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1891B1 - Data structure of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remote controlling the heterogeneous MPLS network and, apparatus,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ata structure of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remote controlling the heterogeneous MPLS network and, apparatus,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1891B1
KR100441891B1 KR10-2002-0033476A KR20020033476A KR100441891B1 KR 100441891 B1 KR100441891 B1 KR 100441891B1 KR 20020033476 A KR20020033476 A KR 20020033476A KR 100441891 B1 KR100441891 B1 KR 100441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switching
class
switching path
path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4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95869A (en
Inventor
정형석
정태수
최태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33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1891B1/en
Publication of KR20030095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58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89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Standardisation; Integration using relational databases for representation of network management data, e.g. managing via structured query language [SQ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5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label swapping, e.g. multi-protocol label switch [MP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기능을 지원하는 이종의 네트워크 장비로 구성된 망에서 장비의 구성 정보를 설정, 변경, 해제하기 위한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관련 정보를 정의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 정보 자료구조를 정의하는 것과 그 자료구조를 이용한 관리장치와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related information for setting, changing, and releas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device in a network composed of heterogeneous network devices that support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efining a configuration information data structure to be stored and manag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o a management apparatus and a management method using the data structure.

본 발명에 의하여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네트워크 장비로 구성된 망에서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트래픽 엔지니어링 기술을 이용하여 망을 구성하고자 할 때 이종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해 동일한 구성 정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복잡한 네트워크 장비를 다루어야 하는 망 관리자 입장에서 일관성 있는 정책의 수립 및 반영을 가능하게 하며, 작업량을 단축시키고 효율적으로 망을 관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network is configured using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network engineering technology using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traffic engineering technology, the same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be used for heterogeneous network equipment. This enabled network administrators to deal with complex network equipment, which allowed them to establish and reflect consistent policies, reduce workload, and effectively manage networks.

Description

이종의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네트워크 장비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구성 정보 자료구조 및 관리장치, 관리방법{Data structure of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remote controlling the heterogeneous MPLS network and, apparatus, method thereof.}Data structure of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remote controlling the heterogeneous MPLS network and, apparatus, method

본 발명은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기능을 지원하는 이종의 네트워크 장비로 구성된 망에서 장비의 구성 정보를 설정, 변경, 해제하기 위한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관련 정보를 정의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 정보 자료구조를 정의하는 것과 그 자료구조를 이용한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related information for setting, changing, and releas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device in a network composed of heterogeneous network devices that support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efining a configuration information data structure to be stored and manag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o a management apparatus and a management method using the data structure.

기존의 아이피(IP) 패킷 교환방식에서는 데이터를 받은 라우터(router)가 수많은 아이피(IP)를 검색해 다음 라우터를 정하는 경로계산 처리를 거쳐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라우터마다 반복하게 되는데, 이를 홉 바이 홉(hop-by-hop) 방식이라 하며 라우터마다 멈췄다가 전송된다는 의미에서 비연결형 IP 교환방식으로 분류된다.In the conventional IP packet exchange method, a router that receives data repeats a process of retrieving a large number of IPs and transmitting data through a route calculation process for determining the next router, which is hop-by-hop. It is called a hop-by-hop method and is classified as a connectionless IP switching system in that it is stopped and transmitted for each router.

그러나, 인터넷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라우터 하나가 관리하는 아이피(IP)의 수와 경로 계산 처리를 기다리는 데이터 양이 급증하면서 인터넷 트래픽의 정체가 발생하기 시작했고 통신사업자들은 이의 해결을 위해 라우터 등 시설을 확장하여야 하지만, 이의 비용증가로 인해 고객이 늘수록 채산성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통신 속도가 망 전체의 속도에 달려 있어 속도, 지속성, 가격 등에있어 차별화된 신상품에 대한 요구가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개인적인 필요와 관계없이 똑같은 속도와 가격의 인터넷을 이용해야 하는 소비자들의 불만이 높았다.However, as Internet users surged, the number of IPs managed by one router and the amount of data waiting to process route calculations began to increase, resulting in congestion of Internet traffic. However, due to the increase in cost, the profitability of the customer increased. In addition, as the speed of communication depends on the speed of the entire network, demand for differentiated new products in speed, continuity, and price has begun to emerge, and consumers' dissatisfaction with using the same speed and price regardless of personal needs is high.

이의 해결을 위해 인터넷 표준제정 기구인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포스팀(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이 만든 차세대 패킷 전송 방식이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이다. 이는 패킷에 미리 지정한 경로가 기록된 라벨(label)을 달아 경로 계산 처리 과정 없이 스위칭만으로 패킷을 전송시키는 연결형 아이피(IP) 교환방식이다.To solve this problem,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is a next-generation packet transmission method created by th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 This is a connection type IP (IP) exchange method in which a packet is labeled with a predetermined path and a packet is transmitted only by switching without a path calculation process.

경로 계산 처리가 생략되고 라우터의 아이피(IP) 관리 부담이 줄어 속도가 그만큼 빨라지고 속도, 지속성, 가격 등으로 차별화된 품질 보장형 경로(QoS, Quality of Service)를 만들 수 있게 된다.By eliminating the route calculation process and reducing the burden of IP management on the router, speed can be increased and a quality of service (QoS) can be created by speed, continuity, and price.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의 기본 아이디어는 서로 다른 제어 모듈들을 조합하여 레이블 교체(Label Swapping)를 수행하여 포워딩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제어 모듈은 기본적인 유니캐스트 라우팅 모듈(Unicast Routing Module), 트래픽 엔지니어링 모듈(Traffic Engineering Module)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망에서의 연결인 라벨 스위칭 경로(LSP, Label Switched Path)는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의 연결 설정 프로토콜인 라벨 분배 프로토콜(LDP, Label Distribution Protocol), 집중 기반의 라우팅 라벨 분배 프로토콜(LR-LDP, Constraint-based Routing LDP) 또는 자원예약 프로토콜 - 트래픽 엔지니어링(RSVP-TE,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Traffic Engineering)에 의해 설정되고, 라벨 스위칭 경로(LSP)에서의 패킷 전달은 라벨(label)이란 짧은헤더를 이용하여 효율적이고 빠르게 3계층의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The basic idea of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is to combine different control modules to perform label swapping and forward. The control module may be a basic unicast routing module, a traffic engineering module, or the like. The Label Switched Path (LSP), which is a connection in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network, is based on a Label Distribution Protocol (LDP), a convergence-based protocol, which is a connection establishment protocol of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Constraint-based Routing LDP (LR-LDP) or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set by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Traffic Engineering (RSVP-TE), and packet forwarding in the Label Switching Path (LSP) Labels can transmit packets of three layers efficiently and quickly using short headers.

네트워크 장비가 제공하는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기능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장비와 직접 연결된 콘솔을 통한 명령어 라인 인터페이스(CLI, Command Line Interface) 명령을 사용하여 구성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과 텔넷(Telnet)을 통한 원격제어 방식으로 구성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후자의 방법을 사용함에 있어 특정 장비에 종속되지 않는 범용적인 정보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망관리 시스템 또는 구성 서버로 하여금 이종의 네트워크 장비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확장성 및 상호운용성을 고려하여 구성정보를 정의함으로써 새로운 기능의 추가가 용이하도록 하며 구성 정보를 이용하는 서버들 간의 정보 공유가 가능하도록 구성정보를 정의하였다.Common methods of using the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feature provided by network devices include configur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using command line interface (CLI) commands via a console directly connected to the device, and Telnet. There is a way to set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by the remote control metho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network management system or a configuration server to remotely control heterogeneous network equipment by providing a general information structure that is not dependent on specific equipment in using the latter method. In addition, by defin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scalability and interoperability, configuration information is defined to facilitate the addition of new functions and to share information among servers using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그리고,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 설정, 상태 감시, 오류 보고 및 트래픽 상태 분석 등은 망을 운용하고 관리를 위한 망관리 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기능이며, 본 발명에서 다루는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구성 정보 모델은 특히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네트워크라는 특화된 망의 구성 정보를 망 관리 시스템이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정의한 것이다.In addition, configuration information configuration, status monitoring, error reporting, and traffic state analysis of network equipment are essential functions of a 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operating and managing a network, and the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configuration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el defines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network management system to manage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specialized network, in particular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network.

