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961B1 - 캐스파제 저해제를 이용하여 조혈모세포를 체외에서다량으로 증식시키는 세포배양 방법 및 배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캐스파제 저해제를 이용하여 조혈모세포를 체외에서다량으로 증식시키는 세포배양 방법 및 배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961B1
KR100446961B1 KR10-2001-0062237A KR20010062237A KR100446961B1 KR 100446961 B1 KR100446961 B1 KR 100446961B1 KR 20010062237 A KR20010062237 A KR 20010062237A KR 100446961 B1 KR100446961 B1 KR 100446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atopoietic stem
stem cells
cells
caspase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2074A (ko
Inventor
한민준
김귀화
김청미
최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riority to KR10-2001-0062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961B1/ko
Publication of KR20030032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9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47Haematopoietic stem cells; Uncommitted or multipotent progeni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스파제(caspase) 저해제들을 이용하여 조혈모세포 배양시 문제가 되는 세포사멸을 차단함으로써, 짧은 배양기간 동안에 조혈모세포 고유의 성질을 잃지 않고 많은 수의 세포로 증식시킬 수 있는 조혈모세포 배양 방법 및 조혈 모세포 배양용 배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혈모세포 배양시 배지에 사이토카인(cytokine)들을 첨가하는 종래의 방법에 더하여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캐스파제 저해제를 동시 처리함으로써 생산성이 극대화된 조혈모세포 배양 방법 및 조혈모세포 배양용 배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으로 기존의 사이토카인을 이용한 배양방법에 비해 짧은 시간동안 최소 2.5배 이상의 조혈모세포를 증식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캐스파제 저해제를 이용하여 조혈모세포를 체외에서 다량으로 증식시키는 세포배양 방법 및 배지 조성물{Method and composition of culture medium for the ex vivo expansion of hematopoietic stem cell using caspase inhibitors}
조혈모세포(hematopoietic stem cell)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등 여러 가지 혈액세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세포로서 줄기세포(stem cell)의 특징인 자가복제능력(self-renewing capacity), 다세포분열능(high capacity for celldivision), 다분화잠재능(multi-potential differentiation capacity)등을 지니고 있다(van der Kooy D 등 2000, science, 287 ; 1439-1441).
현재 여러 가지 질병들이 조혈모세포 이식을 통하여 치료되어지고 있다. 그 예로서 급만성 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골수이형성 증후군, 다발성 골수종, 악성 림프종 등 주로 혈액암 관련 질환에서 완치를 위한 치료로 시도 되어져 왔고 최근에는 유방암, 난소암, 신장암, 소세포성폐암 등 고형암과 불응성 전신성 홍반성 낭창, 불응성 류마티스 관절염 등 악성 자가면역질환에도 좋은 치료성적을 거두고 있다(Lennard 등, 2000, BMJ, 321, 433-437 ; Ikehara, 2001, Experimental Hematology, 29 ; 661-669).
그러나 이러한 조혈모세포는 인간의 몸에선 골수(bone marrow)에 아주 조금 존재하고 있는 세포이기도 하다. 따라서 조혈모세포 이식을 위해서는 우리가 필요로 하는 조혈모세포를 대량으로 얻는 기술의 개발이 매우 유용하다. 그간 이러한 조혈모세포를 대량으로 얻기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시도되어져 왔었으며, 대표적으로 체외(ex vivo)에서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cytokine)들을 배지에 첨가하여 배양(culture)하는 방법들이 있었다(D Metcalf, 2001, Biomed Pharmacother, 55 ; 75-78, Ian McNiece등, 2001, Experimental Hematology, 29 ; 3-11).
상기 방법에 의하면, 조혈모세포의 배양을 위해서는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 함유된 IMDM배지(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에 베타-머캡토에탄올(β-mercaptoethanol, 0.45mM), 엘-글루타민(L-glutamine, 2mM)등을 첨가하고 줄기세포인자(SCF, Stem Cell Factor), 그래뉼로사이트 콜로니 자극인자(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G-CSF), Flt-3/Flk-2 리간드(ligand), 인터루킨 3(interleukin 3, IL-3), 인터루킨 6(IL-6), 그래뉼로사이트-매크로파지 콜로니 자극인자(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트롬보포이에틴(thrombopoietin, TPO), 에리트로포이에틴(erythropoietin, EPO)등이 포함된 사이토카인 칵테일(cytokine cocktail, 이하 '사이토카인 칵테일'이라 칭한다)을 첨가해 주어 사용하는 것이었다.
