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753B1 -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 - Google Patents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753B1
KR100457753B1 KR10-2002-0021887A KR20020021887A KR100457753B1 KR 100457753 B1 KR100457753 B1 KR 100457753B1 KR 20020021887 A KR20020021887 A KR 20020021887A KR 100457753 B1 KR100457753 B1 KR 100457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transplanter
rotary
frame
power
tow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3376A (ko
Inventor
박성태
황정동
오세문
황동용
김호영
양세준
문헌팔
장익주
정창화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to KR10-2002-0021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753B1/ko
Publication of KR20030083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3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7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0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01B35/04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drawn by animal or tractor or man-pow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6Special adaptations of 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ake-off and transmission shaft to the implement or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와 같이 구동력이 큰 동력견인수단을 이용하여 로터리작업과 정지작업 및 이앙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50)에 관한 것으로서,
동력견인수단(51)의 후방에 연결되는 로터리(52)와; 상기 로터리(52)의 후방에 연결되는 정지기(53); 상기 정지기(53)의 후방에 연결되는 이앙기(54)로 구성하고;
상기 로터리(52)에는 동력견인수단(51)의 동력을 전달받고 장착할 수 있도록 기어박스(61)와 어터치먼트(75)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기(53)는 로터리케이스(60)의 양측 후미에 구비되는 연결공(80)과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돌기(81)를 형성한 브라켓(82)을 가지는 주정지판(88)과;
상기 주정지판(83)의 양측에 구비되는 보조정지판(84)을 포함하고;
상기 이앙기(54)는 로터리케이스(60)의 상방에 고정되어 이앙기(54)의 배면에 구비되어 이앙기(54)를 다열로 고정하기 위한 수평프레임(91)과 수직프레임(92)으로 구성되는 연결프레임(93)과 상,하부링크(94,95)로 연결되는 이앙프레임(90)과;
상기 이앙프레임(90)의 선측과 상부링크(94) 상간에는 이앙기(54)의 승,하강을 제어하기 위한 이앙실린더(96)로 연결하고;
상기 수평프레임(91)에는 다열로 고정되는 이앙기(54)를 접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위한 접철수단(110)을 더 구비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Rice transplanter for agricultural machine}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나 승용관리기와 같이 동력수단을 가지는 농기계(이하 동력견인수단이라 한다.)에 연결하여 이앙작업을 수 행할 수 있도록 한 이앙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앙기는 보행형 이앙기와 승용형 이앙기로 구비되는데, 보행형 이앙기는 사용자가 보행(걸으면서)하면서 이앙기를 조작하는 타입을 말하며 승용형 이앙기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이앙기를 조작하면서 이앙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이앙기의 특징은 물이 충만되고 로터리작업과 정지(써레)작업이 완료된 논에 진입하여 모를 심게되는데, 보행형이든 승용형이든 모내기를 위한 준비작업에 상당한 시간을 투입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는, 이앙작업을 위한 준비작업으로 논을 갈아야 하는 쟁기작업과 쟁기작업이 끝난 후 물을 충만시킨 후 굵은 흙덩이를 잘게 부수기 위하여 행하는 로터리작업이 뒤따라야 하며, 로터리 작업 후에는 모내기 하기에 용이하도록 지면을 고르게하는 정지(써레)작업이 뒤따라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많은 준비작업을 한 후에도 이앙기를 이용하여 모내기를 하게 되면 보행형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밟고지나가는 발자국에 의하여 이미 이앙된 모가 지면으로부터 이탈하거나 모를 밟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승용이앙기를 이용하여 이앙작업을 할 경우에도 이앙 후 앞서간 바퀴에 의하여 흙이 눌려지게 되므로 이앙된 모가 지면과 수직을 이루지 못하고 바퀴가 지나간 방향으로 몰려지는 현상과 더불어 모가 이탈하게 되는 등 이앙 후 비정상적으로 되는 경우가 많게된다.
