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9845B1 - 탈수소화 반응 대역으로부터의 증기 유출물에서 다핵 방향족 화합물의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탈수소화 반응 대역으로부터의 증기 유출물에서 다핵 방향족 화합물의 제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49845B1 KR100449845B1 KR1019970049542A KR19970049542A KR100449845B1 KR 100449845 B1 KR100449845 B1 KR 100449845B1 KR 1019970049542 A KR1019970049542 A KR 1019970049542A KR 19970049542 A KR19970049542 A KR 19970049542A KR 100449845 B1 KR100449845 B1 KR 1004498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por
- stream
- aromatic compounds
- mononuclear
- multinucle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5/00—Recovery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gases, e.g. natural gas
- C10G5/06—Recovery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gases, e.g. natural gas by cooling or compress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88—Olef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화수소 탈수소화 반응 대역으로부터의 증기 유출물에서 다핵 방향족 화합물을 제거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통상적으로 기체상인 올레핀계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다핵 방향족 화합물을 제거하면서 동시에 단핵 방향족 화합물을 회수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기체상인 탄화수소 탈수소화 반응 대역으로부터의 증기 유출물에서 다핵 방향족 화합물을 제거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화수소의 탈수소화는 중요한 상업적 탄화수소 전환 방법인데, 이는 세정제, 고옥탄가 가솔린, 산화된 가솔린 블렌딩 성분, 제약 제품, 플라스틱, 합성 고무 및 당업계의 숙련가에게 널리 알려진 다른 제품 등과 같은 다양한 화학적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 탈수소화된 탄화수소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고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방법의 일례는 이소부탄을 탈수소화하여 이소부틸렌을 생산하는 것으로, 이소부틸렌은 중합되어 접착제용 점착화제, 모터 오일용 점도-지수 첨가제 및 플라스틱용 내충격성 및 산화방지 첨가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소부틸렌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것에 대한 또다른 예는 자동차 배기물로부터 공기 오염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산소 함유 가솔린 블렌딩 성분의 생산이다.
탄화수소 전환 프로세싱 분야의 숙련가는 파라핀 탄화수소의 촉매 접촉 탈수소화에 의해 올레핀을 생산하는 것에 대한 많은 방법을 알고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430,517호에는 대표적인 탈수소화 방법 및 그에 사용하기 위한 촉매가 개시되어 있다.
파라핀 탄화수소의 탈수소화가 널리 공지되어 있다는 점에도 불구하고, 이 프로세싱 기술의 보다 광범위한 이용과 현존하는 상업적 설비의 보다 간소한 조작은 상기 탄화수소 탈수소화 공정의 생성물 회수 분야에서 발생하는 오염 문제에 흥미를 집중시켰다. 이 문제점은 미량의 다핵 방향족 화합물이 생성되는 것에 기인한다. 또한, 미량의 단핵 방향족 화합물도 생성되는데, 이들은 목적하는 올리핀계 탄화수소 생성물 스트림 중의 바람직하지 않은 불순물로서 간주되므로 제거해야 한다. 단핵 방향족 화합물에는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이 있다. 다핵 방향족 화합물은 바람직하지 않은 불순물일 뿐만 아니라, 이 화합물들이 공장 설비의 냉각기 표면 상에 응축되고 도금될때 오염 및 다른 해로운 결과에 이르는 심각한 조작상의 문제점을 제공한다. 상기 다핵 방향족 화합물의 퇴적물은 제거하기가 곤란하며, 이들은 열 교환기의 효율을 감소시키고 결국 플러깅에 이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탄화수소 프로세싱 분야의 숙련가들은 탈수소화 생산 설비에서 다핵 방향족 화합물의 생성에 의해 생긴 상기 오염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탈수소화 설비에서 단핵 및 다행 방향족 화합물의 동시 생성의 문제점에 대한 간편하고 경제적인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의 간략화된 공정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5,7,9,12,13,15,16,17: 도관 2,10: 열교환기
4: 증기-액체 분리기 6: 분별 대역
