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2095B1 - 천연 식물체 추출액 및 그 추출방법과, 그 천연 식물체 추출액을 첨가하여 용융 성형된 금속제 물품 - Google Patents

천연 식물체 추출액 및 그 추출방법과, 그 천연 식물체 추출액을 첨가하여 용융 성형된 금속제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2095B1
KR100432095B1 KR10-2001-0015509A KR20010015509A KR100432095B1 KR 100432095 B1 KR100432095 B1 KR 100432095B1 KR 20010015509 A KR20010015509 A KR 20010015509A KR 100432095 B1 KR100432095 B1 KR 100432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hours
natural plant
meridi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5818A (ko
Inventor
은영표
Original Assignee
은영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영표 filed Critical 은영표
Priority to KR10-2001-0015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2095B1/ko
Publication of KR20020075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2Grog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16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241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258Electromagnetic wave absorbing or shield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39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948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the fabrication of cont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에 생기와 활력을 제공하고 유해한 전자기파 및 수맥파 등의 영향을 방어하여 체내 면역기능의 강화작용을 할 수 있는 천연 식물체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상기 천연 식물체 추출액을 첨가하여 용융성형된 금속제 또는 귀금속제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은, 바이오 세라믹으로서의 80 내지 120메쉬 그린스톤 분말 25내지 35 중량부, 황토분말 15 내지 25 중량부, 원적외적 분말 5 내지 15중량부 및 지점토 분말 35 내지 45 중량부를 혼합하고 물 20 내지 30 부피부를 가해 반죽하는 단계; 상기 반죽을 사용하여 예정된 형상의 용기를 성형시키는 단계; 상기 성형된 용기를 1000℃의 가마에서 10 내지 15시간 소성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다시 1200℃의 가마에서 10 내지 15시간 소성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다시 1300℃의 가마에서 10 내지 15시간 소성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3차 소성단계; 상기 단계에서 성형된 용기에 유도화 25 내지 35 중량부 및 물 100중량부를 넣고 100 내지 150℃의 온도로 5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농축액을 회수하여 사용시까지 보관 및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천연 식물체 추출액 및 그 추출방법과, 그 천연 식물체 추출액을 첨가하여 용융 성형된 금속제 물품{Natural vegetation extract and thereof extraction method, metal goods melted and formed by adding the natural vegetation extract}
본 발명은 신체에 생기와 활력을 제공하고 유해한 전자기파 및 수맥파 등의 영향을 방어하는 작용을 가지는 천연 식물체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상기 천연 생약재 추출액을 첨가하여 용융성형된 금속제 또는 귀금속제 물품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인간의 생명현상과 생체에너지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것은 인간뿐만 아니라 모든 생명이 있는 생체내의 생명현상과 내적 에너지에 관한 모든 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자가 추구하는 것은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을 결합하여 생체에너지의 본질을 규명하여 인체의 면역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인을 밝히고, 생체에서발생되는 기(氣)에너지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 이를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기(氣)에너지의 성질을 관측하는 것뿐만 아니라, 외부의 유해한 각종 전자기파로부터 신체를 방어하고 기의 순화 및 증진에 의해 인체면역 능력을 고양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바탕으로 질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새로운 기(氣)에너지장치를 개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생명현상의 신비를 단순히 물질을 구성하는 유전자나 화학반응의 관점에서 벗어나 정신적인 에너지 관점에서 새로운 체계를 정립하고, 모든 생명체의 근원을 파헤치는 것으로서, 보다 세부적인 관련 연구분야는 다음과 같다.
