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738B1 - Method for improving transmission rate of data in mobile telepho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improving transmission rate of data in mobile 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6738B1
KR100456738B1 KR10-2003-0014838A KR20030014838A KR100456738B1 KR 100456738 B1 KR100456738 B1 KR 100456738B1 KR 20030014838 A KR20030014838 A KR 20030014838A KR 100456738 B1 KR100456738 B1 KR 100456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data
portable terminal
communic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48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79793A (en
Inventor
최성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4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6738B1/en
Publication of KR20040079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97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738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용 컴퓨터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데이터 통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통신 조명시간을 설정한 후, 데이터 통신을 시작하는 제1과정과, 상기 데이터 통신 시작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표시부를 오프 시키는 제3과정과, 키 입력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제4과정과, 상기 키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표시부를 온 시키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mproving a data transmission rate in a portable terminal when a personal computer communicates with a portable terminal, after setting a communication lighting time, starting data communication, and after starting the data communication. A second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 third process of turning off a display unit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 fourth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key input is generated, and the display unit when the key input is generated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fifth process to turn on.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키는 방법{METHOD FOR IMPROVING TRANSMISSION RATE OF DATA IN MOBILE TELEPHONE}METHOD FOR IMPROVING TRANSMISSION RATE OF DATA IN MOBILE TELE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용 컴퓨터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데이터 통신 시,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for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improving a data transmission rate when a personal computer communicates data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도 1은 개인용 컴퓨터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60과 휴대용 단말기50을 연결한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50을 모뎀 삼아 상기 개인용 컴퓨터60으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1 shows a personal compute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portable terminal. As shown in FIG. 1, a user may connect a personal computer 60 and a portable terminal 50, and then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ersonal computer 60 using the portable terminal 50 as a modem.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50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는 계속해서 켜져 있는 상태이다. 또한, 상기 표시부의 화면도 데이터 통신 시간을 표시하기 위하여 업데이트 동작을 계속하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다.When the user performs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50,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ontinuously turn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is also programmed to continue the update operation to display the data communication time.

그러나, 상기와 같이 데이터 통신을 하는 동안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가 계속 해서 켜져 있으면, 인터럽트가 많이 발생하게 되어 데이터 통신 속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when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ontinuously turned on during the data communication as described above, a lot of interrupts are generated, and the data communication speed is significantly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용 컴퓨터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데이터 통신 시, 발생되는 데이터 통신 속도문제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improving a data communication speed problem generated when a personal computer communicates data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데이터 통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통신 조명시간을 설정한 후, 데이터 통신을 시작하는 제1과정과, 상기 데이터 통신 시작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표시부를 오프 시키는 제3과정과, 키 입력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제4과정과, 상기 키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표시부를 온 시키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When a personal computer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municates data through a portable terminal, the method of improving the data transmission rate in the portable terminal comprises: a first process of starting a data communication after setting a communication illumination time; A second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start, a third process of turning off the display unit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 fourth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key input is generated, and when the key input is generated, And a fifth process of turning on the display unit.

도 1은 개인용 컴퓨터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 personal compute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portable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통신 동안 표시부를 오프 시키기 위한 일정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predetermined time for turning off the display unit during data communication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 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mproving a data rate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figures represent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RF부21은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부21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23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은 모뎀(MODEM) 및 코덱(COD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RF unit 21 performs commun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RF unit 21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The data processor 23 includes a transmitter for encoding and modulating the transmitted signal and a receiver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That is, the data processor 23 may be configured of a modem and a codec CODDEC.

오디오처리부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입력부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상기 키입력부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통신 동안 오프 된 표시부를 온 시키는 키를 구비한다.The audio processor 25 plays a function of reproducing a receive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data processor 23 or transmitting a transmission audio signal generated from a microphone to the data processor 23. The key input unit 27 includes keys for inputting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and function keys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The key input unit 27 includes a key for turning on the display unit turned off during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메모리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가 데이터 통신 시 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표시부를 오프 시키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데이터 통신동안 표시부30을 오프 시키기 위해 설정한 시간이 저장된다.The memory 29 may be composed of program memory and data memories. The program memory stores programs for controlling a genera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grams for turning off the display unit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during the data commun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data memory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s. In addition, the memory 29 stores a time set by the user to turn off the display unit 30 during data communication.

