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808B1 - 메모리 스틱을 하드키로 사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메모리 스틱을 하드키로 사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808B1
KR100428808B1 KR10-2003-0032798A KR20030032798A KR100428808B1 KR 100428808 B1 KR100428808 B1 KR 100428808B1 KR 20030032798 A KR20030032798 A KR 20030032798A KR 100428808 B1 KR100428808 B1 KR 100428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stick
data processing
usb
processing device
pass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1488A (ko
Inventor
이주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2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808B1/ko
Publication of KR20030051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8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범용직렬버스 포트를 가지는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메모리스틱을 하드키로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스틱이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스틱이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메모리스틱에 저장된 하드키 패스워드가 설정된 하드키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메모리스틱에 저장된 하드키 패스워드가 상기 설정된 하드키 패스워드와 일치하면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의 하드디스크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도난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모리 스틱을 하드키로 사용하는 방법{METHOD FOR USING A MEMORY STICK AS HARD KEY}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의 보조기억장치를 하드키로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 USB)용 메모리 스틱을 하드키로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드디스크 디바이스들(hard disk devices) 또는 플로피 디스크 디바이스들(floppy disk devices)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또는 웍스테이션(workstation)과 같은 데이터 처리 장치(data processing device)의 외부 메모리 디바이스(external memory device)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IC 메모리 카드(integrated circuit memory card)가 상기와 같은 디스크 디바이스들을 대체하는 외부 메모리 디바이스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에 따라서, 개인용 컴퓨터들(personal computers)은, 메모리 카드 또는 메모리 카드 독출/기입장치(memory card reader or writer)와 같은 주변 장치들을 지원하기 위한 표준 디바이스 슬롯들(standard device slots)을 구비한다.
메모리 카드는, 플로피 디스크에 비해 휴대하기 편하고, 데이터를 보다 많이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시 먼지나 충격으로부터 데이터가 손실될 위험성이 적다. 따라서, 메모리 카드는 단자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또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운반할 때 편리하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메모리 카드의 편리성에도 불구하고, 메모리 카드의 표준(specification)은 각 제조회사 별로 다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 카드는 플로피 디스크와 비교할 때, 다양한 컴퓨터 모델들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부분의 메모리 카드들은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표준을 따른다. 그러나, PCMCIA용 메모리 카드를 컴퓨터 시스템과 접속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경우들과 마찬가지로 컴퓨터에 PCMCIA용 포트가 장착되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누구든지 컴퓨터 내의 하드디스크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하드 디스크 내의 데이터를 보호하기 어렵다.
따라서, 컴퓨터 시스템의 종류 또는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된 포트들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내의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메모리 장치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컴퓨터 시스템의 종류 또는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된 특정 포트에 제한 받지 않고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하드 디스트의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메모리 스틱과 이를 하드키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USB 메모리 스틱의 외관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USB 메모리 스틱의 USB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USB 포트가 구비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과 본 발명에 의한 USB 메모리 스틱과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a 및 도4b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USB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USB 메모리 스틱이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될 때, USB 보호용 커버의 이동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USB 메모리 스틱의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상기 USB 메모리 스틱이 데이터 저장 장치로 사용될 때의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 수순을 보여주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7은 상기 USB 메모리 스틱이 하드키로 사용될 때의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 수순을 보여주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12, 14 : USB 포트
20 : 키보드 40 : USB 커넥터
42 : USB 커넥터 보호용 커버 48 : 스프링
50 : USB 클라이언트 칩 60 : 플래쉬 메모리
