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369B1 - Lower shifted worth control rod for pressurized water reactor - Google Patents

Lower shifted worth control rod for pressurized water re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369B1
KR100443369B1 KR10-2001-0073292A KR20010073292A KR100443369B1 KR 100443369 B1 KR100443369 B1 KR 100443369B1 KR 20010073292 A KR20010073292 A KR 20010073292A KR 100443369 B1 KR100443369 B1 KR 100443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rod
change
output
strength
ax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2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42582A (en
Inventor
성풍현
김웅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1-0073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369B1/en
Publication of KR20030042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5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36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7/00Control of nuclear reaction
    • G21C7/02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us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of reactor materials, e.g. Doppler eff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LSWCR; lower shifted worth control rod)에 있어서, 원자력발전소의 출력변경 시에 축 방향 출력분포의 변화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여 원자력발전소의 부하추종운전(load follow operation)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원자력발전소의 발전효율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압경수로(PWR; pressurized water reactor)용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the lower shifted worth control rod (LSWCR),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a problem related to a change in the axial output distribution when the output of a nuclear power plant is changed to perform a load follow operation of the nuclear power plan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wer bias strength control rod for a pressurized water reactor (PWR) that can improv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d safety of a nuclear power plant.

본 발명에 따르면, 중성자 흡수물질인 펠렛을 포함하고 있는 가압경수로 원자로의 출력조절용 제어봉에 있어서, 펠렛의 강도(중성자 흡수력)가 제어봉의 축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강도변화 분포를 가지며, 출력조절용 제어봉은 다용도 제어봉과 조절용 제어봉으로 구분되며, 다용도 제어봉의 강도변화 기울기가 조절용 제어봉의 강도변화 기울기보다 상대적으로 완만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ntrol r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a pressurized water reactor including a pellet as a neutron absorbing material, the strength of the pellet (neutron absorbing force) has a distribution of intensity changes such that the strength of the control rod is relatively large from the top of the axis of the control rod. The control rod for output adjustment is divided into a multipurpose control rod and an adjustment control rod, and the slope of the intensity change of the multipurpose control rod is relatively slower than the slope of the intensity change of the control rod.

Description

가압경수로형 원자로용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Lower shifted worth control rod for pressurized water reactor}Lower shifted worth control rod for pressurized water reactor

본 발명은 가압경수로형 원자로의 출력변경을 위한 제어봉에 관한 것이며, 특히, 원자로의 출력변경을 용이하게 하여 원자력발전소의 운전 유연성을 향상시키며 원자로 출력변경 시에 적극적인 축 방향 출력분포 제어능력으로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을 증대할 수 있는 가압경수로 원자로용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rod for changing the output of a pressurized water reactor reactor, and in particular, it is easy to change the output of the reactor to improve the operating flexibility of the nuclear power plant, and to control the axial output distribution during the change of the reactor power nuclear power plant It relates to a lower bias strength control rod for a pressurized water reactor that can increase the safety of the.

원자력발전소는 노심의 안전성에 관련한 특별한 안전조치 때문에, 타 발전원에 비해 운전에 있어 제한된 유연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현재 한국의 전력망 운영에 있어서, 원자력발전은 단지 기저부하용(base load)으로만 사용되고, 부하에 따른 전력생산의 변화 즉, 부하추종운전(load follow operation)은 화력발전과 같은 다른 발전원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나, 현재 전력생산에 있어서 원자력발전의 비중이 점점 늘어남에 따라 원자력발전소가 부하추종을 해야 할 필요성이 점점 증대되기에 이르렀고, 이런 결과에 따라 원자력발전소의 부하추종운전능력이 더욱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Nuclear power plants have limited flexibility in operation compared to other sources because of special safety measures related to the safety of the core. Therefore, in the current grid operation in Korea, nuclear power is used only as a base load, and the change in power production according to the load, that is, load follow operation, is driven by other power sources such as thermal power generation. Is performed. However, as the proportion of nuclear power generation increases in power generation, the necessity for the nuclear power plant to follow the load has increased. As a result, the load following operation capability of the nuclear power plant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

원자력발전소에서 원자로 노심 출력의 변화는 반응도 변화에 의해서 일어나게 된다. 원자로에서 반응도 변화에 관련된 두 가지의 주된 메커니즘은 제어봉과 붕산수이다. 제어봉은 빠른 반응도 변화를 위해 사용되는 수단으로서, 중성자를 흡수하는 물질이 축 방향으로 균일한 농도로 분포되어 있는 원통모양의 막대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봉들이 묶여져서 몇 개의 그룹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그리고 붕산수 제어는 저속의 반응도 변화의 보상을 위해 냉각재에 용해되어 있는 붕산 형태의 중성자 흡수물질을 사용하여 제어하는 수단이다. 그리고 냉각재 온도 제어는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한다.In nuclear power plants, changes in reactor core output are caused by changes in reactivity. The two main mechanisms involved in changing the reactivity in a reactor are control rods and boric acid water. The control rod is a means used for rapid change in reactivity, and is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rod in which neutron-absorbing material is distributed in uniform concentration in the axial direction. These rods are tied together to form several groups. And boric acid water control is a means for controlling by using a boric acid type neutron absorbing material dissolved in the coolant to compensate for the low-speed reactivity change. And coolant temperature control is used as an auxiliary means.