망관리 시스템 중에서 특히 구성 정보 설정과 관련된 기존의 시스템은 사용자 권한, 승인 제어, 아이피(IP) 라우팅 프로토콜, 장비의 인터페이스 구성, 아이피(IP) 주소 필터 등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일반적인 구성 정보 설정 이외에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네트워크 장비를 위한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구성 정보 설정을 위한 정보 모델을 포함한다.Existing systems, especially those related to set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provide functions for setting user authority, admission control, IP routing protocols, device interface configuration, and IP address filter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model for setting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network equipment.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구성 정보는 순방향 오류정정(FEC, Forward Error Correction), 자원예약프로토콜-트래픽 엔지니어링(RSVP-TE, ReSerVation Protocol-Traffic Engineering), 개방형 최단경로 우선-트래픽 엔지니어링(OSPF-TE, Open Shortest Path First-TE) 등과 같이 확장된 아이피(IP) 주소 필터, 라우팅 프로토콜(Routing Protocol) 및 자원예약 프로토콜(RSVP)뿐만 아니라 라벨스위칭 프로토콜(LSP), 경로, 자원클래스와 같은 새로운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한다.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configuration information includes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ReSerVation Protocol-Traffic Engineering (RSVP-TE), and Open Shortest Path First-Traffic Engineering (OSPF-TE). New configuration information such as Label Switching Protocol (LSP), Routes, and Resource Classes, as well as extended IP address filters, Routing Protocols, and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s (RSVP) such as Open Shortest Path First-TE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 정의한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구성 정보 모델은 객체지향 모델링 방식을 사용하여 정의하였으며 데이터베이스, 경량형 디렉터리 적응 프로토콜(LDAP, Light-weight Directory Adaptation Protocol), 확장형 마크업 언어(XML, eXtended Mark-up Language), 코바(CORBA) 인터페이스 기술 언어(IDL, Interface Description Language)와 같은 다양한 스키마(Schema)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정의하였다. 또한 구성 정보의 인스턴스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구성 정보 관리장치를 정의하고 있다.The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configuration information model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using an object-oriented modeling method, a database, a light-weight directory adaptation protocol (LDAP), and an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eXtended). It is defined to be expressed in various schema formats such as Mark-up Language, CORBA Interface Description Language (IDL). In addition, a configu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for effectively managing instances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is defined.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네트워크 장비의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구성 정보를 다양한 정보 스키마(Schema)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에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정보 모델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o express the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network equipment in various information schemes, and to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Provide an information model for storage and management. It provides a management device for managing this information.

이를 통해 이종의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네트워크 장비로 구성된 망을 단일 망관리 시스템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aims to support remote control of networks consisting of heterogeneous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network equipment through a single network management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면.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network management system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정책서버(PS)의 구성 도면.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licy server PS.

도 3은 트래픽 트렁크(TT)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3 illustrates the concept of a traffic trunk (TT).

도 4는 트래픽 트렁크내의 라벨 스위칭 경로 터널에 존재하는 클래스를 나타낸 도면.4 illustrates a class present in a label switching path tunnel in a traffic trunk.

도 5는 본 발명의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구성 정보의 자료구조 도면.5 is a data structure diagram of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구성정보 클래스들을 관리하는 관리장치의 구성도면.6 is a block diagram of a management device for managing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configuration information cla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구성 정보 클래스와 관리장치간의 참조 및 종속 관계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면.FIG. 7 is an embodiment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ference and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configuration information class and a manag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은 본 발명의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구성정보 클래스들을 관리하는 관리방법의 흐름도면.8 is a flowchart of a management method for managing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configuration information cla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특정 라벨스위칭 경로를 통해 전달되는 아이피 패킷들을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순방향 오류정정 클래스; 라벨스위칭 경로에 할당되는 대역폭 자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자원예약프로토콜 트래픽 프로파일 클래스; 트래픽 분담을 위한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트래픽 트렁크 클래스; 라벨스위칭 경로 설정에 필요한 속성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라벨스위칭 경로 클래스; 주 라벨스위칭 경로와 백업 라벨스위칭 경로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라벨 스위칭 경로 터널 클래스; 라벨스위칭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망 관리자가 지정한 경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로 클래스; 망 관리자 또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된 경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설정 경로 클래스; 및 망의 구성요소를 저장하고 있는 인터페이스 클래스를 포함하는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자료구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rward error correction class used to identify IP packets transmitted through a specific label switching path; A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traffic profile class that stores bandwidth resource information allocated to a label switching path; A traffic trunk class consisting of a set of label switching path tunnels for traffic sharing; A label switching path class that stores attribute information necessary for setting a label switching path; A label switching path tunnel class consisting of a set of primary label switching paths and backup label switching paths; A path class that stores path information designated by a network manager to set a label switching path; A setting path class that stores path information automatically set by a network manager or a network device; And it provides a data structure used in the system for managing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network equipment including an interface class for storing the components of the network.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순방향 오류정정(FEC) 클래스 인스턴스를 생성하거나 삭제하기 위한 기능 및 자신이 관리하는 순방향 오류정정(FEC)의 목록 및 목록의 길이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 순방향 오류정정(FEC) 관리자; 자원예약프로토콜(RSVP) 트래픽 프로파일 클래스 인스턴스의 목록을 유지,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자원예약프로토콜(RSVP) 트래픽 프로파일 관리자; 망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경로 클래스 인스턴스의 목록을 유지,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경로 관리자;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 및 라벨스위칭 경로(LSP)의 생성, 변경, 삭제 기능을 제공하고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 클래스 인스턴스의 목록, 라벨스위칭 경로(LSP) 클래스 인스턴스의 목록을 유지하며 클라이언트 객체가 이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 관리자; 및 트래픽 트렁크(TT) 클래스 인스턴스의 목록을 유지, 관리하며 트래픽 트렁크(TT)의 생성, 변경, 삭제 기능을 제공하는 트래픽 트렁크(TT) 관리자를 포함하는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구성 정보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 forward direction having a function for creating or deleting a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class instance and providing a list of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and length information of the list is managed Error correction (FEC) manager; A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RSVP) traffic profile manager providing a function of maintaining and managing a list of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RSVP) traffic profile class instances; A path manager providing a function of maintaining and managing a list of path class instances defined by the network user; Provides the ability to create, modify, and delete Label Switching Path Tunnels (LSP Tunnel) and Label Switching Paths (LSP), and maintains a list of Label Switching Path Tunnel class instances and a list of Label Switching Path (LSP) class instances. A Label Switching Path Tunnel Manager (LSP Tunnel Manager) that provides the ability for client objects to retrieve it; And a traffic trunk (TT) manager for maintaining, managing a list of traffic trunk (TT) class instances, and providing a function of creating, modifying, and deleting a traffic trunk (TT). .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특정 라벨스위칭 경로를 통해 전달되는 아이피 패킷들을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순방향 오류정정 클래스 인스턴스를 관리하는 단계; 트래픽 분담을 위한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트래픽 트렁크 클래스 인스턴스를 관리하는 단계; 주 라벨스위칭 경로와 백업 라벨스위칭 경로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라벨 스위칭 경로 터널 클래스와 라벨스위칭 경로 설정에 필요한 속성 정보를 정의한 라벨스위칭 경로 클래스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트래픽 트렁크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트래픽 트렁크 클래스와 상기 라벨 스위칭 경로 터널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라벨 스위칭 경로 터널 클래스 및 라벨 스위칭 경로 클래스를 관리하고, 자원예약프로토콜 트래픽 프로파일 클래스 인스턴스의 목록을 유지,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라벨 스위칭 경로 클래스와 망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경로 클래스 인스턴스의 목록을 유지,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구성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aging a forward error correction class instance used to identify IP packets transmitted through a specific label switching path; Managing a traffic trunk class instance consisting of a set of label switching path tunnels for traffic sharing; Managing a label switching path tunnel class comprising a primary label switching path and a backup label switching path and a label switching path class defining attribute information necessary for setting the label switching path; Managing a traffic trunk class managed by the traffic trunk manager, a label switching path tunnel class and a label switching path class managed by the label switching path tunnel manager, and maintaining and managing a list of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traffic profile class instances step; And maintaining and managing a list of the label switching path class and the path class instance defined by the network user.

