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425B1 - Dust or debris collecting envelope for drilling work using drill or hammer drill - Google Patents

Dust or debris collecting envelope for drilling work using drill or hammer dri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425B1
KR100452425B1 KR10-2002-0020410A KR20020020410A KR100452425B1 KR 100452425 B1 KR100452425 B1 KR 100452425B1 KR 20020020410 A KR20020020410 A KR 20020020410A KR 100452425 B1 KR100452425 B1 KR 100452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drill
envelope
dust collecting
collecting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4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81944A (en
Inventor
김회율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한양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한양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한양학원
Priority to KR10-2002-0020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425B1/en
Publication of KR20030081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9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425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06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34Arrangements for removing chips out of the holes made; Chip- breaking arrangements attached to the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37Drilling 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revention Of Fou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릴(해머드릴 포함) 작업시에 발생하는 부스러기를 수집할 수 있는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 봉투는 상면부는 개방되어 있고, 정면부, 배면부 및 두 개의 측면부에 의하여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봉투로서, 상기 배면부의 수납공간쪽 면(안쪽면)으로부터 상기 배면부의 수납공간 반대쪽면(바깥쪽면)까지 접착력을 보유한 상태로 상기 배면부의 상기 바깥쪽면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집진 봉투를 사용하여 드릴 작업을 함으로써 후속적인 별도의 부스러기 제거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드릴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집진 봉투의 형상을 드릴 작업에 편리하도록 특별하게 형성하고 또한 접착 테이프를 필기구로 표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드릴로 뚫을 구멍의 위치를 표시하여 일의 정확도를 기할 수 있고, 드릴 작업시에 작업자의 손 또는 드릴이 봉투에 접촉하여 봉투의 변형을 일으킴으로써 봉투 밖으로 부스러기가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dust collecting bag for a drill operation capable of collecting debris generated during a drill (including hammer drill) operation. The dust collecting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nvelope having an upper surface portion open and a storage space for storing an object therein by a front portion, a rear portion and two side portions, the storage space side of the rear portion (inside). And an adhesive tape attached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portion while retaining the adhesive forc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to an opposite sid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Drilling by using the dust collecting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rilled without the need to perform subsequent separate debris removal operation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In addition, by specially forming the shape of the dust collecting bag to facilitate the drilling work, and by forming the adhesive tape with a material that can be written with a writing instrument, the position of the hole to be drilled by the drill can be indicated to ensure work accuracy. The operator's hand or drill will contact the envelope and cause deformation of the envelope so that debris does not fall out of the envelope.

Description

드릴 혹은 해머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 {Dust or debris collecting envelope for drilling work using drill or hammer drill}Dust or debris collecting envelope for drilling work using drill or hammer drill}

본 발명은 드릴(해머드릴 포함) 작업용 집진 봉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릴로 벽 등에 구멍을 뚫을 때 발생하는 부스러기를 수집할 수 있는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bag for working with a drill (including a hammer dri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llecting bag for working with a drill capable of collecting debris generated when a hole is drilled into a wall or the like.

드릴은 콘크리트 벽, 그리고 일반 드릴은 목재 혹은 철근 등에 구멍을 뚫을 때 사용하는 공구이다. 이러한 해머드릴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벽, 목재 등에 구멍을 뚫을 때, 콘크리트, 목재 등의 작은 부스러기가 발생하고 이것은 중력에 의하여 바닥에 떨어져 사방으로 흩어진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드릴 작업을 한 후 발생한 부스러기를 제거하고 먼지를 닦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여야 했다. 그러나, 이러한 청소 작업은 이미 가구나 기구물 등의 설치물이 배열된 환경에서는 귀찮은 일이다. 특히 책상, 진열대 등이 배치된 벽에 해머드릴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발생하는 먼지나 부스러기가 책상, 진열대 뒤의 틈새로 들어가게 되므로 부스러기 제거 작업은번거로운 것이다. 뿐만 아니라, 고정된 기구물이 설치된 공장환경에서 작업시에는 더욱 그러하다.Drills are used to drill holes in concrete walls and ordinary drills in wood or rebar. When using such a hammer drill to drill holes in concrete walls, wood, small debris, such as concrete and wood, are generated and it falls to the floor by gravity and scatters in all directions. Therefore, until now, the work that had been done after drilling had to remove the debris and clean the dust. However, such cleaning is troublesome in an environment in which installations such as furniture and utensils are already arranged. In particular, when a hammer drill is performed on a wall on which a desk or a display stand is placed, dust or debris is introduced into the gap behind the desk or display stand, which is cumbersome. This is especially true when working in a factory environment with fixed fixtures.

