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1706B1 - 양초 및 양초 케이스 - Google Patents

양초 및 양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706B1
KR100451706B1 KR10-2002-0032205A KR20020032205A KR100451706B1 KR 100451706 B1 KR100451706 B1 KR 100451706B1 KR 20020032205 A KR20020032205 A KR 20020032205A KR 100451706 B1 KR100451706 B1 KR 100451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ck
candle
container
paraffin
can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3644A (ko
Inventor
김훈
김위
Original Assignee
김훈
김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훈, 김위 filed Critical 김훈
Publication of KR2002009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7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2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양초 및 양초 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초는, 파라핀이 수용된 용기, 용기 내의 대략 중앙부에 입설된 심지, 심지를 고정하도록 용기 내에 설치된 심지고정대, 용기의 상부측에,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을 올려 녹일 수 있도록 설치되며, 중앙부에 심지인출공이 형성되고, 심지인출공의 주변에는 녹은 파라핀액을 용기로 흘러 내리게 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열판 및 심지를 둘러싸는 모양으로 세로로 배열되는 다수의 보조심지를 구비한다. 열판 위에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 등을 올려놓으면 이들이 녹으면서 액체 파라핀화 되어 용기 내부로 흘러 들어가 심지에 공급되므로,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 등을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재활용이 가능한 양초 및 재활용에 필요한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양초 케이스는 양초를 수납하는 수용부 및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저장부를 갖는 본체와 본체의 일측으로 회동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커버를 구비한다. 이러한 양초 케이스는 어느 장소에서든지 양초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양초 및 양초 케이스{A candle and a candle case}
본 발명은 양초 및 양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라핀(Paraffin)을 보충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양초 및 어느 장소에서든지 양초의 용이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양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초를 사용하다 보면, 촛농이 흘러내려 굳은 파라핀 조각들 및 심지가 빠져버리거나 모양이 변형되어 못쓰게 되는 폐양초 조각들이 많이 생기게 된다. 종래에는 이들을 재활용할 수 있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그냥 폐기 처분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런 결과로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양초의 원료인 파라핀이 고가인 점을 감안하면 경제적 손실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컵의 내부에 파라핀을 주입하여 성형한 컵형 양초에서는 촛농이 흘러내리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므로 양초를 어느 정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는 있으나, 이 경우에도 심지의 길이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심지가 다 타버리고 나면 더 이상 양초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컵 자체를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양초의 용도가 과거 실내의 조명으로 사용되었던 것과는 달리 현재에는 일종의 장식으로서 실내의 분위기를 연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미적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부재를 갖춘 양초가 요구된다.
야외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양초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양초 이외에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 및 교체용심지등을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어야 하는 데 이들을 각각의 용기 내지는 저장부에 넣고 다닌다면 번거로움과 불편함의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재활용이 가능한 양초를 어느 장소에서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양초,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 및 교체용 심지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저장부를 구비한 양초 케이스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 등을 보충하고 심지의 길이를 연장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한 양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양초에 미적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미감부재가 추가된 양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느 장소에서나 상기 발명인 양초를 사용할 수 있도록 양초 및 양초 사용에 필요한 부대물이 함께 수용될 수 있는 양초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예인 양초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예인 양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예인 양초의 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미감부재가 더 포함된 본 발명의 양초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a는 덮개와 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바람막이부재와 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양초 케이스를 도시한 평면도,
도 7a는 양초 케이스의 사용상태의 일예를 도시한 투시도, 그리고
도 7b는 바람막이판이 본체에 보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심지고정대 21 : 출입공
30 : 보조심지 40 : 심지
50 : 열판 52 : 심지인출공
53 : 가이드 54 : 관통공
80 : 미감부재 110 : 바람막이부재
120 : 본체 130 : 커버
190 : 바람막이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초는, 파라핀이 수용된 용기; 용기 내의 대략 중앙부에 입설된 심지; 심지를 고정하도록 용기 내에 설치된 심지고정대; 및 용기의 상부측에,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을 올려 녹일 수 있도록 설치되며, 중앙부에 심지인출공이 형성되고, 심지인출공의 주변에는 녹은 파라핀액을 용기로 흘러 내리게 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열판;을 갖는다.
