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696B1 - 규칙적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생물학적 필터용 합성망상 용적화 담체 - Google Patents

규칙적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생물학적 필터용 합성망상 용적화 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696B1
KR100443696B1 KR10-2001-0033264A KR20010033264A KR100443696B1 KR 100443696 B1 KR100443696 B1 KR 100443696B1 KR 20010033264 A KR20010033264 A KR 20010033264A KR 100443696 B1 KR100443696 B1 KR 100443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volume
range
microorganisms
biolo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4812A (ko
Inventor
박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기실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기실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기실업
Priority to KR10-2001-0033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696B1/ko
Publication of KR20020094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6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01D53/85Biological processes with gas-solid cont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하고 불쾌감을 주는 악취 및/또는 독성 물질을 포함하는 폐가스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정화 처리하기 위한 규칙적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생물학적 필터용 합성 망상 용적화 담체에 관한 것으로서,
이 담체는 공극의 직경이 2∼8mm이고 10∼25개/inch2(6.45cm2)의 공극수를 가지며, 담체 부피/원료 부피의 비율이 30∼55의 범위이고, 또한 선택적으로는, 망상 구조를 이루는 필라멘트의 두께가 50∼400㎛의 범위이고, 원 상태의 담체의 부피/압축시 담체의 부피로 표시되는 허용 압축 지수가 3∼8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압력 손실이 매우 낮고 국소적인 압력 손실 편차가 거의 없으며 폐색 현상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고 폐색 발생시에는 살수에 의해 용이하게 개공시킬 수가 있음과 아울러, 미생물 부착성이 양호하며 물리적 및 화학적 내구성이 양호하여 교환 주기가 장기간으로서 메인테넌스성도 우수한 동시에,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고 형태가 단순하며 탄력성이 커서 설치 및 교체가 극히 용이한 양호한 취급성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규칙적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생물학적 필터용 합성 망상 용적화 담체{SYNTHETIC NET-SHAPED VOLUMETRIC CARRIERS HAVING REGULAR OPEN-POROUS STRUCTURES FOR BIOLOGICAL FILTERS}
본 발명은 환경 보호 분야와 관련된 폐가스 정화에 사용되는 생물학적 필터용 담체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유해하고 불쾌감을 주는 악취 및/또는 독성 물질을 포함하는 폐가스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정화 처리하기 위한 생물학적 필터용의 규칙적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합성 망상 용적화 담체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폐가스의 정화에 미생물을 이용하는 처리법은 공지된 다양한 페가스 처리법들 중 가장 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서 인류가 선택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폐가스 중의 오염 물질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처리(산화)하는 방법은 폐가스 정화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하거나 독성이 있는 물질들을 배출시키지 않으며, 또한 다른 부가적인 2차 오염 물질(예컨대, SOx, NOx, Cl-, 활성 라디칼, 퀴논류 등)의 발생이 없고, 예컨대, 활성 탄소나 반투과성 막 등과는 달리, 오염원을 필터 내부에 흡착 또는 축적시키지 않음과 아울러, 예컨대, 소각이나 열촉매 연소 등에서와 같이 부산열을 발생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미생물을 이용한 폐가스 정화 처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 미생물을 담지하는 담체(carrier)이며, 이는 생물학적 촉매를 구성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담체에 요구되는 조건으로서는, 안정적인 구조, 가능한 큰 표면적, 공기에 대한 높은 통기성(낮은 압력 강하성), 양호한 미생물 부착성, 다양한 화학 성분 및 미생물 효소에 대한 높은 안정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담체에는 설치의 용이함을 위한 탄력성 및 용이한 이동 배치를 위해 규모가 작고 단순해야 하는 양호한 취급성 및, 정기적 또는 임의적 세정이 가능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용이하여야 하는 양호한 세정성 또는 메인테넌스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살수층을 이용하는 생물학적(미생물) 필터를 지지하기 위한 담체(필터층)로서는 여러 종류의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그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과립 형태인 천연물(예컨대, 이탄(泥炭), 퇴비, 톱밥, 활성탄, 제올라이트, 해양 동물계의 해면상 석회질 잔류체 등), 광물(예컨대, 응회암, 부석(浮石) 등), 합성물(예컨대, 다공성 실리카겔, 과립 형태의 하이드로겔, 과립화 분탄, 다공질 유리 또는 폴리에틸렌)이 있다. 또한, 다양한 세라믹 다공성 구조(단순한 다공성 세라믹 과립에서부터, 예컨대, 래쉬그스링(rashig's rings), 파울리스링(Pauli's rings), 관상쎌 형태의 세라믹 실린더, 다공성 망상 세라믹 블록 등과 같이 특별하게 제조되는 세라믹 물질까지)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특별하게는, 복합 다성분 과립(예컨대, EP 0497 214 A1)도 제안되어져 있다.