따라서, 작업자의 편의를 위하여, 후속적인 별도의 부스러기 혹은 먼지 제거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드릴 작업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for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be drilled without the need to perform subsequent separate debris or dust removal work.

본 발명의 목적은 후속적인 별도의 부스러기 제거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드릴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collecting bag for a drill operation that can be drilled without the need to perform a subsequent separate debris removal operation to enhance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릴 작업시에 발생하는 부스러기나 먼지를 곧바로 수집할 수 있는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st collecting bag for a drill operation capable of immediately collecting debris and dust generated during the drilling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릴로 뚫을 구멍의 위치를 표시하여 정밀한 작업수행을 돕고 드릴 작업에 의하여 발생하는 부스러기를 곧바로 수집할 수 있는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collecting bag for a drill operation that can display the position of the hole to be drilled to help precise work and collect the debris generated by the drill operation immediatel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및 이점들은 하기에서 서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In addition,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를 정면에서 본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bag for a drill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를 배면에서 본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2 shows a state diagram seen from the back of the dust collecting bag for drilling work of Figure 1;

도 3은 도 1의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를 접착 테이프를 펼친 상태로 정면에서 본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3 shows a state diagram seen from the front in the state in which the adhesive bag for the drill operation dust collecting bag of Figure 1 spread out.

도 4는 도 1의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를 사용하여 드릴 작업을 하는 사용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4 shows the use of the drill work using the dust collecting bag for drilling work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에서 배면부 및 접착 테이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ear portion and the adhesive tape in the dust collecting bag for a drill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에서 배면부 및 접착 테이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ear portion and the adhesive tape in the dust collecting bag for drilling 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에서 배면부 및 접착 테이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ear portion and the adhesive tape in the dust bag for a drill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집진 봉투 12: 정면부10: dust collecting bag 12: front part

14: 배면부 16: 측면부14: back side 16: side

17, 17': 접는선 18: 접착 테이프17, 17 ': crease 18: adhesive tape

20: 접착 테이프 이형지(필름) 22: 접착 테이프 손잡이20: adhesive tape release paper (film) 22: adhesive tape handle

본 발명은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 봉투는 상면부가 개방되어 있어 상기 상면부를 통하여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정면부, 배면부, 두 개의 측면부 및 바닥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봉투 골격과 상기 배면부에 형성된 접착 부재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ng bag for a drill operation. In the dust collecting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upper surface portion is opened so that an accommodation space for storing objects therein is formed by a front portion, a back portion, two side portions, and a bottom portion, and an adhesive formed on the back portion. Member.

