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528B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ereoscopic image in portable phon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ereoscopic image in portab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528B1
KR100446528B1 KR10-2002-0009787A KR20020009787A KR100446528B1 KR 100446528 B1 KR100446528 B1 KR 100446528B1 KR 20020009787 A KR20020009787 A KR 20020009787A KR 100446528 B1 KR100446528 B1 KR 100446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image
data
packet
differen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7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70311A (en
Inventor
최광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9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528B1/en
Publication of KR20030070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3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528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89Recording image signals; Reproducing recorded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5Crea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송신 장치는 두 개의 영상입력장치들에 의해 촬영된 동일한 피사체에 대한 상기 좌우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중 하나의 영상데이타와 상기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 간의 차이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소정 압축방식으로 코딩하여 패킷 데이터로 전송하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수신 장치는 상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하나의 영상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상기 차이정보를 근거로 다른 영상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mitting apparatus of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image data of one of the two left and right image data for the same subject photographed by two image input devices and difference information between the two image data. The data is coded by a predetermined compression scheme and transmitted as packet data,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apparatus of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packet data, decodes the one video data, and then uses another video data based on the difference information. It is configured to decode and output.

Description

휴대단말기에서 입체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EREOSCOPIC IMAGE IN PORTABLE PHONE}3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EREOSCOPIC IMAGE IN PORTABLE PHONE}

본 발명은 입체영상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서 입체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eoscopic image process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ereoscopic images in a mobile terminal.

일반적으로 부호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이하 CDMA라 칭함) 이동통신시스템은 음성을 위주로 하는 종래의 이동 통신 규격에서 발전하여, 음성뿐만 아니라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발전하였다. 차세대 이동통신 규격에에서는 음성, 동화상, 인터넷 검색 등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러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근래에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n the year 2000)단말기와 같은 영상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단말기가 등장하였다.In general,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from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with a focus on voice, and has been developed to enable high-speed data transmission as well as voice. In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services such as voice, moving picture, and internet search are possible. With the development of suc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mage information such as an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n the year 2000 (IMT2000) terminal has recently emerg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영상처리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imag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중앙처리부(100)는 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기저대역신호에 대해 각종 처리를 행한다. RF부(109)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기지국(111)으로부터의 무선신호(Radio Frequency : RF)를 기저대역신호로 처리하고, 중앙처리부(100)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무선신호로 처리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영상 입력장치(103)는 렌즈를 통하여 입력된 피사체의 광학적 영상신호를 고체 촬상소자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처리하여 상기 중앙처리부(100)로 출력한다. 표시부(104)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통신단말기의 동작상태를 액정표시창(LCD)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04)는 상기 영상입력장치(103)에서 촬영된 영상 및 수신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액정표시창은 평면 영상 출력장치이다. 한편, 스피커(105) 및 마이크(107)는 음성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장치이다.Referring to FIG. 1,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erforms various processing on the baseband signal. The RF unit 109 processes the radio frequency (RF) from the base station 111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s a baseband signal, and processes the baseband signal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into a radio signal Send via The image input device 103 converts an optical image signal of a subject input through a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a solid-state image sensor, and digitally processes the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The display unit 104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LC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04 displays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e input apparatus 103 and an image received. The liquid crystal display window is a flat image output device. On the other hand, the speaker 105 and the microphone 107 are devices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voice signals.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휴대 단말기는, 상기 영상입력장치(103)에서 촬영된 영상을 중앙처리부(100)에서 코딩 및 패킷화하고, RF부(109)를 거쳐 상대편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RF부(109)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데이터를 가진 패킷을 상기 중앙처리부(100)에서 영상신호로 복원하여 평면영상출력장치인 상기 표시부(104)에 디스플레이한다.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odes and packetize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input apparatus 103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other side via the RF unit 109. The packet having the image data received through the RF unit 109 is restored to the image signal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4 which is a flat image output device.

즉, 종래기술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기는 평면 영상의 전송이 목적이며 입체영상을 처리할 수 없다. 한편, 입체 영상처리 장치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며 입체영상 TV와 카메라는 상용화되어 있다. 상용화된 입체영상 기술의 가장 큰 문제점은 많은 연산 및 전송량과 입체영상의 표시방법에 있다. 즉, 입체영상이므로영상정보가 평면 영상에 비해 많으며 입체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표시장치(예 : TV의 화면) 정면의 일정범위 내에 관찰 점(안구의 위치)이 고정되거나 또는 입체영상 시청용 안경 등의 보조 장치가 필요하다.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ntended to transmit a planar image and cannot process a stereoscopic image. On the other hand, a lot of researches on the stereoscopic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s been made and the stereoscopic image TV and the camera is commercialized. The biggest problem of the commercialized stereoscopic image technology is the large number of calculations and transmission amounts and the display method of the stereoscopic image. That is, since it is a stereoscopic image, the image information is more than that of a flat image, and in order to view a stereoscopic image, an observation point (eye position) is fix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front of a display device (e.g., a TV screen) or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Auxiliary devices are needed.

