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957B1 -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 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 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957B1
KR100423957B1 KR10-2002-0021729A KR20020021729A KR100423957B1 KR 100423957 B1 KR100423957 B1 KR 100423957B1 KR 20020021729 A KR20020021729 A KR 20020021729A KR 100423957 B1 KR100423957 B1 KR 100423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wireless terminal
packet data
return time
commun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3266A (ko
Inventor
안정철
박용석
김춘수
장병화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21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957B1/ko
Publication of KR20030083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3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9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3In-band adaptation of TCP data exchange; In-band control proced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 단말기, 기지국, IWF 및 유선 단말기 간에 TCP 프로토콜을 이용한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방법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에서 음성 블럭을 생성할 때마다, 무선 단말기의 TCP 처리기에서 IWF의 TCP 처리기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간인 반환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반환 시간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반환 시간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무선 단말기의 보코더에서 생성하는 패킷 데이터의 데이터 율이 소정 비율 이상인 패킷 데이터만을 저장하여 음성 블럭을 생성하는 단계, 반환 시간이 기준값 이하이면 무선 단말기의 보코더에서 생성하는 패킷 데이터를 모두 저장하여 음성 블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음성 블럭을 TCP 계층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무선 단말기의 보코더 패킷 데이터 율이 소정 비율 이하인 데이터를 버리므로, 음성 지연이 감소되어 실시간에 가까운 통신이 가능하고 음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ime delay in the digital voic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IS-95, IS-95A, IS-95B 및 IS-95C 규격에 따른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단말기와 유선 단말기 간에 데이터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음성을 송수신하는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을 송수신할 때 발생하는 음성 지연의 감소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CDMA 이동 통신 시스템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으로서, 음성 통신 서비스와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종류가 있다. 이 때, 무선 단말기와 유선 단말기간의 음성 통신 서비스를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망의 구성이 필요하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의한 유선 단말기와 무선 단말기 간의 음성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무선 단말기(50), 기지국(51), 기지국 제어기(52), 이동 교환기(53), PSTN 망(54) 및 유선 단말기(55)로 이루어진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단말기(50)에서 음성 데이터를 기지국(Base Station,51)으로 송신하면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BSC,52)는 QCELP(Qualcomm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또는 EVRC(Enhanced Variable Rate Coder) 방식으로 부호화된 보코더 출력을 PCM(Pulse Code Modulation) CODEC(Coder and Decoder) 방식으로 부호화된 정보 비트로 변환하여 이동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MSC,53)로 전송한다. 이동 교환기(53)로 전송된 음성 데이터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54) 망을 거쳐 유선 단말기(55)로 전송되고 유선 단말기(55)에서 원래의 음성으로 변환함으로써 통신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무선 단말기와 유선 단말기 간에 음성 통신이 아닌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는 새로운 통신망의 구성이 필요하다. 특히, 무선 단말기와 유선 단말기 간에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식을 이용하여 음성을 송수신하는 디지털 음성 통신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 도 6과 같은 통신망을 구현 할 수 있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로서, 무선 단말기(60), 기지국(61), 이동 교환기(62), IWF(63), PSTN 망(64) 및 유선 단말기(65)로 이루어진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단말기(60)의 보코더(60a)는 입력 신호를 소정 크기의 정보 비트로 압축하여 패킷 데이터를 생성한다. 패킷 데이터가 생성되면 소정 개수를 모아 음성 블럭 처리기(60b)에서 음성 블럭으로 만들고,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처리기(60c), PPP(Point-to-Point Protocol) 처리기(60d), RLP(Radio Link Protocol) 처리기(60e)를 통과하면서 TCP/IP 프로토콜, PPP 프로토콜, RLP 프로토콜로 처리된다. 처리된 데이터는 기지국(61), 이동 교환기(62), IWF(Inter Working Function,63) 및 PSTN망(64)을 거쳐서 유선 단말기(65)로 전송되는데 IWF(63)는 모뎀(63a), TCP/IP 처리기(63b), PPP 처리기(63c), RLP 처리기(63d)를 갖는다. 여기서, IWF는 이동 통신망에서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을 처리하고, 회선 접속 서비스를 위해 PSTN망에 있는 모뎀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유선 단말기(65)는 디지털 음성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보코더(65a), 음성 블럭 처리기(65b) 및 모뎀(65c)을 갖는다. 유선 단말기(65)의 모뎀(65c)은 PSTN 망(64)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음성 블럭 처리기(65b)로 보내고, 음성 블럭 처리기(65b)를 거친 데이터는 보코더(65a)에서 원래의 음성으로 재생된다.
