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2372B1 - 경혈 지압용 깔창 - Google Patents

경혈 지압용 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2372B1
KR100432372B1 KR10-2001-0061354A KR20010061354A KR100432372B1 KR 100432372 B1 KR100432372 B1 KR 100432372B1 KR 20010061354 A KR20010061354 A KR 20010061354A KR 100432372 B1 KR100432372 B1 KR 100432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ressure
region
stimulating
reflector
in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9196A (ko
Inventor
김용진
이혜정
임사비나
김수용
Original Assignee
주) 레스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레스테 filed Critical 주) 레스테
Priority to KR10-2001-0061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2372B1/ko
Publication of KR20030029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3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3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joint between the fifth phalange and the fifth metatarsal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toes, i.e. the phalang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지압법에 따른 반사구를 자극하는 지압대 또는 지압돌기 영역을 가지는 경혈 지압용 깔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혈 지압용 깔창은 뇌 및 전두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 눈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 폐 및 기관지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 부신 또는 신장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 및 위, 췌장 및 십이지장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경혈 지압용 깔창은 발의 경혈점 자극을 효과적으로 달성하여 그 깔창을 가지는 신발을 신고 다니는 것만으로 발의 건강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경혈 지압용 깔창은 특히, 뇌기능, 시력, 호흡기능, 소화기능 및 신장기능에 장애를 가지고 있는 환자 또는 수험생의 건강을 유지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혈 지압용 깔창{Insole for performing acupressure on acupuncture points of foot-bottom}
본 발명은 경혈 지압용 깔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지압법에 따른 반사구를 자극하는 지압대 또는 지압돌기로 이루어진 지압 영역을 포함하는 경혈 지압용 깔창에 관한 것이다.
발은 많은 뼈, 관절, 인대, 근육 및 혈관으로 구성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경혈과 경락이 집중되어 있다. 발은 거기에 분포되어 있는 경혈에 의하여 신체의 다른 모든 기관과 연결되어 있어 인체의 축소판이라고 불린다. 발에 분포된 이러한 경혈들을 자극함으로써 연관되는 인체의 기관들의 신진대사 및 기능을 활성화시키려는 노력이 한의학을 중심으로 고대로부터 이루어져 왔으며, 그러한 결실이 현대 의학에까지 전해지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발에 분포하는 반사구(경혈)를 지압, 침술 또는 마사지 등으로 자극함으로써 그와 연관되는 인체의 기관들의 기능을 촉진시켜 신체의 건강을 유지하려고 하는 발 지압법이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이러한 발 지압법에 의한 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발 지압법을 신발에 응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있어 왔다. 이러한 시도들의 대부분은 신발의 깔창 또는 슬리퍼의 전체에 또는 일부에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는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깔창 전체에 돌기를 형성하는 것은 지압돌기가 없는 것보다는 지압 효과가 있지만 그 효과는 미미하며, 또한 지압돌기의 압력을 과도하게 하면 오히려 통증의 수반과 혈액의 집중으로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체에 지압돌기가 형성된 신발 깔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깔창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46246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출원에서도 전체에 지압돌기를 형성하는 것은 아니지만, 경혈점과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발의 2/3 가량의 부분에 지압돌기를 형성하고 있을 뿐이다. 이러한 점에서 이 출원은 발의 경혈점을 이용하여 신발에 의한 발 지압을 효과적으로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의 경혈점 자극을 효과적으로 달성하여 신발을 신고 다니는 것만으로 발의 건강을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경혈 지압용 깔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경혈 지압용 깔창은 특히, 뇌기능, 시력, 호흡기능, 소화기능 및 신장기능에 장애를 가지고 있는 환자 또는 수험생의 건강을 유지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도 1은 발지압법에 따른 발바닥의 반사구(경혈점)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경혈 지압용 깔창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경혈 지압용 깔창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경혈 지압용 깔창에 형성된 뇌 및 전두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지압 영역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혈 지압용 깔창의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12는 도 5에 표시된 각 절단선(A-A'선 ~ G-G'선)을 따라 도 5의 깔창을 절단한 절단 단면도이다.
도 13은 뇌파 측정시의 채널의 위치를 보여주는 다이아그램이다.
