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025B1 -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6025B1
KR100456025B1 KR10-2002-0018901A KR20020018901A KR100456025B1 KR 100456025 B1 KR100456025 B1 KR 100456025B1 KR 20020018901 A KR20020018901 A KR 20020018901A KR 100456025 B1 KR100456025 B1 KR 100456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license
level
metadata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8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0327A (ko
Inventor
정연정
박주상
남도원
윤기송
김명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18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6025B1/ko
Publication of KR20030080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0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5Arrangements for software licens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e.g. for managing licenses at corporate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09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ingle file or object, e.g. in a secure envelope, encrypted and accessed using a key, or with access control rules appended to the object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 H04L2209/603Digital right managament [D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을 기반으로 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다단계 유통을 지원하는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단계 유통이 가능하도록 컨텐츠에 대한 다단계 패키징(packaging)과 다단계 라이센싱(lincensing)을 지원하여, 하나의 유통업자가 최초로 컨텐츠에 대해 패키징을 하고 라이센스를 발급하면, 다음 유통업자는 이 컨텐츠에 대해 자신의 유통 목적에 맞는 라이센스를 추가로 발급하고, 다시 패키징하여 유통시키는 한편, 다시 패키징된 컨텐츠를 또 다른 유통업자에게 유통 중계 혹은 재판매하거나 최종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서, 인터넷 상에서 컨텐츠의 재판매 혹은 유통 중계를 목적으로 하는 컨텐츠 유통업자들 간의 다단계 유통을 지원하여 효율적인 컨텐츠 판매가 가능하고, 동일한 컨텐츠에 대해 유통에 관여한 여러 유통업자의 사용 조건을 적용하며, 선행 유통업자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 및 방법 { APPARATUS FOR PROCESSING A CONTENTS MULTI-PACKAGING AND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을 기반으로 하는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인터넷 상에서 하나의 컨텐츠 유통업자로부터 소비자로 컨텐츠가 유통되는 기존의 단순 유통 방식과 달리, 컨텐츠 유통업자들간의 컨텐츠 재판매 혹은 유통 중계를 가능하게 하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기반의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터넷 사용자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미 인터넷 사용자는 전 세계적으로 2억 명을 넘어서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사용자 수가 2천만을 넘는다. 이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의 수요와 공급도 급증하고 있다.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을 기반으로 하는 기존의 컨텐츠 유통 방식은 컨텐츠 암호화, 메타데이터, 컨텐츠 패키징 그리고 라이센스 발급, 모두가 유통업자와 소비자의 1:1 관계만을 고려하여 수행된다. 이 경우, 컨텐츠의 유통과 사용의 범위가 매우 한정되어 컨텐츠의 다단계 유통과 사용은 불가능하다.
한편, 시장에서 요구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와 양이 방대하기 때문에, 컨텐츠 신디케이터(Syndicator)라 할지라도, 한 유통업자가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모두 충족시킬 만큼 다양한 컨텐츠를 모두 보유하거나 공급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노웨어(know-where)만 충분하다면, 사업기회를 크게 확장할 수 있는 곳이 인터넷이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유통업자들 간에 컨텐츠의 재판매 혹은 유통 중계를 통한 다단계 유통이 필수이다.
즉, 서로 다른 유통업자들 간에 서로 다른 분야의 컨텐츠를 상호 공급하거나, 또는 동일한 컨텐츠일지라도 서로 다른 조건으로 공급하여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시장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다단계 유통은 다단계 패키징(multi-packaging)과 다단계 라이센스(multi-license) 발급 및 관리가 가능해야만 하는데, 기존의 유통 기술은 다단계 유통을 지원하지 못한다. 만일 기존의 유통 기술로 다단계 유통을 시도한다면, 한 유통업자로부터 다른 유통업자에게 상품화된 컨텐츠, 즉 패키징된 컨텐츠(packaged content)와 라이센스(license)를 구매한 후 다음과 같은 작업을 반복해야 한다.