본 발명의 집진 봉투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배면부의 수납공간쪽 면(안쪽면)으로부터 상기 배면부의 수납공간 반대쪽 면(바깥쪽면)에 걸쳐 형성된 접착 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착 테이프는 상기 배면부의 상기 안쪽면에서는 접착력을 보유한 상태로 탈착되지 않도록 강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배면부의 상기 바깥쪽 면에서는 접착력을 보유한 상태로 탈착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접착 테이프는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접착 테이프의 이형지로 사용될 수 있는 비닐과 같이 접착 테이프의 접착 및 탈착이 용이한 재질로 된 필름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 테이프는 상기 배면부의 바깥쪽 면에서 상기 접착 테이프를 상기 배면부의 바깥쪽면으로부터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 테이프는 연필 또는 수성 또는 유성 펜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벽 혹은 작업면에 연필이나 잉크 자국을 남기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 테이프는 투명 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ust collecting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member is an adhesive tape formed from an accommodating space side (inner side) of the rear part to an accommodating space opposite side (outer 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 Such an adhesive tape is strong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so as not to be detached in a state of retaining adhesive force, and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so as to be detachable from a state of retaining adhesive force. In addition, such an adhesive tape is preferably formed on a film made of a material that facilitates adhesion and detachment of the adhesive tape, such as vinyl, which can be used as a release paper of the adhesive tape, in order to facilitate detachment. Further, the adhesive tape preferably has a handle for facilitating detachment of the adhesive tap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portion at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portion. In addition, the adhesive tape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marked with a pencil or an aqueous or oily pen. This will avoid leaving pencil or ink marks on the wall or work surface.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adhesive tape is a transparent tape.

또한, 상기 봉투의 측면부에는 주름 또는 접는 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러한 상기 봉투는 상기 정면부와 상기 배면부가 맞닿아 있어 바닥부가 가장자리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납 공간이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형상을 가지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wrinkles or creases are formed on the side portions of the envelopes. The envelope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portion and the back portion, the bottom portion is formed as an edge, it is preferable that the accommodating space has a wid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is narrow.

한편, 본 발명의 집진봉투에 사용되는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배면부의 수납공간쪽 면(안쪽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면부의 안쪽면에 부착된 부분과 상기 배면부 안쪽면 부착 부분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부분으로 구성된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배면부의 수납공간 반대쪽 면(바깥쪽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배면부의 바깥쪽면에 부착된 부분과 상기 배면부 바깥쪽면 부착 부분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부분으로 구성된 접착 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에 접착하기 위한 상기 접착 부재의 외부 접착면은 이형지로 보호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adhesive member used in the dust collecting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storage space side (inner side) of the rear portion, and extends upward from the portion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rear portion and the inner side attachment portion of the rear portion. It can be an adhesive tape composed of a portion. On the contrary, the adhesive member may be an adhesive tape formed on an opposite surfac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of the rear portion. At this time, the adhesive member is preferably an adhesive tape composed of a portion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and a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rear portion outer surface attachment portion.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adhesive surface of the said adhesive member for adhere | attaching on the exterior is protected by the release pap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에서 설명하고 도면으로 표현된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는 본 발명의 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하기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경 및 변형들을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변경 및 변형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dust collecting bag for drill operation described below and represented by the drawings presents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dily deriv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from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를 정면에서 본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를 배면에서 본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1의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를 접착 테이프를 펼친 상태로 정면에서 본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bag for drilling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stat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bag for drilling work of Figure 1 from the back, Figure 3 is a drill of FIG. The working dust bag is shown in front view with the adhesive tape unfolded.

상기 도면들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집진 봉투(10)는 정면부(12), 배면부(14) 및 두 개의 측면부(16)에 의하여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봉투이다. 봉투의 재질은 종이, 비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내부의 수납 공간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형상 유지력을 가져야 한다. 통상적으로는 종이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면부는 실질적으로 아무것도 없어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집진 봉투(10)는 정면부(12)와 배면부(14)가 맞닿아 있어 바닥부가 모서리로 형성되어 있어 수납 공간이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봉투를 완전히 열었을 때, 개방된 가상의 상부면은 약간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다. 이러한 경사는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드릴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바닥부가 모서리로 형성되지 않고 별도의 면으로 형성된 봉투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드릴 작업을 할 때에만 봉투의 수납 공간을 확보하고 봉투를 보관할 때에는 수납 공간을 없애 전체적인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봉투의 측면부에 적당한 접는선(17, 17')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봉투는 접는 선에 따라 접혀져 납작하게 되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dust collecting bag 1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front portion 12, the back portion 14 and the two side portions 16 to form an envelope for storing an object therein to be. The material of the bag may be paper, vinyl, or the like, but should have a shape retaining force enough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inner storage space. Typically, a paper material may be used. The upper surface is substantially empty and is open. 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bag 10 has a front portion 12 and a rear portion 14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bottom portion is formed at an edge, so that the storage space is wide at the top and narrow at the bottom.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envelope is completely opened, the open virtual upper surface is slightly inclined downward. This inclination facilitates the drilling operation, as described later. However, the bottom portion is not formed with corners and does not exclude envelopes formed with separate faces.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provide appropriate fold lines 17 and 17 'at the side portions of the envelope to secure the storage space of the envelope only when drilling and to reduce the overall volume when storing the envelope. This facilitates storage because the envelopes are folded and flat along the fold line.