하지만, 휴대 단말기는 개인기기로 다수의 시청자가 한 개의 화면을 보아야 하는 TV 등과는 달리 한 명의 관찰자만이 표시장치(화면)를 보게 되므로 안구의 위치가 화면의 정면에 어느 정도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입체 영상 처리방법을 휴대 단말기의 적용하면 그 구현이 용이하다고 할수 있다.However, the mobile terminal has a merit that the position of the eyeball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screen because only one observer sees the display (screen), unlike a TV which requires a plurality of viewers to view one screen as a personal device. . Therefore, if the portable terminal is applied to the stereoscopic image processing method, it can be said to be easy to impleme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입체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stereoscopic image in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적어도 두 개의 영상입력장치들을 통해 촬영된 복수의 영상들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plurality of images photographed through at least two image input apparatuses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적어도 두 개의 영상입력장치들을 통해 촬영된 복수의 영상들을 평면 영상출력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photographed through at least two image input apparatuses on a planar image output apparatus in a portable terminal.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망으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휴대 단말기의 송신장치에 있어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고,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여 좌우 두개의 영상데이터들을 출력하는 두 개의 영상입력장치들과, 상기 좌우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중 하나의 영상데이타와 상기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 간의 차이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소정 압축방식으로 코딩하고 패킷화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로부터의 상기 패킷화된 영상데이터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RF(Radio Frequency)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transmission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packet data to the wireless network, two image inputs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outputs two image data left and right by photographing the same subject And a controller for coding and packetizing data including one image data of the two left and right image data and difference information between the two image data in a predetermined compression method, and the packetization from the controller. And a radio frequency (RF) unit for converting the transmitted image data into a radio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ame.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두 개의 영상입력장치들에 의해 촬영된 동일한 피사체에 대한 좌우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을 패킷으로 수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좌우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중 하나의 영상데이타와 상기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 간의 차이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하나의 영상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상기 차이정보를 근거로 다른 영상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제어기와, 상기 디코딩된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을 저장하며, 소정 시간주기로 상기 저장된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을 교대로 선택하여 영상신호로 재생하여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ceiving apparatus of a mobile terminal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wo image data, left and right, for a same subject photographed by two image input apparatuses as a packet, wherein the packet is stor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ne image data among two image data and difference information between the two image data, and receiving the packet to decode the one image data, and then decoding another image data based on the difference information. And a display for storing the decoded two image data, and alternately selecting the two stored image data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reproducing the image data as a video signal, and displaying the image signal on the display window.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영상처리가 가능한 휴대전화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ellular phone capable of imag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처리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tereoscopic image process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외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3 is a diagram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의 인식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recognition of a three-dimensional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입체영상의 인식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recognition of a three-dimensional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카메라들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영상데이터들을 패킷화하여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packetizing and transmitting a plurality of image data input from two camera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카메라들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image data photographed by two camera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을 압축하기 위한 블록구성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lock configuration for compressing a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 영상데이터 및 차이(disparity) 사이의 관계를보여주는 도면.9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left and right image data and dispar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을 압축하기 위한 블록구성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10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block configuration for compressing a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10의 압축방식으로 압축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11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receiving and restoring data compressed by the compression method of FIG. 10.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영상입력장치(예 : 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된 복수의 영상들을 표시부에표시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즉, 복수의 영상들을 편광필터를 통해 표시하거나, 상기 복수의 영상들을 교대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입체적으로 영상을 인식할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아울러 복수의 영상들을 효과적으로 압축하여 전송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Hereinafter, a method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captured by at least two image input devices (eg, cameras) on a display unit. That is, a method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through a polarization filter or alternately displaying the plurality of images to allow a user to recognize a three-dimensional image, and to compress and transmit a plurality of images effectively. Will be explain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처리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는 좌우 두 개의 영상입력장치들(203-1, 20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tereoscopic image process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2 is characterized by having two left and right image input devices 203-1 and 203-2.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중앙처리부(200)는 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기저대역신호에 대해 각종 처리를 행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부(200)는 적어도 두 개의 영상입력장치들(203-1,203-2)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영상데이터들을 코딩(또는 압축 코딩) 및 패킷화하여 RF부(209)로 출력하고, 상기 RF부(209)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영상데이터들을 포함한 패킷을 디패킷화 및 디코딩하여 원래의 영상데이터들로 복원하여 표시부(204)로 출력한다. 상기 복수의 영상데이터들을 코딩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상기 RF부(209)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기지국(211)으로부터의 무선신호(Radio Frequency : RF)를 기저대역신호로 처리하고, 중앙처리부(200)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무선신호로 처리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erforms various processing on the baseband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codes (or compresses) and packetizes a plurality of image data received from at least two image input devices 203-1 and 203-2 and outputs them to the RF unit 209. The packet including the plurality of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RF unit 209 is depacketized and decoded to be restored to the original image data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204. A method of coding the plurality of image data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The RF unit 209 processes a radio frequency (RF) from a base station 211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s a baseband signal, and processes the baseband signal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as a radio signal. Transmit via antenna

