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802B1 - Punching machine - Google Patents

Punc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802B1
KR100446802B1 KR10-2002-0013395A KR20020013395A KR100446802B1 KR 100446802 B1 KR100446802 B1 KR 100446802B1 KR 20020013395 A KR20020013395 A KR 20020013395A KR 100446802 B1 KR100446802 B1 KR 100446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guide rod
main body
coupled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3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73707A (en
Inventor
김종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 피 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 피 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 피 씨
Priority to KR10-2002-0013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802B1/en
Publication of KR20030073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7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802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2Hand-held perforating or punching apparatus, e.g. awls
    • B26F1/36Punching or perforating pl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0Hand or foot actuat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D2007/0087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use on a deskto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한쌍의 가이드롤러를 갖는 장방형의 베이스; 상기 한쌍의 가이드롤러 사이에 끼워져 이동되도록 하부에 가이드바가 설치되고, 상부에 다수매로 적층되는 종이류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가이드판을 갖는 테이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결합되고, 그 전방의 소정 위치에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측 내부에 끼워져 상.하이동되는 것으로, 그 외주연에 제 1스프링을 갖는 램 및 이 램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테이블에 안착된 다수매의 종이류를 천공시키는 중공형의 천공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램 및 중공형의 천공핀을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손잡이; 및 상기 본체의 지지대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다수매의 종이류를 밀착하기 위한 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foration device, comprising: a rectangular base having a pair of guide rollers on top; A table having a guide bar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so as to be moved between the pair of guide rollers, and having a pair of guide plates for supporting side surfaces of a plurality of sheets stacked on the upper side; A main bod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se and having a support to protrude outwar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front of the base; It is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is moved up and down, the hollow perforated pin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ram having a first spring and the ram and perforated a plurality of sheets of paper seated on the table ; A handle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move the ram and the hollow punch pi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 adhesive means for contacting the plurality of sheets of paper, the upper and lower moving parts being installed on the support of the main body.

Description

천공장치{Punching machine}Punching machine

본 발명은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낱장으로 이루어진 종이류를 집철(輯綴)하기 위해 다수매의 종이류를 천공처리할 수 있는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nch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nching device capable of punching a plurality of sheets of paper in order to collect a sheet of paper.

일반적으로 사무실,은행 또는 영업소 등에서 전표나 각종 종이류 등을 집철하기 위해 다수매의 종이류를 천공처리할 수 있도록 천공장치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천공장치는 주로 수동식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perforation apparatus is provided to perforate a plurality of sheets of paper in order to collect documents or various papers in offices, banks or sales offices.

이와 같은 수동식 천공장치의 일례를 보면, 다수매의 종이류들을 안착시키기 위한 장방형의 베이스 및 이 베이스의 일측 상부에 몸체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램이 설치되며, 상기 램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에 안착된 다수매의 종이류를 천공시키기 위한 중공형의 천공핀이 설치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such a manual punching device, a rectangular base for seating a plurality of sheets of paper and a body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se, and a ram is installed inside the body to enable a vertical movement. The lower part of the ram is provided with a hollow punch pin for drilling a plurality of sheets of paper seated on the base.

그리고, 상기 램 및 중공형의 천공핀을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도록 손잡이를 갖는 프레스바가 상기 램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여기서 상기 램의 외주연에는 상기 프레스바의 가압시 램의 하강을 허용하거나 상기 프레스바의 가압력이 해제될 시 상기 램을 상방향으로 밀어내도록 스프링이 개재되어 있다.In addition, a press bar having a handle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am to raise and lower the ram and the hollow punching pin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am is pressurized by the press bar. A spring is interposed to allow the lowering or to push the ram upward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 bar is released.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수동식 천공장치를 보면, 먼저 베이스상에 다수매의 종이류를 안착시킨 후, 프레스바에 설치된 손잡이를 잡아 당김에 따라 중공형의 천공핀이 하방향으로 수직이동하여 다수매의 종이류를 천공시킨 다음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In the conventional manual fabric mill having such a configuration, first, a plurality of sheets of paper are seated on the base, and then a hollow punch pin moves vertically downward by pulling a handle installed on the press bar. After punching the paper, it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동식 천공장치는 다수매의 종이류를 천공시키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manual mill factory had the following problems in the process of punching a large number of papers.

