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4064B1 - 정보기기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동기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기기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동기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4064B1
KR100434064B1 KR10-2001-0079002A KR20010079002A KR100434064B1 KR 100434064 B1 KR100434064 B1 KR 100434064B1 KR 20010079002 A KR20010079002 A KR 20010079002A KR 100434064 B1 KR100434064 B1 KR 100434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system
data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manag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8947A (ko
Inventor
안영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9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064B1/ko
Publication of KR20030048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8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0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기기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동기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각 정보기기들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고, 일대일 연결을 통해 두 정보기기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개인이 소유한 정보기기의 수가 늘어날 수록 작업시간이 지연됨과 아울러 작업이 번거로워 사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작업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데이터를 저장하며, 각각 고유의 IP주소를 부여받아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복수의 정보기기와; 상기 정보기기의 IP주소를 저장하여, 접속된 정보기기의 IP주소를 확인함과 아울러 그 정보기기와 동기화되어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교환하고, 저장하는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로 구성하여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를 두고, 그 서버에 업데이트되는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데이터를 저장해 두어, 인터넷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의 정보기기의 데이터를 동기화시킴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다수의 정보화기기의 데이터를 동기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최근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데이터가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각 정보기기의 데이터가 손실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복원할 수 있게 되어 데이터 관리의 안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보기기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동기화 장치 및 방법{SYNCHRONIZATION APPARATUS FOR PERSONAL INFOMATION MANAGEMENT SYSTEM BETWEEN FROM INFORMATION TERMINALS AND SYNCHRONIZ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정보기기들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동기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을 통해 다수의 정보기기들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을 동기화하여 용이하게 개인 소유의 정보기기들을 동기화시킬 수 있는 정보기기들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동기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데스크탑 컴퓨터와 노트북 컴퓨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1인 1PC 시대를 넘어 개인정보단말기(PDA) 등의 정보기기들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휴대용 전화또한 인터넷 접속기능이 강화되면서 본래의 목적인 전화통화 뿐만 아니라 정보기기로서의 효용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각 기기들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서는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에 인터페이스를 마련하고, 기타 다른 정보기기들을 연결하여 각종 데이터 및 정보를 동기화하고 있으며, 이는 개인의 정보화 기기의 수 또는 사용의 빈도가 증가할 수록 불편함이 발생한다.
상기 정보기기들 간에 개인정보 관리시스템(PIMS)을 동기화하기 위해서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각 정보기기들을 연결함과 아울러 액티브싱크(ACTIVESYNC)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데이터 및 설정된 폴더에 대한 동기화를 수행하고 있다.
이때, 다수의 정보기기들을 동시에 연결하여 동기화할 수 없으며, 두 정보기기를 유에스비(USB) 데이터라인 또는 시리얼라인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동기화한다.
만약 사용자가 업무용 데스크탑 컴퓨터와 개인용 데스크탑 컴퓨터를 기타 휴대용 정보기기와 동기화를 시키고자한다면, 직장과 집에 동기화 수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축해야 하며, 그 동기화 회수도 늘어나 사용이 불편해진다.
이는 개인의 정보기기의 수가 늘어날 수록 심화되며, 그 작업시간의 지연 및 사용효율의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정보기기들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동기화 방법은 각 정보기기들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고, 일대일 연결을 통해 두 정보기기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개인이 소유한 정보기기의 수가 늘어날 수록 작업시간이 지연됨과 아울러 작업이 번거로워 사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개인이 소유한 정보기기들을 직접연결하지 않고도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를 통해 모든 정보기기들의 데이터를 동기화 할 수 있는 정보기기들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동기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 정보기기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동기화 장치의 일실시예도..
도2는 도1의 신호 흐름도.
도3은 도1의 동작 순서도.
도4는 본 발명 정보기기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동기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도.
도5는 도4의 신호 흐름도.
도6은 도4의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4:정보기기 5: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
상기와 같은 목적은 사용자의 작업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데이터를 저장하며, 각각 고유의 IP주소를 부여받아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복수의 정보기기와; 상기 정보기기의 IP주소를 저장하여, 접속된 정보기기의 IP주소를 확인함과 아울러 그 정보기기와 동기화되어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교환하고, 저장하는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 정보기기들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동기화 장치의 일실시예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넷이 가능하며, 각각 부여된 IP주소를 가지는 다수의 정보기기(1~4)와; 상기 정보기기(1~4)들의 IP주소를 저장하여 각 정보기기의 인터넷 접속을 인식함과 아울러 각 개인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을 저장하여 인터넷에 접속된 정보기기(1~4)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을 동기화 시키는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5)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상기 도1의 구성에서 데이터의 흐름을 보인 모식도이고, 도3은 도1의 동작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인이 소유하는 모든 정보기기(데스크탑 컴퓨터, 개인정보단말기, 휴대전화, 노트북 컴퓨터 등)에 IP주소를 부여한다.
