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070B1 - 신호전달방법및시스템 - Google Patents

신호전달방법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6070B1
KR100456070B1 KR10-1998-0709275A KR19980709275A KR100456070B1 KR 100456070 B1 KR100456070 B1 KR 100456070B1 KR 19980709275 A KR19980709275 A KR 19980709275A KR 100456070 B1 KR100456070 B1 KR 100456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node
network
stp
point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116A (ko
Inventor
젠 이 린드퀴스트
Original Assignee
에릭슨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슨 인크. filed Critical 에릭슨 인크.
Priority to KR10-1998-0709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6070B1/ko
Publication of KR20000011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0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25Provisions for signalling

Abstract

제 1신호시스템 No.7 (SS7)망 내의 제 1응용계층 노드를 나타내는 포인트 코드 및 서브시스템 번호(PC/SSN)는 제 2 SS7 망내에 규정되어 있지 않다. 제 1신호를 제 1노드로부터 제 2 SS7 망내의 제 2노드로 전송하는 동안, 제 1노드를 나타내는 PC/SSN은 발신측 어드레스(Cgpa)로서 사용된다. 제 1 SS7 망을 제 2 SS7 망과 인터페이스하는 변환기 신호중계점(STP)은 상기 전송된 신호를 인터셉트하여, 특정 PC/SSN을 상응하는 글로벌 타이틀 번호로 변환한다. 다음으로, 상기 변환된 Cgpa를 포함하는 제 1신호가 제 2노드로 전달된다. 제 2 SS7 망내의 제 2노드가 제 1노드로 복귀신호를 전송할 때마다, 상기 변환된 Cgpa는 착신측 어드레스(Cdpa)로 사용된다. 변환기 STP는 복귀 어드레스를 다시 인터셉트하여, 상기 인터셉트된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원래의 PC/SSN 값으로 다시 변환한다. 상기 변환된 Cdpa를 갖는 복귀신호가 제 1노드로 다시 라우팅된다.

Description

신호 전달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상이한 통신망을 통한 응용계층 신호의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 1신호시스템(Signaling System) No.7(SS7)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된 응용계층 신호내의 포인트코드(point code) 및 서브시스템 번호를 제 2 SS7 통신망내의 라우팅이 가능한 글로벌 타이틀 번호로 변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Jan Lindquist 등에 의해 "A Network Protocol Conversion Module Within A Telecommunication System"을 명칭으로 하여 1996년 4월 10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08/630,355호에 관련된다.
일반적인 통신교환기는 대단히 많은 수의 장치, 신호 단자, 및 가장 중요한 것으로 통신사용자에게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모듈을 포함하는 복잡한 디지털 프로세서이다. 상기 언급된 디지털 프로세서와 공통선신호(Common Channel Signaling:CCS)망 시스템의 개발로, 일반적인 통신교환기는 현재 단순한 음성데이터 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지원하고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비디오 영상, 제어신호, 또는 응용 특정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응용 특정 정보의 예로는 고객의 신용카드번호를 확인하기 위해 기존의 통신망을 통해 전달되는 신용카드 확인 데이터가 있다.
두 개 이상의 통신망 교환기가 서로간에 데이터를 적절히 교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대화"의 모든 당사자가 특정 통신 프로토콜에 동의해야만 한다. 프로토콜은 데이터를 올바른 장소로 적절히 그리고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및 하나의 망 또는 일련의 망을 통해 대화중 또는 회의중인 단말 사용자에게 인식가능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각 당사자에 의해 엄격히 준수되어야 한다. 따라서, 현대의 통신산업에서는,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Open Systems Interconnectiens:OSI) 모델을 기반으로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서로 링크된다.
OSI 모델은 상이한 제조업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각기 다른 시스템간의 통신을 위한 표준의 단지 국제적으로 허용된 구조이다. OSI의 목표는 임의의 망에 접속되는 어떠한 제조업자의 컴퓨터 시스템이라도 상기 망의 다른 임의의 컴퓨터 시스템과 데이터를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는 개방형 시스템 네트워킹 환경을 생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스템이 "개방형" 이라는 사실은 특정 프로토콜 또는 사양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OSI는 사용자가 자신의 통신 사양을 개발하여 더 높은 레벨의 OSI 계층을 따르는 것을 허용하고 지원하는 개념적이며 기능적인 구조를 제공한다. 통신용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허용된 OSI 표준은 공통선 신호방식(CCS)이었다. 특히, 미국에서 CCS를 구현하기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은 신호시스템 No.7(SS7)이었다. 그러나, 동일한 SS7 통신 프로토콜 내에서조차도 발신 노드로부터 착신 노드로 신호를 전송하는 상이한 메커니즘이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SS7 망내에서 신호를 라우팅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두 개의 상이한 방법이 있다. 첫째로, 라우팅은 포인트 코드(PC)와 서브시스템 번호(SSN)의 조합(이하에서는 총칭하여 PC/SSN이라 함)을 토대로 할 수 있다. PC/SSN이 신호에 대해 제공되면, 서비스중인 망내의 각각의 참여노드(예컨대, 신호중계점(STP))는 지정된 PC/SSN을 규정하는 데이터를 가져야한다. 따라서, 신호가 소정의 PC/SSN으로 수신되면, 서비스중인 망내의 각 전송노드는 신호를 어디로 및 누구에게 전송할지를 정확히 알고 있다.