즉, 상기 베이스상에 다수매로 적층된 종이류는 각각의 종이류 사이가 미세한 간격을 갖도록 적층됨에 따라 상기 천공핀이 다수매의 종이류를 천공시킨 후, 천공핀이 원상태로 복귀하기 위해 종이류의 천공처리된 부위를 통과하여 상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천공핀의 하단부 가장자리가 다수매로 적층된 종이류의 미세한 간격을 거치면서 종이류의 천공부위를 건드려 다수매의 종이류를 불규칙적으로 흐트리게 되었다.That is, as the papers stacked in a plurality of sheets on the base are laminated so that the papers have fine intervals, the punching pins punch a plurality of sheets of paper, and then the papers are punched to return the original state. In the case of moving upward through the cut, the bottom edge of the perforated pin touches the perforated portion of the paper while irregularly dispersing the plurality of papers while passing through the minute gaps of the papers stacked in a plurality of sheets.

따라서, 상기 베이스상에 안착된 다수매의 종이류를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처리하기 위해 연속적인 천공작업을 이루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종이류의 천공시마다 종이류를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서 이탈시켜 가지런하게 정돈한 후, 정돈된 다수매의 종이류를 다시 베이스상에 안착시켜 천공처리해야 하므로 인해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a continuous punching operation for punching a plurality of sheets of paper seated on the base at regular intervals, the worker removes the papers from the upper part of the base every time the paper is punched, and arranges them neatly. The workability was remarkably inferior due to the necessity of mounting a plurality of sheets of paper on the base and drilling it.

또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흐트러진 다수매의 종이류를 정돈하지 못한 상태에서 천공을 완료할 경우, 천공처리된 종이류를 집철하는 과정에서 낱장의 종이류마다 천공위치가 상이하므로 인해 종이류의 집철시 종이류가 가지런하지 못하고 불량으로 집철되는 문제점을 함께 갖고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perforation is completed in a state in which unsorted sheets of paper are not arranged due to carelessness of the worker, the perforation positions are different for each sheet of paper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perforated paper. Had not been together with the problem of being collected as a defect.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낱장으로 이루어진 종이류를 집철하기 위해 다수매의 종이류를 테이블에 흐트러짐 없이 고정한 후, 이 테이블의 상부에 안착되는 종이류의 천공 간격을 사용처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하면서 천공핀으로 천공처리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gener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is to fix a number of papers on the table without scattering in order to collect the papers made of sheets, papers that are seated on the top of the table It is to provide a milling factory that can improve the workability by drilling with a punching pin while selectively adjusting the drilling interval of the us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한쌍의 가이드롤러를 갖는 장방형의 베이스; 상기 한쌍의 가이드롤러 사이에 끼워져 이동되도록 하부에 가이드바가 설치되고, 상부에 다수매로 적층되는 종이류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가이드판을 갖는 테이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결합되고, 그 전방의 소정 위치에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측 내부에 끼워져 상.하이동되는 것으로, 그 외주연에 제 1스프링을 갖는 램 및 이 램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테이블에 안착된 다수매의 종이류를 천공시키는 중공형의 천공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램 및 중공형의 천공핀을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손잡이; 및 상기 본체의 지지대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다수매의 종이류를 밀착하기 위한 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rectangular base having a pair of guide rollers on the top; A table having a guide bar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so as to be moved between the pair of guide rollers, and having a pair of guide plates for supporting side surfaces of a plurality of sheets stacked on the upper side; A main bod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se and having a support to protrude outwar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front of the base; It is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is moved up and down, the hollow perforated pin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ram having a first spring and the ram and perforated a plurality of sheets of paper seated on the table ; A handle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move the ram and the hollow punch pi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 adhesive means for contacting the plurality of sheets of paper, the upper and lower moving parts being installed on the support of the main bod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i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의 구성을 보인 요부 절개한 정단면도,Figure 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incis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i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의 구성을 보인 요부 절개한 측단면도,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incis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i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천공장치에 따른 밀착수단 및 록킹수단의 구성을 요부 발췌한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ct means and the locking means according to the dril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천공장치에 따른 록킹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단면도.Figure 5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locking means according to the dril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베이스 10 : 테이블1: Base 10: Table

20 : 본체 30 : 손잡이20: body 30: handle

40 : 밀착수단 50 : 록킹수단40: contact means 50: locking means

60 : 조절수단60: control means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은 장방형의 베이스로써, 상기 베이스(1)의 상부에는 한쌍의 가이드롤러(2)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1)에는 상부에 다수매의 종이류(3)를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 가이드바(11)를 갖는 테이블(10)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는 상기 테이블(10)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바(11)는 상기 한쌍의 가이드롤러(2)에 끼워져 좌.우이동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fabric m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tangular base, a pair of guide rollers (2) is installed on the base (1), the base (1) In the upper part of the table 10 having a guide bar 11 at the bottom so as to stack a plurality of papers (3) on the top, which is movable, which is a guide bar 11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able 10 Is fitted to the pair of guide rollers 2 to be moved left and right.