패키징된 컨텐츠(packaged content)를 구입한 유통업자는 라이센스에 들어있는 키로 패키징을 풀고, 원래의 메타데이터를 분리하여 자신이 작성한 메타데이터로 교체하고, 이를 다시 패키징하여 판매용 컨텐츠로 판매해야 하고, 라이센스(license) 역시 새로 발급해야 한다. 이는 작업을 복잡하게 만들고, 비용을 증가시키며, 또 유통에 필요한 시간을 늘어나게 하여 유통업자의 부담을 가중시켜서 시장의 활성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이 경우 패키징된 컨텐츠를 완전히 복호화해야 하고 메타데이터와 라이센스(license)를 새로 작성하므로, 이 과정에서 앞서 컨텐츠를 판매한 유통업자가 정한 사용 권리를 침해할 소지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단계 유통이 가능하도록 컨텐츠에 대한 다단계 패키징(packaging)과 다단계 라이센싱(lincensing)을 지원하여, 하나의 유통업자가 최초로 컨텐츠에 대해 패키징을 하고 라이센스를 발급하면, 다음 유통업자는 이 컨텐츠에 대해 자신의 유통 목적에 맞는 라이센스를 추가로 발급하고, 다시 패키징하여 유통시키는 한편, 다시 패킹징된 컨텐츠를 또 다른 유통업자에게 유통 중계 혹은 재판매하거나 최종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할 수 있도록 된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는, 패키징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해석부와; 패키징된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여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부; 다단계 라이센스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다단계 라이센스 해석부; 패키징된 컨텐츠에 대한 라이센스를 기반으로 하여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에 대한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다단계 라이센스 생성부;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에 대한 라이센스를 추출하는 다단계 라이센스 추출부;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를 언패키징하는 다단계 언패키징부; 및 언패키징된 컨텐츠를 재생 처리하는 컨텐츠 재생기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방법은, 컨텐츠 유통업자가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에 대해 각각의 내용을 분리하고 해석하는 단계와;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의 라이센스에 대해 각각의 내용을 해석하는 단계; 다단계 패키징을 위한 라이센스를 만들고, 패키징된 컨텐츠에 대한 해석 결과와 라이센스를 이용하여 다단계 패키징을 수행하여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가 생성된 후 다음 단계의 컨텐츠 유통업자에게 유통되면, 다음 단계의 컨텐츠 유통업자가 상기 단계들의 과정을 반복하여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를 수행하여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다단계 패킹징된 컨텐츠가 생성된 후 구매자에게 판매되면, 구매자가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의 컨텐츠 재생기를 동작시켜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의 재생을 시도하는 단계; 및 컨텐츠 재생을 시도할 때,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에 대한 다단계 라이센스가 필요한지 검사한 결과, 다단계 라이센스가 필요하다고 판별되면 컨텐츠 유통업자로부터 다단계 라이센스를 발급받아 다단계 라이센스를 추출하고 검사하며, 추출된 라이센스를 이용하여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를 언패키징하고, 언패키징된 컨텐츠를 컨텐츠 재생기로 전달하여 컨텐츠를 실제로 재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다단계 패키징 해석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다단계 패키징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다단계 라이센스 해석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다단계 라이센스 생성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다단계 라이센스 추출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다단계 언패키징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다단계 패키징 해석부 20: 다단계 패키징부
30: 다단계 라이센스 해석부 40: 다단계 라이센스 생성부
50: 다단계 라이센스 추출부 60: 다단계 언패키징부
70: 컨텐츠 재생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는 컨텐츠 유통업자가 이미 패키징(packaging)된 컨텐츠를 재판매 혹은 유통 중계를 목적으로 다단계 유통시킬 수 있도록, 다단계 패키징(packaging)을 하고, 다단계 유통을 위하여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의 의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통업자(distributor)는 상품으로 판매하기 위해 패키징된 컨텐츠(packaged content)를 일정한 사용조건으로 소비자 혹은 다른 유통업자에게 판매하는 자를 의미한다.
구매자는 컨텐츠가 제작된 원래의 목적에 따라 사용할 목적으로 유통업자로부터 컨텐츠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자를 의미한다.
다단계 유통은 컨텐츠 유통업자간의 컨텐츠 거래를 위한 유통을 의미한다.