상술한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구성 정보 모델의 자료구조와 그 자료구조를 이용한 관리장치와 관리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하게 정의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The data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configuration information model, a management apparatus and a management method using the data structure will be more clearly defined throug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network management system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시스템 모듈간 통신은 코바(CORBA)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각 모듈은 C++언어, C언어, 또는 자바(JAVA) 등을 이용하여 구현되었다. 네트워크 장비와 개발 시스템간 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하여 공통 개방 정책 서비스(COPS, Common Open Policy Service)프로토콜, 단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및 프락시 에이전트(Proxy Agent)를 통한 텔넷(Telnet) 기반의 명령어 라인 인터페이스(CLI, Command Line Interface) 기술이 구현되었으며, 전반적인 자료관리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 : RDB)를 기반으로 공개 데이터베이스 연결(ODBC, Open Database Connectivity) 기술이 이용되고, 경량 디렉터리 액세스 프로토콜(LDAP,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기술을 같이 사용하였다. 시스템 개발은 선 솔라리스 운용체제(Sun Solaris OS) 시스템에서 이루어졌으며, 선(SUN) 시스템을 비롯한 리눅스(Linux), FreeBSD 에서 수행이 가능하다.Communication between system modules is performed using a CORBA interface, and each module is implemented using a C ++ language, a C language, or JAVA. Telnet through Common Open Policy Service (COPS) protocol,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and Proxy Agent for control and monitoring between network equipment and development system Based Command Line Interface (CLI) technology is implemented, overall data management is based on Relational Database (RDB) based on Open Database Connectivity (ODBC) technology, and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LDAP,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technology was used together.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 was done on Sun Solaris OS systems and can be done on Sun, Linux, and FreeBSD.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공통 서비스 인터페이스(CSI, Common Service Interface)(10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102), 정책 서버(PS, Policy Server)(103), 자원 모니터링 서버(RMS, Resource Monitoring Server)(104), 트래픽 측정 및 분석 서버(TMS, Traffic Measurement Analysis Server)(105), 트래픽 엔지니어링을 위한 라우팅 감독(RATE, Routing Advisor for Traffic Engineering)(106) 및 프락시 에이전트(PA, Proxy Agent)(107)로 구성된다.The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network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common service interface (CSI) 101,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102, a policy server (PS) 103 Resource Monitoring Server (RMS) 104, Traffic Measurement Analysis Server (TMS) 105, Routing Advisor for Traffic Engineering (RATE) 106 And a proxy agent (PA) 107.

도 2는 정책서버(PS)의 구성 도면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olicy server PS.

정책 서버(PS)는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팀(IETF)의 정책 프레임 워킹그룹(Policy Framework WG)에서 정의한 구조를 따라 설계, 구현되었으며, 이는 네트워크 전반에 걸쳐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트래픽 엔지니어링(TE) 및 가상사설망(VPN) 정책을 결정하고 정책 룰(Policy Rule) 작성, 수정, 삭제 및 충돌검사, 정책적용(Policy Rule Enforcement), 수락제어(admission control) 기능 등을 담당한다.The Policy Server (PS) is designed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defined by the Internet Framework Task Force's Policy Framework Working Group (IETF), which is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traffic engineering (TE) network-wide network. ) It is responsible for determining the VPN and VPN policy, creating, modifying, deleting, and checking policy rules, policy rule enforcement, and admission control.

이러한 정책 서버(PS)의 기능들은 복잡한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트래픽 엔지니어링(MPLS-TE) 및 가상사설망(VPN) 환경설정을 자동적으로 네트워크 전체에 적용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 기능은 직접 수동으로 라우터별로 복잡한 구성정보를 관리해 온 운영자들에게는 필수적인 요소로 적용될 수 있으며, 관리의 시간 및 비용 측면에서의 효율성 극대화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가상사설망(VPN) 구성관리 제품은 일부 개발되어 있으나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트래픽엔지니어링(MPLS-TE) 및 이를 기반으로 한 가상사설망(VPN) 구성관리는 세계적으로도 전무한 상태이므로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The functions of these Policy Servers (PS) are responsible for automatically applying complex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traffic engineering (MPLS-TE) and virtual private network (VPN) configurations across the network. This feature can be an essential element for operators who have manually managed complex configuration information by router and can contribute to maximum efficiency in terms of time and cost of management. Particularly, the virtual private network (VPN) configuration management product has been developed in part, but the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traffic engineering (MPLS-TE) and the virtual private network (VPN) configuration management based on the same are importan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aid.

도 3은 트래픽 트렁크(TT)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 traffic trunk (TT).

트래픽 트렁크(TT)는 하나의 주 라벨 스위칭 경로(Primary LSP)와 보조 라벨 스위칭 경로(Secondary LSP)로 구성된 라벨 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조 라벨 스위칭 경로(Secondary LSP)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0 또는 그 이상이다.The traffic trunk (TT) is composed of a set of label switching path tunnels (LSP tunnels) composed of one primary label switching path (Primary LSP) and a secondary label switching path (Secondary LSP). The Secondary Label Switching Path (Secondary LSP) may be zero or more since it may not exist.

도 4는 트래픽 트렁크내의 라벨 스위칭 경로 터널에 존재하는 클래스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lass present in a label switching path tunnel in a traffic trunk.

트래픽 트렁크(TT)는 라벨 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라벨 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은 주 라벨 스위칭 경로와 보조 라벨 스위칭 경로로 이루어져 있다. 주 라벨 스위칭 경로 또는 보조 라벨 스위칭 경로는 자원예약프로토콜 트래픽 프로파일 클래스(RSVP TP), 선호도 클래스(Affinity), 순방향 오류정정 클래스(FEC), 경로 클래스(Path)로 이루어져 있다.The traffic trunk (TT) is composed of a set of LSP tunnels, which consist of a primary label switching path and a secondary label switching path. The primary label switching path or secondary label switching path is composed of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traffic profile class (RSVP TP), affinity class (Affinity), forward error correction class (FEC), and path class (Path).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구성 정보의 자료구조 도면이다.5 is a data structure diagram of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configu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구성 정보 중 공통 클래스(501)는 네트워크 주소, 노드 주소, 노드 이름,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등과 같은 아이피 버전4(IPv4, IP version 4) 형식의 인터넷 주소 정보를 정의한다. 또한 스케줄링 시간 및 트래픽 데이터 저장 시간을 기록하기 위해 정의한 시간 정보 및 노드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한다.In FIG. 5, the common class 501 among the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configuration information is an Internet address in IP version 4 (IPv4) format such as a network address, node address, node name, subnet mask, and the like. Define the information. It also includes time information and node location information defined for recording the scheduling time and traffic data storage time.