그런데, 도 6과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식을 이용하여 음성을 전송할 경우 통신 사업자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고 디지털 음성 통신을 할 수 있으므로 음질이 깨끗하고 보안성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지만,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므로 음성을 전송할 때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와 같은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음성 전송 방법에서는 UDP(User Datagram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음성 지연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러나, CDMA 이동 통신 서비스에서는 UDP를 지원하지 않고 데이터 통신을 위해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는데 TCP/IP 프로토콜은 실시간 전송을 고려하지 않는 프로토콜이므로 음성 전송을 목적으로 사용하면 음성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시간 전송을 고려하지 않는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한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지연이 발생할 때, 무선 단말기의 패킷 데이터 율이 소정 비율 이하인 데이터를 버림으로써 음성 지연을 감소시키는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음성 지연 감소 방법을 수행하는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6 단계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는 소정 비율 이상인 패킷 데이터를 모아 음성 블럭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의한 유선 단말기와 무선 단말기 간의 음성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장치를 갖는 무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방법은 무선 단말기, 기지국, IWF 및 유선 단말기 간에 TCP 프로토콜을 이용한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방법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에서 음성 블럭을 생성할 때마다, 무선 단말기의 TCP 처리기에서 IWF의 TCP 처리기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간인 반환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반환 시간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반환 시간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무선 단말기의 보코더에서 생성하는 패킷 데이터의 데이터 율이 소정 비율 이상인 패킷 데이터만을 저장하여 음성 블럭을 생성하는 단계, 반환 시간이 기준값 이하이면 무선 단말기의 보코더에서 생성하는 패킷 데이터를 모두 저장하여 음성 블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음성 블럭을 TCP 계층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장치는 무선 단말기, 기지국, IWF 및 유선 단말기 간에 TCP 프로토콜을 이용한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장치에 있어서, 음성 블럭을 생성할 때마다, 무선 단말기의 TCP 처리기에서 IWF의 TCP 처리기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간인 반환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반환 시간을 출력하는 반환 시간 측정부, 반환 시간 측정부로부터 입력한 반환 시간과 기준값을 비교하고, 데이터 율 판단부로부터 입력한 데이터 율과 소정 비율을 비교하고, 계산부로부터 입력한 빈도수와 소정값을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를 제어 신호로서 출력하는 비교부, 비교부로부터 입력한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단자로부터 입력한 패킷 데이터의 데이터 율을 판단하고, 판단한 데이터 율을 출력하는 데이터 율 판단부, 비교부로부터 입력한 제어 신호에 따라 데이터 율이 소정 비율 보다 작은 패킷 데이터의 연속적 발생 빈도수를 계산하고, 계산한 빈도수를 출력하는 계산부 및 비교부로부터 입력한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단자로부터 입력한 무선 단말기의 보코더에서 생성한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여 음성 블럭을 생성하고, 생성한 음성 블럭을 출력하는 음성 블럭 처리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방법 및 장치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로서, 반환시간이 기준값을 초과하는가에 따라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여 음성 블럭을 생성하는 단계(제10 ~ 제18 단계)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로서, 반환 시간 측정부(30), 비교부(31), 데이터 율 판단부(32), 계산부(33) 및 음성 블럭 처리기(34)로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의 무선 단말기는 보코더, 음성 블럭 처리기, TCP/IP 처리기, PPP 처리기 및 RLP 처리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장치는 음성 블럭 처리기를 포함하므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장치를 갖는 무선 단말기는 도 7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무선 단말기에서 음성 블럭을 생성할 때마다 반환 시간을 측정한다(제10 단계). 여기서, 반환 시간(RTT,Round Trip Time)이라 함은 무선 단말기의 TCP 처리기에서 IWF의 TCP 처리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IWF의 TCP 처리기에서 무선 단말기의 TCP 처리기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도착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반환 시간은 항상 일정한 값이 아니라 시스템의 상황에 따라 변하는 값이다. 따라서, 가변되는 반환 시간이 전체 전송 지연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므로 이러한 반환 시간을 최적화하여 전체 전송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구간의 오율 증가로 인해 재전송 회수가 늘어나게 되면 최대 반환 시간이 발생한 이후로 전체 시스템의 지연은 이 값으로 고정되기 때문이다.
반환 시간 측정부(30)는 반환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한 반환 시간을 비교부(31)로 출력한다.