대안으로서, 신호는 또한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사용하여 라우팅될 수 있다. 신호를 발생시키는 노드가 착신 노드와 관련된 PC/SSN을 알고있지 않으면, 글로벌 타이틀 번호가 라우팅을 목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발신노드를 착신노드와 접속하는 각각의 전송노드는 단지 특정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가진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망 또는 방향으로 전달한다는 것을 알고 있을 뿐이다. 어떤 포인트에서는, 신호가 그 최종 수신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올바른 PC/SSN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은 글로벌 타이틀 변환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착신노드에 인접한 STP에 의해 수행된다. 인접한 STP 이외의 다른 모든 중간노드는 단지 올바른 방향으로 신호를 전달하기 때문에, 중간 전송노드는 수신된 글로벌 타이틀 번호에 의해 표시된 착신노드를 규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예컨대, 1990년 4월, 통신에 관한 IEEE 국제 회의에서 Aida A. El-Toumi 및 Michael A. McGrew에 의한 명칭 "Interconnecting SS7 시그널링 망"은 포인트 코드 및 SSN이 다른 망에 제공되지 않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 대신, 발신측 어드레스의 글로벌 타이틀이 제공된다. 상기 글로벌 타이틀은 응답 신호에서 착신측 어드레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Fuller 등의 미국 특허 제5,282,244호는 상이한 망들 사이의 신호중계점을 접속함으로써 가상 신호망을 개시하는데, 여기서 신호메시지는 저장된 변환표에 따라 변환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1992년 4월의 IEEE 회보이며 Bijan Jabbari에 의한 명칭 "Routing and Congestion Control in Common Channel Signaling System No.7"은 글로벌 타이틀 어드레스를 서브시스템 번호 및 포인트 코드로 변환하는 것을 개시한다.
SS7 망내의 특정 노드와 관련된 PC/SSN이 SS7 망을 통해 규정되어있다면(SS7 망내의 모든 참여노드가 PC/SSN을 특정노드와 상호관련시키는 데이터를 가진다면), 규정된 PC/SSN을 이용하여 신호를 라우팅시키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며 직접적이다. 발신노드와 착신노드를 접속하는 모든 중간노드가 신호를 어디에 및 어떻게 전송할지를 알고있기 때문에, 발신노드에 의해 전송된 신호는 규정된 착신노드로 직접 라우팅되게 된다. 그러나, PC/SSN이 SS7 망을 통해 규정되어 있지 않다면, 신호는 관련 PC/SSN 규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특정 전송노드에 도달할 때까지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이용하여 라우팅되어야 한다. 이러한 글로벌 타이틀 변환은 비효율적이며 신호 라우팅 속도를 떨어뜨린다.
신호가 제 1SS7 망내의 제 1노드로부터 제 2SS7 망내의 제 2노드로 전달되면, 제 1노드와 관련된 PC/SSN가 착신측 어드레스(Cdpa)로서 신호내에 포함된다. 이러한 착신측 어드레스는 이후 제 2SS7 망내의 제 2노드에 의해 신호를 다시 제 1노드로 복귀시키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제 2 SS7 망내의 모든 중간노드가 제 1노드를 나타내는 PC/SSN 값으로 규정되지 않는다면, 상기와 같은 제 2 SS7 망을 통한 라우팅은 불가능하다. 반면, 제 1노드가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착신측 어드레스로 사용하여 그 모든 신호를 항상 전송하는 것은 비효율적인데, 왜냐하면 이것은 신호 라우팅의 속도를 떨어뜨리고 제 1 SS7 망내의 각 중간노드로부터의 처리시간을 더 요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규정된 특정 PC/SSN을 가지지 않는 SS7 망을 통해 PC/SSN을 이용하여 전송된 신호를 라우팅하기 위한 변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1은 통상적인 신호 시스템 No.7(SS7) 통신망을 예시하는 블록도.
도 2는 SS7 통신 시스템내의 상이한 계층을 예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발신노드를 착신노드와 접속하는 통상적인 SS7 통신망을 나타내는 망 구조도.
도 4는 포인트 코드 및 서브시스템 번호를 어드레싱 메커니즘으로서 사용하는 신호에 의해 얻어진 논리적인 라우팅 경로를 예시하는 블록도.
도 5는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어드레싱 메커니즘으로서 사용하는 신호에 의해 얻어진 가능한 라우팅 경로를 예시하는 블록도.
도 6은 PC/SSN을 사용하는 제 1 SS7 망이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사용하는 제 2 SS7 망과 인터페이스될 때 존재하는 라우팅 불일치를 예시하는 블록도.
도 7은 제 1 및 제 2 SS7 통신망간에 전달되는 신호내의 착신측 어드레스를 변환하기 위한 SCCP(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 모듈과 인터페이스하는 변환 모듈을 예시하는 블록도.
도 8은 제 1 SS7 망을 제 2 SS7 망과 접속하고 수신된 신호내의 포인트 코드 및 서브시스템 번호를 상응하는 글로벌 타이틀 번호로 변환하는 변환기 신호중계점(STP)을 예시하는 블록도.