상기 IP주소는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5)에 저장되어, 각 정보기기(1~4)가 인터넷에 연결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하나의 정보기기(2)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데이터를 변경한 후, 그 정보기기(2)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상기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5)에 접속한 후,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데이터의 동기화를 요청한다.
상기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데이터의 동기화 요청을 받은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5)는 그 요청이 적법한 사용자의 요청인지 판단하여 적법한 사용자가 아니면 동기화 요청을 거부하고, 적법한 사용자이면 그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데이터를서버에 저장한다.
이때,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5)는 각 정보기기(1~4)에 내장된 액티브싱크 프로그램을 사용하며, 상기 개인정보 관리시스템은 전화번호부, 작업데이터, 주소록 등 모든 정보데이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업데이트된 내용은 다른 정보기기(1,3,4)에는 업데이트 되지 않은 것이며, 다른 정보기기(1,3,4)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을 업데이트 시키기 위해서는 각 정보기기(1,3,4)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5)에 접속하고, 동기화를 요청한다.
상기의 동기화 요청이 적법한 사용자인지, 그 IP주소를 확인한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5)는 적법한 사용자인 경우 각 정보기기(1,3,4)의 데이터와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업데이트된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데이터를 각 정보기기(1,3,4)에 전달하여 그 정보기기(1,3,4)에 저장된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데이터를 업데이트시킨다.
만약, 상기 정보기기(1)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의 데이터가 더 최근의 것이면, 상기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5)는 그 데이터를 저장함과 아울러 다른 정보기기(2~4)가 접속하였을때 각 정보기기(2~4)의 데이터를 갱신시킨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용이하게 다수의 정보기기(1~4)의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정보기기(1~4)를 사용하여 동기화 요청을 하는 수동 동기화와는 다르게 정보기기(1~4)가 접속되면, 각 정보기기(1~4)의 IP를 확인하여 자동으로 정보기기(1~4)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데이터를 업데이트 시킬 수 있다.
즉,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5)는 등록되어 있는 IP의 정보기기가 접속되었는지를 감시하고 있으며, 접속되면 자동으로 정보기기의 데이터를 검사하여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으로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데이터를 업데이트 시킬 수 있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1에서는 모든 정보기기(1~4)가 인터넷을 통해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5)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동기화하였지만, 일부의 정보기기(2,3)는 인터넷에 직접연결하지 않고,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정보기기(1,4)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동기화하며, 상기 정보기기(1,4)만 IP를 부여받아 인터넷을 통해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5)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동기화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는 도4의 신호흐름도이고, 도6은 도4의 동작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일부의 정보기기(1)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그 정보기기에 저장된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데이터를 변경하여 업데이트 한다.
그 다음, 상기 정보기기(1)를 사용하여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5)에 접속하고, 동기화를 요청한다.
상기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5)는 그 정보기기(1)의 IP를 확인하여 적법한 것이면, 상기 정보기기(1)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 다음, 다른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정보기기(4)가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5)에 접속되면, 그 IP를 확인하여 적법한 것이면 상기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5)는 업데이트된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데이터를 그 정보기기(4)에 전달하여 업데이트 시킨다.
상기의 과정은 도2와 도3에 각각 나타낸 방식과 동일한 것이며, 인터넷에 접속되지 않는 다른 정보기기(2,3)는 상기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정보기기(1,4)에 USB라인 또는 직렬라인을 통해 직접연결하여 데이터를 동기화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보다 유연성있게 각 정보기기(1~4)들의 데이터를 동기화 할 수 있게된다.
또한, 최근에 업데이트된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데이터는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5)에 저장되어 있어, 사용자의 실수 또는 컴퓨터 바이러스 등에 의한 영향으로 각 정보기기(1~4)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데이터가 삭제되는 경우에도 원래의 데이터를 용이하게 복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데이터 관리의 안정성이 증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정보기기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동기화 장치 및 방법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를 두고, 그 서버에 업데이트되는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데이터를 저장해 두어, 인터넷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의 정보기기의 데이터를 동기화시킴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다수의 정보화기기의 데이터를 동기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최근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데이터가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각 정보기기의 데이터가 손실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복원할 수 있게 되어 데이터 관리의 안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사용자의 작업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데이터를 저장하며, 각각 고유의 IP주소를 부여받아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복수의 정보기기와; 상기 정보기기의 IP주소를 저장하여, 접속된 정보기기의 IP주소를 확인함과 아울러 그 정보기기와 동기화되어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교환하고, 저장하는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기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동기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보기기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정보기기에 유선으로 연결하여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복수의 정보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기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동기화 장치.
