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510B1 - 더불유에엘 단말기의 배터리 자동 충방전장치 - Google Patents

더불유에엘 단말기의 배터리 자동 충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510B1
KR100452510B1 KR10-2002-0041716A KR20020041716A KR100452510B1 KR 100452510 B1 KR100452510 B1 KR 100452510B1 KR 20020041716 A KR20020041716 A KR 20020041716A KR 100452510 B1 KR100452510 B1 KR 100452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battery
unit
switching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7069A (ko
Inventor
주용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1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510B1/ko
Publication of KR20040007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24Parallel/serial switching of connection of batteries to charge or load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되어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공급되는 바이어스전원을 인터페이스시키는 유저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로부터 공급된 구동전압에 따라 충전하고 방전제어신호에 따라 구성모듈로 방전하는 제1 및 제2 배터리와, 상기 제1 배터리의 충방전기능을 스위칭 제어하는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배터리의 충방전기능을 스위칭 제어하는 제2 스위칭부와,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의 전압변위를 검출하여 제1 및 제2 스위칭부의 스위칭기능을 제어하는 MSM부와, 상기 MSM부의 교번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를 교번되게 스위칭하는 교번 스위칭부를 구비하는 더불유에엘 단말기의 배터리 자동 충방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개인용 컴퓨터의 공급전원에 연동되는 복수개의 배터리를 구비하고 능동소자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교번되게 충방전시키므로써, 일측 배터리가 수명이나 기타의 원인으로 모두 방전된다하더라도 다른 배터리가 WLL 단말기에 지속적으로 바이어스전압을 공급하게 되어 WLL 단말기의 동작이 중단되는 일이 없으므로 그에 따라 WLL 단말기의 전원안정성이 상당히 향상된다.

Description

더불유에엘 단말기의 배터리 자동 충방전장치{automatic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of the WLL terminal}
본 발명은 더불유엘엘 단말기의 배터리 자동 충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용 컴퓨터의 공급전원에 연동되는 복수개의 배터리를 구비하고 능동소자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교번되게 충방전시키는 더불유엘엘 단말기의 배터리 자동 충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가입자망 시스템(WLL: Wireless local loop)은 종전의 전화선을 이용하지 않고 기지국을 중심으로 약 2 - 6 [km] 거리 이내에 있는 가입자 선로를 무선으로 접속하는 전화시스템 방식이다. 이러한 WLL 방식의 시스템으로는 위성을 이용한 시스템, 고정용 마이크로 웨이브르 응용한 시스템, 셀룰러 기술을 응용한 시스템, 코드리스기술을 응용한 시스템등 다수가 개발되어 사용되지만 이중 셀룰러 기술을 이용한 시스템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셀룰러 기술을 응용한 시스템은 셀룰러 이동전화 또는 개인 휴대통신(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과 동일한 망을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더 넓은 지역을 담당할 수 있어 보다 경제적으로 망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런대, 상기와 같은 WLL시스템은 통상 내부나 외부에 어댑터(adaptor)를 채용하여 내부의 바이어스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어댑터를 사용하는 WLL 시스템을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외부 전원 예컨대, 110/220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정류하여 WLL 시스템(70)에 필요한 바이어스전압 예컨대, DC12V 또는 9.6V로 출력하는어댑터(71)와, 상기 어댑터(71)로부터 인가된 바이어스전압을 이용하여 충전용 배터리(72)를 충전시키고 정전시 방전시키는 충전회로부(73)와, 상기 충전용 배터리(72)의 방전 전압변위를 검출하여 충전기능을 제어함과 더불어 WLL 단말기(70)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MSM부(74)와, 상기 어댑터(71)와 배터리(72)에 각각 연결되어 어댑터(71)의 공급전압 차단시 배터리(72)의 방전전압을 WLL 단말기(70)의 각 구성요소로 공급하는 트랜지스터(7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트랜지스터(75)와 