이에 관한 것으로 미합중국특허 등록번호 제6,241,984호에서는 사이토카인이 1종 이상 첨가된 배지에서 조혈모세포를 증식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고, 미합중국특허 등록번호 제5,744,361호에서는 IL-3, GM-CSF 및 c-kit 리간드와 같은 사이토카인의 조합 또는 개별사용에 의한 무혈청배지에서의 조혈모세포 배양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법들에 더하여, 세포의 생존(survival)을 증가시키는 신호전달 물질을 첨가시키거나(Bhardwaj 등, 2001, Nature Immun., 2; 172-180), 기질세포(stroma cell)를 이용하여 직접적인 세포사이의 상호작용(cell-to-cell interaction)을 통하여 세포증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공급세포(feeder cell)들을 사용하는 방법도 고안된 바 있다(Shimakura 등, 2000, Stem Cells, 18; 183-189).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조혈모세포의 배양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조혈모세포는 체외(ex vivo)에서의 배양시 많은 세포들이 세포사멸을 통하여 손실된다. 더욱이 채취된 조혈모세포의 보관을 위해 조혈모세포를 냉동시킨 후 다시 해동할 경우, 더 많은 조혈모세포들이 세포사멸을 겪게 됨도 확인하였다. 이로 인해 기존의 방법으로는 조혈모세포를 7일 동안 30 내지 40배 정도밖에는 증식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특별히 이러한 세포사멸 신호들은 종양괴사인자와 관련된 세포표면 수용체신호인 Fas에 의해 매개되는 신호전달과정을 통해 전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loand 등, 19998, Experimental Hematology, 26; 1093-1099), 또한 이러한 Fas에 의해 매개된 신호는 캐스파제의 활성을 유도해 세포사멸에 밀접하게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Ksharma 등, 2000,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88; 333-347).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Fas에 의해 매개되는 세포사멸 신호경로에서의 신호매개체인 캐스파제-3(caspase-3), 캐스파제-8, 그리고 캐스파제-9에 대한 합성펩티드 저해제를 사용해 캐스파제의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써 조혈모세포의 체외증식(ex vivoexpansion)에서 세포사멸을 억제하여 짧은 시간동안 다량의 조혈모세포를 얻을 수 있는 조혈모세포 배양방법 및 조혈모세포 배양용 배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조혈모세포 배양시 캐스파제 저해제(caspase inhibitor)를 첨가한 배양조건과 대조군 사이의 세포사멸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a)와 형광염색법에 의한 생존세포(b)와 사멸세포(c)를 대표하는 사진이다.
도 2는 조혈모세포 분리 후 7일간 배양한 후 대조군의 배양조건과 캐스파제 저해제를 첨가한 배양조건에서 증식된 세포수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세포군 형성단위(CFU; Colony-Forming Unit)활성측정을 통해 7일간 배양후 얻어진 세포들중에서 조혈모세포의 특징인 다분화잠재능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기존의 조혈모세포의 체외(ex vivo)배양에 사용되는 배지에 세포사멸 신호경로의 주요 매개체인 캐스파제-3, 캐스파제-8, 캐스파제-9에 대한 합성펩티드 저해제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30내지 40배의 증식효과를 100배에 가깝게 증가시키는 조혈모세포의 배양방법을 제공함과 아울러 조혈모세포 배양용 배지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증식에 사용되는 CD34 양성세포를 얻기 위한 사람의 골수(human bone marrow)에서 피콜(Ficoll ; Phamacia Biotech사 제품, 제품번호 17-0840-03)을 이용하여 단핵구(mononuclear cell, MNC)를 분리한 후 분리된 단핵구를 자기활성을 이용한 세포분획구(magnetic activated cell separation beads)를 이용한 다이날 CD34 선구세포 선택시스템(dynal CD34 progenitor cell selection system, Dynal사 제품, 제품번호 113.02)을 이용하여 조혈모세포의 특징을 지니고 있는 CD34 양성세포들을 선별하였다.