본 발명은 특정신호에 대한 발신측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포인트 코드와 서브 시스템 번호를 상응하는 글로벌 타이틀 번호로 변환함으로써, 규정된 소정의 PC/SSN을 가지지 않는 신호시스템 No.7(SS7) 망을 통해 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제 1 SS7 망을 제 2 SS7 망과 접속하는 변환기 신호중계점(STP)은 수신된 신호내의 발신측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PC/SSN을 상응하는 글로벌 타이틀 번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글로벌 타이틀 번호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 SS7 망내의 제 1노드를 나타내며, 이후 상기 변환된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착신측 어드레스로 사용하여 복귀신호가 변환기 STP에 의해 수신되면, 변환기 STP는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원래의 PC/SSN으로 다시 변환한다. 변환기 STP는 PC/SSN을 착신측 어드레스로서 사용하는 복귀신호를 제 1노드에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변환기 STP에 의해 변환된 글로벌 타이틀 번호는 제 1 SS7 망내에서 제 1노드 대신 변환기 STP를 나타낸다. 수신된 신호가 변환기 STP에 의해 변환되어 전송될 때마다, 수신된 PC/SSN은 또한 그 전송된 신호내의 선택적인 SCCP(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 파라미터 중 하나로 캡슐화된다. 변환된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착신측 번호로 사용하며 원래의 PC/SSN을 캡슐화하는 복귀신호가 상기 변환된 STP에 의해 이후 수신되면, 변환기 STP는 캡슐화된 PC/SSN을 추출하여, 이 추출된 PC/SSN을 착신측 어드레스로서 사용하는 복귀신호를 제 1 노드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의 더 완전한 이해는 첨부 도면과 결부지어질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고로 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현될 수 있는 통상적인 신호 시스템 No.7 통신망의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지털 교환이 도래함에 따라, 공통선 신호방식(CCS)이 급속하게 회선 교환망의 호출 접속을 처리하는 바람직한 방법이 되었다. 미국에서 CCS를 구현하는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 기술은 처음에 CCITT(the Consultative Committee on International Telephone & Telegraph)에 의해 만들어져 이후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에 의해 변형된 신호 시스템 No.7(SS7)이었다. 망내의 라우팅 및 시그널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패킷 교환 신호망을 통해 로컬 교환기(A)와 같은 제 1노드(10A)로부터 제 2노드(10B)로 메시지가 전송되어야 한다. 이중 신호중계점(STPs)(270A, 270B)은 임의의 두 노드 사이에 항상 하나 이상의 신호링크(275)를 제공함으로써 신뢰성있는 신호 메지지 전송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응용계층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신호는 발신노드와 착신노드 (노드는 로컬 교환기, 데이터베이스, 또는 통신망의 일부로서 접속되는 다른 신호 발생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 사이에 물리적인 접속을 설정하지 않고 하나의 망 또는 일련의 망내에서 이동된다. 음성데이터를 반송하는 채널과 달리, 각 패킷은 그 착신노드를 향해 각각 및 개별적으로 라우팅된다. 따라서, 각 신호는 STP에게 패킷을 착신노드로 정확히 전달하도록 지시하는 발신 및 착신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신용카드 확인절차 또는 클래스 자동 콜백(Class Automatic Callback) 특성과 같은 응용계층 모듈에 필요한 데이터는 TCAP(Transaction Capable Application Part) 메시지 신호 또는 다른 응용계층 신호로 캡슐화되어, 망내의 한 노드로부터 망내의 다른 노드로 전송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각 신호헤더내의 SCCP(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 파라미터는 발신 및 착신 어드레스로 채워짐으로써 신호가 하나의 망 또는 일련의 망을 통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통상적인 SS7 통신 시스템내의 각기 다른 계층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OSI(Open System Interface)의 계층구조에 따라, SS7 통신 시스템은 또한 다수의 시스템 층으로 계층화된다. 기본적으로, SS7은 두 부분, 즉 사용자부와 메시지 전송부를 갖는다. 메시지 전송부(MTP)(300)는 SS7 망 시스템의 가장 낮은 계층이며, 망내의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사용자부는 여러 가지 변형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사용자부의 예로는 기본적인 전화 서비스를 위한 전화사용자부(Telephone User Part:TUP)(360), 및 복합형 음성, 데이터 및 음성 서비스를 위한 종합 정보통신망(ISDN) 사용자부(ISUP)(350)가 있다. 이들 사용자부는 또한 MTP(300)를 사용하여 접속은 없지만 순차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SS7 망의 가장 높은 계층에 있는 응용(340)은 트랜잭션 능력 응용부(Transaction Capabilities Applications Part; TCAP)층(330) 및 신호접속 제어부(Signaling Connections Control Part; SCCP)층(310)을 사용하여 MTP(300)를 통해 하나의 응용으로부터 다른 응용으로 응용계층 데이터를 전송한다. 응용은 또한 SCCP 계층(310)과 직접 인터페이스하여 한 응용으로부터 다른 응용으로 응용계층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자신의 독점적인 메시지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SCCP(310)의 목적은 종단간 라우팅을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SCCP(310)는 특정 신호내의 지정된 어드레스를 처리하여 데이터를 지정된 수신지로 적절히 전달한다. 이 어드레싱 정보는 MTP(300)에 의해 신호중계점(STP)과 같은 각각의 신호점에서 어떤 통신링크를 사용할지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도 3은 이동교환국/방문자 위치 레지스터(MSC/VLR)(10A)와 같은 제 1노드를 홈 위치 레지스터(HLR)(20B)와 같은 착신노드와 접속하는 통상적인 SS7 통신망을 나타내는 망 구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면, 이동국이 새로운 MSC/VLR 영역으로 이동할 때마다, 서비스중인 MSC/VLR(10A)은 이동국과 관련된 HLR(10B)과 통신하여 이동국의 현재 위치를 HLR(10B)에 알려준다. 