배터리(72)사이에는 스위치(76)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어댑터(71)의 일단에는 개인용 컴퓨터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USB(77)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75)는 FET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75)의 소오스단에는 WLL 단말기(70)의 구성모듈(78) 예컨대, RF부나 코덱부 등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어댑터를 사용하는 WLL 단말기의 전원공급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WLL 단말기(70)의 전원플러그(79)를 외부콘센트에 꽂으면 이 전원플러그(79)를 통해 110/220 AC전원이 어댑터(71)로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어댑터(71)는 입력된 110/220 AC전원을 안정적인 일정전압 예컨대, DC 9.6V로 변환하여 WLL 단말기(70)의 각 구성요소로 공급하는데, 예컨대, 상기 전압은 WLL 단말기(70)의 구성모듈(78)과 MSM부(74) 및 충전회로부(73)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어댑터(79)가 WLL 단말기(70)에 동작전압을 공급할 경우에는 트랜지스터(75)의 게이트단에 하이신호가 인가되기 때문에 스위치()가 온될 경우 이트랜지스터(75)는 턴오프상태에 있게 된다. 그와동시에, 상기 충전회로부(73)는 어댑터(71)가 동작전원을 WLL 단말기(70)로 공급하는 동안 MSM부(74)의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충전용 배터리(72)를 충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과정중에 만약, 상기 어댑터(71)가 어떤 원인 예컨대, 정전과 같은 이유로 동작전압을 WLL 단말기(70)로 공급하지 못할 경우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76)를 온시켜준다. 그러면, 상기 트랜지스터(75)의 게이트단에 로우신호가 인가되어 턴온되고 그에 따라 충전회로부(73)는 배터리(72)를 방전시켜 WLL 단말기(70)의 각 구성요소에 동작전압을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MSM부(74)는 상기 배터리(72)의 방전전압변위를 계속 검출하여 배터리(72)가 모두 방전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MSM부(74)는 만약 배터리(72)가 모두 방전되었음을 확인할 경우 이를 외부로 표시한 다음 모드 구성회로의 기능을 차단한다. 그러면, 상기 WLL 단말기(70)의 사용자는 어댑터(71)를 통해 다시 배터리(72)를 충전시키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WLL 단말기(70)는 USB(77)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WLL 단말기의 전원공급회로는 WLL 단말기(70)의 바이어스 전원공급이나 배터리(72)의 충전을 고가의 어댑터(71)에만 전적으로 의존해야 하므로 그에 따라 WLL 단말기의 사용 편의성이 상당히 저하되었으며, 또한, 상기 WLL 단말기의 배터리는 한 번 방전되면 장시간 충전해야하는데, 다른 장비 예컨데, 개인용 컴퓨터와 데이터통신중에 배터리가 모두 방전될 경우 이를 중단할 수밖에 없으므로 그에따라 WLL 단말기의 동작안정성을 상당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개인용 컴퓨터의 공급전원에 연동되는 복수개의 배터리를 구비하고 능동소자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교번되게 충방전시키므로써, 일측 배터리가 수명이나 기타의 원인으로 모두 방전된다하더라도 다른 배터리가 WLL 단말기에 지속적으로 바이어스전압을 공급하게 되어 WLL 단말기의 동작이 중단되는 일이 없으므로 그에 따라 WLL 단말기의 전원안정성이 상당히 향상되는 더불유엘엘 단말기의 배터리 자동 충방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의 충방전기능을 능동소자를 통해 자동적으로 제어하여 배터리 충전으로 인한 전원공급의 이상을 방지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배터리의 충방전 기능성도 상당히 향상시키는 더불유엘엘 단말기의 배터리 자동 충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되어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공급되는 바이어스전원을 인터페이스시키는 유저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로부터 공급된 구동전압에 따라 충전하고 방전제어신호에 따라 구성모듈로 방전하는 제1 및 제2 배터리와, 상기 제1 배터리의 충방전기능을 스위칭 제어하는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배터리의 충방전기능을 스위칭 제어하는 제2 스위칭부와,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의 전압변위를 검출하여 제1 및 제2스위칭부의 스위칭기능을 제어하는 MSM부와, 상기 MSM부의 교번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를 교번되게 스위칭하는 교번 스위칭부를 구비하는 더불유에엘 단말기의 배터리 자동 충방전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어댑터를 사용하는 WLL 단말기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WLL 단말기를 설명하는 설명도.
