50) 상단에 얹어 놓는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의 상측지지부(52)의 각 내측 사이의 거리가, 상기 상부지지봉(320)이 상기 폭기조(300)에 설치되게 될 위치에서의 상기 상부지지봉(320)의 각 외측 사이의 거리보다 좁기 때문에. 상기 상부지지봉(320)을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의 상측지지부(52)에 밀착되게 끼워 넣어야 한다. 이 후, 상기 상부지지봉(320)을 상기 폭기조(300)에 고정시킨다. 이렇게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100)를 상기 폭기조(300)에 배치되면,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은, 상기 상부지지봉(320)과 하부지지봉(330)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기포발생장치(310)에서 발생된 기포가 상기 폭기조(300)내에서 상승할 때에도 상하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상측지지부(52)의 각 내측과 하측지지부(53)의 각 내측이 각기 상기 상부지지봉(320)의 각 외측과 하부지지봉(330)의 각 외측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좌우방향으로의 유동과 뒤틀림도 방지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lat membrane module 100 for water treatment, as shown in FIG. 7, is installed in a plurality in a row. At this time, the flat membrane module 100 for water treatment is supported by being fitted to the two lower support rods 330 provided in the aeration tank (300). However, since the distance between each inner side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53 of the flat membrane module 100 for water treatment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each outer side of the lower support rod 330. In order to insert the flat membrane module 100 for water treatment into the lower support rod 330, the flat membrane module 100 for water treatment must be pressed downward. When the water treatment flat membrane module 100 is pressed in such a manner that the water treatment flat membrane module 100 is fitted to the lower support rod 330, each inner side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53 is an outer side of the lower support rod 330. Close to. After inserting the plurality of water treatment flat membrane module 10 into the lower support rod 330, the upper support rod 320 is placed on the top of the frame 50 of the water treatment flat membrane module 100. In this case, similarly, the distance between the respective inner sides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52 of the flat membrane module 100 for water treatment is the upper support rod at a position where the upper support rod 320 is to be installed in the aeration tank 300 ( Because it is narrower than the distance between each outside of 320). Pressing the upper support rod 320 in the downward direction, should be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pport portion 52 of the flat membrane module 100 for water treatment. Thereafter, the upper support rod 320 is fixed to the aeration tank (300). When the flat membrane module 100 for water treatment is disposed in the aeration tank 300, the flat membrane module 100 for water treatment is located vertically between the upper support rod 320 and the lower support rod 330. Even when bubbles generated in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310 rise in the aeration tank 300, the f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evented. In addition, since each inner side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52 and each inner side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53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uter side of the upper support rod 320 and each outer side of the lower support rod 330, Warping is also prevented and is reliably supported.

한편,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의 상단에는 보강부(54)가 있어, 폭기조(300)에서 기포가 발생된 경우에도,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의 좌우단부가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reinforcement portion 54 at the upper end of the flat membrane module 100 for water treatment, even if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aeration tank 300,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lat membrane module 100 for water treatment are bent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prevented.

이렇게 배치가 완료되면, 상기 배출펌프(210)에 연결되어 있는 호스(220)를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의 배출구(51)에 연결하면,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의 모든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When the arrangement is completed, when the hose 220 connected to the discharge pump 210 is connected to the outlet 51 of the flat membrane module 100 for water treatment, all installations of the flat membrane module 100 for water treatment are performed. Will be completed.

이렇게 설치가 완료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수(W)가유입관(400)을 통해 상기 폭기조(300)내에 채워진 후, 상기 기포발생장치(310)가 작동되면, 상기 폭기조(300)의 하부에서 기포가 발생되어 그 폭기조(300)의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배출펌프(210)가 작동되면, 그 압력에 의하여 상기 오염수(W) 중 0.2마이크로 미터 이하의 유체만이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의 고액분리막(30)을 통과하게 되고, 스페이서(20)를 지나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공간(12)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렇게 유입된 유체는 상기 유로를 따라 상기 수처리용 평막모듈(100)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결국 상기 배출구(5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After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like this, as shown in FIG. 8, after the contaminated water W is filled in the aeration tank 300 through the inlet pipe 400, when the bubble generator 310 is operated, the aeration tank 300 is operated. Bubbles are generated at the bottom of the) to rise to the top of the aeration tank (300). When the discharge pump 210 is operated in this process, only the fluid of 0.2 micrometer or less of the contaminated water (W) passes through the solid-liquid separation membrane 30 of the flat membrane module 100 for water treatment by the pressure. After passing through the spacer 20, the space 12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12 forming the flow path. The fluid introduced in this way mov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at membrane module 100 for water treatment along the flow path, and is eventu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51.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기(11)의 단면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십자형인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protrusion 11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a cross shape as a who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le, a circle, and an oval.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체요소(16,17,18,19)가 4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처리용 평막모듈의 크기에 따라 3개, 5개 등 그 수는 다양하게 변화가능함은 물론, 상기 연결수단 없이 하나의 지지체요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support elements 16, 17, 18, and 19 are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being made up of four,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number of the support elements 16, 17, 18, and 19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lat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Of course, it can also be made of one support element without the connecting means.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11)에 씌워지는 캡(14)은 그 돌기의 형상과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p 14 covered by the protrusion 11 preferably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other shape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평막모듈은, 그 제작에 있어서 종래의 수처리용 평막모듈과 달리 경제적이며,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규격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treatment flat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flat membrane module in its production, is economical, can be easily assemble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ize can be freely adjusted as necessary.