여기서, 상기 테이블(10)의 하부 양측에는 테이블(10)이 베이스(1)를 중앙에 두고 좌우로 이동시 치우침이 일어나지 않도록 기준면을 따라 구름이동식으로 이동하는 한쌍의 롤러(12)를 설치하여서 베이스(1)의 상부에서 테이블(10)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안정되게 이동하게 될 것이다.Here, the base 10 by installing a pair of rollers 12 to move in a rolling movement along the reference plane so that the table 10 is not biased when the table 10 moves from side to side with the base 1 in the center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table 10. At the top of 1), the table 10 will move stably while maintaining a horizontal state.

상기 테이블(10)의 상부에는 다수매로 적층된 종이류(3)의 측면을 가지런히 정리함과 동시에 종이류(3)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쌍의 가이드판들(4)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한쌍의 가이드판들(4)은 통상의 것으로 대략 소폭의 띠형상으로 이루지고 상호 대향면에 랙을 갖는 일정길이의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한쌍의 가이드판들(4)은 상호 대칭하는 위치에서 간격을 유지해 병렬로 배치되고 이들 사이 적당한 장소에 상기 랙과 치합되는 피니언을 개재하여서 일측의 가이드판(4)을 이동시키면 그 이동력이 피니언을 통해 타측의 가이드판(4)으로 전달되어 양 가이드판들(4)이 동시적으로 이동하면서 테이블(10)상에서 천공할 종이류(3)를 정렬시키게 될 것이다.At the top of the table 10, a pair of guide plates 4 are movably installed so as to arrange the sides of the papers 3 stacked in a plurality of sheets and to support the sides of the papers 3 at the same time. These pairs of guide plates 4 are conventionally formed in a generally narrow strip shape and have a rod shape of a predetermined length with racks on opposite surfaces, and the pair of guide plates 4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When the guide plate 4 on one side is moved through the pinion engaged with the rack in a suitable place between them while maintaining a space at a distance between them, the movement force is transmitted to the guide plate 4 on the other side through the pinion. Both guide plates 4 will move simultaneously to align the paper 3 to be drilled on the table 10.

상기 베이스(1)의 후방에 본체(20)가 결합되고, 상기 본체(20)의 전방측 소정 위치에는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대(22)가 형성되어 있다.The main body 20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base 1, and the support 22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20.

그리고, 상기 본체(20)의 상부측 내부에 끼워져 상.하이동되도록 램(24)이 설치되고, 상기 램(24)의 하부에는 상기 테이블(10)에 안착된 다수매의 종이류(3)를 천공시킬 수 있도록 중공형의 천공핀(26)이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램(24)의 외주연에는 상기 램(24)의 하강후, 램(24)을 최초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자체적인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스프링(28)이 개재된다.Then, the ram 24 is install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0 to move up and down, and a plurality of sheets of paper 3 seated on the table 10 below the ram 24. A hollow punch pin 26 is coupled to the punch hole. Her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am 24 is interposed with a first spring 28 that provides its own elastic force to return the ram 24 to its original state after the ram 24 is lowered.

또한, 상기 램(24) 및 천공핀(26)을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본체(20)의 일측에 손잡이(3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러한 손잡이(30)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을 이루는 램(24)은 통상적으로 랙과 피니언에 의한 결합이라든지 링크결합을 이루게 된다.In addition, the handle 30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20 to raise and lower the ram 24 and the drilling pin 26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30 Ram 24 is made up and down is typically a combination of the rack and pinion or link coupling.

한편, 상기 본체(20)의 지지대(22)에는 상기 테이블(10)의 상부에 적층된 다수매의 종이류(3)를 상기 천공핀(26)으로 천공하기 전에 각각의 종이류(3)가 적층되면서 발생되는 미세한 간격을 밀착시킬 수 있도록 밀착수단(40)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in the support 22 of the main body 20, each of the papers (3) are laminated before the plurality of papers (3) stacked on the table 10 with the punching pin 26 It has a close contact means 40 so as to close the generated minute interval.

상기 밀착수단(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의 지지대(22)로부터 상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위치에 작업자가 손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부플레이트(41)가 설치되는데, 상기 상부플레이트(41)의 내측으로는 상기 천공핀(26)이 승.하강을 이루게 된다.The contact means 40 is installed in the upper plate 41 so that the operator can press the hand by hand in a positio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support 22 of the main body 20 as shown in FIG. To the inside of the upper plate 41, the perforated pin 26 is made up and down.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41)에 상단이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지지대(22)를 관통하여 상.하이동되도록 가이드봉(42)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봉(42)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걸림턱(43)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봉(42)의 하단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41) 및 가이드봉(42)의 하강시 상기 테이블(10)상에 다수매로 적층된 종이류(3)의 상단부와 면접촉을 일으키면서 밀착되도록 하부플레이트(44)가 결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41 by a separate fastening member, and the guide rod 42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through the support 22, and the guide rod 42 The outer periphery of the plurality of locking jaw 43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interval. Here, the lower end of the guide rod 4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41 and the guide rod 42 while causing the surfac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paper (3) stacked in a plurality of sheets on the table 10 Lower plate 44 is coupled to each other.