8: 스트림 11: 상부 수용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기체상인 올레핀계 탄화수소와 미량의 단핵 및 다핵 방향족 화합물로 이루어진 탄화수소 탈수소화 대역의 증기 유출물로부터 해로운 미량의 다핵 방향족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양태는 (a) 통상적으로 기체상인 올레핀계 탄화수소, 미량의 단핵 방향족 화합물 및 미량의 다핵 방향족 화합물로 이루어진 탄화수소 탈수소화 대역의 증기 유출물을 냉각시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5 중량% 이하를 응축시키는 단계, (b) (a) 단계로부터의 냉각된 스트림을 증기-액체 분리기에 도입하여, 통상적으로 기체상인 올레핀계 탄화수소로 이루어지고 다핵 방향족 화합물의 농도가 감소된 증기 스트림 및 단핵 및 다핵 방항족 화합물로 이루어진 액체 스트림을 생성시키는 단계, (c) 통상적으로 기체상인 올레핀계 탄화수소로 이루어지고 다핵 방향족 화합물의 농도가 감소된 증기 스트림과, 단핵 및 다핵 방항족 화합물로 이루어진 액체 스트림을 별도로 회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탄화수소 탈수소화 대역의 증기 유출물로부터 미량의 다핵 방향족 화합물의 제거 방법으로 특징지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는, (a) 통상적으로 기체상인 올레핀계 탄화수소, 미량의 단핵 방향족 화합물 및 미량의 다핵 방향족 화합물로 이루어진 탄화수소 탈수소화 대역의 증기 유출물을 냉각시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5 중량% 이하를 응축시키는 단계, (b) (a) 단계로부터의 냉각된 스트림을 증기-액체 분리기에 도입하여, 통상적으로 기체상인 올레핀계 탄화수소로 이루어지고 다핵 방향족 화합물의 농도가 감소된 증기 스트림 및 단핵 및 다핵 방항족 화합물로 이루어진 액체 스트림을 생성시키는 단계, (c) (b) 단계에서 회수된 단핵 및 다핵 방항족 화합물로 이루어진 상기 액체 스트림을 분리 대역에서 분리하여 단핵 방향족 화합물이 다량 함유된 액체 생성물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d) (b) 단계로부터의 통상적으로 기체상인 올레핀계 탄화수소로 이루어지고 다핵 방향족 화합물의 농도가 감소된 증기 스트림을 증기 생성물 스트림으로서 회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탄화수소 탈수소화 대역의 증기 유출물로부터 미량의 다핵 방향족 화합물의 제거 방법으로 특징지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통상적으로 기체상인 올레핀계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다핵 방향족 화합물을 제거하면서 동시에 단핵 방향족 화합물을 회수하는 잇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탄화수소 탈수소화 대역의 증기 유출물로부터 미량의 다핵 방향족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통상적으로 기체상인 올레핀계 탄화수소의 생성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파라핀계 탄화수소로는 에탄, 프로판 및 부탄이 있다.
탈수소화 공정에서, 새로운 탄화수소 공급물은 재순환 수소 및 전환되지 않은 탄화수소와 합해진다. 이는 온도, 압력 및 공간 속도와 같은 적당한 탈수소화 조건에서 유지되는 적합한 탈수소화 촉매의 하나 이상의 층을 통과하는 반응물 스트림을 형성하며, 촉매 반응 대역으로부터의 유출물이 더욱 처리되면 올레핀계 탄화수소의 스트림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촉매 반응 대역으로부터의 유출물은 전환되지 않는 포화 탄화수소, 올레핀계 탄화수소, 단핵 방향족 화합물 100 내지 5,000 wppm 및 다핵 방향족 화합물 50 내지 500 wppm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통상적으로 기체상인 올레핀계 탄화수소에는 에틸렌, 프로필렌 및 부틸렌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수소화 반응 대역 유출물은 바람직하게는 4 내지 38 ℃ (40 내지 100。F)의 온도 범위로 냉각시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5 중량% 이하를 응축시킨다. 생성된 부분적으로 응축된 유출물 스트림은 증기-액체 분리기로 도입되어, 통상적으로 기체상인 올레핀계 탄화수소로 이루어지고 다핵 방향족 화합물의 농도가 감소된 증기 스트림과, 단핵 및 다핵 방향족 화합물로 이루어진 액체 스트림을 생성한다. 단핵 및 다핵 방향족 화합물로 이루어진 생성된 액체 스트림은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 탈수소화 대역으로부터 나온 증기 유출물의 5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중량%이하이고,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는 이어서 분리 대역으로 도입되어 단핵 방향족 화합물이 풍부한 스트림 및 다핵 방향족 화합물로 이루어진 스트림을 생성한다. 분리 대역은 분별 또는 흡착과 같은 임의의 편리한 분리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나 분별 대역이 가장 바람직하다. 분리 대역에서 회수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으로 기체상인 탄화수소는 통상적으로 기체상인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증기 스트림으로 되돌려진다. 기대되는 단핵 방향족 화합물은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이다.