제1 및 제2 영상 입력장치들(203-1, 203-2)은 각각 렌즈를 통하여 입력된 피사체의 광학적 영상신호를 고체 촬상소자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영상데이타로 상기 중앙처리부(200)로 출력한다. 예를들어, 상기 제 및 제2 영상입력장치들(203-1, 203-2)은 일반적인 CCD(charge coupled device) 입력장치인 카메라가 될 수 있다. 표시부(204)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통신단말기의 동작상태, 상기 표시부(204)는 제1 및 제2영상입력장치들(203-1,203-2)에서 촬영된 영상 및 수신되는 영상을 액정표시창(LCD)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204)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부(200)에서 제공되는 동일한 시점에 촬영된 복수의 영상들을 편광필터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굴절각도로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영상들을 교대로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스피커(205) 및 마이크(207)는 음성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장치이다.The first and second image input devices 203-1 and 203-2 convert the optical image signal of the subject input through the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a solid-state image sensor, and digitally process the electrical signal. The image data is output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image input devices 203-1 and 203-2 may be a camera that is a general charge coupled device (CCD) input device. The display unit 204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display unit 204 displays the images captured by the first and second image input devices 203-1 and 203-2 and the received images. It is displayed on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204 displays a plurality of images photographed at the same time point provid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at different refraction angles using polarization filters or alternately displays the plurality of images. On the other hand, the speaker 205 and the microphone 207 are devices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voice signals.

즉, 상기 중앙처리부(200)에서 복원된 신호는 좌우 2개의 영상신호이며, 사용자는 상기 두 개의 영상을 왼쪽과 오른쪽 눈을 통해 각각 독립적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 한 개의 화면에 좌우 두 개의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은 편광필터를 사용하여 좌우 영상을 각각 다른 굴절각도로 분리하여 좌우의 안구에 따로 보이게 하는 방법과, 화면 차단 기능을 가진 안경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편광필터가 장착된 표시장치를 사용할 경우 안구의 위치가 고정되면 자연스러운 입체영상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조 장치인 안경을 사용한 경우의 방법을 기술하며, 상기 편광필터를 사용하는 방법도 같은 원리로 설명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That is, the signal reconstruc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is the left and right two image signals, and the user should be able to view the two images independently through the left and right eyes, respectively. A method of displaying two left and right images on one screen includes a method of separating the left and right images at different refractive angles using a polarization filter so that the left and right eyes are displayed separately, and using glasses having a screen blocking function. When the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the polarization filter is used, the stereoscopic image may be viewed when the position of the eyeball is fix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in the case of using the eyeglasses as an auxiliary device is described, and the method of using the polarizing filter can be explained by the same principl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외부 구성을 보여준다.3 shows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입력장치들(203-1,203-2)에 해당하는 2개의 카메라들은 A-L 과 A-R로서 단말기의 측면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거나, A와 같이 외부기기로 연결될수 있다. 입체영상을 시청하기 위해서 D와 같이 휴대 전화기에 연결된 안경(204)를 사용하거나, 또는 화면(B)의 표면에 편광필터를 설치하여 D와 같은 보조기구 없이 사용자가 영상을 입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the two cameras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put apparatuses 203-1 and 203-2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terminal as A-L and A-R, or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FIG. In order to view stereoscopic images, glasses 204 connected to a mobile phone, such as D, or a polarizing filter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screen B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images in three dimensions without assistive devices such as D. do.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영상을 입체적으로 인식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and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hree-dimensional recognition of an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거리(distance)만큼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카메라들이 정면을 촬영했을 때 물체(피사체)는 카메라와 물체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화면상에 위치 차이(disparity)만큼 떨어져 표시된다. 사용자가 이러한 영상을 좌우의 안구를 통해 각각 독립적으로 보게 되면, 사용자는 이 영상을 입체적으로 합성(fusion)하여 인식하게 된다. 즉,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면상에 상기 차이(disparity)만큼 이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두 영상을 각각 독립적으로 인식하면, 상기 차이에 따라 화면으로부터 튀어나오거나 들어가 있는 영상으로 인식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 when two camera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photograph the front side, an object (subject) is disparity on the screen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amera and the object. As far as is displayed. When the user views each of these images independently through the left and right eyes, the user recognizes the images by three-dimensional fusion. That is, 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independently recognizes two images displayed by being separated by the disparity on the screen, each of them is recognized as an image that protrudes or enters from the scree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do.