그리고, 현재 사용되는 이앙기의 폭은 차체와 엔진의 한계로 인한 동력 및 견인력 부족등으로 이앙폭이 좁기 때문에 이앙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등 기계화화에 기대만큼 부응하지 못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트랙터와 같이 구동력이 큰 동력견인수단을 이용하여 로터리작업과 정지(써레)작업 및 이앙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부수적인 작업을 줄이면서도 이앙폭을 넓게하여 이앙작업의 효율성을 높혀 부족한 농촌의 일손을 덜어주고 농업기계화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가 접철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의 주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적용된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3에 적용된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의 동력전달 관계를 발췌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의 정지기의 일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의 로터리에 적용되는 로터리날을 발췌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의 접철수단을 발췌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의 접철수단의 접철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50; 이앙장치
51; 동력견인수단
52; 로터리
53; 정지기
54; 이앙기
60; 로터리케이스
61; 기어박스
66,67; 로터리날
84; 보조정지판
88; 주정지판
90; 이앙프레임
93; 연결프레임
96; 이앙실린더
100; 출력축
110; 접철수단
111; 접철프레임
120; 이앙힛치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가 접철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의 주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적용된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3에 적용된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의 동력전달 관계를 발췌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의 정지기의 일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의 로터리에 적용되는 로터리날을 발췌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의 접철수단을 발췌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의 접철수단의 접철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트랙터와 같은 동력견인수단을 이용하여 물이 충만된 논에 로터리작업과 정지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고 바로 이앙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50)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앙장치(50)는, 동력견인수단(51)의 후방에 연결되는 로터리(52)와 상기 로터리(52)의 후방에 연결되는 정지기(53) 및 정지기(53)의 후방에 연결되는 이앙기(54)로 구성한다.
상기 로터리(52)는 단면이 개략 사다리꼴 형상을 한 로터리케이스(60)를 구비하여 상면 중앙에는 동력견인수단(51)과 조인트(55)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기어박스(61)를 설치한다.
상기 기어박스(61)의 전방에는 입력축(62)이 구비되고 상기 입력축(62)의 중앙에는 베벨기어(63)를 고정하여 로터리케이스(60)의 양측으로 연결되는 로터리구동축(64)의 중앙에 구비되는 베벨기어(65)와 맞물리도록 하여 로터리케이스(60) 하방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다수개의 로터리날(66,67)을 가지는 로터리축(68)을 구동하도록 한다.
상기 로터리축(68)의 일측에는 체인기어(69)를 고정하고 로터리구동축(64)에 고정되는 체인기어(70)와 체인(71)으로 연결하여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체인기어(69,70)와 체인(71)은 체인케이스(72)로 마감한다.
상기 기어박스(61)의 양측과 기어박스(61)의 상방에는 로터리케이스(6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브라켓(73,74)를 돌출시켜 원호형상의 어터치먼트(75)를 연결한다.
상기 어터치먼트(75)의 하방 양측은 동력견인수단(51)과 링크(76)로 연결하고 상방은 동력견인수단(51)에 구비되는 실린더(77)와 연결하여 이앙장치(50)전체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정지기(53)는 로터리케이스(60)의 양측 후미에 구비되는 연결공(80)과 결합할 수 있도록 양측에 연결돌기(81)를 형성한 브라켓(82)을 가지는 주정지판(88)을 구비하고, 상기 주정지판(83)의 양측에는 보조정지판(84)을 구비한다.
상기 보조정지판(84)은 주정지판(83)의 중앙에 설치되는 양방향실린더(85)의 로드(86)와 연결하여 양측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연결돌기(81)를 수용하는 로커리케이스(60)의 연결공(80)에는 이탈방지편(87)을 더 구비하여 연결돌기(81)를 안정된 상태로 잡아주면서 정지기(53)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앙기(54)는 로터리케이스(60)에 구비되는 기어박스(61) 양측에 어터치먼트(75)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한 브라켓(73,74) 상방에 사다리꼴 형상의 이앙프레임(90)을 고정한다.
상기 이앙프레임(90)은 통상적인 이앙기(54)의 배면에 구비되어 이앙기(54)를 다열로 고정하기 위한 수평프레임(91)과 수직프레임(92)으로 구성되는 연결프레임(93)과 상,하부링크(94,95)로 연결하여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한다.
상기 이앙프레임(90)의 선측과 상부링크(94) 상간에는 이앙기(54)의 승,하강을 제어하기 위한 이앙실린더(96)를 더 연결한다.
