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4590B1 - Device for preventing from stealing and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Device for preventing from stealing and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4590B1
KR100444590B1 KR10-2001-0068733A KR20010068733A KR100444590B1 KR 100444590 B1 KR100444590 B1 KR 100444590B1 KR 20010068733 A KR20010068733 A KR 20010068733A KR 100444590 B1 KR100444590 B1 KR 100444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password
input
impeda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7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30807A (en
Inventor
엄덕기
정재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30030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8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590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도난방지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감지부는 전원의 온/오프를 감지한다. 제어부는 감지부로부터 전원이 오프됨을 통지 받으면, 출력부로 경보신호를 발신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부는 경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는 전원이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절환됨을 통지 받으면 입력받은 비밀번호가 기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전원 차단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가 외출시 외출모드를 설정한 경우에는 전원이 오프됨을 감지하면 송신부는 사용자의 이동통신수단으로 제품의 상태를 알리는 도난 메시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경보신호를 발신하거나 사용자의 이동통신수단으로 도난 메시지를 전송하여 도난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난당한 경우에도 비밀번호 확인 과정을 통해 전자기기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An antitheft device and method are disclosed. The sensing unit detects power on / off. The control unit outputs a control signal to send an alarm signal to the output unit when notified of the power off from the detection unit. The output unit outputs an alarm signal. 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is notified that the power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the controller outputs a power cutoff signal when the input password does not match the preset password. In addition, when the user sets the outing mode when the user goes out, if it detects that the power is off, the transmitter transmits a stolen message indicating the state of the product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means. Therefore, when the power is off,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ft by sending an alarm signal or by sending a theft message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means, and even if stole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 of electronic devices through a password verification process.

Description

도난방지장치 및 그 방법 {Device for preventing from stealing and method of the same}Anti-theft device and method {Device for preventing from stealing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도난방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에 구비되어 전자기기의 도난을 방지하는 한편, 도난시 전자기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도난방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theft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i-theft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theft of the electronic device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during theft. .

디지털 산업의 발달에 따라 TV와 컴퓨터 등 수많은 전자기기들의 소형화가 급속화되고 있다. 일례로 TV의 경우 액정 디지털 TV가 상용화되고 있으며 디지털기술을 채용함에 따라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해 졌다. 이러한 소형화, 경량화 추세는 TV외에도 DVD, 오디오 등 전자기기 전반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industry, the miniaturization of numer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TVs and computers is rapidly increasing. For example, in the case of TVs, liquid crystal digital TVs are commercially available, and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are possible by adopting digital technology. This trend toward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is being made not only on TVs but also on electronic devices such as DVDs and audios.

그러나 전자기기의 소형화, 경량화는 설치 공간의 축소 및 사용자의 편의 증가라는 이점을 가지는 한편, 소형화, 경량화에 따른 제품가격의 상승 및 도난의 위험성 증가라는 문제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즉, 기존에는 전자기기들이 부피 및 무게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지 않아 도난의 위험성이 적었다. 반면, 소형화, 경량화된 전자기기는 운반이 용이한 고가의 제품이라는 측면에서 도난의 위험성이 증가한 것이다.However,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of electronic devices have advantages such as reduction of installation space and increased convenience of the user, while simultaneously increasing the price of products and increasing the risk of theft. In other words, in the past, electronic devices were not easy to transport due to volume and weight, and thus there was little risk of theft. On the other hand, miniaturized and lightweight electronic devices have an increased risk of theft in that they are expensive products that are easy to carry.

이에 따라, 수평상태에 변화가 발생할 경우 경보신호를 발신하는 도난방지장치가 부착된 전자기기가 판매되고 있다. 종래의 도난방지장치는 전자기기가 수평상태에서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지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경보신호를 울리도록 하는 장치이다.Accordingly, electronic devices with an anti-theft device for transmitting an alarm signal when a change in the horizontal state occurs are sold. Conventional anti-theft device is a device that if the electronic device is tilted more than a certain angle in a horizontal state, the sensor detects it and sounds an alarm signal.