물론, 상기 상부플레이트(41) 및 가이드봉(42)의 하강후, 상부플레이트(41) 및 가이드봉(42)을 최초상태로 복원시키도록 상기 상기 가이드봉(42)의 외주연에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스프링(45)이 개재되는데, 여기서 상기 제 2스프링(45)의 상단은 상기 상부플레이트(41)의 저면부에 밀착되고, 하단은 상기 지지대(22)의 상면부에 밀착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41)를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지지하게 된다.Of course, after the lowering of the upper plate 41 and the guide rod 42, the elastic force itself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guide rod 42 to restore the upper plate 41 and the guide rod 42 to the initial state A second spring 45 is provided to be interposed,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pring 4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41, the low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22 The upper plate 41 is supported by pressing upward.

한편, 상기 가이드봉(42)의 하강시 상기 가이드봉(42)에 형성된 걸림턱(43)의 진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테이블(10)상에 적층된 종이류(3)를 밀착시키는 하부플레이트(44)의 이동이 멈출경우, 상기 가이드봉(42)의 승강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도록 상기 지지대(22)에 록킹수단(50)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guide rod 42 is lowered while allowing the entry of the locking jaw 43 formed in the guide rod 42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plate (10) in close contact with the paper (3) laminated on the table ( When the movement of the 44 stops, the locking means 50 is provided on the support 22 to limit or allow the lifting of the guide rod 42.

즉, 상기 록킹수단(50)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지지대(22)의 상부에 하판(51)이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하판(51)에는 상기 상기 가이드봉(42)이 상.하이동되도록 제 1관통공(51a)이 형성된다.That is, the locking means 50 is a lower plate 51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22 by a separate fastening member, as shown in Figures 4 to 5, the lower plate 51 to the guide The first through hole 51a is formed to move the rod 42 up and down.

그리고, 상기 하판(51)의 제 1관통공(51a)과 동축선상에 놓이도록 제 2관통공(52a)이 형성된 상판(52)이 결합되는데, 상기 상판(52)의 내부에는 일측이 개방되는 삽입부(53)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52 having the second through hole 52a formed to be coaxial with the first through hole 51a of the lower plate 51 is coupled, and one side of the upper plate 52 is opened. The insertion part 53 is formed.

상기 상판(52)의 삽입부(53)에는 힌지축(5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록킹부재(55)가 설치되는데, 상기 록킹부재(55)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봉(42)에 형성된 걸림턱(43)의 하강을 허용하면서 승강을 제한하도록 소정의 경사면을 갖는 걸림돌기(56)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힌지축(54)을 중심으로 상기 걸림돌기(56)를 걸림턱(43)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레버(57)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The insertion member 53 of the upper plate 52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55 to be rotatably coupled by a hinge shaft 54, one end of the locking member 55 is formed in the guide rod 42 A locking protrusion 56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ed surface is formed to allow the lowering of the locking jaw 43 while the lowering of the locking jaw 43 is provided, and at the other end, the locking protrusion 56 is caught around the hinge shaft 54. The lever 57 is formed to protrude from.

또한, 상기 상판(52)과 상기 록킹부재(55)에 형성된 레버(57) 사이에는 자체적인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제 3스프링(58)이 개재되는데, 이러한 제 3스프링(58)은 상기 가이드봉(42)에 형성된 걸림턱(43)의 하강시 상기 록킹부재(55)의 걸림돌기(56)가 걸림턱(43)에 의해 밀리면서 힌지축(54)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록킹부재(55)에 형성된 레버(57)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거나 상기 록킹부재(55)의 걸림돌기(56)를 상기 가이드봉(42)의 걸림턱(43) 사이에 끼워지도록 록킹부재(55)의 레버(57)측을 가압하여 상기 가이드봉(42)의 승강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third spring 58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52 and the lever 57 formed on the locking member 55 to provide its own elastic force, and the third spring 58 includes the guide rod ( When the locking projection 56 of the locking member 55 is rotated by the hinge shaft 54 while being pushed by the locking projection 43 when the locking projection 43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projection 55, the locking member 55 The lever of the locking member 55 so as to be compressed by the pressing of the lever 57 formed on the locking member 55 or to fit the locking projection 56 of the locking member 55 between the locking projections 43 of the guide rod 42. 57) by pressing the side to limit the lifting of the guide rod (42).