심지는 심지고정대 내부에 나선형으로 감겨져 수용되고, 또한 심지고정대에는 심지를 둘러싸는 모양으로 세로로 배열되는 다수의 보조심지가 설치된다.
열판은 심지인출공의 외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를 가지며, 열판의 표면은 외곽으로부터 가이드 방향으로 갈수록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심지고정대는 상,하면이 절단된 구형이며, 그 좌,우측면에는 파라핀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출입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양초는, 열판 위에 올려지며, 문자, 그림, 무늬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안이 형성되어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이 녹을 때 도안이 표출되는 미감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초의 미사용시에 용기를 덮는 덮개 및 용기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바람막이부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용기의 상단 둘레에는 덮개 및 바람막이부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지지하는 가이드가 형성된다. 양초의 촛불로 인한 심미감 조성을 위하여 바람막이부재는 투명, 반투명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라핀이 수용된 용기; 용기 내의 대략 중앙부에 입설된 심지; 심지를 고정하도록 용기 내에 설치된 심지고정대; 및 용기의 상부측에,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을 올려 녹일 수 있도록 설치되며, 중앙부에 심지인출공이 형성되고, 심지인출공의 주변에는 녹은 파라핀액을 용기로 흘러 내리게 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열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의 케이스로서, 양초가 수납되는 수용부를 갖는 본체; 및 본체의 일측에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를 갖는다.
커버는 내측으로 거울이 부착되고, 본체는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 및 교체용 심지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저장부을 갖는다.
양초 케이스는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입설되는 바람막이판을 갖고, 본체와 커버가 연결된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에 바람막이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홈이 형성되고, 바닥과 접하는 본체의 하부에는 바람막이판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가 마련된다.
본 발명인 양초 및 양초 케이스에 따르면,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 등을 보충하고 심지의 길이를 연장함으로써 양초의 재활용이 가능하고, 이러한 양초에 미적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미감부재가 추가되어 심미감이 조성되며, 어느 장소에서나 용이하게 재활용이 가능한 양초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양초 및 양초 케이스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양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다른 일예의 심지고정대와 심지 및 보조심지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초는 용기(10), 심지(40), 보조심지(30), 심지고정대(20) 및 열판(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용기(10) 내부에는 파라핀(60)이 충진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10)는 쉽게 깨지지 않는 다양한 형상의 도자기류이거나, 종래의 컵형 양초에 사용되는 컵이다.
심지(40)는 잘 풀려질 수 있도록 가운데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며 나선형으로감겨지며, 그 전체 길이는 3미터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심지(30)는 심지를 둘러싸는 모양으로 세로로 배열되어 있는데, 촛불(70)에서 열판(50)으로, 열판(50)에서 심지고정대(20)로 전달된 열에 의해 녹아 액체화된 파라핀(60)을 흡수하여 심지(40)로 전달한다. 또한, 심지(40)가 심지고정대(20)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심지(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심지(30)의 지지역할의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해 보조심지(30)는 심지고정대(20)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형성된다. 한편, 불꽃(60)으로부터 전달된 열에 의하여, 심지고정대(20) 주위의 파라핀(60)도 액체화된다. 관통공(54)을 통하여 용기(10) 내부로 흘러 들어간 액체 파라핀은 심지고정대(20) 주위의 액체 파라핀과 합쳐져 출입공(21)을 통해 심지고정대(20) 내부로 흘러 들어간다. 이렇게 흘러 들어간 액체 파라핀은 보조심지(30)에 의해 흡수되어 심지(40)에 전달되게 된다.