<부호의 상세한 설명>
1 : 개인용 컴퓨터 2 : 유저인터페이스부
3 : 구성모듈 4 : 제1 배터리
5 : 제2 배터리 6 : 제1 스위칭부
7 : 제2 스위칭부 8 : WLL 단말기
9 : MSM부 10: 교번 스위칭부
11: 어댑터 12: 차단 트랜지스터
13: 제1 트랜지스터 14: 제2 트랜지스터
15: 제5 트랜지스터 16: 출력트랜지스터
17: 제3 트랜지스터 18: 제4 트랜지스터
19: 제6 트랜지스터 20: 수동 제어스위치
21: 전력선모뎀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인용 컴퓨터(1)에 연결되어 개인용 컴퓨터(1)로부터 공급되는 바이어스전원을 인터페이스시키는 유저인터페이스부(2)와,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2)로부터 공급된 구동전압에 따라 충전하고 방전제어신호에 따라 구성모듈(3)로 방전하는 제1 및 제2 배터리(4,5)와, 상기 제1 배터리(4)의 충방전기능을 스위칭 제어하는 제1 스위칭부(6)와, 상기 제2 배터리(5)의 충방전기능을 스위칭 제어하는 제2 스위칭부(7)와,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4,5)의 전압변위를 검출하여 제1 및 제2 스위칭부(7)의 스위칭기능을 제어하고 WLL 단말기(8)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MSM부(9)와, 상기 MSM부(9)의 교번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4,5)를 교번되게 스위칭하는 교번 스위칭부(1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2)에는 개인용 컴퓨터(1)로부터 바이어스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어댑터(11)의 연결을 차단하는 차단 트랜지스터(1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스위칭부(6)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2)의 차단 트랜지스터(12)에 연결되어 제1 배터리(4)로 유입되는 공급전압을 제어하는 제1 트랜지스터(13)와, 상기 MSM부(9)의 충방전 제어신호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13)의 턴온/오프동작을 제어하는 제2 트랜지스터(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위칭부(6)의 연결관계를 다시 설명하면, 상기 제1 스위칭부(6)의 제1 트랜지스터(13)의 드레인단에는 차단 트랜지스터(12)의 에미터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13)의 게이트단은 제5 트랜지스터(15)의 에미터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트랜지스터(13)의 소오스단과 제2 트랜지스터(14)의 소오스단은 제1 배터리(4)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14)의 드레인단은 출력트랜지스터(16)를 경유하여 어댑터(11)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트랜지스터(14)의 게이트단은 MSM부(9)의 제1 포트(GPIO_1)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스위칭부(7)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2)의 차단 트랜지스터(12)에 연결되어 제2 배터리(5)로 유입되는 공급전압을 제어하는 제3 트랜지스터(17)와, 상기 MSM부(9)의 충방전 제어신호에 따라 제3 트랜지스터(17)의 턴온/오프동작을 제어하는 제4 트랜지스터(1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스위칭부(7)의 연결관계를 다시 설명하면, 상기 제2 스위칭부(7)의 제3 트랜지스터(17)의 드레인단에는 차단트랜지스터(12)의 에미터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3 트랜지스터(17)의 게이트단은 제6 트랜지스터(19)의 에미터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3 트랜지스터(17)의 소오스단과 제4 트랜지스터(18)의 소오스단은 제2 배터리(5)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4 트랜지스터(18)의 드레인단은 출력트랜지스터(16)를 경유하여 어댑터(11)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4 트랜지스터(18)의 게이트단은 MSM부(9)의 제2 포트(GPIO_2)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교번 스위칭부(10)는 상기 제1 스위칭부(6)의 제2 트랜지스터(14)의 게이트단에 연결되어 MSM부(9)의 교번 