상기 이앙기(54)가 이앙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동력전달은 기어박스(61)의 후방으로 취출되는 출력축(100)에 두개의 체인기어(101,102)를 고정하고, 로터리케이스(60)의 양측에 구비되는 이앙축(103,104)에 고정되는 체인기어(105,106)과 체인(107,108)으로 연결한다.
상기 수평프레임(91)에는 다열로 연결되어 광폭인 상태의 이앙기(54)를 이동이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접철수단(11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접철수단(110)은, 수평프레임(91)의 양측에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접철되는 접철프레임(111)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철프레임(111)의 내측단부에는 브라켓(112)을 고정하여 수평프레임(91)의 양측에 형성되는 고정공(113)과 힌지(114)로 연결하여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한다.
상기 접철프레임(111)과 수평프레임(91)의 전방으로는 제한판(115)을 돌출시켜 제한핀(116)으로 고정하여 평상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철프레임(111)의 외측단부에는 이앙기(54)를 연결할 수 있는 이앙힛치(120)를 더 구비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이앙축(103,104)은 아앙기(54)에 구비되는 기어박스와 조인트(130)로 연결하여 이앙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로터리케이스(60) 하방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로터리축(68)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로터리날(66,67)은 동력견인수단(51)의 바퀴가 위치한 부위에는 일반적인 엘(L)자형상의 로터리날과는 다른 반원형이나, 디스크(원판)타입, 스크류타입을 적용하여 바퀴에 의하여 파여지고 비산된 흙을 모아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이앙장치(50)를 이용하여 이앙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쟁기작업이 끝난 논에 물을 충분히 공급한 상태에서 별도의 로터리작업이나 정지(써레)작업없이 바로 이앙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과정을 살펴보면,
동력견인수단(51)의 후방에 로터리(52)와 정지기(53) 및 이앙기(54)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이앙기(54)에는 육묘한 모를 재치하여 작업지로 진입하고,진입한 후에는 동력견인수단(51)과 어터치먼트(75)상간을 연결하는 실린더(77)를 작동시켜 이앙장치(50)전체의 높낮이를 작업하기 용이한 위치로 조절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로터리케이스(60)의 상방에 고정된 이앙프레임(90)과 이앙기(54)를 고정한 연결프레임(93) 상간에 연결된 이앙실린더(96)를 조작하여 이앙기(54)의 위치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이앙장치(50)전체와 이앙기(54)의 조절이 끝나면 동력견인수단(51)을 전진시킴으로서 로터리(52)가 작동하여 쟁기작업이 끝난 논의 굵은 흙덩이를 잘게 부수고, 로터리(52)의 후방에 연결된 정지기(53)가 로터리작업이 끝난 논의 표면을 이앙하기 용이하도록 고르게(평편하게)한다.
그러면, 정지기(53)의 후방에서 견인되어오는 이앙기(54)가 통상적인이 이앙작업과 동일하게 모를 심어 이앙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로터리(52)에 의하여 로터리 작업시에는 동력견인수단(51)의 바퀴가 지나간 자리가 파여지거나 비산되어 흙이 부족한 것은 로터리축(68) 중 동력견인수단(51)의 바퀴가 위치한 부위에 흙을 모아줄 수 있도록 별도로 고정되는 고정되는 로터리날(66,67)과 로터리(52)의 후방에 연결된 정지기(53)에 의하여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 정지기(53)의 경우에는 로터리(52)의 폭에 맞게 주정지판(88)의 중앙에 설치되는 양방향실린더(85)를 작동시켜 주정지판(88)의 양측에 결합된 보조정지판(84)을 펼쳐 정지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로터리(52)는 물론 정지기(53)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동력견인수단(51)의 바퀴가 지나간 자리의 흙을 채워넣기 때문에 모가 심어져도 흙이 충만된 상태에 있으므로 심어진 모가 착생하는데 지장을 주지않을 뿐 아니라 기울어지거나 이탈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로터리(52)와 정지기(53) 및 이앙기(54)의 작동을 위한 동력전달은;
상기 로터리케이스(60)의 상방에 구비되는 기어박스(61)의 입력축(62)이 동력견인수단(51)과 조인트(55)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축(62)의 중도에 고정되는 베벨기어(63)가 로터리구동축(64)에 고정되는 베벨기어(65)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로터리구동축(64)은 로터리케이스(60)의 하방에 설치되는 로터리축(68)과 체인기어(69,70) 및 체인(71)으로 연결하여 로터리날(66,67)을 구동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기어박스(61)의 후방으로 취출되는 출력축(100)에 고정되는 체인기어(101,102)는 로터리케이스(60)의 양측에 구비되는 이앙축(103,104)에 고정되는 체인기어(105,106)와 체인(107,108)으로 연결하고, 상기 이앙축(103,104)은 조인트(130)를 이용하여 이앙기(54)에 구비되는 기어박스와 연결함으로서 이앙기(54)가 이앙작업을 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앙작업이 끝난 후나 이앙작업을 위하여 작업지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앙기(54)가 다열로 연결되어 광폭인 상태이기 때문에 좁은 농로를 쉽게 이동할 수 없게되는데, 이때에는 접철수단(110)을 이용하여 이앙기(54)를 접어 폭을 좁기하여 이동하면 된다.