심지고정대(20)는 상하가 잘려나간 타원의 구형, 즉 달걀 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좌우측면에는 용기(10)와의 사이에서 파라핀(60)이 소통될 수 있도록 출입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외에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지고정대(2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측면에는 파라핀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출입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심지고정대(20')의 내부에는 심지(40) 및 보조심지(30)가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심지고정대(20')는 양초의 불꽃(60)으로부터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열전도도가 좋은 금속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판(50)은 심지(40)의 끝단이 노출될 수 있도록 그 중앙부에 형성된 심지인출공(52)과, 심지인출공(52)의 외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53)를 구비한다.
열판(50)은 그 표면(51)이 외곽로부터 가이드(53)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열판 표면(51)과 가이드(53) 사이의 경계면과, 열판 표면(51) 자체에는 다수의 관통공(54)이 형성된다. 열판(50)은 심지고정대(20)와 마찬가지로 불꽃(60)으로부터의 열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열전도도가 좋은 금속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열판(50)은 그 하면이 심지고정대(20)의 상단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심지(40)에 불을 붙이면, 가이드(53)가 불꽃(60)의 외염과 근접되어 있으므로 불꽃(60)에서 발생된 열은 열판(50)으로 전달되고, 열판(50)과 심지고정대(20)가 접촉되어 있으므로 심지고정대(20)에도 그 열이 전달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양초에서, 심지(40)가 점화되어 있는 동안 열판 표면(51)에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 등을 올려놓으면, 불꽃(60)으로부터 열판(50)에 전달된 열에 의해 폐양초 조각이 녹으면서 액체 파라핀으로 변화되며, 이 액체 파라핀이 경사진 열판 표면(51)을 따라 심지인출공(52) 방향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액체 파라핀은 이렇게 심지인출공(52) 방향으로 흘러가면서 관통공(54)을 통하여 용기(10) 및 심지고정대(20) 내부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 등은 열판 표면(51)과의 접촉부위에서부터 녹게 되므로, 액체 파라핀과 함께 심지인출공(52) 방향으로 미끄러지다가, 가이드(53)에 걸리게 되므로 이러한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 등에 의해 심지(40)가 덮여 불꽃(60)이 소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 등을 보충하여 양초를 계속 사용하다 보면, 심지인출공(52) 밖으로 인출된 심지(40)가 모두 타버리게 된다. 이런 경우에, 심지(40)를 잡아당기면,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는 부분이 풀리면서 타지 않은 새로운 부분이 심지인출공(52) 밖으로 나오게 된다. 또한, 심지(40)가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기 때문에, 심지(40)의 심지인출공(52)로부터의 노출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불꽃(50)의 크기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심지인출공(52)의 지름, 즉 가이드(53) 내경의 지름은 불꽃(60)의 크기와 형태를 정상적인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는 크기여야 하는데, 실험결과에 의하면, 심지인출공(52)의 지름은 20m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미감부재가 더 포함된 본 발명의 양초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5a는 덮개와 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b는 바람막이부재와 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미감부재(80)는 문자, 그림, 무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안(85)이 형성되어 있는 데, 이러한 도안(85)은 처음부터 인쇄되어 있는 것도 있고, 직접 사용자가 도안(85)을 그려넣을 수 있는 것도 있다.
열판(50) 위에 설치된 미감부재(80) 위에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을 올려 놓으면 촛불로 인해 열판(50)이 가열되고 따라서 가열된 열판(50) 위에 올려진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은 녹아 액체화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에 의해 가려져 있었던 미감부재(80)는 파라핀액을 투과하여 그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도안(85)을 드러내게 된다. 미감부재(80)의 미감 표출은 촛불로부터 열판(50)으로의 열 전달에 기초하여 이루어 지므로 미감부재(80)는 열 전달에 방해가 되지 않은 재질이 바람직하다. 미감부재로는 형광용지, 색종이, 셀로판지 등이 있다.
도 5a에는 양초의 미사용시에 용기의 상부를 덮는 덮개 및 덮개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된 가이들를 구비한 용기가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100)는 용기(10)의 상부 둘레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덮개(90)는 가이드(100)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내측이 단부(95)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덮개(90)를 지지하는 가이드(100)는 야외에서의 양초 사용시 바람에 의한 불꽃의 소화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바람막이부재(110)를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바람막이부재(110)와 용기(1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는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바람막이부재(110)는 용기(10)에 맞도록 그 모양이 결정되는데, 원통형, 직육면체형 등이 있다.