- 생체 기에너지 측정 장치 개발
- 생체에서 발생되는 기에너지 특성 연구
- 생체 기에너지 발생에 관련된 전통 방법 연구
- 생체 기에너지를 이용한 진단과 치료법 개발
- 유해 전자파 제거와 생체 활성 전자파의 개발
- 초고주파에 의한 동식물의 성장 촉진 및 병원체의 생장 억제
- 경락과 경혈의 재발견 및 활용
- 체질특성을 파악하는 제반 의학적 방법 및 체질 개선법 연구
- 뇌파, 심파, 염파 연구 및 상호작용 연구
- 영혼의 존재 증명과 생명 현상 원리규명 및 다차원 세계 연구
- 공간 구조 변이에 따른 생체반응 연구
- 색깔, 빛 및 각종 전자파 등과 같은 파장과 생체와의 반응 연구
- 무공해 농법 연구
경락공간을 인체 시스템내의 정보의 저장 및 전달의 개념적인 장소라는 관점에서 보자면, 경락의 확률공간은 단순한 생체에너지(기)의 저장소를 의미하는 개념적인 장소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인체시스템 내외의 정보의 저장 및 전달하는 정보고속도로를 의미하는 곳이다. 경락의 구조는 경락공간을 흐르는 생체에너지(기)가 포함하고 있는 정보의 내용에 따라 다르게 된다. 생체 에너지는 정보를 포함하는 의식에너지이다.
생체에너지(기)는 어떠한 내용의 정보를 가지고 인체시스템 내에 무슨 정보를 어디에 전달하여, 인체시스템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를 보자면, 의식의 장이 포함하는 내용의 정보 즉 의식적이던 무의식적이던 어떠한 선택을 하게 되면 행위의 결과로 의식의 장이 형성되어 의식의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의 에너지가 발생하게 된다. 의식의 관계의 장의 내용을 구성하는 것을 살펴보면, 의식적인 선택의 정보뿐만 아니라 의식적인 선택이 누적되어 발생하는 무의식적인 선택인 습관적인 생각이나 행동 등의 패턴을 포함하는 정보를 비롯하여 기본적인 인체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 즉 숨을 습관적으로 계속하여 쉬게 하고 소화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정보 등을 담고 있는 것이다. 인체시스템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주어지는 다양한 정보, 즉 수맥파나 전자파, 자연의 파동, 사랑의 파동 등의 정보의 영향을 받아 생체에너지(기)에 포함되는 정보의 내용이 변형되기도 한다.
인간의 잠재의식 속의 깊은 내면 속에 저장된 정보도 생체에너지 파동의 형태로 밖으로 도출되어 경락공간을 흘러 다니게 된다. 잠재의식 속의 깊은 곳에 내재되어 있는 정보는 과거의 다양한 선택의 결과가 누적되어 있는 행위의 결과로 남아 있는 정보들이다.
생체에너지(기)는 파동으로써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주변의 유사 파동이나 다양한 유사 파동대의 파동에 영향을 받기가 쉽게 되어 있다. 경락 공간을 생체에너지(기)가 지나면서 경락공간상에 존재하는 부분의 정보를 흡수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속성이 있다. 신체의 특정부분이 상처를 입게 되면 생체에너지(기)의 정보에 그러한 내용의 정보가 포함되어 새로 추가된다. 이렇게 되면 추가된 정보에 의하여 경락공간이 변형이 되어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침을 맞거나 신체 특정 부위에 정상적인 파동의 에너지를 보내면 경락공간이 정상적인 모습으로 돌아오고 손상된 부위의 치유의 효과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생체에너지(기)는 또한 파동으로서의 성질 외에 입자로써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인간의 의지에 의한 선택에 의하여 인체시스템 내에서 경락공간을 확장하거나 새로운 경락공간을 창조하게 되려면 생체에너지의 입자적인 속성으로 인하여 저항의 문제에 부딪치고 이로 인한 바이브레이션이나 열감 등이 발생하게 된다. 경락공간이 위축되거나 소멸된 공간에 새로운 경락공간을 형성하려면 생체에너지의 입자적인 속성이 현저하게 나타나는데 입자의 크기가 큰 경우는 경락공간이 왜곡된 곳의 진동이 심하게 나타나게 된다.