도 5에서 전역 구성 클래스(502)는 특정 노드나 인터페이스,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 등에 속하지 않으며 전역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구성 정보를 정의한다. 자원클래스 클래스(503)는 유사한 특성을 갖는 노드나 링크들을 그룹화(grouping)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정의한다.In FIG. 5, the global configuration class 502 does not belong to a specific node or interface, an LSP tunnel, etc., and defines configuration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globally. Resource class Class 503 defines the information needed to group nodes or link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도 5의 순방향 오류정정 클래스(FEC)(504)는 아이피(IP) 프로토콜 버전, 트래픽의 소스 아이피(source IP)와 목적지 아이피(destination IP) 주소, 서비스 타입(ToS, Type of Service) 정보, 4계층 프로토콜 타입 등의 정보를 정의한다.The forward error correction class (FEC) 504 of FIG. 5 includes an IP protocol version, a source IP and a destination IP address of traffic, type of service (ToS) information, 4 Defines information such as layer protocol type.

도 5의 자원예약프로토콜 트래픽 프로파일(RSVP Traffic Profile) 클래스(505)는 자원 예약 프로토콜(RSVP)을 사용할 때 필요한 자원, 특히 대역폭 정보를 정의한다.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traffic profile (RSVP Traffic Profile) class 505 of Figure 5 defines the resources, in particular bandwidth information required when using the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RSVP).

도 5의 트래픽 트렁크(TT, Traffic Trunk) 클래스(506)는 트래픽 트렁크(TT)에 대한 고유한 식별자, 트래픽 트렁크(TT) 명칭, 트래픽 트렁크(TT)가 장비에 반영중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운용상태, 유입(ingress) 네트워크 장비의 유형, 유입 및 유출 네트워크 장비의 아이피(IP) 주소, 트래픽 트렁크(TT) 설정 및 유지에 대한 우선순위를 정의한다.The traffic trunk (TT) class 506 of FIG. 5 is an operational state indicating whether a unique identifier for the traffic trunk (TT), the traffic trunk (TT) name, and the traffic trunk (TT) are being reflected to the equipment. It defines the types of ingress network equipment, IP addresses of ingress and egress network equipment, and priorities for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traffic trunks (TT).

또한, 트래픽 트렁크(TT) 장애 발생시 오류 복구 여부, 최적화 허용 여부, 트래픽 트렁크(TT)의 역할(role) 포함시켜야 할 자원클래스의 목록, 배제시켜야 할 자원클래스의 목록, 트래픽 트렁크(TT)가 포함하는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Tunnel)의 목록, 포함된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별로 할당된 부하 분담률, 순방향 오류정정(FEC) 클래스의 참조 목록 및 자원예약프로토콜(RSVP) 트래픽 프로파일 클래스의 참조에 관한 정보를 정의한다.In addition, if a traffic trunk failure occurs, error recovery is allowed, optimization is allowed, the role of the traffic trunk (TT) includes a list of resource classes to be included, a list of resource classes to be excluded, and a traffic trunk (TT). In the list of the Label Switching Path Tunnels (LSPTunnel), the load sharing rate assigned by the included Label Switching Path Tunnels (LSP Tunnel), the reference list of the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class, and the reference of the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RSVP) traffic profile class. Defines information about

도 5의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 클래스(507)는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의 명칭, 장비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었는지 망 관리자에 의해 생성되었는지를 표시하는 생성 유형, 유입 네트워크 장비의 유형,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이 네트워크 장비에서 동작중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운용상태, 유입 및 유출 네트워크 장비의 아이피(IP) 주소, 유입 및 유출 노드의 노드 아이피(IP) 구성 클래스에 대한 참조에 대한 정보를 정의한다.Label Switching Path Tunnel (LSP Tunnel) class 507 of FIG. 5 is an identifier for uniquely identifying a Label Switching Path Tunnel (LSP Tunnel), a name of the Label Switching Path Tunnel (LSP Tunnel), and is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device. Creation type to indicate whether it was created by the network manager, type of incoming network device, operating status to indicate whether or not the Label Switching Path Tunnel is operating on the network device, and IP address of the incoming and outgoing network device. Defines information about references to the node IP (IP) configuration class of incoming, outgoing and outgoing nodes.

또한,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 설정 및 유지 우선순위, 자원예약프로토콜-트래픽 엔지니어링(RSVP-TE) 프로토콜에 의해 생성된 라벨스위칭 경로(LSP)를 기록할 지에 대한 여부, 자원예약프로토콜 트래픽 프로파일(RSVP Traffic Profile) 클래스의 참조, 순방향 오류정정(FEC) 클래스의 참조 목록, 주 라벨스위칭 경로(LSP) 클래스에 대한 참조, 보조 라벨스위칭 경로(LSP) 클래스에 대한 참조 목록, 포함시켜야 할 자원클래스의 참조 목록, 배제시켜야 할 자원클래스의 참조 목록,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에 할당된 역할에 관한 정보를 정의한다.In addition, the label switching path tunnel (LSP Tunnel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priority), whether to record the label switching path (LSP) generated by the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traffic engineering (RSVP-TE) protocol,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traffic profile (RSVP Traffic Profile) class reference, reference list of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class, reference to primary label switching path (LSP) class, reference list to secondary label switching path (LSP) class, resource class to include Defines a list of references to resources, a list of references to resource classes to be excluded, and information about the roles assigned to the Label Switching Path Tunnel.

도 5의 라벨스위칭 경로(LSP) 클래스(508)는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을 구성하는 클래스로서, 용도에 따라 주 라벨스위칭 경로(LSP)와 보조 라벨스위칭 경로(LSP)로 사용된다.The label switching path (LSP) class 508 of FIG. 5 is a class constituting the label switching path tunnel (LSP Tunnel), and is used as a primary label switching path (LSP) and an auxiliary label switching path (LSP) according to a purpose.

라벨스위칭 경로(LSP) 클래스는 라벨스위칭 경로(LSP)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라벨스위칭 경로(LSP) 명칭, 장비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었는지 망 관리자에 의해 생성되었는지를 표시하는 생성 유형, 라벨스위칭 경로(LSP)가 네트워크 장비에서 동작중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운용상태, 라벨스위칭 경로(LSP)의 설정 및 유지 우선순위, 서비스 클래스(CoS, Class of Service), 메트릭(metric) 값, 절대치와 상대치로 표현되는 메트릭 유형, 주 라벨스위칭 경로(LSP)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사용될 보조 라벨스위칭 경로(LSP)간의 선호도, 라벨스위칭 경로(LSP)가 생성될 때 거쳐갈 수 있는 최대 노드 수, 실제로 동작시킬지 대기시킬지를 표시하는 스탠바이(Standby) 여부를 정의한다.The Label Switching Path (LSP) class is an identifier for uniquely identifying a Label Switching Path (LSP), a Label Switching Path (LSP) name, a generation type that indicates whether it was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device or generated by the network manager, and a label. Operational status indicating whether the switching path (LSP) is operating on the network equipment, setting and maintenance priority of the label switching path (LSP), class of service (CoS), metric value, absolute value and relative Value metric type, preference between secondary label switching paths (LSPs) to be used if the primary label switching path (LSP) fails, the maximum number of nodes that can pass when the label switching path (LSP) is created, and wait for actual operation. Defines whether or not to indicate standby.

