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196B1 - 지피알에스 망에서의 피디피 컨텍스트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지피알에스 망에서의 피디피 컨텍스트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196B1
KR100440196B1 KR10-2000-0080932A KR20000080932A KR100440196B1 KR 100440196 B1 KR100440196 B1 KR 100440196B1 KR 20000080932 A KR20000080932 A KR 20000080932A KR 100440196 B1 KR100440196 B1 KR 100440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pdp context
node
user traffic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1559A (ko
Inventor
홍진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0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196B1/ko
Publication of KR20020051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1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302Route determination based on requested QoS
    • H04L45/306Route determination based on the nature of the carried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04L25/49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 H04L25/497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by correlative coding, e.g. partial response coding or echo modulation coding transmitters and receivers for partial response systems
    • H04L25/4975Correlative coding using Tomlinson precoding, Harashima precoding, Trellis precoding or GP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Abstract

본 발명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망에서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노드와 GGSN(Gateway GSN) 노드 사이의 사용자 트래픽 송수신을 위한 터널 할당시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게 PDP 컨텍스트(Packet Data Protocol Context)를 설정하도록 한 GPRS 망에서의 PDP 컨텍스트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로 GTP-U(GPRS User plane) 프로토콜만을 사용하게 되는데, 해당 GTP-U 프로토콜은 비연결형 서비스를 지원하는 UDP(User Datagram Protocol) 프로토콜과 연동하여 동작함에 따라 UDP 헤더 크기인 8바이트 만큼의 오버헤드가 사용자 트래픽에 항상 부가되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GPRS 망에서 SGSN 노드와 GGSN 노드 사이의 터널 할당을 위한 PDP 컨텍스트 설정시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에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를 추가함으로써, 해당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로 GTP-U 프로토콜 이외에 오버헤드가 작은 GRE 프로토콜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로 GRE 프로토콜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PDP 컨텍스트를 설정함으로써, GTP-U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에 비해 신속한 사용자 데이터 처리가 가능해 진다.

Description

지피알에스 망에서의 피디피 컨텍스트 설정 방법{PDP Context Creation Method In GPRS Network}
본 발명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망에서의 PDP 컨텍스트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노드와 GGSN(Gateway GSN) 노드 사이의 사용자 트래픽 송수신을 위한 터널 할당시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게 PDP 컨텍스트(Packet Data Protocol Context)를 설정하도록 한 GPRS 망에서의 PDP 컨텍스트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데이터 네트워크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확장시키기 위해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라는 개념이 제안되었는데, 이러한 GPRS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전송되고 수신되는 정보에 비음성 정보를 추가할 수 있으며, 최초로 GPRS 네트워크와 기존의 인터넷 사이의 상호 연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로의 인터넷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현재 유선 인터넷 망에서 사용되는 FTP(File Transfer Protocol), 웹 브라우징, 채팅, 이메일, 텔넷 등의 서비스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GPRS 망은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제어기(30)를 통해 서비스 영역 내의 이동 단말기에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노드(10)와, 외부의 패킷 데이터 망인 인터넷과의 논리적 인터페이스를 담당하고, 라우팅 정보를 관리하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노드(20)가 존재하는데, 이를 위해 해당 SGSN 노드(10)와 GGSN 노드(20)는 두 노드 사이의 터널(Tunnel)을 할당하기 위해 PDP 컨텍스트(Packet Data Protocol Context)를 설정하고, 터널 종단점 식별자(Tunnelling EndpointIDentifier ; 이하, 'TEID'라 칭함)를 할당하여 PDP 컨텍스트를 구분한다.
이때, 종래의 터널 할당을 위한 PDP 컨텍스트 설정 기능은 권고안에 제시된 GTP(GPRS Tunnel Protocol) 프로토콜의 GTP-C(GTP Control plane)를 사용하여 수행되는데,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SGSN 노드(10)는 GGSN 노드(20)와 연결된 터널을 할당하기 위해 PDP 컨텍스트 설정을 요구하는 GTP-C 프로토콜 메시지인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 'Create PDP Context Request'를 GGSN 노드(20)로 송신하게 되는데, 이때, 해당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에는 GGSN 노드(20)가 SGSN 노드(10)의 사용자 트래픽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TEID를 포함시켜 송신하게 된다.
