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032B1 - 지피에스 기능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단말기간의 접근통지방법 - Google Patents

지피에스 기능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단말기간의 접근통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032B1
KR100442032B1 KR10-2001-0072215A KR20010072215A KR100442032B1 KR 100442032 B1 KR100442032 B1 KR 100442032B1 KR 20010072215 A KR20010072215 A KR 20010072215A KR 100442032 B1 KR100442032 B1 KR 100442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ccess notification
gps
subject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1425A (ko
Inventor
김필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2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032B1/ko
Publication of KR20030041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032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 수신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특정 대상자의 접근통지방법 및 그를 구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접근통지 대상자로 등록된 단말기의 위치를 홈위치등록기(HLR)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하다가, 접근 대상자 중 하나 이상의 소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는 경우에는 상기 GPS 위치확인모드로 전환하여, 접근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GPS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의 정확한 현재위치(GPS 위치)를 산출하고, GPS 위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다른 접근 단말기로 전송·통지해준다.
따라서, 종래의 기지국 방식을 이용한 친구찾기 서비스가 정확성이 떨어지며, 찾고싶은 친구가 있을 때마다 위치추적 요청을 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운 반면, 본 발명에서는 등록된 대상자 그룹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GPS 신호에 이한 정확한 위치를 통지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Description

지피에스 기능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단말기간의 접근통지방법 {Method and for Automatically Notifying Approach Location Inform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GPS Function}
본 발명은 GPS 수신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특정 대상자의 접근통지방법, 더 상세하게는 접근통지 대상자로 등록된 단말기의 위치를 홈위치등록기(HLR)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하다가, 접근 대상자 중 하나 이상의 소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는 경우에는 상기 GPS 위치확인모드로 전환하여, GPS에 의하여 확인된 접근대상자의 정확한 현재위치정보를 제공해 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서비스가 널리 확산됨에 따라 거의 대부분의 국민이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서비스는 기본적인 음성통화, 문자·음성메시지 전송에 이어, 무선 인터넷 서비스, 위치확인기능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 중,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확인 기능은 홈위치등록기(HLR)에 등록된 셀(cell)위치를 이용하는 방법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의한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가 있는 셀위치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셀의 반경 정도, 즉 수 km 정도의 오차를 가지므로 정확한 위치추적이 어려우나, GPS, DGPS(Differential GPS)시스템을 이용하면 수m 내지 수십 m 정도의 오차를 가지는 비교적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 ??컴(Qualcomm)사의 CDMA 모뎀칩인 MSM 3300에 "gpsOne"이라는 GPS 측위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이를 장착한 단말기(이동통신 단말기, 기타 휴대용 퓨터 시스템)는 CDMA에 의한 데이터통신과 함께 기준국 또는 위성으로부터의 GPS 신호를 이용하여 빠르고 정확(수 십m 정도의 오차)한 위치확인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단말기 등에 부여된 GPS 기능은 단순한 자신의 위치정보, 시각 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 타인과의 위치정보, 거리정보 등을 교환하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제안된 것이 없었다.
GPS 시스템과 관련된 종래의 위치확인 서비스로는 다음과 같은 두가지가 존재하였다.
우선, 미국에서 제공되고 있는 E911 서비스이다. GPS 수신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장비로 응급전화번호 911에 전화를 하는 경우, 그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자동으로 가까운 경찰서 또는 소방서로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긴급시 GPS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통지해주는 점에서는 유사하지만, 다만 경찰서나 소방서로만 통지가 될 뿐 선택된 특정한 개인의 위치 또는 서로간의 거리 등을 파악할 수는 없었다.