또한,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결정된 라벨스위칭 경로(LSP) 정보의 저장 여부를 나타내는 경로 저장 여부, 제한최단경로우선(CSPF, Constrained Shortest Path First) 라우팅 알고리즘의 사용 여부, 경로 클래스의 참조, 자신을 포함하고 있는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의 참조, 자원예약프로토콜 트래픽 프로파일(RSVP Traffic Profile) 클래스의 참조, 경로 설정시 기술한 이웃 노드가 직접 연결인지 간접 연결인지를 표시하는 경로 유형에 대한 정보를 정의한다.In addition, it includes whether the path indicating whether to store the label switching path (LSP)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network equipment, whether or not to use the Constrained Shortest Path First (CSPF) routing algorithm, reference to the path class, itself Defines information about the label-switching route tunnel (LSP Tunnel), the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RSVP Traffic Profile) class reference, and the type of route that indicates whether the neighboring node described when establishing the route is a direct or indirect connection. do.

도 5의 경로 클래스(509)는 라벨스위칭 경로(LSP)가 어떤 경로로 설정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경로를 구성하는 인터페이스 클래스의 참조 목록, 경로를 구성하는 인터페이스들의 아이피(IP) 주소 목록, 망 관리자에 의해 명시적으로 선택되었는지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표시하는경로 유형, 경로의 명칭 등에 관한 정보를 정의한다.The route class 509 of FIG. 5 includes information on which route the label switching route (LSP) is set to, a reference list of interface classes constituting the route, and an IP address list of interfaces constituting the route. It defines information about the path type, path name, etc., which indicates whether it has been explicitly selected by the network administrator or automatically by the network device.

도 5의 설정 경로 클래스(510)는 망 관리자가 유입과 유출 노드에 대한 정보만을 입력하고 나머지 경로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선택된 경우, 유입과 유출 인터페이스 클래스를 포함한 경로를 구성하는 모든 인터페이스 클래스의 참조 목록을 정의한다.In the configuration path class 510 of FIG. 5, when the network manager inputs only information on inflow and outflow nodes and the remaining paths are selected by the network equipment, a reference list of all interface classes constituting the path including inflow and outflow interface classes Define.

도 5의 노드 클래스(511)는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정의한 클래스로서, 노드 아이피(IP) 구성 클래스(512), 노드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구성 클래스(513), 노드 경계 게이트웨이 프로토콜(BGP, Border Gateway Protocol) 구성 클래스(514) 및 노드 개방형 최단경로 우선 구성 클래스(OSPF, Open Shortest Path First)(515)에 대한 참조 목록을 포함한다.The node class 511 of FIG. 5 is a class that defines general information about network equipment, and includes a node IP configuration class 512, a node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configuration class 513, and a node boundary gateway protocol ( It includes a list of references to the Border Gateway Protocol (BGP) configuration class 514 and the Open Shortest Path First configuration class (OSPF) 515.

또한, 네 가지 유형의 구성 클래스를 생성, 검색, 삭제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노드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노드 식별자 정보와 노드에 속해 있는 인터페이스 클래스의 참조 목록을 정의한다.It also provides functions to create, search, and delete four types of configuration classes. It defines node identifier information that can uniquely identify a node and a reference list of interface classes that belong to a node.

도 5의 인터페이스 클래스(516)는 하위의 네 가지 구성 클래스, 즉, 인터페이스 아이피(IP) 구성 클래스(517), 인터페이스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구성 클래스(518), 인터페이스 경계 게이트웨이 프로토콜(BGP) 구성 클래스(519) 및 인터페이스 개방형 최단경로 우선(OSPF) 구성 클래스(520)에 대한 참조 목록, 인터페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자신이 포함된 노드 클래스의 참조 정보 등을 포함하며, 네 가지 구성 클래스에 대한 생성, 검색, 삭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rface class 516 of FIG. 5 includes four lower configuration classes: interface IP (IP) configuration class 517, interface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configuration class 518, and interface boundary gateway protocol (BGP). The configuration class 519 and the interface Open Shortest Path First (OSPF) configuration class 520 include a list of references, an identifier that can uniquely identify the interface, and reference information for the node class that contains it. Create, search, and delete the configuration class.

도 6은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구성정보 클래스들을 관리하는 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apparatus for managing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configuration information classes.

도 6의 관리장치는 순방향 오류정정(FEC) 클래스, 자원클래스, 자원예약프로토콜 트래픽 프로파일(RSVP Traffic Profile) 클래스, 경로 클래스, 노드 클래스, 라벨스위칭 경로(LSP) 클래스,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 클래스, 트래픽 트렁크(TT) 클래스 인스턴스들을 생성, 변경, 삭제,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management apparatus of FIG. 6 includes a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class, a resource class, a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RSVP Traffic Profile) class, a path class, a node class, a label switching path (LSP) class, and a label switching path tunnel (LSP Tunnel). ), Create, modify, delete, and retrieve instances of class and traffic trunk (TT) classes.

관리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management device in detail as follows.

순방향 오류정정 관리자(FEC)(610)는 순방향 오류정정(FEC) 클래스 인스턴스를 생성하거나 삭제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며, 자신이 관리하는 순방향 오류정정(FEC)의 목록 및 목록의 길이 정보를 클라이언트(Client) 객체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 5에서 상술한 트래픽 트렁크(TT) 클래스,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 클래스, 라벨스위칭 경로(LSP) 클래스에 포함되는 순방향 오류정정(FEC) 클래스 인스턴스를 순방향 오류정정(FEC) 관리자 클래스가 관리함으로써 순방향 오류정정(FEC) 클래스 인스턴스의 재사용성 및 일관성을 보장한다.The forward error correction manager (FEC) 610 provides a function for creating or deleting a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class instance. The forward error correction manager (FEC) 610 provides a list of the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and the length information of the list. Client) Performs the function provided to the object. In addition, a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Manager includes a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class instance included in the traffic trunk (TT) class, the Label Switching Path Tunnel (LSP Tunnel) class, and the Label Switching Path (LSP) clas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Managed by classes ensures reusability and consistency of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class instances.

자원클래스 관리자(620)는 도 1에서 상술한 트래픽 트렁크(TT) 클래스,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 클래스, 라벨스위칭 경로(LSP) 클래스에 포함되는 자원클래스 인스턴스들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자원클래스의클래스 인스턴스의 재사용성 및 일관성을 보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resource class manager 620 provides a function of collectively managing resource class instances included in the traffic trunk (TT) class, the label switching path tunnel (LSP Tunnel) class, and the label switching path (LSP) clas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This ensures the reusability and consistency of class instances of resource classes.

자원예약프로토콜 트래픽 프로파일(RSVP Traffic Profile) 클래스 관리자(630)는 자원예약프로토콜 트래픽 프로파일(RSVP Traffic Profile) 클래스 인스턴스의 목록을 유지,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traffic profile (RSVP Traffic Profile) Class manager 630 performs a function of maintaining and managing a list of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traffic profile class instances.

경로 관리자(640)는 망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경로 클래스 인스턴스의 목록을 유지,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ath manager 640 maintains and manages a list of path class instances defined by the network user.