이를 살펴보면, 이앙기(54)의 연접부위를 고정하고 있던 클램프를 해제하고 이앙기(54)로 동력을 전달하는 조인트(130)를 이탈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접철수단(110)을 구성하고 있는 수평프레임(91)과 접철프레임(111)에 구비되는 제한판(115)을 고정하고 있던 제한핀(116)을 이탈시킨 후 접철프레임(111)을 동력견인수단(51)의 후방으로 밀어준다.
그러면, 수평프레임(91)과 접철프레임(111)을 연결하고 있는 힌지(114)에 의하여 접철프레임(111)이 동력견인수단(51)의 후방으로 각회동하여 동력견인수단(51)과 일자형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접철프레임(111)을 밀어서 동력견인수단(51)와 일자형태가 되도록 접으면서 이앙기(54)를 잡고 역시 동력견인수단(51)과 일자형태가 되도록 회전시키면 이앙기(54)의 이앙암부위가 내측으로 마주보게되고 모탑재대는 외측방향으로 향하도록 접혀지게 된다.
이는, 접철프레임(111)의 외측단부에 구비되는 이앙힛치(120)와 이앙기(54)가 움직임이 자유롭게 연결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로터리작업과 정지작업 및 이앙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서 이앙작업을 위한 준비작업이 필요없어 부족한 농가의 일손을 도울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며, 로터리와 연결된 이앙기를 이탈시키면 로터리와 정지작업이 가능하게 되고, 정지기를 이탈시키면 로터리작업만 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용도를 가지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동력견인수단의 구동력에 따라 로터리와 정지기의 폭은 물론, 이앙기를 다열로 연결하여 광폭으로 작업이 가능하면서도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이앙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트랙터와 같이 구동력이 큰 동력견인수단을 이용하여 로터리작업과 정지작업 및 이앙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부수적인 작업을 줄이면서도 이앙폭을 넓게하여 이앙작업의 효율성을 높혀 부족한 농촌의 일손을 덜어주고 농업기계화에 부응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동력견인수단(51)의 후방에 연결되는 로터리(52)와;
    상기 로터리(52)의 후방에 연결되는 정지기(53);
    상기 정지기(53)의 후방에 연결되는 이앙기(54)로 구성하고;
    상기 로터리(52)는 상면 중앙에 동력견인수단(51)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설치되는 기어박스(61)를 가지는 로터리케이스(60)와;
    상기 기어박스(61)의 양측과 기어박스(61)의 상방에 돌출되는 브라켓(73,74)에 연결되는 어터치먼트(75);
    상기 어터치먼트(75)는 동력견인수단(51)의 링크(76)와 실린더(77)로 연결하여 이앙장치(50)전체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정지기(53)는 로터리케이스(60)의 양측 후미에 구비되는 연결공(80)과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돌기(81)를 형성한 브라켓(82)을 가지는 주정지판(88)과;
    상기 주정지판(83)의 양측에 구비되는 보조정지판(84);
    상기 주정지판(83)의 중앙에 설치되어 보조정지판(84)을 주정지판(83)의 양측으로 길이조절 가능하게 하는 양방향실린더(85)를 포함하고;
    상기 이앙기(54)는 로터리케이스(60)의 상방에 고정되어 이앙기(54)의 배면에 구비되어 이앙기(54)를 다열로 고정하기 위한 수평프레임(91)과 수직프레임(92)으로 구성되는 연결프레임(93)과 상,하부링크(94,95)로 연결되는 이앙프레임(90)과;
    상기 이앙프레임(90)의 선측과 상부링크(94) 상간에는 이앙기(54)의 승,하강을 제어하기 위한 이앙실린더(96)로 연결하고;
    상기 수평프레임(91)에는 다열로 고정되는 이앙기(54)를 접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위한 접철수단(110)을 구비하는 이앙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52)의 동력전달은 기어박스(61)에 구비되어 동력견인수단(5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62)의 중앙에 고정되는 베벨기어(63)와;
    상기 로터리케이스(60)의 양측으로 연결되는 로터리구동축(64)의 중앙에 구비되는 베벨기어(65)를 맞물리게 하고;