도면에서, 도 1은 원자로에 이용되는 제어봉의 집합체의 정면도(a) 및 제어봉의 단면도(b)이고, 도 2는 원자로 노심 상ㆍ하반부 출력 편차의 목표설정범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은 원자로 노심의 축 방향 설정치(AO)의 목표설정 범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4는 노심 출력의 변화에 따른 축 방향 설정치(AO) 설정범위를 나타내는 그래프(a)와, 노심의 출력분포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b)이다.In the drawing, FIG. 1 is a front view (a) of the assembly of control rods used for the reactor, and a cross-sectional view (b) of the control rod,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target setting range of the upper and lower half output deviations of the reactor core, and FIG. 4 is a graph showing a target setting range of the reactor core axial set point AO, and FIG. 4 shows a graph (a) showing the axial set point AO setting ran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ore output, and a change in the output distribution of the core. Graph (b).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로에 이용되는 제어봉 집합체(2)는 도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봉(1)들이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원자력발전소에서는 도 1의 (a)와 같은 제어봉 집합체(2)들이 모여서 한 그룹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제어봉 뱅크(control rod bank)라 하고, 제어봉 뱅크에 속하는 제어봉들은 함께 움직이게 된다. 원자로는 다수 개의 제어봉 뱅크를 수용하고 있는 데, 그 중에서 출력조절에 관련된 제어봉 뱅크는 부분강(part strength) 제어봉 뱅크와 전강(full strength) 제어봉 뱅크로 구분된다.As shown in FIG. 1A, the control rod assembly 2 used in the nuclear reacto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trol rods 1 are combined as shown in FIG. 1B. In a nuclear power plant, control rod assemblies 2 as shown in FIG. 1A are assembled to form a group, which is called a control rod bank, and control rods belonging to the control rod bank move together. The reactor houses a plurality of control rod banks, among which control rod banks related to power regulation are divided into part strength control rod banks and full strength control rod banks.

일반적으로 부분강 제어봉 뱅크는 P1, P2가 있고, 전강 제어봉 뱅크는 R1, R2, R3, R4, R5가 있다. 여기에서 P1, P2, R1, R2, R3, R4, R5는 제어봉 뱅크를 구분하기 위해 붙여진 명칭으로서, 이런 제어봉 뱅크의 각 제어봉 내부에는 중성자 흡수물질로 된 펠렛(pellet)들이 채워지도록 공간부(3)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런 균일한 중성자 흡수력(이하에서는 '강도'라 함)를 갖는 펠렛들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봉(1)의 강도는 축 방향을 따라 그 강도변화가 없다.In general, the partial steel control rod banks are P1 and P2, and the full steel control rod banks are R1, R2, R3, R4, and R5. Here, P1, P2, R1, R2, R3, R4, and R5 are names for distinguishing the control rod banks. In each control rod of the control rod bank, a space (3) is filled so that pellets of neutron absorbing material are filled. ), Pellets with uniform neutron absorp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rength') are uniformly distributed. Therefore, the strength of the control rod 1 does not change its strength along the axial direction.

한편, 원자력발전소의 출력변경 중에 원자로 노심은 제논(Xe)의 효과로 인하여 과도상태에 있게 된다. 제논은 핵분열 생성물의 하나로서 열중성자에 대한 강한 흡수성을 가지고 있는 물질이다. 노심의 반응도 변화는 제논의 농도와 축 방향 분포에 대한 변화를 수반하는데, 제논의 축 방향 분포 변화는 제논 진동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제논의 열중성자에 대한 강한 흡수성으로 인하여, 제논 진동은 노심을 제어불능 상태에 빠지게 하거나 그로 인해 원자로가 정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원자로 출력 변경 시에 제논 진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축 방향 출력분포를 미리 정해진 어떤 설정범위 이내로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during the change of output of a nuclear power plant, the reactor core is in a transient state due to the effect of Xen. Xenon is one of the fission products and has a strong absorption of thermal neutrons. Changes in the core's reactivity are accompanied by changes in xenon concentration and axial distribution, which can cause xenon vibrations, and due to the strong absorption of xenon's thermal neutrons, xenon vibrations control the core Incapacitation can cause the reactor to shut down. Therefore, it is important not to generate xenon vibration when changing the reactor output. For this purpose, it is required to keep the axial output distribution within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rang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로심의 축 방향 출력분포는 축 방향 설정치(AO; axial offset)라고 불리는 변수에 의해서 나타낼 수 있으며 하기의 수학식 1과 같다.2 and 3, the axial output distribution of the nuclear reactor core can be represented by a variable called an axial offset (AO), which is expressed by Equation 1 below.

, ,

여기서, ΔI는 노심 상반부와 하반부의 출력 편차이고, PT는 노심 상반부의 출력이며, PB는 노심 하반부의 출력이다.Here, ΔI is the output deviation of the upper half and the lower half of the core, P T is the output of the upper half of the core, and P B is the output of the lower half of the core.

이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축 방향 설정치(AO)는 노심 상반부와 노심 하반부의 상대출력편차이다. 축 방향 설정치(AO)를 계산하는데 필요한 노심 상반부와 하반부의 출력은 원자로 용기 바깥에 위치한 상부와 하부의 핵 계측기로부터 얻는다.Briefly described, the axial set point AO is the relative output deviation of the upper half of the core and the lower half of the core. The output of the upper and lower cores required to calculate the axial set point (AO) is obtained from the upper and lower nuclear instruments located outside the reactor vessel.