노드 관리자(650)는 노드 및 인터페이스 클래스 인스턴스의 생성, 변경, 삭제 기능을 제공하며 각각의 목록을 유지,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node manager 650 provides functions of creating, changing, and deleting node and interface class instances, and maintains and manages a list of each.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 관리자(660)는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 및 라벨스위칭 경로(LSP)의 생성, 변경, 삭제 기능을 제공하며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 클래스 인스턴스의 목록, 라벨스위칭 경로(LSP) 클래스 인스턴스의 목록을 유지하며 클라이언트 객체가 이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Label Switching Path Tunnel Manager (660) provides the ability to create, modify, and delete Label Switching Path Tunnels (LSP Tunnels) and Label Switching Paths (LSPs), and lists the Label Switching Path Tunnels (LSP Tunnel) class instances. It maintains a list of Label Switching Path (LSP) class instances and allows client objects to retrieve them.

트래픽 트렁크(TT) 관리자(670)는 트래픽 트렁크(TT) 클래스 인스턴스의 목록을 유지, 관리하며 트래픽 트렁크(TT)의 생성, 변경, 삭제 기능을 수행한다.The traffic trunk (TT) manager 670 maintains and manages a list of traffic trunk (TT) class instances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creating, modifying, and deleting a traffic trunk (TT).

도 7은 본 발명의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구성 정보 클래스와 관리장치간의 참조 및 종속 관계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ference and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configuration information class and a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서는 구성 클래스와 관리자간, 구성 클래스들 간의 참조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트래픽 트렁크(TT) 클래스와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 클래스의 관계(701)는 트래픽 부하 분담을 위해 형성되며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Tunnel) 클래스는 0 또는 1개의 트래픽 트렁크(TT) 클래스에 대한 참조를 갖는 반면 트래픽 트렁크(TT) 클래스는 1개 또는 그이상의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 클래스의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FIG. 7 illustrates a reference relationship between a configuration class and an administrator and between configuration cla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ffic trunk (TT) class and the Label Switching Path Tunnel (LSP Tunnel) class 701 is formed for traffic load sharing, and the Label Switching Path Tunnel (LSPTunnel) class is used for zero or one traffic trunk (TT) class. While having a reference, a traffic trunk (TT) class may contain a reference to one or more Label Switching Path Tunnel (LSP Tunnel) classes.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에 대한 라벨스위칭 경로(LSP) 클래스는 주 라벨스위칭 경로(LSP)의 관계(702)를 갖거나 보조 라벨스위칭 경로(LSP)의 관계(703)를 가질 수 있다.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과 라벨스위칭 경로(LSP) 클래스가 주 라벨스위칭 경로(LSP) 관계를 가질 때 쌍방은 반드시 하나의 참조만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보조 라벨스위칭(LSP) 경로 관계를 가질 때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 클래스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라벨스위칭 경로(LSP) 클래스에 대한 참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라벨스위칭 경로(LSP) 클래스는 1개의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LSP Tunnel) 클래스의 참조를 포함한다.The Label Switching Path (LSP) class for the Label Switching Path Tunnel (LSP Tunnel) may have a relationship 702 of the Primary Label Switching Path (LSP) or a Relationship 703 of the Secondary Label Switching Path (LSP). When a Label Switching Path Tunnel (LSP Tunnel) and a Label Switching Path (LSP) class have a main Label Switching Path (LSP) relationship, both may contain only one reference. On the other hand, when it has a secondary label switching (LSP) path relationship, the Label Switching Path Tunnel class can contain references to one or more Label Switching Path (LSP) classes, and the Label Switching Path (LSP) class. Contains a reference to one Label Switching Path Tunnel (LSP Tunnel) class.

도 7에서 라벨스위칭 경로(LSP) 클래스와 경로 클래스는 1 대 n의 관계를 가지며, 설정 경로 클래스의 인스턴스는 라벨스위칭 경로(LSP)가 네트워크 장비에 반영된 후에 생성된다. 이때 경로가 망 관리자에 의해 명시적으로 선택되었다면 경로 클래스 인스턴스와 설정경로 클래스 인스턴스는 동일한 정보를 갖게 되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된 경우 라벨스위칭 경로(LSP) 클래스는 설정경로 클래스 인스턴스에 대한 참조를 포함한다.In FIG. 7, the label switching path (LSP) class and the path class have a 1-n relationship, and an instance of the configuration path class is generated after the label switching path (LSP) is reflected in the network device. At this time, if the path is explicitly selected by the network manager, the path class instance and the configuration path class instance have the same information. If the path is automatically selected by the network device, the label switching path (LSP) class refers to the configuration path class instance. It includes.

도 8은 본 발명의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구성정보 클래스들을 관리하는 관리방법의 흐름도면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agement method of managing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configuration information cla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순방향 오류정정(FEC) 관리자는 특정 라벨스위칭 경로(LSP)를 통해 전달되는 아이피(IP) 패킷들을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순방향 오류정정(FEC) 클래스 인스턴스를 관리한다(810). 즉, 순방향 오류정정(FEC) 관리자는 순방향 오류정정(FEC) 클래스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순방향 오류정정(FEC) 클래스가 불필요한 경우 순방향 오류정정(FEC) 관리자는 순방향 오류정정(FEC) 클래스 인스턴스를 삭제하며, 생성된 순방향 오류정정(FEC) 클래스의 목록 및 목록의 길이 정보를 트래픽 트렁크(TT) 관리자와 라벨 스위칭 경로(LSP) 터널 관리자로 전달한다.First, a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manager manages a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class instance used to identify IP packets delivered over a specific label switching path (LSP) (810). That is, the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Manager creates a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class instance, and if the generated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class is unnecessary, the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Manager creates a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class instance. Deletes and forwards the list of generated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classes and the length information of the list to the traffic trunk (TT) manager and the label switching path (LSP) tunnel manager.

그리고, 트래픽 트렁크(TT) 관리자는 트래픽 분담을 위한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트래픽 트렁크(TT) 클래스 인스턴스를 관리한다(820). 즉, 트래픽 트렁크(TT) 관리자는 트래픽 트렁크(TT) 클래스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트래픽 트렁크(TT) 클래스 인스턴스의 값이 변경되거나 불필요한 경우 트래픽 트렁크(TT) 클래스 인스턴스의 값을 변경하거나 삭제한다.The traffic trunk (TT) manager manages a traffic trunk (TT) class instance consisting of a set of label switching path tunnels for traffic sharing (820). That is, the traffic trunk (TT) manager creates a traffic trunk (TT) class instance, and if the value of the generated traffic trunk (TT) class instance is changed or unnecessary, changes or deletes the value of the traffic trunk (TT) class instance.

라벨스위칭 경로(LSP) 터널 관리자는 주 라벨스위칭 경로(LSP)와 백업 라벨스위칭 경로(LSP)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라벨 스위칭 경로(LSP) 터널 클래스와 라벨스위칭 경로(LSP) 설정에 필요한 속성 정보를 정의한 라벨스위칭 경로(LSP) 클래스를 관리한다(830).The Label Switching Path (LSP) Tunnel Manager defines the Label Switching Path (LSP) tunnel class, which consists of a set of Primary Label Switching Path (LSP) and Backup Label Switching Path (LSP), and the attribute information required to set up the Label Switching Path (LSP). The label switching path (LSP) class is managed (830).

