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987B1 - 에어콘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에어콘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987B1
KR100429987B1 KR1019970074729A KR19970074729A KR100429987B1 KR 100429987 B1 KR100429987 B1 KR 100429987B1 KR 1019970074729 A KR1019970074729 A KR 1019970074729A KR 19970074729 A KR19970074729 A KR 19970074729A KR 100429987 B1 KR100429987 B1 KR 100429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air
air conditioner
cooled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4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4852A (ko
Inventor
이성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74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987B1/ko
Publication of KR19990054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4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콘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더운 공기를 찬 공기로 열교환시키기 위한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가압시키기 위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횡류팬과, 상기 횡류팬에 의해 가압된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 정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리어 가이더 및 스테빌라이져와, 열교환되어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로 구성된 에어콘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가 실내기의 하부에 형성되고, 토출구가 실내기의 상부에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에어콘의 실내기 상부에 토출구를 형성시켜 실내 전체를 신속하게 균일한 상태로 냉방시킬수 있으며, 실내기 상부의 공간을 유로로 사용할수 있어서 스크롤부의 유로 길이를 늘려 고정압 특성을 갖는 실내기를 설계할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에어콘의 실내기
본 발명은 에어콘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콘의 실내기 상부에 토출구를 형성시켜 실내 전체를 신속하게 냉방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에어콘의 실내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기(1a)의 상부에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2a)가 형성되고,출입구(2a) 후방의 상기 실내기(1a) 내부에는 흡입구(2a)를 통해 흡입된 더운 공기를 찬 공기로 열교환시키기 위한 열교환기(3)가 V자 형상의 절곡된 상태로 설치되며, 열교환기(3)의 후방에는 열교환기(3)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가압시키기 위해 모터(도시는 생략함)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유동 발생원인 횡류팬(4)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실내기(1a)내의 후방 및 하부에는 각각 횡류팬(4)에 의해 가압된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 적정한 정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리어 가이더(5a) 및 스테빌라이져(6a)가 설치되며, 상기 실내기(1a)의 하부에는 열교환되어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7a)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실내기(1a) 내부에 장착된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횡류팬(4)이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실내기(1a)의 상부에 형성된 흡입구(2a)를 통해 실내의 더운 공기가 흡입됨과 동시에, 흡입구(2a) 후방의 상기 실내기(1a)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3)를 통과하면서 더운 공기가 찬 공기로 냉각된다.
이와 동시에, 냉각된 공기는 열교환기(3)의 후방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횡류팬(4)을 통과하면서 가압되고, 실내기(1a)내의 후방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된 리어 가이더(5a) 및 스테빌라이져(6a)를 지나면서 횡류팬(4)에 의해 가압된 냉각된 공기가 정압으로 바뀌어 상기 실내기(1a)의 하부에 형성된 토출구(7a)를 통해 실내로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에어콘의 실내기(1a)는 더운 공기가 실내기(1a)의 상부에 형성된 흡입구(2a)를 통해 흡입되어 하부의 토출구(7a)를 통해 토출되는 방식이므로 냉각된 공기가 하부의 토출구(7a)를 통해 토출되면 찬 공기의 특성상 실내의 위쪽으로 대류가 일어나기 힘들기 때문에 실내 천정쪽의 공기 온도와 실내 바닥쪽의 온도차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서 실내에 있는 사람이 느끼는 냉방 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어콘의 실내기 상부에 토출구를 형성시켜 실내 전체를 신속하게 냉방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기 상부의 공간을 유로로 사용할수 있어서 고정압 특성을 갖는 실내기를 설계할수 있는 에어콘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에어콘의 실내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실내기 2; 흡입구
3,3a; 열교환기 4; 횡류팬
5; 리어 가이더 6; 스테빌라이져
7; 토출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더운 공기를 찬 공기로 열교환시키기 위한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가압시키기 위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횡류팬과, 상기 횡류팬에 의해 가압된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 정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리어 가이더 및 스테빌라이져와, 열교환되어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로 구성된 에어콘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가 실내기의 하부에 형성되고, 토출구가 실내기의 상부에 형성된 에어콘의 실내기가 제공되므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실내의 더운 공기를 찬 공기로 열교환시키기 위한 상기 열교환기는 실내기의 내부에 경사지게 직립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콘의 실내기 상부에 토출구를 형성시켜 실내전체를 신속하게 균일한 상태로 냉방시킬수 있으며, 실내기 상부의 공간을 유로로 사용할수 있어서 스크롤부의 유로 길이를 늘려 고정압 특성을 갖는 실내기를 제작할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에어콘의 실내기(1) 하부에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2)가 형성되고, 흡입구(2) 후방의 상기 실내기(2) 내부에는 흡입구(2)를 통해 흡입된 더운 공기를 찬 공기로 열교환시키기 위한 열교환기(3)가 V자 형상의 절곡된 상태로 설치되며, 열교환기(3)의 상부에는 열교환기(3)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가압시키기 위해 모터(도시는 생략함)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유동 발생원인 횡류팬(4)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실내기(1)내의 상단부 및 그 하부에는 각각 횡류팬(4)에 의해 가압된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 정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리어 가이더(5) 및 스테빌라이져(6)가 설치되며, 상기 실내기(1)의 상부에는 열교환되어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7)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콘의 실내기(1)가 동작하게 되면 먼저, 종래와 마찬가지로 실내기(1) 내부의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횡류팬(4)이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실내기(1)의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2)를 통해 실내의 더운 공기가 흡입됨과 동시에, 흡입구(2) 후방의 상기 실내기(1)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3)를 통과하면서 더운 공기가 찬 공기로 냉각된다.