한편, 여기에서, 집진 봉투의 정면부, 배면부 및 두 개의 측면부는 각각 표리관계인 수납공간쪽의 면과 수납공간 반대쪽면을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수납공간쪽의 면을 안쪽면이라고 칭하고, 수납공간 반대쪽면을 바깥쪽면이라고 칭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is case, the front part, the back part and the two side parts of the dust collecting bag each have a surface on the side of the storage space which is in front and rear relationship and an opposite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Hereinafter, the surface on the storage space side will be referred to as the inner side, and the surface opposite the storage space will be referred to as the outer side.

이러한 집진 봉투(10)는 배면부(14)의 수납공간쪽 면(안쪽면)으로부터 배면부(14)의 수납공간 반대쪽면(바깥쪽면)까지에 걸쳐 부착된 접착 테이프(18)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접착 테이프(18)는 배면부(14)의 안쪽면에서는 강하게 부착되어 있어 봉투의 파손없이는 탈착되기 어렵고, 배면부(14)의 바깥쪽면에서는 접착력을보유한 상태로 탈착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배면부(14)의 바깥쪽면에 부착된 접착 테이프 부분은 사용시에 탈착되어 드릴 작업 대상인 벽에 부착되는 부분이고, 배면부(14)의 안쪽면에 부착된 접착 테이프 부분은 봉투를 지지하는 부분이다.The dust bag 10 further includes an adhesive tape 18 attached from the storage space side (inner side) of the rear part 14 to the opposite side (outer side) of the storage space of the rear part 14. The adhesive tape 18 is strong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4, so that the adhesive tape 18 is hardly detachable without damage to the bag, and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4 so that the adhesive tape can be detached with adhesive strength. The adhesive tape portion attached to the outer side of the rear portion 14 is a portion detachable in use and attached to the wall to be drilled, and the adhesive tape portion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rear portion 14 is a portion supporting the envelope.