제10 단계후에, 반환 시간과 기준값을 비교한다(제12 단계). 기준값은 무선 단말기와 유선 단말기 간에 데이터 통신 호가 연결된 후 무선 단말기에서 생성된 음성 블럭의 소정 개수에 대한 반환 시간의 평균값으로 할 수 있다. 보통 음성 블럭이 생성될 때마다 반환 시간을 측정하여 음성 블럭 10개에 대한 반환 시간의 평균값으로 기준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교부(31)는 반환 시간 측정부(30)로부터 입력한 반환 시간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반환 시간이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고, 비교한 결과를 제어 신호로서 데이터 율 판단부(32) 및 음성 블럭 처리기(34)로 출력한다. 기준값은 비교부(31)에 미리 입력되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반환 시간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무선 단말기의 보코더에서 생성하는 패킷 데이터의 데이터 율이 소정 비율 이상인 패킷 데이터 만을 저장하여 음성 블럭을 생성한다.(제16 단계) 측정된 반환 시간이 기준값을 초과한다면 늘어난 반환 시간으로 인한 시스템 전체의 음성 지연이 계속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적응 알고리즘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제16 단계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6 단계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로서, 패킷 데이터의 데이터 율이 소정 비율 이상인가에 따라 패킷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저장하여 음성 블럭을 생성하는 단계(제16-1 ~ 제16-6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무선 단말기의 보코더에서 생성하는 패킷 데이터의 데이터 율과 소정 비율을 비교한다(제16-1 단계). 여기서 데이터 율(data rate)이라 함은 일정 시간(보통 1초) 내에 한 지점으로부터 다른 지점으로 전송된 디지털 데이터의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패킷 데이터 율이 소정 비율 이상이라는 것은 보코더에서 출력되는 패킷 데이터가 기준 양의 소정 비율보다 높은 것을 말한다. 소정 비율은 예를 들어, 1/2 이 될 수 있는데, 데이터 율이 9.6kbps 라고 한다면 무선 단말기의 보코더에서 출력되는 패킷 데이터의 데이터 율이 4.8kbps 이상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보코더 패킷 데이터 율이 1/2 이상이 되어야만 사람의 귀에서 음성으로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코더 패킷 데이터 율이 1/4 데이터 율 또는 1/8 데이터 율 등인 경우에는 전송하지 않아도 음질에 큰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데이터 율은 데이터 율 판단부(32)가 비교부로(31)부터 입력한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단자 IN을 통해 입력한 패킷 데이터(packet data)를 이용하여 판단한다. 즉, 비교부(31)는 반환 시간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데이터 율 판단부(32)에 패킷 데이터의 데이터 율을 판단하라는 신호를 보내고, 데이터 율 판단부(32)는 이러한 제어신호를 받아 데이터 율을 판단하고, 판단한 데이터 율을 다시 비교부(31)로 출력한다. 비교부(31)는 입력된 데이터 율과 소정 비율을 비교하여 데이터 율이 소정 비율 이상인가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제어 신호로써 계산부(33) 또는 음성 블럭 처리기(34)로 출력한다. 소정 비율은 비교부에 미리 입력되어 저장될 수 있다. 입력 단자 IN 으로는 무선 단말기의 보코더에서 출력되는 패킷 데이터가 입력된다.
만일, 패킷 데이터 율이 소정 비율 미만이면, 데이터 율이 소정 비율 미만인보코더 패킷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몇 개 발생되었는가 계산한다(제16-2 단계). 예를 들어, 제16-1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력 데이터율이 1/4 데이터 율 또는 1/8 데이터 율 이라면 정보로서의 가치가 없는 데이터이고 음질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전송하지 않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계산부(33)는 비교부(31)로부터 입력한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 비율 이상이 아닌 패킷 데이터의 연속적 발생 빈도수를 계산하고, 계산값을 다시 비교부(31)로 출력한다.