한편, 두 개의 카메라들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는 데이터의 양이 많으므로 전송을 위해 압축을 해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카메라들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영상데이터들을 패킷화하여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의 절차는 상기 도 2의 구성에서 영상입력장치(203) 및 중앙처리부(200)에서 분담해서 처리할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data input from the two cameras is a large amount of data, it must be compressed for transmission. FIG. 6 illustrates a procedure for packetizing and transmitting a plurality of image data input from two camera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dure of FIG. 6 may be shared by the image input device 203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in the configuration of FIG. 2.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601단계에서 좌우 두 개의 영상입력장치들(203-1,203-2)이 피사체를 촬영하여 좌우 영상신호를 생성하고, 603단계에서 상기 좌우 영상신호를 디지털변환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중앙처리부(200)로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중앙처리부(200)는 605단계에서 상기 두 개의 영상입력장치들(203-1,203-2)로부터의 좌우 영상데이터들을 각각 다른 영상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200)는 607단계에서 상기 좌우 영상데이터들을 압축하는 인코딩(encoding)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인코딩에 대해서는 이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후, 상기 중앙처리부(200)는 609단계에서 상기 인코딩된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을 전송을 위해 하나의 패킷데이터로 만들고, 상기 611단계에서 상기 패킷데이터를 RF부(209)를 통해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6, in operation 601, two image input apparatuses 203-1 and 203-2, left and right, photograph a subject to generate left and right image signals, and in step 603, digital image is converted by digitally converting the left and right image signals. The data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In operation 605,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stores left and right image data from the two image input apparatuses 203-1 and 203-2 in different image memories. In operation 607, the CPU 200 encodes the left and right image data. Here, the encod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hereafte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makes the encoded two image data into one packet data for transmission in step 609, and transmits the packet data through the RF unit 209 in step 611.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카메라들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7 illustrates a procedure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image data photographed by two camera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701단계에서 두 개의 카메라들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후, 상기 중앙처리부(200)는 703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패킷데이터로부터 좌우 영상데이터를 분리한다. 여기서, 분리된 좌우 영상데이터는 인코딩된 데이터이다. 따라서, 상기 중앙처리부(200)는 705단계에서 상기 분리된 좌우 영상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복원된 좌우 영상데이터들을 표시부(204)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표시부(204)는 상기 좌우 영상 데이터들을 각각 다른 영상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204)는 708단계에서 상기 좌우 영상데이터들을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선택하고, 709단계에서 상기 선택되는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 변환하여 영상신호로 재생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711단계에서 상기 재생된 영상신호를 액정표시창(LCD)에 디스플레이한다. 이 경우, 좌우 영상신호가 교대로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좌우 교대로 차단되는 안경을 착용하고 화면을 보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입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보다 편리하게 편광필터를 사용할수도 있다. 이 방법은 좌우 영상의 편광 각도를 조정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화면으로부터 적당한 거리에서 보면 좌우의 영상이 각각 좌우의 안구에 따라 비춰지게 된다. 즉, 안구의 위치가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합한 방법이다.Referring to FIG. 7, first, in step 701, packet data including image data captured by two cameras is received. In operation 703, the CPU 200 separates left and right image data from the received packet data. Here, the separated left and right image data are encoded data. Therefor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decodes the separated left and right image data in step 705 and outputs the restored left and right image data to the display unit 204. Then, the display unit 204 stores the left and right image data in different image memories. In operation 708, the display unit 204 alternately selects the left and right image data in frame units, and in step 709, converts the selected image data into analog video and reproduces the image signal. In operation 711, the controller 200 displays the reproduced video signal on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In this case, since the left and right image signals are alternately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user wears glasses that are alternately blocked left and right and views the screen, the displayed image may be three-dimensionally recognized. As another example, a polarization filter may be used more conveniently. In this method, the polarization angles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are adjusted and displayed. When viewed from an appropriate distance from the screen, the left and right images are respectively illuminated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eyes. That is, it is a method suitable for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eyeball is fixed.

두 개의 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는 양이 많으므로 압축을 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부(204)를 구비하지 않은 수신자를 위해 두 개의 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평면영상으로 표시할수도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입체영상 압축 방법을 제안한다.The video data captured by the two cameras is very large and needs to be compressed. In addition, it should be possible to display the image data photographed from the two cameras as a planar image for the receiver that does not have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unit 20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tereoscopic image compression method as follows.