그러나, 전술한 담체 물질들은 모두 "부어넣는(pouring)" 형태의 활성 필터층(filter-bed) 형성 방식을 채택하고 있음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예컨대, EP 0147721 B1; EP 0111302 B1, EP 0470468 B1, EP 0447862 B1, EP 0497 214 A1).
그 외에, 다양한 유형의 합성 섬유들로부터 선택되는 섬유를 랜덤하게 솜처럼 구긴 형태(랜덤 폴딩형)의 활성 필터층이 제안되어 있으며(러시아, 발명자증No.1591483, 1990), 구체적으로는, 폴리아미드계 섬유(나일론, 펄론) 혹은 올레핀계 섬유(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한 생물학적(미생물) 필터에 사용되는 살수층(trickling layer)에 대하여 간단히 언급하면, 담체에 담지되어 있는 미생물 필터(미생물 증식 필름)에 증식에 필요한 필수 영양분을 공급함과 아울러, 미생물의 습도 요구 사항 및 미생물 활성화 작용을 유지토록 함으로써 인체에 해로운 성분이나 악취가 섞여있는 가스를 연속적으로 정화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원활한 가스 흐름에 장애가 될 수 있는 과잉 증식 미생물 필름 및 사멸 잔류물과 먼지 등을 제거하여 폐가스 흐름을 원할히 하기 위한 노즐 설치층을 살수층이라 한다.
전술한 "부어넣는" 형태의 활성 필터층은 본 출원인이 의도하고 있는 공기 유속 0.25-1.75m/sec 기준시 1m 두께의 필터층에 대한 10-80mm/Aq 중량 범위)의 낮은 압력 손실 조건을 결코 만들 수 없다. 또한, 상기한 물질들은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가동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인 규칙적 매크로-다공 구조의 활성 필터층을 제공할 수가 없다. 전술한 필터층의 대부분은 압력 손실이 매우 크고 교환 주기가 짧으며 내구성도 양호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일부 규칙적인 매크로-다공 구조를 가지고 있는 특별한 세라믹 담체의 경우가 있기는 하나, 담체의 이동 배치가 곤란하며, 정기적으로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없는 동시에, 탄력성이 없고, 압력 손실도 만족스러운 정도와는 거리가 먼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전술한 섬유를 랜덤하게 구겨 넣어 뭉친 형태(랜덤 폴딩형)의 종래의 필터 층은 어느 정도의 매크로-다공 구조 및 탄력성을 갖고는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규칙적인 다공 구조를 제공하지 못하므로, 미생물 증식이 고르게 균일하지 못하며 압력 손실이 국소적으로 불균일하여, 폐가스 정화 효율의 제고에 일정한 한계가 있음과 아울러, 취급성이 열등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섬유 필터 제조를 위해서는 제조에 장기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노동력 또한 많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압력 손실이 매우 낮고 국소적인 압력 손실 편차가 거의 없으며, 폐색 현상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고 폐색 발생시에는 살수에 의해 용이하게 개공시킬 수가 있는 균일한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생물학적 필터용 담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미생물 부착성이 양호하며 물리적 및 화학적 내구성이 양호하여 교환 주기가 장기간인 메인테넌스성이 우수한 생물학적 필터용 담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크기가 작고 형태가 단순하며 탄력성이 커서 설치 및 교체가 극히 용이한 양호한 취급성을 갖는 생물학적 필터용 담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공극의 직경이 2∼8mm이고 10∼25개/inch2(6.45cm2)의 공극수를 가지며, 공극 부피에 관한 비율을 나타내는 발포도(담체 부피/원료 부피)가 30∼55의 범위인 규칙적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생물학적 필터용 합성 망상 용적화 담체가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첫 번째 목적에 따른 양태의 담체를 폴리에테르 폴리올로 구성시킨 규칙적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생물학적 필터용 합성 망상 용적화 담체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에 따른 양태의 담체에 있어서, 망상 구조를 이루는 필라멘트의 두께가 50∼400㎛의 범위, 및/또는 허용 압축 지수(담체의 부피/압축시 담체의 부피)가 3∼8의 범위인 규칙적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생물학적 필터용 합성 망상 용적화 담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물학적 필터용 합성 망상 용적화 담체를 인위적으로 박편화시킨 박편층에 대한 평면 사진도로서, 폴리에테르 폴리올 필라멘트와 이에 의해 형성되는 셀의 일반적인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물학적 필터용 합성 망상 용적화 담체를 인위적으로 도 1의 경우보다 더 두껍게 박편화시킨 박편층에 대한 평면 사진도로서,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망상 용적화에 의해 형성되는 규칙적 개방형 다공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망상 용적화에 의해 형성되는 규칙적인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블록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담체에 대한 모식도로서, 실제 사용될 수 있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4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필라멘트에 의해 형성되는 규칙적인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담체에 증식된 폐가스 정화용 미생물 집락(바이오필름 또는 바이오필터)을 도시한 사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규칙적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생물학적 필터용 합성 망상 용적화 담체에 대한 것으로서, 살수층을 이용하는 모든 미생물 활성 필터에 대한 담체에 작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개방형 다공 구조'라는 용어는 수 많은 공극을 가지며 상기한 공극이 구조체의 표면에 열려있는 구조를 일컬는다.