한편, 바람막이부재(110)는 촛불의 소화 방지 역할 이외에도 양초 사용시의 심미감 조성의 역할도 가능하므로 재질로는 투명, 반투명 등의 재질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양초 케이스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a는 양초 케이스의 사용상태의 일예를 도시한 투시도이며, 도 7b는 바람막이판이 본체에 보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양초 케이스는 양초가 수납되는 수용부(180),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을 수용하는 저장부(160) 및 교체용 심지를 수용하는 저장부(150)를 구비한 본체(120)와 본체의 일측으로 회동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커버(130)를 갖는다. 양초 수용부(180)의 둘레에는 커버(130)와 연결된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으로 바람막이판(19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홈(17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홈(170)은 양초 수용부(180) 둘레에 형성되지 아니하고 본체(120)의 둘레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커버(130)의 내측에는 거울(140)이 부착될 수도 있는데, 이는 불빛의 반사효과를 주어 사용자에게 심미적 만족감을 제공하고, 여성 사용자가 화장을 하거나 옷매무새를 단정히 하는데 도움을 준다.
바람막이판(190)은 휴대를 용이하게 위해 양초 케이스의 본체(120) 하부에 보관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바닥과 접하는 본체(120) 하부에는 바람막이판(190)의 보관부(200)가 구비되어 있다. 이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양초 케이스는 양초의 연소 동안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고, 바람이 있는 곳에서의 사용시 본체(120) 하부에 마련된 보관부(200)에서 바람막이판(190)을 꺼내어 이를 양초 수용부(180) 둘레에 설치함으로써 바람에 의한 촛불의 소화를 방지한다. 즉, 사용자는 재활용이 가능한 양초를 어느 장소에서든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판 위에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 등을 올려 놓으면 이들이 녹으면서 액체 파라핀화 되어 용기 내부로 흘러 들어가 심지에 공급되므로,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 등을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심지가 심지고정대 내부에 나선 형상으로 감겨져 있으므로, 심지노출공 밖으로 노출된 심지의 일단이 타버리면 타지 않은 새로운 부분을 끌어 올림으로써 양초를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심지노출공 밖으로 노출된 심지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불꽃의 크기를 원하는 양만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미감부재가 더 추가되어서 사용자에게 심미적 만족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재활용이 가능한 양초 및 재활용에 필요한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 및 교체용 심지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양초 케이스는, 어느 장소에서든지 양초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양초 사용시 각각의 물건들을 따로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없애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2)

  1. 파라핀이 수용된 용기;
    상기 용기 내에 입설된 심지;
    상기 심지를 고정하도록 상기 용기 내에 설치된 심지고정대; 및
    상기 용기의 상부측에,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을 올려 녹일 수 있도록 설치되며, 중앙부에 심지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심지인출공의 주변에는 녹은 파라핀액을 상기 용기로 흘러 내리게 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상기 심지조정대 내부에 나선형으로 감겨져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고정대 내부에는 상기 심지를 둘러싸는 모양으로 세로로 배열되는 다수의 보조심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판은 상기 심지인출공의 외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를 가지며, 상기 열판의 표면은 외곽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방향으로 갈수록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고정대는 상,하면이 절단된 통형이며, 그 좌,우측면에는 상기 파라핀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출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판 위에 올려지며, 문자, 그림, 무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안이 형성되어 상기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이 녹을 때 상기 도안이 표출되는 미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양초의 미사용시 상기 용기를 덮는 덮개 및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바람막이부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의 상단 둘레에는 상기 덮개 및 상기 바람막이부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지지하는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막이부재는 투광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9. 파라핀이 수용된 용기; 상기 용기 내의 대략 중앙부에 입설된 심지; 상기 심지를 고정하도록 상기 용기 내에 설치된 심지고정대; 및 상기 용기의 상부측에,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을 올려 녹일 수 있도록 설치되며, 중앙부에 심지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심지인출공의 주변에는 녹은 파라핀액을 상기 용기로 흘러 내리게 하기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열판;을 포함하는 양초의 케이스로서,
    상기 양초가 수납되는 수용부를 갖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케이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내측으로 거울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케이스.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폐양초나 파라핀 조각 및 교체용 심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저장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케이스.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입설되는 바람막이판을 갖고,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가 연결된 일측을 제외한 상기 본체의 나머지 측면에 상기 바람막이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홈이 형성되고, 바닥과 접하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바람막이판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을 하는 양초 케이스.