재판매는 하나의 유통업자가 다른 유통업자로부터 구매한 패키징된 컨텐츠(packaged content)를 구매자에게 판매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통 중계는 하나의 유통업자가 다른 유통업자들 사이에서 패키징된 컨텐츠(packaged content)의 거래를 중계하는 것을 의미한다.
패키징된 컨텐츠(packaged content)는 컨텐츠를 보호하고, 상품으로 유통시킬 목적으로, 컨텐츠 공급자(content provider) 혹은 유통업자에 의해서 컨텐츠에 관련 메타데이터(metadata)를 작성하여 컨텐츠와 함께 암호화한 것을 의미한다.
라이센스(license)는 패키징된 컨텐츠(packaged content)를 사용할 수 있는사용규칙과 복호화 키를 포함한 인가정보를 의미한다.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multi-packaged content)는 유통업자간의 다단계 유통이 가능하도록 유통단계마다 반복하여 패키징된 컨텐츠(packaged content)를 의미한다.
다단계 라이센스(multi-license)는 유통업자간의 다단계 유통, 판매, 그리고 사용이 가능하도록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multi-packaged content)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증서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다단계 패키징(multi-packaging)과 다단계 라이센스(multi-license)를 이용하여 특정한 컨텐츠 유통업자가 보유하지 못한 컨텐츠에 대해서도 유통업자들간의 다단계 유통을 통해 구매자의 요구에 맞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단계 유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단계 패키징 해석부(10)는 패키징된 컨텐츠(P1)를 검사하고 메타데이터와 사용규칙을 추출하며, 암호화된 컨텐츠를 추출하고, 암호화된 암호키와 서명을 추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다단계 패키징 해석부(10)의 패키징 검사기(101)는 패키징된 컨텐츠(P1)의 구성요소를 검사하고, 메타데이터(M1)와 사용규칙(R1)이 유효한지 검사한다.
메타데이터/사용규칙 추출기(102)는 패키징된 컨텐츠(P1)로부터 컨텐츠(C)에대한 메타데이터(M1)와 사용규칙(R1)을 추출한다.
암호화된 컨텐츠 추출기(103)는 패키징된 컨텐츠(P1)로부터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C)를 추출한다.
암호화된 암호키/서명 추출기(104)는 패키징된 컨텐츠(P1)에 대한 라이센스키(L1)로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C)의 암호화에 사용된 암호키(K)와 컨텐츠(C)에 대한 메타데이터(M1)와 사용규칙(R1)의 서명(S1)을 추출한다.
다단계 패키징부(20)는 다단계 패키징 해석부(10)로부터 암호화된 컨텐츠(P1), 메타데이터(M1)와 사용규칙(R1), 라이센스키(L1)로 암호화된 암호키(K)와 서명(S1)을 기반으로 새로운 메타데이터와 사용규칙을 추가하고, 새로운 라이센스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암호키/서명과 새로 추가한 메타데이터와 사용규칙의 서명을 암호화한 후 패키징을 수행하여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P2)를 생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다단계 패키징부(20)의 메타데이터/사용규칙 해석기(201)는 다단계 패키징 해석부(10)로부터 받은 메타데이터(M1)와 사용규칙(R1)에 대한 내용과 유효 범위를 해석한다.
메타데이터/사용규칙 생성기(202)는 메타데이터/사용규칙 해석기(201)에서 해석한 정보를 기반으로 새로운 메타데이터(M2)/사용규칙(R2)을 생성한다.
메타데이터/사용규칙 서명기(203)는 메타데이터/사용규칙 생성기(202)에서생성된 메타데이터(M2)와 사용규칙(R2)에 대한 서명(S2)을 수행한다.
암호키/서명 암호화기(204)는 다단계 패키징 해석부(10)로부터 받은 라이센스키(L1)로 암호화된 암호키(K)와 서명(S1)에 메타데이터/사용규칙 서명기(203)로부터 받은 서명(S2)을 추가하여 새로운 라이센스키(L2)로 암호화한다.