입자의 크기가 작아지면 입자성의 속성이 줄어들면서 진동현상이 줄어들고 열감 등의 현상이 지배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입자적인 속성이 줄어들고 파동으로서의 성질이 뚜렷하게 나타나게 되면, 주변환경의 정보와 상호교류현상이 쉽게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주변환경에 선택적인 의지에 의하여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가 있고 주변환경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즉, 경락의 확률공간을 지나는 생체에너지(기)의 정보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게 된다.
경락공간을 흐르는 정보가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니고, 경락공간에 사랑의 빛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기가 흐르게 되면 경락의 공간구조의 팽창과 균형이 이루어지는 형상이 발생하며, 사랑의 빛과 같은 정보를 고차원의 정보라 한다. 이러한 정보는 고진동의 파장을 가지고 있는 정보이다.
질투, 증오, 불안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가 흐르게 되면 경락공간이 위축되고 공간구조가 왜곡되어 인체시스템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다양한 질병 등의 원인이 되므로 이를 저차원의 정보로 칭한다. 경락공간을 지나는 생체에너지(기)가 시각적인 정보 및 청각, 후각, 촉각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면 정보내용에 따른 경락공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경락의 확률공간이 평균적인 경락공간에 비하여 팽창된 모습을 하게 되어 있고, 경락공간의 장은 정보이동의 통로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경락공간 구조가 평균적으로 넓게 분포한다는 것은 정보의 보유량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락을 흐르는 생체에너지는 파동의 속성을 가지고 있어서 주변환경 정보의 영향을 받거나 미치기도 한다. 그러므로, 경락공간이 비교적 넓게 분포한다는 것은 주변환경과의 정보교류의 여지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주변환경에 경락공간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전달하기도 한다. 즉 일종의 동조현상으로서, 주변환경을 자신의 보습과 닮아가게 만들기도 한다.
반대로 수맥파나 전자파 등의 주변정보의 영향으로 경락구조가 왜곡되기도 하는데, 긍정적인 성격의 소유자의 경락공간은 생체에너지의 주된 흐름이 위에서 아래로 흘러 내려가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를 안정적인 경락구조라고 한다. 경락의 공간구조는 중앙집중적 확률분포를 이루고 있는 구조로서, 부정적인 성격의 소유자는 경락공간은 생체에너지의 흐름이 아래에서 위로 역상하는 흐름이 주된 구조의 방향이 되어 있으며, 이런 현상을 생체에너지(기)의 역상이라고 한다. 늘 이런 경락공간 구조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 대하여 저항을 하므로 경락구조에 역상구조를 만들게 된다.
지구라는 행성이나 거시적인 우주의 흐름은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듯이 흘러가는 것입니다. 예컨대 암 등의 심각한 질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경락구조가 강력한 역상구조가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암 등의 치유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정보전달 통로인 경락의 구조를 바로잡는 작업을 해야 하는 것이다.
남을 용서하기 힘들고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제반사항에 불만족스런 느낌을 마음속에 가두어두고 있는 성격의 소유자의 의식에너지가 포함하는 정보는 간의 경락 확률공간이 위축되고 기의 흐름에 장애가 생기며 간 기능이 저하되어 간 경화 등의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소유적이고 집착적인 욕구가 강한 사람의 의식 에너지의 파동의 정보가 위의 경락공간을 위축시키고 위장기능이 약화되어 위궤양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예컨대 미적인 욕구에 눈이 멀어 모유 대신에 프리스틱 젓꼭지를 물리는 나이론 사랑의 실천자의 의식에너지의 정보파동은 생리계통의 경락공간구조의 균형이 왜곡되어 유방암이나 자궁암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경락공간구조는 흐름속에 균형이 이루어져야 한다. 스트레스가 누적이 되어 신경질적인 성격의 의식에너지 파동의 정보는 신장의 경락공간구조의 비정상적 왜곡 및 위축을 초래하여 신장기능이 약화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경락 공간구조를 정상화시키기 위해서는 경락의 확률공간 구조의 균형을 바로 잡고 정상적인 모습으로 복원시키는 것이 인체시스템의 왜곡된 기능을 바로잡고 육체적인 질병치유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
경락공간 구조를 바로 잡는 방법으로서는 여러 가지 방안이 있을 수 있으나, 경락공간구조의 불균형된 부분을 보강하는 방식으로 균형을 일시적으로 맞출 수 있고, 음식 등의 식이요법으로 경락공간구조의 불균형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왜곡된 경락공간을 침구 등으로 자극하여 경락공간 구조의 왜곡을 시정하여 경락공간 구조에서 정보(기)의 흐름을 원활히 소통 되도록 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실제로, 일시적으로 넘어져서 삐거나 음식을 잘못 먹어 소화불량이 발생한 경우 등은 의식적인 정보의 영향보다는 불규칙적인 우연적인 사건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서 이런 경우의 경락공간구조의 왜곡에는 매우 효과가 있다.