그러나 종래의 도난방지장치는 고가의 수평감지센서를 채용하고 있으며 별도의 수평감지센서의 채용에 따른 회로의 복잡화를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식 센서를 채용한 경우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센서가 동작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으며, 기계식 센서의 경우 오동작의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nti-theft device employs an expensive horizontal sensor and causes a complicated circuit due to the use of a separate horizontal sensor.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ensor does not operate when the power is not supplied in the case of employing the electronic sens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malfunction in the case of the mechanical senso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전자기기의 이동시 경보신호를 발생하여 전자기기의 도난을 방지하는 한편, 전자기기의 도난시 사용자이외에는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한다. 또한, 외출시에 사용자가 외출모드를 설정한 경우에 전원이 오프되면 사용자의 이동통신수단으로 도난 메시지를 전송하여 제품의 상태를 알 수 있게 하는 도난방지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ft of the electronic device by generating an alarm signal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intended to be moved by the user, and to prevent the use of the electronic device other than the user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stole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theft device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theft message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means to know the state of the product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when the user set the mode to go ou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n anti-thef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장치의 감지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etection unit of the anti-thef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방법의 일실시예에 따른 흐름도,3 is a flow 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nti-theft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는 감지부가 수행하는 전원의 온/오프 감지 동작을 상세하게 도시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detail an on / off detection operation of a power supply performed by a detection uni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anti-thef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장치의 감지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그리고,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etection unit of the anti-theft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7 is a flow ch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anti-thef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310 : 감지부 12, 312 : 임피던스 측정부10, 310: detector 12, 312: impedance measuring unit

14, 314 : 저장부 16, 316 : 비교부14, 314: storage unit 16, 316: comparison unit

20, 320 : 제어부 30 : 출력부20, 320: control unit 30: output unit

40, 340 : 입력부 50, 350 : 보조 전원부40, 340: input unit 50, 350: auxiliary power supply

300 : 모드선택부 318 : 감지신호출력부300: mode selection unit 318: detection signal output unit

330 : 송신부330: transmitter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장치는, 전원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감지부;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감지부로부터 전원이 오프됨을 통지 받으면, 상기 출력부로 경보신호를 발신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갖는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anti-thef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on / off of the power;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alarm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transmitting an alarm signal to the output unit when notified of power off from the sensing unit.

상기 감지부는 전원 입력단자 양단의 입력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 기준 임피던스 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기준 임피던스 값과 측정된 상기 입력 임피던스의 값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기준 임피던스 값과 측정된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크면 전원의 온/오프 절환을 나타내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신호출력부;를 포함한다.The sensing unit includes an impedanc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input impedance of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reference impedance value; A comparison unit comparing the reference impedance value with the measured value of the input impedance; And a detection signal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detection signal indicating on / off switching of a power supply when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impedance value and the measured input impedance valu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또한,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원이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절환됨을 통지 받으면 입력받은 상기 비밀번호가 기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정상 동작 신호를 출력한다. 만약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전원 차단신호를 출력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password from a user. The controller outputs a normal operation signal when the inputted password matches the preset password when notified by the detection unit that the power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If the password does not match, the controller outputs a power off signal.

또한, 상기 입력부를 통해 경보기능 해제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어부는 입력받은 비밀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출력부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나아가, 전원이 오프된 경우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기기 내부에 잔존하는 전원이 모두 소모되므로 상기 제어부 및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alarm function is canceled through the input unit, the controller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unit and the output unit when the input password matches the preset password. Furthermore,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the remaining power inside the device is consum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and the output unit.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방법은, 전원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전원이 오프됨을 감지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갖는다. 상기 감지단계는 전원 입력단자 양단의 입력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는 단계; 기준 임피던스 값과 측정된 상기 임피던스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임피던스 값과 측정된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크면 전원의 온/오프 절환을 나타내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갖는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nother technical problem, an anti-thef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ensing the on / off of the power; And outputting an alarm signal when detecting that the power is off. The sensing step may include measuring input impedance values of both ends of a power input terminal; Comparing a reference impedance value with the measured impedance value; And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indicating on / off switching of a power supply when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impedance value and the measured input impedance valu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바람직하게는, 전원이 온됨을 감지하면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받은 상기 비밀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의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step of receiving a password from the user when detecting that the power is on;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input password matches a preset password to determine supply and cutoff of power.

또한, 입력받은 상기 비밀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전원을 차단한다. 경보기능의 설정모드 및 해제모드를 포함하는 모드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비밀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모드가 변환된다. 또한, 상기 설정모드로 선택된 경우에 상기 감지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wer is cut off when the input password and the preset password do not match. And selecting a mode including a setting mode and a canceling mode of an alarm function, wherein the mode is converted when the password input from the user matches a preset passwor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sensing step when the setting mode is selected.

한편, 본 발명의 도난방지장치는, 전원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원이 오프됨을 통지 받으면 사용자의 이동통신수단으로 제품의 도난 상태를 알리는 도난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전원이 오프됨을 통지 받으면 상기 송신부로 상기 도난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anti-thef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on / off of the power;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tolen message indicating a stolen state of a product to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unit when notified that the power is turned off by the detector;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transmitting the theft message to the transmitting unit when notified that the power is turned off.

