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776B1 - Hub Device Having Removable Port Units - Google Patents

Hub Device Having Removable Port Uni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776B1
KR100430776B1 KR10-2002-0028716A KR20020028716A KR100430776B1 KR 100430776 B1 KR100430776 B1 KR 100430776B1 KR 20020028716 A KR20020028716 A KR 20020028716A KR 100430776 B1 KR100430776 B1 KR 100430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ub device
port
power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7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90420A (en
Inventor
김정규
이철희
이국순
Original Assignee
삼우통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우통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우통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8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776B1/en
Publication of KR20030090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4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77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40Constructional details, e.g. power supply, mechanical construction or backplane
    • H04L49/405Physical details, e.g. power supply, mechanical construction or backplane of ATM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3Power distribu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5Backplane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허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통신회선을 수용하여 상기 통신회선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분배 및 집결하는 허브장치를 대상으로 한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하나 이상의 상기 통신회선에 접속되는 포트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포트제어 기판 및 본체와 결착하기 위한 제1 결착수단을 포함하는 포트 유니트; 및 복수의 상기 포트 유니트의 상기 제1 결착수단과 탈착가능하게 결착할 수 있는 복수의 제2 결착수단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허브장치 전체를 추가할 필요없이, 단지 포트 유니트만 추가함으로써, 네트워크의 변화에 따라 용이하게 입력 및 출력 포트 수를 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b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ub device that receiv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lines and distributes and aggregates data from the communication lines. In this configuration, a port unit including a port control board for controlling data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port connected to at least one communication line and a first binding means for binding with the main body; And a main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binding means detachably attachable to the first fastening means of the plurality of port units,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to add the entire hub device. By adding only port units, the number of input and output ports can be easily added or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network.

Description

탈착식 포트 유니트를 구비한 허브장치{Hub Device Having Removable Port Units}Hub Device Having Removable Port Units

본 발명은 허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포트 유니트가 탈착식으로 본체에 부가 또는 제거될 수 있는 허브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b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ub device that a plurality of port units can be added or removed to the main body detachably.

허브장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한 방향 또는 여러 방향으로부터 들어오는 데이터를 한군데 장소로 모이게 하거나, 들어온 데이터를 다시 한 방향 또는 그 이상의 여러 방향으로 전달하는 중간 다리의 역할을 수행하여 컴퓨터사이의 네트워크 연결, 근거리의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 라우터 등의 네트워크 장비의 연결, 네트워크 상태 점검, 신호 증폭 기능 등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네트워크 장비이다. 허브장치는 일반적으로 각 노드를 트리구조로 연결하는데 많이 사용되며 케이블링의 간소화 및 이동의 편리함과 더불어 LAN에 있어서 통합회선 관리를 목적으로 한다. 허브장치 중에서 더미허브(dummy hub)라 불리는 장치는 신호의 증폭과 재생기능을 하는 리피터와 유사한 기능을 하면서 각 노드들을 집중화하는 장비였지만, 현재는 점차 발전해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을 이용, 관리 기능까지 제공하는 지능형 허브 및 포트와 포트간의 브릿지 기능을 제공하는 스위칭 허브로 발전하고 있다.The hub device acts as an intermediate bridge that collects data from one or more directions into one place in a network environment, or delivers incoming data in one or more directions. It is an essential network device to connect with other networks, connect network devices such as routers, check network status, and amplify signals. Hub devices are generally used to connect each node in a tree structure, and are aimed at simplifying cabling and convenience of movement, as well as integrated line management in a LAN. Among the hub devices, a device called a dummy hub is a device that centralizes each node with a function similar to a repeater for amplifying and reproducing a signal. However, it has been gradually developed and managed using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It is evolving into an intelligent hub that provides functionality and a switching hub that provides port-to-port bridge functionality.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허브장치를 설명한다. 먼저, 종래의 허브장치(10)는 네트워크의 집중 또는 분산을 위해 각각의 통신회선이 접속되는 포트입력단자(12)의 수가 결정되어 있다. 통상적인 허브장치(10)가 제공하는 포트수는 4,8,12,16,20,24 또는 32 포트 등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8개의 포트가 필요한 경우 8개 포트를 지원하는 허브장치(10)를 사용하다가, 4개의 포트가 필요없게 되어 4개의 포트만 필요한 경우에도 8개의 포트를 지원하는 허브장치(10)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나머지 4개의 포트를 위한 포트입력 단자 및 각 포트로 들어오는 신호에 대해 증폭, 스위칭, 또는 브릿징을 수행하기 위한 포트제어 회로에 대한 비용을 불가피하게 부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16 포트지원 허브장치(1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네트워크의 수가 증가하여 20개의 포트가 필요한 경우, 상기 16 포트지원 허브장치를 24 포트지원 허브장치로 대체하거나, 사용하는 16 포트지원 허브장치가 스태커블(stackable) 허브장치인 경우, 16 포트지원 허브장치를 추가하여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추가적인 비용부담을 감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hub device will be described. First, in the conventional hub device 10, the number of port input terminals 12 to which each communication line is connected is determined for the purpose of centralization or distribution of the network. The number of ports provided by the conventional hub device 10 is generally 4, 8, 12, 16, 20, 24 or 32 ports. Therefore, the user uses the hub device 10 that supports eight ports when eight ports are required, and then uses the hub device 10 that supports eight ports even if only four ports are needed since four ports are not need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ort input terminal for the remaining four ports that are not actually used and a port control circuit for amplifying, switching, or bridging the signals coming into each port are inevitably incurred. .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user using the 16-port hub device 10, when the number of networks increases and 20 ports are required, the 16-port hub device may be replaced with a 24-port hub device or used. If the 16-port hub device is a stackable hub device, the 16-port hub device should be added and used. In this case, as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user has to bear additional cost.