일반적으로, 두 개의 영상사이에는 상관관계가 크므로 이를 이용하여 중복된 정보(redundancy)를 줄여 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한편 한 개의 영상 내에서 중복된 정보(redundancy)를 제거하여 압축하는 방법은 이미 많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JPEG 정지영상 압축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한 개의 영상데이터(예를 들어 왼쪽 영상)는 기존의 영상압축 방법으로 압축하고, 다른 한쪽의 영상데이터(예를 들어 오른쪽 영상)는 상기 왼쪽 영상을 이용하여 압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경우, 입체 영상 표시부를 구비한 단말기의 경우 두 개의 영상을 모두 복원(decoding)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일반적인 단말기의 경우 기존의 영상압축방법을 사용한 왼쪽영상만 복원(decoding)하여 디스플레이하면 된다.In general, since there is a large correlation between two images, a process of reducing redundancy is needed. On the other hand, a method of compressing by removing redundant information in one image is already developed and used. For example, a JPEG still image compression method is mentioned.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method of compressing one image data (for example, a left image) using a conventional image compression method, and compressing another image data (for example, a right image) using the left image. In such a method, a terminal having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unit decodes and displays both images, and in the case of a general terminal, only a left image using a conventional image compression method can be decoded and displayed. .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을 압축하기 위한 블록구성의 일 예를 보여준다.8 shows an example of a block configuration for compressing a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인코더(801)는 프레임단위로 입력되는 왼쪽 영상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출력한다. 예를들어, 상기 인코더(801)는 JPEG 인코더를 사용할수있다. 여기서, 프레임단위는 하나의 화면에 대응하는 영상데이터의 단위이고, 상기 프레임 데이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크기의 블록(Block_BR_n)들로 구성된다. 상기 일정크기의 블록은 일반적으로 8 pixel ×8 pixel 크기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8, the encoder 801 encodes and outputs left image data input in units of frames. For example, the encoder 801 may use a JPEG encoder. Here, the frame unit is a unit of image data corresponding to one screen, and the frame data is composed of blocks of a predetermined size (Block_BR_n) as shown in FIG. 9. The predetermined size block generally has a size of 8 pixels x 8 pixels.

차이추정부(Disparity/Motion Estimation)(803)는 프레임단위로 입력되는 왼쪽 영상(A_L) 데이터 및 오른쪽 영상 데이터로부터 유사한 블록을 찾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차이추정부(803)는 x축을 탐색하여 상기 왼쪽 영상(A_L)과 오른쪽 영상(A_R) 사이에 유사한 블록을 찾고, 상기 유사한 두 블록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차이(disparity) 정보를 감산기(805) 및 차이코딩부(809)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차이추정부(803)는 MPEG 등에서 사용하는 활동 추정(motion estimation)과 유사하며, 시간차이를 가지는 두 개의 영상으로부터 유사한 부분을 찾는 MPEG과 달리 좌우 영상으로부터 유사한 부분을 찾는다. 따라서, MPEG에서는 탐색영역(Search Area)이 2차원 평면상에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수평선상에 존재하게 된다. 즉, 좌우 영상의 차이는 수평선 상에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활동 벡터(motion vector)는 수평축(x축) 만이 존재하며, 그만큼 탐색영역이 줄어들기 때문에 연산량이 적다. 상세히,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이추정부(803)는 오른쪽 영상의 임의 블록(Block_BR_x)에 대해 왼쪽 영상에서 가장 유사한 블록(Block_BL_x)를 찾고, 상기 유사한 두 블록 사이의 거리를 차이(disparity)로 결정한다.The disparity / motion estimation (803) performs a function of finding a similar block from the left image (A_L) data and the right image data input in units of frames. That is, the difference estimator 803 searches the x-axis to find a similar block between the left image A_L and the right image A_R, and subtracts the dispar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imilar blocks. 805 and the difference coding unit 809. Here, the difference estimator 803 is similar to the motion estimation used in MPEG and the like, and unlike MPEG, which finds similar parts from two images having a time difference, finds similar parts from left and right images. Thus, in MPEG, the search area is on a two-dimensional plan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n a horizontal line.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images is displayed on the horizontal line. Therefore, the motion vector has only a horizontal axis (x axis), and the amount of computation is small because the search area is reduced by that amount. In detail, as shown in FIG. 9, the difference estimator 803 finds the most similar block (Block_BL_x) in the left image with respect to an arbitrary block (Block_BR_x) of the right image, and compares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imilar blocks ( disparity).

다시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감산부(805)는 상기 왼쪽 영상(A_L)에 해당하는 데이터와 상기 차이추정부(803)로부터의 상기 차이정보를 입력하고, 상기왼쪽 영상(A_L)과 상기 오른쪽 영상(A_R)의 블록 데이터 사이의 차이를 이용하여 잔여 영상(Residual Image)을 구성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잔여 영상에서 오른쪽 영상의 Block BR_x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Block BL_x)-(Block_BR_x)로 구성된다. 즉, 상기 잔여 영상은 영상의 정보가 대부분 0에 가깝기 때문에 잔여 영상을 코딩하는 경우 큰 압축효과를 가져올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8, the subtraction unit 805 inputs data corresponding to the left image A_L and the difference information from the difference estimating unit 803, and the left image A_L and the left image A_L. The residual image is constructed and output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block data of the right image A_R. Here, the data corresponding to Block BR_x of the right image in the residual image is composed of (Block BL_x)-(Block_BR_x). That is, the residual image may have a large compression effect when coding the residual image because the information of the image is mostly close to zero.