또한, 상기 감지부는 전원 입력단자 양단의 입력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 기준 임피던스 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기준 임피던스 값과 측정된 상기 입력 임피던스의 값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기준 임피던스 값과 측정된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크면 전원의 온/오프 절환을 나타내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신호출력부;를 포함한다.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n impedance measuring unit measuring input impedance of both ends of a power input terminal;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reference impedance value; A comparison unit comparing the reference impedance value with the measured value of the input impedance; And a detection signal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detection signal indicating on / off switching of a power supply when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impedance value and the measured input impedance valu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사용자에게 외출모드의 설정 및 해제에 대한 선택수단을 제공하는 모드선택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입력받은 상기 비밀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모드변환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외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전원의 온/오프를 감지한다.Preferably, the input unit for receiving a password from the user; And a mode selection unit that provides a user with selection means for setting and releasing the outing mode. In addition, the controller controls mode switching when the input password and the preset password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detects on / off of power when it is set to the outing mode.

또한, 상기 모드선택부를 통해 외출모드 해제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비밀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송신부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원이 오프된 경우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감지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송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를 더 구비한다.In addition, when the go-out mode release is input through the mode selection unit, the controller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etector and the transmitter when the password input from the user matches a preset password. Preferably, the electronic device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detector, the controller, and the transmitter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방법은, 전원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단계; 전원이 오프됨을 감지하면 사용자의 이동통신수단으로 제품의 도난 상태를 알리는 도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갖는다. 또한, 상기 감지단계는 전원 입력단자 양단의 입력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임피던스 값과 측정된 상기 입력 임피던스의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임피던스 값과 측정된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크면 전원의 온/오프 절환을 나타내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ti-theft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tep of sensing the on / off of the power; And transmitting a theft message notifying the stolen state of the product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means when the power is off. The sensing may include measuring input impedance of both ends of a power input terminal; Comparing the reference impedance value with the measured value of the input impedance; And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indicating on / off switching of a power supply when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impedance value and the measured input impedance valu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단계전에, 외출모드의 설정 및 해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포함하며, 입력받은 상기 비밀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모드가 변환되며, 상기 외출모드로 선택된 경우에 상기 감지단계를 수행한다.Preferably, before the sensing step, the step of selecting the setting of the outgoing mode and the release; further includes, when the input password and the preset password is the mode is converted, if the outgoing mode is selected The sensing step is performed.

이에 따라, 부피 및 무게에 있어 휴대하기 쉬운 전자기기에 도난방지장치를구비함으로써, 타인에 의해 임의로 전원이 오프되면 발신되는 경보신호에 의해 전자기기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기기를 도난 당한 경우에도 비밀번호 확인 과정을 통해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출시에외출모드를 선택하여 타인에 의해 전자기기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사용자의 이동통신수단으로 도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또는 가까운 경찰서에 연락을 취해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by providing an anti-theft device in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easy to carry in volume and weigh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ft of the electronic device by an alarm signal sent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arbitrarily. Furthermore, even if the electronic device is stolen, the password verification process can prevent the use of the electronic device. In addition,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turned off by the other person by selecting the outing mode when going out,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theft message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means, or to contact the nearest police station to prevent thef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장치의 일실시예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an anti-thef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도난방지장치는 감지부(10), 제어부(20), 출력부(30), 입력부(40), 보조전원부(50)를 갖는다. 감지부(10)는 전원의 온/오프를 감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장치의 감지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감지부(10)는 임피던스 측정부(12), 저장부(14), 비교부(16), 및 감지신호출력부(18)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1, the anti-theft device includes a sensing unit 10, a control unit 20, an output unit 30, an input unit 40, and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50. The sensing unit 10 detects on / off of power.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etection unit of the anti-theft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sensing unit 10 includes an impedance measuring unit 12, a storage unit 14, a comparator 16, and a sensing signal output unit 18.

임피던스 측정부(12)는 전원 입력단자 양단의 임피던스를 측정한다. 전원 입력단자 양단의 입력 임피던스는 파워코드가 삽입 또는 인출시에 큰 변화를 보이므로 정전 상황에서 임피던스의 변화는 거의 없다.The impedance measuring unit 12 measures impedance of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Since the input impedance at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shows a big change when the power cord is inserted or removed, there is almost no change in impedance in the event of power failure.