다단계 패키저(205)는 다단계 패키징 해석부(10)로부터 받은 암호화된 컨텐츠(C)와 메타데이터(M1), 사용규칙(R1)에 새로이 생성된 메타데이터(M2)와 사용규칙(R2)을 추가한 것과, 라이센스키(L1)로 암호화된 암호키(K)/서명(S1)에 새로이 생성된 메타데이터(M2)와 사용규칙(R2)의 서명(S2)을 추가하고 새로운 라이센스키(L2)로 암호화한 것을 가지고 패키징한다.
다단계 라이센스 해석부(30)는 다단계 라이센스를 검사하고 구성 요소를 추출하고 그 구성 요소의 유효성을 검사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다단계 라이센스 해석부(30)의 다단계 라이센스 검사기(301)는 다단계 라이센스(ML1)의 구성요소를 검사한다.
메타데이터 추출기(302)는 다단계 라이센스(ML1)로부터 메타데이터(M1)를 추출한다.
메타데이터 검사기(303)는 메타데이터(M1)의 문법과 내용이 유효한지 검사한다.
사용규칙 추출기(304)는 다단계 라이센스(ML1)로부터 사용규칙(R1)을 추출한다.
사용규칙 검사기(305)는 사용규칙(R1)의 문법과 내용이 유효한지 검사한다.
다단계 라이센스 생성부(40)는 다단계 라이센스 해석부(30)에서 추출한 메타데이터(M1)와 사용규칙(R1)을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메타데이터(M2)와 사용규칙(R2)을 작성하고, 다단계 라이센스(ML2)에 사용될 라이센스키(L2)를 생성하여 이전 단계의 라이센스(ML1)를 암호화한 후 다단계 라이센스(ML2)를 생성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다단계 라이센스 생성부(40)의 메타데이터 생성기(401)는 다단계 라이센스 해석부(30)로부터 전달받은 메타데이터(M1)를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메타데이터(M2)를 생성한다.
사용규칙 생성기(402)는 다단계 라이센스 해석부(3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규칙(R1)을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사용규칙(R2)을 생성한다.
라이센스키 발생기(403)는 이전 단계에서 만들어진 라이센스(ML1)를 암호화하고, 다단계 패키징부(20)에서 사용되는 라이센스키(L2)를 발생한다.
라이센스 암호화기(404)는 라이센스키(L2)를 이용하여 이전단계에 생성된 라이센스(ML1)를 암호화한다.
다단계 라이센스 생성기(405)는 암호화된 라이센스(ML1), 라이센스키(L2), 메타데이터, 사용규칙을 가지고 새로운 라이센스(ML2)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P2)와 새로운 라이센스(ML2)를 생성하는 과정을 n회 반복하면, 최종적으로 n단계 패키징된 컨텐츠(Pn)와 n단계라이센스(MLn)를 생성할 수 있다.
다단계 라이센스 추출부(50)는 각 단계별로 라이센스를 검사하고, 각 단계에 사용된 라이센스키, 메타데이타, 사용규칙을 추출하여 그 문법과 내용을 검사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다단계 라이센스 추출부(50)의 다단계 라이센스 검사기(501)는 다단계 라이센스(ML2)의 구성요소를 검사한다.
라이센스키 추출기(502)는 다단계 라이센스(ML2)로부터 라이센스키(L2)를 추출한다.
라이센스키 검사기(503)는 라이센스키(L2)가 유효한지 검사한다.
메타데이터 추출기(504)는 라이센스(ML2)의 메타데이터(M2)를 추출한다.
메타데이터 검사기(505)는 라이센스(ML2)의 메타데이터(M2)에 대한 문법과 내용을 검사한다.
사용규칙 추출기(506)는 라이센스(ML2)의 사용규칙(R2)을 추출한다.
사용규칙 검사기(507)는 라이센스(ML2)의 사용규칙(R2)에 대한 문법과 내용을 검사한다.
하위 라이센스 추출기(508)는 라이센스키(L2)로 암호화된 하위 단계의 라이센스(ML1)를 추출한다.
하위 라이센스 복호화기(509)는 라이센스키(L2)로 암호화되어 있는 하위 단계의 라이센스(ML1)를 복호화하고 다단계 라이센스 검사기(501)로 하위 단계의 라이센스(ML1)를 전달한다.