제어부10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데이터 통신 시,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표시부30을 오프 시키고, 상기 표시부30의 화면표시에 관한 업데이트를 하지 못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부30이 오프 된 상태에서, 키 조작이 발생하면 상기 표시부30을 온 시키고 상기 표시부30의 화면표시에 관한 업데이트를 다시 수행하여 데이터의 통신시간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1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may include the data processor 23.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personal computer to turn off the display unit 30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dur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and to prevent updating of the screen display of the display uni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play unit 30 is turned off, when the key operation occurs, the controller 10 turns on the display unit 30 and performs update on the screen display of the display unit 30 again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time of the data. Control to display.

카메라5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한다. 신호처리부60은 상기 카메라5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이미지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처리부60은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70은 상기 신호처리부6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70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표시부80의 규격에 맞춰 전송하며, 또한 상기 영상데이타를 압축 및 신장을 수행한다.The camera 50 photographs image data and includes a camera sensor that converts the photograph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It is assumed here that the camera sensor is a CCD sensor. The signal processor 60 converts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50 into an image signal. The signal processor 60 may be implemented with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The image processor 7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screen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or 60. The image processor 70 transmits an image signal receiv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of the display unit 80, and compresses and decompresses the image data.

상기 표시부30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메시지들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30은 카메라 촬영 모드시 상기 영상처리부7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3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3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 입력부27과 상기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오프 된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면 데이터의 통신시간을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30 displays messages generated during program execu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0 displays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70 in a camera photographing mode on a screen, and displays user data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0.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30 may use an LC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30 may include an LCD controller, a memory capable of storing image data, and an LCD display device. In this case, when the LCD is implemented using a touch screen method, the key input unit 27 and the LCD may be input units. Also, the display unit 30 displays the communication time of data when the display unit 30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입력부27을 통해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처리부23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알정보를 처리한 후 RF부21을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21 및 데이터처리부23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시 상기 제어부10은 데이터처리부23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지만,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타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은 데이터 처리부23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타를 표시부30 상에 표시한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reference to FIG. 1, when the user performs a dialing operation through the key input unit 27 and sets the transmission mode, the controller 10 detects this and receives the dial received through the data processor 23. After processing the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an RF signal through the RF unit 21 and output. Thereafter, when the counter subscriber generates a response signal, the counter subscriber detects this through the RF unit 21 and the data processor 23. Thereafter, a user establishes a voice call path through the audio processor 25 to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In addition, in the incoming mode, the controller 10 detects the incoming mode through the data processor 23 and generates a ring signal through the audio processor 25. Thereafter, when the user responds, the controller 10 detects this, and a voice call path is formed through the audio processor 25 to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In the outgoing and incoming modes, voice communica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a data communication function for communicating packet data and video data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voice communication. In addition, when performing a standby mode or text communication, the controller 10 displays text data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or 23 on the display unit 30.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인물 또는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영상화면으로 표시 또는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카메라50은 휴대용 전화기에 장착되거나 또는 외부의 소정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50은 외장형 또는 내장형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50은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50에 촬영되는 영상은 내부의 CCD 센서에서 전기적신호로 변환된 후 신호처리부60에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신호처리부60은 상기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영상처리부70에 출력한다.Also, the portable terminal may perform an operation of capturing a person or an environment and displaying or transmitting the image on a video screen. First, the camera 50 may be mounted on a portable telephone or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location outside. That is, the camera 50 may be an external camera or an internal camera. The camera 50 may use a charge coupled device (CCD) sensor.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50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an internal CCD sensor and then applied to the signal processor 60. Then, the signal processor 60 converts the image signal into digital image data and outputs the image signal to the image processor 70.