저장부(14)는 기준 임피던스 값을 저장한다. 비교부(16)는 기준 임피던스 값과 측정된 입력 임피던스 값을 비교한다. 감지신호출력부(18)는 기준 임피던스 값과 측정된 입력 임피던스 값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크면 전원의 온/오프 절환을 나타내는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즉, 임피던스의 변화에 의해 전원의 온/오프를 감지한다. 이러한 저장부(16)의 동작은 클럭신호에 의해 조절된다.The storage unit 14 stores the reference impedance value. The comparator 16 compares the reference impedance value with the measured input impedance value. The detection signal output unit 18 outputs a detection signal indicating on / off switching of the power supply when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impedance value and the measured input impedance value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at is, the on / off of the power supply is sensed by the change of the impedance. The operation of the storage unit 16 is controlled by the clock signal.

제어부(20)는 감지부(10)로부터 전원이 오프됨을 통지 받으면, 출력부(30)로 경보신호를 발신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부(30)는 제어부(20)로부터 입력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신호를 발신한다.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다.The controller 20 outputs a control signal to send an alarm signal to the output unit 30 when the controller 10 is notified of the power off. The output unit 30 transmits an alarm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20. The input unit 40 receives a password from a user.

제어부(20)는 감지부(10)로부터 전원이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절환됨을 통지 받으면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받은 비밀번호가 기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정상 동작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0)는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소정횟수(예를들어 3회)까지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비밀번호 일치여부를 확인한다. 소정횟수 동안에도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차단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따라서 전자기기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The controller 20 outputs a normal operation signal when the password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40 matches the preset password when the controller 10 is notified that the power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In addition, if the password does not match, the control unit 20 provides an opportunity to input the password up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example, three times) to check whether the password matches. If the password does not match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 power off control signal is output, and thus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operated.

전원이 오프된 후 소정 시간 경과시 보조 전원부(50)는 감지부(10), 출력부(30), 및 제어부(20)에 전원을 공급한다. 보조 전원부(50)를 구비함으로써 전자기기의 도난시 지속적인 경보신호의 발신 및 기기 내부에 잔존하는 전원의 소모시 도난방지장치의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다.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power is turned off,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50 supplies power to the sensing unit 10, the output unit 30, and the control unit 20. By providing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50 can be a normal operation of the anti-theft device when a continuous alarm signal is sent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stolen and when the power remaining in the device is consumed.

한편, 사용자는 입력부(40)를 통해 경보기능의 설정/해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경보기능 설정/해제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비밀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의 일치여부를 확인한다.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경보기능이 설정 또는 해제된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select the on / off of the alarm function via the input unit 40. When the user selects the alarm function on / off menu, the controller 20 checks whether the password input from the user matches the preset password. If the passwords match, the alarm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방법에 대한 일실시예의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of an anti-thef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를 참조하면,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시키면 전자기기에 전원이 공급된다(S200). 감지부(10)는 임피던스 변화에 따라 전원이 온됨을 제어부(20)에 통지하며, 제어부(20)는 비밀번호 입력함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사용자는 입력부(40)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한다(S210). 제어부(20)는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의 일치여부를 판단한다(S220).Referring to FIG. 3, when a plug of an electronic device is inserted into an outlet,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S200). The sensing unit 10 notifies the control unit 20 that the power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impedance change, and the control unit 20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a password input box. The user inputs a password through the input unit 40 (S210).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password matches the preset password (S220).

제어부(20)는 S220 단계의 판단결과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소정횟수(예를들면 3회)까지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S230). 만약 정해진 입력횟수를 초과하면 제어부(20)는 전원을 차단한다(S240). 제어부(20)는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정상 동작신호를 출력하여 전자기기를 작동시킨다(S250).I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220 does not match the password, the control unit 20 provides an opportunity to input the password up to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three times) (S230). If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s exceeded, the controller 20 cuts off the power (S240). If the password matches, the controller 20 outputs a normal operation signal to operate the electronic device (S250).

제어부(20)는 전자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된 이후에 경보기능이 설정되었는가를 확인한다(S260). 경보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감지부(10)는 전원이 오프되었는가를 감지한다(S270).도 4는 감지부가 수행하는 전원의 온/오프 감지 동작을 상세하게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경보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이 오프되면 임피던스 측정부(12)는 입력 임피던스를 측정한다(S272). 비교부(16)는 저장부(14)에 저장된 기준 임피던스 값과 임피던스 측정부(12)에서 측정된 입력 임피던스 값을 비교한다(S274).The controller 20 checks whether the alarm function is set after the electronic device is normally operated (S260). When the alarm function is set, the detector 10 detects whether the power is turned off (S270).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n / off detection operation of power performed by the detector in detail. Referring to FIG. 4,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while the alarm function is set, the impedance measuring unit 12 measures the input impedance (S272). The comparing unit 16 compares the reference impedance valu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 with the input impedance value measured by the impedance measuring unit 12 (S274).