'개방형 다공 구조'라는 용어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규칙적'이라는 용어는 상기한 개방형 공극의 직경 및 분포가 대략 일정한 것을 일컬으며, 구체적으로는공극의 직경이 2∼8mm의 범위이고 공극의 수가 10∼25개/inch2(6.45cm2)인 것을 지칭한다.
'생물학적 필터'라는 용어는 폐가스를 적어도 하나의 영양원으로서 이용하여 분해 또는 흡수할 수 있는 미생물 집락 또는 미생물 증식 필름막을 지칭한다.
'담체'라는 용어는 상기한 생물학적 필터를 담지하는 지지체를 일컬는다.
'필터층'이라는 용어는 상기한 생물학적 필터와 담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망상(網狀)'이라는 용어는 합성 수지의 발포에 의하여 형성되는 그물망 형상으로 쎌을 형상하고 있는 구조를 지칭한다.
'망상'이라는 용어와 관련하여 '용적화'라는 용어가 사용시, 이 용어는 망 구조가 평면적이지 않고 일정한 부피를 갖도록 3차원적으로 형성되는 입체적 구조인 것을 의미한다.
'합성'이라는 용어는 상기한 망상 용적화 담체를 구성하는 소재가 천연물이 아닌 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임을 의미한다.
또한, '필라멘트'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합성 섬유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수지재의 발포시 공극(쎌)을 형성하는 망상 구조체의 수지재 프레임의 두께를 의미한다.
"매크로"라는 용어는 공극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경우, 공극의 직경이 수 밀리미터(mm)의 직경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부연하면, 공극의 크기가 필라멘트의 크기(지름, 폭, 또는 두께)보다 훨씬 큰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생물학적 필터용 합성 망상 용적화 담체를 구성하는 소재로서는, 합성 수지재의 것으로서 미생물에 대한 안정성이 높고 유독성이 아니며 미생물의 증식 및 부착이 용이하고 탄성력이 높은 것이라면, 그리고 앞에서 정의한 공극에 관한 물리적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라면, 그 소재의 종류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한적이지 않으며 선택적이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상기한 요건의 충족에 바람직한 발포 합성 수지재로서는 알칼리 촉매의 존재하에서 다가알코올(폴리올)에 산화 프로필렌 유도체를 중합시켜 얻어지는 분자량 600∼8000 정도의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전형적인 것으로서는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중합시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을 들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발포도를 갖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제조는 본 발명의 영역이 아니며, 다양한 발포도 및 특성을 갖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주문 제작되고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영역 밖이다. 다양한 유형의 다양한 발포도를 갖는 마이크로 다공성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다양한 용도를 위해서 주문 제작 생산되고 있다. 폴리에테르 폴리올 성분으로 된 규칙적인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다양한 유형의 발포 수지는 주문 생산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수지의 주문 생산이 가능한 회사로서는, 영국의 노산트, 코비에 소재하는 델콘 리미티드 및 한국의 클린 에어 테크놀로지 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폴리에테르 폴리올로 제조되는 담체는 산이나 알칼리, 유기 용제 등에 대한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화학 성분에 대한 이상적인 물리적 및 화학적 내구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출원인에 의한 실험 결과에 의하면 폴리에테르 폴리올은 미생물에 대한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며, 미생물에 대한 유독성이 없고, 미생물의 증식 및 활동 공간인 담체 표면 및 공극 내에 서의 미생물 증식에 적합하며, 액상의 점액질로 된 미생물 필름(생물학적 필터)이 양호한 점착성을 나타낸다.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장점은 규칙적인 개방형의 매크로 다공 구조를 지닌 망상체로 용적화시키기 용이하다는 것이다. 폴리에테르 폴리올로 만들어질 수 있는 용적화 망상 구조는 폴리에틸렌 폴리올이 가교되어 공극들이 상호 연결되어 부풀린 형태의 3차원적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3차우너적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잘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망상 용적화 담체에 있어서, 원재료 부피와 발포 후 망상체의 총 부피비는 일반적으로 30-55의 범위이며,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이 부피비를 "공극 부피 지수"라 정의하며 이 지수는 망상체를 형성함에 있어 원재료와 발포후 담체의 부피가 몇 배 차이가 나는지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망상 용적화 담체는, 결합된 폴리에테르 폴리올 필라멘트가 약간 평평한 면에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는 미생물의 성장과 부착에 매우 훌륭한 조건을 제공하고, 생물학적 필터의 활성 공간에 선택된 미생물이 필요한 고농도로 활성 생물학적 필터(필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생물학적 필터는 영양 염류 성분을 포함하는 살수 용액을 이용한 비교적 고압의 살수시에도 상기한 오목한 구조의 필라멘트 표면에 붙어있는 것이 가능하다.