둘째, 종래의 허브장치(10)의 케이스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 및 상측면이 개방되어 있지 않을 뿐 아니라, 포트제어 및 전원제어를 위한 내부기판(14 : 도 1에서 파선으로 표시한 부분)이 허브장치(10)의 저면에 대해 평행으로 형성이 되기 때문에, 냉각팬을 통해 냉각공기를 대류시키는 통신장비용 랙(rack)에 수장하여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다. 네트워크 장비는 리피터, 라우터, 방화벽등 다양한 장비가 연결되어 사용이 되기 때문에, 관리의 효율을 높이고, 배선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신장비용 랙에 수장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통신장비용 랙은 상부에 냉각팬을 갖추고 있는데, 냉각팬에서 발생하는 냉각공기가 랙에 수장되는 네트워크 장비를 효과적으로 냉각하기 위해서는, 수장되는 네트워크 장비는 상측면 및 저면을 통해 공기가 대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종래의 허브장치(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측부 및 저면이 폐쇄되었을 뿐 아니라 내부기판(14)이 이러한 냉각공기의 대류를 방해하기 때문에 통신장비용 랙에 사용하기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종래의 허브장치(10)는 통신장비용 랙안에 수장되지 못하고, 랙의 측면부에 부착되거나 별도의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랙에 수장되는 다른 장비와의 연결을 위한 배선이 복잡해지고, 발열량이 많은 지능형 허브나 스위칭 허브의 경우는 별도의 냉각팬을 내부에 구비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Second,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hub device 10 is not only the bottom and the upper surface is open as shown in Figure 1, but also the internal substrate 14 for port control and power control (indicated by a broken line in Figure 1) Part) is formed parallel to the bottom of the hub device 10, and therefore is not suitable for use in a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that convections cooling air through a cooling fan. Network equipment is connected to various equipment such as repeaters, routers, firewalls, etc., so that it is often used in racks for communication equipment to improve management efficiency and prevent complicated wiring. The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has a cooling fan at the top, and in order for the cooling air generated by the cooling fan to effectively cool the network equipment stored in the rack, the stored network equipment is capable of convection of air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t is desirable to have a structure. However, the hub device 10 of the related art is not suitable for use in a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because the upper part and the bottom are clos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internal substrate 14 prevents the convection of the cooling air. Therefore, the conventional hub device 10 is not stored in the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and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rack or installed in a separate place, and thus wiring for connection with other equipment stored in the rack becomes complicated. In the case of an intelligent hub or a switching hub, which generates a large amount of heat,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cooling fan must be provided inside.