또다른 서비스로는 운송트럭 위치추적 서비스가 있다. 이 서비스는 GPS를 이용하여 물류운송회사에서 물류운반트럭의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하기 위한 것으로, 각 트럭에는 GPS 수신기가 장착되어 있고, GPS에서 수신한 GPS 정보는 망연동장치(IWF) 또는 단문메시지 전송시스템(SMS)을 이용하여 물류회사의 GPS 서버로 전송되며, 이를 이용하여 GPS 서버는 각 트럭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GPS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특정한 상대방이 소정 거리에 접근한 경우에 GPS에 의한 정확한 상대방의 위치를 통지해주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GPS 수신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의 GPS 위치확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특정 상대방이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경우 GPS에 의한 정확한 상대방 위치정보를 문자메시지로 전송받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접근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접근통지방법을 구현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GPS를 이용한 접근통지 서비스를 구현하는 과정에서의 사용자 단말기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은, GPS 수신부를 구비하는 1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내외부에 연동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접근통지서버 및 이동통신망으로 이루어지며, 접근통지서버와 연동된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단말기 소유자에 대한 1 이상의 접근통지 대상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접근통지서버는 소정 시간마다 이동통신망의 홈위치등록기(HLR)를 참조하여 상기 소유자 단말기와 접근통지 대상자 단말기의 셀(cell)위치 및 둘 사이의 거리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거리가 소정 임계치 이하가 된 경우에 소유자 단말기 및 접근통지 대상자 단말기가 수신한 GPS 신호를 전송받아 두 단말기의 정확한 GPS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GPS 위치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생성하여 접근된 두 단말기로 전송하여 주는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한 접근통지 방법은 전술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접근통지서버는 특정 단말기에 대한 인증된 접근통지 대상자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접근통지 대상자 등록단계;
상기 접근통지서버는 이동통신망에 연동되어 있는 홈위치등록기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단말기 및 접근통지 대상 단말기의 셀위치정보와 두 셀위치 사이의 거리를 모니터링하는 셀위치 모니터링 단계;
상기 접근통지서버는 상기 특정단말기와 접근통지 대상자 단말기 중 하나의 거리가 소정 임계치 이하가 되는 경우에, 해당되는 두 단말기가 수신한 GPS 신호를 전송받아 정확한 GPS 위치를 산출하는 GPS 위치산출단계;
산출된 GPS 위치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작성하여 해당되는 두 단말기로 전송하여 통지하는 접근사실 및 GPS 위치통지단계;로 이루어진다.
접근통지 대상자 등록단계는, 1) 각각의 단말기에는 비밀식별코드가 부여되어 있으며, 특정 단말기로부터 해당 접근통지 대상자의 비밀식별코드가 입력된 경우에 한하여 정당한 접근통지 대상자로 등록하는 제 1 방식과, 2) 특정 단말기로부터 접근통지 대상자 등록요청이 있는 경우, 그 사실을 요청된 접근통지 대상자의 단말기로 메시지 전송하고, 접근통지 대상자의 승낙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정당한 접근통지 대상자로 등록하는 제 2 방식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모니터링 단계에서 추출된 접근통지 대상자의 셀위치를 상기 특정 단말기로 통지해 주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접근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도시한다.
시스템은 크게 GPS 수신부를 구비하는 1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100,100'), 접근통지서버(110) 및 단말기와 서버를 연결하는 이동통신망(120)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입력부, 출력부, 저장부, 무선송수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 이외에,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GPS 수신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GPS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수신한 GPS 신호에 단말기의 고유코드를 추가하여 접근통지 서버 또는 이동통신 교환기(MSC)로 전송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는 일반적인 기능 이외에, 접근통지서버로부터 GPS 신호 전송요청을 접수한 경우, GPS 수신부를 구동하여 가시(可視)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고,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접근통지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GPS 수신부와 전술한 기능의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한 어떠한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다. 즉, GSM 또는 CDMA방식의 셀룰러폰, PCS, IMT-2000, PDA, 핸드헬드 PC 등 모든 단말기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접근통지서버(110)는 1) 각 단말기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접근통지 대상자(대상단말기)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기능과, 2) 단말기들이 위치하는 기지국(Cell)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기능(기지국 위치확인모드)과, 3) 서로 접근한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된 GPS 신호를 수신·복조하고, 해당 단말기들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며, 서로 접근한 단말기들의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문자 또는 음성)를 생성하고, 등록된 접근통지 대상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GPS 모드)기능을 가진다.
위의 기능 1)을 구현하기 위하여, 접근통지서버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접근통지를 원하는 접근통지 대상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접근통지 대상자의 승인을 거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여기서, "접근통지 대상자의 승인"이란 자신과 무관한 사람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타인이 자신을 접근통지 대상자로 등록할 것에 대한 동의를 구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첫째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친구찾기" 서비스에서와 유사하게 "비밀번호"를 이용하는 것이다. 즉,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든 단말기 사용자에게는 고유한 비밀번호가 할당되어 있고, 특정인을 자신의 접근통지 대상자로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그 특정인의 비밀번호를 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로, 문자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이다. 즉, A라는 단말기 사용자가 B라는 단말기 사용자를 접근통지 대상자로 지정하고 싶은 경우, A는 접근통지 서버로 B를 접근통지대상으로 등록해줄 것을 요청한다. 이 때, 접근통지서버는 B에게 이러한 사실을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B의 동의를 얻은 경우에 한하여 정당한 접근통지 대상자로 등록하게 한다.