이동국이 현재 자신의 홈 공중 지상 이동망(PLMN)에서 멀리 떨어져 놓여있다면, 서비스중인 MSC/VLR(10A)은 홈 HLR(10B)를 접속하는 것과 상이한 SS7 망에 접속된 노드일 수 있다. 다음으로, MSC/VLR(10A)은 MSC/VLR(10A)을 HLR(10B)과 접속하는 다수의 중간 노드(270)를 통해 홈 HLR(10B)가 통신한다. MSC/VLR(10A)에 의해 전송된 신호내의 착신측 어드레스는 중간노드로 하여금 HLR(10B)을 착신노드로 인식하게 함으로써 상기 전송된 신호를 정확한 수신지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복귀신호를 제 2노드로부터 제 1노드로 다시 전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MSC/VLR(10A)에 의해 지정된 발신측 어드레스는 또한 중간노드로 하여금 나중에 신호를 제 2 SS7 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SS7 망내에서 신호를 라우팅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두 개의 상이한 방법이 있다. 첫 번째로, 신호 라우팅은 포인트 코드(PC) 및 서브시스템 번호(SSN)의 조합(이하에서는 총칭해서 PC/SSN이라 함)을 토대로 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신호는 또한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사용하여 라우팅될 수 있다. PC/SSN을 사용하는 것이 신호를 라우팅하는 가장 직접적이며 효과적인 방법이라 하더라도, 모든 SS7 망이 소정의 PC/SSN을 사용하여 신호를 라우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PC/SSN을 어드레싱 메커니즘으로 사용하는 동안 SS7 망을 통해 신호에 의해 얻어지는 논리적인 라우팅 경로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PC/SSN이 착신측 어드레스(Cdpa)로서 제공되면, 서비스중인 SS7 망(20) 내에서 발신노드를 착신노드와 접속하는 모든 노드(도 4에 도시되지 않고, 도 3에 270으로 표시됨)는 특정 PC/SSN을 규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해야 한다. 그 결과, 특정 PC/SSN을 가진 신호를 수신하는 각 중간노드는 신호를 어떻게 그리고 어디로 전송할지를 정확히 알고 있다. 따라서, 모든 링크가 상당히 이용가능하다고 가정하면, 논리적인 경로(30)는 서비스중인 MSC/VLR(10A)과 홈 HLR(10B) 간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SS7 망에 의해 얻어지는 신호경로를 나타낸다.
특정 PC/SSN을 통한 라우팅이 SS7 망내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효과적이고 직접적인 방법이지만, 이러한 라우팅은 상기 특정 SS7 망내의 참여하는 모든 중간노드가 특정 PC/SSN을 규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제 1 SS7 망내의 각 발신 및 착신노드를 식별하는 데이터를 규정하도록 제 1 SS7 망에 요구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제 2 SS7 망에 접속된 모든 노드를 식별하는 데이터를 규정하도록 제 1 SS7 망에 요구하는 것이 언제나 가능하거나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신호는 또한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통해 라우팅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는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사용하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SS7 망에 의해 얻어지는 가능한 라우팅 경로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전화 가입자에 의해 다이얼된 가입자 번호(directory number)와 같은 글로벌 타이틀 번호는 착신노드가 놓여 있는 위치를 정확히 나타내지 못한다. 서비스중인 SS7 망내의 각각의 중간노드(도 5에는 도시되지 않음, 도 3의 270 참조)는 특정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소정의 노드와 상관시키는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수신된 글로벌 타이틀 번호의 관련부분을 분석함으로써, 각 중간노드는 적어도 수신신호를 올바른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214-555-1212를 포함하는 신호가 신호중계점(STP)에 의해 착신측 어드레스로서 수신된다면, STP는 지정된 착신노드의 정확한 위치를 판정할 수 없다. 그러나, 처음 세 개의 숫자와 같은 글로벌 타이틀 번호의 일부를 분석함으로써, STP는 이 신호가 텍사스 지역, 달라스로 전달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다. 일단 이 신호가 텍사스 지역, 달라스내의 STPDP 도달하면, 다른 STP가 그 다음 세 개의 숫자를 분석하여 텍사스 지역 달라스내의 적절한 서브-영역을 판정한다. 결국, 이 신호는 중간노드, 일반적으로는 수신된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인식하고,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상응하는 PC/SSN 번호로 변환하며, 신호를 최종 착신노드로 전송하는 최종 착신노드에 접속된 인접한 STP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중인 MSC/VLR(10A)이 홈 HLR(10B)을 나타내는 특정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SS7 망(20)내의 착신측 어드레스로서 사용하는 신호를 전송할 경우, 서비스중인 SS7 망(20)내의 모든 가능한 라우팅 경로가 논리적인 경로(30)로 도시된다. 서비스중인 MSC/VLR(10A)과 홈 HLR(10B) 사이에 직접적인 접속을 설정하는 대신, 서비스중인 SS7 망(20)내의 각 중간노드는 단지 (논리적인 방향 화살표(40)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신호를 정확한 방향으로 전송하기만 한다. 어떤 포인트에서는, PC/SSN이 제공되어 신호가 그 최종 착신노드로 전달된다. PC/SSN을 통한 신호 라우팅에 비해,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이용하는 신호 라우팅은 각 중간 전달 노드가 수신된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분석해야하므로 비효율적이며 방해가 된다. 그러나, 저장 용량 및 유지보수를 이유로, 제 1 SS7 망은 일반적으로 다른 SS7 망에 접속되는 외부 노드를 규정하는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신호가 다른 SS7 망에 접속된 외부노드 방향으로 전송된다면, 글로벌 타이틀 번호 어드레싱 메커니즘이 필요하게 된다.