인코더(807)는 상기 감산기(805)로부터의 상기 잔여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인코더(807)는 JPEG인코더를 사용할수 있다. 차이 코딩부(809)는 상기 차이 추정부(803)으로부터 제공되는 차이 정보를 코딩하여 출력한다. 패킷 생성부(811)은 상기 인코더(801)로부터의 제1압축데이터(d)와 상기 인코더(807)로부터의 제2압축데이터(e)와 상기 차이코딩부(809)로부터의 제3압축데이터를 결합하여 패킷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데이터전송부(813)는 상기 패킷생성부(811)로부터의 상기 패킷데이터를 해당 전송규격에 맞게 변환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압축 방법은 정보의 손실을 줄여 전송할 수는 있으나 데이터 량이 많다. 따라서, 데이터 량을 좀더 줄일수 있는 압축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ncoder 807 encodes and outputs data of the residual image from the subtractor 805. Here, the encoder 807 may use a JPEG encoder. The difference coding unit 809 codes and outputs differen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difference estimating unit 803. The packet generator 811 may include first compressed data d from the encoder 801, second compressed data e from the encoder 807, and third compressed data from the difference coding unit 809. Combine to generate packet data. The data transmission unit 813 converts the packet data from the packet generation unit 811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standard and transmits the converted data. This compression method reduces the loss of information and can transmit it, but has a large amount of data. Therefore, the compression method that can further reduce the amount of data is as follows.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을 압축하기 위한 블록구성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상기 도 10은 압축된 왼쪽 영상(A_L)과 차이(disparity) 정보만 전송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상기 차이 정보만을 전송하므로 데이터 양은 적으나 수신단에서 상기 차이정보를 가지고 오른쪽 영상을 복원해야 한다. 이 방법은 특히 차이(disparity)정보를 계산하는 기본 단위인 블럭 크기를 변형하면 효과적이다. 즉 일반적인 크기(8 * 8 pixel)보다 (8 * 4 pixel) 또는 (4 *2 pixel) 등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10 shows another example of a block configuration for compressing a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llustrates a method of transmitting only compressed left image A_L and disparity information. In this case, since only the differen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e data amount is small, but the receiver needs to restore the right image with the difference information. This method is particularly effective when modifying the block size, which is the basic unit for calculating the disparity information. That is, it is effective to use (8 * 4 pixel) or (4 * 2 pixel) rather than the general size (8 * 8 pixels).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인코더(1001)는 프레임단위로 입력되는 왼쪽 영상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출력한다. 예를들어, 상기 인코더(1001)는 JPEG 인코더를 사용할수 있다. 상기 차이추정부(1003)는 x축을 탐색하여 상기 왼쪽 영상과 오른쪽 영상(A_R) 사이에 유사한 블록을 찾고, 상기 유사한 두 블록 사이의 거리를 차이(disparity) 정보로 출력한다. 차이코딩부(1005)는 상기 차이추정부(1003)으로부터의 상기 차이정보를 코딩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차이코딩부(1005)는 일반적인 'Run length" 압축 방식이나 "entropy" 코딩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차이정보를 코딩한다. 패킷생성부(1007)는 상기 인코더(1001)로부터의 상기 왼쪽 영상데이터를 압축한 제1압축데이터와 상기 차이코딩부(1005)로부터의 상기 차이정보를 압축한 제2압축데이터를 결합하여 패킷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부(1009)는 상기 패킷생성부(1007)로부터의 상기 패킷데이터를 소정 전송규격에 맞게 변환하여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encoder 1001 encodes and outputs left image data input in units of frames. For example, the encoder 1001 may use a JPEG encoder. The difference estimator 1003 searches the x-axis to find a similar block between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A_R, and outputs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imilar blocks as disparity information. The difference coding unit 1005 codes and outputs the difference information from the difference estimating unit 1003. Here, the difference coding unit 1005 codes the difference information using a general 'Run length' compression scheme or an 'entropy' coding scheme, and the packet generator 1007 encodes the left image from the encoder 1001. Packet data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first compressed data compressed with data and the second compressed data compressed with the difference information from the difference coding unit 1005. The data transmitter 1009 generates the packet data. The packet data from 1007 is converted and transmit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ransmission standard.