    상기 로터리구동축(64)에는 체인기어(70)를 고정하여 로터리케이스(60)의 하방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로터리축(68)에 고정되는 체인기어(69)와 체인(71)으로 연결하고;
    상기 이앙기(54)로의 동력전달은 기어박스(61)의 후방으로 취출되는 출력축(100)에 고정되는 체인기어(101,102)와;
    상기 로터리케이스(60)의 양측에 구비되는 이앙축(103,104)에 고정되는 체인기어(105,106)와 체인(107,108)으로 연결하고;
    상기 이앙축(103,104)은 아앙기(54)에 구비되는 기어박스와 조인트(130)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수단(110)은, 수평프레임(91)의 양측에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접철되도록 구비하는 접철프레임(111)과;
    상기 접철프레임(111)의 내측단부에 고정되는 브라켓(112)과 수평프레임(91)의 양측에 형성되는 고정공(113)을 움직임 자유롭게 연결하는 힌지(114)와;
    상기 접철프레임(111)과 수평프레임(91)의 전방으로는 평상시 이앙기(54)의움딕임을 제한하기 위하여 돌출되오 제한핀(116)으로 단속되는 제한판(115)을 포함하;
    상기 접철프레임(111)의 외측단부에는 이앙기(54)를 연결할 수 있는 이앙힛치(12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
KR10-2002-0021887A 2002-04-22 2002-04-22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 KR100457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887A KR100457753B1 (ko) 2002-04-22 2002-04-22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887A KR100457753B1 (ko) 2002-04-22 2002-04-22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376A KR20030083376A (ko) 2003-10-30
KR100457753B1 true KR100457753B1 (ko) 2004-11-18

Family

ID=32379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887A KR100457753B1 (ko) 2002-04-22 2002-04-22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7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973A (ko) * 2002-04-24 2003-11-01 아세아종합기계 주식회사 승용관리기용 이앙기
CN115643836B (zh) * 2022-10-20 2024-05-10 东北农业大学 一种旱田无人车作业工况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376A (ko) 200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5471B2 (ja) 複合作業機
US6431287B1 (en) Soil tiller assembly and method for tilling soil
CN201303491Y (zh) 多功能整地机
KR20220018059A (ko) 접이식 소형 유채 파종기
CN111656895A (zh) 一种用于苗木种植的灌溉沟起垄、施肥一体化装置
KR100457753B1 (ko) 동력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이앙장치
KR100321095B1 (ko) 다용도 직파기
CN218125341U (zh) 单垄复合型山地秸秆还田机
CN201156873Y (zh) 深松联合整地机
KR102185477B1 (ko) 쟁기로터리
EP0620962B1 (en) A soil cultivating machine
CN2807729Y (zh) 微型耕作机
CN201430751Y (zh) 耕整机侧驱前置多功能作业机
KR200244187Y1 (ko) 로터리 부착 쟁기
CN220123386U (zh) 一种悬挂式多功能培土机
CN2566596Y (zh) 多用组合深松犁
CN2843025Y (zh) 多功能微型耕播机
CN220441212U (zh) 烤烟自动起垄培土机
CN108323285A (zh) 一种多功能播种施肥一体机
CN108464088A (zh) 一种深度调节播种施肥机
KR20140013511A (ko) 잔고랑을 형성하는 이랑 성형기
CN2354314Y (zh) 水田埋草驱动耙
CN2174836Y (zh) 多用组合犁
RU48142U1 (ru)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ее орудие
CN2622991Y (zh) 多功能农业耕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