이에, 해당 GGSN 노드(20)는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SGSN 노드(10)의 사용자 트래픽용 TEID를 저장하고, 응답 메시지인 PDP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 'Create PDP Context Response'를 SGSN 노드(10)로 송신하게 되는데, 이때, 해당 PDP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에는 SGSN 노드(10)가 GGSN 노드(20)의 사용자 트래픽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TEID를 포함시켜 송신하게 되며, 이로써, SGSN 노드(10)는 PDP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GGSN 노드(20)의 사용자 트래픽용 TEID를 저장한다.
전술한 터널 할당 절차를 통해 SGSN 노드(10)와 GGSN 노드(20) 사이의 PDP 컨텍스트 설정이 완료되면, 해당 SGSN 노드(10)와 GGSN 노드(20) 사이에 트래픽 송수신이 가능해 지는데, 이때, 송수신되는 사용자 트래픽은 트래픽 프로토콜인 GTP-U(GPRS User plane)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된다.
즉, PDP 컨텍스트가 설정된 후,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한 사용자 트래픽이 기지국 제어기(30)를 통해 SGSN 노드(10)에 도착하면, 해당 SGSN 노드(10)는 기설정된 PDP 컨텍스트를 참조하여 GGSN 노드(20)와 설정된 터널을 통해 해당 사용자 트래픽을 송신하게 되고, 외부의 패킷 데이터 망인 인터넷 측에서 발생한 사용자 트래픽이 GGSN 노드(20)에 도착하면, 해당 GGSN 노드(20)는 기설정된 PDP 컨텍스트를 참조하여 SGSN 노드(10)와 설정된 터널을 통해 해당 사용자 트래픽을 송신하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의 GPRS 망에서 PDP 컨텍스트 설정 방법은 트래픽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없고, 반드시 GTP-U 프로토콜만을 사용하게 되는데, 해당 GTP-U 프로토콜은 UDP(User Datagram Protocol) 프로토콜과 연동하여 동작함에 따라 해당 GPRS 망 내에서 사용자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UDP 처리를 반드시 수행해야만 했다.
또한, 해당 UDP 프로토콜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프로토콜과는 다르게 비연결형 서비스를 지원함에 따라 순서 처리와 재전송 절차가 없고, 단순히 GTP-U 프로토콜을 캡슐화하는 것 이외에는 별다른 처리를 수행하지 않았으며, 첨부된 도면 도 2의 UDP 헤더 구조와 같이 UDP 헤더 크기인 8바이트 만큼의 오버헤드가 사용자 트래픽에 항상 부가되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전술한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PDP 컨텍스트를 GTP-U 프로토콜이 아닌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권고한 GRE(Generic Routing Encapsulation) 프로토콜로 대신 설정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었는데, 현재까지의 PDP 컨텍트 설정 방법은 반드시 GTP-U 프로토콜만을 사용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GPRS 망에서 SGSN 노드와 GGSN 노드 사이의 터널 할당을 위한 PDP 컨텍스트 설정시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에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를 추가함으로써, 해당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로 GTP-U 프로토콜 이외에 오버헤드가 작은 GRE 프로토콜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GPRS 망에서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로 GRE 프로토콜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PDP 컨텍스트를 설정함으로써, GTP-U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에 비해 신속한 사용자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GPRS 망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GPRS 망에서 사용되는 UDP 헤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GPRS 망에서 사용되는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의 정보 요소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GPRS 망에서 사용되는 PDP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의 정보 요소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GPRS 망에서 터널 할당을 위한 PDP 컨텍스트 설정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SGSN 노드 20 : GGSN 노드
30 : 기지국 제어기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SGSN 노드에서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에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을 선택하기 위한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를 포함시켜 GGSN 노드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GGSN 노드에서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의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 값을 검사하여 GTP-U 프로토콜을 사용하고자 하는지, GRE 프로토콜을 사용하고자 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GTP-U 프로토콜을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로 GTP-U 프로토콜을 선택한 후, 사용자 트래픽용 TEID 값을 저장하는 과정과; PDP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의 TEID 필드에 GGSN 노드의 사용자 트래픽을 식별할 수 있는 TEID 값을 할당하여 상기 SGSN 노드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지피알에스 망에서의 피디피 컨텍스트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상술한 지피알에스 망에서의 피디피 컨텍스트 설정 방법은, 상기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의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 값을 검사한 결과 GRE 프로토콜을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로 GRE 프로토콜을 선택한 후, 상기 SGSN 노드가 제시한 사용자 트래픽용 GRE 키 값을 저장하는 