다단계 라이센스 검사기(501)로 전달된 하위 단계의 라이센스(ML1)는 이전과 같은 과정을 거쳐 라이센스키(L1), 메타데이터(M1), 사용규칙(R1)이 추출된다.
다단계 언패키징부(60)는 각 단계의 패키징을 검사하고 각 단계별로 언패키징을 수행하고, 다단계로 암호화된 메타데이터/사용규칙 서명을 복호화하여 메타데이터와 사용규칙의 서명을 검사하며, 메타데이터와 사용규칙의 문법과 내용의 유효성을 검사한다. 그리고, 암호화되어 있는 암호키를 복호화하여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화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다단계 언패키징부(60)의 다단계 패키징 검사기(601)는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P2)의 구성요소를 검사한다.
메타데이터/사용규칙 추출기(602)는 패키징된 컨텐츠(P2)로부터 메타데이터(M1+M2)와 사용규칙(R1+R2)을 추출한다.
메타데이터/사용규칙 검사기(603)는 추출된 메타데이터(M1+M2)와 사용규칙(R1+R2)에 대한 문법과 내용에 대해서 검사하고 메타데이터 상호간과 사용규칙 상호간의 유효성에 대해서 검사한다.
암호화된 컨텐츠 추출기(604)는 패키징된 컨텐츠(P2)로부터 암호화된 컨텐츠(C)를 추출한다.
암호화된 컨텐츠 복호화기(605)는 암호화된 컨텐츠(C)를 암호키(K)로 복호화한다.
암호화된 암호키/서명 추출기(606)는 패키징된 컨텐츠(P2)로부터 암호화된암호키(K)/서명(S1,S2)을 추출한다.
암호화된 암호키/서명 복호화기(607)는 암호화된 암호키(K)/서명(S1,S2)을 다단계 라이센스 추출부(50)로부터 받은 라이센스키(L1,L2)를 이용하여 암호키(K)와 서명(S1,S2)을 복호화한다.
메타데이터/사용규칙 서명 검사기(608)는 복호화된 서명(S1,S2)에 대한 유효성을 검사한다.
컨텐츠 재생기(70)는 언패키징된 컨텐츠를 재생 처리하여 컨텐츠를 실제로 재생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는 컨텐츠 유통업자 관점과 구매자 관점으로 구분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컨텐츠 유통업자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의 다단계 패키징 해석부(10)는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에 대해 각각의 내용을 분리하고 해석하며(S1), 또한 다단계 라이센스 해석부(20)는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의 라이센스에 대해 각각의 내용을 해석하고(S2), 다단계 라이센스 생성부(30)는 다단계 패키징을 위한 라이센스를 만들며(S3), 다단계 패키징부(20)는 패키징된 컨텐츠에 대한 해석 결과와 라이센스를 이용하여 다단계 패키징을 수행하여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를 생성한다(S4).
상기와 같이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가 생성된 후, 다음 단계의 유통업자에게 유통되었을 경우에는 상술한 S1∼S4단계의 과정을 반복하여 다단계(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n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를 수행하여 n단계 패키징된 컨텐츠를 생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패키징 처리 결과로 생성된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가 다음 단계의 유통업자에게 유통되지 않고 구매자에게 판매되면, 구매자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의 컨텐츠 재생기(70)가 동작하여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의 재생을 시도한다(S5).