90 : 걸이 홈 100 : USB 메모리 스틱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메모리 스틱을 하드키로 사용하는 방법은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스틱이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스틱이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메모리스틱에 저장된 하드키 패스워드가 설정된 하드키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메모리스틱에 저장된 하드키 패스워드가 상기 설정된 하드키 패스워드와 일치하면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의 하드디스크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드디스크를 인에이블시킨 후에, 운영시스템에 의해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부팅시키는 단계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스틱이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에러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스틱에 저장된 하드키 패스워드가 설정된 하드키 패스워드와 불일치하면, 에러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의하면, 메모리 스킥을 하드키로 사용하는 방법은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스틱이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의 범용직렬버스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스틱이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의 범용직렬버스 포트에 연결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스틱으로부터 패스워드를 읽고, 상기 메모리 스틱의 패스워드를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저장된 패스워드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스틱의 패스워드가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하지 않으면 에러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부팅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메모리 스틱이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 스틱의 패스워드가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할 때에만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부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 스틱이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 스틱의 패스워드가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할 때에만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의 하드디스크를 인에이블하는 단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스틱으로부터 패스워드를 읽고 상기 메모리 스틱의 패스워드를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저장된 패스워드와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부팅되기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USB 메모리 스틱은, 컴퓨터 시스템의 종류 또는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된 특정 포트에 제한 받지 않고 다수 개의 USB 포트들 중 어느 하나에꽂기만 하면, 컴퓨터 시스템에 곧바로 인식되어 보다 편리하게 데이터를 기입/독출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시 먼지나 충격으로부터 데이터가 손실될 위험성이 적고, 그 크기 또한 작으므로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USB 메모리 스틱의 외관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스틱(100)은 USB 커넥터(40)가 구비된 메모리 장치로서, USB 포트가 구비된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또는 USB 포트가 구비된 웍스테이션(workstation)과 같은 데이터 처리 장치(data processing device)의 하드디스크 디바이스(hard disk devices) 또는 플로피 디스크 디바이스(floppy disk devices)를 대체할 수 있는 외부 메모리 디바이스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스틱(100)은 디지털 카메라 또는 전자 수첩 등과 같은 데이터 처리 장치들의 보조 메모리로도 사용 가능하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스틱(100)은 그 크기가 매우 작아 휴대하기가 간편하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 스틱(100)은 단단한 커버가 둘러싸여 있는 플래쉬 메모리로 구성되기 때문에, 플로피 디스크처럼 휴대시 먼지나 충격에 의해 데이터가 손실될 염려가 없다. 뿐만 아니라, 상기 메모리 스틱(100)은 열쇠고리 등에 연결될 수 있는 걸이 홈(90)과, USB 커넥터 보호용 커버(42)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고 안전하게 휴대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USB 메모리 스틱(100)의 USB커넥터(40)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42)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USB 커넥터(40)가 그대로 노출되어 있을 경우, 상기 USB 메모리 스틱(100)의 휴대시 상기 USB 커넥터(40)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USB 메모리 스틱(100)은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USB 커넥터(4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용 커버(42)를 구비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USB 메모리 스틱(100)의 USB 포트 연결부(43) 외부와 USB 포트 보호용 커버(42)의 내부에는, USB 메모리 스틱(100)에 보호용 커버(42)를 장착하기 위한 요철의 홈(46, 44)이 있다. 이 요철의 홈들(44, 46)이 서로 맞물리도록 연결하면, 상기 커버(42)가 USB 메모리 스틱(100)에 장착된다.
도 2b는 USB 메모리 스틱(100)에 USB 포트 보호용 커버(42)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용 커버(42)는, USB 커넥터(4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USB 커넥터(40)를 감싸줄 뿐만 아니라, USB 포트 연결부(43)의 외부 측면에 구비된 홈(44)을 따라 앞뒤로 이동될 수 있다.
도2c는 상기 보호용 커버(42)가 USB 포트 연결부(43)에 구비된 홈(44)을 따라 USB 커넥터(4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 후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USB 메모리 스틱(100)이 상기 USB 커넥터(40)를 통해 외부 장치들과 연결될 경우, 상기 커버(42)는 USB 메모리 스틱(100)의 USB 포트 연결부의 측면에 구비된 홈(44)을 따라 USB 커넥터(4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3은 USB 포트가 구비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과 본 발명에 의한 USB 메모리 스틱(100)과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USB(universal serialbus)란, 포트의 통일 방안에 기초하여 기존에 다른 형태로 사용되는 포트를 일정한 규격으로 통일해 사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연결 장치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평균적인 주변기기 연결 개수는 대부분 3-4개이다. 이 때, 사용되는 각 커넥터의 모양은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각 장치가 사용하는 IRQ, 딥스위치, 점퍼 케이블, DMA 채널 및 입출력 어드레스를 구성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포트 형태를 하나로 통일하여 초보자라도 쉽게 주변기기를 연결해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USB 이며, Digital, Intel, Microsoft, Compaq, IBM, NEC, Northem Telecom 등 유수의 컴퓨터 관련 업체에서는 새로운 표준 규격으로 USB 규격을 따르고 있다.