그런, 접근통지 대상자 지정시의 "승인"은 반드시 위에서 예시한 방식에 제한되는 것을 아니며, 접근통지 대상자의 허락을 확인할 수 있는 한 여하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접근통지서버(110)에 연동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111)에는 각 회원의 ID,단말기정보에 추가하여, 접근통지를 원하는 대상자의 단말기정보, 승인여부, 현재 셀위치 등의 필드를 가질 수 있다.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GPS 신호에는 위성식별코드, 신호발송시간 등 GPS 위성으로부터의 신호 이외에 단말기의 고유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GPS 위치확인 시스템은 이로부터 위성부터 단말기까지의 의사거리(Pseudo-Range)를 구하고 각종 오차(시계오차, 위성궤도오차, 다중경로오차 등)를 보정함으로써 정확한 위성-단말기 간 거리를 구한다. 3개 이상의 위성까지의 의사거리를 알면 삼각법에 의하여 지표면상의 한 점의 위치가 파악될 수 있다. 이렇게 의사거리만을 이용하는 단일위성 항법 시스템의 경우에는 약 수십 m 정도의 큰 오차를 발생시키지만, 반송파(carrier wave)의 위상(phase)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경우에는 수cm정도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
GPS 신호를 이용하여 항체의 위치를 산출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GPS 기술에 해당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접근통지서버는 이동통신망의 교환기(MSC) 및 문자메시지 시스템(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과 연동되어 있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술한 기능들은 소정의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말기 사용자가 회원가입, 대상자 등록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인터넷망과 연동되어 있는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의 웹서버 기능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동통신망(120)은 무선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기지국(BS), 무선전화교환기(MSC;121), 홈위치등록기(HLR; 122)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CDMA 또는 GSM 방식에 의하여 변조된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통신채널을 의미한다. GPS 신호가 CDMA방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의 이동통신망은 CDMA 방식의 망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접근통지방법을 구현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접근통지서버는 각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접근통지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S211). 접근통지 대상자 정보는 접근통지 대상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며, 이러한 정보 입력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인터넷망과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접근통지서버에 접속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접근통지서버는 전술한 방식에 의하여 입력된 접근통지 대상자의 승인을 거친 후에(S212), 접근통지대상자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접근통지 대상자의 등록"이 완료된다(S213).
이렇게 등록된 접근통지 대상자 및 최초의 등록요청자는 하나의 통지대상그룹으로 파악된다. 즉, A라는 사람이 B와 C를 접근통지 대상자로 등록한 경우, 최초에 누가 등록을 요청하였는가에 무관하게 A, B, C는 하나의 통지대상자 그룹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후에 A, B, C 중 둘 이상이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경우 접근된 모든 사람의 단말기로 접근한 상대방의 위치정보가 통지된다.
접근통지서버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각 단말기가 위치하는 셀(cell)위치를 파악하는 기지국 위치확인모드에서 동작한다(S214). 이러한 셀위치 파악은 홈위치 등록기에 등록되어 있는 단말기 위치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각 단말기의 셀위치를 파악하다가, 소정 통지대상그룹 내에 있는 둘 이상의 단말기가 동일한 셀 내에 있음이 확인 된 경우(S215), 접근통지서버는 GPS 모드로 변환되어 동일한 셀내에 들어온 단말기들로 GPS 신호 전송요청을 송출한다(S216). GPS 신호 전송요청을 수신한 단말기의 제어부는 GPS 수신부를 구동하여 GPS 신호를 추출하고, 그를 접근통지서버로 전송한다. 접근통지서버는 수신한 각 단말기의 GPS 신호를 복조하고 그로부터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인 GPS 위치를 계산한다(S217). 그 다음으로, 접근사실 및/또는 GPS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또는 음성메시지를 생성하여, 접근한 이동통신 단말기들로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그룹내의 접근통지 대상자가 접근하였다는 사실과 현재의 정확한 위치를 통지하게 되는 것이다(S218).