마지막으로, 종래의 허브장치(10)는 일반적인 가정용 교류 전압(100V~220V)을 공급전압으로 입력(16)받기 때문에, 랙에서 공급하는 -48V 직류 전압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통신장비용 랙은 전원배선이 복잡하게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고, 직류전원을 내부전원으로 사용하는 대부분의 통신장비가 자체적인 전원장치를 통해 교류 입력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바꾸는 전원장치를 부가하지 않도록, 통신장비용 랙은 교류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체적인 전원회로를 통해 직류로 변환하여 랙에 수장되는 통신장비에 공급토록 설계된다. 그러나, 종래의 허브장치(10)는 교류전원을 입력전원으로 사용하고 내부에 직류변환회로를 구비함으로써, 통신장비용 랙에 사용하기 부적당할 뿐 아니라,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Lastly, since the hub device 10 receives the input of the general household AC voltage (100V to 220V) 16 as a supply voltage, there is a problem that a -48V DC voltage supplied from the rack cannot be used. The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prevents the power wiring from being complicatedly connected, and most communication equipment that uses DC power as an internal power supply does not add a power supply that converts AC input voltage to DC voltage through its own power supply. The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is designed to convert power supplied by AC into direct current through its own power circuit and supply it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stored in the rack. However, the conventional hub device 10 uses AC power as an input power source and includes a DC conversion circuit therein, which is not only suitable for use in a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but also increases the production cost.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회로를 포트별 제어회로로 분할한 포트 유니트를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결착하여 지원포트수를 자유로이 가감할 수 있는 허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hub device capable of freely adding or subtracting a number of support ports by detachably attaching a port unit in which an internal circuit is divided into a control circuit for each port.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르면, 내부회로를 본체의 저면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하고, 본체의 상부면 및 저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개방함으로써, 통신장비용 랙에 사용하기 적합한 허브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n internal circuit perpendicular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by opening part or all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main body, to provide a hub device suitable for use in racks for communication equipment Has a different purpose.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르면, 통신장비용 랙에서 공급하는 직류전원을 공급전원으로 사용하여 통신장비용 랙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허브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Final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hub device suitable for use in a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by using a DC power supplied from the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as the supply power.

도 1은 종래의 허브장치의 후측부를 도시하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rear side of a conventional hub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허브장치의 전측부를 도시하는 도면.2 shows a front side of a hub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허브장치의 후측부를 도시하는 도면.3 shows a rear side of a hub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포트 유니트를 도시하는 도면.4A shows a 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전원공급 유니트를 도시하는 도면.4B illustrates a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허브장치가 랙에 수장되는 태양을 도시하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hub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a rack.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 : 종래의 허브장치 20 : 본체10: conventional hub device 20: main body

22 : 거치수단 26 : 랙 결착수단22: mounting means 26: rack fastening means

30,32,34,36 : 포트 유니트 38 : 전원공급 유니트30, 32, 34, 36: port unit 38: power supply unit

40 : 통신장비용 랙 54 : 포트입력 단자40: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54: port input terminal

56 : 포트제어 기판 58 : 전원입력수단56 port control board 58 power input means

64 : 외부전원입력 단자 66 : 전원제어 기판64: external power input terminal 66: power control board

68 : 전원출력수단68: power output mean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통신회선을 수용하여 상기 통신회선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분배 및 집결하는 허브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통신회선과 접속하는 포트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포트제어 기판 및 본체와 결착하기 위한 제1 결착수단을 포함하는 포트 유니트; 및 복수의 상기 포트 유니트의 상기 제1 결착수단과 탈착가능하게 결착할 수 있는 복수의 제2 결착수단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hub device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lines to distribute and aggregat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lines, the hub device for controlling data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port connecting to at least one communication line A port unit including a first binding means for binding the control board and the main body; And a main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binding means tha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binding means of the plurality of port units.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허브장치의 전측면 및 후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각각 포트 유니트 및 전원 유니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허브장치는 본체(20) 및 본체에 장착되는 포트 유니트(30,32,34,36)로 구성된다. 포트 유니트(30,32,34,36)는 하나 이상의 포트를 제어하기 위한 포트제어 기판(56) 및 본체와 결착하기 위한 제1 결착수단을 포함하고, 본체(20)는 복수의 포트 유니트(30,32,34,36)의 제1 결착수단과 탈착가능하게 결착할 수 있는 복수의 제2 결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2 and 3 respectively show a front side and a rear side of a hub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A and 4B show a port unit and a power unit, respectively. The hub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20 and port units 30, 32, 34 and 36 mounted on the main body. The port units 30, 32, 34, 36 include a port control board 56 for controlling one or more ports and first binding means for binding with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20 includes a plurality of port units 30. It comprises a plurality of second binding means tha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binding means of (32, 34, 36).

