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136B1 -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직류 리플 전압 저감 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직류 리플 전압 저감 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136B1
KR100419136B1 KR10-2001-0014473A KR20010014473A KR100419136B1 KR 100419136 B1 KR100419136 B1 KR 100419136B1 KR 20010014473 A KR20010014473 A KR 20010014473A KR 100419136 B1 KR100419136 B1 KR 100419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voltage
rectifier
output
rip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4605A (ko
Inventor
송중호
최익
Original Assignee
(주)아세아이엔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세아이엔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아세아이엔티
Priority to KR10-2001-0014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136B1/ko
Publication of KR20020074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1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H02M7/062Avoiding or suppressing excessive transient voltages or curr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장치 및 방법은 출력량에 의하여 예비적으로 스위칭 주파수(fff)를 결정하기 위한 예비 스위칭 주파수(fff) 결정 루프(A1)와 최종 스위칭 주파수(Fsw)의 미소가변량을 나타내는 주파수(fcomp)를 결정하는 전압 리플 억제 루프(A2)와 정류기로부터의 직류 전압의 과도 특성 및 정상 특성에서의 레귤레이션을 확보하기 위하여 출력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주파수(fvolt)를 제공하는 PI 제어 루프(A3)의 3가지 루프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장치 및 방법은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로부터 직류 출력을 계산하고, 이것으로부터 리플 전압에 해당하는 리플 출력을 추출하여 본 발명의 제어 루프에 피드포워드함으로써 저주파 리플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직류 리플 전압 저감 장치 및 방법{DC RIPPLE VOLTAGE SUPPRESSION DEVICE AND METHOD FOR A 3-PHASE BUCK-TYPE DIODE RECTIFIER}
본 발명은 교류(AC)전압을 직류(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기(rectifier)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에서 발생되는 출력 전압의 저주파 리플 전압을 감소시키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3상 AC-DC 정류기는 통신용 전원 시스템과 같이 높은 입력 전압에서 큰 출력 전압을 요하는 응용 분야에서 빈번히 요구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정류기에서는 안전을 위한 입력단과 출력단의 분리(isolation), 무효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역률의 증가, 효율 개선을 통한 소자의 경량화, 소형화 등이 중요한 과제이다.
일반적으로, 정류기의 출력 전압은 입력 전원에 따른 저주파 리플 전압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리플 전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리플 전류는 정류기의 출력측에 연결된 DC-Link 커패시터를 통하여 흐르게 된다. 이것은 커패시터의 동작 온도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며, 이로 인해 커패시터의 전기적인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뿐만아니라, 이러한 저주파 리플 전압은 전압 제어기에 피드백되어 입력 전류의 파형 왜곡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정류기의 커패시터의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출력 저주파 LC 필터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지만, 이러한 방법은 정류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비용 상승과 전체 크기의 증가를 야기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출력 전압의 리플 전압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PWM(Pulse Width Modulation:펄스 폭 변조)방법이 종래의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에 사용되어 왔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이 PWM 방법은 공진 소자들의 파라미터에 의해 스위치의 턴-온 시간을 결정한다. 상술한 방법, 즉 PWM 방법에서 듀티비의 감소는 스위치의 온(on)시간과 오프(off) 시간의 비가 감소하는 것으로, 듀티비가 감소하면 충분한 공진 현상이 발생될 수 없고, 그에 따라 스위치가 ZCS(Zero Current Switched)로 동작할 수 없게 되어, 결과적으로 정류기의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턴-온 시간과 오프 시간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정류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하의 용량 변화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출력 전압을 제공할 수 있는 3상 강압형 정류기용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의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장치에 있어서, 정류기로부터의 직류 전압 및 전류를 사용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예비적으로 결정하고 최종 스위칭 주파수의 미소가변량을 나타내는 주파수를 구하는 제1 주파수 생성 수단과, 정류기의 부하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이상적인 직류 전압으로써 리플 전압이 포함되지 않은 소망 전압과 정류기로부터의 출력 직류 전압에 의거하여 정류기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주파수를 생성하는 제2 주파수 생성 수단과, 제1 및 제2 