USB 방식을 채택한 보드에 연결되는 장치들(20, 100)은, 별도의 전원이 필요 없이 본체에서 직접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USB 규격에 따른 모든 제품들은 동일한 규격의 포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순서나 위치에 상관없이 자신의 시스템에 꽂아 사용하기만 하면 되며, USB는 동일한 규격의 포트와 연결장치를 사용한다는 점 이외에도 완벽한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 기능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USB 규격을 따르는 임의의 장비를 추가했을 때 특별히 자신의 시스템 설정을 다시 정비할 필요 없이 시스템이나 운영 체계에서 새로운 장비의 추가를 자동으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USB 메모리 스틱(100)은, USB 메모리 스틱(100)에 구비된 USB 커넥터(40)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10)에 구비된 USB 포트들(12, 14)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기만 하면, 그 즉시, 앞에서 설명한 USB의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에 의해 플로피 디스크 또는 하드디스크와 같은 데이터 저장 장치로 인식되어 데이터를 기입 또는 독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스틱(100)은,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버가 장착되지 않은 휴대용 컴퓨터에서 더욱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된 BIOS의 수정에 의해서 메모리 스틱(100)으로 컴퓨터 시스템을 부팅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4b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USB 보호용 커버(42)를 구비한 USB 메모리 스틱(100)이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될 때, USB 보호용 커버(42)의 이동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메모리 스틱(100)의 USB 포트 연결부(43)와 USB 보호용 커버(42) 사이에는 스프링(48)이 연결되어 있어, 상기 커버(42)의 움직임을 조절한다. USB 메모리 스틱(100)이 어떠한 장치와도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스프링(48)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스트레치 되어 있다. 그 상태에서 상기 USB 메모리 스틱(100)을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10)의 USB 포트(14)로 연결하면, 상기 커버(42)는 USB 포트(14)와 맞닿으면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밀려나게 되고 스프링(48)은 압축된다. 상기 스프링(48)은 상기 USB 커넥터(40)와 USB 포트(14)가 서로 맞물려 있는 동안에는 상기와 같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맞물려 있던 상기 USB 커넥터(40)와 USB 포트(14)가 서로 분리되면 다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스트레치 되어 상기 커버(42)가 USB 커넥터(40)를 커버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USB 메모리 스틱의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스틱(100)은,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구비된 USB 포트에 연결되기 위한 USB 커넥터(40),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로/로부터 데이터를 기입/독출하기 위한 메모리(60), 그리고 상기 USB 커넥터(40)와 상기 메모리(6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메모리 사이(60)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기 위한 USB 클라이언트 칩(5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메모리(60)는 플래쉬 메모리로 구성되며, 플래쉬 EEPROM(flash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USB 메모리 스틱(100)은 USB의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에 의해 플로피 디스크 또는 하드디스크와 같은 데이터 저장장치로 인식되어 데이터를 기입 또는 독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주민등록 번호, 여권 번호 등의 개인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SB 메모리 스틱(100)은 인가된 사용자만이 하드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드키(hard key)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USB 메모리 스틱이 데이터 저장 장치로 사용될 때의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 수순을 보여주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10에서 컴퓨터에 전원이 인가되고, 이어서 단계 S12에서는 파워 온 셀프 테스트(Power On Self Test ; POST)가 실행된다. 이어서 단계 S14에서는 USB 메모리 스틱이 데이터 저장 장치로서 인식된다. 그리고 단계 S16에서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 OS)에 의한 부팅이 수행된다. 이어서 단계 S18에서는 USB 메모리 스틱으로/으로부터 데이터를 기입/독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6에 도시된 수순은 컴퓨터 시스템에 USB 메모리 스틱을 꽂은 후 컴퓨터 시스템에 전원을 인가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다. 만약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어 사용되고 있는 중에 상기 USB 메모리 스틱이 컴퓨터 시스템에 꽂히게 된다면, 상기 USB 메모리 스틱은 앞에서 설명한 USB의 완벽한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 기능에 의해서 자동으로 인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USB 메모리 스틱이 하드키(hard key)로 사용될 때의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 수순을 보여주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30에서 컴퓨터에 전원이 인가되고, 이어서 단계 S32에서는 파워 온 셀프 테스트(POST)가 실행된다. 단계 S34에서는 USB 메모리 스틱이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USB 메모리 스틱이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되지 않았다면 수순은 단계 S42로 진행하여 에러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단계 S34로 되돌아간다. 단계 S34의 판별 결과 만약 USB 메모리 스틱이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되었다면 수순은 다음 질문을 위한 단계 S36으로 진행한다. 단계 S36에서는, 하드키 패스워드 확인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마이크로컨트롤러(미 도시됨)에 의해 USB 메모리 스틱에 저장되어 있는 하드키 패스워드가 설정된 하드키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하드키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수순은 단계 S42로 진행하여 올바른 USB 메모리 스틱을 삽입하라는 에러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한 후 수순은 다시 단계 S34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단계 S36에서의 판별 결과 만약 하드키 패스워드가 일치하면 수순은 단계 S38로 진행하여 하드디스크를 인에이블 시킨다. 이어서 단계 S40에서는 운영 시스템에 의한 부팅이 이루어지고 수순은 종료된다. 이와 같은 수순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USB 메모리 스틱은 하드키 패스워드를 갖는 하드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스틱(100)은, 컴퓨터 시스템의 종류 또는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된 특정 포트에 제한 받지 않고,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된 다수 개의 USB 포트들 중 어느 하나에 꽂기만 하면, 컴퓨터 시스템에 곧바로 인식되어 데이터를 기입/독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드키 패스워드를 갖는 하드키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시 먼지나 충격으로부터 데이터가 손실될 위험성이 적고, 그 크기 또한 작으므로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의 종류 또는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된 특정 포트에 제한 받지 않고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된 다수 개의 USB 포트들 중 어느 하나에 꽂기만 하면, 컴퓨터 시스템에 곧바로 인식되어 편리하게 데이터를 기입/독출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시 먼지나 충격으로부터 데이터가 손실될 위험성이 적고, 그 크기 또한 작으므로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Claims (8)

  1.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메모리스틱을 하드키로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스틱이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스틱이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메모리스틱에 저장된 하드키 패스워드가 설정된 하드키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메모리스틱에 저장된 하드키 패스워드가 상기 설정된 하드키 패스워드와 일치하면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의 하드디스크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스틱을 하드키로 사용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하드디스크를 인에이블시킨 후에, 운영시스템에 의해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부팅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스틱을 하드키로 사용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메모리 스틱이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에러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스틱을 하드키로 사용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메모리 스틱에 저장된 하드키 패스워드가 설정된 하드키 패스워드와 불일치하면, 에러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스틱을 하드키로 사용하는 방법.