제16-2 단계 후에, 계산된 빈도수와 소정값을 비교한다(제16-3 단계). 만일, 계산된 빈도수가 소정값 이하라면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삭제한다(제16-4 단계). 이 때 소정값은 임의로 결정될 수 있는데, 정보로서의 가치가 없어 음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보코더 패킷 데이터라고 하더라도 연속적으로 소정값 이상 버려지면 음질에 영향을 주어 사람의 귀에서 인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소정값 보다 큰지 비교를 한다. 그리고, 소정값보다 크지 않아 음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판단될 때 보코더 패킷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해서이다. 소정값은 8 내지 10으로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9로 할 수 있다. 보코더 패킷 데이터가 20ms 마다 생성된다고 할 때 패킷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10개 이상 버려질 경우 200ms 이상 음성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것이 되어 사람의 귀에서 인지가 될수 있기 때문이다. 즉, 데이터 율이 소정 비율이상이 아닌 보코더 패킷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10개 이상 발생하지 않았다면 저장하지 않고 삭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소정값이 10 이상이 되면 연속적으로 버려지는 패킷 데이터가 너무 많아서 음성의 복원에 문제가 되고, 음질이 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비교부(31)는 계산부(33)로부터 입력한 연속적 발생 빈도수와 소정값을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를 제어 신호로서 음성 블럭 처리기(34)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연속적 발생 빈도수가 소정값 이하이어서 패킷 데이터를 삭제하려면 비교부(31)는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지 말라는 제어 신호를 음성 블럭 처리기(34)로 출력하고, 음성 블럭 처리기는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된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다.
만일, 계산된 빈도수가 소정값을 초과한다면 패킷 데이터를 저장한다(제16-5 단계).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율이 소정 비율 이상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연속적으로 버려지게 되면 음질에 영향을 주고 사람의 귀에서 인지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패킷 데이터가 저장되어 소정 개수 모아지면 음성 블럭을 생성한다(16-6 단계). 또한, 만일 제16-1 단계에서, 패킷 데이터 율이 소정 비율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버려지면 않되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패킷 데이터를 삭제하지 않고 저장한다. 이를 위해, 비교부(31)는 제어 신호를 음성 블럭 처리기(34)로 입력하여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여 음성 블럭을 생성하라는 명령을 한다. 예를 들어, 음성 블럭은 보코더 패킷 데이터에 순서 비트를 붙이고, 이를 n개 모아서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음성 블럭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소정 비율 이상인 보코더 패킷 데이터를 모아 음성 블럭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보코더는 매 20ms 마다 음성 패킷을 생성한다.그리고, 생성된 음성 패킷 중에서 데이터 율이 1/2 인 것들은 음성 블럭을 생성하기 위해 버퍼(buffer)에 순서대로 저장된다. 그러나, 데이터 율이 1/8 인 것들은 버려지고 그 다음 데이터 율이 1/2 인것이 버퍼에 저장된다. 이렇게 버퍼에 저장된 패킷 데이터가 '0'부터 'n-1'까지 'n'개 모아지면 하나의 음성 블럭이 생성된다.
다음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제18 단계부터 설명한다.
만일, 반환 시간이 기준값 이하이면 무선 단말기의 보코더에서 생성되는 패킷 데이터를 모두 저장하여 음성 블럭을 생성한다(제14 단계). 비교부(31)는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라는 제어 신호를 음성 블럭 처리기(34)로 출력하고, 음성 블럭 처리기(34)는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음성 블럭을 생성한다. 음성 블럭을 생성하는 과정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과정으로 설명될 수 있다.
제14 단계 후에, 음성 블럭을 TCP 계층으로 전송한다(제18 단계). 즉, 음성 블럭 처리기(34)의 출력 단자인 OUT 단자를 통해 출력된 음성 블럭은 TCP 계층으로 전송되는데,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의 TCP/IP 처리기로 전송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방법 및 장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식을 이용하여 음성을 송수신하는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단말기의 보코더 패킷 데이터 율이 소정 비율 이하인 데이터를 버리므로, 음성 지연이 감소되어 실시간에 가까운 통신이 가능하고 음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8)

  1. 무선 단말기, 기지국, IWF 및 유선 단말기 간에 TCP 프로토콜을 이용한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음성 블럭을 생성할 때마다, 상기 무선 단말기의 TCP 처리기에서 상기 IWF의 TCP 처리기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간인 반환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반환 시간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반환 시간이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무선 단말기의 보코더에서 생성하는 패킷 데이터의 데이터 율이 소정 비율 이상인 패킷 데이터만을 저장하여 음성 블럭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반환 시간이 상기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무선 단말기의 보코더에서 생성하는 패킷 데이터를 모두 저장하여 음성 블럭을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음성 블럭을 TCP 계층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상기 무선 단말기와 상기 유선 단말기 간에 데이터 통신 호가 연결된 후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생성한 상기 음성 블록의 소정 개수에 대한 상기 반환 시간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무선 단말기의 보코더에서 생성하는 패킷 데이터의 데이터 율과 소정 비율을 비교하는 단계;
    (c2) 상기 데이터 율이 상기 소정 비율 이상이면, (c6)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c3) 상기 데이터 율이 상기 소정 비율 미만이면, 상기 데이터 율이 소정 비율 미만인 상기 패킷 데이터의 연속적 발생 빈도수를 계산하는 단계;
    (c4) 상기 연속적 발생 빈도수와 상기 소정값을 비교하는 단계;
    (c5) 상기 연속적 발생 빈도수가 상기 소정값 이하이면,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삭제하는 단계;
    (c6) 상기 연속적 발생 빈도수가 상기 소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c7) 상기 저장된 패킷 데이터를 소정 개수 모아 음성 블럭을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방법.