본 발명에서 CD34 양성세포의 배양을 위한 배지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25%의 FBS가 함유된 IMDM배지에 베타-머캡토에탄올(β-mercaptoethanol, 0.45mM), 엘-글루타민(L-glutamine, 2mM)을 첨가한 후, 줄기세포인자(Stem Cell Factor, SCF, 50ng/mL), Flt-3/Flk-2 리간드(ligand) (300ng/mL), G-CSF (50ng/mL), 인터루킨 3(interleukin 3, IL-3, 300ng/mL), 인터루킨 6(IL-6, 10ng/mL)가 포함된 사이토카인 칵테일을 첨가해주어 사용하였다(Bhardwaj 등, 2001, Nature Immun., 2; 172-180). 캐스파제 저해제로는 합성펩티드(synthetic peptide)를 사용하였다. 캐스파제-3를 억제하기 위해서 Z-Asp(OMe)-Val-Asp(OMe)-플루오로메틸케톤 (fluoromethylketone) (Alexis사 제품, 제품번호260-072)을, 캐스파제-8을 억제하기 위해서 케스파제-3 활성화 효소 저해제(caspase-3 processing enzyme inhibitor)인 Z-Ile-Glu(OMe)-Thr-Asp(OMe)-플루오로메틸케톤(Fluoromethylketone)(Alexis 사 제품, 제품번호260-073)을, 캐스파제-9을 억제하기 위해서 캐스파제-9 저해제인 Z-Leu-Glu(OMe)-His-Asp(OMe)-플루오로메틸케톤(Fluoromethylketone) (Alexis사 제품, 제품번호260-076)을 각각 20 내지 50μM의 농도로 사용하였을 때 캐스파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CD34 양성세포의 증식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상세한 효과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상기의 배지조성 및 배양조건을 제공하여, 아크리딘 오렌지(acridine orange)와 에티디움 브로마이드(ethidium bromide, EtBr)를 이용한 형광이중염색법 및 다분화잠재능을 세포군 형성단위(CFU; Colony-forming unit)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은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조혈모세포의 세포증식 배양
분리한 CD34 양성세포는 바닥이 평평한 96 웰 플레이트(flat-bottomed 96 well plate, falcon사 제품, 제품번호3072)에서 한 웰(well)당 1000개씩 배양되었다. 대조군으로 사이토카인 칵테일(cytokine cocktail)이 들어있는 CD34 양성 세포배양 배지 200μL을 사용하였고 실험군으로는 대조군의 조건에 각각의 캐스파제 저해제를 25μM씩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각각의 실험군과 대조군의 세포들은 2일에 한번씩 30μL의 배지를 제거하고 각 실험조건에서 사용되는 새로운 배양배지로 각각 30μL씩 다시 첨가해 주면서 배양기(humidified incubator)에서 37℃의 온도와5% CO2의 조건으로 7일간 배양하였다. 증가된 세포 수를 확인해보면 제 2도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대조군의 경우 1000개의 CD34 양성세포가 약 40000개 정도로 증가하여 40배 정도의 증가를 보인데 반하여 캐스파제 저해제를 첨가하여 배양한 실험군의 경우 캐스파제-9의 저해제는 약 70000개, 캐스파제-8의 저해제는 약 80000개, 캐스파제-3의 저해제를 첨가한 실험군은 약 100000개 정도로 증가를 하여 70 내지 100배에 가까운 증가를 보여주었다(도 2).
<실시예 2> 증식된 세포들의 조혈모세포 특징인 다분화잠재능의 측정
세포군 형성단위(CFU) 활성도는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분리한 CD34 양성세포를 바닥이 평평한 24 웰 플레이트(flat-bottomed 24 well plate, falcon사 제품, 제품번호3047)에서 한 웰(well)당 1000개씩 다음과 같은 조건의 배지에서 키웠다. 배지는 30%의 FBS, 1%의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베타-머캡토에탄올(β-mercaptoethanol, 10-4M), 엘-글루타민(L-glutamine, 2mM), 그리고 줄기세포 인자(Stem Cell Factor, SCF, 50ng/mL), 그래뉼로사이트-매크로파지 콜로니자극인자(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20ng/mL) ,그래뉼로사이트 콜로니자극인자(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G-CSF, 20ng/mL), 인터루킨 3(interleukin 3, IL-3, 20ng/mL), 인터루킨 6(interleukin 6, IL-6, 20ng/mL), 에리트로포이에틴(erythropoietin, EPO, 3unit/mL)을 함유한 1% 메틸셀룰로오스 기본 배지(methylcellulose based media, stem cell technologies사 제품, 상품명 : MethoCult GF+ H4435)로 구성되어 있다. 7일간 증식시킨 조혈모세포를 각 웰(well)당 1000개씩 동량으로 넣어준 후 배양기(humidified incubator)에서 37℃의 온도와 5% CO2의 조건으로 8일에서 10일간 배양하였다.