다음으로, 상기 테이블(10)의 상부에 다수매로 적층된 종이류(3)를 천공처리하기 위한 천공핀(26)의 하강시마다 상기 테이블(10)의 이동거리를 상기 종이류(3)의 사용처에 따른 천공간격에 맞춰 선택적으로 조절한 후, 상기 베이스(1)에 대해 상기 테이블(10)의 이동을 허용하거나 제한시킬 수 있도록 조절수단(60)을 갖는다.Nex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table 10 is moved to the place where the paper 3 is used every time the drilling pin 26 for drilling the paper 3 stacked in a plurality of sheets on the table 10 is lowered. After selectively adjusting to the space spacing according to the above, it has an adjusting means 60 to allow or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table 10 with respect to the base (1).

즉, 상기 조절수단(60)은 상기 베이스(1)의 일측 상부에 상기 테이블(1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스토퍼(61)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테이블(10)의 일측에는 샤프트(6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That is, the adjusting means 60 has a stopper 61 protruding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table 10 on one side of the base 1, the shaft 62 on one side of the table 10 It is rotatably installed.

그리고, 상기 샤프트(62)의 외주연에는 상기 테이블(10)상에 다수매로 적층된 종이류(3)의 천공간격에 적합하도록 다수개의 고정부재(63)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63)는 별도의 체결부재(63a)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63)를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62)의 외측면을 가압함으로써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63)의 이동은 체결부재(63a)에 가해졌던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샤프트(62)의 외측면을 따라 고정부재(63)가 이동이 허용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63 are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haft 62 so as to be suitable for the space spacing of the papers 3 stacked on the table 10. The fixing member 63 is fixed by pressing an outer surface of the shaft 62 through one end of a separate fastening member 63a through the fixing member 63, and the movement of the fixing member 63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member ( As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63a) is released, the fixing member 63 is allowed to mov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haft 62.

또한, 상기 고정부재(63)의 일측에는 테이블(10)의 이동시 상기 스토퍼(61)에 걸리도록 걸림편(64)이 형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스토퍼(61)는 상기 테이블(10)의 이동시 상기 고정부재(63)의 걸림편(64)에 대해 일방향으로 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a locking piece 64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xing member 63 so as to be caught by the stopper 61 when the table 10 moves, wherein the stopper 61 is fixed when the table 10 moves. It may be desirable to form a predetermined inclined surface to allow movement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ngaging piece 64 of the member 63.

상기 샤프트(62)의 일측에는 상기 샤프트(62)에 설치된 고정부재(63)의 걸림편(64)을 상기 스토퍼(61)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테이블(10)을 이동시키도록 작동레버(65)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이러한 작동레버(65)의 회전시 작동레버(65)를 최초의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갖는 복원스프링(66)이 개재되어 있다. 즉, 상기 복원스프링(66)의 일측은 상기 작동레버(65)의 소정위치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테이블(10)의 일측에 고정된다.An operating lever 65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haft 62 to move the table 10 by detaching the locking piece 64 of the fixing member 63 installed at the shaft 62 from the stopper 61. Is coupled to the rotatable, there is interposed a resilient spring 66 having an elastic force to return the operating lever 65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operating lever 65 is rotated. That is, one side of the restoring spring 66 is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operating lever 65,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table 10.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테이블(10)의 상부에 다수매의 종이류(3)를 적층시킴과 동시에 테이블(10)의 상부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판(4)을 이용하여 적층된 종이류(3)의 측면을 가진런히 정리하면서 지지한 다음, 상기 본체(20)의 지지대(22) 상부에 설치된 상부플레이트(41)를 작업자가 하방향으로 가압한다.Next, the operating state of the dri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plurality of sheets of paper 3 are stacked on the top of the table 10, and at the same time, the sides of the sheets of paper 3 stacked using the pair of guide plates 4 installed on the top of the table 10 are arranged. After supporting while arranging, the operator presses the upper plate 41 installed above the support 22 of the main body 20 downward.

상기 상부플레이트(41)가 하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부플레이트(41)에 결합된 가이드봉(42)은 제 1 및 제 2관통공(51a)(52a)을 통해 하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하부플레이트(44)를 테이블(10)의 상부측으로 이동시켜 적층된 종이류(3)의 상면을 밀착시키게 되는 것이다.When the upper plate 41 moves downward, the guide rod 42 coupled to the upper plate 41 moves downwar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51a and 52a, and at the same time, The plate 44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table 10 to b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tacked papers 3 into close contact.