도 6은, PC/SSN을 이용하는 제 1 SS7 망이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이용하는 제 2 SS7 망과 인터페이스할 때 존재하는 라우팅 불일치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제 2 SS7 망(20B)은 제 1 SS7 망(20A)내의 제 1노드(10A)와 관련된 PC/SSN을 규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다. 제 1 SS7 망내의 제 1노드(10A)가 제 2SS7 망내의 제 2노드(10B) 방향으로 응용계층 신호를 전송하면, 제 2노드(10B)를 나타내는 글로벌 타이틀 번호가 착신측 번호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복귀신호를 제 1노드(10A)로 다시 적절히 전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 1노드(10A)에 의해 전송된 신호는 또한 그 자신의 PC/SSN을 발신측 어드레스로서 포함한다. 글로벌 타이틀 번호가 양쪽 SS8 망에서 모두 라우팅될 수 있으므로, 지정된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착신측 어드레스로서 사용하는 신호가 제 1노드(10A)로부터 제 2노드(10B)로 적절히 라우팅된다. 제 2노드(10B)가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제 1노드(10A)로 다시 복귀신호를 전송하고자 한다면, 수신된 신호내의 발신측 어드레스는 복귀신호에 대한 착신측 어드레스로 사용된다. 그러나, 착신측 어드레스는 PC/SSN이다. 제 2 SS7 망(20B)내의 중간 전달노드가 특정 PC/SSN을 규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복귀신호는 제 1 SS7 망(20A)으로 다시 올바르게 라우팅될 수 없다.
따라서, 특정 PC/SSN을 상응하는 글로벌 타이틀 번호로 변환함으로써, 제 1 SS7 망으로 하여금 특정 PC/SSN을 라우팅 어드레스로서 사용하는 신호를 라우팅할 수 있도록 하고 제 2 SS7 망으로 하여금 변환된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라우팅 어드레스로서 사용하는 동일한 신호를 라우팅할 수 있도록 하는 변환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7은 제 1 SS7 통신망과 제 2 SS7 통신망간에 전달되는 신호내의 착신측 어드레스를 변환하기 위한 신호접속제어부(SCCP) 모듈과 인터페이스하는 변환모듈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제 1 SS7 망 MTP 층(300A)은 물리적으로 제 1 SS7 망으로부터 신호를 전송하고 제 1 SS7 망 SCCP 모듈(310A)과 인터페이스한다. 제 1 SCCP 모듈(310A)은 제 1 MTP 층(300A)으로부터 신호를 검색하여 이것을 변환모듈(50)로 전송한다. 변환모듈(50)은 그 변환표 또는 레지스터(60)에 저장된 동적인 값에 응답하여, 발신노드를 나타내는 수신된 PC/SSN을 상응하는 글로벌 타이틀 번호로 변경한다. 다음으로, 변환된 발신측 어드레스 SCCP 파라미터를 가지며 동일한 응용계층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가 제 2 SS7 망으로 전송되어 착신 응용노드로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변환된 신호는 제 2 SS7 망 SCCP 모듈(310B)과 인터페이스된다. 그런 다음, 제 2 SCCP 모듈(310B)은 신호를 착신노드로의 물리적인 전송을 위해 제 SS7 망 MTP 층(300B)과 인터페이스시킨다. 변환된 발신측 어드레스는 이후 착신노드에 의해 복귀신호를 다시 발신노드로 전송하는데 사용되게 된다.
전체적인 변환 및 인터페이스 과정 동안, 신호헤더내의 SCCP 층 데이터만이 변환모듈에 의해 처리되고, TCAP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른 모든 계층 데이터는 변환 모듈을 통해 투과적으로 전송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이다. 변환기 STP(40)는 제 1 SS7 망(20A)을 제 2 SS7 망(20B)과 접속한다. 호출 설정 및 음성 데이터 통신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전화 서비스인 경우, 변환기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MSC/VLR 과 HLR 사이에 전달되는 이동통신 운용부(MAP) 신호와 같이 SCCP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신호내에 캡슐화된 응용계층 데이터는 변환기 STP(40)내에 있는 변환모듈(50)에 의해 인터셉트되어 변환된다. 신호는 도 7에 대해 설명된 방식에 따라 인터셉트되어 변환 모듈(50)로 전송된다.