본 발명은 발지압법에 따른 반사구를 자극하는 지압대 또는 지압돌기 영역을 가지는 경혈 지압용 깔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혈 지압용 깔창은 뇌 및 전두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 눈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 폐 및 기관지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 부신 또는 신장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 및 위, 췌장 및 십이지장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혈 지압용 깔창에서 상기 반사구를 자극하는 깔창의 지압 영역은 귀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간(오른쪽 발) 또는 심장(왼쪽 발)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대소변의 배출 등 신진대사를 원활히 해 줄 수 있도록 생식선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압 영역의 형태는 깔창의 베이스(base) 이외에는 실질적으로 돌기만으로 형성된 것이거나, 베이스(base) 상에 형성된 지압대 및 상기 지압대 상에 형성된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뇌 및 전두를 자극하는 지압 영역과 상기 폐 및 기관지를 자극하는 지압 영역은 높이가 동일하고, 상기 눈을 자극하는 지압 영역은 상기의 두 지압 영역보다 높이가 높으며, 상기 위, 췌장 및 십이지장을 자극하는 지압 영역은 발의 전단 쪽 높이는 상기 눈을 자극하는 지압 영역의 높이와 동일하고 발의 후단 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진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위, 췌장 및 십이지장을 자극하는 지압 영역의 전체 돌출 형상은 라운드 형상이고, 이 영역은 각각 위, 췌장 및 십이지장에 대응하는 세 개의 하위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부신 또는 신장을 자극하는 지압 영역은 발바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용천혈을 자극하는 하나의 돌기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지압대와 그것상에 형성되는 하나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폐 및 기관지를 자극하는 지압 영역은 발 안쪽 선에서 발 바깥쪽 선으로 비스듬하게 구획하는 구획선에 의해 구분되는 두 개의 하위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위 영역들 중에서 발 앞쪽의 하위 영역은 승모근을 자극하는 역할도 함께 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뇌 및 전두를 자극하는 지압 영역에서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네 개의 발가락에 대응하는 부분의 지압 돌기 또는 지압대의 높이는 발가락의 끝으로부터 발 중심으로 갈수록 증가하고, 엄지발가락에 대응하는 부분의 지압 돌기 또는 지압대의 높이는 다른 발가락에 대응하는 부분보다 낮다.
본 발명의 경혈 지압용 깔창은 깔창의 전체 또는 특정하지 않은 일부에 형성된 지압 돌기를 가지는 깔창이 발지압법에 따른 반사구를 자극하는 효과가 별로 없거나 미미하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설계되었다. 즉, 본 발명은 먼저, 목적에 부합되는 특정 경혈점들을 추출하고 또한 지압효과에 있어서 이 특정 경혈점들의 자극에 상승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특정 경혈점을 선택하며, 그렇게 추출 또는 선택된 반사구들을 자극하는 지압 영역과 지압되지 않는 영역을 조화시킴으로써 신발을 신고 다니는 것만으로도 인체의 건강, 특히 목적하는 바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경혈 지압용 깔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경혈 지압용 깔창에서 지압 영역의 자극은 그와 연관되는 신체 기관으로 전달될 뿐만 아니라 지압되지 않는 영역에서 그 자극의 일부를 흡수함으로써 과도한 자극으로 인한 발의 피로를 방지하고 아울러 지압 영역의 반사구에서의 반응도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기능은 지압 영역의 돌기 구조 또는 형상을 경혈점의 특성에 맞게 형성함으로써 보다 충실하게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혈 지압용 깔창은 수험생에게 특히 요구되는 기능, 즉 장시간 앉아서 공부함에 의하여 장애가 올 수 있는 뇌기능, 시력, 호흡기능, 소화기능 및 신장기능과 같은 신체 기능을 유지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며, 또한, 이러한 기능들에 장애를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발지압법에 따른 발바닥의 반사구(경혈점)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바닥에 위치하는 반사구들에 대하여 오른발과 왼발은 거의 대칭적이다. 다만, 차이가 나는 것은 오른발에는 간장 및 담낭에 대응하는 반사구가 존재하는데 반하여, 왼발에는 심장에 대응하는 반사구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본발명의 깔창에서 목적하는, 즉 유지 및 향상시키고자 하는 기능은 뇌기능, 시력, 호흡기능, 소화기능 및 신장기능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경혈 지압용 깔창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2의 경혈 지압용 깔창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도 3의 경혈 지압용 깔창에 형성된 뇌 및 전두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지압 영역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혈 지압용 깔창(10)은 대략적인 발의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11)를 가진다. 