포트제어 기판(56)은 포트 입력단자(54)로 입력 또는 출력되는 데이터신호를 증폭하거나, 입력되는 신호를 다른 통신장비에서 처리하기 적합한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포트 유니트(30,32,34,36)는 포트제어 기판(56)에 의해 제어되는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전송선로와 허브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포트 입력단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포트 입력단자(54)는 도면에 도시된 TP(twist pair)라인을 위한 RJ-45 잭 용 커넥터 뿐만 아니라, 광케이블, 동축케이블을 포함한 기타 전송라인을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 일 수 있다.The port control board 56 amplifies a data signal input or output through the port input terminal 54 or converts the input signal into a signal suitable for processing by another communication device. Preferably, the port unit 30, 32, 34, 36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port input terminal for connecting the hub device and the transmission line through which the data controlled by the port control board 56 is input and output. Can be. The port input terminal 54 may be a connector for accommodating other transmission lines including an optical cable and a coaxial cable, as well as a connector for an RJ-45 jack for a TP (twist pair) line shown in the drawing.

본 실시례에서는 하나의 포트 유니트(30,32,34,36)는 4개의 포트 입력단자(54)를 구비하지만, 포트 입력단자의 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체(20)에 수장되는 각각의 포트 유니트(30,32,34,36)들은 모두 동일한 수의 포트를 지원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제1 포트 유니트(30)는 1개의 포트, 제2 포트 유니트(32)는 4개의 포트 등으로 각 포트 유니트(30,32,34,36)마다 지원하는 포트의 수는 다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one port unit 30, 32, 34, 36 includes four port input terminals 54, but the number of port input terminals is not limited. In addition, each of the port units 30, 32, 34, and 36 stored in the main body 20 does not have to support the same number of ports. For example, the first port unit 30 may include one port and a first port. The two-port unit 32 is four ports or the like, and the number of ports supported by each port unit 30, 32, 34, 36 may be different.

바람직하게는, 본체(20)는 결착되는 포트 유니트(30,32,34,36)의 포트제어기판(56)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배선장치(24)를 더 포함하고, 포트 유니트(30,32,34,36)는, 본체(20)와 결착된 상태에서 전원공급 배선장치(24)와 접속되는 전원입력 수단(5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입력 수단(58)과 전원공급 배선장치(24)는 각각 암, 수 커넥터와 같이 전기적인 접속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구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각각의 포트 유니트(30,32,34,36)마다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본체(20)에 구비된 전원공급장치에서 출력되는 내부전원을 본체(20)에 구비된 전원공급 배선장치(24)를 통해 각 포트 유니트(30,32,34,36)에 구비된 전원입력 수단(58)을 통해 내부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Preferably, the main body 20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wiring device 24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 control board 56 of the port units 30, 32, 34, 36 to be attached, and the port unit ( 30, 32, 34, and 36 may further include power input means 58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wiring device 24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20 is attached. The power input means 58 and the power supply wiring device 24 are implemented as a means capable of stably maintaining electrical connections, such as female and male connector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ternal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device provided in the main body 20, without having to provide a separate power supply device for each port unit (30, 32, 34, 36) Through the power supply wiring device 24 provided in 20, internal power may be supplied through the power input means 58 provided in each of the port units 30, 32, 34, and 36.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트 유니트(30,32,34,36)와 유사한 형태의 전원공급 유니트(38)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공급 유니트(38)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입력전원을 입력받는 외부입력전원 단자(64), 외부입력전원을 각각의 포트 유니트(30,32,34,36)에서 사용하는 내부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제어 기판(66), 본체와 결합하기 위한 제3 결착수단, 및 본체와 결착된 상태에서 전원공급 배선장치(24)로 내부전원을 출력하는 전원출력수단(68)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본체(20)는, 전원공급 유니트(38)의 제3 결착수단과 탈착가능하게 결착할 수 있는 제4 결착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전체 허브장치를 교체할 필요 없이, 단지 전원공급 유니트(38)만 직류용에서 교류용으로 교체함으로써, 직류전원을 공급전원으로 사용하는 허브장치의 공급전원을 교류전원으로 교체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power supply device may be configured as a power supply unit 38 in a similar form to the port units 30, 32, 34, and 36.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B, the power supply unit 38 uses an external input power terminal 64 for receiving external input power and an external input power in each of the port units 30, 32, 34, and 36. A power control board 66 for converting into an internal power source, a third fastening means for coupling with the main body, and a power output means 68 for outputting internal power to the power supply wiring device 24 in a state of being bound with the main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In this case, the main body 20 further includes a fourth fastening means capable of detachably attaching to the third fastening means of the power supply unit 38.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y replacing only the power supply unit 38 for direct current to alternating current, there is no need to replace the entire hub device, the supply power of the hub device using the direct current power supply power supply to the AC power supply It can be replaced.