즉, 라벨스위칭 경로(LSP) 터널 관리자는 라벨스위칭 경로(LSP) 터널 클래스 및 라벨스위칭 경로(LSP) 클래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라벨스위칭 경로(LSP) 터널 클래스와 라벨 스위칭 경로(LSP) 클래스의 값이 변경되거나 불필요한 경우 이를 변경하거나 삭제하여 라벨스위칭 경로(LSP) 터널 클래스 인스턴스의 목록, 라벨스위칭 경로(LSP) 클래스 인스턴스의 목록을 유지시킨다.That is, the Label Switching Path (LSP) Tunnel Manager creates a Label Switching Path (LSP) tunnel class and a Label Switching Path (LSP) class, and generates a Label Switching Path (LSP) tunnel class and a Label Switching Path (LSP) class. If the value changes or is unnecessary, change or delete it to maintain a list of Label Switching Path (LSP) tunnel class instances and a list of Label Switching Path (LSP) class instances.

자원예약프로토콜(RSVP) 트래픽 프로파일 관리자는 상기 트래픽 트렁크(TT)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트래픽 트렁크(TT) 클래스와 상기 라벨 스위칭 경로(LSP) 터널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라벨 스위칭 경로(LSP) 터널 클래스 및 라벨 스위칭 경로(LSP) 클래스를 관리하고, 자원예약프로토콜(RSVP) 트래픽 프로파일 클래스 인스턴스의 목록을 유지, 관리한다(840).The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RSVP) traffic profile manager includes a traffic trunk (TT) class managed by the traffic trunk (TT) manager and a label switching path (LSP) tunnel class managed by the label switching path (LSP) tunnel manager; A label switching path (LSP) class is managed, and a list of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RSVP) traffic profile class instances is maintained and managed (840).

그리고, 경로 관리자는 상기 라벨 스위칭 경로(LSP) 클래스와 망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경로 클래스 인스턴스의 목록을 유지, 관리한다(850).The path manager maintains and manages the list of path class instances defined by the label switching path (LSP) class and the network user (850).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i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data us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rough various means.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씨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magnetic storage medium (for example, a ROM, a floppy disk, a hard disk, etc.), an optical reading medium (for example, a CD-ROM, DVD, etc.) and a carrier wave (for example, the Internet). Storage medium).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네트워크 장비로 구성된 망에서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트래픽 엔지니어링(TE) 기술을 이용하여 망을 구성하고자 할 때 이종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해 동일한 구성 정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복잡한 네트워크 장비를 다루어야 하는 망 관리자 입장에서 일관성 있는 정책의 수립 및 반영을 가능하게 하며, 작업량을 단축시키고 효율적으로 망을 관리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for heterogeneous network equipment when a network is configured by using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traffic engineering (TE) technology in a network composed of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network equipment. Configuration information can be used, which enables the establishment and reflection of consistent policies for network administrators who have to deal with complex network equipment, and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workload and efficiently managing the network.

또한 확장성 및 상호운용성을 고려한 객체지향 모델링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기능의 추가나 변경이 필요할 때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object-oriented modeling method considering scalability and interoperability, it is easy to cope with the need to add or change functions.

Claims (7)

특정 라벨스위칭 경로를 통해 전달되는 아이피 패킷들을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순방향 오류정정 클래스;A forward error correction class used to identify IP packets carried over a particular label switching path; 상기 라벨스위칭 경로에 할당되는 대역폭 자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자원예약프로토콜 트래픽 프로파일 클래스;A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traffic profile class storing bandwidth resource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label switching path; 트래픽 분담을 위한 상기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트래픽 트렁크 클래스;A traffic trunk class consisting of the set of label switching path tunnels for traffic sharing; 상기 라벨스위칭 경로 설정에 필요한 속성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라벨스위칭 경로 클래스;A label switching path class for storing attribute information necessary for setting the label switching path; 주 라벨스위칭 경로와 백업 라벨스위칭 경로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라벨 스위칭 경로 터널 클래스;A label switching path tunnel class consisting of a set of primary label switching paths and backup label switching paths; 상기 라벨스위칭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망 관리자가 지정한 경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로 클래스;A path class that stores path information designated by a network manager to set the label switching path; 망 관리자 또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된 경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설정 경로 클래스; 및A setting path class that stores path information automatically set by a network manager or a network device; And 망의 구성요소를 저장하고 있는 인터페이스 클래스를 포함하는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자료구조.A data structure used in a system that manages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network equipment, including interface classes that store network compone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트렁크 클래스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ffic trunk class, 하나 이상의 라벨 스위칭 경로 터널로 이루어져 있고, 각 라벨 스위칭 경로 터널은 라벨 스위칭 경로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자료구조.A data structure used in a system for mana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network device, characterized by one or more label switching path tunnels, each label switching path tunnel consisting of a set of label switching paths. 특정 라벨스위칭 경로를 통해 전달되는 아이피 패킷들을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순방향 오류정정 클래스 인스턴스를 생성하거나 삭제하고 자신이 관리하는 순방향 오류정정 클래스의 목록 및 목록의 길이 정보를 제공하는 순방향 오류정정 관리자;A forward error correction manager that creates or deletes a forward error correction class instance used to identify IP packets transmitted through a specific label switching path, and provides a list of forward error correction classes and length information of the list; 트래픽 분담을 위한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트래픽 트렁크 클래스 인스턴스를 생성, 변경, 삭제하고 트래픽 트렁크 인스턴스의 목록을 유지, 관리하는 트래픽 트렁크 관리자;A traffic trunk manager for creating, modifying, and deleting a traffic trunk class instance consisting of a set of label switching path tunnels for traffic sharing, and maintaining and managing a list of traffic trunk instances; 주 라벨스위칭 경로와 백업 라벨스위칭 경로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라벨 스위칭 경로 터널 클래스와 라벨스위칭 경로 설정에 필요한 속성 정보를 정의한 라벨스위칭 경로 클래스를 생성, 변경, 삭제하고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 클래스 인스턴스의 목록, 라벨스위칭 경로 클래스 인스턴스의 목록을 유지하며 클라이언트 객체가 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 관리자;Create, modify, and delete a label switching path tunnel class, which consists of a set of primary label switching paths and backup label switching paths, and the label switching path classes that define the attribute information required to set the label switching path, and list and label instances of the label switching path tunnel classes. A label switching path tunnel manager that maintains a list of switching path class instances and allows client objects to retrieve them; 상기 트래픽 트렁크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트래픽 트렁크 클래스와 상기 라벨 스위칭 경로 터널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라벨 스위칭 경로 터널 클래스 및 라벨 스위칭 경로 클래스를 관리하고, 자원예약프로토콜 트래픽 프로파일 클래스 인스턴스의 목록을 유지, 관리하는 자원예약프로토콜 트래픽 프로파일 관리자; 및Managing a traffic trunk class managed by the traffic trunk manager, a label switching path tunnel class and a label switching path class managed by the label switching path tunnel manager, and maintaining and managing a list of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traffic profile class instances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traffic profile manager; And 상기 라벨 스위칭 경로 클래스와 라벨스위칭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망 관리자가 지정한 경로 정보를 정의한 경로 클래스 인스턴스의 목록을 유지, 관리하는 경로 관리자를 포함하는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구성 정보 관리 장치.And a path manager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a list of path class instances defining path information specified by a network manager to set the label switching path class and the label switching path. (a) 특정 라벨스위칭 경로를 통해 전달되는 아이피 패킷들을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순방향 오류정정 클래스 인스턴스를 관리하는 단계;(a) managing a forward error correction class instance used to identify IP packets carried over a particular label switching path; (b) 트래픽 분담을 위한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트래픽 트렁크 클래스 인스턴스를 관리하는 단계;(b) managing a traffic trunk class instance consisting of a set of label switching path tunnels for traffic sharing; (c) 주 라벨스위칭 경로와 백업 라벨스위칭 경로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라벨 스위칭 경로 터널 클래스와 라벨스위칭 경로 설정에 필요한 속성 정보를 정의한 라벨스위칭 경로 클래스를 관리하는 단계;(c) managing a label switching path tunnel class consisting of a set of primary label switching paths and backup label switching paths and a label switching path class defining attribute information necessary for setting the label switching path; (d) 상기 트래픽 트렁크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트래픽 트렁크 클래스와 상기 라벨 스위칭 경로 터널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라벨 스위칭 경로 터널 클래스 및 라벨 스위칭 경로 클래스를 관리하고, 자원예약프로토콜 트래픽 프로파일 클래스 인스턴스의 목록을 유지, 관리하는 단계; 및(d) manage a traffic trunk class managed by the traffic trunk manager, a label switching path tunnel class and a label switching path class managed by the label switching path tunnel manager, and maintain a list of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traffic profile class instances Managing; And (e) 상기 라벨 스위칭 경로 클래스와 망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경로 클래스 인스턴스의 목록을 유지,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구성 정보 관리 방법.(e) maintaining and managing a list of the label switching path class and the path class instance defined by the network us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step (a) comprises: (a1) 순방향 오류정정 관리자는 순방향 오류정정 클래스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단계;(a1) the forward error correction manager creating a forward error correction class instance; (a2) 상기 (a1) 단계에서 생성된 순방향 오류정정 클래스가 불필요한 경우 순방향 오류정정 관리자는 순방향 오류정정 클래스 인스턴스를 삭제하는 단계; 및(a2) if the forward error correction class generated in step (a1) is unnecessary, the forward error correction manager deletes the forward error correction class instance; And (a3) 상기 (a1) 단계에서 생성된 순방향 오류정정 클래스의 목록 및 목록의길이 정보를 트래픽 트렁크 관리자와 라벨 스위칭 경로 터널 관리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구성정보 관리방법.(a3)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comprising: forwarding the list of forward error correction classes and the list length information generated in step (a1) to the traffic trunk manager and the label switching path tunnel manager. Wa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step (b) comprises: (b1) 트래픽 트렁크 관리자는 트래픽 트렁크 클래스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b1) the traffic trunk manager creating a traffic trunk class instance; And (b2) 상기 (b1) 단계에서 생성된 트래픽 트렁크 클래스 인스턴스의 값이 변경되거나 불필요한 경우 트래픽 트렁크 클래스 인스턴스의 값을 변경하거나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구성정보 관리방법.and (b2) changing or deleting the value of the traffic trunk class instance when the value of the traffic trunk class instance created or changed in step (b1) is unnecessar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step (c) comprises: (c1)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 관리자는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 클래스 및 라벨스위칭 경로 클래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c1) the label switching path tunnel manager generating a label switching path tunnel class and a label switching path class; And (c2) 상기 (c1) 단계에서 생성된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 클래스와 라벨 스위칭 경로 클래스의 값이 변경되거나 불필요한 경우 이를 변경하거나 삭제하여 라벨스위칭 경로 터널 클래스 인스턴스의 목록, 라벨스위칭 경로 클래스 인스턴스의 목록을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구성정보 관리방법.(c2) If the values of the label switching path tunnel class and the label switching path class created in step (c1) are changed or unnecessary, change or delete the list of the label switching path tunnel class instance and the list of label switching path class instance. And maintaining the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KR10-2002-0033476A 2002-06-15 2002-06-15 Data structure of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remote controlling the heterogeneous MPLS network and, apparatus, method thereof. KR1004418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476A KR100441891B1 (en) 2002-06-15 2002-06-15 Data structure of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remote controlling the heterogeneous MPLS network and, apparatus,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476A KR100441891B1 (en) 2002-06-15 2002-06-15 Data structure of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remote controlling the heterogeneous MPLS network and, apparatus,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869A KR20030095869A (en) 2003-12-24
KR100441891B1 true KR100441891B1 (en) 2004-07-27

