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0445B1 - 토목 및 도로에서의 이형 규격 급,배수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토목 및 도로에서의 이형 규격 급,배수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0445B1
KR100450445B1 KR10-2001-0041033A KR20010041033A KR100450445B1 KR 100450445 B1 KR100450445 B1 KR 100450445B1 KR 20010041033 A KR20010041033 A KR 20010041033A KR 100450445 B1 KR100450445 B1 KR 100450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ll surface
connecting device
connection
draina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1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8874A (ko
Inventor
민병이
Original Assignee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1-0041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0445B1/ko
Publication of KR20010088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4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로관으로 널리 사용되는 콘크리트 흄관,PE보강 나선관등에서 시공 현장에 따라 이형 규격 사이의 연결용 거푸집으로서 특히 시공 현장의 구조에 따라 연결 부위의 사용에 용이하도록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인의 선 고안출원된 실용 출원 제98-8079호에 대한 개량출원으로서 배수로관의 연결 부위 보강 및 서로 다른 규격의 연결을 위하여 엘보등을 별도로 사용하거나 견고성, 누수성등이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들의 해결과 현장 사용에 용이하도록 안출된 것으로 현장 시공할 경우 배수관로 용으로 토양을 더 파기 위하여서 조립시켜 주는 배수로관(9)의 접속 부위의 조립대(3)를 양측 부위에 구성하되 연결 부위는 파형지지대(5)와 융착점(4)을 나선권회로 내외측벽면의 일정 간격을 유지시켜 내측 벽면에 연결할려고 하는 작은 규격의 외측벽면에 삽입하여 고정하되 사이사이에 시멘트 몰탈투입구(7)를 구성시켜서 된 발명으로 시멘트 몰탈(10)을 투입공간(가)에 충진시켜 일정 시간 양생시켜 준 후 주위의 더파기된 토양으로 되뫼움 시켜 주도록 구성된 제품으로서 이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발명으로 시공 현장에서 만곡 각도와 이형규격의 연결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토목 및 도로에서의 이형 규격 급,배수관 연결장치{omitted}
본 발명은 배수로관용으로 주로 널리 사용되는 콘크리트 흄관과 배수로관의 연결용 거푸집으로서, 특히 시공 지형상 배수관로 연결구조로 변형시켜 주면서 완전누수 차단되는 방법을 제공하는 토목 및 도로에서의 이형 규격 급,배수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일반적으로 토목공사 등에서 널리 사용하는 콘크리트 흄관, PE보강나선관 등은 경질제품이므로 시공현장의 조건에 따라 배수관로를 굽히거나 이형규격 연결구간이 종종 현성되는 바, 종래에는 엘보 및 레듀사등을 제조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는 제조 공정의 굽힘부분이나 이형규격 연결할 경우 별도로 후가공하여 주지만 견고성 등에 문제가 상존되는 바, 본 발명은 시멘트 몰탈 드의 보강제를 삽입시켜 일정시간 양생시켜 준 후 되뫼움하여 주도록 구성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수로관에서 이형규격 연결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흄관, PE보강 나선관, 기타 배수로관 등의 이형규격 연결 작업하는 시공현장에서 연결 배수로관의 규격차이에 관계없이 적절히 조절되면서 외토압 보강, 완전누수 방지등을 해결하며, 또 배수관로 방향이 직선일 뿐만 아니라 이형규격의 연결 및 T연결관으로서 본 발명의 연결장치용 거푸집에 파형구조와 접합부를 형성시켜 배수로관의 연결조립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를 연결하기 전 상태의 사시도
