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8466B1 -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 Google Patents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8466B1
KR100418466B1 KR10-2001-0015335A KR20010015335A KR100418466B1 KR 100418466 B1 KR100418466 B1 KR 100418466B1 KR 20010015335 A KR20010015335 A KR 20010015335A KR 100418466 B1 KR100418466 B1 KR 100418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tension member
ring
main body
out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5125A (ko
Inventor
김국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김국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1-0015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8466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김국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Priority to EP02707311A priority patent/EP1373644B1/en
Priority to ES10011016.2T priority patent/ES2568765T3/es
Priority to PCT/KR2002/000479 priority patent/WO2002077372A1/en
Priority to AU2002241372A priority patent/AU2002241372B2/en
Priority to ES02707311T priority patent/ES2402046T3/es
Priority to EP10011016.2A priority patent/EP2305895B1/en
Priority to JP2002575400A priority patent/JP3694690B2/ja
Priority to CNB02801815XA priority patent/CN100482899C/zh
Priority to US10/470,054 priority patent/US6932543B2/en
Publication of KR20020075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4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2D5/765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mov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제 웨지통 받침을 사용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체로서 조립이 용이하고, 가볍고 원가절감이 가능하며, 또한 매우 효율적이며 간편하게 인장재를 재거할 수 있는 그라운드 앵커의 인장재 제거형 정착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은 인장재의 후단에 대한 정착을 해제하는 것만으로 내부 정착제에 의한 인장재의 정착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한 점이다.
즉, 본 발명의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는 인장재(A)가 정착된 상태에서 그 외부 정착체를 해체하거나 외부 정착체 바로 안쪽의 인장재 부분을 용접기 등으로 절단하여 정착을 해제하는 순간 그 반작용으로 인장재(A)가 선단쪽으로 퉁겨 나갈 때 웨지 조립체(2)를 밀고 간다. 이 때 밀리는 웨지 조립체(2)는 내부에 장착된 탄성 내부링(23)에 의하여 벌어진다. 웨지 조립체(2)가 물러나면서 모든 웨지(21)가 일시에 벌어지면 인장재(A)의 선단에 대한 웨지물림이 저절로 풀린다. 본 발명은 이렇게 웨지물림이 해제된 후에 인장재(A)를 인발하여 제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anchorage device for ground anchor with removing tension member}
본 발명은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열가소성 수지제 웨지통 받침을 사용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체로서 조립이 용이하고, 가볍고 원가절감이 가능하며, 또한 매우 효율적이며 간편하게 인장재를 재거할 수 있는 그라운드 앵커의 인장재 제거형 정착체에 관한 것이다.
그라운드 앵커, 즉 어스 앵커는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을 축조 또는 구축하기 위한 지하구조물용 굴착공사를 하면서 굴착하지 아니한 현장 부근의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흙막이 공사, 연약지반의 절개면의 토사 유실을 억제하기 위한 안전수단으로 두루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용 목적을 가진 그라운드 앵커로서는 압축형과 인장형, 지압형이 있다. 인장형 그라운드 앵커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형식의 그라운드 앵커이긴 하지만 인장재를 제거할 수 없는 게 흠이고, 지압형 그라운드 앵커는 선단지압에 의해 구속되기 때문에 공사를 마치고 인장재를 제거할 때 어려움이 있었다.
정착력 확보면에서, 인장형 그라운드 앵커는 경시적으로 그라우팅체의 인장균열로 인하여 정착력이 감소되고, 지압형 앵커는 선단지압이 가능한 암반에만 적용가능하는 등 사용처별로 제약도 있었다.
그라운드 앵커는 인장강도가 우수한 인장재(연강선)를 사용하여 지반에 천공한 앵커공에 앵커체를 삽입하고 자유장측 선단에다 하중을 걸어서 정착력을 확보하여 그 정착력을 이용해 지하로 깊숙이 굴착할 때 관련 공사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굴착면에 설치한 흙막이벽, 즉 가설토류벽을 안정시키게 되는데, 지하구조물에 대한 구축공사 완료 후 지중에다 인장재를 그대로 방치하면 향후 인접지반에 대한 지하구조물 공사에 장애물이 되기 때문에 민원이 발생하고 인장재를 제거하기 위한 공사비가 추가로 소요되는 등 해결할 과제가 남아 있다.