과정과; PDP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의 TEID 필드에 상기 SGSN 노드가 제시한 사용자 트래픽용 GRE 키 값을 기록하여 상기 SGSN 노드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지피알에스 망에서의 피디피 컨텍스트 설정 방법은, 상기 SGSN 노드가 PDP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GGSN 노드와의 PDP 컨텍스트 설정을 통해 선택된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GGSN 노드와 사용자 트래픽을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사용자 트래픽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PDP 컨텍스트 설정을 통해 선택된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이 GTP-U 프로토콜인 경우 SGSN 노드와 GGSN 노드가 상호 교환한 TEID 필드 값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식별하여 전송하고, 사용자트래픽 프로토콜이 GRE 프로토콜인 경우 SGSN 노드 또는 GGSN 노드가 협상한 GRE 키 값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식별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에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를 포함시켜 GGSN 노드로 송신하는 과정은,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에 따라 서로 다른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 값을 셋팅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의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 값에 GTP-U 프로토콜을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로 사용함을 나타내는 필드 값을 셋팅하는 경우 TEID 필드에 GTP-U 프로토콜의 사용자 트래픽용 TEID 값을 기록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의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 값에 GRE 프로토콜을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로 사용함을 나타내는 필드 값을 셋팅하는 경우 TEID 필드에 GRE 키 값을 기록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GPRS 망에서는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는 PDP 컨텍스트 설정 기능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이를 위한 기본적인 GPRS 망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GPRS 망 구조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터널 할당을 위한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및 응답 메시지의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는 첨부한 도면 도 3 및 도 4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도 3에 도시된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의 정보 요소에는 트래픽프로토콜을 선택하기 위한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Traffic Protocol)가 추가되는데, 예를 들어, 해당 트래픽 프로토콜로서 기존의 GTP-U 프로토콜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필드 값을 '1'로 셋팅하고, IETF에서 권고하는 GRE 프로토콜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필드 값을 '2'로 셋팅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PDP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의 정보 요소에는 새롭게 추가되는 필드없이 트래픽 프로토콜에 따라 TEID 필드에 서로 다른 값을 기록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의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 값을 검사하여, GTP-U 프로토콜 사용을 나타내는 '1'인 경우에는 TEID 필드에 GGSN 노드(20)의 사용자 트래픽용 TEID 값이 기록되고,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 값이 GRE 프로토콜 사용을 나타내는 '2'인 경우에는 TEID 필드에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 내에서 복사한 TEID 필드 값인 GRE 키 값이 기록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GPRS 망에서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는 PDP 컨텍스트 설정 기능인 터널 할당 절차를 첨부한 도면 도 5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SGSN 노드(10)는 GGSN 노드(20)와 연결된 터널을 할당하기 위해 PDP 컨텍스트 설정을 요구하는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Create PDP Context Request)에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을 선택하기 위한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를 포함시켜 GGSN 노드(20)로 송신하게 되는데(스텝 S51), 이때, 해당 SGSN 노드(10)는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로서 GTP-U 프로토콜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 값을 '1'로 셋팅하고, IETF에서 권고하는 GRE 프로토콜을 사용하고자하는 경우에는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 값을 '2'로 셋팅하여 송신하되, 해당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 값이 GTP-U 프로토콜 사용을 나타내는 '1'인 경우에는 TEID 필드(TEID for Data)에 GTP-U 프로토콜의 사용자 트래픽용 TEID 값을 기록하고,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 값이 GRE 프로토콜 사용을 나타내는 '2'인 경우에는 TEID 필드에 GRE 키(Key) 값을 기록하여 GGSN 노드(20)로 송신하게 된다.
이에, 해당 GGSN 노드(20)는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스텝 S52), 해당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의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 값을 검사하여 GTP-U 프로토콜을 사용하고자 하는지, GRE 프로토콜을 사용하고자 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스텝 S53).