KR10-2002-0032205A 2001-06-09 2002-06-08 양초 및 양초 케이스 KR100451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32293 2001-06-09
KR1020010032293 2001-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644A KR20020093644A (ko) 2002-12-16
KR100451706B1 true KR100451706B1 (ko) 2004-10-08

Family

ID=27708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205A KR100451706B1 (ko) 2001-06-09 2002-06-08 양초 및 양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17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263B1 (ko) * 2008-10-29 2009-11-05 박상력 화재 방지용 촛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2495B2 (en) 2010-04-20 2014-11-11 Catalina Navarro Environmentally friendly packaging assembly and a candle embodying the same
KR102014422B1 (ko) * 2017-06-12 2019-08-26 정민시 부착 가열용 촛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8427A (ja) * 1982-03-15 1983-09-20 Showa Spring Kk 自動消火機構
KR19990054796A (ko) * 1995-11-10 1999-07-15 서정탁 안전양초
KR19990038013U (ko) * 1998-03-09 1999-10-15 이수훈 리필과 재활용이 가능한 업소용 오일램프
KR19990038855U (ko) * 1998-12-01 1999-11-05 이수훈 장식용 캔들의 심지지지용 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8427A (ja) * 1982-03-15 1983-09-20 Showa Spring Kk 自動消火機構
KR19990054796A (ko) * 1995-11-10 1999-07-15 서정탁 안전양초
KR19990038013U (ko) * 1998-03-09 1999-10-15 이수훈 리필과 재활용이 가능한 업소용 오일램프
KR19990038855U (ko) * 1998-12-01 1999-11-05 이수훈 장식용 캔들의 심지지지용 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263B1 (ko) * 2008-10-29 2009-11-05 박상력 화재 방지용 촛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644A (ko) 200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61702A (en) Internally illuminated candle
US5193994A (en) Candle with a floating wick support
US7467944B2 (en) Candle assembly including a fuel element and a wick holder
US7329839B2 (en) Cover for a candle warmer
US4937701A (en) Safety device for burning candles
US4511952A (en) Fluid lamp assembly
WO2001046618A1 (en) Melting plate candles
JPH11511234A (ja) パラフィンランプ
US6886959B2 (en) Illumination assembly
KR100451706B1 (ko) 양초 및 양초 케이스
US6638060B1 (en) Everlasting candle
US20080227043A1 (en) Disposable, floating, flame heated wax melting plate for confined and unconfined conventional candles and attachment method for use in candle making
WO2008061293A1 (en) Candle system
US4084086A (en) Solid fuel lamp
US6264345B1 (en) Drip preventing candle holder with decorative follower providing auxiliary illumination
US6511314B2 (en) Decorative candle and oil lamp assembly
KR102066037B1 (ko) 광 생성 장치
KR20170003765U (ko)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
EP1025391B1 (en) Candles
EP1151225A1 (en) Candle holders and followers for drip prevention, fragrance dispensing and auxiliary illumination
KR200325073Y1 (ko) 2차광원과 렌즈를 이용한 투사형 스탠드 조명장치
EP1254339B1 (en) Candle lantern protective hood
CA2392084A1 (en) Everlasting candle
KR200257842Y1 (ko) 양초 케이스
KR20000018572U (ko) 양초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