통상적으로 기체상인 올레핀계 탄화수소로 이루어지고 다핵 방향족 화합물의 농도가 바람직하게는 1 wppm이하로 감소된, 생성된 증기 스트림은 그 다음 예를 들어 압축되거나, 냉각되거나, 저온 냉동되거나, 염소 제거를 위해 처리되거나, 물 제거를 위해 처리되거나, 분별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통상적으로 기체인 올레핀계 탄화수소, 미량의 단핵 방향족 화합물 및 미량의 다핵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탈수소화 대역으로부터의 증기 유출물을 도관 (1)을 통한 공정으로 도입하고 열교환기 (2)로 들여보낸다. 열교환기 (2)는 이 증기 유출물의 5 중량% 이하를 응축시키도록 선택된 조건에서 작동한다. 생성된 냉각되고 부분적으로 응축된 스트림을 도관 (3)을 통해 열교환기 (2)로부터 제거하고 증기-액체 분리기 (4)로 도입한다. 통상적으로 기체상인 올레핀계 탄화수소를 포함하며 다핵 방향족 화합물의 농도가 감소된 증기 스트림을 도관 (16) 및 (17)을 통해 증기-액체 분리기 (4)로부터 제거하고 회수한다. 단핵 및 다핵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체 스트림을 도관 (5)를 통해 증기-액체 분리기 (4)로부터 제거하고 분별 대역 (6)으로 도입한다. 단핵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증기 스트림을 분별 대역 (6)으로부터 상부 도관 (8)을 통해 제거하고 냉각시키고 열교환기 (9) 내에서 부분적으로 응축시킨다. 열교환기 (9)로부터 냉각된 증기-액체 스트림을 도관 (10)을 통해 운반하고 상부 수용실 (11)로 도입한다. 통상적으로 기체상인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기체상 스트림을 상부 수용실 (11)로부터 도관 (15) 내지 (17)을 통해 제거하고 회수한다. 단핵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체 스트림을 상부 수용실 (11)로부터 도관 (12)를 통해 제거하고 분별 대역 (6)으로 환류시킨다. 단핵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또다른 액체 스트림을 분별 대역 (6)으로부터 도관 (13)을 통해 제거하고 회수한다. 다핵 방향족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체 스트림을 분별 대역 (6)으로부터 도관 (7)을 통해 제거하고 회수한다.
아래의 예시적인 실시 양태로 본 발명의 방법을 더 설명한다.
표 1에 나타낸 특성 및 유량을 가지는 프로판-이소부탄 탈수소화 대역으로부터의 유출물 (공급물로 표기)을 유출물의 5 중량% 미만을 응축시키는 조건에서 작동되는 열교환기로 도입하여 증기상 및 액상을 생성하고, 그를 증기-액체 분리 대역을 거치게 하여 표 1에 나타낸 특성 및 유량을 가지는 분리기 가스를 생성하였다. 표 1에 나타낸 특성 및 유량을 가지는 분리기 액체 스트림을 증기-액체 분리기로부터 회수되고 분별 대역으로 도입시켰다. 실질적으로 모든 C9 +탄화수소 화합물을 함유하고 표 1에 나타낸 특성을 가지는 분별기 저부 스트림을 표 1에 나타낸 양으로 분별 대역으로부터 제거시켰다. 주로 단핵 방향족 화합물을 함유하고 표 1에 나타낸 특성 및 유량을 가지는 분별기 측단 스트림을 분별 대역으로부터 회수하였다. 표 1에 나타낸 특성 및 유량을 가지는 분별기 기체 스트림을 분별 대역으로부터 제거하고 회수하였다. 다핵 방향족 화합물의 분리는 분리기 액체에서의 C9 +화합물의 회수로부터 증명된다.