변환기 STP(40)내에 있는 변환모듈(50)은 글로벌 타이틀 번호와 이들의 상호 참조 포인터를 저장하는 변환표(60)를 참조함으로써, 수신된 PC/SSN 값을 상응하는 글로벌 타이틀 번호로 변환한다. 예시적인 변환표 또는 레지스터(60)는 다음을 포함한다:
상기 엔트리를 사용하면, PC/SSN SCCP 파라미터 값은 또한 표 2에 따라 상호 참조되어 상응하는 글로벌 타이틀 번호로 변환된다:
도 8에서, 5의 SSN 값을 갖는 제 1노드(10A)는 8-9-1의 PC 값을 갖는 제 1 SS7 망(20A)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 응용계층 신호(제 1신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제 1신호용 발신측 어드레스는 PC = 8-9-1 과 SSN=5이다. 착신노드를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 착신측 어드레스는 또한 SCCP 파라미터에 의해, 예컨대 TT=3; 및 글로벌 타이틀 번호=051122214를 나타내도록 지정될 필요가 있다. 지정된 착신측 어드레스를 글로벌 타이틀 번호 포맷에 사용하면, 제 1 SS7 망(20A)이 변환기 STP(40)방향으로 제 1신호를 라우팅할 수 있다. 일단 상기 발신측 어드레스와 착신측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제 1신호가 변환기 STP(40)에 의해 수신되면, 수신된 발신측 어드레스와 착신측 어드레스는 상기 표 1 및 2에 따라 변환된다.
착신측 어드레스 SCCP 파라미터 값에 있어서, TT=3이 1 SS7 라벨에 상응하므로, 표 2의 제 1행에 나타나있는 바와 같이 변환이 수행되지 않는다. 변환모듈(50)은 착신측 어드레스가 이미 글로벌 타이틀 번호 포맷으로 되어있어 어떠한 변환도 수행될 필요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제 2 SS7 망(20B)내의 제 2노드(10B)를 나타내는 착신측 어드레스가 사용자에 의해 적절히 지정되었으므로, 제 1신호가 최종 수신지에 전송될 수 있다.
반면, 발신측 어드레스는 제 1신호를 제 2노드(10B)에 전달하기 위해 제 2 SS7 망에 의해 사용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제 2노드(10B)가 메시지를 다시 제 1노드(10A)로 복귀시키길 원한다면, 포함된 발신측 어드레스가 새로운 복귀신호에 대한 착신측 어드레스로 사용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SS7 망(20A)내의 제 1노드(10A)를 나타내는 지정된 PC/SSN이 제 2 SS7 망(20B)내에 규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수신된 PC/SSN을 착신측 어드레스로 사용하여 복귀신호를 라우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결과 메시지를 제 1노드(10A)로 다시 적절히 전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변환모듈(50)은 제 1신호를 제 2노드(10B)로 전송하는 동안, 본 발명에 따라 PC/SSN 포맷으로 저장된 발신측 어드레스를 상응하는 글로벌 타이틀 번호 포맷으로 변환한다.
제 1노드(10A)에 의해 지정된 발신측 어드레스는 SSN=5 및 PC=8-9-1을 포함한다. 상기 특정 PC/SSN이 2 SS7 라벨이므로, SCCP 파라미터 값은 표 2의 제 2행에 의해 지정된 바와 같이 변환된다.
따라서, 표 1 및 2를 사용하면, 제 1신호의 발신측 어드레스(Cgpa)와 착신측 어드레스(Cdpa)는:
Cdpa : TT=3 Cgpa : PC=8-9-1
GTN=051122214 SSN=5 로부터
Cdpa : TT=3 Cgpa : TT=8
GTN=051122214 GTN=8134445555 로 변환된다.
그 다음, 제 2 SS7 망(20B)내의 제 2노드(10B)가 복귀신호를 제 1노드(10A)로 다시 전송하면, 이하의 SCCP 착신측 어드레스 및 발신측 어드레스가 제 2노드(10B)에 의해 다시 전송되어 변환기 STP(40)에 의해 수신된다:
Cgpa : TT=3 Cdpa : PC=8-9-1
GTN=051122214 SSN=5
상기 열거한 바와 같이, 제 1신호에 대한 Cgpa 및 Cdpa SCCP 파라미터 값은 복귀 신호용 Cdpa 및 Cgpa 파라미터 값을 포함하도록 치환된다. 변환된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착신측 어드레스로 사용하면, 복귀신호가 제 2 SS7 망(20B)을 통해 제 2노드(10B)로부터 변환기 STP(40)로 적절히 라우팅된다. 일단 복귀신호가 변환모듈(50)에 의해 수신되면, 제 1 SS7 망을 통한 보다 직접적인 신호전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신된 착신측 어드레스는 상기 표 1 및 2를 색인(index)함으로써 원래의 PC/SSN 값으로 다시 변환된다. 따라서, 발신측 어드레스와 착신측 어드레스는:
따라서, 발신측 어드레스 및 착신측 어드레스는
Cdpa : PC=8-9-1 Cgpa : TT=3
SSN=5 GTS=051122214 로 변환된다.