본체(20)는 전원공급장치뿐 아니라 각 포트 유니트(30,32,34,36)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회로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능형 허브 또는 스위칭 허브장치의 경우, 포트전체의 데이터를 제어하여 서로 다른 포트 유니트(30,32,34,36)에 구비되는 포트간의 스위칭 또는 브릿징을 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본체(20)에 구비할 수 있다.The main body 20 may further include a circuit commonly used in each of the port units 30, 32, 34, and 36 as well as the power supply devi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intelligent hub or switching hub device, a control circuit for switching or bridging between ports provided in different port units 30, 32, 34, and 36 by controlling data of the entire port is provided. 20) can be provided.

포트 유니트(30,32,34,36)에 구비되는 제1 결착수단 및 전원공급 유니트(38)에 구비되는 제3 결착수단과 본체(20)에 구비되는 제2 결착수단 및 제4 결착수단은 본체(20)에 각 유니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예를 들어, 슬롯 및 돌기, 또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유니트(30,32,34,36,38)와 본체(2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 구현한다.The first fastening means provided in the port units 30, 32, 34 and 36, the third fastening means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unit 38 and the second fastening means and the fourth fastening means provided in the main body 20 are As a means for stably supporting each unit in the main body 20, for example, the unit 30, 32, 34, 36, 38 such as slots and protrusions or bolts and nuts, and the main body 20 stably Implement as a means of fixing.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허브장치가 통신장치용 랙(40)에 수장되는 태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아랫방향의 화살표는 포트 유니트(30,32,34,36)가 본체(20)에 삽입되는 방향을 표시하고, 통신장비용 랙(40)을 향하는 화살표는 허브장치가 통신장비용 랙(40)에 삽입되는 방향을 표시한다. 그런데, 통신장비용 랙(40)의 냉각팬에서 발생하는 냉각공기가 허브장치를 포함한 수장된 각 통신장비에 원활히 공급되기 위해서는, 포트제어 기판(56) 및 전원제어 기판(66)은, 본체(20)에 수장되었을 때, 본체(20)의 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본체(20)는 저면 및 상부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허브장치는 랙(40)에서 제공되는 냉각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뿐 아니라, 허브장치 내부의 회로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hub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the rack 40 for the communication device. Here, the downward arrow indicat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rt units 30, 32, 34, and 36 ar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20, and the arrow pointing toward the rack 40 for the communication equipment indicates that the hub device is the rack for the communication equipment. Indicates the direction of insertion. However, in order for the cooling air generated in the cooling fan of the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40 to be smoothly supplied to each of the stored communication equipment including the hub device, the port control board 56 and the power control board 66 may include a main body ( When stored in 20), it is preferred that the body 20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20, and the main body 20 is open as shown in part or all of the bottom and top surfaces. According to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hub devic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low of cooling air provided from the rack 40,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circuit inside the hub device.