제어신호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13)의 턴 온/오프동작을 제어하는 제5 트랜지스터(15)와, 상기 제2 스위칭부(7)의 제3 트랜지스터(17)의 게이트단에 연결되어 MSM부(9)의 교번 제어신호에 따라 제4 트랜지스터(18)의 턴 온/오프동작을 제어하는 제6 트랜지스터(19)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4,5)의 상단에는 수동 제어스위치(20)가 각각 연결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동작은 먼저, 초기에 개인용 컴퓨터(1)의 전력선모뎀(21)에 본 발명 WLL 단말기(8)의 유저인터페이스부(2)를 결합시킨다음 MSM부(9)를 통해 제1 포트와 제2 포트에 하이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MSM부(9)의 포트제어신호(GPIO_1 ~ 2)에 따라 제1 스위칭부(6)의 제2 트랜지스터(14)와 제2 스위칭부(7)의 제4 트랜지스터(18)가 턴오프되어 각 구성모듈(3)로의 전원공급은 차단되고 그와 동시에 교번 스위칭부(10)의 제5 트랜지스터(15)와 제6 트랜지스터(19)는 턴온된다. 이때, 상기 WLL 단말기(8)의 제1 및 제3 트랜지스터(17)는 게이트에 초기에 로우신호가 인가되므로 스위치(20)가 턴온될 경우 이 역시 턴온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면, 상기 과정에 의해 초기에 제1 스위칭부(6)의 제1 트랜지스터(13)와 제2 스위칭부(7)의 제3 트랜지스터(17)가 턴온될 경우 개인용 컴퓨터(1)의 전력선모뎀(21)에서 WLL 단말기(8)에 필요한 안정적인 동작전압 예컨대, +9.6V가 연결된 유저인터페이스부(2)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WLL 단말기(8)의 유저인터페이스부(2)에 연결되어 있는 차단트랜지스터(12)가 베이스단으로 인가되는 개인용 컴퓨터(1)의 전력선모뎀(21)의 구동전압에 의해 턴온되므로 충전회로부(22)를 경유하는 어댑터(11)측으로부터의 전압유입을 차단한다. 반면에 상기 차단트랜지스터(12)의 턴온에 의해 상기 전력선모뎀(21)의 구동전압은 제1 스위칭부(6)의 제1 트랜지스터(13)와 제2 스위칭부(7)의 제3 트랜지스터(17)를 경유하여 제1 및 제2 배터리(4,5)에 유입되어 충전된다.
이때, 상기 WLL 단말기(8)의 MSM부(9)는 제1 및 제2 배터리(4,5)의 전압변위(BATT_LEVEL 1 ~ 2)를 계속 체킹하여 이들 배터리들(4,5)이 컷오프전압 예컨대, 3.2 V이상이 될 경우 상기 MSM부(9)는 제 1 및 제2 배터리(5)의 충전전압을 서로 비교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MSM부(9)는 만약 상기 제1 배터리(4)의 전압(BATT_LEVEL 1)이 제2 배터리(5)의 전압(BATT_LEVEL 2)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이 제1 배터리(4)를 WLL 단말기(8)의 공급전압원으로 활용하게 되는대, 이때, 상기 MSM부(9)는 제1 포트(GPIO_1)를 통해서는 로우신호(LOW)를, 제2 포트(GPIO_2)를 통해서는 하이신호(HIGH)를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제1 스위칭부(6)의 제1 트랜지스터(13)는 교번 스위칭부(10)의 제5 트랜지스터(15)가 오프됨에 따라 베이스에 로우신호가 인가되므로 오프되고 반면에 제2 트랜지스터(14)는 턴온되어 제1 배터리(4)의 전압이 상기 제2 트랜지스터(14)를 경유하여 WLL 단말기(8)의 각 구성모듈(3)로 공급된다.
반대로, 상기 제1 배터리(4)가 방전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제2 스위칭부(7)의 제3 트랜지스터(17)는 교번 스위칭부(10)의 제6 트랜지스터(19)가 온됨에 따라 베이스에 로우신호가 인가되므로 온되고 반면에 제4 트랜지스터(18)는 턴오프되어 제2 배터리(5)가 충전되게 된다.
상기 MSM부(9)는 만약 상기 제1 배터리(4)의 방전과정중에 배터리의 전압을 체킹한 결과 상기 제1 배터리(4)의 전압(BATT_LEVEL 1)이 제2 배터리(5)의 전압(BATT_LEVEL 2)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교번 스위칭부(10)를 통해 이제 제1 배터리(4)는 충전기능으로 반면에 상기 제2 배터리(5)는 WLL 단말기(8)의 공급전압원으로 활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MSM부(9)는 제1 포트(GPIO_1)를 통해서는 하이신호(HIGH)를, 제2 포트(GPIO_2)를 통해서는 로우신호(LOW)를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제1 스위칭부(6)의 제1 트랜지스터(13)는 교번 스위칭부(10)의 제5 트랜지스터(15)가 온됨에 따라 베이스에 하이신호가 인가되므로 턴온되고 반면에 제2 트랜지스터(14)는 턴오프되어 제1 배터리(4)의 전압은 충전상태에 들어가게 된다.