Claims (6)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앞뒷면에 적층되는 한 쌍의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의 외측면에 적층되며 액체와 일정크기 이하의 고체만을 투과시키는 한 쌍의 고액분리막으로 이루어진 평막조립체;와 상기 평막조립체의 테두리에 고정되며 그 상단에는 상기 유로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수처리용 평막모듈에 있어서,It consists of a support for forming a flow path for the fluid flow, a pair of spacers stacked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support, and a pair of solid-liquid separation membranes lamin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pacer and transmitting only a liquid and a solid below a certain size. In the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comprising a flat membrane assembly; and a frame is fixed to the rim of the flat membrane assembly, the upper end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fluid in the flow path to the outside, 상기 지지체의 앞뒷면에는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고 상기 지지체의 앞뒷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돌출된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로는 상기 지지체의 각 측면과 다수의 돌기들과 상기 스페이서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며,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upport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perpendicular to the front and back of the support, the flow path is between each side of the support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and the spacer Formed space, 상기 프레임의 상단의 양측에는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상측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프레임의 하단의 양측에는 각각 하방으로 돌출된 하측지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평막모듈.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frame is provided with an upper support projecting upward, respectively,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lower support protruding downward,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돌기는 그 단면의 전체적 형상이 십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평막모듈.The projection is a flat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overall shape of the cross-section cros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체는 복수개의 지지체요소들 및 각 지지체요소와 그 지지체요소에 인접된 다른 지지체요소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수단을 구비하며,The support has a plurality of support elements and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each support element with another support element adjacent to the support element,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각 지지체요소의 돌기와 그에 인접된 지지체요소의 돌기를 함께 수용하도록 그 돌기들에 덮어씌워지는 캡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평막모듈.The connecting means is a flat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 is covered with the projections to accommodate together the projections of the support element and the support element adjacent to each support eleme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페이서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평막모듈.The spacer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woven fabric.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체는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평막모듈.The support is a flat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produced by injection molding.
KR1020040007234A 2004-02-04 2004-02-04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KR1004590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234A KR100459038B1 (en) 2004-02-04 2004-02-04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234A KR100459038B1 (en) 2004-02-04 2004-02-04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9038B1 true KR100459038B1 (en) 2004-12-03

Family

ID=37376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234A KR100459038B1 (en) 2004-02-04 2004-02-04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903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733B1 (en) 2004-09-10 2006-10-25 주식회사 엔비시스템 A Flat Membrane Module For Treating Water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KR100720043B1 (en) 2005-11-22 2007-05-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lexible flat type of membrane module
KR100766569B1 (en) * 2007-04-12 2007-10-12 주식회사 디엠퓨어텍 Membrane module for treating water
KR20190025783A (en) * 2017-09-01 2019-03-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Thin Film Composite Membranes with Surface Pattern Structures for Excellent Antifouling Resistan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733B1 (en) 2004-09-10 2006-10-25 주식회사 엔비시스템 A Flat Membrane Module For Treating Water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KR100720043B1 (en) 2005-11-22 2007-05-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lexible flat type of membrane module
KR100766569B1 (en) * 2007-04-12 2007-10-12 주식회사 디엠퓨어텍 Membrane module for treating water
KR20190025783A (en) * 2017-09-01 2019-03-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Thin Film Composite Membranes with Surface Pattern Structures for Excellent Antifouling Resistance
KR101979567B1 (en) 2017-09-01 2019-05-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Thin Film Composite Membranes with Surface Pattern Structures for Excellent Antifouling Resist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9037B1 (en)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AU2001291514B2 (en) Improved membrane filtration system
KR20080110862A (en) Membrane element, membrane unit and multistage membrane unit
CN108455799A (en) Sewage disposal system and method
KR100459038B1 (en)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JP2009509766A (en) Block type flat membrane module frame
CN208022860U (en) Depth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CN102686303A (en) Membrane module and membrane module assembly, and immersion-type layer-separat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100552637B1 (en) Easy assembly type of submerged membrane unit for the wastewater treatment
CN101250003A (en) Hollow fiber film assembly
KR200437273Y1 (en) Ion exchange resin filter
JP4902684B2 (en) Membrane cartridge in submerged membrane separator
JP2020089829A (en) Air diffuser and membrane separation active sludge device
JPH07299339A (en) Plate-shaped membrane separator
KR200365880Y1 (en) Easy assembly type of submerged membrane unit for the wastewater treatment
JP2003112017A (en) Filtration membrane module and clean water producing method
KR100841713B1 (en) Stack type membrane module
JP3823093B2 (en) Contact material unit
KR101130497B1 (en) Submerged Flat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KR200379550Y1 (en) Module of flat membrane for immersion type
CN101734785A (en) Filtering diaphragm plate for MBR process
CN212450950U (en) Sewage treatment device
CN216472372U (en) Dish tubular membrane module
KR200379549Y1 (en) Module of flat membrane for immersion type
CN208927947U (en) A kind of earthenware slab film a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