주파수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주파수를 조합하여 얻은 최종 스위칭 주파수를 변조하여 정류기로 제공하여 이전의 최종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시키는 제3 주파수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직류 리플 전압 저감 방법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직류 리플 전압 저감 방법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스위칭 주파수와 출력 전력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의 직류 리플 전력 신호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직류 리플 전압 저감 방법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시간에 따른 출력 전압의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직류 리플 전압 저감 방법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입력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PI 제어기
203 : Pout과 fff의 함수기
204, 209 : 저역 필터
206 : 리플 이득 계산기
207 : 고역 필터
208 : 출력 부하량 계산기
A1 : 예비 스위칭 주파수(fff) 결정 루프
A2 : 전압 리플 억제 루프
A3 : PI 제어 루프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통상적인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의 회로도이다. 도면에서 Va,Vb,Vc는 3상 입력 전원의 전압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상 입력 전원(Va,Vb,Vc)은 각각 인덕터(La,Lb,Lc)와 커패시터(Cr1, Cr2, Cr3)로 구성된 멀티 공진회로와 접속되어 있으며, 이 공진회로는 6개의 다이오드(D1~D6)와 접속되어 있다. 6개의 다이오드(D1~D6)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전류는 회로도에서 상단부다이오드(D1, D2, D3)중 하나와 하단부 다이오드(D4, D5, D6)중 하나가 온되어 흐르게 된다. 즉, 상단부에서는 임의의 시간에 3상 전원 각각이 공진회로를 통과한 값들 중 전압의 크기가 양의 방향으로 가장 큰 상의 다이오드가 온되고 나머지 2개의 다이오드는 역방향 바이어스되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하단부에서는 역으로 3상 전원 각각이 공진회로를 통과한 값들 중 전압의 크기가 음의 방향으로 가장 큰 상의 다이오드가 온된다. 따라서, 다이오드는 120°의 위상차를 가지고 온되고, 상하 다이오드는 상호 180°의 위상차를 가지고 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오드의 출력측은 스위치(S1)의 한 측과 접속되며, 나머지 한측은 다이오드(Dd)와 커패시터(Cd)가 병렬로 연결되고 그 출력에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Lr)와 접속되는 동시에, 다시 인덕터(Lf)와 커패시터(Cf)로 구성된 공진 회로와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의 최종 출력값은 시스템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저주파 리플 전압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를 통해 얻어진 실제 측정값과 저주파 리플 전압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소망값을 입력으로 사용하여, 스위치(S1)의 스위칭 동작을 컨트롤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의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방법은 정류기 회로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로부터 직류 출력을 계산하고, 이것으로부터 리플 전압에 해당하는 리플 출력을 추출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리플 성분 저감용 제어 루프에 피드포워드함으로써 저주파 리플 전압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주파 리플 전압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부하변화에 대해 안정적인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어야만 한다. 여기서,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출력량이 증가하면 스위칭 주파수를 증가시키고, 출력량이 감소하면 정류기의 스위칭 주파수를 감소시키도록 스위치의 동작을 컨트롤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방법은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의 회로에 있어서 단일 스위치(S1)의 동작을 효과적으로 컨트롤함으로써 저주파 리플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 변조 방법을 사용하여, 스위치(S1)의 스위칭 주파수(Fsw)를 가변시킴으로써 출력 리플 전압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장치의 블록도가 도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방법, 즉 스위치(S1)를 컨트롤하기 위한 장치는 스위칭 주파수(fff)를 예비적으로 결정하는 예비 스위칭 주파수(fff) 결정 루프(A1), 최종 스위칭 주파수(Fsw)의 미소가변량을 나타내는 주파수(fcomp)를 결정하는 전압 리플 억제 루프(A2), 및 직류 전압의 과도 특성 및 정상 특성에서의 레귤레이션(regulation)을 확보하기 위하여 출력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주파수(fvolt)를 제공하는 PI 제어 루프(A3)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저주파 리플 전압 성분을 저감시키면서 부하의 변동에 대해서도 일정한 출력 전압을 얻기 위해서 요구되는 스위치(S1)의 스위칭 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하면,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로부터 출력된 AC/DC 변환된 직류 전압(VDC)의 실제 측정값은 저역 필터(209)를 통과하여 360㎐의 리플이 없는 직류값이 얻어지며, 이는 AC/DC 변환된 전압(VDC)에 따른 전류(iDC)와 함께 출력 부하량 계산 기(208)로 인가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부하량 계산기(208)는 저역 필터(209)로부터 입력된 리플이 없는 직류 전압(V' DC)과 정류기로부터의 직류 전류(iDC)를 승산함으로써 출력 부하량을 나타내는 출력 전력(Pout)을 발생하여 예비 스위칭 주파수 결정 루프(A1)의 저역 필터(204) 및 전압 리플 억제 루프(A2)의 고역 필터(207)로 제공한다. 저역필터(204)를 통해 필터링된 출력량은 전력/주파수 함수 블록(203)에 인가되고 사전 결정된 함수값에 의거하여 예비 스위칭 주파수(fff)가 결정된다.