더욱 바람직하게는, 허브장치는 통신장비용 랙(60)과 결착하기 위한 랙 결착수단(26) 및 본체(20)와 결착하기 위한 제5 결착수단을 포함하는 거치수단(22)을 더 포함하되, 본체(20)는 거치수단(22)과 탈착가능하게 결착하기 위한 제6 결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랙 결착수단(26)은 도 5에 예시된 나사구멍 및 나사와 같이 랙(40)에 안정적으로 허브장치를 결착할 수 있는 수단으로 구현하고, 본체(20)와 거치수단(22)의 결착을 위해 제5 결착수단 및 제6 결착수단은 예를 들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탈착 가능한 결착수단으로 구현한다. 통신장비용 랙(40)의 국제규격은 랙에 수장되는 통신장비의 넓이를 19인치, 21인치, 23인치로 규정하는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19인치, 21인치, 23인치 넓이의 거치수단(22)만 교체함으로써, 다른 넓이를 지원하는 랙(40)에 자유로이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More preferably, the hub device further includes a mounting means 22 including a rack fastening means 26 for fastening with the rack 60 for communication equipment and a fifth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with the main body 20. The main body 20 may further include a sixth binding means for detachably attaching to the mounting means 22. The rack fastening means 26 is implemented as a means for stably fastening the hub device to the rack 40, such as the screw hole and the screw illustrated in FIG. 5, and the fastening of the main body 20 and the mounting means 22 For example, the fifth and sixth binding means may be implemented by detachable binding means such as bolts and nuts. The international standard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rack 40 defines the width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stored in the rack to 19 inches, 21 inches, 23 inches,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ser, if necessary, 19 inches, 21 inches, 23 By replacing only the mounting means 22 of the inch wid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freely compatible with the rack 40 supporting different widths.

랙 결착수단(26)이 도 2에 예시된 바과 같이 전면부에 장착되는 경우, 랙 결착수단은 통신상태 표시창(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상태 표시창(28)은 LED 와 같은 발광소자에서 방출하는 빛을 외부로 통과시키는 구조로 형성이 되는데, 통신상태 표시창(28)의 빛의 색깔 또는 점멸을 통해 각 포트유니트의 전원상태 및 통신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When the rack fastening means 26 is mounted to the front portion as illustrated in FIG. 2, the rack fasten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status display window 28. The communication status display window 28 is formed to pass the light emitted from a light emitting device such as an LED to the outside, the power state and communication status of each port unit through the color or flashing light of the communication status display window 28 You can check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허브장치는 통신장비용 랙(40)에서 제공되는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각각의 포트 유니트(30,32,34,36)로 공급할 수 있다. 통신장비용 랙(40)은 일반 교류전압을 입력받아 통상적으로 -48V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랙(40)에 수장되는 통신장비로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허브장치는 별도의 직류변환장치을 구비하지 않고, 바로 랙(40)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More preferably, the hub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pplied to each port unit (30, 32, 34, 36) by receiving the DC power provided from the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40). The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40 receives a general AC voltage is converted to a -48V DC voltage typically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stored in the rack 40. 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hub device does not have a separate DC convert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rack 40 can be used directl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허브장치는 포트 유니트를 본체에 탈착식으로 가감함으로써, 네트워크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체 장비를 교체하는 비용보다 저렴하게 지원 포트 수를 증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르면, 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내부기판 및 저면 및 상부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되는 본체에 의해, 통신장비용 랙이 제공하는 냉각공기를 효율적으로 대류시킴과 아울러 허브장치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르면, 허브장치의 전원장치는 랙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바로 사용함으로써, 허브장치는 랙에 수장이 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직류변환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네트워크 장비가 복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배선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ub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lexibly cope with changes in the network by attaching and detaching a port unit to the main body, and can increase the number of supported ports at a lower cost than replacing the entire equipment. It has an effect. 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internal substrate which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main body of which part or all of the bottom and the top surface is opened, efficiently convection the cooling air provided by the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and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hub device. Last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of the hub device is used directly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rack, the hub device can be used in the rack,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DC conversion device If the network equipment is used in combin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wiring is complicated.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In addi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dditions, etc.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scope of the claims You will have to look.