폴리에테르 폴리올 필라멘트의 높은 기계적 내구성을 기반으로 만들어지는 본 발명의 망상 용적화 담체진 충분한 안정성과 고정성을 지니며, 체적 크기 및 구조를 잘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필라멘트의 평평한 모양은 담체의 모양 변형(소성 변형)을 충분히 가능하게 해준다. 이는 정기적인 수시 세정시 부산물 슬러지를 효과적이고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탄력적인 압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높은 기계적 내구성은 폴리에테르 폴리올로 만들어지는 일정한 부피를 지닌 용적화 망상체를 사용 및 메인테넌스에 유리한 블록 형태로 제조 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망상 용적화 담체의 형태나 크기는 생물학적 필터층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형상이나 취급 편이성 등에 따라 임의적으로 선택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규칙적인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합성 망상 용적화 담체로서, 미생물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층 형성에 매우 유리하다. 개방형 매크로 공극의 직경은 2-8mm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4-6mm의 범위이다. 다른 관점에서는, 공극의 수가 10∼25개/inch2(6.45cm2)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공극의 수가 10∼20개/inch2(6.45cm2)의 범위이다.
필라멘트의 두께는 50∼45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400㎛의 범위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200㎛의 범위이다.
한편, 용적화 망상체와 원료의 부피비 관계(망상체 부피/원료 부피)는30∼55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5∼45의 범위이다. 상기한 범위의 부피비 범위에서, 담체는 충분한 표면 접촉 면적을 제공하게 됨과 아울러, 공기 흐름의 낮은 압력 부하를 나타내게 되고, 미생물 필터층에 필요한 양호한 탄력성을 유지하면서도 높은 기계적 내구성을 지니게 된다.
탄력성은 "허용 압축 지수"로서 나타낼 수 있으며, 원래의 망상체 부피/압축시 망상체 부피의 비로 나타내지고, 이 부피비는 3∼8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미생물을 이용하여 폐가스 중의 악취나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제거시 폐색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미생물의 이상 증식이 주원인이며 부원인으로써는 필터층의 다공성이 작은 것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담체, 특히 폴리에테르 폴리올 담체는 종래의 다른 어떤 담체보다도 다공성이 훨씬 크므로 일차적으로 다공성이 작음에 의해 기인될 수 있는 폐색 현상을 피할 수가 있다. 또한, 미생물의 이상 증식에 의한 폐색 현상 발생시에는 영양 염류 공급을 위해 필터층 마다 설치되어 있는 영양 염류 공급 분사 노즐을 이용해 비교적 고압으로 영양 염류액을 살수함으로써 필터층에 과잉으로 붙어 있는 균체를 세정, 제거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과증식된 미생물을 담체로부터 탈리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활성 필터층은 상황 및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지닐 수가 있으나, 본 발명의 망상 용적화 담체는 사각 블록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취급성이 양호할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도 3의 모식도 참조).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원통상, 쉬트상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망상 용적화 담체를 사각 블록의 형태로 제조하는 경우, 가로와 세로는 각각 약 500-600mm, 높이 약 200-300mm의 사각 형태로 하는 것이 공업적인 용도에 있어서 양호한 취급성 및 메인테넌스성을 나타내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담체 블록의 크기, 층 수 및 형태 등은 선형 크기와 실제 사용할 생물학적 필터층의 크기, 선택하고자 하는 생물학적 필터의 종류 및 조건, 기술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매개 변수 들은 임의적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망상 용적화 담체 블록은 생물학적 필터층이 수용되는 하우징 내에 장입된다. 상기한 담체 블록은 일반적으로 20×20mm∼75×75mm의 범위의 망목(網目) 크기를 갖는, 예컨대, 스테인레스망으로 된 선반위에 적층될 수 있다.