이때,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의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 값이 GTP-U 프로토콜을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즉,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 값이 '1'인 경우 해당 GGSN 노드(20)는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로 GTP-U 프로토콜을 선택한 후(스텝 S54), SGSN 노드(10)의 사용자 트래픽용 TEID 값을 저장하고, 응답 메시지인 PDP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Create PDP Context Response)의 TEID 필드에 SGSN 노드(10)가 자신(즉, GGSN 노드)의 사용자 트래픽을 식별할 수 있는 TEID 값을 할당하여 SGSN 노드(10)로 송신하게 된다(스텝 S55).
그런데, 스텝 S53에서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의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 값을 검사한 결과 GRE 프로토콜을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즉,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 값이 '2'인 경우 해당 GGSN 노드(20)는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로 GRE 프로토콜을 선택한 후(스텝 S56), SGSN 노드(10)의 사용자 트래픽용GRE 키 값을 저장하고, 응답 메시지인 PDP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의 TEID 필드에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 내의 TEID 필드에서 복사한 GRE 키 값(즉, SGSN 노드가 제시한 사용자 트래픽용 GRE 키 값)을 기록하여 SGSN 노드(10)로 송신하게 된다(스텝 S57).
한편, SGSN 노드(10)가 GGSN 노드(20)로부터 PDP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스텝 S58), 해당되는 PDP 컨텍스트 설정 절차가 종료되는데, 이때, 해당 SGSN 노드(10)는 해당 PDP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의 코즈(cause) 필드를 분석하여 필드 값이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에 대해 인증된 요구 인증 값인 경우 GGSN 노드(20)와의 PDP 컨텍스트 설정을 통해 선택된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을 구동하여 GGSN 노드(20)와 사용자 트래픽을 전송하게 된다.
즉,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로 GTP-U 프로토콜이 선택된 경우에는 SGSN 노드(10)와 GGSN 노드(20)가 상호 교환한 TEID 필드 값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식별하여 전송하게 되고,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로 GRE 프로토콜이 선택된 경우에는 SGSN 노드(10) 또는 GGSN 노드(20)가 PDP 컨텍스트 설정 절차를 통해 협상된 GRE 키 값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식별하여 전송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GPRS 망에서는 SGSN 노드(10)와 GGSN 노드(20) 사이의 터널 할당을 위한 PDP 컨텍스트 설정시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에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를 추가하여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로 GTP-U 프로토콜 이외에 오버헤드가 작은 GRE 프로토콜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보다신속한 사용자 데이터 처리가 가능해 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GPRS 망에서 SGSN 노드와 GGSN 노드 사이의 터널 할당을 위한 PDP 컨텍스트 설정시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에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를 추가함으로써, 해당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로 GTP-U 프로토콜 이외에 오버헤드가 작은 GRE 프로토콜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GPRS 망에서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로 GRE 프로토콜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PDP 컨텍스트를 설정함으로써, GTP-U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에 비해 신속한 사용자 데이터 처리가 가능해 진다.

Claims (7)

  1. SGSN 노드에서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에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을 선택하기 위한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를 포함시켜 GGSN 노드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GGSN 노드에서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의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 값을 검사하여 GTP-U 프로토콜을 사용하고자 하는지, GRE 프로토콜을 사용하고자 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GTP-U 프로토콜을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로 GTP-U 프로토콜을 선택한 후, 사용자 트래픽용 TEID 값을 저장하는 과정과;
    PDP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의 TEID 필드에 GGSN 노드의 사용자 트래픽을 식별할 수 있는 TEID 값을 할당하여 상기 SGSN 노드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알에스 망에서의 피디피 컨텍스트 설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의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 값을 검사한 결과 GRE 프로토콜을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로 GRE 프로토콜을 선택한 후, 상기 SGSN 노드가 제시한 사용자 트래픽용 GRE 키 값을 저장하는 과정과;
    PDP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의 TEID 필드에 상기 SGSN 노드가 제시한 사용자 트래픽용 GRE 키 값을 기록하여 상기 SGSN 노드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알에스 망에서의 피디피 컨텍스트 설정 방법.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SGSN 노드가 PDP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GGSN 노드와의 PDP 컨텍스트 설정을 통해 선택된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GGSN 노드와 사용자 트래픽을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알에스 망에서의 피디피 컨텍스트 설정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트래픽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PDP 컨텍스트 설정을 통해 선택된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이 GTP-U 프로토콜인 경우 SGSN 노드와 GGSN 노드가 상호 교환한 TEID 필드 값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식별하여 전송하고,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이 GRE 프로토콜인 경우 SGSN 노드 또는 GGSN 노드가 협상한 GRE 키 값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식별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알에스 망에서의 피디피 컨텍스트 설정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에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를 포함시켜 GGSN 노드로 송신하는 과정은,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에 따라 서로 다른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 값을 셋팅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알에스 망에서의 피디피 컨텍스트 설정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의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 값에 GTP-U 프로토콜을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로 사용함을 나타내는 필드 값을 셋팅하는 경우 TEID 필드에 GTP-U 프로토콜의 사용자 트래픽용 TEID 값을 기록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알에스 망에서의 피디피 컨텍스트 설정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PDP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의 트래픽 프로토콜 필드 값에 GRE 프로토콜을 사용자 트래픽 프로토콜로 사용함을 나타내는 필드 값을 셋팅하는 경우 TEID 필드에 GRE 키 값을 기록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알에스 망에서의 피디피 컨텍스트 설정 방법.