미국 "웨스팅하우스사"의 출력분포 제어전략인 일정 축 방향 설정치 제어(CAOC; constant axial offset control)의 개념은 축 방향 설정치(AO)를 기준이 되는 어떤 축 방향 설정치(AO) 주위의 제어 범위 내에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 때 기준이 되는 축 방향 설정치(target AO)는 기존의 노심 상황하에서 가능한 가장 안정한 상태의 축 방향 출력분포에 부합하는 값이다. 즉, 정격 최고 출력 하에서 제논은 평형상태이고 제어봉이 모두 인출된 상태에서의 축 방향 설정치(AO)를 기준 축 방향 설정치(target AO)로 선택한다.The concept of constant axial offset control (CAOC), the output distribution control strategy of Westinghouse, USA, is within the control range around any axial setpoint (AO) based on the axial setpoint (AO). To keep. At this time, the reference axial set point (target AO) is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axial output distribution of the most stable state under the existing core situation. That is, under the rated maximum power, xenon is in equilibrium and the control rod is pulled out, and the axial setpoint AO is selected as the reference axial setpoint target AO.

그리고 축 방향 설정치(AO)가 유지되어야 하는 목표설정범위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이 목표설정범위는 더 낮은 첨두계수(peaking factor)의 이점을 얻을 정도로 충분히 좁아야 하며, 동시에 발전소 운전원이 출력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넓어야 한다. 목표 출력편차 범위와 그에 따른 기준 축 방향 설정치(AO) 주위의 범위는 위의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대체로 선택되는 목표설정범위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5%이다.The target setting range at which the axial set point AO is to be maintained is determined as follows. This target setting range should be narrow enough to take advantage of the lower peaking factor and at the same time wide enough to allow the plant operator to easily change the output. The target output deviation range, and therefore the range around the reference axial set point AO, must satisfy both of the above goals simultaneously. The target setting range that is generally selected is ± 5%, as shown in FIG.

축 방향 설정치(AO)는 출력편차 ΔI를 상대출력으로 나누어 계산하므로 설정범위가 100% 출력에서는 ±5%이지만 출력이 감소함에 따라 설정범위는 점점 넓어지게 된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도 4는 출력변화에 따른 축 방향 설정치(AO) 설정범위 및 노심의 출력변화를 나타내고 있다.The axial set point (AO)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output deviation ΔI by the relative output, so the setting range is ± 5% at 100% output, but as the output decreases, the setting range becomes wider. This is the same as shown in Figure 3, Figure 4 shows the output range of the axial set point (AO) setting range and the core according to the output change.

그러나, 기존의 반응도 변화 메커니즘을 이용한 반응도 변화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인해 축 방향 출력분포를 설정범위 이내로 유지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갖게 된다.However, the reactivity change using the existing reactivity change mechanism has many difficulties in keeping the axial output distribution within the set range for the following reasons.

첫 번째 이유로서는, 축 방향으로 균일한 강도를 갖는 종래의 제어봉의 움직임은 다음과 같은 축 방향 출력분포의 변화를 수반한다. 노심 상반부에서 제어봉의 삽입은 원자로 노심의 출력분포를 하부 방향(이하에서는 "음의 방향"이라 함)으로 이동시키고, 제어봉의 인출은 출력분포를 상부 방향(이하에서는 "양의 방향"이라 함)으로 이동시킨다. 노심 하반부에서는 위와 반대현상이 나타난다. 그렇지만 축 방향 설정치(AO) 변화는 앞에서 설명한 축 방향 설정치(AO) 설정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노심의 특성은 제어봉을 이용한 원자로의 출력변경을 어렵게만들며, 제어봉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As a first reason, the movement of a conventional control rod with uniform strength in the axial direction is accompanied by a change in the axial output distribution as follows. Inserting the control rod in the upper half of the core shifts the output distribution of the reactor core downwa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negative direction"), and withdrawing the control rod moves the output distribution upwa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positive direction"). Move to. In the lower half of the core, the opposite is true. However, the change in the axial setpoint AO must be maintained within the above-described axial setpoint AO setting range. This core characteristic makes it difficult to change the output of the reactor using the control rods and limits the movement of the control rods.

두번째 이유로서는, 붕소농도변화를 이용한 출력 변경 역시 축 방향 출력분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붕소농도증가(붕산수 주입)를 통한 출력 감소는 항상 출력 분포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는 냉각재 온도의 반응도에 대한 음의 궤환효과에 의한 현상이다. 또한 붕소농도변화는 느린 반응도 변화를 수반하므로 빠른 출력변경을 기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As a second reason, the change in output using the change in boron concentration also affects the axial output distribution. For example, a decrease in output through increasing boron concentration (borate injection) always tends to shift the power distribution upwards. This is a phenomenon due to the negative feedback effect on the reactivity of the coolant temperature. In addition, the boron concentration change is accompanied by a slow reactivity change ha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expect a fast output change.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가압경수로형 원자로의 출력변경 시에 축 방향 출력분포의 변화 및 그로 인한 제논 진동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여 출력변경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원자력발전소의 경제적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LSWCR; lower shifted worth control rod)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solving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change in the axial output distribution and the resulting xenon vibration when changing the output of the pressure-water reactor reactor to facilitate the output change The aim is to provide a lower shifted worth control rod (LSWCR) that can improve the economic efficiency and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s.