배면부(14)의 안쪽면에 부착되는 접착 테이프 부분의 높이(봉투의 길이방향) 및 너비(봉투의 너비방향)는 접착 테이프(18)가 봉투를 지지하는 힘과 관련되는 것으로 요구되는 지지력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높이 및 너비가 크면 그 만큼 봉투에 대한 지지력은 크지지만 불필요하게 재료를 과량 사용하게 될 수 있으므로 요구되는 지지력에 따라 적합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면부(14)의 바깥쪽면에 부착되는 접착 테이프 부분은 벽면에 부착되어 벽을 지지하는 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그것의 높이 및 너비에 대해서도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다.The height (length direction of the bag) and the width (width direction of the bag) of the portion of the adhesive tape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back portion 14 depend on the supporting force required to be related to the force of the adhesive tape 18 supporting the envelope. Can be set differently. If the height and width are large, the supporting force for the bag is large, but it may be necessary to set i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required supporting force, since excessive use of the material may be required. In addition, the portion of the adhesive tap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4 corresponds to the portion attached to the wall to support the wall, and its height and width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접착 테이프(18)는 배면부(14)의 바깥쪽면에서 접착력을 보유한 상태로 탈착될 수 있어야 하므로, 특수 재질의 봉투가 아닌 경우에는 봉투에 직접 부착되어서는 안된다. 접착 테이프(18)가 접착력을 보유한 상태로 탈착될 수 있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접착 테이프의 이형지로 사용될 수 있는 필름(20) 상에 부착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형지 필름(20)은 봉투(1)의 배면부(14) 바깥쪽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이형지 필름은 이형지로 사용되는 비닐일 수 있다. 또한, 배면부(14)의 바깥쪽면으로부터 접착 테이프(18)를 쉽게 탈착시키기 위하여 접착 테이프(18)의 모퉁이에 접착 테이프 손잡이(22)가 마련되어 있다.Since the adhesive tape 18 should be detachable while retaining the adhesive forc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4, the adhesive tape 18 should not be directly attached to the envelope unless the envelope is made of a special material. In order for the adhesive tape 18 to be detachable while retaining the adhesive force, the adhesive tape 18 must be attached onto the film 20 which can be used as a release paper of the adhesive tape. The release paper film 20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portion 14 of the bag (1). Such release paper film may be a vinyl used as a release paper. Moreover, the adhesive tape handle 22 is provided in the corner of the adhesive tape 18 so that the adhesive tape 18 may be easily detach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part 14.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드릴 작업시에는 접착 테이프(18)는 탈착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벽에 부착된다. 배면부(14)의 바깥쪽면에 부착되는 접착 테이프(18)의 부분은 드릴 작업이 요구되는 벽의 위치에 부착되는 부분이다. 접착 테이프(18)를 벽에 부착한 후 드릴 작업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접착 테이프는 연필 또는 수성 또는 유성 펜으로 표시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또는 이와 별도로 접착 테이프를 투명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접착 테이프는 필기구로 표시될 수 있는 재질로 된 투명 테이프이거나 필기구로 표시될 수 없는 재질로 된 투명테이프일 수 있다. 접착 테이프가 투명 재질로 된 경우에는 그 위에 필기구로 표시를 할 수 없더라도 해머드릴 작업을 할 벽의 위치에 표시를 하고 그 위에 투명 접착 테이프를 부착하면 드릴 작업 위치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3, in the drilling operation, the adhesive tape 18 is attached to the wall in a detached and unfolded state. The portion of the adhesive tape 18 attached to the outer side of the back portion 14 is the portion attached to the position of the wall where the drill operation is required. After attaching the adhesive tape 18 to the wall, the adhesive tape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marked with a pencil or an aqueous or oily pen to indicate the drill working position. In this regard, or separately, the adhesive tape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In other words, the adhesive tape may be a transparent tap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represented by a writing instrument or a transparent tape made of a material that cannot be represented by a writing instrument. If the adhesive tape is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even if it is not possible to mark with writing instruments on it, mark the position of the wall where the hammer drill will be done and attach the transparent adhesive tape on it so that the worker can check the drill working position visually. .