  4.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비율은,
    상기 패킷 데이터 율의 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값은,
    8 내지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방법.
  6. 무선 단말기, 기지국, IWF 및 유선 단말기 간에 TCP 프로토콜을 이용한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장치에 있어서,
    음성 블럭을 생성할 때마다, 상기 무선 단말기의 TCP 처리기에서 상기 IWF의 TCP 처리기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간인 반환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반환 시간을 출력하는 반환 시간 측정부;
    상기 반환 시간 측정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반환 시간과 기준값을 비교하고, 데이터율 판단부로부터 입력한 데이터율과 소정 비율을 비교하고, 계산부로부터 입력한 빈도수와 소정값을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를 제어 신호로서 출력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로부터 입력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입력한 상기 패킷 데이터의 데이터 율을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데이터 율을 출력하는 데이터 율 판단부;
    상기 비교부로부터 입력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율이 소정 비율 보다 작은 상기 패킷 데이터의 연속적 발생 빈도수를 계산하고, 계산한 상기 빈도수를 출력하는 계산부; 및
    상기 비교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입력한 상기 무선 단말기의 보코더에서 생성한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여 음성 블럭을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음성 블럭을 출력하는 음성 블럭 처리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상기 무선 단말기와 상기 유선 단말기 간에 데이터 통신 호가 연결된 후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생성한 상기 음성 블록의 소정 개수에 대한 상기 반환 시간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비율은 상기 패킷 데이터 율의 1/2 이고,
    상기 소정값은 8 내지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장치.
KR10-2002-0021729A 2002-04-20 2002-04-20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 방법및 장치 KR100423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729A KR100423957B1 (ko) 2002-04-20 2002-04-20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 방법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729A KR100423957B1 (ko) 2002-04-20 2002-04-20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 방법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266A KR20030083266A (ko) 2003-10-30
KR100423957B1 true KR100423957B1 (ko) 2004-03-22

Family

ID=3237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729A KR100423957B1 (ko) 2002-04-20 2002-04-20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 방법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9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240B1 (ko) * 2002-04-20 2004-0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음성 통신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266A (ko) 200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64161B (zh) 基于冗余的包传输错误恢复的系统和方法
JP4504429B2 (ja) 端末間のボイスオーバ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のメディアの待ち時間を管理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7295549B2 (en) Source and channel rate adaptation for VoIP
EP2055055B1 (en) Adjustment of a jitter memory
US67251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voice over internet
US675147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optimizing the fidelity of a speech signal received from a wireless telephony device and transmitted through a packet-switched network
EP1368979B1 (en) Mobile communications using wideband terminals allowing tandem-free operation
US7711554B2 (en) Sound packet transmitting method, sound packet transmitting apparatus, sound packet transmitt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that program has been recorded
US8320391B2 (en) Acoustic signal packet communication method,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method, and device and program thereof
Hoene et al. A perceptual quality model intended for adaptive VoIP applications
US201002780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degradation of a media service
EP2140637B1 (e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008546341A (ja) 非連続音声送信の際の擬似背景ノイズパラメータ適応送信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7072291B1 (en) Devices, softwares and methods for redundantly encoding a data stream for network transmission with adjustable redundant-coding delay
US20050143984A1 (en) Multirate speech codecs
CN103229544B (zh) 源信号自适应帧聚合
KR100423957B1 (ko) 디지털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전송의 지연 감소 방법및 장치
CN1929355B (zh) 语音包丢失恢复系统以及方法
US7542897B2 (en) Condensed voice buffering, transmission and playback
Beritelli et al. Hybrid multimode/multirate CS-ACELP speech coding for adaptive voice over IP
Pearce Robustness to transmission channel-the DSR approach
JP2001308919A (ja) 通信装置
RU2402879C2 (ru) Способ адаптации параметров кодека и передачи речевого сигнала в сети с коммутацией пакетов (варианты)
JP2004080625A (ja) パケット型音声通信端末
JP4426186B2 (ja) 音声信号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