Claims (15)

복수의 통신회선을 수용하여 상기 통신회선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분배 및 집결하는 허브장치에 있어서,A hub device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lines to distribute and aggregat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lines, 하나 이상의 상기 통신회선에 접속되는 포트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포트제어 기판 및 본체와 결착하기 위한 제1 결착수단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포트 유니트; 및A plurality of port units each including a port control board for controlling data input and output through at least one por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and first binding means for binding with a main body; And 상기 복수의 포트 유니트의 상기 제1 결착수단과 탈착가능하게 결착할 수 있는 복수의 제2 결착수단을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장치.And 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means capable of being detachably fastened with the first fastening means of the plurality of port unit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포트 유니트는 하나 이상의 포트 입력단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장치.The port un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port input termin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본체는 상기 포트제어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배선장치를 더 포함하고;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wiring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 control board; 상기 포트 유니트는 상기 본체와 결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공급 배선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장치.And the port unit further includes a power input mea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wiring device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main body.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허브장치는 외부입력전원을 입력받는 외부입력전원 단자, 상기 외부입력전원을 각각의 상기 포트 유니트에서 사용하는 내부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제어 기판, 본체와 결합하기 위한 제3 결착수단, 및 상기 본체와 결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공급 배선장치로 상기 내부전원을 출력하는 전원출력수단을 포함하는 전원공급 유니트를 더 포함하되;The hub device includes an external input power terminal for receiving external input power, a power control board for converting the external input power into internal power used in each of the port units, third binding means for coupling with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And a power supply unit including a power output means for outputting the internal power to the power supply wiring device in a state where it is coupled with the power supply wiring device. 상기 본체는, 상기 전원공급 유니트의 상기 제3 결착수단과 탈착가능하게 결착할 수 있는 제4 결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장치.The main body is a hub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fourth fastening means tha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third fastening means of the power supply uni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포트제어 기판은 상기 본체에 수장되었을 때, 상기 본체의 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고;The port control substrate is formed perpendicular to a bottom of the main body when the port control substrate is stored in the main body; 상기 본체는 저면 및 상부면이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장치.The main body is a hub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and the top surface is partially or all open.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전원제어 기판은 상기 본체에 수장되었을 때, 상기 본체의 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고;The power supply control substrate is formed perpendicular to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when the main power control substrate is stored in the main body; 상기 본체는, 저면 및 상부면이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장치.The main body is a hub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and the top surface is partially or entirely ope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허브장치는 통신장비용 랙과 결착하기 위한 랙 결착수단 및 상기 본체와 결착하기 위한 제5 결착수단을 포함하는 거치수단을 더 포함하고,The hub device further includes a mounting means including a rack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with the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and a fifth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with the main body, 상기 본체는 상기 거치수단과 탈착가능하게 결착하기 위한 제6 결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장치.The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 sixth binding means for detachably binding with the mounting mean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본체는 통신장비용 랙이 제공하는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각각의 상기 포트 유니트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장치.The main body is a hub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upplying the DC power provided by the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to each of the port units. 복수의 통신회선을 수용하여 상기 통신회선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분배 및 집결하는 허브장치에 있어서,A hub device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lines to distribute and aggregat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lines, 본체의 저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내부회로 기판;At least one internal circuit board form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of the body; 상기 내부회로 기판을 수장하고, 저면 및 상측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된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장치.And a main body which accommodates the internal circuit board and which has at least part of the bottom and top portions thereof open.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허브장치는 통신장비용 랙이 제공하는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각각의 상기 내부회로 기판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장치.The hub device is a hub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upplying the DC power provided by the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to each of the internal circuit board.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상기 허브장치는 통신장비용 랙과 결착하기 위한 랙 결착수단 및 상기 본체와 결착하기 위한 제7 결착수단을 포함하는 거치수단을 더 포함하되;The hub device further includes a mounting means including a rack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with the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and a seventh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with the main body; 상기 본체는 상기 거치수단과 탈착가능하게 결착하기 위한 제8 결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장치.The main body is a hub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ighth binding means for detachably binding with the mounting means. 복수의 통신회선을 수용하여 상기 통신회선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분배 및 집결하는 허브장치에 있어서,A hub device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lines to distribute and aggregat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lines, 통신장비용 랙이 제공하는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내부회로에서 사용하는 내부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장치.Hub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supply for receiving a DC power provided by the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converted to the internal power used in the internal circuit.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직류전원은 -5 ~ -48 V 의 직류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장치.The DC power supply is a hub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C voltage of -5 ~ -48V.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통신장비용 랙과 결착하기 위한 랙 결착수단 및 상기 본체와 탈착가능하게 결착하기 위한 제9 결착수단을 포함하는 거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장치.And a mounting means including a rack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with the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and a ninth fastening means for detachably fastening with the main body. 제 7 항, 제 11 항 및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11 and 14, 상기 거치수단은 통신상태 및 전원상태를 표시하는 통신상태표시창을 전면부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장치.The mounting means is a hub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status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the communication status and power status.
KR10-2002-0028716A 2002-05-23 2002-05-23 Hub Device Having Removable Port Units KR1004307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716A KR100430776B1 (en) 2002-05-23 2002-05-23 Hub Device Having Removable Port Uni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716A KR100430776B1 (en) 2002-05-23 2002-05-23 Hub Device Having Removable Port Unit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276U Division KR200285383Y1 (en) 2002-05-28 2002-05-28 Hub Device Having Removable Port Uni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420A KR20030090420A (en) 2003-11-28
KR100430776B1 true KR100430776B1 (en) 2004-05-17