그러나 무의식적인 습관의 선택적인 요인에서 경락공간 구조가 왜곡된 경우는 침구 등을 사용하는 것은 일시적으로 효과가 있을지는 모르나 근본적인 치유는 할 수가 없다.
경락공간구조의 왜곡을 시정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정상적인 생체에너지 정보를 왜곡된 경락공간에 투사하여 치유하는 방식이 있다. 이는 흔히 기공 등으로 생체에너지를 불어넣어 치유하는 방식이다. 또한 정상파동의 에너지를 기계적인 장치를 통하여 투사하는 방식도 있을 수 있다(파동공학적 장치를 사용하여).
실제로, 경락공간구조의 심각한 왜곡상태(암 등의 성인병)는 과거의 다양한 선택의 결과로 나타나는 것으로 무의식적인 습관적인 선택의 결과들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신체에 영향을 미치는 유해한 각종 전자기파로부터 신체를 방어하고 신체의 기의 순화 및 증진에 의해 인체면역능력을 고양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유해한 각종 전자기파 및 수맥파로부터 신체를 방어하고 신체의 기의 순화 및 증진시킬 수 있는 우주 에너지를 제공하는 물품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물품을 항상 신체에 부착 또는 소지함으로써 기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연 식물체 추출물의 제조공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도 2a, 2b, 2c, 도 3a, 도 3b, 도 3c,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연 식물체 추출물이 투여된 회전전자파(氣) 병을 들고 있는 경우와,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 및 방치상태의 뇌파(alpha-power)를 측정비교한 결과 그래프이다.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연 식물체 추출물이 투여된 회전전자파(氣) 병을 들고 있는 경우와 방치상태의 심전도를 측정비교한 결과 그래프이다.도 6은 도 4a 및 도 4b의 도면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참조도면이다.도 7은 도 5의 도면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참조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신체내에 생기와 활력소를 고양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는 천연 식물체 추출물이 제공된다. 상기 천연 식물체 추출물은 예컨대 그릇이나 각종 장신구 등의 귀금속제 또는 비귀금속제 물품을 용융성형시킬 때 미량 첨가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생체에너지를 고양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르면, 상기 천연 식물체 추출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되는 바, 그 방법은 다음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바이오 세라믹으로서의 80 내지 120 메쉬 그린스톤 분말 25 내지 35 중량부, 황토 분말 15 내지 25 중량부, 원적외석 분말 5 내지 15 중량부 및 지점토 분말 35 내지 45 중량부를 혼합하고 물 20 내지 30 부피부를 가해 반죽하는 단계;
상기 반죽을 사용하여 예정된 형상의 용기를 성형시키는 단계;
상기 성형된 용기를 1000℃의 가마에서 10 내지 15시간 소성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다시 1200℃의 가마에서 10 내지 15시간 소성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다시 1300℃의 가마에서 10 내지 15시간 소성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3차 소성단계;
상기 단계에서 성형된 용기에 유도화 25 내지 35 중량부 및 물 100 중량부를 넣고 100 내지 150℃의 온도로 5 시간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농축액을 회수하여 사용시까지 보관 및 저장하는 단계.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기 제 1의 태양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식물체 추출액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의 태양에 따르면, 상기 천연 식물체 추출액은 금속제 또는 귀금속제 식기 또는 장신구류의 용융 성형시에 첨가제로서 첨가되어 상기 물품들이 신체에 유익한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천연 식물체 추출액을 첨가하여 용융성형된 금속제 또는 귀금속제 물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식물체 추출액은 인체에 대한 유해한 전자기파의 영향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방의학서들에 따르면, 기의 운행은 신체의 상태에 영향을 미치며 그 전반적 조절은 신체 외부로부터의 기에 의해 다분히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기는 신체에 흐르는 미약한 정도의 생체전류를 측정함으로써 감지될 수 있으며, Quantum 사제 Quantum FAFA(모델명)은 이러한 생체 전기의 측정을 가능케 했다.