도2는 도 1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를 연결하고 시멘트 몰탈을 충진한 상태의 일부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5는 도 4의 상태에서 시멘트 몰탈이 충진된 상태의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연결 장치에다 T연결용 연결 장치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
도13은 도12의 일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A,B,C : 연결 장치 3,3' : 조립대
4,4' : 융착점 5,5' : 파형지지대
6,6' : 고정벽 7,7" : 시멘트 투입구
8,8" : 시멘트 삽입구 9,9' : 배수로관
10 : 시멘트 몰탈 14 : 보강대
15 : 철심 16 : 관통구
18 : 외측벽면 18' : 내측벽면
21 : T연결관
본 발명은 배수로관용으로 주로 널리 사용되는 콘크리트 흄관과 배수로관로의 시공구간에 따라 배수로관(9)의 칫수(크기)를 줄이거나 확대시켜 줄 경우가 종종 있는 바, 본 제품은 이에 대한 제품 공급을 위한 발명으로서, 외측벽면과 내측벽면 사이에 나선권회로 파형지지대를 융착점에 의해 융착하고, 상기 외측면의 일측단에는 조립대를 구비하고, 타측단에는 고정벽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벽 측에는 상기 외측벽면과 내측벽면을 관통하는 시멘트 투입구를 간헐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대직경 연결장치와; 상기 대직경 연결장치에 삽입되는 직경으로 외측벽면과 내측벽면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벽면과 내측벽면 사이에는 나선권회로 파형지지대를 융착점에 의해 융착하고, 상기 외측벽면의 일측단에는 조립대를 구비하고, 타측단에는 고정벽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벽 측 외측벽면에는 상기 대직경 연결장치의 시멘트 투입구와 연통하는 시멘트 삽입구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소직경 연결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직경 연결장치와 소직경 연결장치 사이에는 외측벽면과 내측벽면 사이에 나선권회로 파형지지대를 융착점에 의해 융착하고, 상기 외측면의 일측단에는 고정벽과 외측벽을 관통하는 시멘트 삽입구를 형성하며, 타측단에는 고정벽과 외측벽 및 내측벽을 관통하는 시멘트 투입구를 구비하는 중간 연결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파형지지대에는 철심을 삽입하여 구성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본 발명의 대직경 연결장치(A)는 외측벽면(18)과 내측벽면(18')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벽면(18) 일측에는 고정벽(6) 및 상기 외측벽면(18)과 내측벽면(18')을 관통 형성하는 몰탈 투입구(7)를 원주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외측벽면(18)의 타측 끝단에는 배수로관(9)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대(3)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벽면(18)과 내측벽면(18') 사이에는 파형지지대(5)를 융착점(4)에 의해 융착한다.또한, 상기 대직경 연결장치(A)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소직경 연결장치(B) 또한, 외측벽면(18)과 내측벽면(18')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측벽면(18)과 내측벽면(18') 사이에는 융착점(4')에 의해 나선권회로 융착되는 파형지지대(5')가 지지되며, 상기 외측벽면(18)의 일측에는 고정벽(6') 및 상기 외측벽면(18)을 관통하는 시멘트 삽입구(8)를 형성하여 상기 대직경 연결장치(A)의 시멘트 투입구(7)와 연통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소직경 연결장치(B)의 타측 끝단에는 배수로관(9')을 연결하기 위한 조립대(3')를 형성한다.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대직경 연결장치(A)와 소직경 연결장치(B)의 직경 차이가 일정 범위 이상 나게 되면, 중간 연결장치(C)를 사용하여 연결하며, 상기 중간 연결장치(C)는 외측벽면(18)과 외측벽면(18")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벽면(18)과 내측벽면(18') 사이에는 융착점(4")에 의해 융착되는 파형지지대(5")가 나선권회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벽면(18)의 일측단에는 고정벽(6")과 상기 외측벽면(18)을 관통하는 시멘트 삽입구(8")를 형성하며, 타측단에는 또 다른 고정벽(6")을 구비하고 외측벽면(18) 및 내측벽면(18')을 관통하는 시멘트 투입구(7")를 형성한다.