그러면, 수신단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된 왼쪽 영상(L)으로 부터 오른쪽 영상(R)을 복원해 간다. 즉, 복원(decoding)된 왼쪽영상 L1로부터 해당 차이(disparity)만큼 이동 시켜 오른쪽 영상 R1을 복원하고, 왼쪽영상 L2로 부터 오른쪽 영상 R2를 복원하며, 계속하여 왼쪽영상 L3으로부터 오른쪽 영상R3을 복원해 간다. 이 과정에서 R12 처럼 겹치는 부분이 발생하고, R23처럼 데이터가 없는 영역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R12에 해당하는 부분은, 도시한 바와 같이 왼쪽 영상 L1과 L2의 겹치는 데이터를 평균하여 대치하고(R12 = (lp1 + lp21)/2), 상기R23에 해당하는 부분은 L2의 마지막 pixel(lp22)과 L3의 첫번째 pixel(lp3)를 선형보간(linear interpolation)법으로 재생한다.Then, as shown in FIG. 11, the receiver restores the right image R from the reconstructed left image L. FIG. That is, the right image R1 is restored by shifting the corresponding left (deparity) from the decoded left image L1, the right image R2 is restored from the left image L2, and the right image R3 is subsequently restored from the left image L3. Goes. In this process, an overlapping part occurs like R12, and an area without data like R23 occurs. At this time,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R12 is replaced by averaging the overlapping data of the left image L1 and L2 as shown (R12 = (lp1 + lp21) / 2), and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R23 is the last pixel of L2 ( lp22) and the first pixel (lp3) of L3 are reproduced by linear interpola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두 개의 영상입력부들로부터의 좌우 영상데이터를 두 가지 방법으로 압축하여 전송한다. 하나는 상기 도 8과 같이 왼쪽 영상(A_L)과 잔여 영상(Residual Image)과 차이(disparity)정보를 각각 코딩한후 결합하여 전송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도 10과 같이 왼쪽 영상(A_L)과 차이(disparity)정보를 각각 코딩하여 결합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상기 두 가지 방법을 채널(channel)의 용량이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병행하여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즉, 기지국과 휴대 단말기 사이의 사용자가 많아 통신 채널(channel)의 여유가 적으면 전송량이 적은 후자의 방식을 사용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전자의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채널용량과 상관없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두가지 방식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mpresses and transmits left and right image data from two image input units by two methods. One is a method of coding after combining the left image (A_L), residual image (Residual Image) and the disparity information as shown in FIG. 8, respectively, and the other is left image (A_L) as shown in FIG. And the code for combining and disparity information, respectively, are transmitted. It is effective to use the above two methods in parallel according to channel capacity or user's choice. In other words, if there are many users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re is little space in the communication channel, the latter method with a small amount of transmission is used. Otherwise, the former method is used. 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channel capacity, one of the two methods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 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ose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간단한 알고리즘을 통해 입체영상을 송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할수 있다. 즉, 카메라를 부착하여 입체영상을 송수신할 수도 있고 상품광고나 영화, 애니메이션(animation)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입체영상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or receive a stereoscopic image through a simple algorithm in the mobile terminal. That is, it is possible to send and receive stereoscopic images by attaching a camera,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supporting various types of stereoscopic image data services such as product advertisements, movies, and animations.

Claims (8)

무선망으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휴대 단말기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A transmitter of a portable terminal for transmitting packet data to a wireless network,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고,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여 좌우 두개의 영상데이터들을 출력하는 두 개의 영상입력장치들과,Two image input devices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outputting two left and right image data by photographing the same subject; 상기 좌우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중 하나의 영상데이타와 상기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 간의 차이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소정 압축방식으로 코딩하고 패킷화하는 제어기와,A controller for coding and packetizing one image data of the two left and right image data and data including difference information between the two image data in a predetermined compression method; 상기 제어기로부터의 상기 패킷화된 영상데이터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RF(Radio Frequency)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 송신 장치.And a radio frequency (RF) unit for converting the packetized video data from the controller into a radio signal and transmitting the radio signal. 삭제delete 두 개의 영상입력장치들에 의해 촬영된 동일한 피사체에 대한 좌우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을 패킷으로 수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A reception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wo left and right image data of a same subject photographed by two image input devices as a packet, 상기 패킷은 상기 좌우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중 하나의 영상데이타와 상기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 간의 차이정보를 포함하고,The packet includes one image data of the two left and right image data and difference information between the two image data. 상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하나의 영상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상기 차이정보를 근거로 다른 영상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제어기와,A controller which receives the packet and decodes the one image data and then decodes and outputs another image data based on the difference information; 상기 디코딩된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을 저장하며, 소정 시간주기로 상기 저장된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을 교대로 선택하여 영상신호로 재생하여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 수신 장치.And a display unit which stores the decoded two image data and alternately selects the stored two image data at predetermined time periods, reproduces them as image signals, and displays them on a display window. 두 개의 영상입력장치들에 의해 촬영된 동일한 피사체에 대한 좌우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을 패킷으로 수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A reception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wo left and right image data of a same subject photographed by two image input devices as a packet, 상기 패킷은 상기 좌우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 중 하나의 영상데이타와 상기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 간의 차이정보를 포함하고,The packet includes one image data of the two left and right image data and difference information between the two image data. 상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하나의 영상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상기 차이정보를 근거로 다른 영상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제어기와,A controller which receives the packet and decodes the one image data and then decodes and outputs another image data based on the difference information; 상기 디코딩된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을 편광필터를 이용해 각각 다른 굴절각도로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 수신 장치.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the decoded two image data on a display window at different refractive angles using a polarization filter. 무선망으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휴대 단말기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In the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packet data to a wireless network,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영상입력장치들이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여 좌우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을 발생하는 과정과,Two image input devices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photographing the same subject to generate two image data at right and left; 상기 좌우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 중 하나의 영상데이타와 상기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 간의 차이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소정 압축방식으로 코딩하고 패킷화하는 과정과,Coding and packetizing data including one image data among the two left and right image data and difference information between the two image data by a predetermined compression method; 상기 패킷화된 영상데이터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됨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 송신 방법.And converting the packetized video data into a wireless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video data. 삭제delete 두 개의 영상입력장치들에 의해 촬영된 동일한 피사체에 대한 좌우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을 패킷으로 수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In the receiv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wo left and right image data of the same subject photographed by two image input devices in a packet, 상기 좌우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 중 하나의 영상데이타와 상기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 간의 차이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Receiving data including one image data of the two left and right image data and difference information between the two image data; 상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하나의 영상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상기 차이정보를 근거로 다른 영상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과정과,Receiving the packet, decoding the one image data, and decoding and outputting another image data based on the difference information; 상기 디코딩된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과정과,Storing the decoded two image data; 소정시간주기로 상기 저장된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을 교대로 선택하여 영상신호로 재생하여 표시창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 수신 방법.And alternately selecting the two stored image data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reproducing the image data as a video signal, and displaying the same on a display window. 두 개의 영상입력장치들에 의해 촬영된 동일한 피사체에 대한 좌우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을 패킷으로 수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In the receiv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wo left and right image data of the same subject photographed by two image input devices in a packet, 상기 좌우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 중 하나의 영상데이타와 상기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 간의 차이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Receiving data including one image data of the two left and right image data and difference information between the two image data; 상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하나의 영상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상기 차이정보를 근거로 다른 영상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과정과,Receiving the packet, decoding the one image data, and decoding and outputting another image data based on the difference information; 상기 디코딩된 두 개의 영상데이터들을 편광필터를 이용해 각각 다른 굴절각도로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 수신 방법.And displaying the decoded two pieces of image data on the display window using different polarization filters at different refractive angles.
KR10-2002-0009787A 2002-02-23 2002-02-2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ereoscopic image in portable phone KR1004465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787A KR100446528B1 (en) 2002-02-23 2002-02-2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ereoscopic image in portab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787A KR100446528B1 (en) 2002-02-23 2002-02-2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ereoscopic image in portabl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311A KR20030070311A (en) 2003-08-30
KR100446528B1 true KR100446528B1 (en) 2004-09-01