도 4는 도 1의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를 사용하여 해머드릴 작업을 하는 사용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먼저, 본 발명의 집진 봉투를 해머드릴 작업을 할 벽의 위치에 부착한다. 이것은 접착 테이프 손잡이(22)를 잡아 당겨서 접착 테이프(18)를 도 3 및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펼친 후 원하는 벽의 위치에 부착함으로써 수행된다. 그런 후 작업자는 접착 테이프(18) 상에 해머드릴 작업을 할 위치에 표시를 하고 이어서 해머드릴로 구멍을 뚫음으로써 해머드릴 작업을 수행한다. 그러면, 해머드릴 작업 동안 발생하는 부스러기는 천공 위치 바로 아래에 형성된 집진 봉투의 수납 공간으로 떨어져 수집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집진 봉투를 사용함으로써 해머드릴 작업 동안에 발생하는 부스러기 및 먼지의 청소 작업이 해머드릴 작업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집진 봉투에서는 정면부와 배면부가 직접 맞닿아 있어 바닥부가 가장자리로 형성되어있으므로 개방된 가상의 상부면은 약간 아래로 경사지게 된다. 이러한 경사에 의하여, 봉투의 수납 공간 바로 위에 구멍을 뚫더라도 작업자의 손 및 해머드릴이 봉투에 접촉하여 봉투의 수납 공간이 변형되어 부스러기가 봉투 바깥으로 떨어지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사는 해머드릴 작업시에 봉투의 정면부의 상부와 작업자의 손 또는 해머드릴이 접촉하지 않게 하는 정도이면 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경사는 5~45도 정도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30도 정도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경사각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효과가 미미하고 경사각이 너무 큰 경우에는 부스러기가 봉투밖으로 떨어질 수 있다.Figure 4 shows the use of the hammer drill operation using the dust collecting bag for the drill operation of FIG. As shown in Fig. 4, the operator first attaches the dust collecting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osition of the wall where the hammer drill operation is to be performed. This is done by pulling the adhesive tape handle 22 to unfold the adhesive tape 18 as shown in FIGS. 3 and 4 and then attach it to the desired wall location. Then, the worker performs the hammer drill operation by marking the position where the hammer drill operation is to be performed on the adhesive tape 18 and then drilling a hole with the hammer drill. Then, debris generated during the hammer drilling operation is collected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dust collecting bag formed just below the punching position. Therefore, by using the dust collecting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work of the debris and dust generated during the hammer drill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hammer drilling oper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dust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part and the back part are direct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bottom part is formed as an edge, so that the opened virtual upper surface is slightly inclined downward. By this inclination, even if a hole is drilled directly above the storage space of the envelope, the operator's hand and the hammer drill contact the envelope so that the storage space of the envelope is deformed so that debris does not fall out of the envelope. Therefore, the inclination may be such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ag and the operator's hand or the hammer drill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during the hammer drill operation. Typically, such a slope may have a range of about 5 to 45 degrees, and preferably may have a range of about 10 to 30 degrees. If the angle of inclination is too small, the above-described effect is insignificant, and if the angle of inclination is too large, debris may fall out of the envelope.

한편, 본 발명의 집진 봉투에 적용되는 접착 부재(접착 테이프)를 집진봉투의 배면부의 안쪽면으로부터 바깥쪽면에 걸쳐 형성하는 대신에 배면부의 어느 한쪽 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한 예를 도 5 내지 7에 나타내었다.On the other hand, the adhesive member (adhesive tape) applied to the dust collecting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n either side of the back portion instead of being formed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of the rea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bag. Such an example is shown in FIGS. 5 to 7.

도 5는 접착 테이프를 배면부의 안쪽면에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18)는 배면부(14)의 안쪽면(14')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착 테이프(18)는 사용시에 벽 등에 접착되기 위하여 배면부(14)의 안쪽면에 부착되는 부분과 이 배면부 안쪽 부착 부분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접착 테이프(18)의 연장부분은 사용시에 벽 등에 접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접착 테이프(18)의 연장부분은 통상의 이형지(20)로 보호된다.5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adhesive tap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back portion. As shown in FIG. 5, the adhesive tape 18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14 ′ of the back portion 14. This adhesive tape 18 is composed of a portion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4 and a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inner portion attached to the rear portion so as to be adhered to a wall or the like in use. The extended portion of the adhesive tape 18 is a portion that is adhered to a wall or the like in use. And the extended part of the adhesive tape 18 is protected by the normal release paper 20. As shown in FIG.