구체적으로, 상기 Quantum FAFA를 사용하면 생체공명 반응도를 해독할 수 있다. 상기 기기는 신체의 일부 또는 전체의 상태를 수치로 표시하도록 되어 있는데, Remedy-Materia의 선별을 위한 분석작업시 공명반응도의 기준은 공명주파수의 반응을 백분율로 수치화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나열한 것으로서, 백분율 수치는 평균 1~120(%) 정도까지이며, 최고 반응도 120/2 = 60으로서 중화 경계선에 해당하는 수치는 60이다. 중화 경계선 수치 60을 중심으로 120(%)에 접근된 수치에 해당할 경우에는 실증 또는 항진이라고 하는 고반응을 뜻하는 것이고, 중화 경계선 수치 60을 중심으로 1(%)에 접근된 수치에 해당할 경우에는 기능저하 또는 하중상태에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치는 파동에너지의 물질 공명도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며 에너지보존 법칙에 준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제조예
바이오 세라믹으로서 맥반석을 선택하여 100 메쉬 분말을 제조하였다. 분석 시험 결과 그 조성은 다음과 같았다: SiO2 14.9%, Al2O3 44.33%, Fe2O3 11.40%, Na2O 2.11%, K2O 1.07%, CaO 8.83%, MgO 14.78%, 강열함량 1.87%(시험방법:KS E 3806-93 사용, 한국 건자재 시험연구원, 1997.01.17).
상기 100메쉬 그린스톤 분말 3kg, 황토 분말 2kg, 원적외석 분말 1kg 및 지점토 분말 4kg을 혼합하고 물 2.5ℓ를 가해 반죽하였다. 상기 반죽으로 그릇 형상의 용기를 제작한 후 통풍이 잘되는 음지에서 건조시키고, 건조된 성형 용기를 1000℃의 가마에서 10시간 소성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다시 1200℃의 가마에서 12시간 소성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다시 1300℃의 가마에서 15시간 소성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상기 성형된 용기에 유도화 3kg 및 물 10 리터를 넣고 100 내지 150℃의 온도로 5 시간동안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제조한 후, 보관하였다가 그 수액을 반지의 제조 공정중에 2방울 떨어뜨려 첨가하였다. Quantum 사제 Quantum FAFA(모델명)을 사용하여 생체공명 반응도를 측정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지를 착용하기 전(평균 69.05)에 비해 착용 후에 측정된 값(평균 64.10)은 60에 보다 근접된 값으로서, 본 발명의 소기의 목적에 근접된 것으로 평가되었다.실시예 2: 시험예 1: 뇌파측정시험LAXTHA사의 8채널 전산화 유선 뇌파 측정 시스템(모델: LXE32O8)을 사용(뇌파 분석 및 3차원 뇌맵핑 프로그램( 모델: BrainMap-3D 2.0)하여, 동일 피험자(곽용대)가 전자파의 자극을 받기 전, 휴대전화를 5분간 사용한 후, 그리고 본원발명에 따른 식물체 추출물을 투여한 회전전자파 병을 손에 들고 있을 때의 3가지 경우의 뇌파(alpha-power)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a, 도 2b, 도 2c, 도 3a, 도 3b, 도 3c,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였다.결과 도 2a, 도 2b 및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휴대폰의 사용에 따른 전자기파의 영향을 받기 전의 뇌파(aplpha-power)는 휴대폰 사용후에 주파수 대역의 불안정 및 불균형 양상이 관찰되었고, 본원발명에 따른 식물체 추출물을 투여한 회전전자파 병을 손에 들고 있을 때에는 정상으로 회귀되면서 특히 20Hz 대역의 주파수가 하모니(harmony)파로서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3a, 도 3b 및 도 3c에서는 좌뇌와 우뇌의 뇌파 강도를 측정한 결과로서, 자극전에는 피험자의 좌뇌(0.055)와 우뇌(0.045) 수준이 휴대폰 사용중에 좌뇌(0.055)와 우뇌(0.055) 수준으로 상승하였는 바, 이는 휴대폰을 우측 귀에 사용함에 따라 휴대폰의 전자기파의 작용이 우뇌에 미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본원발명에 따른 식물체 추출물을 투여한 회전전자파 병을 손에 들고 있을 때에는 뇌파의 강도가 좌뇌(0.170)와 우뇌(0.150) 수준으로 약 3배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전자기파의 영향이 아니라 회전전자파에 의해 뇌 기능이 전반적으로 활성화되는데 따른 결과인 것으로 해석된다.