따라서, 직경이 다른 이형 규격의 배수로관(9)(9')을 서로 연결하고자 하면, 대직경 연결장치(A)의 고정벽(6) 측에 소직경 연결장치(B)의 고정벽(6') 측을 삽입하여 상기 대직경 연결장치(A)의 시멘트 투입구(7)와 소직경 연결장치(B)의 시멘트 삽입구(8)를 일치시킨다. 그리고, 각각의 조립대(3)(3')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배수로관(9)(9')을 각각 삽입한다.이렇게 연결된 연결장치(A)(B)의 시멘트 투입구(7)에 시멘트 몰탈(10)을 충진시키면, 대직경 연결장치(A)의 외측벽면(18)과 내측벽면(18') 사이에 시멘트 몰탈(10)이 골고로 채워지게 되며, 상기 시멘트 투입구(7)와 연통된 시멘트 삽입구(8)를 통해 소직경 연결장치(B)의 외측벽면(18)과 내측벽면(18') 사이에도 시멘트 몰탈(10)이 채워지게 되며, 연결한 배수로관(9)(9')도 일체로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외측벽면(18)과 내측벽면(18') 사이의 파형지지대(5)(5')에 의해 충진된 시멘트 몰탈(10)이 양생시 더욱 견고하게 된다.그리고, 연결하고자 하는 배수로관(9)(9')의 규격, 즉 직경차가 너무 많이 나서 연결이 원할치 않을 때는 본 발명의 중간 연결장치(C)를 사용하며, 상기 대직경 연결장치(A)의 시멘트 투입구(7)가 구비된 측으로 중간 연결장치(C)의 시멘트 삽입구(8")측을 삽입하여 연통되도록 위치시키며, 시멘트 투입구(7")가 형성된 중간 연결장치(C)의 타측으로는 소직경 연결장치(B)의 시멘트 삽입구(8')가 형성된 측을 삽입하여 연결한다.따라서, 상기 대직경 연결장치(A)의 시멘트 투입구(7)를 통해 시멘트 몰탈(10)을 투입하게 되면, 일부는 대직경 연결장치(A)의 외측벽면(18)과 내측벽면(18') 사이를 충진시키며, 일부는 중간 연결장치(C)의 시멘트 삽입구(8")를 통과하여 중간 연결장치(C)의 외측벽면(18)과 내측벽면(18') 사이를 충진시키고, 다시 일부는 타측의 시멘트 투입구(7")를 통과하여 소직경 연결장치(B)의 시멘트 삽입구(8')를 통해 소직경 연결장치(B)의 외측벽면(18)과 내측벽면(18') 사이를 충진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규격차가 심한 배수로관도 견고하고 간편하게 연결할 수가 있다.이때, 상기 배수로관 연결장치의 내구성 및 배수의 내마모성 보강을 위하여 내측면에 단면이형의 보강대(14)를 일체화 시켜주고, 파형지지대(5)에는 작업성 향상을 위하여 철심(15)을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그리고 본 발명의 T연결관(21)에서는 본 발명의 연결장치(A) 일측에 관통구(16)를 형성하여 본 발명의 연결장치(B)를 조립대(31)로 고정시켜 주고 몰탈(10)로 충진시켜 사용되는 발명으로서 시공하는 배수관로가 굽힘 구간이 아닌 직선 상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또 본 연결 장치의 사용간격 만큼은 배수로관 사용 절약 효과를 기여하는 유용한 발명이며, 이형규격 및 T연결관으로 사용한다.고로 본 발명은 시공 현장에서 공사조건상 엘보우 및 례듀사 사용으로 연결 부위를 시공 할 경우 본 제품 사용으로 견고하고 배수의 누수방지가 보장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되는 효과를 제공되며 또 굽힘각도가 없는 직선 사용시공의 연결장치로도 사용되는 제품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배수로관 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콘크리트 흄관, PE 보강 나 선관, 기타 하수도관, 오폐수관등의 이형규격 연결장치으로서 특히 견고성을 제공하는 제품으로서 내부에 시멘트 몰탈이나 경질 보강 방수제를 충진하므로서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공후 고강도의 내구력이 유지되며 콘크리트 흄관등의 배수로관의 연결부위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도 쉽게 연결작업이 가능하고 연결 부위와 같이 만곡하는 각도 등에 상관없이 간단히 제작 할 수 있어 시공현장의 공사 조건등의 악조건에 적응할 수 있는 것이며, 직선관로 이형 규격 및 T형관로에서도 사용되고 또 본 발명의 제품사용 간격만큼 베수로관 사용이 절약되는 경제성도 제공된다.
따라서 배수로관의 연결부위가 전체적으로 일체화로 견고하게 되므로 하수가 누수되는 일없이 안전하게 시공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경제성 있는 유익한 발명이다.