깔창의 베이스(11) 상에는 발 지압법에 따른 반사구(경혈점)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반사구를 자극하는 복수의 지압대 또는 지압돌기 영역(이하, 지압영역이라고 함)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압 영역으로 도 1에는 뇌 및 전두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12), 눈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14), 귀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13), 폐 및 기관지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15), 부신 또는 신장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16) 및 위, 췌장 및 십이지장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17)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지압 영역들은 다수의 돌기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신장 자극 지압 영역은 다른 영역의 돌기보다 큰 단일의 돌기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깔창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지압영역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러한 지압 영역 이외에 다른 지압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지압 영역들은 발바닥의 반사구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확실한 자극을 위하여 발바닥의 반사구의 넓이보다 조금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눈 자극 지압 영역(14), 귀 자극 지압 영역(13), 신장 자극 지압 영역(16) 및 소화기관 자극 지압 영역(17)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바닥에서 움푹 들어간 부분에 해당하므로 다른 부위들보다 높게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뇌 자극 지압 영역(12) 및 호흡기관 자극 지압 영역(15)이 가장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고, 눈 자극 지압 영역(14), 귀 자극 지압 영역(13) 및 신장 자극 지압 영역(16)은 서로 거의 동일한 수준의 높이를 가지며 뇌 자극 지압 영역(1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화기관 자극 지압 영역(17)은 발의 앞쪽에서 신장 자극 지압 영역(16)과 거의 동일한 수준의 높이를 가지고 발의 뒤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진다. 예를 들어, 뇌 자극 지압 영역(12) 및 호흡기관 자극 지압 영역(15)의 높이는 0.2 cm로 하고, 눈 자극 지압 영역(14) 및 귀 자극 지압 영역(13)의 높이는 0.5 cm로 하며, 신장 자극 지압 영역(16)의 높이는 0.4 cm로 할 수 있다. 또한, 소화기관 자극 지압 영역(17)의 높이는 0.4 cm에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0.8 cm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뇌 자극 지압 영역(12)은 발의 앞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돌기의 높이를 점차적으로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상이 되는 각 경혈점의 위치 및 형상에 따라 지압 영역의 높이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각 경혈점을 자극할 수 있다. 이 때, 소화기관 자극 지압 영역(17)에서 발꿈치 쪽의 끝단에 위치하는 돌기는 다른 돌기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뇌 자극 지압 영역(12)은 그 형상 또는 구조를 엄지발가락 및 다른 발가락들을 적절하게 자극하기 위하여, 엄지발가락을 자극하는 부분(12a) 및 다른 발가락들을 자극하는 부분(12b)로 구분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엄지발가락 자극 부분(12a)은 다른 발가락 자극 부분(12b)보다 낮게 형성한다. 특히, 엄지발가락의 가운데 부분과 대응하는 부분(안쪽 점선 원 부분)은 엄지발가락의 둘레 부분과 대응하는 부분(바깥쪽 점선 원과 안쪽 점선 원 사이의 부분)보다 더욱 낮게 형성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엄지발가락 자극 부분(12a)에 엄지발가락이 확실하게 안착되어 자극될 수 있다. 또한,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발가락들을 자극하는 부분(12b)은 발가락의 끝으로부터 발 중심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엄지 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네 개의 발가락도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혈 지압용 깔창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 내지 12는 표시된 각 절단선(A-A'선 ~ G-G'선)을 따라 도 5의 깔창을 절단한 절단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는 여러 반사구(경혈점)에 대응하는 지압 영역이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경혈 지압용 깔창에서 상기의 첫 번째 실시예와 다른 점은 각 반사구에 대응하는 지압 영역이 단일의 구분된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구획된 영역이 조합적으로 각 반사구에 대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한, 어떤 반사구에 대해서는 단일의 구분된 영역이 지압 영역으로 작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혈 지압용 깔창의 설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도 5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 따른 경혈 지압용 깔창(20)은 베이스(21) 상에 여러 반사구에대응하는 지압 영역들(21~33)을 가진다. 이러한 지압 영역들은 구획선에 의하여 구분된 지압대 및 지압대 상에 형성된 돌기로 구성된다.