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로 데이터 통신을 할 때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키는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일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표시부30을 오프 시킨다. 상기 표시부30이 오프 된 상태에서 키 조작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표시부30을 온 시키고 데이터 통신시간을 표시한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improving the data transmission rate when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to the personal computer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after a predetermined time set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10 turns off the display unit 30. When a key operation occurs while the display unit 30 is off, the controller 10 turns on the display unit 30 and displays a data communication tim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통신 동안 표시부를 오프 시키기 위한 일정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통신 조명시간에 대한 메뉴를 따로 구비하여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나,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조명시간으로 상기 일정시간을 설정할 수 도 있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predetermined time for turning off the display unit during data communication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escribed a method for setting a time by separately providing a menu for a communication illumination tim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set as an illumination time used in a general portable terminal.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27 상의 메뉴 키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100단계에서 표시부30을 제어하여 메뉴를 표시한다. 상기 메뉴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27을 통해 화면조명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1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30을 제어하여 상기 화면조명의 종류를 표시한다. 상기 화면조정의 종류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통신 조명시간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1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30을 제어하여 상기 통신 조명 시간의 종류들을 표시하는 1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3단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을 선택한 후 확인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1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 통신동안에 상기 표시부30을 오프 시키는 일정시간을 설정하는 1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3단계에서 통신 조명시간의 디폴트 값(자동설정)이 1분인 경우, 사용자가 통신 조명시간을 설정하지 않고 데이터 통신을 할 때 상기 표시부30을 오프 시키는 일정시간은 1분이 된다.Referring to FIG. 3, when a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presses a menu key on the key input unit 27, the controller 10 detects this and displays a menu by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30 in step 100. When the user selects the screen light through the key input unit 27 while the menu is displayed, the control unit 10 detects it in step 101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30 to display the type of the screen light. 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selects the communication illumination time while the type of screen adjustment is displayed, the controller 10 detects it in step 102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30 to display the types of the communication illumination time. Proceed to step. If the user selects a desired time and then inputs a confirmation key in step 103, the controller 10 detects it in step 104 and proceeds to step 105 in which a predetermined time is set to turn off the display unit 30 during data communication. When the default value (auto setting) of the communication illumination time is 1 minute in step 103, the predetermined time for turning off the display unit 30 when the user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out setting the communication illumination time is 1 minut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 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mproving a data rate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2 및 도 3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먼저,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연결한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제어부10은 2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0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1단계에서 표시부30은 온 상태이며, 이때 상기 표시부30의 화면은 업데이트 되며 데이터 통신의 시간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30이 온 된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일정시간 또는 디폴트 값으로 정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부10은 2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30을 오프 시키는 203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30에 계속해서 업데이트 되는 화면의 동작도 멈추도록 제어한다. 상기 표시부30이 오프 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키 조작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2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표시부30은 다시 온 상태가 되며, 상기 표시부30의 화면에 관한 업데이트를 다시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30을 통해 데이터 통신 시간이 표시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 통신이 종료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10은 2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다시 202단계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한다.First, when a user connects a personal computer with the portable terminal and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ersonal computer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ler 10 detects this in step 200 and proceeds to step 201. In step 201, the display unit 30 is in an on state. At this time,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30 is updated to display the time of data communication. In the state where the display unit 30 is turned on, if a predetermined time set by the user o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ler 10 detects this in step 202 and turns off the display unit 30 in step 203. Proceed.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screen continuously updated on the display unit 30 is also controlled to stop. When the key operation is generated by the user while the display unit 30 is off, the control unit 10 detects this in step 204 and proceeds to step 205. In step 205, the display unit 30 is turned on again, and the display unit 30 controls to perform an update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30 again. At this time, the data communication tim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30. If the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does not end, the controller 10 detects this in step 206 and again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n step 202.