망목의 크기가 상기한 범위보다 작으면 생물학적 촉매(필터)의 세정을 곤란하게 할 우려가 있음과 아울러, 공기 및 살수 용액의 투과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망목의 크기가 상기한 범위보다 크면 담체가 살수 용액을 흡수하면 한쪽으로 쏠리면서 움푹 패이게 되어 생물학적 촉매(필터)에 대한 균일한 공기 흐름 분배를 저해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망상 용적화 담체 블록은 다수의 층으로 된 선반 위에 각기 분배하여 넣을 수 있다. 필요한 담체 블록의 양 또는 수효와 각각의 필터층의 총 높이는 미생물 처리 방법 및 기술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므로 이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한적이지 않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담체 블록에 미생물 현탁액을 살포하여 접종시키기 위해서는, 건조한 상태의 담체 표면에 살포하는 것이 권장되며, 이는 미생물 현탁액의 일차적 흡수를 양호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젖어있는 습윤 상태의 담체 표면에 미생물 현탁액을 살포하더라도 무방하며, 이는 최종 단계에서의 생물학적 촉매(필터)의 작용 효과가 건조한 상태의 표면과 비교할 때 큰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규칙적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생물학적 필터용 합성 망상 용적화 담체에 종균을 접종하여 증식시킴으로써 폐가스 정화에 사용할 수 있는 생물학적 촉매(생균체)의 예로서는, 슈도모나스속, 메틸로박테리움속, 로도코카스속, 노카르디아속, 코마모나스속, 티오바실러스속, 바실러스속의 다양한 균주가 공지되어 있으며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나프탈렌, 앱트라센, 살리실산, 벤젠, 톨루엔, m-크실렌, p-크실렌, 벤조산 등의 정화에 유용한 pseudomonas fluorescens Z6N2; 헥사데칸, 운데칸, 헵탄, 데칸, 나프탈렌 등의 정화에 유용한 Pseudomonas fluorescens PCAL; 페놀, 크레졸 혼합물 등의 정화에 유용한 Pseudomonas fluorescens PH; 스티렌, 에틸 벤젠, 1-페닐 에탄올, 2-페닐 에탄올, 페닐 아세트산 등의 정화에 유용한 Pseudomonas fluorescens STY; 벤젠, 톨루엔, m-크실렌, p-크실렌, 벤조산, 나프탈렌, 안트라센, 살리실산,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아세트알데히드, 에탄올 등의 정화에 유용한 Pseudomonas oleovorans TA/UN; m-크실렌, p-크실렌, 톨루엔, 벤젠, 부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등의 정화에 유용한 Pseudomonas oleovorans XYL; 각종 용제 제거에 유용한 Pseudomonas oleovorans SOLV; 아세톤, 1-프로판올의 정화에 유용한 Pseudomonas sp. YZI; 스티렌, 비닐 클로라이드 등의 정화에 유용한 Pseudomonas putida STY; 페닐 아세트산 등의 정화에 유용한 Pseudomonas flava PCSTY; 사이클로헥사논, 디메틸 포름알데히드, 케로센, 디에틸헥실 프탈레이트 헥산, 옥탄 등의 정화에 유용한 Rhodococcus sp. CM16; 메탄올, 포름알데히드 등의 정화에 유용한 Methylobacterium organophilium; 메틸 아민, 메틸 술피드 등의 정화에 유용한 Methylobacterium extorquens; 메틸에틸 케톤, 디메틸 포름알데히드,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2-메틸 프로판올, 2-펜틸 퓨란, 2-t-부틸-4-메톡시 페놀, 2,6-t-부틸-4-메톡시 페놀, 하수 처리 공장의 악취, 식품 공장의 폐가스 탈취 등에 유용한 Norcardia rugosa PGM; 에피클로하이드린, 디클로로에탄,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프로판올, 2-펜틸 퓨란, 하수 처리 공장의 악취, 식품 공장의 폐가스 탈취 등에 유용한 Norcardia sp. EC2; 헵탄, 헥산, 펩탄, 발러린산 등의 정화에 유용한 Norcardia sp. C7; 헵타날, 헵탄올, 옥탄올, 노난올, 하수 처리 공장의 악취, 식품 공장의 폐가스 탈취 등에 유용한 Rodococcus sp. HC; p-톨루엔술페이트, 벤즈알데히드, 2-t-부틸-4-메톡시 페놀, 2,6-di-t-부틸-4-메틸 페놀, 하수 처리 공장의 악취, 식품 공장의 폐가스 탈취 등에 유용한 Comamonas testosteroni ST2; 하이드로젠 술피트 등의 정화에 유용한 Thiobacillus thiosulfatophilum R2; 하수 처리 공장의 악취 제거에 유용한 Thiobacillus thiooxidans AM1; 하수 처리 공장의 악취, 식품 공장의 폐가스 냄새 정화에 유용한 Bacillus sp. Z1801; 하수 처리 공장의 악취, 식품 공장의 폐가스 냄새 정화에 유용한 Bacillus sp. Z1206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한 미생물 균주 들은 필요에 따라 단독 또는 임의의 종의 조합으로사용될 수 있다.
이들 미생물 그 자체 및 배양, 증식 조건 등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영역 밖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미생물 및 그 이외의 임의의 미생물을 부착시켜 생물학적 촉매로서 작용케 하는 담체에 관한 것인 바, 미생물의 종류 등에 제한적인 것이 아니므로, 더 이상 이에 대한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취급성(장입 소요 시간) 평가
종래의 섬유를 랜덤하게 구겨 넣어 형성되는 표준적인 랜덤 폴딩형 생물학적 담체와 본 발명에 따른 망상 용적화 담체(폴리에테르 폴리올 제)를 필터층 하우징 내에의 장입 실험을 수행하고, 소요 시간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담체(실시예 1)는 종래의 랜덤 폴딩형 담체(비교예 1)와 비교하여 그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고 더욱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하기한 표 1에 결과를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취급성이 훨씬 우수하며, 따라서 메인테넌스성도 우수하다.
