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828B1 - 플로우 스위치 - Google Patents

플로우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828B1
KR100435828B1 KR10-2002-0008809A KR20020008809A KR100435828B1 KR 100435828 B1 KR100435828 B1 KR 100435828B1 KR 20020008809 A KR20020008809 A KR 20020008809A KR 100435828 B1 KR100435828 B1 KR 100435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ert gas
operating
air
flow switch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9304A (ko
Inventor
이승만
Original Assignee
이승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만 filed Critical 이승만
Priority to KR10-2002-0008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828B1/ko
Publication of KR20030069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8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2036/0086Movable or fixed contacts formed by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dicating Or Recording The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나 불활성 가스 등의 공급 및 배출에 따라 작동되게 되는 플로우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나 불활성 가스의 공급 및 배출로 몸체내에 구비된 작동부재가 왕복운동하여 작동부재의 자석이 접점을 온오프시켜 리드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원활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플로우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플로우 스위치(100)는 에어나 불활성 가스가 공급 및 배출되게 되는 흡ㆍ배기공(11,12)과 작동부(14) 및 안착부(15)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배기공(12)과 작동부(14)에 연통되게 형성된 관통홀(13)과, 상기 작동부(14)내에 설치되어 왕복운동하게 되는 자석(21)이 구비된 작동부재(20), 및 상기 작동부재(20) 측부에 설치된 팽창스프링(30)과, 상기 안착부(15)에 형성되어 작동부재(20)의 왕복운동에 따라 온/오프되게 되는 접점(51)이 구비된 리드스위치(50)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로우 스위치{Flow switch}
본 발명은 에어나 불활성 가스 등의 공급 및 배출에 따라 작동되게 되는 플로우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나 불활성 가스의 공급 및 배출로 몸체내에 구비된 작동부재가 왕복운동하여 작동부재의 자석이 접점을 온오프시켜 리드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원활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플로우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로우 스위치는 물이나 기름 등과 같은 각종 유체의 유입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는 소정의 탱크에 저장되는 유체의 수위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플로우의 높이에 따라 온/오프 상태로 작동되는 전기스위치를 설치하고, 이 전기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탱크에 유체를 공급하는 파이프에 설치된 밸브를 개폐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플로우 스위치는 탱크내에 플로우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구비해야 함은 물론이고, 이 플로우의 이동에 따라 전기스위치가 작동되도록 전기스위치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플로우 스위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결점이 있다.
또한, 플로우 스위치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원을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이 없는 경우에는 플로우 스위치를 포함하는 설비를 운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어나 불활성 가스의 공급 및 배출에 따라 자동으로 리드스위치가 온/오프됨으로써 간편한 구조를 이룰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안정적인 동작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로우 스위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어나 불활성 가스가 공급 및 배출되게 되는 흡ㆍ배기공과 작동부 및 안착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배기공과 작동부에 연통되게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작동부내에 설치되어 왕복운동하게 되는 자석이 구비된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 측부에 설치된 팽창스프링과, 상기 안착부에 형성되어 작동부재의 왕복운동에 따라 온/오프되게 되는 접점이 구비된 리드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스위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절개사시도
도 2a,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흡기공
(12) : 배기공 (13) : 관통홀
(14) : 작동부 (15) : 안착부
(20) : 작동부재 (21) : 자석
(30) : 팽창스프링 (40) : 씰링볼트
(41) : 오-링 (50) : 리드스위치
(51) : 접점 (52) : 리드선
(60) : 고정볼트 (100) : 플로우 스위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절개사시도,
도 2a,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플로우 스위치(100)는 전면부에 에어나 불활성 가스를 공급 및 배출시키게 되는 흡기공(11)과 배기공(12)이 형성되어지고 상단부에 각각 흡ㆍ배기공(11,12)이 관통되어지게 되는 작동부(14) 및 안착부(15)가 형성되어진몸체(10)와, 상기 배기공(12)과 작동부(14)에 연통되어진 관통홀(13)과, 상기 작동부(14)내에 설치되어 에어나 불활성 가스의 공급 및 배출에 따라 왕복운동하게 되는 작동부재(20)와, 상기 안착부(15)에 설치되어 작동부재(20)의 작동으로 온/오프되게 되는 리드스위치(50)로 구성되어진 것이다.