GPS 모드에서의 이러한 GPS 위치확인 및 메시지 전송은 소정 시간 간격마다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접근한 대상자의 이동경로를 함께 알려줄 수도 있다(S219, S220). 이러한 반복통지를 위하여 사용자가 통지주기를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일회성 통지와 반복통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서 GPS 신호에 의한 위치(GPS 위치)는 일반적으로 경·위도와 같은 측위정보이고, 이러한 측위정보를 통지해 줄 수도 있으나, 외부의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을 참조하여 측위정보에 대응하는 행정위치정보(예를 들면, 동/지번, 지하철역, 큰 건물 등의 주요 시설물)를 추출하여 측위정보와 함께 통지해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단말기가 단순히 GPS 신호를 위성으로부터 수신하여 외부의 GPS 위치확인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기능만 하고, 실제의 위치계산은 접근통지서버가 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단말기의 성능(저장성능, 처리속도 등)이 향상되면, GPS 신호의 수신과 위치계산이 모두 단말기 내부에서 이루어지고, 접근통지서버는 단순히 통지대상자의 저장·인증 및 메시지 전달의 기능만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GPS를 이용한 접근통지 서비스를 구현하는 과정에서의 사용자 단말기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3a는 접근통지 대상자의 등록을 위한 화면에 대한 예시로서, 통지대상자의 ID 또는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하고, 해당 대상자의 승인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상자의 비밀번호를 함께 입력하도록 하고 있다.
도 3b는 접근통지 대상자의 단말기 화면에 수신된 상대방의 접근위치정보 메시지의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홍길동(011-9234-2314)이 2001.11.15일 14:00 현재 동경126.12.23, 북위34.34.23(역삼동 123번지, 역삼역)로 접근하였습니다."와 같이 시간정보와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상대방이 소정 거리 이내로 이통한 경우,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GPS 신호를 이용하여정확한 상대방 위치를 파악한 뒤, 자동으로 문자메시지로 알려주기 때문에, 종래의 기지국 방식의 친구찾기에 비하여 편리하다.
즉, 종래의 친구찾기 서비스는 기지국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정확성이 떨어지며, 찾고싶은 친구가 있을 때마다 위치추적 요청을 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운 반면, 본 발명에서는 등록된 대상자 그룹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정확한 위치를 통지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GPS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GPS 수신부를 구비하는 1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근통지서버 및 이동통신망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으로서,
    접근통지서버는 특정 단말기에 대한 인증된 접근통지 대상자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접근통지 대상자 등록단계;
    상기 접근통지서버는 이동통신망에 연동되어 있는 홈위치등록기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단말기 및 접근통지 대상 단말기의 셀위치정보와 두 셀위치 사이의 거리를 모니터링하는 셀위치 모니터링 단계;
    상기 접근통지서버는 상기 특정단말기와 접근통지 대상자 단말기 중 하나의 거리가 소정 임계치 이하가 되는 경우에, 해당되는 두 단말기가 수신한 GPS 신호를 전송받아 정확한 GPS 위치를 산출하는 GPS 위치산출단계;
    산출된 GPS 위치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작성하여 해당되는 두 단말기로 전송하여 통지하는 접근사실 및 GPS 위치통지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근통지 대상자 등록단계는,
    각각의 단말기에는 비밀식별코드가 부여되어 있으며, 특정 단말기로부터 해당 접근통지 대상자의 비밀식별코드가 입력된 경우에 한하여 정당한 접근통지 대상자로 등록하는 제 1 방식과,
    특정 단말기로부터 접근통지 대상자 등록요청이 있는 경우, 그 사실을 요청된 접근통지 대상자의 단말기로 메시지 전송하고, 접근통지 대상자의 승낙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정당한 접근통지 대상자로 등록하는 제 2 방식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접근통지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단말기 및 통지대상 단말기가 동일한 기지국 셀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GPS 위치산출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접근통지방법.