도 1은 원자로에 이용되는 제어봉의 집합체의 정면도(a) 및 제어봉의 단면도(b)이고,1 is a front view (a) and a cross-sectional view (b) of a control rod assembly of control rods used in a nuclear reactor,

도 2는 원자로 노심 상ㆍ하반부 출력 편차의 목표설정범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2 is a graph showing a target setting range of the upper and lower half output deviations of the reactor core;

도 3은 원자로 노심의 축 방향 설정치(AO)의 목표설정 범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3 is a graph showing a target setting range of the axial set point AO of the reactor core;

도 4는 노심 출력의 변화에 따른 축 방향 설정치(AO) 설정범위를 나타내는 그래프(a)와, 노심의 출력분포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b)이고,4 is a graph (a) showing an axial set value (AO) setting ran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ore output, and a graph (b) showing a change in the output distribution of the core,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압경수로형 원자로용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 중에서 제1 다용도 제어봉(LSWCR1)의 축 방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FIG. 5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axial strength of the first multipurpose control rod LSWCR1 among the lower bias strength control rods for a PWR rea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압경수로형 원자로용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 중에서 제2 다용도 제어봉(LSWCR2)의 축 방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FIG. 6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axial strength of the second multipurpose control rod LSWCR2 among the lower bias strength control rods for a PWR rea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압경수로형 원자로용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 중에서 제3, 제4, 제5 조절 제어봉(LSWCR3, LSWCR4, LSWCR5)의 축 방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7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axial strength of the third, fourth, fifth adjustment control rods (LSWCR3, LSWCR4, LSWCR5) of the lower bias strength control rods for the PWR re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1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강도를 갖는 제1, 제2 다용도 제어봉(LSWCR1, LSWCR2)과 제3, 제4, 제5 조절 제어봉(LSWCR3, LSWCR4, LSWCR5)을 구비한 제어봉 뱅크들이 가압경수로의 100-50-100%, 2-6-2-14h 부하패턴의 출력변경 조건에서 나타내는 부하추종운전 결과 그래프들이다.8 to 11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multipurpose control rods LSWCR1 and LSWCR2 and third, fourth and fifth adjustable control rods LSWCR3, LSWCR4 and LSWCR5 having the strengths shown in FIGS. The control rod banks are the load tracking operation result graphs displayed under the output change condition of 100-50-100% of the pressurized water path and 2-6-2-14h load patter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 : 제어봉 2 : 제어봉 집합체1: control rod 2: control rod assembly

3 : 공간부3: space part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성자 흡수물질인 펠렛을 포함하고 있는 가압경수로 원자로의 출력조절용 제어봉에 있어서, 상기 펠렛의 중성자 흡수력의 강도가 상기 제어봉의 축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강도변화 분포를 갖는 출력조절용 제어봉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trol r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a pressurized water reactor reactor containing a pellet that is a neutron absorbing material, the strength of the neutron absorbing force of the pellet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axis of the control rod There is provided a control rod for output regulation having a distribution of intensity variations to be relatively larg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출력조절용 제어봉은 다용도 제어봉과 조절용 제어봉으로 구분되며, 상기 다용도 제어봉의 강도변화 기울기가 상기 조절용 제어봉의 강도변화 기울기보다 상대적으로 완만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rod for output adjus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multi-purpose control rod and a control rod for adjustment, the slope of the intensity change of the multipurpose control rod is relatively gentle than the slope of the intensity change of the control rod for adjustment.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다용도 제어봉은 상기 축 방향 설정치(AO; axial offset)의 변화를 노심출력분포에서 노심의 상부방향으로 올리는 제1 다용도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과, 상기 축 방향 설정치(AO)의 변화를 노심출력분포에서 노심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다용도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다용도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의 강도변화 기울기는 상기 제2 다용도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의 강도변화 기울기보다 상대적으로 완만한다.In addition, the multi-purpose control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multi-purpose lower bias strength control rod that raises the change in the axial offset value (AO) from the core output distribution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core, and the change in the axial set value (AO) It includes a second multi-purpose lower bias strength control rod for moving the core outpu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re from the core output distribution, the slope of the intensity change of the first multi-purpose lower bias strength control rod relative to the slope of the change in strength of the second multipurpose lower bias strength control rod As gentle as.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절용 제어봉은 반응도 변화를 발생하는 복수의 제3, 제4, 제5 조절용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을 구비하며, 상기 제3, 제4, 제5 조절용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의 강도변화 기울기는 상기 제1, 제2 다용도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의 강도변화 기울기보다 상대적으로 급격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rod for the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ird, fourth, fifth adjustment lower biasing strength control rod for generating a reactivity change, the intensity change of the third, fourth, fifth adjustment lower biasing strength control rod The slope is relatively steeper than the slope of the intensity change of the first and second versatile lower bias strength control rods.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압경수로형 원자로용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lower bias strength control rods for a PWR re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면에서,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압경수로형 원자로용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 중에서 제1 다용도 제어봉(LSWCR1)의 축 방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압경수로형 원자로용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 중에서 제2 다용도 제어봉(LSWCR2)의 축 방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압경수로형 원자로용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 중에서 제3, 제4, 제5 조절 제어봉(LSWCR3, LSWCR4, LSWCR5)의 축 방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8 내지 도 11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강도를 갖는 제1, 제2 다용도 제어봉(LSWCR1, LSWCR2)과 제3,제4, 제5 조절 제어봉(LSWCR3, LSWCR4, LSWCR5)을 구비한 제어봉 뱅크들이 가압경수로의 100-50-100%, 2-6-2-14h 부하패턴의 출력변경 조건에서 나타내는 부하추종운전 결과 그래프들이다.5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axial strength of the first multi-purpose control rod LSWCR1 among the lower bias strength control rods for the PWR rea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graph illustrating a change in the axial strength of the second multipurpose control rod LSWCR2 among the lower bias strength control rods for a pressurized water reactor according to an example, and FIG. 7 is a lower bias strength for a pressurized water re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axial intensity of the third, fourth, and fifth adjustment control rods LSWCR3, LSWCR4, and LSWCR5 among the control rods, and FIGS. 8 to 11 show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rengths shown in FIGS. The control rod banks with the second versatile control rods LSWCR1 and LSWCR2 and the third, fourth and fifth adjustment control rods LSWCR3, LSWCR4 and LSWCR5 are 100-50-100% of the pressurized water path, 2-6-2-14h. Under load change condition of load pattern Indicating load-following operation are the result graph.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압경수로형 원자로용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은 출력변경 동안에 축 방향 출력분포의 변화와 관련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The lower biasing strength control rod for a PWR rea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changes in the axial output distribution during output changes.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lower shifted worth control rods; LSWCR1, LSWCR2, LSWCR3, LSWCR4, LSWCR5)은 두 종류로 분류된다. 한 종류는 '다용도 제어봉(multi-purpose control rod)'인 LSWCR1과 LSWCR2이고, 다른 한 종류는 '조절 제어봉(regulating control rod)'인 LSWCR3과 LSWCR4 및 LSWCR5이다.As shown in Figs. 5 to 7, lower shifted worth control rods (LSWCR1, LSWCR2, LSWCR3, LSWCR4, LSWCR5)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One type is LSWCR1 and LSWCR2, which are 'multi-purpose control rods', and the other type is LSWCR3, LSWCR4 and LSWCR5, which are 'regulating control rods'.