감지신호출력부(18)는 기준 임피던스 값과 측정된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의 차이에 의해 전원이 오프됨을 나타내는 감지신호를 출력한다(S278). 만약 비교결과 임피던스의 차이가 없는 경우는 정상적인 동작 상태임을 통지한다.The sensing signal output unit 18 outputs a sensing signal indicating that the power is turned off by a difference between a reference impedance value and the measured input impedance value (S278). If there is no difference in impedanc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t is notified that it is in a normal operating state.

경보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임피던스의 측정결과 전원이 오프됨을 감지하면 출력부(30)는 경보신호를 출력한다(S280). S260 단계에서 경보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상태에서 전원이 오프되면 경보신호 없이 전원을 차단 후 종료한다(S290).If it is detected that the power is turned off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input impedance while the alarm function is set, the output unit 30 outputs an alarm signal (S280). If the power is turned off in the state that the alarm function is not set in step S260 is terminated after the power is cut off without the alarm signal (S290).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가 제품 구입시 감지기능 설정과정 및 의도하지 않은 전원의 오프시 경보기능의 수행과정의 순서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경보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도난이 발생한 경우 제3자가 플러그를 삽입시키게 되면 상술한 S200 단계에서 S240 단계가 수행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ocedure is described in the order of setting the detection function when the user purchases the product and executing the alarm function when the power is unintentionally turned off. However, if the third party inserts a plug when theft occurs while the alarm function is set, step S240 is performed in step S200.

한편,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경보기능의 설정/해제 여부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경보기능 설정/해제 메뉴를 선택하면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다. 이에 따라, 제어부(20)는 입력받은 비밀번호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비밀번호의 일치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경보기능이 설정 또는 해제된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enter the password to change whether the alarm function on / off. When the user selects the alarm function on / off menu, the input unit 40 receives a password from the user. Accordingly, the controller 20 checks whether the input password matches the preset password. If the password matches, the alarm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또한, 경보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전원을 오프시킨 경우에도 경보신호가 출력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시켜 전원을 공급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경보신호를 해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larm function is set, the alarm signal is output even when the user turns off the power. In this case, the user can insert the plug of the electronic device into an outlet to supply power and enter a password to release the alarm signal.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anti-thef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도난방지장치는 모드선택부(300), 감지부(310), 제어부(320), 송신부(330), 입력부(340), 보조전원부(350)를 갖는다. 모드선택부(300)는 외출모드 기능을 가지며, 사용자에게 외출모드의 설정 및 해제에 대한 선택수단을 제공한다. 외출모드의 설정 및 해제는 메뉴나 리모콘 등의 입력수단으로 선택가능하다. 외출모드는 사용자의 외출시 선택된다. 외출모드의 설정 및 해제를 하기 위해서는 입력부(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모드의 설정 및 해제가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5, the anti-theft device includes a mode selector 300, a detector 310, a controller 320, a transmitter 330, an input unit 340, and an auxiliary power supply 350. The mode selector 300 has a function of going out, and provides a user with selecting means for setting and releasing the going out mode. Setting and canceling the outing mode can be selected by input means such as a menu or a remote controller. The outing mode is selected when the user goes out. In order to set up and release the outing mode, the user can input the password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40 and set and cancel the mode when it matches the preset password.

외출모드로 선택된 경우에, 감지부(310)는 전원의 온/오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장치의 감지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감지부(310)는 임피던스 측정부(312), 저장부(314), 비교부(316), 감지신호출력부(318)를 갖는다.In the case of selecting the outing mode, the sensing unit 310 detects the on / off of the power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etection unit of the anti-thef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detector 310 includes an impedance measurer 312, a storage 314, a comparator 316, and a sense signal output 318.