상기, 작동부재(20)는 리드스위치(50)에 동작시키게 되는 자석(21)이 구비되어진 것이다.
상기, 작동부(14)에 작동부재(20)의 이탈 및 에어나 불활성 가스의 유출을 방지하게 되는 오-링(41)이 구비된 씰링볼트(40)가 체결되어진 것이다.
상기, 작동부재(20)와 씰링볼트(40) 사이에 작동부재(20)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게 팽창스프링(30)이 구비되어진 것이다.
상기, 리드스위치(50)는 중앙부에 자석(21)의 자력에 의해 리드스위치(50)를 접지시키게 되는 접점(51)이 형성되어지고 측부에 리드선(52)이 구비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착부(15)에 리드스위치(50)를 고정시키게 되는 고정볼트(60)가 체결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의 플로우 스위치(100)는 첨부된 도면 도 2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흡기공(11)을 통해 작동부(14)내로 에어나 불활성 가스가 공급되게 되면 압력에 의해 도 2b 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20)가 일측으로 밀리게 되고 이때, 상기 관통홀(13)로 에어나 불활성 가스가 유입된 후 배기공(12)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상기, 작동부(14)내에 유입된 에어나 불활성 가스가 관통홀(13)로 배출됨에 따라 팽창스프링(30)의 탄발력에 의해 작동부재(20)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기공(11)으로 에어나 불활성 가스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의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작동부재(20)가 작동부(14)내에서 양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되면서 작동부재(20)의 자석(21)이 리드스위치(50)에 형성된 접점(51)을 온/오프시키게 되어 리드스위치(50)를 동작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어나 불활성 가스 등의 공급 및 배출에 따라 작동부내에 설치된 작동부재가 작동부에서 양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작동부재에 구비된 자석의 자력에 의해 리드스위치를 온/오프시킴으로써 연속적으로 자동 동작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 및 원활하고 정확한 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신뢰성과 작업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전면부에 에어나 불활성 가스를 공급 및 배출시키게 되는 흡기공(11)과 배기공(12)이 형성되어지고 상단부에 각각 흡ㆍ배기공(11,12)이 관통되어지게 되는 작동부(14) 및 안착부(15)가 형성되어진 몸체(10)와,
    상기, 배기공(12)과 작동부(14)에 연통되어진 관통홀(13)과,
    상기, 작동부(14)내에 설치되어 에어나 불활성 가스의 공급 및 배출에 따라 왕복운동하게 되는 자석(21)이 구비되어진 작동부재(20)와,
    상기, 작동부(14)에 체결되어 작동부재(20)의 이탈 및 에어나 불활성 가스의 유출을 방지하게 되는 오-링(41)이 구비된 씰링볼트(40)와,
    상기, 작동부재(20)와 씰링볼트(40) 사이에 구비되어 작동부(14)내에서 작동부재(20)의 왕복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팽창스프링(30)과,
    상기 안착부(15)에 설치되어 작동부재(20)의 작동으로 온/오프되어지게 중앙부에 상기 자석(21)의 자력에 의해 접지되어지는 접점(51)이 형성되고 측부에 리드선(52)이 구비된 리드스위치(50), 및 상기 안착부(15)에 체결되어 리드스위치(50)를 고정시키게 되는 고정볼트(60)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스위치.