담체의 하우징내 투입 소요시간(전단계 준비과정 포함)
생물학적 필터층의 점유 면적 담체 투입시간 (1인기준,hr)
종래의 담체(랜덤폴딩형) 본 발명의 담체 블록
1㎥ 4 0.2
6㎥ 26 0.8
12㎥ 58 2.2
20㎥ 102 3.6
생물학적 필터층이 수용되는 하우징 내에 담체를 투입하는 시간은 종래의 랜덤폴딩형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담체는 약 1/20∼1/30 정도의 시간만으로 극히 용이하게 장입할 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 압력 부하 측정
공극 직경이 2-8mm이고, 1 제곱인치당 평균 15개의 정상 형태 공극수를 가지며, 필라멘트의 두께가 80∼200㎛의 범위이며, 공극 부피비(망상체의 부피/원료 부피)가 38이고, 허용 압축 지수(원상태의 망상체 부피/압축시 망상체 부피)가 6.5인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테르 폴리올 담체의 공기 역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담체의 형태 및 치수는 사각형 블록(500×500×250mm)을 두 겹으로 형성하였다.
실험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낸다.
담체층의 공기 유속과 압력 부하와의 관계
생물학적 필터층내의 공기 유속(m/sec) 압력부하 (필터층 1m당 걸리는 mmAq)
깨끗한 건조 상태의 담체 미생물이 존재하지 않는 젖은 상태의 담체 미생물이 존재하는 젖은 상태의 담체
0.25 1-3 2-3 15-20
0.50 2-4 4-6 30-40
0.80 5-7 7-8 45-55
1.10 8-10 12-16 65-75
1.35 10-12 14-18 80-90
1.75 16-20 18-24 100-120
상기한 바와 같은 정도의 압력 강하는 극히 낮은 값으로서, 통상적인 '부어넣는' 형태의 필터층의 경우는 측정이 무의미할 정도의 극심한 압력 강하를 나타내는 것과 비교하여 놀라울 정도로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 : 정화 가동 시험
생물학적 필터층의 산업용 모델로서,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소재 음식물 쓰레기 병합 처리 공장에서 1년 이상 실가동 중인 장비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곳에 설치된 폐가스 정화 장치의 3층 선반 구조물에 본 발명에 따른 규칙적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생물학적 필터용 합성 망상 용적화 담체(폴리에테르 폴리올 제 : 공극 직경 2-8mm, 1 제곱인치당 평균 17개의 정상 형태 공극수, 필라멘트의 두께 80∼200㎛의 범위이며, 공극 부피비가 35이고, 허용 압축 지수(원상태의 망상체 부피/압축시 망상체 부피)가 6, 치수 500×500×250mm)를 각각 두겹으로 적층하였다. 모든 선반에 설치된 담체 블록 전체의 필터층 높이 총합은 1.5m이고 면적은 12.25㎡였다.
생물학적 필터층 내의 공기 유속은 약 0.7m/sec가 되도록 제어하였으며, 총압력 부하는 약 90-100mm Aq였다.
본 발명에 따른 담체층에는 트립톤 배지 중에서 증식시킨 슈도모나스속, 메틸로박테리움속, 로도코카스속, 노카르디아속, 코마모나스속, 티오바실러스속 및 바실러스속의 균주들을 혼합접종하고 임의 증식시킨 미생물을 희석후 살수하고 3주 경과 후 실험을 수행하였다.
하기의 표 3은 상기한 부산광역시의 음식물 쓰레기 병합 처리 공장에서 발생한 폐가스의 정화 처리 결과이다. 처리 폐가스량은 500㎥/min으로 하였다. 시료 채취량은 각각 10ℓ이었으며, 분석량은 각각 3ℓ이었다.