조혈모세포의 특징인 다분화잠재능을 세포군 활성단위(CFU) 측정방법(assay)을 통해 확인한 결과 CFU 활성도를 갖는 세포의 수도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혈모세포 분리후 1000개의 세포를 메틸셀룰로우스(methylcellulose)가 첨가된 배지에서 8일에서 10일간 배양 후 약 100여개의 세포군집이 생성되는데, 1000개의 세포를 7일간 배양하여 증식시킨 후에 얻어진 40000여개의 세포들은 대략 400개의 세포군집을 생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1000개의 세포를 메틸셀룰로오스(methylcellulose)가 첨가된 배지에서 8일에서 10일간 배양 후 생성된 세포군집을 확인해 본 결과 사이토카인(cytokine)만을 첨가한 대조군에 비하여 캐스파제-3와 캐스파제-8의 저해제를 첨가해 준 경우는 3배이상, 그리고 캐스파제-9의 저해제를 첨가해준 경우는 2배 정도의 더 많은 세포군집을 생성함을 확인하였다(도 3).
<실험예 1> 세포배양 후 생존세포의 비율을 측정하기 위해 형광 현미경을 이용한 염색법 실시
생존세포(Viable cell)와 사멸세포(non-viable cell)을 비교하기 위해서 아크리딘 오렌지(arcridine orange)와 에티디움 브로마이드(ethidium bromide, EtBr)를 사용하여 이중 염색(double staining)을 하여 형광현미경(fluorescent microscope)으로 관찰하였다(Mercille 등, 1994, Biotechnol., Bioeng., 44; 1150-1154).
그 결과, 7일간 배양후 아크리딘 오렌지와 에티디움 브로마이드를 이용하여 염색을 한 결과는 도 1과 같다. 생존세포(Viable cell)의 경우는 초록색을 띠는데 비해(도 1의 (b)), 사멸세포(non-viable cell)들은 붉은색으로 염색이 된다(도 1의 (c)). 사이토카인 칵테일(cytokine cocktail)만을 넣어준 대조군의 경우 7일간 배양후 세포사멸(apoptosis)를 겪는 세포의 비율이 전체 세포의 20%정도를 차지하는데 비하여 캐스파제 저해제를 첨가한 세포들은 10%내외로 대조군의 절반 정도였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혈모세포들이 가지고 있는 다분화잠재능등의 특성들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비교적 단 기간에 기존의 방법들에 비하여 세포증식이 2 내지 3배 증가된 조혈모세포의 체외(ex vivo)배양방법 및 배지조성물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조혈모세포의 체외다량증식을 위한 캐스파제 저해제가 첨가된 조혈모세포 배양용 배지조성물에 있어서, 캐스파제 저해제는 캐스파제-3, 캐스파제-8 또는 캐스파제-9에 대한 저해제 중에서 1이상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혈모세포 배양용 배지조성물.
  3. 삭제
  4. 제 2항의 조혈모세포 배양용 배지조성물을 이용한 조혈모세포의 배양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캐스파제 저해제는 합성 펩티드 저해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혈모세포의 배양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합성 펩티드 저해제가 20μM 내지 50μM의 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혈모세포의 배양방법.