상기 206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이 데이터 통신의 종료를 감지할 때, 상기 일정시간이 도 3과 같이 설정되었으면 상기 표시부30은 더 이상 상기 일정시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데이터 통신 동안 상기 표시부30을 오프 시키는 상기 일정시간이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조명시간으로 설정될 경우 계속해서 영향을받을 것이다.When the controller 10 detects the end of the data communication in step 206, if the predetermined time is set as shown in FIG. 3, the display unit 30 is no longer affected by the predetermined time. However, if the predetermined time for turning off the display unit 30 during data communication is set to the lighting time of a general portable terminal, it will continue to be affected.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embodiment such as a portable terminal has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인용 컴퓨터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데이터 통신하는 동안 표시부를 오프 시킴으로써, 인터럽트를 최소화하여 데이터의 전송률을 항상 시키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turn off the display unit while the personal computer communicates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thereby minimizing interruption, thereby keeping the data transmission rate at all times, and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

Claims (5)

개인용 컴퓨터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데이터 통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improving a data transmission rate in a portable terminal when a personal computer communicates data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통신 조명시간을 설정한 후, 데이터 통신을 시작하는 제1과정과,A first process of starting data communication after setting a communication illumination time; 상기 데이터 통신 시작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제2과정과,A second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data communication starts;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표시부를 오프 시키는 제3과정과,Turning off the display unit when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키 입력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제4과정과,A four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key input occurs; 상기 키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표시부를 온 시키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a fifth process of turning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key input is genera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5과정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3과정으로 반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if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in the fifth process, the process repeats the third proc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에서 통신 조명시간 설정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illumination time setting in the first process, 메뉴에서 통신조명시간을 선택하는 과정과.The process of selecting the communication lighting time from the menu. 상기 통신 조명시간 선택 시, 상기 조명시간의 메뉴가 표시되는 과정과,When the communication illumination time is selected, displaying a menu of the illumination time; 상기 메뉴에서 조명시간 선택 시, 데이터 통신 동안 표시부가 오프 되는 일정시간이 설정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When the illumination time is selected in the menu,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during which the display unit is turned off during data communication is s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에서 통신 조명시간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lighting time in the first process,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조명시간 메뉴로 설정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method as set forth in the general menu of the illumination time of the portab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5과정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fifth process, 상기 표시부가 온이 되면 데이터 통신시간이 표시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the data communication time is displayed when the display unit is turned on.
KR10-2003-0014838A 2003-03-10 2003-03-10 Method for improving transmission rate of data in mobile telephone KR1004567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838A KR100456738B1 (en) 2003-03-10 2003-03-10 Method for improving transmission rate of data in mobile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838A KR100456738B1 (en) 2003-03-10 2003-03-10 Method for improving transmission rate of data in mobile tele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793A KR20040079793A (en) 2004-09-16
KR100456738B1 true KR100456738B1 (en) 2004-11-10

Family

ID=37364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4838A KR100456738B1 (en) 2003-03-10 2003-03-10 Method for improving transmission rate of data in mobile 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673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0705A1 (en) 2004-10-07 2006-08-03 Lg Electronics, Inc. Automatic level controll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793A (en) 200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054085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0547741B1 (en) Speaker device of mobile terminal
KR100456738B1 (en) Method for improving transmission rate of data in mobile telephone
KR10080068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larm in wireless terminal
KR2005004285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method using touch screen
KR20070000265A (en) Method for performing call in wireless terminal
KR10060606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of power off in wireless terminal
KR20060136235A (en) Method for performing call in wireless terminal
KR10100286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ctive mode in wireless terminal typing slide
KR100744344B1 (en)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data
KR100663531B1 (en) Method for displaying clock in wireless terminal
KR100630096B1 (en) Method for displaying menu in the mobile terminal
KR10063009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ction according to low battery in wireless terminal
KR100606092B1 (en) Method for preventing howling in wireless terminal
KR100689409B1 (en)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external display unit of wireless terminal
KR100506260B1 (en) Method for booting in mobile phone
KR100678030B1 (en) Method for performing automatic response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00835B1 (en) Device and method for using camera in wireless telephone by personal computer camera
KR100605936B1 (en) Method for changing key tone in wireless terminal
KR20050005102A (en) Auto controlling method for previewing image data
KR100594007B1 (en) Method for power save in wireless telephone
KR2005010862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iewing high resolution image fastly
KR20050062875A (en) Method for notifying information of power off in wireless terminal
KR20050089263A (en) Method for inputting number in message sending mode
KR20030097572A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mobile telephone having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