임피던스 측정부(312)는 전원 입력단자 양단의 입력 임피던스 값을 측정한다. 입력단자 양단의 입력 임피던스는 파워코드가 삽입 또는 인출시에 큰 변화를 보이므로 정전 상황에서 임피던스의 변화는 거의 없다. 저장부(314)는 기준 임피던스 값을 저장한다. 비교부(316)는 기준 임피던스 값과 측정된 입력 임피던스의 값을 비교한다. 이러한 저장부(314)의 동작은 클럭신호에 의해 조절된다. 감지신호출력부(318)는 기준 임피던스 값과 측정된 입력 임피던스 값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크면 전원의 온/오프 절환을 나타내는 감지신호를 출력한다.The impedance measuring unit 312 measures input impedance values of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Since the input impedance at both ends of the input terminal shows a big change when the power cord is inserted or removed, there is almost no change in impedance in the event of power failure. The storage unit 314 stores the reference impedance value. The comparator 316 compares the reference impedance value with the measured input impedance value. The operation of the storage unit 314 is controlled by a clock signal. The detection signal output unit 318 outputs a detection signal indicating on / off switching of the power supply when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impedance value and the measured input impedance value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제어부(320)는 임피던스 값의 변화에 의해 전원이 오프됨을 통지 받으면, 송신부(330)로 제품의 도난 상태를 알리는 도난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송신부(330)는 제어부(320)로부터 입력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통신수단(예를들어 휴대폰)으로 도난 메시지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난 메시지를 수신받는 수단을 이동통신수단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난 사실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예를들면, 경비업체의 경비서버, 경찰서에 구비된 전화)로 메시지 또는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도난 메시지는 기저장되어 있는 메시지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메시지가 전송된다.When the controller 320 is notified that the power is turned off due to the change in the impedance value, the controller 320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transmitter 330 to transmit a theft message indicating the theft state of the product. The transmitter 330 transmits a stolen message to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means (for example,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320. In this embodiment, the means for receiving the stolen message has been described as a mobile communication mean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transmit a message or a signal to a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 signal indicating theft (eg, a security server of a security company or a telephone provided at a police station). In addition, the stolen message is a pre-stored message and a message input from the user is transmitted.

입력부(340)는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다. 제어부(320)는 입력받은 비밀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모드선택부(300)의 모드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모드선택부(300)가 외출모드로 선택된 경우에 감지부(310)로부터 전원이 오프됨을 통지 받으면 송신부(330)로부터 사용자의 이동통신수단으로 도난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The input unit 340 receives a password from a user. The controller 320 allows the mode selection unit 300 to switch modes when the input password matches the preset password. In this case, when the mode selection unit 300 is selected as the outing mode, the control unit 310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transmitting the stolen message from the transmitter 330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power source is notified by the detection unit 310.

여기서 송신부(330)에서 도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핸드폰에서의 SMS(Short Message Service)기능처럼 서비스 센터를 통한 단축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과 같이 발신부 기능이 가능하도록 모듈화시켜 이동통신사를 통해 도난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경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SMS 라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사용자의 이동통신 식별번호 및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Here, in the method of transmitting the stolen message from the transmitter 330, such as a method of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through a service center, such as SMS (Short Message Service) function in a mobile phone, the module can be modularized to enable the calling func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Send a stolen message. In addition, when connected via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 method of transmitting a mobil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number and a message of a user to a server providing a service or a server providing an SMS routing service may be used.

한편, 모드선택부(300)를 통해 외출모드 해제를 입력받으면, 제어부(3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비밀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감지부(310) 및 송신부(330)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외출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 전원이 오프되면 도난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부(330)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ode selection unit 300 receives the exit mode out, the control unit 320 stops the operation of the detector 310 and the transmitter 330 when the password input from the user and the preset password match. Outputs a control signal to enable Therefore,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when the out mode is not set, the operation of the transmitter 330 for transmitting the theft message is not performed.

전원이 오프된 후 소정 시간 경과시 보조전원부(350)는 감지부(310), 제어부(320), 송신부(330)에 전원을 공급한다. 보조전원부(350)를 구비함으로써 전자기기의 도난시 도난 메시지의 송신 및 기기 내부에 잔존하는 전원의 소모시 도난방지지장치의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다.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power is turned off, the auxiliary power supply 350 supplies power to the detector 310, the controller 320, and the transmitter 330. By providing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350,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anti-theft device when theft messag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stolen and when the power remaining in the device is consum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of another embodiment of an anti-thef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외출시 모드선택부(300)를 통해 외출모드를 설정한다(S400). 외출모드의 설정은 입력부(3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외출모드의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외출모드의 해제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비밀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모드선택부(300)를 통해 외출모드를 해제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user sets the outing mode through the mode selection unit 300 when going out (S400). The setting of the outing mode may be set when the password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340 and matches the preset password. In addition, the cancellation of the outing mode may also release the outing mode through the mode selection unit 300 when the password input from the user and the preset password match.