KR10-2001-0062237A 2001-10-09 2001-10-09 캐스파제 저해제를 이용하여 조혈모세포를 체외에서다량으로 증식시키는 세포배양 방법 및 배지 조성물 KR100446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237A KR100446961B1 (ko) 2001-10-09 2001-10-09 캐스파제 저해제를 이용하여 조혈모세포를 체외에서다량으로 증식시키는 세포배양 방법 및 배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237A KR100446961B1 (ko) 2001-10-09 2001-10-09 캐스파제 저해제를 이용하여 조혈모세포를 체외에서다량으로 증식시키는 세포배양 방법 및 배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074A KR20030032074A (ko) 2003-04-26
KR100446961B1 true KR100446961B1 (ko) 2004-09-01

Family

ID=29563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237A KR100446961B1 (ko) 2001-10-09 2001-10-09 캐스파제 저해제를 이용하여 조혈모세포를 체외에서다량으로 증식시키는 세포배양 방법 및 배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9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00403A1 (en) * 1993-06-25 1995-0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ouch with ridges
US5744361A (en) * 1991-04-09 1998-04-28 Indiana University Expansion of human hematopoietic progenitor cells in a liquid medium
KR19990062375A (ko) * 1997-11-20 1999-07-26 김상희 녹용으로부터 정제한 조혈모세포 및 혈소판 전구세포 증식촉진용 조성물 및 그것의 정제 방법
WO2000061542A1 (en) * 1999-04-09 2000-10-19 Cytovia, Inc. Caspase inhibitors and the use thereof
US6241984B1 (en) * 1991-04-09 2001-06-05 The Indiana University Foundation Human hematopoietic progenitor cell preparations and their expansion in a liquid mediu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4361A (en) * 1991-04-09 1998-04-28 Indiana University Expansion of human hematopoietic progenitor cells in a liquid medium
US6241984B1 (en) * 1991-04-09 2001-06-05 The Indiana University Foundation Human hematopoietic progenitor cell preparations and their expansion in a liquid medium
WO1995000403A1 (en) * 1993-06-25 1995-0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ouch with ridges
KR19990062375A (ko) * 1997-11-20 1999-07-26 김상희 녹용으로부터 정제한 조혈모세포 및 혈소판 전구세포 증식촉진용 조성물 및 그것의 정제 방법
WO2000061542A1 (en) * 1999-04-09 2000-10-19 Cytovia, Inc. Caspase inhibitors and the use thereof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lood, Vol.96(8):2735-2739(2000. 10. 15) *
Restor Neurol Neurosci. 1999;14(1):1-23 *
Trends Biochem Sci. 1997 Oct;22(10):388-9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074A (ko) 200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51611B1 (en) Human hematopoietic stem cell
Chute et al. Soluble factors elaborated by human brain endothelial cells induce the concomitant expansion of purified human BM CD34+ CD38–cells and SCID-repopulating cells
Emmrich et al. miRNAs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ex vivo platelet generation
Rutella et al. Identification of a novel subpopulation of human cord blood CD34− CD133− CD7− CD45+ lineage− cells capable of lymphoid/NK cell differentiation after in vitro exposure to IL-15
Summers et al. Cord blood G0 CD34+ cells have a thousand-fold higher capacity for generating progenitors in vitro than G1 CD34+ cells
De Wynter et al. Properties of peripheral blood and cord blood stem cells
Capmany et al. Short-term, serum-free, static culture of cord blood-derived CD34+ cells: effects of FLT3-L and MIP-1alpha on in vitro expansion of hematopoietic progenitor cells
Bian et al. Early development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tryptase/chymase double-positive mast cells from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KR20140063861A (ko) 조혈줄기세포 및 조혈전구세포의 생체 외 증식 방법
KR100446961B1 (ko) 캐스파제 저해제를 이용하여 조혈모세포를 체외에서다량으로 증식시키는 세포배양 방법 및 배지 조성물
Takeda et al. CD318/CUB-domain-containing protein 1 expression on cord blood hematopoietic progenitors
Li et al. Modeling leukemia with pediatric acute leukemia patient-derived iPSCs
CA2219869A1 (en) Human cd-34 hematopoietic stem cells
Sun et al. In vitro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human cord blood-derived megakaryocytes
Podestà et al. Modified in vitro conditions for cord blood–derived long-term culture-initiating cells
Fidanza et al. Single cell transcriptome analysis reveals markers of naïve and lineage-primed hematopoietic progenitors derived from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Chávez-González et al. Severe functional alterations in vitro in CD34+ cell subpopulations from patients with chronic myeloid leukemia
Hu et al. Effects of human yolk sac endothelial cells on supporting expansion of hematopoietic stem/progenitor cells from cord blood
Tian et al. Karyotyping, immunophenotyping, and apoptosis analyses on human hematopoietic precursor cells derived from umbilical cord blood following long-term ex vivo expansion
Rebel et al. Culture of purified stem cells from fetal liver results in loss of in vivo repopulating potential
Harada et al. Kinetics of leukemic cells in 3D culture with stromal cells and with arginine deprivation stress
US20080311625A1 (en) Immortal Pluripotent Stem Cell Line, Cell Lines Derived Therefrom, Methods of Preparing Thereof and Their Uses
CN114634906B (zh) 一种成分明确、效果确切的体外高效诱导巨核祖细胞分化体系
Hassan et al.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CD34-positive human myeloid leukemia cell line: MHH225 growing in serum-free culture
Elvarsdóttir Modelling Ineffective Erythropoiesis in Myelodysplastic Syndromes with Ring Siderobla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