이때, 다단계 라이센스 해석부(30)에서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에 대한 다단계 라이센스가 필요한지 검사한(S6) 결과, 다단계 라이센스가 필요하다고 판별되면 다단계 라이센스 추출부(50)는 유통업자로부터 다단계 라이센스를 발급받아(S7) 상기 다단계 라이센스 생성부(40)에서 생성한 다단계 라이센스를 추출하고 검사하며(S8), 이에 따라서 다단계 언패키징부(60)는 상기 다단계 라이센스 추출부(50)에서 추출된 라이센스를 이용하여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를 언패키징하고(S9), 컨텐츠 재생기(70)는 다단계 언패키징부(60)로부터 전달받은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를 재생 처리하여 소정의 컨텐츠를 실제로 재생한다(S1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 및 방법은 다단계 유통이 가능하도록 컨텐츠에 대한 다단계 패키징(packaging)과 다단계 라이센싱(lincensing)을 지원하여, 하나의 유통업자가 최초로 컨텐츠에 대해 패키징을 하고 라이센스를 발급하면, 다음 유통업자는 이 컨텐츠에 대해 자신의 유통 목적에 맞는 라이센스를 추가로 발급하고, 다시 패키징하여 유통시키는 한편, 다시 패키징된 컨텐츠를 또 다른 유통업자에게 유통 중계 혹은 재판매하거나 최종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컨텐츠 유통시장에서 다단계 유통을 적용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효율적인 컨텐츠 판매가 가능하고, 동일한 컨텐츠에 대해 유통에 관여한 여러 유통업자의 사용조건을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단계 유통과정에서 컨텐츠와 더불어 선행 유통업자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에 의해 컨텐츠 유통시장에서 다단계 유통이 적용되면, 첫째,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보유하지 못한 유통업자가 다른 유통업자로부터 유통 중계나 재판매를 통해 컨텐츠를 입수하여 원하는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 입장에서는 원하는 컨텐츠를 찾아서 다른 유통업자를 반복적으로 찾아야 하는 부담을 덜게 되며, 유통업자 입장에서는 직접 컨텐츠 제공업자로부터 컨텐츠를 의뢰하고, 컨텐츠 제공업자가 패키징(packaging)된 컨텐츠를 구매하여 다시 패키징(packaging)을 열고, 판매용 메타데이터(metadata)를 작성하여 다시 패키징(packaging)하는 복잡한 절차 대신, 이미 판매용으로 준비된 컨텐츠를 다른 유통업자로부터 구할 수 있으므로, 컨텐츠 거래를 훨씬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둘째, 동일한 컨텐츠에 대해서 유통과정에 참여한 유통업자는 다단계 라이센스를 발급할 때, 자신의 사용규칙을 덧붙일 수 있으므로, 멀티 룰 비즈니스(multi-rule business)가 가능하다.
셋째, 종래와 같이 패키징된 컨텐츠(packaged content)를 복호화하지 않고, 그 위에 유통에 참여한 유통업자의 메타데이터(metadata)를 유통 단계별로, 순차적으로 다단계 패키징(multi-packaging)하고, 라이센스(license) 역시 다단계 라이센스(multi-license)화하여 판매하므로, 선행자의 권리침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패키징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해석부와;
    패키징된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여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부;
    다단계 라이센스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다단계 라이센스 해석부;
    패키징된 컨텐츠에 대한 라이센스를 기반으로 하여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에 대한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다단계 라이센스 생성부;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에 대한 라이센스를 추출하는 다단계 라이센스 추출부;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를 언패키징하는 다단계 언패키징부; 및
    언패키징된 컨텐츠를 재생 처리하는 컨텐츠 재생기로 구성되며,
    상기 다단계 패키징부는 다단계 패키징 해석부로부터 받은 메타데이터와 사용규칙에 대한 내용과 유효 범위를 해석하는 메타데이터/사용규칙 해석기와; 메타데이터/사용규칙 해석기에서 해석한 정보를 기반으로 새로운 메타데이터/사용규칙을 생성하는 메타데이터/사용규칙 생성기와; 메타데이터/사용규칙 생성기에서 생성된 메타데이터와 사용규칙에 대한 서명을 수행하는 메타데이터/사용규칙 서명기와; 다단계 패키징 해석부로부터 받은 라이센스키로 암호화된 암호키와 서명에 메타데이터/사용규칙 서명기로부터 받은 서명을 추가하여 라이센스키로 암호화하는 암호키/서명 암호화기; 및 다단계 패키징 해석부로부터 받은 암호화된 컨텐츠와 메타데이터, 사용규칙에 새로이 생성된 메타데이터와 사용규칙을 추가한 것과, 라이센스키로 암호화된 암호키/서명에 새로이 생성된 메타데이터와 사용규칙의 서명을 추가하고 새로운 라이센스키로 암호화한 것을 가지고 패키징을 하는 다단계 패키저고 구성되고,