다용도 제어봉(LSWCR1, LSWCR2)은 제어봉이 노심 하부에 존재할 때 축 방향 설정치(AO)를 상대적으로 강하게 양의 방향 즉, 도 4의 그래프 상에서의 세로축 양의 방향이며, 노심의 출력분포 관점에서 볼 경우에는 노심의 출력이 위쪽방향으로 올라가도록 이동시키면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붕소농도 변화를 대신해서 요구되는 반응도 변화를 제공한다. 그리고, 조절 제어봉(LSWCR3, LSWCR4, LSWCR5)은 종래의 제어봉과 동일하게 반응도 변화를 일으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multipurpose control rods LSWCR1 and LSWCR2 are relatively strong in the axial setpoint AO when the control rod is present at the bottom of the core,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axis on the graph of FIG. It performs the function of controlling while moving the output of the core to the upward direction, and provides the required reactivity change in place of the change in boron concentration. And, the control rods (LSWCR3, LSWCR4, LSWCR5) performs the function of causing a change in reactivity as in the conventional control rods.

아래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강도를 갖는 다용도 제어봉(multi-purpose control rod; LSWCR1, LSWCR2)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multi-purpose control rods LSWCR1 and LSWCR2 having the strengths shown in FIGS. 5 and 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 다용도 제어봉은 LSWCR1로서, 축 방향 강도의 변화는 도 5와 같으며, 이와 같은 강도의 변화를 갖기 위해서는 제어봉의 중간부에 수용되는 펠릿의 강도 분포를 다르게 한다. 즉, 큰 강도를 갖는 펠릿을 제어봉의 내부공간 하부에 분포시키고 상대적으로 강도가 작은 펠릿을 제어봉의 상부방향으로 분포하여 LSWCR1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그 강도가 점차 크게 한다. 이는 다른 제어봉 즉 LSWCR2, LSWCR3, LSWCR4, LSWCR5에서도 마찬가지다.The first multipurpose control rod is LSWCR1, and the change in the axial strength is as shown in FIG. 5, and in order to have such a change in strength,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pellets accommodated in the middle of the control rod is varied. That is, pellets having a large strength are distributed under the inner space of the control rod, and pellets having a relatively small strength are distribu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control rod, so that the strength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top of the LSWCR1 to the lower direction. The same applies to other control rods, LSWCR2, LSWCR3, LSWCR4, and LSWCR5.

LSWCR1은 주로 노심 하반부에서 움직인다. 그리고 LSWCR1로 인하여 초기상태의 노심에서 축 방향 설정치(AO)는 설정범위의 상부경계에 접근하게 된다. LSWCR1의 기능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LSWCR1 moves mainly in the lower half of the core. And the LSWCR1 causes the axial set point AO to approach the upper boundary of the set range at the initial core. The function and purpose of LSWCR1 are as follows.

축 방향 설정치(AO) 제어의 관점에서 LSWCR1의 역할은 축 방향 설정치(AO)를 양의 방향으로 밀어 올려주는 것이다 즉, 도 4의 그래프에서 세로축의 양 방향이고, 노심의 출력분포 관점에서는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다시 말해서, LSWCR1은 다른 제어봉의 움직임에 의해 도 4의 그래프상에서 음의 방향으로 발생하는 축 방향 설정치(AO)의 왜곡을 완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또한 LSWCR1은 붕소농도의 변화를 대신해서 반응도 변화를 일으켜야 한다. 덧붙여서, 반응도 제어의 관점에서 LSWCR1은 LSWCR2와 비교해서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되며 좁은 이동범위를 갖는다. 이는 LSWCR1의 가장 중요한 기능 및 목적이 축 방향 설정치(AO)를 도 4의 그래프상에서의 양의 방향으로 밀어올려주는 것이며 이를 위해 LSWCR1은 항상 노심의 하부에 존재해야 하기 때문이다.The role of LSWCR1 in terms of the control of the axial set point AO is to push the axial set point AO in the positive direction, i.e., in the direction of the vertical axis in the graph of FIG. Move to. In other words, the LSWCR1 should be able to mitigate the distortion of the axial set point AO that occurs in the negative direction on the graph of FIG. 4 by the movement of another control rod. LSWCR1 should also cause a change in reactivity instead of a change in boron concentration. In addition, in terms of responsiveness control, LSWCR1 is used as an auxiliary means compared to LSWCR2 and has a narrow moving range. This is because the most important function and purpose of the LSWCR1 is to push the axial set point AO in the positive direction on the graph of FIG. 4 because the LSWCR1 must always be at the bottom of the core.