스트림 | ||||||
공급물 | 분리기 액체 | 분별기 저부 | 분별기 측단 | 분별기 기체 | 분리기 기체 | |
주요 유량 LB/HR | ||||||
H2 | 8319 | 1 | 1 | 8318 | ||
C1 | 6595 | 5 | 5 | 6591 | ||
C2= | 15 | 0 | 15 | |||
C2 | 583 | 2 | 2 | 580 | ||
C3= | 2348 | 26 | 26 | 2322 | ||
C3 | 8837 | 112 | 112 | 8725 | ||
IC4= | 122395 | 4130 | 5 | 4125 | 118265 | |
IC4 | 139113 | 4121 | 2 | 4119 | 134992 | |
벤젠 | 24 | 7 | 7 | 17 | ||
톨루엔 | 43 | 25 | 1 | 24 | 18 | |
크실렌 | 224 | 185 | 25 | 160 | 39 | |
C9 + | 27 | 27 | 25 | 1 |
본 발명의 방법은 통상적으로 기체상인 올레핀계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다핵 방향족 화합물을 제거하면서 동시에 단핵 방향족 화합물을 회수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 (a) 통상적으로 기체상인 올레핀계 탄화수소, 미량의 단핵 방향족 화합물 및 미량의 다핵 방향족 화합물로 이루어진 탄화수소 탈수소화 대역의 증기 유출물 (1)을 냉각시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5 중량% 이하를 응축시키는 단계,(b) (a) 단계로부터의 냉각된 스트림 (3)을 증기-액체 분리기 (4)에 도입하여, 통상적으로 기체상인 올레핀계 탄화수소로 이루어지고 다핵 방향족 화합물의 농도가 감소된 증기 스트림 (16) 및 단핵 및 다핵 방항족 화합물로 이루어진 액체 스트림 (5)를 생성시키는 단계,(c) 단핵 및 다핵 방항족 화합물로 이루어진 상기 액체 스트림 (5)를 회수하는 단계,(d) 통상적으로 기체상인 올레핀계 탄화수소로 이루어지고 다핵 방향족 화합물의 농도가 감소된 상기 증기 스트림 (16)을 회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탄화수소 탈수소화 대역의 증기 유출물 (1)로부터 미량의 다핵 방향족 화합물의 제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액체 분리기 (4)가 분별 대역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액체 분리기 (4)가 흡착 대역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적으로 기체상인 올레핀계 탄화수소가 에틸렌, 프로필렌 및 부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상기 단핵 방향족 화합물이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미량의 다핵 방향족 화합물이 탈수소화 대역의 증기 유출물 중에 50 내지 500 wppm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미량의 단핵 방향족 화합물이 탈수소화 대역의 증기 유출물 중에 100 내지 5000 wppm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d) 단계에서 회수된 통상적으로 기체상인 올레핀계 탄화수소로 이루어지고 다핵 방향족 화합물의 농도가 감소된 상기 증기 스트림 (16)이 1 wppm 미만의 다핵 방향족 화합물을 함유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b) 단계에서 회수된 단핵 및 다핵 방항족 화합물로 이루어진 상기 액체 스트림 (5)를 분리 대역 (6)에서 분리하여, 단핵 방향족 화합물이 다량 함유된 스트림 (8)을 생성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49542A KR100449845B1 (ko) | 1997-09-29 | 1997-09-29 | 탈수소화 반응 대역으로부터의 증기 유출물에서 다핵 방향족 화합물의 제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49542A KR100449845B1 (ko) | 1997-09-29 | 1997-09-29 | 탈수소화 반응 대역으로부터의 증기 유출물에서 다핵 방향족 화합물의 제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7154A KR19990027154A (ko) | 1999-04-15 |
KR100449845B1 true KR100449845B1 (ko) | 2004-12-17 |
Family
ID=49382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49542A KR100449845B1 (ko) | 1997-09-29 | 1997-09-29 | 탈수소화 반응 대역으로부터의 증기 유출물에서 다핵 방향족 화합물의 제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49845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13787A (en) * | 1977-01-10 | 1978-09-12 | Uop Inc. | Aromatic hydrocarbon dehydrogenation process |
US4177137A (en) * | 1977-11-07 | 1979-12-04 | Standard Oil Company | Aromatics extraction process |
KR850008483A (ko) * | 1984-04-04 | 1985-12-18 | 원본미기재 | 파라핀성 탄화수소의 탈수소화 공정 |