폐가스 정화 처리 결과
유입구 유출구
성 분 [C],㎍/m3 [C],ppb [C],㎍/m3 [C],ppb 제거(%) MLS*,ppb
아세트알데히드 274.5 115.6 4.5 1.9 98.4 1.5
에탄올 992.6 418.0 7.8 3.3 99.2 94
디메틸 술피드(DMS) 26.1 10.6 0.0 0.0 100.0 3
n-프로판올 161.4 65.7 0.0 0.0 100.0 26000
이소프로판올 143.0 58.2 0.0 0.0 100.0 38
n-펜탄 31.2 8.9 0.0 0.0 100.0 1400
디메틸 디술피드(DMDS) 35.0 9.1 0.0 0.0 100.0 3
2-메틸 펜탄 10.1 2.9 0.0 0.0 100.0 7000
메틸 에틸 케톤(MEK) 81.1 27.6 0.0 0.0 100.0 440
헥산 32.9 9.3 0.0 0.0 100.0 1500
에틸 아세테이트 49.5 13.8 0.0 0.0 100.0 870
메틸 시클로펜탄 3.3 1.1 0.0 0.0 100.0 1700
2-부탄올 139.1 47.2 0.0 0.0 100.0
2-메틸 헥산 6.9 1.7 0.0 0.0 100.0 420
3-메틸 헥산 15.3 3.7 0.0 0.0 100.0 840
시스-1,3-디메틸 시클로펜탄 93.6 23.3 18.8 4.7 79.9
트랜스-1,2-디메틸 시클로펜탄 53.0 13.2 7.2 1.8 86.4
트랜스-1,3-디메틸 시클로펜탄 48.9 12.2 7.5 1.9 84.7
n-헵탄 28.8 7.0 0.0 0.0 100.0 670
메틸 시클로헥산 49.0 12.2 0.0 0.0 100.0 150
에틸 시클로헥산 14.0 3.5 0.0 0.0 100.0 1700
2,3-디메틸헥산 14.3 3.1 0.0 0.0 100.0
1,2,4-트리메틸 시클로펜탄 3.8 0.8 0.0 0.0 100.0 110
톨루엔 237.8 63.1 16.8 4.5 92.9 330
2-메틸 헵탄 50.6 10.8 4.8 1.0 90.5 110
4-메틸 헵탄 17.8 3.8 0.0 0.0 100.0 110
n-옥탄 116.8 25.0 13.1 2.8 88.8 1700
2,5-디메틸 헵탄 13.8 3.0 0.0 0.0 100.0
2,6-디메틸 헵탄 21.3 4.6 0.0 0.0 100.0
에틸 시클로헥산 171.3 36.7 19.3 4.1 88.7 1700
에틸 벤젠 100.0 23.0 0.0 0.0 100.0 170
m,p-크실렌 116.2 26.3 2.4 0.5 97.9 41
o-크실렌 82.1 18.6 0.0 0.0 100.0 380
n-노난 42.7 9.2 0.0 0.0 100.0 2200
n-데칸 32.1 6.5 0.0 0.0 100.0 870
D,L-리모넨 3582.5 729.5 0.0 0.0 100.0 38
*MLS : 인간의 최소 감지 수준 농도(Minimal Level of Human Sensitivity)
실시예 4 및 비교예 2 : 미생물 부착 농도 평가
미생물 부착 농도는 실험실 규모의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비교에 사용된 담체는 악취 제거용으로 많이 이용되는 토탄이었다. 미생물 수의 측정은 처리 효율이 정상상태에 도달된 후 반응기에 충전된 필터층의 중간 부분에서 담체와 담체에 부착된 미생물을 함께 건조 중량으로 1g 채취하여 측정하였다.
미생물 반응조(필터층) 중간 부분에서 채취된 시료를 0.6% Na2HPO4, 0.3% KH2PO4, 0.1% NH4Cl을 포함하는 용액에 용해시킨 다음, 원심분리하였다(500 rpm, 1min). 상청액을 취하여 0.5%의 트립토판 영양배지액이 들어있는 페트리 디쉬에 접종하여, 25C에서 8시간 배양한 다음, 생물학적 촉매로서의 세균수를 측정하였다. 사용 단위는 c.f.u(colony-forming units)이다. 이와 같은 실험은 15일 간격으로 3회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는 토탄으로 톨루엔 처리시의 정화용 세균수는 1011cfu/g이었던 반면, 본 발명의 담체(실시예 2에서 사용된 담체와 동일)의 경우에는 1012∼1013cfu/g로써 정화용 세균수가 10∼100배 정도 더 많았다.
이러한 사실은, 본 발명의 담체가 세균 부착성 및 증식 유지성 등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함을 입증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규칙적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생물학적 필터용 합성 망상 용적화 담체는, 압력 손실이 매우 낮고 국소적인 압력 손실편차가 거의 없으며 폐색 현상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고 폐색 발생시에는 살수에 의해 용이하게 개공시킬 수가 있음과 아울러, 미생물 부착성이 양호하며 물리적 및 화학적 내구성이 양호하여 교환 주기가 장기간으로서 메인테넌스성도 우수한 동시에,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고 형태가 단순하며 탄력성이 커서 설치 및 교체가 극히 용이한 양호한 취급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담체는 폐가스 정화에 미생물 처리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산업과, 농업 및 식품 산업, 그 외 다양한 분야에서 악취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폐가스 정화에 효율적이고도 저코스트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정정) 공극의 직경이 2∼8mm이고 10∼25개/inch2(6.45cm2)의 공극수를 가지며, 담체 부피/원료 부피의 비율이 30∼55의 범위로되는 폐가스 정화를 위한 규칙적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생물학적 필터용 합성 망상 용적화 담체에 있어서, 상기 망상 구조를 이루는 필라멘트의 두께가 50∼400㎛의 범위인 규칙적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생물학적 필터용 합성 망상 용적화 담체.