전력/주파수 함수 블록(203)은 저역 필터(204)로부터 인가되는 출력량이 증가하면 예비 스위칭 주파수(fff)가 증가되고, 출력량이 감소하면 예비 스위칭 주파수(fff)가 감소되도록 주파수를 제어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측의 부하 변화에 대해 안정적인 출력전압을 얻기 위한 동작의 결과, 요구되는 스위치의 예비 스위칭 주파수(fff)와 출력 전력(Pout)과의 관계는 출력 전력(Pout)의 변화에 따라 예비 스위칭 주파수(fff)가 거의 선형적으로 변화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전압 리플 억제 루프(A2)에 포함된 고역 필터(207)는 출력 부하량 계산기(208)로부터 입력된 출력 부하량을 고역필터링하여 원하는 리플 전력 신호를 추출한다. 고역 필터(207)의 차단 주파수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리플,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르면, 360㎐의 리플 전력 신호를 추출해 낼 수 있도록 설정된다. 그 다음, 리플 이득 계산기(206)는 고역 필터(207)를 통과한 리플 전력 신호에 적절한 이득을 승산하여 최종 스위칭 주파수(Fsw)의 미소 가변량을 나타내는 주파수(fcomp)를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PI 제어 루프(A3)는 직류 전압의 과도 특성 및 정상 특성에서의 레귤레이션(regulation)을 확보하기 위해 출력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하면, 먼저 저역 필터(209)를 통과한 직류 전압(VDC)과 이상적인 직류 출력 전압의 소망값 즉, 전압(V* DC)은 감산기(202)로 인가되어 오차 신호가 얻어진다. 여기서, 소망 전압은 정류기의 부하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이상적인 직류 전압으로써 리플전압은 포함되지 않은 전압을 나타낸다. 그 다음, 오차 신호가 PI 제어기(201)로 제공되면, PI 제어기(201)는 입력에 대한 정상 상태 오차가 0이 아닌 상수라면 적분 제어를 통해 그 오차를 0으로 만든다. 따라서, PI 제어기(201)의 출력 주파수(fvolt)는 과도 상태에서는 큰 값을 유지하나, 정상 상태에서는 거의 영으로 수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 가지 제어 루프(A1, A2, A3)의 각각의 출력 주파수들(fff, fcomp, fvolt)은 가산기(205)에 인가되어 가산되고, 가산된 주파수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PFM)(210)에서 PFM 처리되어 최종 스위칭 주파수(Fsw)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최종 스위칭 주파수(Fsw)는 도 1에 도시된 스위치(S1)에 인가되어 스위치(S1)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시킴으로써, 저주파 리플 전압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정상상태에서 PI 제어기의 출력 주파수(fvolt)가 무시할 정도로 작은 값이 되어서 최종 스위칭 주파수(Fsw)가 예비 스위칭 주파수(fff)와 미소가변 주파수(fcomp)로만 이루어진 경우에 대하여 최종 스위칭 주파수의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래프 ①은 출력 부하량 중에서 리플성분을 제거한 출력 부하량에 의하여 예비 스위칭 주파수(fff)가 결정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한편, 출력부하량 중에서 리플 성분에 의하여 미소가변 주파수(fcomp)가 결정되는 과정은 그래프 ③ →②가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스위칭 주파수(Fsw)는 리플 전력 파형이 양인 부분에서는 감소하는 반면에 파형이 음인 부분에서는 증가한다. 도 4의 그래프 ①은 도 3에 도시된 출력 전력(Pout)과 예비 스위칭 주파수(fff)와의 관계와 같으며, 그래프 ②는 네거티브 이득(negative gain)을 실현하기 위하여 그래프 ①을 2상한으로 이동시킨 그래프이고, 그래프 ③은 고역필터(207)를 통과하여 추출된 저주파 리플 전력 성분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그래프 ②의 기울기는 전압 리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크기로 조절이 가능하다.