  3. 사용자가 정보기기를 사용하여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에 접속하는 접속단계와; 상기 정보기기를 사용하여 상기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에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데이터의 동기화를 요청하는 동기화요청단계와; 상기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가 동기화를 요청한 정보기기의 IP를 확인하여 등록되지 않은 IP이면 요청을 거절하고, 등록된 IP이면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최신의 데이터로 상호 업데이트하는 동기화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기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동기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요청단계는 사용자가 정보기기를 사용하여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에 동기화를 요청하는 수동모드와, 접속된 정보기기의 IP를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가 검사하여, 등록된 IP이면 동기화하는 자동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기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동기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여 상기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서버와 데이터를 동기화 할 수 있는 정보기기에 인터넷 접속이 불가능한 정보기기를 유선으로 접속하여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기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동기화 방법.
KR10-2001-0079002A 2001-12-13 2001-12-13 정보기기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동기화 장치 및 방법 KR100434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002A KR100434064B1 (ko) 2001-12-13 2001-12-13 정보기기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동기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002A KR100434064B1 (ko) 2001-12-13 2001-12-13 정보기기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동기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947A KR20030048947A (ko) 2003-06-25
KR100434064B1 true KR100434064B1 (ko) 2004-06-04

Family

ID=2957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002A KR100434064B1 (ko) 2001-12-13 2001-12-13 정보기기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동기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40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288B1 (ko) * 2005-09-01 200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기기에서의 파일 자동 저장 방법
KR101126217B1 (ko) * 2010-02-25 2012-03-22 유비벨록스(주) 클라우드서비스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서비스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4986A (ja) * 1993-02-19 1994-09-02 Kokusai Electric Co Ltd 外部編集機能付自動車用携帯電話機
KR20000032787A (ko) * 1998-11-18 2000-06-15 정태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장치간의 통신방법
KR20020019285A (ko) * 2000-09-05 2002-03-12 홍경 정적 아이피 어드레스 및 원클릭 접속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관리 방법
KR20020073024A (ko) * 2001-03-14 2002-09-19 주식회사 한국인식기술 명함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4986A (ja) * 1993-02-19 1994-09-02 Kokusai Electric Co Ltd 外部編集機能付自動車用携帯電話機
KR20000032787A (ko) * 1998-11-18 2000-06-15 정태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장치간의 통신방법
KR20020019285A (ko) * 2000-09-05 2002-03-12 홍경 정적 아이피 어드레스 및 원클릭 접속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관리 방법
KR20020073024A (ko) * 2001-03-14 2002-09-19 주식회사 한국인식기술 명함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947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2149B1 (ko) 휴대폰과 컴퓨터간 데이터 동기화 방법
CN107181686B (zh) 路由表的同步方法、装置及系统
JP2009516273A (ja) データの同期処理方法、クライアント、サーバ、及びクライアントとサーバとのデータ同期システム
US2009024077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ata sharing method, and data sharing program
BRPI0716102A2 (pt) discagem integrada
CN106851758B (zh) 通信网络切换方法及终端设备
WO2011025342A2 (en) System and device for data management, and method thereof
CN105939355A (zh) 一种数据访问方法、系统及客户端和服务器
CN104348859A (zh) 文件同步方法、装置、服务器、终端及系统
CN112269842A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KR100434064B1 (ko) 정보기기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동기화 장치 및 방법
KR101419275B1 (ko) 클라우드 스토리지 기반의 데이터 동기화 및 서비스 제공 장치와 방법
CN102546903B (zh) 在移动终端上显示即时信息的方法及设备
KR10048810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및 개인 정보 관리 서버의 정보 동기화 방법
US7506064B1 (en) Handheld computer system that attempts to establish an alternative network link upon failing to establish a requested network link
JP2015103862A (ja) 通信端末、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1383293A2 (en) Conne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connection information used in communications between IC cards
KR20030095352A (ko) 아이씨 카드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접속 정보를관리하는 접속 정보 관리 시스템
JP5564965B2 (ja) 端末装置、コンテンツデータ取得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データ取得方法
KR100379457B1 (ko) 개인 정보 관리 방법
CN109325057B (zh) 中间件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CN103001987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和数据处理节点
KR100421122B1 (ko) 개인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028488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및 방법
JP2005222288A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通信端末、およびデータ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