KR10-2002-0008809A 2002-02-19 2002-02-19 플로우 스위치 KR100435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809A KR100435828B1 (ko) 2002-02-19 2002-02-19 플로우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809A KR100435828B1 (ko) 2002-02-19 2002-02-19 플로우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304A KR20030069304A (ko) 2003-08-27
KR100435828B1 true KR100435828B1 (ko) 2004-06-12

Family

ID=32221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809A KR100435828B1 (ko) 2002-02-19 2002-02-19 플로우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8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430B1 (ko) * 2005-07-12 2007-01-12 한기벽 플로우스위치
KR102401599B1 (ko) 2021-01-04 2022-05-25 주식회사 한성엠에스 솔레노이드밸브에 부착되는 플로우센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9787A (ja) * 1982-08-11 1984-02-17 Bautetsuku Kogyo Kk 流体配管用自動スイツチ機構
JPS646764A (en) * 1987-06-27 1989-01-11 Taiyo Valve Seisakusho Kk Flow switch
JPH03175363A (ja) * 1989-12-04 1991-07-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ロースイッチ
JPH07294542A (ja) * 1994-04-28 1995-11-10 Nikomu Sokki Kk フラッパー式フロースイッチ
JPH08203400A (ja) * 1995-01-27 1996-08-09 Saginomiya Seisakusho Inc フロースイッチ
JPH11111131A (ja) * 1997-10-03 1999-04-23 Tokyo Keiso Co Ltd フロー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9787A (ja) * 1982-08-11 1984-02-17 Bautetsuku Kogyo Kk 流体配管用自動スイツチ機構
JPS646764A (en) * 1987-06-27 1989-01-11 Taiyo Valve Seisakusho Kk Flow switch
JPH03175363A (ja) * 1989-12-04 1991-07-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ロースイッチ
JPH07294542A (ja) * 1994-04-28 1995-11-10 Nikomu Sokki Kk フラッパー式フロースイッチ
JPH08203400A (ja) * 1995-01-27 1996-08-09 Saginomiya Seisakusho Inc フロースイッチ
JPH11111131A (ja) * 1997-10-03 1999-04-23 Tokyo Keiso Co Ltd フロースイッ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430B1 (ko) * 2005-07-12 2007-01-12 한기벽 플로우스위치
KR102401599B1 (ko) 2021-01-04 2022-05-25 주식회사 한성엠에스 솔레노이드밸브에 부착되는 플로우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304A (ko) 200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56071A1 (en) Shower head assembly
JP2010523897A (ja) 磁気的に順序付けられた空気圧モータ
DE60025329D1 (de) Überlaufvermeidungs-, entlüftungs- und überrollventil
WO2001093390A3 (en) Float switch activation assembly
BR0309859A (pt) Válvula autovedante com dispositivo eletromecânico para acionar a válvula
US10786822B2 (en) Thin shower head and waterway switching device
DK1380352T3 (da) Dispenserpumpe
KR100435828B1 (ko) 플로우 스위치
US7718907B2 (en) Combination pressure switch
JPH05504922A (ja) 電気的ウインドスクリーン―ウオッシャーポンプのための二重ダイアフラム耐漏洩シール装置
DE60228689D1 (de) Fluidspritzvorrichtung
EP1910679A4 (en) ALTERNATIVE PISTON PUMP AND AIR VALVE, RELAXATION AND MUSHROOMS
JP7341650B2 (ja) ラッチ式空気制御バルブ
CN110486524B (zh) 通过机械力传递实现压力调节的电磁阀
WO2007102193A1 (ja) 吐水装置
US8044310B2 (en) Combination pressure switch
NO20031311L (no) Vannkran
US6974114B2 (en) Double valve flusher
CN113152610A (zh) 一种手控磁吸开闭式控制器
KR101374936B1 (ko) 볼밸브
EP2466176A1 (en) Switch device for water conduit valve
JPH0735252A (ja) 竪型チェッキ弁
KR0177368B1 (ko) 펌프의 콘트롤 밸브장치
KR200167888Y1 (ko) 에어 건의 밸브 구조
KR100217055B1 (ko) 전자펌프 에어배출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