두 번째 다용도 제어봉은 LSWCR2로서, 축 방향 강도의 변화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LSWCR2는 LSWCR1과는 다르게 노심의 최하부에서 최상부까지 전 영역에걸쳐 이동범위를 갖는다. 이런 LSWCR2의 기능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The second versatile control rod is LSWCR2, where the change in axial strength is shown in FIG. Unlike LSWCR1, LSWCR2 has a movement range over the whole area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core. LSWCR2's function and purpose are as follows.

LSWCR2는 축 방향 설정치(AO)를 도 4의 그래프 상에서 양의 방향 또는 음의 방향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다른 제어봉의 움직임에 의한 양 또는 음의 방향으로의 축 방향 설정치 변화를 완화한다. LSWCR2의 또 다른 하나의 중요한 기능은 조절 제어봉이 모두 인출된 상황하에서 설정출력의 유지를 위해 붕소농도의 변화를 대신해서 요구되는 반응도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다.The LSWCR2 controls the axial setpoint AO in the positive or negative direction on the graph of FIG. 4. Then, the change in the axial setpoint value in the positive or negative direction due to the movement of the other control rod is alleviated. Another important function of the LSWCR2 is to produce a change in reactivity that is required in place of the change in boron concentration to maintain the set output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control rods are all pulled out.

아래에서는 조절 제어봉(regulating control rod; LSWCR3, LSWCR4, LSWCR5)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regulating control rods (LSWCR3, LSWCR4, LSWCR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세 개의 조절 제어봉인 LSWCR3, LSWCR4, LSWCR5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축 방향 강도의 변화가 모두 동일하다. 이 제어봉들은 기존의 제어봉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 조절 제어봉들은 초기 전출력 상태에서 모두 인출되어 있는 상태이며, 주된 기능은 반응도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다. 덧붙여서, 이런 조절 제어봉이 종래의 제어봉과 다른 점은 노심의 중앙부를 지나 삽입되면서부터, 종래의 제어봉과 비교해서 축 방향 설정치(AO)를 상대적으로 강하게 도 4의 그래프 상에서 양의 방향으로 변화시킨다. 이는 하부로 치우친 제어봉 강도의 변화로 인한 특징이다.The three adjustment control rods LSWCR3, LSWCR4, and LSWCR5 have the same change in axial intensity as shown in FIG. These control rods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conventional control rods. These regulating rods are drawn out from the initial full power state, and their main function is to cause a change in responsiveness. In addition, this adjustment control rod differs from the conventional control rod since it is inserted past the center of the core, thereby changing the axial setpoint AO in the positive direction on the graph of FIG. 4 relatively strongl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ntrol rod. This is due to the variation of the control rod strength biased downwards.

이와 같이 구성된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LSWCRs; LSWCR1, LSWCR2, LSWCR3, LSWCR4, LSWCR5)들의 운전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The driving relationship of the lower biased strength control rods LSWCRs (LSWCR1, LSWCR2, LSWCR3, LSWCR4, LSWCR5)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첫 번째로 노심의 반응도(reactivity)와 축 방향 설정치(AO), 두 가지 요소에 관련된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의 움직임 특성이 운전전략의 개발을 위해 분석되는데, 실험결과의 분석을 통하여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의 움직임 특성을 구한다.First,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the lower biased strength control rods related to the two factors, the reactivity of the core and the axial set point (AO), are analyz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driving strategy. Find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아래에서는 실험결과에 의해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LSWCR1, LSWCR2)의 움직임 위치에 따른 반응도 및 축 방향 설정치(AO)의 변화를 나타내었다.In the following, the responsiveness and axial set point (AO) change according to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lower biasing strength control rods LSWCR1 and LSWCR2 are shown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표 1에서의 (a)는 LSWCR1이 초기 제어봉 위치에서의 반응도 및 축 방향 설정치의 움직임 특성을 나타낸 표이고, (b)는 LSWCR1이 초기 제어봉 위치보다 상부에 위치하였을 때의 반응도 및 축 방향 설정치의 움직임 특성을 나타낸 표이며, (c)는 LSWCR1이 초기 제어봉 위치보다 하부에 위치하였을 때의 반응도 및 축 방향 설정치의 움직임 특성을 나타낸 표이다.(A) in Table 1 shows the responsiveness of the LSWCR1 at the initial control rod position and the movement characteristic of the axial set point, and (b) shows the reactivity and axial setpoint of the LSWCR1 when the LSWCR1 is positioned above the initial control rod position. (C) is a table showing the responsiveness and movement characteristics of the axial set point when the LSWCR1 is located below the initial control rod position.

한편, 아래의 표 2에서의 (a)는 LSWCR2가 초기 제어봉 위치에서의 반응도 및 축 방향 설정치의 움직임 특성을 나타낸 표이고, (b)는 LSWCR2가 초기 제어봉 위치보다 상부에 위치하였을 때의 반응도 및 축 방향 설정치의 움직임 특성을 나타낸 표이며, (c)는 LSWCR2가 초기 제어봉 위치보다 하부에 위치하였을 때의 반응도 및 축 방향 설정치의 움직임 특성을 나타낸 표이다.On the other hand, (a) in Table 2 below shows the responsiveness of the LSWCR2 at the initial control rod position and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the axial set point, (b) is a response when the LSWCR2 is located above the initial control rod position and (C) is a table showing the responsiveness and movement characteristics of the axial set point when the LSWCR2 is located below the initial control rod position.

두 번째로, 상기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의 운전전략을 개발한다. 운전전략 개발에 반영된 규칙(rule)은 다음과 같다.Second,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 driving strategy of the lower biased strength control rod is developed. The rules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driving strategy are as follows.