    상기 다단계 라이센스 생성부는 다단계 라이센스 해석부로부터 전달받은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기와; 다단계 라이센스 해석부로부터 전달받은 사용규칙을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사용규칙을 생성하는 사용규칙 생성기; 이전 단계에서 만들어진 라이센스를 암호화하고, 다단계 패키징부에서 사용되는 라이센스키를 발생하는 라이센스키 발생기; 라이센스키를 이용하여 이전단계에 생성된 라이센스를 암호화하는 라이센스 암호화기; 및 암호화된 라이센스, 라이센스키, 메타데이터, 사용규칙을 가지고 새로운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다단계 라이센스 생성기로 구성되는 것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해석부는
    패키징된 컨텐츠의 구성요소를 검사하고, 메타데이터와 사용규칙이 유효한지 검사하는 패키징 검사기와;
    패키징된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와 사용규칙을 추출하는 메타데이터/사용규칙 추출기;
    패키징된 컨텐츠로부터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를 추출하는 암호화된 컨텐츠 추출기; 및
    패키징된 컨텐츠에 대한 라이센스키로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의 암호화에 사용된 암호키와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와 사용규칙의 서명을 추출하는 암호화된 암호키/서명 추출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계 라이센스 해석부는
    다단계 라이센스의 구성요소를 검사하는 다단계 라이센스 검사기와;
    다단계 라이센스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추출하는 메타데이터 추출기;
    메타데이터의 문법과 내용이 유효한지 검사하는 메타데이터 검사기;
    다단계 라이센스로부터 사용규칙을 추출하는 사용규칙 추출기; 및
    사용규칙의 문법과 내용이 유효한지 검사하는 사용규칙 검사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계 라이센스 추출부는
    다단계 라이센스의 구성요소를 검사하는 다단계 라이센스 검사기와;
    다단계 라이센스로부터 라이센스키를 추출하는 라이센스키 추출기;
    라이센스키가 유효한지 검사하는 라이센스키 검사기;
    라이센스의 메타데이터를 추출하는 메타데이터 추출기;
    라이센스의 메타데이터에 대한 문법과 내용을 검사하는 메타데이터 검사기;
    라이센스의 사용규칙을 추출하는 사용규칙 추출기;
    라이센스의 사용규칙에 대한 문법과 내용을 검사하는 사용규칙 검사기;
    라이센스키로 암호화된 하위 단계의 라이센스를 추출하는 하위 라이센스 추출기; 및
    라이센스키로 암호화되어 있는 하위 단계의 라이센스를 복호화하고 다시 하위 단계의 라이센스를 추출하기 위해 다단계 라이센스 검사기로 하위 단계의 라이센스를 전달하는 하위 라이센스 복호화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계 언패키징부는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의 구성요소를 검사하는 다단계 패키징 검사기와;
    패키징된 컨텐츠로부터 메타데이터와 사용규칙을 추출하는 메타데이터/사용규칙 추출기;
    추출된 메타데이터와 사용규칙에 대한 문법과 내용에 대해서 검사하고 메타데이터 상호간과 사용규칙 상호간의 유효성에 대해서 검사하는 메타데이터/사용규칙 검사기;
    패키징된 컨텐츠로부터 암호화된 컨텐츠를 추출하는 암호화된 컨텐츠 추출기;
    암호화된 컨텐츠를 암호키로 복호화하는 암호화된 컨텐츠 복호화기;
    패키징된 컨텐츠로부터 암호화된 암호키/서명을 추출하는 암호화된 암호키/서명 추출기;
    암호화된 암호키/서명을 다단계 라이센스 추출부로부터 받은 라이센스키를 이용하여 암호키와 서명을 복호화하는 암호화된 암호키/서명 복호화기; 및
    복호화된 서명에 대한 유효성을 검사하는 메타데이터/사용규칙 서명 검사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
  8. 패키징된 컨텐츠를 검사하는 다단계 패키징 해석부가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에 대해 각각의 내용을 분리하고 해석하는 단계와;
    다단계 라이센스를 검사하는 다단계 라이센스 해석부가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의 라이센스에 대해 각각의 내용을 해석하는 단계;
    다단계 패키징을 위한 라이센스를 만들고, 패키징된 컨텐츠에 대한 해석 결과와 라이센스를 이용하여 다단계 패키징을 수행하여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가 생성된 후 다음 단계의 컨텐츠 유통업자에게 유통되면, 다음 단계의 컨텐츠 유통업자가 상기 단계들의 과정을 반복하여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를 수행하여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다단계 패킹징된 컨텐츠가 생성된 후 구매자에게 판매되면, 구매자가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의 컨텐츠 재생기를 동작시켜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의 재생을 시도하는 단계; 및
    컨텐츠 재생을 시도할 때,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에 대한 다단계 라이센스가 필요한지 검사한 결과, 다단계 라이센스가 필요하다고 판별되면 컨텐츠 유통업자로부터 다단계 라이센스를 발급받아 다단계 라이센스를 추출하고 검사하며, 추출된 라이센스를 이용하여 다단계 패키징된 컨텐츠를 언패키징하고, 언패키징된 컨텐츠를 컨텐츠 재생기로 전달하여 컨텐츠를 실제로 재생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방법.