KR10-2001-0072215A 2001-11-20 2001-11-20 지피에스 기능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단말기간의 접근통지방법 KR100442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215A KR100442032B1 (ko) 2001-11-20 2001-11-20 지피에스 기능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단말기간의 접근통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215A KR100442032B1 (ko) 2001-11-20 2001-11-20 지피에스 기능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단말기간의 접근통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425A KR20030041425A (ko) 2003-05-27
KR100442032B1 true KR100442032B1 (ko) 2004-07-30

Family

ID=29570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215A KR100442032B1 (ko) 2001-11-20 2001-11-20 지피에스 기능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단말기간의 접근통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20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464B1 (ko) * 2008-08-07 2011-01-1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정보 대상인의 위치에 기반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116A (ko) * 2002-06-11 2003-12-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동일 위치 통보 및 동일 위치이탈 통보 서비스 제공방법
KR20020074093A (ko) * 2002-07-23 2002-09-28 최정용 근접시간 검출,표시 시스템
KR20040022314A (ko) * 2002-09-05 2004-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피에스를 이용한 휴대폰의 미아 추적 방법
US7668553B2 (en) 2003-12-26 2010-02-23 Pantech Co., Lt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information of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673235B1 (ko) * 2005-04-07 2007-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구역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786387B1 (ko) * 2006-07-28 2007-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위치 추적 방법
KR100792144B1 (ko) * 2006-08-18 2008-01-04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위치정보를 이용한 근접알림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58739B1 (ko) * 2006-10-27 2008-09-17 김상덕 위치궤적을 이용한 검색시스템
KR100880889B1 (ko) 2006-12-05 2009-0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객 맞춤식 위치추적 서비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935A (ja) * 1995-06-16 1997-01-10 Fuji Electric Co Ltd 携帯電話通信による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
KR19980027099A (ko) * 1996-10-14 1998-07-15 구자홍 셀룰라폰을 이용한 위치검색 방법
JPH1164482A (ja) * 1997-08-18 1999-03-05 Noa Syst:Kk インタ−ネットによる徘徊者位置捜索システム
KR20000059199A (ko) * 2000-07-21 2000-10-05 한윤동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
KR20010009994A (ko) * 1999-07-15 2001-02-05 윤종용 위치정보서비스 방법
KR20020054583A (ko) * 2000-12-28 2002-07-08 구자홍 Gps 기능을 갖는 커플용 이동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935A (ja) * 1995-06-16 1997-01-10 Fuji Electric Co Ltd 携帯電話通信による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
KR19980027099A (ko) * 1996-10-14 1998-07-15 구자홍 셀룰라폰을 이용한 위치검색 방법
JPH1164482A (ja) * 1997-08-18 1999-03-05 Noa Syst:Kk インタ−ネットによる徘徊者位置捜索システム
KR20010009994A (ko) * 1999-07-15 2001-02-05 윤종용 위치정보서비스 방법
KR20000059199A (ko) * 2000-07-21 2000-10-05 한윤동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
KR20020054583A (ko) * 2000-12-28 2002-07-08 구자홍 Gps 기능을 갖는 커플용 이동통신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464B1 (ko) * 2008-08-07 2011-01-1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정보 대상인의 위치에 기반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425A (ko) 200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7556B2 (en) Locator system
US65161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the number and/or duration of positioning requests for terminal-based location calculation
CA2434475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mobile units tracking another
CN100518365C (zh) 提供定位服务可用性和可用定位服务之质量的指示
KR20030046656A (ko) 지피에스 수신기능 구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위치통지방법 및 그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42032B1 (ko) 지피에스 기능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단말기간의 접근통지방법
US20050020241A1 (en) Locator system
KR100443334B1 (ko) 지피에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관련정보제공방법
KR100532714B1 (ko) MS-Based GPS 방식을 이용하여 안전운전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1784007B (zh) 移动终端的定位方法及相关装置
KR20030042237A (ko) 지피에스 기능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특정 대상자의위치, 거리 및 도달예상시간 제공방법
EP1199902A1 (en) Technique for notification of mobile terminals by geographical co-ordinates
KR20030041657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역별 기상정보 자동제공방법
KR100277223B1 (ko)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기능을 갖춘 발신전용 단말기
KR20050120933A (ko) 휴대폰을 이용한 구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구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400523B1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
KR20100007194A (ko) 근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646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기상 정보 예약통보 방법
KR20060074372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가입자 위치 정보 제공 방법
KR20060013921A (ko) Svd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 중에 위치 정보를송수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42525A (ko) 지피에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역별 풍수지리정보제공방법
Huq et al. A Telematics Application for Stolen Vehicle Recovery Using On-Device Position Fixing
KR2005005776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과속탐지 카메라 알람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