도 5는 0.08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새로운 저감 방법을 적용하기 이전과 이후의 출력 전압의 리플 크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0.08초 이내의 시간에서는 본 발명의 직류 리플 전압 저감 알고리즘을 작동시키지 않은 경우로, 저감되지 않은 출력 전압의 리플 크기를 보이며, 0.08초이후에서는 본 발명의 새로운 직류 리플 전압 저감 제어 방법에 따라 리플이 저감된 출력 전압 리플 특성을 함께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새로운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방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입력 전압에 따른 저주파 리플 전압이 리플 전압 저감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리플 전압 저감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의 3상 입력단에서의 입력 전압 및 입력 전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완벽한 역율 1인 역율보상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단지 예로서 설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서 당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또는 대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정류기의 입력 전류 및 단위 역율의 입력 역율 등 입력 특성을 이상적으로 개선시킬 뿐만아니라, 저주파수 출력 전압 리플을 대폭 줄일 수 있기 때문에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의 출력 특성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Claims (17)

  1.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의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로부터의 직류 전압 및 전류를 사용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예비적으로 결정하고 최종 스위칭 주파수의 미소가변량을 나타내는 주파수를 구하는 제1 주파수 생성 수단과,
    상기 정류기의 부하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이상적인 직류 전압으로써 리플 전압이 포함되지 않은 소망 전압과 상기 정류기로부터의 출력 직류 전압에 의거하여 상기 정류기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주파수를 생성하는 제2 주파수 생성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주파수를 조합하여 얻은 최종 스위칭 주파수를 변조하여 상기 정류기로 제공하여 이전의 최종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시키는 제3 주파수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필터링하는 수단과,
    상기 필터링된 전압과 상기 직류 전압에 따른 직류 전류에 기초하여 출력 부하량을 계산하여 상기 제1 주파수 생성 수단에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주파수 생성 수단에서 상기 변조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에 의해 수행되는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생성 수단은,
    상기 출력 부하량을 필터링하기 위한 저역 필터와,
    상기 정류기의 출력단의 부하 변화에 대해서도 일정한 출력 전압을 얻기 위하여 상기 출력 부하량에 따라 상기 예비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생성 수단은,
    상기 출력 부하량을 필터링하여 소정의 주파수의 리플 전력 신호를 추출하는 고역 필터와,
    상기 추출된 소정의 주파수의 리플 전력 신호에 사전 결정된 이득을 승산하여 상기 최종 스위칭 주파수의 미소가변량을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역 필터의 차단 주파수는 360㎐인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스위칭 주파수 결정 수단은 상기 출력 부하량에 따라 상기 예비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하는 함수를 이용하는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부하량에 따라 상기 예비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하는 함수는 상기 정류기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출력 부하량이 증가하면 상기 예비 스위칭 주파수는 증가되고, 상기 출력 부하량이 감소되면 상기 예비 스위칭 주파수도 감소되는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장치.