물론, 상기 상부플레이트(41)의 하강시 가이드봉(42)의 외주연에 개재된 제 2스프링(45)은 상부플레이트(41)의 가압력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가이드봉(42)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턱(43)은 록킹부재(55)의 걸림돌기(56)를 밀어내면서 하방향으로 진행을 이루게 되는데, 이는 상기 록킹부재(55)의 걸림돌기(56)가 힌지축(54)에 의해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록킹부재(55)에 형성된 레버(57)가 제 3스프링(58)을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Of course, the second spring 45 inter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rod 42 when the upper plate 41 is lowered is compress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upper plate 41,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rod 42 The locking jaw 43 formed in the lock member 55 is pushed out of the locking protrusion 56 to proceed in a downward direction, which means that the locking protrusion 56 of the locking member 55 is connected to the hinge shaft 54. At the same time as being rotated by the lever 57 formed on the locking member 55 is to press the third spring (58).

이와 같이 다수매로 적층된 종이류(3)에 대해 상기 하부플레이트(44)가 밀착을 완료하면 가이드봉(42)의 하강이 완료되는데, 이는 상기 록킹부재(55)의 레버(57)에 개재된 제 3스프링(58)의 탄성력이 록킹부재(55)의 걸림돌기(56)로 전달되면서 상기 가이드봉(42)의 걸림턱(43)사이로 끼워짐에 따라 가이드봉(42)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므로 인해 상기 상부플레이트(41)도 제 2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는 것이다.When the lower plate 4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pers 3 stacked in a plurality of sheets in this way, the lowering of the guide rod 42 is completed, which is interposed on the lever 57 of the locking member 55. As the elastic force of the third spring 58 is transmitted to the locking projection 56 of the locking member 55, the guide rod 42 moves upward as the elastic force of the third spring 58 is inserted between the locking jaws 43 of the guide rod 42. Since the upper plate 41 is also limited by being mov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spring (45).

상기 하부플레이트(44)가 다수매로 적층된 종이류(3)를 밀착시킨 후, 작업자는 상기 본체(20)에 설치된 손잡이(30)를 잡아 당겨 램(24) 및 중공형의 천공핀(26)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는 상기 램(24)의 외주연에 개재된 제 1스프링(28)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회전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After the lower plate 44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apers 3 stacked in plural sheets, the worker pulls the handle 30 installed in the main body 20 to the ram 24 and the hollow punch pin 26. This is to move downward, which is to achieve the rotation while winning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28 inter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am (24).

상기 천공핀(26)의 하강은 상기 본체(20)에 형성된 지지대(22) 및 하부플레이트(44)를 통과하여 상기 다수매로 적층된 종이류(3)를 가압하여 천공처리하는 것으로서, 천공이 완료된 후 천공처리된 부위를 상기 천공핀(26)이 통과하여 상방향으로 이동할 시 적층된 각각의 종이류(3)의 간격이 하부플레이트(44)의 가압력에 의해 밀착된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인해 천공핀(26)의 하단부가 종이류(3)의 천공부위와 접촉이 일어나더라도 천공위치가 흐트러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천공핀(26)이 복귀는 상기 램(24)의 외주연에 개재된 제 1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 최초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The lowering of the punching pin 26 is to pressurize the papers 3 stacked in the plurality of sheets through the support 22 and the lower plate 44 formed in the main body 20, and the punching process is completed. After the punched pin 26 passes through the drilled portion and moves upwards, the punched pins are formed because the gaps of the respective papers 3 stacked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lower plate 44. Even if the lower end of 26)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erforated portions of the paper 3, the perforated position is not disturbed. Here, the return pin 26 is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28 inter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am 24.

한편, 상기 베이스(1)에 대해 상기 테이블(10)을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을 보면, 먼저 테이블(10)의 일측에 설치된 작동레버(65)를 상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는 작동레버(65)에 결합된 샤프트(62)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샤프트(62)에 결합된 고정부재(63)의 걸림편(64)을 상기 베이스(1)에 설치된 스토퍼(61)로부터 이탈시켜 테이블(10)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를 만들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to move the table 10 relative to the base 1, first to rotate the operating lever 65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able 10 in an upward direction, which is the operating lever 65 By rotating the shaft 62 coupled to the shaft, the locking piece 64 of the fixing member 63 coupled to the shaft 62 is separated from the stopper 61 installed on the base 1 and the table 10. This will create a freely moveable state.

즉. 상기 스토퍼(61)로부터 상기 고정부재(63)의 걸림편(64)이 이탈될 경우, 상기 테이블(10)의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바(11)가 상기 베이스(1)상에 설치된 가이드롤러(2)를 통해 구름이동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상기 테이블(10)의 하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롤러(12)는 상기 베이스(1)가 안착되는 별도의 바닥면(미도시)을 따라 구름이동을 하면서 테이블(10)을 수평상태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locking piece 64 of the fixing member 63 is separated from the stopper 61, the guide roller 11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able 10 is provided on the base 1; Cloud movement is achieved through), wherein a plurality of rollers 12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able 10 move the clouds along a separate floor surface (not shown) on which the base 1 is seated. 10) is to move stably in a horizontal stat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는 낱장으로 이루어진 종이류를 집철하기 위해 다수매의 종이류를 테이블에 흐트러짐 없이 고정한 후, 이 테이블의 상부에 안착되는 종이류의 천공 간격을 사용처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하면서 천공핀으로 천공처리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loth m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fixing a plurality of sheets of paper on the table without scattering to collect paper sheets consisting of sheets, selectively adjusts the perforation interval of the paper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table according to the usage. While having a puncture treatment with a punch pin will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workability.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s (6)