지압 영역(22)는 깔창의 맨 앞쪽에 위치하는 첫 번째 지압 영역이다. 지압 영역(22)은, 도 6 및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획선의 경계부분을 제외하고는 거의 평평한 지압대를 가지며 지압대 상에 분포된 돌기들을 가진다. 경계선 부근의 지압 영역(22)은 소정의 각도를 이루거나 라운드 형상을 가진다. 이 지압 영역(22)은 뇌기능을 자극하는 반사구에 대응한다.보조지압영역(23)은 발의 볼 넓이를 따라 지압 영역(22)과 인접하는 지압 영역이며, 도 6 및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깔창의 안쪽 선으로부터 바깥쪽 선으로 뻗어 있는 산맥과 같은 모양을 가진다. 즉, 양쪽의 경계선(구획선)으로부터 점차적으로 융기하여 가운데 부근이 가장 높게 형성된 지압대를 가지고 그 지압대 상에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다. 산맥 모양과 같은보조지압영역(23)은 산맥의 가운데 부근의 높이가 가장 높으며 깔창의 양쪽(안쪽 및 바깥쪽) 선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진다. 이러한보조지압영역(23)은 지압 영역(22)와 조합되어 뇌기능을 자극하는 반사구에 대응할 뿐만 아니라 다음의 지압영역들(24 및 25)과 조합되어 눈 자극 반사구 및 귀 자극 반사구에 대응한다. 다음의 지압 영역들(24 및 25)은 깔창의 바깥쪽 선으로부터 소정의 넓이만큼보조지압영역(23)과 인접하는 지압영역들이며, 각각 눈 모양 또는 반달 모양을 가진다. 지압 영역(24)는 눈 자극 반사구와 대응하는 것으로서, 깔창의 가운데 쪽에 위치하고, 지압 영역(25)는 귀 자극 반사구와 대응하는 것으로서, 깔창의 바깥쪽에 위치한다.
뇌 기능 자극 반사구들은 주로 엄지발가락 전체와 나머지 네 개의 발가락의지면에 닿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나머지 네 개의 발가락 중에서 움푹 들어간 부분, 즉 지면에 닿지 않는 부분은 각각 눈 자극 반사구(두번째 및 세 번째 발가락)과 귀 자극 반사구(네번째 및 다섯 번째 발가락)에 해당한다.
지압 영역(22)은 주로 엄지발가락의 앞부분 및 나머지 네 개의 발가락의 지면에 닿는 부분을 자극한다. 따라서, 지압 영역(22)의 형상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의 발가락들의 위치에 맞게 형성되어 있다. 엄지발가락의 가운데 및 뒷부분은 주로보조지압영역(23)에 의하여, 특히보조지압영역(23) 중에서 깔창의 안쪽 선 부근의 부분에 의하여 자극된다.보조지압영역(23)의 이 부분에는 돌기를 보다 뚜렷하게 형성함으로써 엄지발가락의 자극을 보다 강력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지압 영역(22) 및보조지압영역(23)의 경계선도 엄지발가락의 효과적인 자극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뇌기능 자극 반사구는 지압영역들(22 및 23)의 조합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자극된다.
다음으로, 지압 영역들(24 및 25)는 각각 눈 자극 반사구 및 귀 자극 반사구에 대응한다. 눈 자극 반사구는 지압 영역(24)에 의하여 자극받을 뿐만 아니라보조지압영역(23)에 의해서도 자극된다.보조지압영역(23)의 가운데 높게 융기된 부분은 특히, 눈 자극 반사구의 움푹 들어간 부분을 자극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리고 지압 영역(24)는 눈 자극 반사구의 움푹 들어간 부분에 연이은 부분을 자극한다. 따라서, 눈 자극 반사구는 지압 영역들(23 및 24)의 조합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자극된다. 또한, 귀 자극 반사구도,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하게, 지압영역들(23 및 25)의 조합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자극된다.