Family

ID=3238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476A KR100441891B1 (en) 2002-06-15 2002-06-15 Data structure of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remote controlling the heterogeneous MPLS network and, apparatus,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189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684B1 (en) * 2002-12-13 2004-1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 Method and Server for Performing the Traffic Engineering Using Mock-experiment and Optimization in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Network
KR100656317B1 (en) * 2003-11-08 2006-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Label switching method using a ethernet frame and a labeled frame structure
CN101013995A (en) * 2007-02-12 2007-08-08 华为技术有限公司 Network node equipment, network system and tunnel establishment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645A (en) * 2000-06-21 2000-10-05 신해준 OAM system used by MPLS technique
KR20010065413A (en) * 1999-12-29 2001-07-11 윤종용 Mpls system and initialize method thereof
KR20010088047A (en) * 2000-03-10 2001-09-26 윤종용 Method for setting lsp in mpls system
WO2001097460A1 (en) * 2000-06-14 2001-12-20 Nortel Networks Ltd. Distributed label switching router
US20020071390A1 (en) * 2000-12-08 2002-06-13 Mike Reeves System and method for estabilishing a commucication path associated with an MPLS implementation on an ATM platfor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413A (en) * 1999-12-29 2001-07-11 윤종용 Mpls system and initialize method thereof
KR20010088047A (en) * 2000-03-10 2001-09-26 윤종용 Method for setting lsp in mpls system
WO2001097460A1 (en) * 2000-06-14 2001-12-20 Nortel Networks Ltd. Distributed label switching router
KR20000058645A (en) * 2000-06-21 2000-10-05 신해준 OAM system used by MPLS technique
US20020071390A1 (en) * 2000-12-08 2002-06-13 Mike Reeves System and method for estabilishing a commucication path associated with an MPLS implementation on an ATM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869A (en) 200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9540B1 (en) Software defined network controller
Mendiola et al. A survey on the contributions of software-defined networking to traffic engineering
US10412019B2 (en) Path computation element central controllers (PCECCs) for network services
US9143557B2 (en) Feedback loop for service engineered paths
JP5410998B2 (en) Software control plane for switches and routers
US9413634B2 (en) Dynamic end-to-end network path setup across multiple network layers with network service chaining
US708210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licy-enabled communications networks
US9178801B1 (en) Automated service discovery in computer networks
US11528190B2 (en) Configuration data migration for distributed micro service-based network applications
US95713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domain RSVP-TE LSP load balancing
US11695688B2 (en) Computing segment identifier lists for multipaths in a segment routing-enabled network
US11418428B2 (en) Recomputation of multipaths in a segment routing-enabled network
US11818032B2 (en) Bandwidth constraint for multipath segment routing
Bryskin et al. Policy-enabled path computation framework
CN115733791A (en) Optimization of multi-path networks supporting segmented routing
KR100441891B1 (en) Data structure of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remote controlling the heterogeneous MPLS network and, apparatus, method thereof.
Chen et al. Using policy-based MPLS management architecture to improve QoS on IP network
Berger et al. Network Working Group I. Bryskin Request for Comments: 5394 Adva Optical Category: Informational D. Papadimitriou Alcatel
Messier MPLS inter-domain protection using domain boundary local bypass tunnels
Grampín et al. Proposal of a Routing and Management Agent for MPLS networks
Cho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raffic Engineering Server for a Large-Scale MPLS-Based IP Network
Yong et al. Network Working Group N. So Internet-Draft A. Malis Intended status: Standards Track D. McDysan Expires: August 18, 2009 Veriz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