상부에 한쌍의 가이드롤러를 갖는 장방형의 베이스;Rectangle base having a pair of guide rollers on the top; 상기 한쌍의 가이드롤러 사이에 끼워져 이동되도록 하부에 가이드바가 설치되고, 상부에 다수매로 적층되는 종이류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가이드판을 갖는 테이블;A table having a guide bar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so as to be moved between the pair of guide rollers, and having a pair of guide plates for supporting side surfaces of a plurality of sheets stacked on the upper side;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결합되고, 그 전방의 소정 위치에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대를 갖는 본체;A main bod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se and having a support to protrude outwar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front of the base; 상기 본체의 상부측 내부에 끼워져 상.하이동되는 것으로, 그 외주연에 제 1스프링을 갖는 램 및 이 램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테이블에 안착된 다수매의 종이류를 천공시키는 중공형의 천공핀;It is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is moved up and down, the hollow perforated pin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ram having a first spring and the ram and perforated a plurality of sheets of paper seated on the table ;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램 및 중공형의 천공핀을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손잡이; 및A handle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move the ram and the hollow punch pi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상기 본체의 지지대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다수매의 종이류를 밀착하기 위한 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And a contact means installed to support the main body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to closely contact the plurality of sheets of pap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테이블의 이동거리를 상기 종이류의 사용처에 따른 천공간격에 맞춰 선택적으로 조절한 후,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테이블의 이동을 허용하거나 제한시키기 위한 조절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And a control means for selectively adjust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table according to the cloth space spacing according to the use of the paper, and then allowing 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table with respect to the bas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djusting means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상기 테이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A stoppe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ase to limit movement of the table;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A shaft rotatab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table; 상기 샤프트의 외주연에 상기 종이류의 천공간격에 적합하도록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테이블이 이동시 상기 스토퍼에 걸리도록 걸림편을 갖는 다수개의 고정부재;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which are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haft so as to be adapted to the space spacing of the paper, and having a locking piece to be caught by the stopper when the table is moved;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걸림편을 상기 스토퍼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테이블의 이동을 허용하는 작동레버; 및An operating lev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shaft to allow the locking piece of the fixing member to be separated from the stopper to allow movement of the table; And 상기 작동레버의 소정 위치에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이 상기 테이블의 일측벽에 고정되어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시 작동레버를 최초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One end is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operating lever,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one side wall of the table to restore the operating lever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operating lever is rotated; pun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 제 1 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테이블의 하부에 상기 테이블의 이동시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롤러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Perfor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has a plurality of rollers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able to move stably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state during the movement of the tab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act means 상기 본체의 지지대로부터 상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위치에 상기 천공핀의 승.하강을 허용하도록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An upper plate installed to allow the drilling pin to move up and down at a positio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n an upward direction from a support of the main body;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상.하이동되며, 그 외주연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걸림턱을 갖는 가이드봉;An upper end coupled to the upper plate, a lower end penetrating up and down through the support, and a guide rod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jaws at regular intervals on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상기 가이드봉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가이드봉의 하강시 상기 테이블상에 다수매로 적층된 종이류를 밀착하기 위한 하부플레이트;A lower plat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rod, the lower plate for closely contacting a plurality of papers stacked on the table when the upper plate and the guide rod are lowered; 상기 가이드봉의 외주연에 개재되는 것으로, 그 상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저면부 밀착되며, 하단이 상기 지지대의 상면부에 밀착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자체적인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제 2스프링; 및A second spring interpos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rod, the upper end of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end of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supports the upper plate with its own elastic force; And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봉의 하강시 상기 가이드봉에 형성된 걸림턱의 진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테이블상에 적층된 종이류를 밀착시키는 하부플레이트의 이동이 멈출시 상기 가이드봉의 승강을 제한하거나 허용하기 위한 록킹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Being installed on the support, limiting the lifting of the guide rod when the lowering of the guide rod stops the movement of the lower plate that adheres to the paper stack stacked on the table while allowing the entry of the locking jaw formed in the guide rod; Perforating apparatus comprising a; locking means for allowing.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ocking means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봉이 상.하이동되도록 제 1관통공을 갖는 하판;A lower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and having a first through hole to move the guide rod up and down; 상기 하판의 제 1관통공과 동축선상에 놓이도록 제 2관통공을 가지며, 그 내부에 일측이 개방되도록 삽입부를 갖는 상판;An upper plate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to be coaxially disposed with the first through hole of the lower plate and having an insertion portion open at one side thereof; 상기 상판의 삽입부로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그 일단에 상기 가이드봉에 형성된 걸림턱의 하강을 허용하면서 승강을 제한하도록 소정의 경사면을 갖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걸림돌기를 걸림턱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레버를 갖는 록킹부재; 및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upper plate by a hinge shaft, and one end is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ed surface to restrict the lifting while allowing the lowering of the locking jaw formed in the guide rod, the hinge shaft at the other end A locking member having a lever for releasing the locking projection from the locking jaw as a center; And 상기 상판과 상기 록킹부재의 레버 사이에 자체적인 탄성력을 갖도록 개재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가이드봉의 하강시 상기 록킹부재의 걸림돌기가 힌지축에 의해 회전되면서 레버에 의해 압축됨과 아울러 상기 록킹부재의 걸림돌기를 상기 가이드봉의 걸림턱 사이에 끼워지도록 가압하여 상기 가이드봉의 승강을 제한하는 제 3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It is interposed so as to have its own elastic for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ever of the locking member,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locking member is compressed by the lever while being rotated by the hinge shaft when the guide bar is formed when the locking jaw is lowered and the locking member of the locking member And a third spring configured to limit the lifting of the guide rod by pressing the locking protrusion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locking jaws of the guide rod.
KR10-2002-0013395A 2002-03-13 2002-03-13 Punching machine KR1004468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395A KR100446802B1 (en) 2002-03-13 2002-03-13 Punc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395A KR100446802B1 (en) 2002-03-13 2002-03-13 Punc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707A KR20030073707A (en) 2003-09-19
KR100446802B1 true KR100446802B1 (en) 2004-09-04