1). LSWCR1은 주로 원자로 노심 하부에서 움직이며, 반응도 제어의 관점에서 LSWCR1은 LSWCR2와 비교해서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되며 좁은 이동범위를 갖는다. 이는 LSWCR1의 가장 중요한 용도가 축 방향 설정치(AO)를 양의 방향으로 밀어올려주는 것이며 이를 위해 LSWCR1은 항상 노심의 하부에 존재해야하기 때문이다.One). LSWCR1 mainly moves below the reactor core, and in terms of reactivity control, LSWCR1 is used as an auxiliary means compared to LSWCR2 and has a narrow moving range. This is because the most important use of the LSWCR1 is to push the axial set point (AO) in the positive direction, for which the LSWCR1 must always be at the bottom of the core.

2). LSWCR2는 LSWCR1과는 다르게 노심 전 범위에 걸쳐 움직인다.2). The LSWCR2, unlike LSWCR1, moves across the core.

세번째로, 위와 같이 개발된 운전전략을 이용하여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의 가압경수로 출력변경에 적용을 수행한다. 그 한 실시예로서, 대한민국의 전력수요에 바탕을 둔 100-50-100%(도 4에 도시된 패턴), 2-6-2-14hour의 부하패턴에 적용하였다.Thirdly, using the operation strategy developed as described above, it is applied to change the output of the pressure ramp of the lower bias strength control rod. As an example, 100-50-100% (pattern shown in Figure 4) based on the power demand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applied to the load pattern of 2-6-2-14hour.

여기에서, 100-50-100%, 2-6-2-14hour의 부하패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겠다. 상기의 부하패턴은 노심출력을 2시간동안 100%에서 50%로 내리고, 6시간동안 50%로 유지한 후에 다시 2시간 동안 50%에서 100%로 상승하여 14시간동안 100%로 유지하는 부하패턴을 말한다.Here, the load pattern of 100-50-100%, 2-6-2-14hour will be described briefly. The load pattern is a load pattern that lowers the core output from 100% to 50% for 2 hours, maintains 50% for 6 hours, then rises from 50% to 100% for 2 hours and maintains 100% for 14 hours. Say

이와 같은 부하패턴을 적용한 결과를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하였다.The results of applying such a load pattern are shown in FIGS. 8 to 11.

도 8은 시간에 따라 노심의 상대출력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노심출력은 기준 목표출력에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붕소농도 변화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초기상태 값으로 고정되어 있고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도 10에서는 출력변경 동안의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의 움직임을 나타낸 것이며, 시간에 따른 축 방향 설정치(AO)의 변화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8 shows the change in relative output of the core over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core output closely matches the reference target output. And, as shown in Figure 9, the boron concentration change is fixed to its initial state value and does not change with time. 10 shows the movement of the lower bias intensity control rod during the output change, and the change in the axial set value AO over time i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출력변경 동안에, 축 방향 설정치(AO)가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에 의해 목표 설정범위 내에 잘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의 실험 결과들은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이 축 방향 설정치(AO)를 제어하는 데에 좋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용도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의 적절한 사용이 가압경수로의 출력변경 동안에, 축 방향 설정치(AO)를 설정범위 내에서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위의 결과들로부터 붕소농도의 변화에 의한 반응도 보상이 없이 출력변경이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붕소농도 변화의 최소화가 가능해졌음을 알수 있다.Thus, it can be seen that during the output change, the axial setpoint AO is well maintained within the target setting range by the lower biased strength control rod.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lower bias strength control rod has good characteristics to control the axial setpoint (AO), and the proper use of the versatile lower bias strength control rod is used to change the axial setpoint (AO) during the output change of the pressure ramp. It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control within the setting range. In addition, it can be seen from the above results that the output can be changed without reactivity compensation due to the change in boron concentration,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hange in boron concentration.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압경수로형 원자로용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은 가압경수로의 축방향 설정치(AO)를 제어하는 데에 좋은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원자력발전소의 출력변경시 축 방향 출력분포의 변화와 관련된 문제를 완화하여 원자력발전소의 부하추종운전(load follow operation)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원자력발전소의 경제적 효율성과 안전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lower biased strength control rod for the PWR reactor has the characteristics to control the axial set point (AO) of the PWR, so that the change in the axial output distribution when the output of the nuclear power plant changes. By alleviating the related problems, the load follow operation of the nuclear power plant is facilitated, thereby improving the economic efficiency and safety of the nuclear power plant.