지압 영역들(24 및 25)에 접하는 부분에는 지압 영역(26)이 아래쪽으로 위치하고, 지압 영역(26)에 연이어 지압 영역(27)이 위치한다. 지압 영역들(26 및 27)의 구획선은 발의 넓이를 따라 약간 경사지게 가로로 형성되어 있다. 지압 영역(27)은 주로 호흡기관 자극 반사구와 대응되며, 지압 영역(26)은 주로 승모근 자극 반사구와 대응된다. 그러나, 지압 영역(26)의 일부는 호흡기관 자극 반사구를 자극할 수 있다. 또한, 지압 영역(27)만에 의한 호흡기관 자극 반사구를 자극하는 것보나는 지압 영역들(26 및 27)에 의하여 호흡기관 자극 반사구를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압 영역(26)이 승모근 자극 반사구를 함께 자극하는 것이 지압 영역(27)에 의한 호흡기관 자극 반사구의 자극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것은 맛사지나 일반적인 지압과는 달리 신발의 깔창에 의한 보행중의 지압은 발 전체의 안정감을 주지 못할 경우에는 특정 반사구의 자극이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따라서, 지압 영역들(26 및 27)의 조합에 의하여 호흡기관 자극 반사구의 자극이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호흡기관 자극 반사구를 자극하는 지압 영역(27) 아래에는 이 영역과 인접하여 지압 영역(28)이 위치한다. 이 지압 영역(28)은 왼발에 대해서는 심장 자극 반사구에 대응되고, 오른발에 대해서는 간장 자극 반사구에 대응된다.
한편, 지압 영역(27)의 중앙 쪽 부분 아래에는 지압 영역(27)과 약간 떨어져 지압 영역(29)이 위치한다. 이 지압 영역(29)은 용천혈을 자극하는 지압 영역으로서, 부신 또는 신장 자극 반사구와 대응된다. 이 지압 영역은 다른 돌기들보다 좀더 큰 하나의 돌기만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지압대에 하나의 돌기가 형성된 모양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발의 안쪽에 꽤 넓게 움푹하게 들어간 부분에는 소화기기관 자극 반사구가 자리하고 있다. 이 부분에 대응하여 깔창에는 지압영역들(30, 31 및 32)이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지압영역들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라운드 형상의 지압대를 가지고 있어, 소화기관 자극 반사구 전체를 자극하기에 적합하다. 구체적으로, 소화기관 자극 반사구를 자극하는 지압영역은 주로 위 자극 반사구를 자극하는 지압영역(30), 주로 췌장 자극 반사구를 자극하는 지압영역(31), 및 주로 십이지장 자극 반사구를 자극하는 지압영역(32)으로 구분되어 있다. 지압영역(31)은, 도 5 및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고, 이것을 지압영역들(30 및 32)이 둘러싸고 있다.
마지막으로, 발꿈치에 인접하고 발의 뒷부분 중 지면에 닿는 부분에는 생식선 자극 반사구가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혈 지압용 깔창에는 생식선 자극 반사구에 대응하도록 지압영역(33)을 두고 있다. 지압영역(33)은, 도 5, 6 및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평한 지압대 상에 돌기가 형성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경혈 지압용 깔창에는 목적하는 바의 기본 기능(뇌기능, 시력, 호흡기능, 소화기능, 신장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지압 영역들을 특별한 형상으로 설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지압 영역들을 추가로 두고 있다. 이러한 추가의 지압 영역들은 그 자체의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발 전체를 균형감있게 지압하게 함으로써 기본 기능에 해당하는반사구 및 추가 기능에 해당하는 반사구가 안정적이면서 효과적으로 지압되게 해준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경혈 지압용 깔창을 가지는 신발을 착용한 착용자가 보행할 때, 이러한 지압영역들의 조합이 전체적으로 균형을 이루어 효과적인 지압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지압영역들의 불균형 및 과도한 지압으로 인한 발의 피로로부터 발생하는 역효과를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경혈 지압용 깔창의 지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러한 깔창이 마련된 신발(이하, 경혈 신발)을 착용한 보행자의 보행시의 뇌파를 측정하였다. 즉, 15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16채널 뇌파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고, 이 실험에서 얻은 데이터에 대하여 비선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카오스 이론에서 비선형 역학계를 정량화하는 값인 상관 차원(Correlation Dimension)을 구하였다.