  5.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범용직렬버스 포트를 가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메모리스틱을 하드키로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스틱이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의 범용직렬버스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 스틱이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의 범용직렬버스 포트에 연결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 스틱으로부터 패스워드를 읽고, 상기 메모리 스틱의 패스워드를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저장된 패스워드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 스틱의 패스워드가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하지 않으면 에러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부팅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메모리 스틱이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 스틱의 패스워드가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할 때에만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부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스틱을 하드키로 사용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메모리 스틱이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 스틱의 패스워드가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할 때에만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의 하드디스크를 인에이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스틱을 하드키로 사용하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스틱으로부터 패스워드를 읽고 상기 메모리 스틱의 패스워드를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저장된 패스워드와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부팅되기 이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스틱을 하드키로 사용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메모리 스틱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범용직렬버스 포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스틱을 하드키로 사용하는 방법.
KR10-2003-0032798A 2003-05-23 2003-05-23 메모리 스틱을 하드키로 사용하는 방법 KR100428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798A KR100428808B1 (ko) 2003-05-23 2003-05-23 메모리 스틱을 하드키로 사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798A KR100428808B1 (ko) 2003-05-23 2003-05-23 메모리 스틱을 하드키로 사용하는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872A Division KR100505103B1 (ko) 1999-10-11 1999-10-11 범용 직렬 버스용 메모리 스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488A KR20030051488A (ko) 2003-06-25
KR100428808B1 true KR100428808B1 (ko) 2004-04-28

Family

ID=2957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798A KR100428808B1 (ko) 2003-05-23 2003-05-23 메모리 스틱을 하드키로 사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8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488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5103B1 (ko) 범용 직렬 버스용 메모리 스틱
US7440287B1 (en) Extended USB PCBA and device with dual personality
US8301831B2 (en) Backward compatible extended USB plug and receptacle with dual personality
US7771215B1 (en) MLC COB USB flash memory device with sliding plug connector
US7886108B2 (en) Methods and systems of managing memory addresses in a large capacity multi-level cell (MLC) based flash memory device
US7744387B2 (en) Multi-level cell (MLC) rotate flash memory device
US20050182858A1 (en) Portable memory device with multiple I/O interfaces
US6813668B2 (en) Multi-functional electronic card capable of detecting removable cards
US5848298A (en) System having two PC cards in a hinged carrying case with battery compartment within in the hinge section
US7628622B2 (en) Multi-level cell (MLC) slide flash memory
US7944702B2 (en) Press-push flash drive apparatus with metal tubular casing and snap-coupled plastic sleeve
US6453414B1 (en) Computer system with PC cards and method of booting the same
US7806705B2 (en) Slide flash memory devices
US7984303B1 (en) Flash memory devices with security features
KR20020032172A (ko) 메모리 카드 시스템
JP2004213574A (ja) データ記憶装置
KR20040075138A (ko) 카드 타입 usb 커넥터와 이를 이용한 usb 변환 젠더및 usb 메모리 카드
US5020999A (en) Personal computer with connector assembly having integral retainer
US4752911A (en) Read/write device using modular electronic memory
KR20020087202A (ko) 컴퓨터
US8061905B2 (en) Multi-level cell (MLC) dual personality extended fiber optic flash memory device
US8015348B2 (en) Memory address management systems in a large capacity multi-level cell (MLC) based flash memory device
US20050092846A1 (en) Simulated smartmedia/XD-picture memory card capable of using various kinds on non-volatile memory
KR100428808B1 (ko) 메모리 스틱을 하드키로 사용하는 방법
US20140306011A1 (en) Card re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