도 6 및 7은 접착 테이프를 배면부의 바깥쪽면에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18)는 배면부(14)의 바깥쪽면(14")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착 테이프(18)는 배면부(14)의 바깥쪽면에 부착되는 부분과 이 배면부 바깥쪽 부착 부분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접착 테이프(18)의 연장부분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머드릴로 벽의 천공할 위치를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접착테이프(18)는 통상의 이형지(20)로 보호된다. 한편, 도 7에서는 접착 테이프(18) 전체가 배면부의 바깥쪽에 부착되어 있어 연장부분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이 도 6과의 차이이다.6 and 7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adhesive tap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portion. As shown in Fig. 6, an adhesive tape 18 is formed on the outer side 14 "of the rear part 14. This adhesive tape 18 is attached to the outer side of the rear part 14 and this rear part. And an extension of the adhesive tape 18,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to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wall to be drilled with a hammer drill as described above. The tape 18 is protected by a normal release paper 20. On the other hand, in Fig. 7, the whole adhesive tape 18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back portion, and has no extension.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접착 부재를 접착 테이프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접착 테이프와 특성에서 별 차이를 보이지 않는 접착 부재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분적인 접착 영역을 가지는 접착 테이프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접착 부재에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adhesive memb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an adhesive tape as an example, an adhesive member that does not show a difference in characteristics from the adhesive tape may also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n adhesive tape having a partial adhesive region may also be included in the adhesive memb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한번 사용하여 집진 봉투의 접착 테이프의 접착력이 소실된 경우에 접착력이 소실된 부분을 잘라내고 그곳에 새로운 일반 접착 테이프 또는 투명 접착 테이프를 연결하여 재생할 수 있고, 그렇게 재생된 집진 봉투를 벽 등에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재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tape of the dust collecting bag is lost by using it once, it is possible to cut out the portion where the adhesive force is lost and connect it with a new ordinary adhesive tape or a transparent adhesive tape to reproduce it, and attach the recycled dust collecting bag to the wall It can be recycled by using.

본 발명은 드릴 작업시에 발생하는 부스러기를 수집할 수 있는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집진 봉투를 사용하여 드릴 작업을 함으로써 후속적인 별도의 부스러기나 먼지 제거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드릴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집진 봉투의 형상을 드릴 작업에 편리하도록 특별하게 형성하고 또한 접착 테이프를 필기구로 표시할 수 있는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드릴로 뚫을 구멍의 위치를 표시하여 작업시 정확도를 기할 수 있고, 드릴 작업시에 작업자의 손 또는 드릴이 봉투에 접촉하여 봉투의 변형을 일으킴으로써 봉투 밖으로 부스러기가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ng bag for a drill operation that can collect debris generated during the drilling operation. By drilling using the dust collecting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rilled without the need to perform subsequent separate debris or dust removal work can be improved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dust collecting bag is specially formed to be convenient for drilling, and the adhesive tape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marked with a writing instrument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hole to be drilled, thereby improving accuracy during the work. The operator's hand or drill will contact the envelope and cause deformation of the envelope so that debris does not fall out of the envelope.

Claims (14)