카오스 역학계에 의해 생성된 시계열 데이터는 스트레칭(stretching)과 폴딩(folding)에 의해 기하학적으로 자기 상사 구조(self similarity)를 가지므로 어트렉터는 정수가 아닌 소수 차원을 가지게 된다. 카오스 역학계의 한 특징인 자기 상사성을 정량화한 비정수의 프랙탈 차원을 이용하여 뇌의 의식 상태를 규정할 수 있게 되고 이 프랙탈 차원으로 상관 차원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수면 상태나 단순 수리 계산시 뇌의 비선형 역학계가 변화하면 상관 차원도 그 값이 변한다는 것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규명되었다. 즉, 실험 전후의 상관 차원을 구하고 비교하였을 때 값의 변화는 뇌의 비선형 역학계의 변화를 의미하고, 만약 값이 감소하게 되면 이것은 실험 후의 상태가 전의 상태보다 안정화 혹은 시스템의 복잡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의 실험에서는 경혈 신발을 신기 전과 후(256Hz, 15,360개의 데이터)의 상관 차원(Correlation dimension; D2)을 비교하였을 때 16개의 채널 중 전두엽에 해당하는 2개의 채널(F7, F8)에서 신뢰도 95%의 정확도로 그 값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아래 표 1 참조).
F7 및 F8 채널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두엽(frontal lobe)에서 포스테리어(posterior)와 인페리어(inferior)에 걸쳐 있는 영역이고, 전두엽은 모터(motor), 프리모터(premotor), 프리프론탈(prefrontal) 및 림빅(limbic) 영역들로 구분된다. 상기의 실험에서는 양쪽 신발을 모두 신은 상태에서 측정이 이루어졌으므로 모터(motor) 영역에서 뇌의 좌우 반구 모두에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경혈 신발의 착용으로 인해 뇌의 비선형 역학계의 복잡도가 감소함을 의미하고, 이것은 또한 넓은 의미에서 이 영역에서 안정화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1
신발 신기 전 신발 신은 후 T P
평균(Mean) 분산(SD) 평균 분산
Fp1 8.039 1.534 7.430 2.293 0.791 0.441
F7 8.497 0.504 7.730 1.203 2.228 0.042*
T3 8.143 2.578 8.635 2.226 -0.572 0.575
T5 8.083 1.954 9.036 0.669 -1.674 0.116
F3 8.442 1.873 8.450 1.707 -0.011 0.990
C3 8.879 0.824 8.607 1.705 0.554 0.587
P3 8.233 2.400 8.003 2.254 0.247 0.807
O1 8.751 0.979 7.514 2.283 1.845 0.086
Fp2 8.575 0.564 7.606 2.636 1.428 0.175
F8 8.006 1.933 5.843 2.695 2.330 0.035*
T4 7.563 2.685 7.681 2.648 -0.138 0.891
T6 7.948 2.158 7.746 2.443 0.254 0.802
F4 9.097 0.896 8.486 1.887 1.070 0.302
C4 8.111 2.144 8.559 1.946 -0.542 0.596
P4 8.760 0.882 8.644 1.971 0.184 0.856
O2 7.847 1.501 7.504 2.147 0.609 0.551
*: p<0.05 (paired t-test)
본 발명은 발지압법에 따른 반사구를 자극하는 특정의 지압대 또는 지압돌기 영역을 가지는 경혈 지압용 깔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경혈 지압용 깔창은 발의 경혈점 자극을 효과적으로 달성하여 그 깔창을 가지는 신발을 신고 다니는 것만으로 발의 건강을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경혈 지압용 깔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경혈 지압용 깔창은 특히, 뇌기능, 시력, 호흡기능, 소화기능 및 신장기능에 장애를 가지고 있는 환자 또는 수험생의 건강을 유지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발지압법에 따른 반사구를 자극하는 지압대 또는 지압돌기 영역으로서, 뇌 및 전두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22), 눈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24), 귀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25), 호흡 기관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27), 부신 또는 신장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29) 및 위, 췌장 및 십이지장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30, 31, 32)을 포함하는 경혈 지압용 깔창에 있어서,
    상기 뇌 및 전두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22)과 상기 눈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24) 및 귀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25)에 인접하여 형성되되, 상기 영역들(22, 24, 25)과의 경계선으로부터 점차적으로 융기하는 산맥 형상을 가지며, 상부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보조 지압영역(23)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지압영역(23)은 뇌 및 전두에 해당하는 반사구, 상기 눈에 해당하는 반사구 및 귀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측면에서 보조적으로 자극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혈 지압용 깔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뇌 및 전두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22), 눈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24), 귀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25), 호흡 기관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27), 부신 또는 신장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29) 및 위, 췌장 및 십이지장에 해당하는 반사구를 자극하는 영역(30, 31, 32)은 실질적으로 돌기만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혈 지압용 깔창.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신 또는 신장을 자극하는 지압 영역(29)은 발바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용천혈을 자극하는 하나의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혈 지압용 깔창.