KR10-2000-0080932A 2000-12-22 2000-12-22 지피알에스 망에서의 피디피 컨텍스트 설정 방법 KR100440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932A KR100440196B1 (ko) 2000-12-22 2000-12-22 지피알에스 망에서의 피디피 컨텍스트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932A KR100440196B1 (ko) 2000-12-22 2000-12-22 지피알에스 망에서의 피디피 컨텍스트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559A KR20020051559A (ko) 2002-06-29
KR100440196B1 true KR100440196B1 (ko) 2004-07-14

Family

ID=27685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932A KR100440196B1 (ko) 2000-12-22 2000-12-22 지피알에스 망에서의 피디피 컨텍스트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01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313B1 (ko) * 2001-06-01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패킷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에서 터널을 감시하는 방법
KR100888110B1 (ko) * 2002-12-30 2009-03-11 엘지노텔 주식회사 Pdp 컨텍스트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US7602753B2 (en) 2003-03-12 2009-10-13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ing GPRS tunnel protocol resource
CN1283055C (zh) * 2003-08-15 2006-11-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对创建分组数据协议上下文请求的处理方法
KR100692199B1 (ko) * 2005-06-08 2007-03-12 (주) 엘지텔레콤 CDMA 2000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에 호 추적을 위한GRE Key 생성 방법
KR100837704B1 (ko) * 2006-09-29 2008-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진화된 umts 망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CN106792664B (zh) * 2016-12-09 2020-03-31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一种生成动态gtp隧道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559A (ko) 200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0511B2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EP1156626B1 (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erminal equipment and packet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P1404143B1 (en) Handover of a wireless terminal
JP4638539B2 (ja) 通信デバイスを設定する方法
KR100432311B1 (ko) 다중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의 지피알에스-가입자 선택 방법 및 장치
TW548916B (en) IP address allocation for mobile terminals
US20080137615A1 (en) METHOD OF SETTING L3 HANDOVER PATH GUARANTEEING FLOW-BASED QoS IN MOBILE IPv6 NETWORK
KR100620713B1 (ko) 패킷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동통신 시스템
EP1579713A1 (en) Connection establishment for pdp contexts
KR20050103065A (ko) Umts 망에서의 통합된 sgsn 및 ggsn에서의터널 설정 방법 및 장치
USRE44243E1 (en) Method for separating and processing signal and bearer in all IP radio access network
US7299030B2 (en) System and method of charging for user traffic except signal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9090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데이터 프로토콜에 따른 vpn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440196B1 (ko) 지피알에스 망에서의 피디피 컨텍스트 설정 방법
KR100399576B1 (ko) 차세대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단순한 아이피와 이동성 아이피 서비스 지원시스템 및 방법
KR100447197B1 (ko) 패킷 관문교환기에서 apn 라우팅 제어방법
KR100636267B1 (ko) Umts 네트워크에서의 gtp 터널 관리 방법
CN1720695B (zh) 隧道化数据分组传送方法、移动节点、网关节点和隧道化节点
KR100446638B1 (ko) 다중 패킷 호 지원이 가능한 패킷 단말기 및 이 패킷단말기에서의 다중 패킷 호 지원 방법
KR20050122997A (ko) Igsn과 다른 네트워크의 sgsn 및 ggsn과의 방법
JP4093265B2 (ja) 通信システム
KR20030055775A (ko) 시그널 및 트래픽 어드레스 분리에 의한 통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