또한 원자력발전소의 출력변경시 붕소농도 변화에 의한 반응도 변화를 이용하지 않고 출력변경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함으로 인하여, 붕소를 사용함에 따른 다량의 액체폐기물 발생, 붕산에 의한 기기 부식 등의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output change without using reactivity change by changing boron concentration when changing output of nuclear power plant, so that problems such as generation of large amount of liquid waste by using boron and corrosion of equipment by boric acid can be overco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이상에서 본 발명의 가압경수로형 원자로용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lower biased strength control rod for the PWR re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illustrative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중성자 흡수물질인 펠렛을 포함하고 있는 가압경수로 원자로의 출력조절용 제어봉에 있어서,In the control r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a pressurized water reactor containing pellets, which are neutron absorbing materials, 상기 펠렛의 중성자 흡수력의 강도가 상기 제어봉의 축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강도변화 분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조절용 제어봉.The control rod for output reg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nsity change distribution so that the intensity of the neutron absorption of the pellet is relatively large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axis of the control ro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출력조절용 제어봉은 다용도 제어봉과 조절용 제어봉으로 구분되며, 상기 다용도 제어봉의 강도변화 기울기가 상기 조절용 제어봉의 강도변화 기울기보다 상대적으로 완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조절용 제어봉.The control rod for output control is divided into a multi-purpose control rod and a control rod for adjustment, the output control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nsity change slope of the multi-purpose control rod is relatively gentle than the slope of the intensity change of the control ro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다용도 제어봉은 상기 축 방향 설정치(AO; axial offset)의 변화를 양의방향, 즉 노심의 출력분포관점에서 노심의 상부방향으로 올리는 제1 다용도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과, 상기 축 방향 설정치(AO)의 변화를 양과 음의 양방향, 즉 노심의 출력분포관점에서 노심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다용도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을 포함하며,The multipurpose control rod includes a first multipurpose lower bias strength control rod that raises the change in the axial offset value in a positive direction, that is, from the core's output distribution point of view to an upper direction of the core, and the axial setpoint (AO). A second versatile lower bias strength control rod which shifts the positive and negative directions in a positive and negative direction, ie from the core's output distribution point of view; 상기 제1 다용도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의 강도변화 기울기는 상기 제2 다용도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의 강도변화 기울기보다 상대적으로 완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조절용 제어봉.The intensity change slope of the first multipurpose lower bias strength control rod is relatively gentler than the slope of the intensity change of the second versatile lower bias strength control rod.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or 3, 상기 조절용 제어봉은 반응도 변화를 발생하는 복수의 제3, 제4, 제5 조절용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을 구비하며, 상기 제3, 제4, 제5 조절용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의 강도변화 기울기는 상기 제1, 제2 다용도 하부 치우침 강도 제어봉의 강도변화 기울기보다 상대적으로 급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조절용 제어봉.The control rod for adjustment includes a plurality of third, fourth, and fifth adjustment lower bias strength control rods for generating a change in reactivity, the slope of the intensity change of the third, fourth, fifth adjustment lower bias strength control rod is the first , The control rod for output adjus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versatile lower bias strength than the change in the slope of the strength change.
KR10-2001-0073292A 2001-11-23 2001-11-23 Lower shifted worth control rod for pressurized water reactor KR1004433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292A KR100443369B1 (en) 2001-11-23 2001-11-23 Lower shifted worth control rod for pressurized water re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292A KR100443369B1 (en) 2001-11-23 2001-11-23 Lower shifted worth control rod for pressurized water rea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582A KR20030042582A (en) 2003-06-02
KR100443369B1 true KR100443369B1 (en) 2004-08-09

Family

ID=29571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292A KR100443369B1 (en) 2001-11-23 2001-11-23 Lower shifted worth control rod for pressurized water rea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36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605B1 (en) * 2011-05-17 2013-01-22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A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and power distribution of a nuclear reactor
KR101668088B1 (en) 2015-05-13 2016-10-19 한국원자력연구원 Nuclear reactor
KR102463008B1 (en) * 2020-06-11 2022-11-02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Reactor core for load follow oper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1753A (en) * 1986-03-19 1987-12-08 Westinghouse Electric Corp. Calibration of a nuclear reactor core parameter predictor
JPS643596A (en) * 1987-06-26 1989-01-09 Nippon Atomic Ind Group Co Load follow up operation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JPH06118191A (en) * 1992-10-05 1994-04-28 Nuclear Fuel Ind Ltd Reactivity control internal
JP2000121779A (en) * 1998-10-13 2000-04-28 Mitsubishi Heavy Ind Ltd Power distribution control method for reactor co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1753A (en) * 1986-03-19 1987-12-08 Westinghouse Electric Corp. Calibration of a nuclear reactor core parameter predictor
JPS643596A (en) * 1987-06-26 1989-01-09 Nippon Atomic Ind Group Co Load follow up operation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JPH06118191A (en) * 1992-10-05 1994-04-28 Nuclear Fuel Ind Ltd Reactivity control internal
JP2000121779A (en) * 1998-10-13 2000-04-28 Mitsubishi Heavy Ind Ltd Power distribution control method for reactor c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582A (en)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5899B1 (en) Fuel assembly & nuclear reactor
US4326919A (en) Nuclear core arrangement
EP2771886B1 (en) A method of achieving automatic axial power distribution control
Franceschini et al. Advanced operational strategy for the IRIS reactor: Load follow through mechanical shim (MSHIM)
US5023047A (en) Nuclear reactor having an ascending cooling path much greater than the descending cooling path
KR100935560B1 (en) Fuel bundle for pressurized-water reactor and method of designing fuel bundle
US3226300A (en) Unified modular reactor plant
KR930005580B1 (en) Anticipatory control of xenon in a pressurized water reactor
KR870006583A (en) How to Operate Spectral Shift Reactors and Nuclear Clusters
US4678628A (en) Nuclear reactor control rod cluster for enthalpy rise compensation
JPH0212099A (en) Method of determining and calculating output return capacity for pressurized water type nuclear reactor
KR100443369B1 (en) Lower shifted worth control rod for pressurized water reactor
Yamamoto A simple and efficient control rod cusping model for three-dimensional pin-by-pin core calculations
KR100595820B1 (en) Axially multi-sectioned strength control rods for pressurized water reactor
JPH03262993A (en) Fuel assembly and nuclear reactor
Kim et al. Nuclear design feasibility of the soluble boron free PWR core
EP05409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nuclear reactor to minimize boron concentration adjustment during load follow operation
KR880002044B1 (en) Mechanical spectral shift reactor
JPH03179293A (en) Fuel assembly
McMahon Modeling and design of reload LWR cores for an ultra-long operating cycle
JPH0555836B2 (en)
JP2022188649A (en) Reactor core designing method, nuclear reactor operating method, reactor core designing device, and program
JPH021590A (en) Operation of nuclear reactor and fuel aggregate
Pairot EPR: high load variation performances with the'TMODE'core control
JPH0222916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