PC/SSN 포맷의 재변환된 착신측 어드레스를 이용하면, 변환기 STP(40)는 제 1 SS7 망(20A)을 통해 복귀신호를 제 1노드(10A)로 직접적으로 및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응하는 글로벌 타이틀 번호와의 PC/SSN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저장하는데 변환기 STP(40)에 필요한 저장용량을 줄이기 위해, 변환기 STP(40)내의 변환모듈(50)은 수신된 신호내의 PC/SSN 파라미터 값을 변환기 STP(40)를 나타내는 글로벌 타이틀 번호로 변환한다. 변환기 STP(40)를 나타내는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발신측 어드레스로서 전송함으로써, 제 2노드(10B)에 의해 전송된 다음 복귀신호가 변환기 STP(40)로 다시 라우팅되게 된다. 제 1신호를 제 2노드(10B)로 전송하는 동안, 발신측 어드레스로서 제 1노드(10A)로부터 수신된 PC/SSN SCCP 파라미터 값은 또한 제 2 SS7 망(20B)에 의해 사용되지 않은 임의의 선택적인 SCCP 파라미터로 캡슐화된다. 상기 선택적인 파라미터는 제 2노드(10B)에 의해 처리되지 않고 제 2노드(10B)로부터의 복귀신호상에 포함된다. 따라서, 원래의 PC/SSN SCCP 파라미터 값은 변환기 STP(40)로부터 제 2노드(10B)로 전송될 때 제 1신호로 "피기백(piggy backed)"된다. 복귀신호를 전송하기로 결정되면, 수신된 PC/SSN SCCP 파라미터값은 전송된 복귀신호로의 "피기백"에 의해 변환기 STP(40)로 복귀된다. "피기백된" PC/SSN 값이 변환기 STP(40)에 의해 수신되면, 상기 표 1을 이용하여 변환을 수행하는 대신, 캡슐화된 PC/SSN 값은 변환모듈(50)에 의해 복귀신호로부터 추출되어, 제 1 SS7 망을 통해 착신측 어드레스로서 전송된다.
발신측 어드레스로서 변환기 STP(40)에 할당된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사용함으로써, 변환모듈(50)은 상응하는 글로벌 타이틀 번호와의 PC/SSN 값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내부적으로 저장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에서 예시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상기 개시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재배열, 변형 및 대체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설명 및 규정된 바와 같이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제 1신호시스템 No.7 (SS7) 망(20A) 내의 제 1노드(10A)와 제 2 SS7 망(20B)내의 제 2노드(10B) 사이에 신호를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SS7 망과 상기 제 2 SS7 망은 변환기 신호중계점(STP)(40)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신호는 상기 제 1노드를 나타내는 포인트 코드 및 서브시스템 번호를 발신측 어드레스로서 포함하고, 상기 포인트 코드 및 서브시스템 번호는 제 1 SS7 망내에서는 라우팅될 수 있지만 상기 제 2 SS7 망내에서는 라우팅될 수 없으며, 상기 방법은 상기 변환기 신호중계점(STP)에 의해 상기 제 1노드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는 상기 제 1노드를 나타내는 상기 포인트 코드와 서브시스템 번호를 상기 발신측 어드레스(Cgpa)로서 포함하도록 되어 있는, 제 1노드와 제 2노드간의 신호 전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포인트 코드와 서브시스템 번호를 상기 변환기 STP에 의해 상기 제 2통신망 내에서 라우팅가능한 글로벌 타이틀 번호로 변환하고, 상기 신호내의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상기 발신측 어드레스로서 대체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를 상기 변환기 STP로부터 상기 제 2 SS7 망을 통해 상기 제 2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글로벌 타이틀 번호가 상기 변환기 STP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노드와 제 2노드간의 신호 전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 STP는 국제 관문 ST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노드와 제 2노드간의 신호 전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노드로부터 전송된 복귀신호를 상기 변환기 STP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복귀신호는 상기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착신측 어드레스로서 사용하여 상기 제 2 SS7 망을 통해 전송되는 복귀신호 수신 단계,
    상기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상기 제 1노드를 나타내는 포인트 코드와 서브시스템 번호로 변환하여, 상기 포인트 코드 및 서브시스템 번호를 상기 착신측 어드레스로서 대체하는 단계, 및
    상기 복귀신호를 상기 변환기 STP로부터 상기 제 1 SS7 망을 통해 상기 제 1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노드와 제 2노드간의 신호 전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단계는 상기 제 1노드를 나타내는 상기 포인트 코드 및 서브시스템 번호를 메모리(60)로부터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노드와 제 2노드간의 신호 전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노드를 나타내는 상기 포인트 코드 및 서브시스템 번호를 상기 변환기 STP에 부착된 메모리(60)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노드와 제 2노드간의 신호 전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복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 2 SS7 망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 중 하나 내에 상기 수신된 포인트 코드와 서브시스템 번호를 캡슐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노드와 제 2노드간의 신호 전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노드로부터 전송된 복귀신호를 상기 변환기 STP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복귀신호는 상기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착신측 어드레스로서 사용하여 상기 제 2 SS7 망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복귀신호는 또한 상기 포인트 코드와 서브시스템 번호를 캡슐화하도록 되어 있는, 복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캡슐화된 포인트 코드와 서브시스템 번호를 상기 변환기 STP에 의해 상기 복귀신호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포인트 코드와 서브시스템 번호를 상기 착신측 어드레스로 사용하여 상기 복귀신호를 상기 변환기 STP로부터 상기 제 1 SS7 망을 통해 상기 제 1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노드와 제 2노드간의 신호 전달 방법.