US5481060A (en) * | 1995-04-20 | 1996-01-02 | Uop | Process for the removal of heavy hydrocarbonaceous co-products from a vapor effluent from a normally gaseous hydrocarbon dehydrogenation reaction zone |
-
1997
- 1997-09-29 KR KR1019970049542A patent/KR10044984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13787A (en) * | 1977-01-10 | 1978-09-12 | Uop Inc. | Aromatic hydrocarbon dehydrogenation process |
US4177137A (en) * | 1977-11-07 | 1979-12-04 | Standard Oil Company | Aromatics extraction process |
KR850008483A (ko) * | 1984-04-04 | 1985-12-18 | 원본미기재 | 파라핀성 탄화수소의 탈수소화 공정 |
US5481060A (en) * | 1995-04-20 | 1996-01-02 | Uop | Process for the removal of heavy hydrocarbonaceous co-products from a vapor effluent from a normally gaseous hydrocarbon dehydrogenation reaction zo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7154A (ko) | 1999-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95952B1 (en) | Chemical absorption process for recovering olefins from cracked gases | |
JP3059759B2 (ja) | 分解ガスからプロピレンを分離するための順序 | |
EP0230655B1 (en) | Improved dehydrocyclodimerization process | |
US20080312481A1 (en) | Propylene production | |
JPH07507078A (ja) | エチレンおよび水素の回収のための吸収方法 | |
CN1004270B (zh) | 生产c6+烃类的工艺过程 | |
US5258563A (en) |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benzene from light hydrocarbons | |
US3696162A (en) | Aqueous amine acid gas absorption | |
AU2004259076B2 (en) | Method for the separation of a crude C4 cut | |
JP4471977B2 (ja) | 希薄エチレン流からのプロピレンおよびアルキル芳香族化合物の製造プロセス | |
KR20150135488A (ko) | 산화적 탈수소화 공정으로부터의 1,3-부타디엔의 정제 방법 | |
WO2004094355A2 (en) | Selective dimethylether recovery and recycle in a methanol-to-olefin process | |
EP0130672B1 (en) | Sorption fractionation process for olefin separation | |
US5481060A (en) | Process for the removal of heavy hydrocarbonaceous co-products from a vapor effluent from a normally gaseous hydrocarbon dehydrogenation reaction zone | |
RU2220126C2 (ru) |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гидрогенизации | |
US4515661A (en) | Process for separating highly pure butene-1 and butene-2 | |
SU1493097A3 (ru) | Способ разделени парафиновых и олефиновых углеводородов С @ | |
EP0905111B1 (en) | Removal of polynuclear aromatic compounds from a vapor effluent from a dehydrogenation reaction zone | |
KR100503997B1 (ko) | 탄화수소 탈수소화 반응구역에서 생성되는 단핵방향족 및 다핵방향족 공동생성물의 분리 및 회수 방법 | |
KR100449845B1 (ko) | 탈수소화 반응 대역으로부터의 증기 유출물에서 다핵 방향족 화합물의 제거 방법 | |
US3943185A (en) | Diolefin production and purification | |
US3437585A (en) | Olefin production and subsequent recovery | |
US5942655A (en) | Process for the removal of heavy hydrocarbonaceous co-products from a vapor effluent from a normally gaseous hydrocarbon dehydrogenation reaction zone | |
JPH0641428B2 (ja) | 抽出蒸留によりc4−炭化水素混合物を分離する方法 | |
EP1575885A1 (en) | Process for separating linear alpha olefins from saturated hydrocarbo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