  10. 삭제
  11. 삭제
KR10-2001-0061354A 2001-10-05 2001-10-05 경혈 지압용 깔창 KR100432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354A KR100432372B1 (ko) 2001-10-05 2001-10-05 경혈 지압용 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354A KR100432372B1 (ko) 2001-10-05 2001-10-05 경혈 지압용 깔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196A KR20030029196A (ko) 2003-04-14
KR100432372B1 true KR100432372B1 (ko) 2004-05-22

Family

ID=29563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354A KR100432372B1 (ko) 2001-10-05 2001-10-05 경혈 지압용 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23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80875A1 (en) * 2002-11-14 2004-06-03 Gagmall Co. Ltd. Acupressure shoe
KR100761933B1 (ko) * 2005-06-23 2007-10-04 이진채 지압 깔창
KR100830665B1 (ko) 2007-08-01 2008-05-20 조대성 발 지압용 지압패드
WO2011159007A1 (ko) * 2010-06-15 2011-12-22 Kwak Dong-Yup 고유감각수용체 자극을 통한 뇌기능 향상 효과가 있는 신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142Y1 (ko) * 1984-12-21 198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석유난로의 2차연소장치
JPH1085004A (ja) * 1996-09-17 1998-04-07 Kaneko Fujimoto 履 物
KR20000063905A (ko) * 2000-08-09 2000-11-06 정인화 부분 지압봉 신발 깔창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142Y1 (ko) * 1984-12-21 198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석유난로의 2차연소장치
JPH1085004A (ja) * 1996-09-17 1998-04-07 Kaneko Fujimoto 履 物
KR20000063905A (ko) * 2000-08-09 2000-11-06 정인화 부분 지압봉 신발 깔창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196A (ko) 200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89325C (en) Insole
US20060185196A1 (en) Massage shoes
KR20110060218A (ko) 기능성 신발
KR101615520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0432372B1 (ko) 경혈 지압용 깔창
KR101441021B1 (ko) 발가락 교정기
KR101587899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1307598B1 (ko) 지압볼이 내장된 탄성스프링이 구성된 신발창
KR102383045B1 (ko) 후족부에 지압강화를 위한 신발밑창
KR200296822Y1 (ko) 발가락 교정통풍기
KR101705092B1 (ko) 기능성 신발 깔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81059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1620715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1588650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1755331B1 (ko) 발가락 교정용 샌들
KR20060127774A (ko) 경혈 지압용 깔창
KR20140107898A (ko) 발가락 지압기
KR20100137915A (ko) 발가락 부위를 지압하여 혈류 흐름을 개선한 기능성 토캡
CN215737191U (zh) 近视专用鞋垫及近视专用鞋
KR200155125Y1 (ko) 지압용 신발창
KR970005822Y1 (ko) 지압신발
KR101620714B1 (ko) 발가락 교정구
TWM467379U (zh) 健康鞋墊
KR20230168927A (ko) 예방 건강(healing) 신발
KR20020033719A (ko) 지압다이어트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