  9.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로부터 출력되는 저주파 리플 전압을 저감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로부터의 직류 전압 및 전류를 사용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예비적으로 결정하고 최종 스위칭 주파수의 미소가변량을 나타내는 주파수를 구하는 제1 주파수 생성 단계와,
    상기 정류기의 부하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이상적인 직류 전압으로써 리플 전압이 포함되지 않은 소망 전압과 상기 정류기로부터의 직류 전압에 의거하여 상기 출력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주파수를 생성하는 제2 주파수 생성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주파수를 조합하여 얻은 최종 스위칭 주파수를 변조하여 상기 정류기로 제공하여 이전의 최종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시키는 제3 주파수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필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필터링된 전압과 상기 직류 전압에 따른 직류 전류에 기초하여 출력 부하량을 계산하여 상기 제1 주파수 생성 수단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주파수 생성 단계에서 상기 변조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에 의해 수행되는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생성 단계는,
    상기 출력 부하량을 저역 필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정류기의 출력단의 부하 변화에 대해서도 일정한 출력 전압을 얻기 위하여 상기 출력 부하량에 따라 상기 예비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생성 단계는,
    상기 출력 부하량을 필터링하여 소정의 주파수의 리플 전력 신호를 추출하는 고역 필터링 단계와,
    상기 추출된 소정의 주파수의 리플 전력 신호에 사전 결정된 이득을 승산하여 상기 최종 스위칭 주파수의 미소가변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 생성 단계는,
    상기 소망 전압과 상기 저역 필터로부터의 출력 전압 간의 차분값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직류 전압의 과도 상태 및 정상 특성에서의 레귤레이션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차분값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역 필터링 단계에서의 차단 주파수는 360㎐인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스위칭 주파수 결정 단계는 상기 출력 부하량에 따라 상기 예비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하는 함수를 이용하는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부하량에 따라 상기 예비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하는 함수는 상기 정류기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출력 부하량이 증가하면 상기 예비 스위칭 주파수는 증가되고, 상기 출력 부하량이 감소되면 상기 예비 스위칭 주파수도 감소되는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저주파 리플 전압 저감 방법.
KR10-2001-0014473A 2001-03-21 2001-03-21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직류 리플 전압 저감 장치및 방법 KR100419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473A KR100419136B1 (ko) 2001-03-21 2001-03-21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직류 리플 전압 저감 장치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473A KR100419136B1 (ko) 2001-03-21 2001-03-21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직류 리플 전압 저감 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605A KR20020074605A (ko) 2002-10-04
KR100419136B1 true KR100419136B1 (ko) 2004-02-19

Family

ID=2775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473A KR100419136B1 (ko) 2001-03-21 2001-03-21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직류 리플 전압 저감 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1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420B1 (ko) * 2017-06-15 2019-08-13 현대자동차(주) Llc 컨버터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605A (ko) 200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1236B2 (en) Switching power supply with self-optimizing efficiency
US8184456B1 (en) Adaptive power converter and related circuitry
US5001620A (en) Power factor improvement
US7639520B1 (en) Efficient power supply
CN101674016B (zh) 电源供应装置及均流控制方法
KR20170113219A (ko) GaN계 전력 디바이스들을 기반으로 한 배터리 충전기에 대한 시스템 아키텍처
CN108539984B (zh) 开关电源电路的pfwm控制系统
US8503205B2 (en) AC/DC converter with a PFC and a DC/DC converter
CN102857095A (zh) 采用llc变换器的功率变换器的优化
KR102175887B1 (ko) Pfc 제어회로, 액티브 pfc 회로 및 pfc 제어 방법
CN105391295A (zh) 混合模式功率因数校正
KR20200040673A (ko) Pfc 버스트 모드 제어 기능이 있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장치
US9433060B2 (en)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operating device for a light-emitting mea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JP4195948B2 (ja) 系統連系インバータ
US11005386B2 (en) Power converter circuit and power conversion method
Kanaan et al. Design, study, modelling and control of a new single-phase high power factor rectifier based on the single-ended primary inductance converter and the Sheppard–Taylor topology
WO2015052743A1 (ja) 電力変換装置
US5847944A (en) Robust, harmonic-injection system for single-switch, three-phase, discontinuous-conduction-mode boost rectifiers
KR101870749B1 (ko) 계통연계형 싱글스테이지 플라이백 인버터의 제어 장치
CN110063007B (zh) 具有谐振转换器的开关电源
KR101804773B1 (ko) 리플 제거 기능을 구비한 교류-직류 컨버터 회로
KR100419136B1 (ko)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용 직류 리플 전압 저감 장치및 방법
Kanaan et al. Small-signal modeling and linear control of a dual boost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KR100420964B1 (ko)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
Bortis et al. 25-kW three-phase unity power factor buck–boost rectifier with wide input and output range for pulse load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