상기한 여러 가지 면을 고려한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제가 제안되어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특허공보 제96-4273호가 있다. 이 선행기술에서 선을 뵌 내부 정착제는 중앙에 태양 웨지좌가 그리고 그 주위에 위성웨지좌가 형성된 본체와, 2분할 또는 3분할형 태양 웨지와 위성 웨지좌, 태양 웨지 및 위성 웨지, 위성 웨지와 동수의 스페이서, 태양 웨지와 위성 웨지의 상향 이탈방지용 상부 덮개, 및 본체에 씌우는 캡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는 실질적으로 인장력을 발휘하는 위성 웨지에 물린 인장재 외에 이들 인장재를 제거하기 위한 회수조작용 인장재, 다시 말해 태양 웨지에 물린 회수조작용 인장재와 이것을 끼워 물리는 웨지를 필수 구성요건으로 함으로서 지중 앵커의 구성부품수 증가와 회수조작용 인장재의 추가에 따른 제조원가의 상승, 그리고 회수조작용 인장재의 인발작업이 추가되는 흠이 있다.
뿐만아니라 각 스페이서의 내면은 테이퍼진 회수조작용 인장재에 대응하는 테이퍼가 주어지고 측면에는 인접한 위성 웨지의 테이퍼에 대응하는 테이퍼가 주어지며 외면은 본체의 중공에 상응하는 원호면으로 이뤄진 형상이 복잡해서 절삭가공과 조립난이도도 또한 높았다.
또, 본체의 중심에는 축방향으로 천공한 중심재공의 후미에 링홈을 내어 중심재용 C형 멈춤링을 끼워서 중심재공에 삽입된 중심재가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본체의 후미 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 것 역시 본체의 내부구조를 복잡하게 만들어 임가공수가 많을 수 밖에 없었다.
게다가, 회수조작용 인장재를 제거하기 전에 인용 인장재가 느슨하게 물리기라도 한 경우 그 인장재에 인발력이 작용하면 태양 웨지에서 미끄러져 빠질 가능성도 있었다. 실제로 이런 일이 벌어지면 태양 웨지에 이끌려 당연히 후퇴해야 할 회수조작용 인장재가 후퇴하지 않고 위성 웨지도 벌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모든 인장재가 제거불능상태에 직면하게 된다. 더욱이, 종래의 인장재 제거형 내부 정착체는 전용 인발기를 이용하지 않고는 인장재를 제거할 수도 없었다.
이러한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 바로 공개특허공보 제2000-47445호다. 이 개량형 내부 정착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웨지홈을 가진 본체 내에 열가소성 수지에 전열체가 매입된 웨지통 받침을 수납하고, 이 웨지통 받침 위에 웨지통을 얹어서 본체와 웨지통의 웨지홈 사이에 인장재의 선단을 끼워 물린 채로 인장재에 인장력을 걸어 정착한 후 공사를 마치고외부에서 상기 전열체에 연결된 전선에 전류를 흘리면 전열체의 발열에 의하여 수지성분의 웨지통 받침이 녹아 빠질 때 웨지는 제자리에 머물고 웨지통만 인장재에 걸린 장력에 의해 인장재의 외측단쪽으로 끌려나오는 과정에서 인장재의 선단에 대한 웨지물림이 와해되는 순간 인장재가 장력에 의해 외측단쪽으로 퉁겨나와 제거할 수 있는 상태로 반전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인장재 제거형 내부 정착체는 웨지통 받침이 녹을 때 전열체와 전선이 연결된 나선 부분이 본체에 접촉되어 스파크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위험할 뿐만아니라 단선으로 웨지통 받침이 녹다가 말면 더 이상 웨지통이 물러나지 않아 웨지물림이 완벽하게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인장재를 효율적으로 회수하기가 곤란해진다. 게다가, 웨지통 받침의 제작난이도가 높고 비용도 높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가소성 수지제 웨지통 받침을 사용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체로서 조립이 용이하고, 가볍고 원가절감이 가능하며, 또한 매우 효율적이며 간편하게 인장재를 재거할 수 있는 그라운드 앵커의 인장재 제거형 내부 정착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은 인장재의 후단에 대한 정착을 해제하는 것 만으로 내부 정착제에 의한 인장재의 정착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한 점이다.