Family

ID=32384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716A KR100430776B1 (en) 2002-05-23 2002-05-23 Hub Device Having Removable Port Uni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77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196U (en) * 1998-12-30 2000-07-25 윤종용 Hub power supply
JP2001186161A (en) * 1999-12-22 2001-07-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Hub for multimedia port and information wiring system using the same
JP2001217023A (en) * 2000-01-31 2001-08-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Junction modular jack terminal strip for multi-media ports
KR20010111067A (en) * 2001-10-31 2001-12-15 류호성 Multy Hub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196U (en) * 1998-12-30 2000-07-25 윤종용 Hub power supply
JP2001186161A (en) * 1999-12-22 2001-07-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Hub for multimedia port and information wiring system using the same
JP2001217023A (en) * 2000-01-31 2001-08-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Junction modular jack terminal strip for multi-media ports
KR20010111067A (en) * 2001-10-31 2001-12-15 류호성 Multy Hu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420A (en) 200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2653B2 (en) Wall-mounted network outlet
US6154774A (en) In-wall data translator and a structured premise wiring environment including the same
US7331819B2 (en) Media converter
US6420964B1 (en) Informational outlet and lines collection module
US9686598B2 (en) Power over ethernet electrical to optical interface converter
US7983052B2 (en) Electronic device chassis and network
US2004000081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data and controlled temperature air to electronic equipment via electronic device power cord plug assemblies with mating wall outlets which incorporate integral signal and/or controlled temperature air supply lines
JP2004087486A (en) Plug-in type electric transceiver module having high density form factor
US11011879B2 (en) High-density patch panel
US20070082550A1 (en) Shielded connector module housing with heatsink
KR100430776B1 (en) Hub Device Having Removable Port Units
KR200285383Y1 (en) Hub Device Having Removable Port Units
KR200285384Y1 (en) Hub Device Having Removable Port Units
KR200288470Y1 (en) Hub Device Having Removable Port Units
WO2019057145A1 (en) Optical network terminal and system
CA31475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data network
CN207652472U (en) A kind of Power Exchange machine
KR20040106856A (en) A complex optical swiching hub which can be connected with optical fiber line and UTP cable.
CN219102914U (en) Light control box of power integration
WO1999048171A1 (en) Modular network adapter
CN108170233B (en) A kind of cabinet
KR100964106B1 (en) Outlet with Small Integrated Switching Hub
CN113473764B (en) Switch inserts frame and rack system
CN209057237U (en) A kind of reinforcing crosspoint
CN208337584U (en) A kind of optical fiber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