삭제delete 상면부가 개방되어 있어 상기 상면부를 통하여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정면부, 배면부, 두 개의 측면부 및 바닥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봉투 골격과 상기 배면부에 형성된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에 있어서,Dust collection for a drill work in which an upper surface part is opened and a storage space for storing objects therein includes an envelope skeleton formed by a front part, a back part, two side parts and a bottom part and an adhesive member formed on the back part. In the envelope,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배면부의 수납공간쪽 면(안쪽면)으로부터 상기 배면부의 수납공간 반대쪽 면(바깥쪽면)에 걸쳐 형성된 접착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And said adhesive member is an adhesive tape formed from an accommodating space side (inside) of said back portion to an accommodating space opposite side (outer side) of said accommodating spac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접착 테이프는 상기 배면부의 상기 안쪽면에서는 접착력을 보유한 상태로 탈착되지 않도록 강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배면부의 상기 바깥쪽 면에서는 접착력을 보유한 상태로 탈착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The adhesive tape is strong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so as not to be detached in the state of holding the adhesive for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portion is attached to be detachably detachable in the state of holding the adhesive force. Dust collection envelo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접착 테이프는 상기 배면부의 바깥쪽 면에서 상기 접착 테이프를 상기 배면부의 바깥쪽면으로부터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And said adhesive tape has a handle for facilitating detachment of said adhesive tape from the outer surface of said back portion at the outer surface of said back porti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접착 테이프는 연필 또는 수성 또는 유성 펜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The adhesive tape is a dust collecting bag for a drill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made of a pencil or an aqueous or oil pe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접착 테이프는 투명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The adhesive tape is a dust collecting bag for a drill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parent ta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2-0020410A 2002-04-15 2002-04-15 Dust or debris collecting envelope for drilling work using drill or hammer drill KR1004524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410A KR100452425B1 (en) 2002-04-15 2002-04-15 Dust or debris collecting envelope for drilling work using drill or hammer dri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410A KR100452425B1 (en) 2002-04-15 2002-04-15 Dust or debris collecting envelope for drilling work using drill or hammer dri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944A KR20030081944A (en) 2003-10-22
KR100452425B1 true KR100452425B1 (en) 2004-10-12

Family

ID=3237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410A KR100452425B1 (en) 2002-04-15 2002-04-15 Dust or debris collecting envelope for drilling work using drill or hammer dri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42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125B1 (en) * 2009-07-07 2012-01-20 강현욱 Exterior case for touch screen mobile phone
SE541419C2 (en) * 2016-10-13 2019-09-24 Dustzero Sweden Ab Drill dust receptacle and blank therefo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4038A (en) * 1989-07-21 1991-03-08 Yoshiaki Urabe Car of publicity
US5911324A (en) * 1998-07-23 1999-06-15 Hammer; Alan J. Debris catching pouch
US5915839A (en) * 1998-01-29 1999-06-29 Dennis; Hugh A. Dust bag
KR19990037639U (en) * 1998-03-10 1999-10-15 이현학 Adhesive garbage bag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4038A (en) * 1989-07-21 1991-03-08 Yoshiaki Urabe Car of publicity
US5915839A (en) * 1998-01-29 1999-06-29 Dennis; Hugh A. Dust bag
KR19990037639U (en) * 1998-03-10 1999-10-15 이현학 Adhesive garbage bags
US5911324A (en) * 1998-07-23 1999-06-15 Hammer; Alan J. Debris catching pou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944A (en) 200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1123A (en) Dust collector adaptor for electric drills
US6647652B1 (en) Display board system
US5911324A (en) Debris catching pouch
US4723821A (en) Drawing display board attachment for tool boxes
KR100452425B1 (en) Dust or debris collecting envelope for drilling work using drill or hammer drill
GB2341334A (en) Collection device for drilling debris
USD488729S1 (en) Multi-purpose hand tool that includes tape measure, chalk line, level, angle replicator, and plumb bob in side compartment
US6648051B1 (en) Foldable dry erase surface
DE60300073D1 (en) Packaging with a folding side wall for pulling out a leaflet
GB2274706A (en) A drill dust collector
GB2433045A (en) Apparatus for catching dust
CN109996649B (en) Dust drilling container and blank therefor
EP0329204A1 (en) Envelope for catching drillings
CN205547765U (en) Construction cost budgeting toolbox
RU166616U1 (en) CAPACITY FOR THE COLLECTION OF SMALL CONSTRUCTION WASTE
CN210311671U (en) Article board is put with folding to fine arts drawing board
GB2348159A (en) Drilling debris collector
CN216464522U (en) Toolbox for construction engineering cost
JP3072959U (en) Portable writing board
CN207747661U (en) A kind of Foldable drawing board
EP1417047A1 (en) Dust collector
KR200245113Y1 (en) Splay tray and Splay guard
CN218698699U (en) Tool box
JP6810979B1 (en) Workbench and workbench assembly kit
CN213167569U (en) Art supplies stora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