반면에, 상기 제2 배터리(5)가 방전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제2 스위칭부(7)의 제3 트랜지스터(17)는 교번 스위칭부(10)의 제6 트랜지스터(19)가 턴오프됨에따라 베이스에 하이신호가 인가되므로 턴오프되고 반면에 제4 트랜지스터(18)는 턴온되어 제2 배터리(5)의 구동전압이 상기 제4 트랜지스터(18)를 경유하여 WLL 단말기(8)의 각 구성모듈(3)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4,5)의 충방전 과정중에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4,5)의 전압이 모두 컷오프전압 이하로 떨어질 경우는 상기 MSM부(9)가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통해 하이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 스위칭부(6)의 제2 트랜지스터(14)와 제2 스위칭부(7)의 제4 트랜지스터(18)는 모두 오프되어 각 구성모듈(3)로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차단하고 반면에, 상기 제1 스위칭부(6)의 제2 트랜지스터(14)와 제2 스위칭부(7)의 제4 트랜지스터(18)가 턴온되어 방전작용을 실행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발명 단말기(8)의 제1 및 제2 배터리(4,5)가 충방전을 교대로 하면서 각 구성모듈(3)에 구동전압을 공급하게 되므로, 만약 본 발명의 WLL 단말기(8)와 개인용 컴퓨터(1)사이에 데이터 통신을 하다가 일측 배터리가 모두 방전되었다하더라도 다른 배터리(4 OR 5)가 다시 전원을 공급하므로 데이터 통신이 중단되는 일은 발생되지 않는다. (이때, 전원 공급을 수행하지않는 이미 모두 방전된 배터리는 다른 배터리가 전원을 공급하는 동안 다시 충전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WLL 단말기(8)는 종래의 어댑터(11)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개인용 컴퓨터(1)로 전원공급이 안될 경우 어댑터(11)를 사용하여서 전원공급이나 배터리(4,5)의 충방전 동작을 계속 수행시킬 수도 있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개인용 컴퓨터의 공급전원에 연동되는 복수개의 배터리를 구비하고 능동소자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교번되게 충방전시키므로써, 일측 배터리가 수명이나 기타의 원인으로 모두 방전된다하더라도 다른 배터리가 WLL 단말기에 지속적으로 바이어스전압을 공급하게 되어 WLL 단말기의 동작이 중단되는 일이 없으므로 그에 따라 WLL 단말기의 전원안정성이 상당히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의 충방전기능을 능동소자를 통해 자동적으로 제어하여 배터리 충전으로 인한 전원공급의 이상을 방지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배터리의 충방전 기능성도 상당히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되어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공급되는 바이어스전원을 인터페이스시키는 유저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로부터 공급된 구동전압에 따라 충전하고 방전제어신호에 따라 구성모듈로 방전하는 제1 및 제2 배터리와, 상기 제1 배터리의 충방전기능을 스위칭 제어하는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배터리의 충방전기능을 스위칭 제어하는 제2 스위칭부와,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의 전압변위를 검출하여 제1 및 제2 스위칭부의 스위칭기능을 제어하는 MSM부와, 상기 MSM부의 교번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를 교번되게 스위칭하는 교번 스위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불유에엘 단말기의 배터리 자동 충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에는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바이어스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어댑터의 연결을 차단하는 차단 트랜지스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불유에엘 단말기의 배터리 자동 충방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유저인터페이스부의 차단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제1 배터리로 유입되는 공급전압을 제어하는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MSM부의 충방전 제어신호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의 턴온/오프동작을 제어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불유에엘 단말기의 배터리 자동 충방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유저인터페이스부의 차단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제2 배터리로 유입되는 공급전압을 제어하는 제3 트랜지스터와, 상기 MSM부의 충방전 제어신호에 따라 제3 트랜지스터의 턴온/오프동작을 제어하는 제4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불유에엘 단말기의 배터리 자동 충방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번 스위칭부는 제1 스위칭부의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에 연결되어 MSM부의 교번 제어신호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의 턴 온/오프동작을 제어하는 제5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제3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에 연결되어 MSM부의 교번 제어신호에 따라 제4 트랜지스터의 턴 온/오프동작을 제어하는 제6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불유에엘 단말기의 배터리 자동 충방전장치.