마찬가지로, 도 4a 및 도 4b에서는 뇌파의 강도가, 자극전의 피험자의 좌뇌(0.20)와 우뇌(0.19) 수준이 본원발명에 따른 식물체 추출물을 투여한 회전전자파 병을 손에 들고 있을 때 좌뇌(0.31)와 우뇌(0.30) 수준으로 상승되어 뇌기능이 향상됨을 관찰할 수 있다.실시예 3: 시험예 2: 심전도 측정시험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자극전의 피험자의 심전도를 본원발명에 따른 식물체 추출물을 투여한 회전전자파 병을 손에 들고 있을 때의 심전도와 비교측정하고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극전의 심전도는 스트레스, 긴장 등에 의해 측정치의 심한 고저를 나타내었으나, 본원발명에 따른 식물체 추출물을 투여한 회전전자파 병을 손에 들고 있을 때의 심전도는 극단적인 양상이 완화된 상태의 심전도 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도 6과 도 7은 각각 도 4a 및 도 4b와 도 5의 도면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참조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라 천연 식물체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상기 천연 식물체 추출액을 첨가하여 용융성형된 금속제 또는 귀금속제 물품이 제공됨으로써, 신체에 생기와 활력을 제공하고 유해한 전자기파 수맥파 등의 영향을 방어하여 전체적으로는 신체의 면역능력을 증강시킬 수 있는 유익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5)

  1. 천연 식물체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이오 세라믹으로서의 80 내지 120 메쉬 그린스톤 분말 25 내지 35 중량부, 황토 분말 15 내지 25 중량부, 원적외석 분말 5 내지 15 중량부 및 지점토 분말 35 내지 45 중량부를 혼합하고 물 20 내지 30 부피부를 가해 반죽하는 단계;
    상기 반죽을 사용하여 예정된 형상의 용기를 성형시키는 단계;
    상기 성형된 용기를 1000℃의 가마에서 10 내지 15시간 소성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다시 1200℃의 가마에서 10 내지 15시간 소성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다시 1300℃의 가마에서 10 내지 15시간 소성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3차 소성단계,
    상기 단계에서 성형된 용기에 유도화 25 내지 35 중량부 및 물 100중량부를 넣고 100 내지 150℃의 온도로 5시간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농축액을 회수하여 사용시까지 보관 및 저장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에너지를 제공하는 천연 식물체 추출액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따른 방법으로 얻어진 천연 식물체 추출액.
  3. 제 2항에 있어서, 금속제 식기 또는 장신구류의 용융성형시에 미량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식물체 추출액.
  4. 제 2항에 따른 천연 식물체 추출액을 첨가하여 용융 성형된 금속제 물품.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인체에 대한 유해한 전자기파 및 수맥파의 영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식물체 추출액.