Family

ID=32222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787A KR100446528B1 (en) 2002-02-23 2002-02-2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ereoscopic image in portab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52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186B1 (en) 2004-06-30 2011-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hich is enable to carry out 3-dimension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887B1 (en) * 2002-06-21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data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phone with camera
KR100641176B1 (en) * 2004-10-20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of three dimensions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100747581B1 (en) * 2005-09-29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having camera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the same
KR100868244B1 (en) * 2007-01-05 2008-11-12 (주)마스터이미지 Method For Generating Stereoscopic Image Using The Mobile Equipment, And Chipset For Generating Stereoscopic Image Used In The Mobile Equip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515A (en) * 1998-12-14 2000-07-05 윤종용 Display device for three dimensional im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515A (en) * 1998-12-14 2000-07-05 윤종용 Display device for three dimensional im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186B1 (en) 2004-06-30 2011-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hich is enable to carry out 3-dimension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311A (en) 200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57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ynamic depth of stereo-view or multi-view sequence images
KR101698657B1 (en) Panorama based 3d video coding
US9154786B2 (en) Apparatus of predictive coding/decoding using view-temporal reference picture buffers and method using the same
US8644386B2 (en) Method of estimating disparity vecto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multi-view moving picture using the disparity vector estimation method
US9552633B2 (en) Depth aware enhancement for stereo video
US9729818B2 (en) Adaptive post-processing for mobile video calling system
KR100375708B1 (en) 3D Stereosc opic Multiview Video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EP1927250A1 (en) Method of estimating disparity vecto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multi-view moving picture using the disparity vector estimation method
US20100002764A1 (en) Method For Encoding An Extended-Channel Video Data Subset Of A Stereoscopic Video Data Set, And A Stereo Video Encoding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KR201100641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 stereoscopic 3d image, and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3d image
WO2013032512A1 (en) Multiview video coding schemes
CN102595164A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ending video image
US113752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video encoding and decoding with interpolation filter flag being consistent with MMVD distances
KR10080065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a stereoscopic 3d image
WO2012060156A1 (en) Multi-viewpoint image encoding device and multi-viewpoint image decoding device
WO2006003611A2 (en) Video processing
KR10044652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ereoscopic image in portable phone
KR1016454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 image data in portable terminal
KR100566100B1 (en) Apparatus for adaptive multiplexing/demultiplexing for 3D multiview video processing and its method
KR201200406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KR101334129B1 (en) System and method for 3-dimensional image acquisition using camera terminal for shooting multi angle pictures
KR100703713B1 (en) 3D mobile devices capable offer 3D image acquisition and display
CN109479147B (en) Method and technical device for inter-temporal view prediction
KR100641176B1 (en) Method for displaying of three dimensions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JP2012114544A (en) Video enco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