즉, 본 발명의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는 인장재가 정착된 상태에서 그 외부 정착체를 해체하거나 외부 정착체 바로 안쪽의 인장재 부분을 용접기 등으로 절단하여 정착을 해제하는 순간 그 반작용으로 인장재가 선단쪽으로 퉁겨 나갈 때 웨지 조립체를 밀고간다. 이에 밀린 웨지 조립체는 내부에 장착된 탄성 내부링에 의하여 벌어진다. 웨지 조립체가 물러나면서 모든 웨지가 일시에 벌어지면 인장재의 선단에 대한 웨지물림이 저절로 풀린다. 이렇게 웨지물림이 해제된 후에 인장재를 인발하여 제거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그라운드 앵커의 사용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장재 제거형 정착체의 분해도
도 3은 본체와 웨지의 종단면도
도 4는 인장재의 선단을 정착시킨 상태의 조립단면도
도 5는 인장재의 선단에 대한 웨지물림이 해제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체와 웨지의 변경실시예시도
도 7은 다구(2구)형 정착체의 평면도
도 8은 동 종단면도
도 9는 3구 이상의 다구형 정착체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웨지 조립체
3 : 캡 5 : 분리막
6 : 보조링 11 : 웨지좌
15 : 링턱 21 : 웨지
21c : 외부링용 링홍 21d : 멈춤홈
21e : 막이홈 21f : 내부링용 링홈
22 : 외부링 23 : 내부링
24 : 막이
도 1에서, 토류벽, 콘르리트 옹벽(E) 등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는 적어도 한 가닥 이상의 인장재(A)를 내부 정착체(B)에 물려 앵커공(C)에 삽입하고 앵커공(C)에 그라우트재(E)를 충전하여 정착한 후 인장재(A)에 장력을 건 상태에서 토류벽 또는 콘크리트 옹벽 안쪽에서 외부 정착체(D)로 인장재(A)의 장력으로 토류벽이나 콘크리트 옹벽 같은 구조물에 후단을 정착하게 된다.
도 2에서, 본 발명에 의한 인장재 제거형 정착제는 본체(1)와 웨지 조립체(2), 및 캡(3)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서, 본체(1)는 관상이다. 그 내주면 상에는 역원추형 웨지좌(11)가 형성되어 있고, 웨지좌(11) 밑은 합성수지 튜브(F)에 삽입된 인장재(A)를 끼워 넣을 때 상기 튜브(F)의 선단이 삽입길이의 제한을 받으며 들어가 앉을 튜브좌(1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웨지좌(11)의 위쪽으로는 웨지 조립체(2)가 후퇴할 수 있는공간을 부여하기 위기 주어진 직벽에 가까운 형태의 여유부(13)와 캡(3) 체결용 나사(14), 그리고 웨지 조립체(2)의 외부링(22)을 가두기 위한 링턱(15)도 형성되어 있다.
웨지 조립체(2)는 원주분할형 웨지(21)와 복수의 웨지(21)를 조합상태로 유지하는 외부링(22), 웨지(21)를 벌려주는 내부링(23)과 인장재가 선단쪽으로 퉁겨나갈 때의 힘을 웨지(21)에 전달하는 막이(24)로 이루어진다.