제어부(320)는 모드선택부(300)의 모드가 외출모드인가를 확인한다(S410). S410 단계에서 외출모드인 것으로 확인되면 감지부(310)는 전원을 감지하여 오프상태인가를 확인한다(S420). 이때 임피던스측정부(312)는 전원 입력단자 양단의 입력 임피던스 값을 측정한다(S430). 비교부(316)는 S430 단계에서 측정된 임피던스 값과 버퍼부(314)에 저장된 기준 임피던스 값을 비교한다(S440).The controller 320 checks whether the mode of the mode selector 300 is the outing mode (S410). If it is determined in the outgoing mode in step S410 the detection unit 310 detects the power to determine whether the off state (S420). In this case, the impedance measuring unit 312 measures input impedance values of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S430). The comparison unit 316 compares the impedance value measured in step S430 with the reference impedance value stored in the buffer unit 314 (S440).

S440 단계의 비교결과 기준 임피던스 값과 측정된 입력 임피던스 값에 변화가 있는가를 확인한다(S450). 비교결과 임피던스에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동작 상태임을 통지한다. S450 단계에서 입력 임피던스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 감지부(310)는 전원이 오프됨을 통지한다. 제어부(320)는 감지부(310)로부터 전원이 오프됨을 통지 받으면 송신부(330)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The comparison result of step S440 checks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reference impedance value and the measured input impedance value (S450). If there is no change in impedanc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t is notified that it is in a normal operating state. When there is a change in input impedance in step S450, the sensing unit 310 notifies that the power is turned off. The controller 320 outputs a control signal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transmitter 330 when the controller 310 is notified that the power is turned off.

송신부(330)는 감지부(310)로부터 전원이 오프됨을 통지 받으면 사용자의 이동통신수단으로 전자기기의 도난을 알리는 도난 메시지를 송신한다(S760). 또한, 모드선택부(300)를 통해 외출모드 해제를 입력받은 경우에, 제어부(3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비밀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감지부(310) 및 송신부(330)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When the transmitter 330 is notified of the power off from the detector 310, the transmitter 330 transmits a theft message indicating the theft of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means (S760). In addition, when the mode selection unit 300 receives the outgoing mode release, the controller 320 stops the operation of the detector 310 and the transmitter 330 when the password input from the user matches the preset password. Outputs a control signal to enable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타인에 의해 임의로 전원이 오프되면 경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전자기기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기기를 도난 당한 경우에도 비밀번호 확인 과정을 통해 전자기기의 사용을 승인함으로써, 전자기기가 불법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출시 외출모드를 설정한 경우에 타인에 의해 임의로 전원이 오프되면 사용자의 이동통신수단으로 전자기기의 상태를 알리는 도난 메시지를 송신하여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nti-theft device and the method which concern on this invention, when the power supply is arbitrarily turned off by another person, it can output the alarm signal, and can prevent theft of an electronic device. In addition, even if the electronic device is stolen, by using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password verification proces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illegal use of the electronic device. In additio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by another person when the mode is set to go out, theft can be prevented by transmitting a theft message indicating the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means.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representati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Claims (19)