KR10-2001-0015509A 2001-03-24 2001-03-24 천연 식물체 추출액 및 그 추출방법과, 그 천연 식물체 추출액을 첨가하여 용융 성형된 금속제 물품 KR100432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509A KR100432095B1 (ko) 2001-03-24 2001-03-24 천연 식물체 추출액 및 그 추출방법과, 그 천연 식물체 추출액을 첨가하여 용융 성형된 금속제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509A KR100432095B1 (ko) 2001-03-24 2001-03-24 천연 식물체 추출액 및 그 추출방법과, 그 천연 식물체 추출액을 첨가하여 용융 성형된 금속제 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818A KR20020075818A (ko) 2002-10-07
KR100432095B1 true KR100432095B1 (ko) 2004-05-17

Family

ID=27698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509A KR100432095B1 (ko) 2001-03-24 2001-03-24 천연 식물체 추출액 및 그 추출방법과, 그 천연 식물체 추출액을 첨가하여 용융 성형된 금속제 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20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3630A (ko) * 1994-01-26 1995-08-18 박우영 게르마늄 성분이 함유된 맥반석분말을 이용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KR960040193A (ko) * 1995-05-11 1996-12-17 황도성 광물 및 식물성 물질로부터 인체에 유용한 성분을 투명액상으로 추출하는 방법
KR20000009151A (ko) * 1998-07-22 2000-02-15 신용길 중탕제조기 및 중탕을 이용한 농축액 제조방법
KR200217950Y1 (ko) * 2000-08-14 2001-03-15 김한상 광물혼합체로된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3630A (ko) * 1994-01-26 1995-08-18 박우영 게르마늄 성분이 함유된 맥반석분말을 이용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KR960040193A (ko) * 1995-05-11 1996-12-17 황도성 광물 및 식물성 물질로부터 인체에 유용한 성분을 투명액상으로 추출하는 방법
KR20000009151A (ko) * 1998-07-22 2000-02-15 신용길 중탕제조기 및 중탕을 이용한 농축액 제조방법
KR200217950Y1 (ko) * 2000-08-14 2001-03-15 김한상 광물혼합체로된 조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818A (ko) 200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vrikar et al. Introduction to ‘rasashaastra’-the iatrochemistry of ayurveda
JP2008545758A (ja) 元素金属を含む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KR100432095B1 (ko) 천연 식물체 추출액 및 그 추출방법과, 그 천연 식물체 추출액을 첨가하여 용융 성형된 금속제 물품
CN112314634A (zh) 一种婴幼儿用蚊香及其制备方法
CN102578327A (zh) 一种银耳茶的原料配方及其制备工艺
Skrabanek Preventive medicine and morality
CN106957728A (zh) 艾草蜡烛的加工工艺
CN100502976C (zh) 光波磁能抗菌结合的保健品的制造方法
CN2287032Y (zh) 一种镇静催眠饼干
CN103960930A (zh) 一种中草药保健枕头
JP7364224B2 (ja) 身体活性化作用を有する身体装着具
CN107692419A (zh) 一种保健薰衣草挂件及其制备方法
CN106982992A (zh) 眼镜蛇的饲养饲料
CN1060211A (zh) 用中草药制造治疗烧伤、烫伤药的方法
CN101069701B (zh) 蚂蚁灵芝颗粒及其制作方法
KR101640515B1 (ko) 옥과 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장신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07089622A (ja) 装身具とその製造方法
US20110074068A1 (en) Method for sintering anhydrous calcium sulfate as biomedical material
Estafanous et al. Culture, Ethnicity, and Sleep Patterns and Disorders
KR100361382B1 (ko) 한방약제 및 한방약제 제조방법
KR0167317B1 (ko) 연옥분이 함유된 정수기용 필터
KR0150117B1 (ko) 자성 바이오 세라믹과 그 세라믹으로 성형되는 용기체
CN106420900A (zh) 药疗按摩捶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101268A (zh) 助眠枕头的填充物及助眠枕头
KR100445702B1 (ko) 옥세립자팩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