KR10-2002-0018901A 2002-04-08 2002-04-08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456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901A KR100456025B1 (ko) 2002-04-08 2002-04-08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901A KR100456025B1 (ko) 2002-04-08 2002-04-08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327A KR20030080327A (ko) 2003-10-17
KR100456025B1 true KR100456025B1 (ko) 2004-11-08

Family

ID=32378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901A KR100456025B1 (ko) 2002-04-08 2002-04-08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60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918B1 (ko) * 2004-12-16 2007-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단계 유통되는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를 위한 라이센스발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31249B1 (ko) * 2005-08-29 2007-06-20 (주)미디어포스 이미지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TE496474T1 (de) * 2006-05-02 2011-02-15 Research In Motion Ltd Mehrschichtiges envelope-verfahren und system zur inhaltslieferung
KR100821287B1 (ko) * 2006-07-05 2008-04-1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Drm 시스템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다단계 판매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90065350A (ko) * 2007-12-17 2009-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전송을 이용한 콘텐츠 스트리밍에서 콘텐츠 보호 장치 및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283A (ko) * 2000-09-19 2002-03-27 김장우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 온라인 판매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283A (ko) * 2000-09-19 2002-03-27 김장우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 온라인 판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327A (ko) 200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42470B (zh) 一种具有溯源功能的电子音像制品版权管理方法
KR100374524B1 (ko)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를 컨텐츠 재생을 위한 시스템에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11234033B2 (en) Decentralized content distribution
US8261360B2 (en) Content distributing system with dynamic encryption keys
JP2005501322A (ja)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許可されない再記録を防ぐ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502580B1 (ko) 보안성이 향상된 디지털 컨텐츠 유통 방법
Lee et al. A DRM framework for distributing digital contents through the Internet
CN101901447A (zh) 用于提供数字内容服务的系统和方法
CN104009839A (zh) 一种携带用户信息的密钥的生成方法
EP183778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orarily accessing content using temporary license
CN108075888A (zh) 动态url生成方法及装置
CN104966000A (zh) 一种基于安全引擎的多媒体版权保护方法
US20050086173A1 (en) Auto-regulated electronic license key mechanism
KR100456025B1 (ko) 다단계 컨텐츠 패키징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725918B1 (ko) 다단계 유통되는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를 위한 라이센스발급 시스템 및 그 방법
US91170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proper execu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in an unauthorized processor
US200601848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ed content rendering
JP2018180854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ェアの提供及び認証方法並びにそのためのシステム
CN106096337A (zh) 一种数字出版版权保护的系统和方法
KR101858562B1 (ko) 이트레이닝 컨텐츠 사용을 위한 암호화 시스템
KR101744697B1 (ko) 이트레이닝 콘텐츠 사용을 위한 암호화된 패키지 생성 및 전송 시스템
US20040010470A1 (en) Anti-piracy system for software and digital entertainment
Dessent Digital Handshakes in Cyberspace under E-Sign: There's a New Sheriff in Town
US20180137549A1 (en) Non-repudiation in drm
CN107707984A (zh) 基于权限校验的网页视频播放方法、服务器以及播放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