  3. (정정) 제2항에 있어서, 원 상태의 담체의 부피/압축시 담체의 부피로 표시되는 허용 압축 지수가 3∼8의 범위인 규칙적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생물학적 필터용 합성 망상 용적화 담체.
  4. (삭제)
  5. (삭제)
KR10-2001-0033264A 2001-06-13 2001-06-13 규칙적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생물학적 필터용 합성망상 용적화 담체 KR100443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264A KR100443696B1 (ko) 2001-06-13 2001-06-13 규칙적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생물학적 필터용 합성망상 용적화 담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264A KR100443696B1 (ko) 2001-06-13 2001-06-13 규칙적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생물학적 필터용 합성망상 용적화 담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812A KR20020094812A (ko) 2002-12-18
KR100443696B1 true KR100443696B1 (ko) 2004-08-09

Family

ID=2770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264A KR100443696B1 (ko) 2001-06-13 2001-06-13 규칙적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생물학적 필터용 합성망상 용적화 담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6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6998A (ja) * 1988-07-18 1990-05-15 Fuji Electric Co Ltd 微生物担体
US5071747A (en) * 1987-12-22 1991-12-10 Unilever Patent Holdings B.V. Porous polymeric support containing biological cells in interconnected voids
JPH04173086A (ja) * 1990-11-07 1992-06-19 Sakai Eng Kk 動物細胞培養用担体
EP0685432A1 (de) * 1994-06-03 1995-12-06 Peter Dr. Ott Schwimmfähiges, verwirbelbares Trägermaterial für biotechnologische Prozesse
JPH0951794A (ja) * 1995-06-09 1997-02-25 Nisshinbo Ind Inc バイオリアクター用多孔質担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1747A (en) * 1987-12-22 1991-12-10 Unilever Patent Holdings B.V. Porous polymeric support containing biological cells in interconnected voids
JPH02126998A (ja) * 1988-07-18 1990-05-15 Fuji Electric Co Ltd 微生物担体
JPH04173086A (ja) * 1990-11-07 1992-06-19 Sakai Eng Kk 動物細胞培養用担体
EP0685432A1 (de) * 1994-06-03 1995-12-06 Peter Dr. Ott Schwimmfähiges, verwirbelbares Trägermaterial für biotechnologische Prozesse
JPH0951794A (ja) * 1995-06-09 1997-02-25 Nisshinbo Ind Inc バイオリアクター用多孔質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812A (ko) 200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ennes et al. Waste gas biotreatment technology
Cohen Biofiltration–the treatment of fluids by microorganisms immobilized into the filter bedding material: a review
US6107067A (en) Porous, non-macroporous, inorganic oxide carrier body for immobilizing microorganisms for bioremediation
EP0824366B1 (en) Effluent treatment process
US71892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contaminants and odors in airborne emissions
US20080085547A1 (en) Biofilter media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to remove odour causing compounds from waste gas streams
US5494574A (en) Mechanically mixed packed bed bioreactor
CA2014030A1 (en) Process for removal of organic pollutants from waste water
KR100528358B1 (ko)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를 위한 바이오필터
KR100558628B1 (ko) 중공사막 산기장치 결합형 생물반응조를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악취 제거 장치 및 방법
Sarkar et al. Biofiltration as a green technology for abateme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 synoptic review
Soccol et al. Biofiltration: an emerging technology
KR100443696B1 (ko) 규칙적 개방형 다공 구조를 갖는 생물학적 필터용 합성망상 용적화 담체
CA2138271A1 (en) Use of immobilized film reactor
IL125452A (en) Method and plant for waste-water treatment
US5543052A (en) Process for removal of organic pollutants from waste water
EP0812806B1 (en) Method and device for purifying polluted water
Morales et al. Toluene removal from air stream by biofiltration
KR100348159B1 (ko) 오/폐수 처리 및 악취제거용 중공볼 형태의 유동상 미생물 담체 제조방법
KR200341511Y1 (ko)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를 위한 바이오필터
KR20160063108A (ko)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를 위한 하이브리드형 바이오필터
KR100406595B1 (ko) 오폐수 처리를 위한 미생물 서식용 코코넛 섬유 여재
Lee et al. Degradation of acetone and MEK using a biofilter packed with a ceramic-type medium
KR100971605B1 (ko)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고효율 제거를 위해효모를 고분자 혼합물에 포괄고정한 담체 제조기술 및 그운전방법
JPH0716587A (ja) 生物膜用の基盤材および生物膜反応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