  8. 제 1신호시스템 No.7 (SS7) 망내의 제 1노드(10A)와 제 2 SS7 망(20B)내의 제 2노드(10B) 사이에 응용계층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신호는 상기 제 1노드를 나타내는 포인트 코드와 서브시스템 번호를 발신측 어드레스로서 포함하고, 상기 포인트 코드 및 서브시스템 번호는 상기 제 2 SS7 망내에 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 1 SS7 망을 상기 제 2 SS7 망과 접속하는 변환기 신호중계점(STP)(40)을 포함하고, 상기 변환기 STP는 상기 제 1 SS7 망으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접속 제어부(SCCP) 층 모듈(310A)을 구비하는, 응용계층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 STP는:
    상기 SCCP 층 모듈과 인터페이스되는 변환모듈(50)을 포함하며, 상기 변환모듈은 상기 수신된 신호내의 상기 포인트 코드와 서브시스템 번호를 상기 SS7 망에 의해 라우팅가능하며 상기 변환기 STP를 나타내는 글로벌 타이틀 번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계층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SS7 망내의 가능한 포인트 코드 및 서브시스템 번호를 상응하는 글로벌 타이틀 번호와 함께 저장하는 메모리표(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계층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SCCP 모듈은 상기 제 2노드로부터 복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귀신호는 상기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착신측 어드레스로 사용하여 상기 제 2 SS7 망을 통해 라우팅되며,
    상기 변환모듈은 상기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상기 신호내에 이전에 수신된 상기 포인트 코드와 서브시스템 번호로 변환하며,
    상기 SCCP 모듈은 상기 변환된 포인트 코드 및 서브시스템 번호를 상기 착신측 어드레스로서 사용하여 상기 복귀신호를 상기 제 1 SS7 망을 통해 상기 제 1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계층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복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기 STP는 상기 포인트 코드와 서브시스템 번호를 상기 제 2 SS7 망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 중 하나로 캡슐화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계층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SCCP 층 모듈은, 상기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착신측 어드레스로서 사용하여 상기 제 2 SS7 망을 통해 라우팅되는 복귀신호를 상기 제 2노드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포인트 코드와 서브시스템 번호를 캡슐화하며,
    상기 변환모듈은 상기 캡슐화된 포인트 코드와 서브시스템 번호를 상기 복귀신호로부터 추출하며,
    상기 SCCP 층 모듈은 상기 추출된 포인트 코드와 서브시스템 번호를 상기 착신측 번호로서 사용하여 상기 복귀신호를 상기 제 1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계층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시스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상기 제 2 SS7 망을 통해 상기 제 2노드로 전송하는 수단(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계층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시스템.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 STP는 국제 관문 ST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계층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시스템.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노드를 나타내는 포인트 코드와 서브시스템 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표(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계층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SCCP 모듈은, 상기 글로벌 타이틀 번호를 착신측 어드레스로서 사용하여 상기 제 2 SS7 망을 통해 라우팅되는 복귀신호를 상기 제 2노드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변환모듈은 상기 제 1노드를 나타내는 상기 포인트 코드 및 서브시스템 번호를 상기 메모리표로부터 검색하며,
    상기 SCCP 모듈은 상기 검색된 포인트 코드 및 서브시스템 번호를 상기 착신측 어드레스로서 사용하여 상기 복귀신호를 상기 SS7 망을 통해 상기 제 1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계층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시스템.
KR10-1998-0709275A 1996-05-24 1997-05-22 신호전달방법및시스템 KR100456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09275A KR100456070B1 (ko) 1996-05-24 1997-05-22 신호전달방법및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653,266 1996-05-24
KR10-1998-0709275A KR100456070B1 (ko) 1996-05-24 1997-05-22 신호전달방법및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116A KR20000011116A (ko) 2000-02-25
KR100456070B1 true KR100456070B1 (ko) 2005-04-08

Family

ID=43664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275A KR100456070B1 (ko) 1996-05-24 1997-05-22 신호전달방법및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60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116A (ko) 200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8782A (en) System for converting a routing address with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EP0894405B1 (en) A network protocol conversion module with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EP1135905B1 (en) Messages communication among ss7 signaling points
US703523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outing message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6965592B2 (en) Distributed signaling system 7 (SS7) message routing gateway
US6987781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outing signaling message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ing circuit identification code (CIC) information
US61671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mediation in a common channel signaling network
EP1410649A1 (en) A signal transfer point with internet protocol capability with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EP0979573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use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EP1247378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outing message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704300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redirecting, and processing messages of different SS7 protocol variations
US6717940B1 (en) Message transfer part level three alias point codes
EP151959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ignalling gateways
KR100456070B1 (ko) 신호전달방법및시스템
KR100455878B1 (ko) 어플리케이션층데이터를포함하는신호를통신하는시스템및신호접속제어부분파라미터를변환하는시스템
WO2000051395A2 (en) Call routing between a circuit switched and a packet switched network
MXPA98009609A (en) A system to convert an itinerary address with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Redmill An Introduction to SS7
EP1111847A2 (en) System and method of telecommunications network node ethernet connectivity
KR19980039221A (ko) 종합 정보 통신망 비연결형 신호 방식의 호 참조번호 할당 및 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