Family

ID=32224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395A KR100446802B1 (en) 2002-03-13 2002-03-13 Punc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80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273B1 (en) * 2011-12-12 2013-08-07 태륭건설(주) Drilling machine for repairing repoint part and repairing method of repoint part using it
KR101953360B1 (en) * 2017-10-20 2019-05-23 노희옥 Removable table device for binding-bor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077B1 (en) * 2010-02-04 2012-05-2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unch Press With a Mechanical Sensor
CN107378458B (en) * 2017-09-16 2023-08-29 枣庄王晁煤矿有限责任公司 Multipurpose hydraulic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ma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0189U (en) * 1976-12-06 1978-07-04
JPS6242995U (en) * 1985-08-31 1987-03-14
KR200237081Y1 (en) * 2000-12-04 2001-09-25 (주)정신오.에이시스템 A punching machine of electric motor type for regular intervals punch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0189U (en) * 1976-12-06 1978-07-04
JPS6242995U (en) * 1985-08-31 1987-03-14
KR200237081Y1 (en) * 2000-12-04 2001-09-25 (주)정신오.에이시스템 A punching machine of electric motor type for regular intervals punch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273B1 (en) * 2011-12-12 2013-08-07 태륭건설(주) Drilling machine for repairing repoint part and repairing method of repoint part using it
KR101953360B1 (en) * 2017-10-20 2019-05-23 노희옥 Removable table device for binding-bor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707A (en)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7221B1 (en) Binding machine
DE102004021411A1 (en) Paper cutting device and paper holding device therefor
JPH05245794A (en) Paper cutter
KR100446802B1 (en) Punching machine
DE102005018001B4 (en) Pressing mechanism of a cutting machine
KR20060094588A (en) Puncher
KR101183940B1 (en) Binder
KR102214187B1 (en) Paper cutting machine with punching unit
EP2123412A1 (en) Cutting machine for cutting stacked, leaf-shaped goods and method
KR20100027453A (en) Punching apparatus
KR200237081Y1 (en) A punching machine of electric motor type for regular intervals punching
KR100893932B1 (en) Dispersion equipment for punch press load of binding machine punch plate
US2927548A (en) Die set
CN112757384A (en) Perforating device is used in binding of financial data
GB1591722A (en) Apparatus for enabling close tolerance punching with a reusable type punching system
US8425139B2 (en) Sheet holder and edge pattern mak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CN211247913U (en) Multi-layer combined type punch forming mechanism for silver contact wafer
KR20040088420A (en) Variable automatic punch for smap off card
KR100446801B1 (en) Punching apparatus with punching space controller
CN218519429U (en) Portable perforating device
KR20120051940A (en) Paper punching device for bound
KR20130052829A (en) Punch
KR101024057B1 (en) Drill for binder
JPH07299980A (en) Paper bundle binding apparatus
JP3515513B2 (en) Dust remov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