KR10-2002-0041716A 2002-07-16 2002-07-16 더불유에엘 단말기의 배터리 자동 충방전장치 KR100452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716A KR100452510B1 (ko) 2002-07-16 2002-07-16 더불유에엘 단말기의 배터리 자동 충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716A KR100452510B1 (ko) 2002-07-16 2002-07-16 더불유에엘 단말기의 배터리 자동 충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069A KR20040007069A (ko) 2004-01-24
KR100452510B1 true KR100452510B1 (ko) 2004-10-13

Family

ID=37316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716A KR100452510B1 (ko) 2002-07-16 2002-07-16 더불유에엘 단말기의 배터리 자동 충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5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994B1 (ko) * 2013-01-30 2013-11-2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관측 기록계의 직류전원 공급장치
KR101428763B1 (ko) * 2013-07-19 2014-08-08 주식회사 위트비 듀얼 배터리가 장착된 태블릿 피시 및 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736A (ko) * 1998-09-15 2000-04-15 김영환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전원상태 검출장치
KR20000033186A (ko) * 1998-11-20 2000-06-15 김영환 단말기의 전원 차단 제어장치
KR20010103454A (ko) * 2000-05-10 2001-11-23 송문섭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휴대용 단말장치
KR20020083856A (ko) * 2001-04-30 2002-11-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에서의 전원공급장치
KR20040007091A (ko) * 2002-07-16 2004-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인용 컴퓨터의 전원을 이용한 더불유엘엘 시스템의전원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736A (ko) * 1998-09-15 2000-04-15 김영환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전원상태 검출장치
KR20000033186A (ko) * 1998-11-20 2000-06-15 김영환 단말기의 전원 차단 제어장치
KR20010103454A (ko) * 2000-05-10 2001-11-23 송문섭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휴대용 단말장치
KR20020083856A (ko) * 2001-04-30 2002-11-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에서의 전원공급장치
KR20040007091A (ko) * 2002-07-16 2004-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인용 컴퓨터의 전원을 이용한 더불유엘엘 시스템의전원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069A (ko) 200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2360B1 (ko) 충전된 휴대폰을 이용한 휴대폰 충전 장치
US7493148B2 (en) Battery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apparatus using an ear-microphone jack
US7719810B2 (en)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20100277125A1 (en)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by using a bi-directional transistor
US707165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battery charging control based on CMOS technology
KR100480261B1 (ko)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EP1089414B1 (en) Power source unit
US20110163604A1 (en) Power supply circuit of terminal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using the same
US7403363B2 (en) Switching element and protection circuit using the same
KR100498047B1 (ko) 과전류 차단 기능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
KR100452510B1 (ko) 더불유에엘 단말기의 배터리 자동 충방전장치
US6172477B1 (en) Apparatus for charging a battery of a portable terminal
KR200357865Y1 (ko) 복수개 배터리의 전원 공급장치
KR200186006Y1 (ko) 무선 전화기에서의 충·방전 제어 장치
KR20020034377A (ko) 무선 전화기의 백업 배터리 전원 회로
KR20040031432A (ko) 휴대기기의 전원 공급장치
KR20050006353A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KR100388955B1 (ko) 정전시 무선전화기의 통화시간 연장 장치 및 방법
KR100397337B1 (ko) 동작전원 안정화기능이 구비된 더불유엘엘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CN111448738B (zh) 一种多功能充电装置及系统
JP3088312B2 (ja) 移動電話機
JPH0766772A (ja) 携帯用無線機と電源装置
KR0134936B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과방전 방지회로
KR950000975B1 (ko) 정전시 무선전화기의 축전지 방전방지방법
KR20060086478A (ko) 누설전류 차단 기능을 가지는 충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