Claims (7)

  1. 외측벽면(18)과 내측벽면(18') 사이에 나선권회로 파형지지대(5)를 융착점(4)에 의해 융착하고, 상기 외측면(18)의 일측단에는 조립대(3)를 구비하고, 타측단에는 고정벽(6)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벽(6) 측에는 상기 외측벽면(18)과 내측벽면(18')을 관통하는 시멘트 투입구(7)를 간헐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대직경 연결장치(A)와;
    상기 대직경 연결장치(A)에 삽입되는 직경으로 외측벽면(18)과 내측벽면(18')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벽면(18)과 내측벽면(18') 사이에는 나선권회로 파형지지대(5')를 융착점(4')에 의해 융착하고, 상기 외측벽면(18)의 일측단에는 조립대(3')를 구비하고, 타측단에는 고정벽(6')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벽(6') 측 외측벽면(18)에는 상기 대직경 연결장치(A)의 시멘트 투입구(7)와 연통하는 시멘트 삽입구(8)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소직경 연결장치(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도로에서의 이형 규격 급,배수관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연결장치(A)와 소직경 연결장치(B) 사이에는,
    외측벽면(18)과 내측벽면(18') 사이에 나선권회로 파형지지대(5")를 융착점(4")에 의해 융착하고, 상기 외측벽면(18)의 일측단에는 고정벽(6")과 외측벽면(18)을 관통하는 시멘트 삽입구(8")를 형성하며, 타측단에는 고정벽(6")과 외측벽면(18) 및 내측벽면(18')을 관통하는 시멘트 투입구(7")를 구비하는 중간 연결장치(C);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도로에서의 이형 규격 급,배수관 연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지지대(5)에는 철심(15)을 삽입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도로에서의 이형 규격 급,배수관 연결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1-0041033A 2001-07-09 2001-07-09 토목 및 도로에서의 이형 규격 급,배수관 연결장치 KR100450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033A KR100450445B1 (ko) 2001-07-09 2001-07-09 토목 및 도로에서의 이형 규격 급,배수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033A KR100450445B1 (ko) 2001-07-09 2001-07-09 토목 및 도로에서의 이형 규격 급,배수관 연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637A Division KR100490956B1 (ko) 1998-06-17 1998-06-17 토목및도로공사용하수로관연결용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874A KR20010088874A (ko) 2001-09-28
KR100450445B1 true KR100450445B1 (ko) 2004-10-01

Family

ID=19711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033A KR100450445B1 (ko) 2001-07-09 2001-07-09 토목 및 도로에서의 이형 규격 급,배수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04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874A (ko) 200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0445B1 (ko) 토목 및 도로에서의 이형 규격 급,배수관 연결장치
KR19990085346A (ko) 배수로관연결용 거푸집 및 연결장치
KR100490956B1 (ko) 토목및도로공사용하수로관연결용거푸집
KR100426405B1 (ko) 배수로관연결장치
KR100445112B1 (ko)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장치
KR100522572B1 (ko) 건축 및 도로공사에서 만곡성 보강 하수관용 거푸집
KR200268564Y1 (ko)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장치
KR100427612B1 (ko) 이형 규격의 배수로관 연결장치
KR19990041285U (ko) 이형 규격의 배수로관 연결장치
KR100518466B1 (ko) 배수관로용거푸집의연결장치
KR200177905Y1 (ko)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장치
KR200252826Y1 (ko) 배수로관용 연결 장치
KR100637050B1 (ko) 건축 및 도로에서 만곡성 보강 상하수관 연결용 거푸집
KR200216052Y1 (ko) 만곡성 보강 배수로관용 거푸집
KR100594398B1 (ko) 건축 및 도로에서 만곡성 보강 상하수관 연결용 거푸집
KR20090061868A (ko) 관로설치용 아치형 프리캐스트 암거의 조립구조 및 이를이용한 관로설치용 아치형 암거의 시공방법
KR100470531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용 급,배수관의 연결장치
KR200233348Y1 (ko) 맨홀용 거푸집
KR100434597B1 (ko) 수로관용 연결 장치
KR100564058B1 (ko) 상,하수관용 보수 및 보강 장치
KR100447354B1 (ko) 맨홀용 거푸집과 그의 제품
KR100465921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 하수관 안전용 보강장치
KR100518460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의 하수관용 보강 거푸집
KR200248964Y1 (ko) 수로관용 연결 장치
KR20010088875A (ko) 이형규격 배수로관 연결용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