전원 입력단자 양단에서 측정한 임피던스값과 기 설정된 기준 임피던스값과의 차이를 기초로 전원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감지부;A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on / off of the power supply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an impedance value measured at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and a preset reference impedance value; 경보신호를 발신하는 출력부;An output unit for transmitting an alarm signal; 사용자의 이동통신수단으로 제품의 도난 상태를 알리는 도난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tolen message indicating a stolen state of a product to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means; And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원이 오프됨을 통지 받으면, 상기 경보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제어신호 및 상기 도난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출력부 및 상기 송신부로 각각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the alarm signal and a control signal for transmitting the theft message to the output unit and the transmission unit, when the detection unit receives notification that the power is turned off. Anti-theft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감지부는,The detection unit, 상기 전원 입력단자 양단의 입력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An impedance measuring unit measuring input impedance of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기준 임피던스 값을 저장하는 저장부;A storage unit for storing a reference impedance value; 상기 기준 임피던스 값과 측정된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A comparison unit comparing the reference impedance value with the measured input impedance value; And 상기 기준 임피던스 값과 측정된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값이상인 경우 전원이 온/오프 절환됨을 알리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And a detection signal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detection signal indicating that power is turned on / off when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impedance value and the measured input impedanc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It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password from the us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원이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절환됨을 통지 받으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비밀번호가 기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정상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The control unit, when receiving the notification that the power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from the detection unit, the anti-thef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normal operation signal when the password is input to match the preset password.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입력받은 상기 비밀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The control unit outputs a power off signal when the input password and the preset password do not match.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입력부를 통해 경보기능 해제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비밀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출력부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When the alarm function is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the controller outputs a control signal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unit and the output unit when the password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and the preset password match. Anti-theft device.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전원의 오프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And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and the output unit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power is turned off. 전원 입력단자 양단에서 측정한 임피던스값과 기 설정된 기준 임피던스값과의 차이를 기초로 전원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단계; 및Detecting on / off of the power supply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an impedance value measured at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and a preset reference impedance value; And 상기 감지결과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도난 상태를 알리는 경보신호를 출력 및 사용자의 이동통신수단으로 상기 도난 상태를 알리는 도난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방법.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is turned off, outputting an alarm signal indicating a theft state and outputting a theft message indicating the theft state to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means.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감지단계는,The detecting step, 상기 전원 입력단자 양단의 입력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는 단계;Measuring an input impedance value across the power input terminal; 기준 임피던스 값과 측정된 상기 임피던스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Comparing a reference impedance value with the measured impedance value; And 상기 기준 임피던스 값과 측정된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크면 전원의 온/오프 절환을 감지하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방법.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detecting on / off switching of a power supply when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impedance value and the measured input impedance valu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ft prevention method comprising the.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전원이 온되면,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Receiving a password from a user when the power is turned on; And 입력받은 상기 비밀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의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방법.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password and the preset password match the power supply and cut off.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입력받은 상기 비밀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전원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방법.The power is cut off when the input password and the predetermined password do not ma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is cut off.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경보기능 설정모드 및 해제모드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Receiving the selection of the alarm function setting mode and the release mode; further comprising,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비밀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모드의 변환이 가능하며, 상기 감지단계는 상기 경보기능 설정모드로 선택된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방법.The mode can be changed when the password input from the user and the predetermined password is matched, and the detecting step is performed when the alarm function setting mode is selec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1-0068733A 2001-10-10 2001-11-06 Device for preventing from stealing and method of the same KR10044459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62464 2001-10-10
KR1020010062464 2001-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807A KR20030030807A (en) 2003-04-18
KR100444590B1 true KR100444590B1 (en) 2004-08-16

Family

ID=29564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733A KR100444590B1 (en) 2001-10-10 2001-11-06 Device for preventing from stealing and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459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685B1 (en) * 2006-01-28 2009-02-06 변종섭 Method for Anti-thief Security using Instant Messaging Service and massmedia therefor
KR100772132B1 (en) * 2006-05-19 2007-11-05 김호겸 Burglar alarm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080U (en) * 1996-10-25 1998-07-15 김영환 Alarm sound generator for car audio
KR19990015734U (en) * 1997-10-18 1999-05-15 정몽규 Audio anti-theft alarm system for cars
KR20000014236A (en) * 1998-08-18 2000-03-06 장기수 Apparatus for warning of local loop cutting of public telephone
KR20010001221A (en) * 1999-06-02 2001-01-05 송길섭 Preve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tolen of portable compu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080U (en) * 1996-10-25 1998-07-15 김영환 Alarm sound generator for car audio
KR19990015734U (en) * 1997-10-18 1999-05-15 정몽규 Audio anti-theft alarm system for cars
KR20000014236A (en) * 1998-08-18 2000-03-06 장기수 Apparatus for warning of local loop cutting of public telephone
KR20010001221A (en) * 1999-06-02 2001-01-05 송길섭 Preve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tolen of portable compu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807A (en) 200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0325B2 (en) Terminal unit, device unit, illicit use preven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US20070030161A1 (en)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generating wireless signals according to a status of an electric appliance
US20090029744A1 (en) Electronic device for hands-free operation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20140302792A1 (en) Radio system with configurable links
KR100444590B1 (en) Device for preventing from stealing and method of the same
AU2013237595B2 (en) Phone
KR100790480B1 (en) Overheating Alarm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US5708418A (en) Optical reading system
KR20030045245A (en) Emergency call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device
WO2021229524A1 (en) A tamper alert system
JP2007528039A (en) Electronic device protection method
CA2220739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0844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unauthorized modification of head unit using LCD temperature data
KR100470019B1 (en) Positioning device of hand terminal
KR10036585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ime of remained battery power of cellular phone
KR20090075404A (en) A anti-theft connector for recharging mobile terminal battery and method there of
KR1005824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battery discharge state in mobile phone
KR100424626B1 (en) Burglar alarm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rglar alarm in portable terminal
KR100535061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robbery of valuables in automobi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of the same
KR970064139A (en) Security device using cordless phone and its control method
KR100390213B1 (en) Automatic call method of phone
JPH09322249A (en) Radio selective calling receiver
KR20060022483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ire alarm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20020004292A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lying fuel to consumer
KR970001224Y1 (en) Remote control device for voice al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