이와 동시에, 냉각된 공기는 열교환기(3)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횡류팬(4)을 통과하면서 가압되고, 실내기(1)내의 상단부 및 그 하부에 각각 설치된 리어 가이더(5) 및 스테빌라이져(6)를 지나면서 횡류팬(4)에 의해 가압된 냉각된 공기가 정압으로 바뀌어 상기 실내기(1)의 상부에 형성된 토출구(7)를 통해 실내로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키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종래와 반대 방향으로 에어콘의 실내기(1) 하부에 흡입구(2)가 형성되고, 상부에 토출구(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냉기를 실내의 상부로 토출시킬수 있어서 실내 전체를 균일하게 냉방시킬수 있고, 실내기(1) 상부의 공간을 유로로 사용하므로써 고정압 특성을 갖는 실내기(1)를 설계할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구(2) 후방의 실내기(1) 내부에 열교환기(3)를 V자 형상의 절곡된 상태로 설치하지 않고, 열교환기(3a)를 경사지게 직립된 상태로 설치하므로써 본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콘의 실내기 상부에 토출구를 형성시키므로써 실내 전체를 신속하게 균일한 상태로 냉방시킬수 있으며, 실내기 상부의 공간을 유로로 사용할수 있음에 따른 스크롤부의 유로 길이가 연장되어 고정압 특성을 갖는 실내기를 설계할수 있으므로 인해 제품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더운 공기를 찬 공기로 열교환시키기 위한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가압시키기 위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횡류팬과, 상기 횡류팬에 의해 가압된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 정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리어 가이더 및 스테빌라이져와, 열교환되어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로 구성된 에어콘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가 실내기의 하부에 형성되고, 토출구가 실내기의 상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가 실내기의 내부에 경사지게 직립된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의 실내기.
KR1019970074729A 1997-12-26 1997-12-26 에어콘의 실내기 KR100429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729A KR100429987B1 (ko) 1997-12-26 1997-12-26 에어콘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729A KR100429987B1 (ko) 1997-12-26 1997-12-26 에어콘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852A KR19990054852A (ko) 1999-07-15
KR100429987B1 true KR100429987B1 (ko) 2004-07-19

Family

ID=37335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4729A KR100429987B1 (ko) 1997-12-26 1997-12-26 에어콘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9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81516A (zh) * 2019-05-29 2019-08-02 薛俊杰 壁挂式分体空调及其室内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852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56571A1 (en) Air conditioner
KR200466110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9980021184U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429987B1 (ko) 에어콘의 실내기
KR100480088B1 (ko) 에어콘의 실내기
KR200156408Y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443930B1 (ko) 공기흐름 개선구조의 에어컨 실내기
KR100261478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217130B1 (ko) 공조용 송풍장치
KR19990068938A (ko) 공기조화기의 공기 토출장치
KR0128909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477313B1 (ko) 공조용송풍장치의하우징구조
KR0122718Y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토출장치
KR20040001102A (ko) 양방향 송풍구를 가진 창문형 에어컨
KR100597957B1 (ko) 공기조화기용 드레인팬 구조
KR100206805B1 (ko) 창문형 에어콘
KR100312739B1 (ko) 벽걸이형 공조기기의 열교환기
KR20000002229U (ko)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
KR100218447B1 (ko) 분리형 에어콘의 실내기
KR0127603Y1 (ko) 냉 난방겸용 공기조화기의 급열장치
KR900008150Y1 (ko) 룸 에어콘
KR100285858B1 (ko) 에어콘의 실외기
KR20010028998A (ko) 창문형 에어컨의 실외기
KR20020086013A (ko) 벽걸이형 실내기의 횡단류팬 구조
KR19990047131A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토출공기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1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12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8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4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4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