웨지(21)는 원주를 2등분 또는 3등분한 것으로, 외주면은 상기 웨지좌(11)의 여유부(13)과 흡사하게 거의 직면으로 이루어진 상부(21a)와 상기 웨지좌(11)에 대응하는 테이퍼부(21b)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부(21a)의 외면에 형성된 링홈(21c)은 외부링(22)에 의해 웨지의 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약한 충격에도 외부링(22)이 쉽게 벗겨질 수 있는 형태의 얕은 호상홈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부(21a)와 테이퍼부(21b)와의 경계에는 멈춤홈(21d)가 형성되어 있다. 이 멈춤홈(21d)은 인장재의 후단쪽에서 정착을 해제하는 순간 장력의 반작용으로 인장재가 선단쪽으로 퉁겨나갈 때의 힘에 그 쪽으로 웨지 조립체(2)가 이동할 때 상기 링홈(21c)에서 벗겨진 외부링(22)이 탄력적으로 오므라들면서 기어 들어가 걸리는 동시에 캡(3)의 운두 후단인 링턱(33)에 걸림으로서 더 이상 웨지(21)가 후퇴하지 못하도록 저지하고 동시에 인장재의 선단에 대한 웨지물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인장재를 인발할 때 안장재에 웨지(21)가 딸려 나오지 못하게 저지하는 것이다.
또한 웨지(21)의 내면 상단부에는 막이(24)를 끼워 고정하는 막이홈(21e)이형성되어 있고 상기 링홈(21c)의 아래쪽 내면에는 내부링(23)이 들어 앉을 링홈(21f)도 형성되어 있다. 내부링용 링홈(21f)을 외부링용 링홈(21c)의 하위에 둔 것은 본체(1) 내에서 웨지(21)가 선단쪽으로 이동(후퇴)했을 때 내부링(23)에 의한 웨지벌림이 원활히 이루어져 인장재의 선단에 대한 웨지물림해제작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다.
도 2로 돌아가서, 외부링(22)은 원주분할된 복수의 웨지(21)를 한데 모아서 느슨한 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종전에는 고무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고무링은 본 발명에는 부적합하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서의 외부링(22)은 웨지물림이 해제된 인장재를 인발할 때 그 인장재에 웨지(21)가 딸려 나오지 못하게 억제해야 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면서도 탄성을 지녀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외부링(22)은 C형 금속링으로 한다.
내부링(23)은 원주분할된 복수의 웨지(21)를 한데 모아서 느슨한 조합상태로 유지하는 외부링(22)과는 반대로 웨지(21)를 벌려서 인장재의 선단에 대한 웨지물림을 해제하는 것이다. 이 내부링(23)도 움추렸다가 탄력적으로 벌어질 수 있는 탄성링이며, 인장재에 강력한 힘으로 물고 있는 복수의 웨지(21)를 한꺼번에 벌리려면 C형 금속링이 적합하다.
막이(24)는 인장재의 후단에 대한 정착이 해제되는 순간 장력의 반작용으로 인장재가 그 선단쪽으로 퉁겨나갈 때 웨지 조립체(2)가 그리로 이동하도록 인장재의 반력을 웨지 조립체(2)에 전달하는 임무를 띈 것이다. 이러한 막이(24)는 웨지 조립체(2)에 인장재의 선단을 물려 본체(1)에 들어 앉히고 정착시킨 이후는 물론 인장재가 제거될 때까지 막이홈(21e)을 떠나지 못할 정도의 반경을 가진 원형 금속판이다.
캡(3)은 본체(1)의 후단쪽에서 인장재를 끼워 넣고 그 인장재의 선단에 웨지 조립체(2)를 물려 안장한 상태에서 본체(1)의 선단쪽을 막아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함과 동시에 인장재에 대한 외부 정착이 해제되는 순간 인장재의 반력에 의해 웨지 조립체(2)가 밀려 갔을 때 링홈(21c)에서 벗겨진 외부링(22)을 걸어서 이것만 후퇴지 하지 못하도록 저지하는 대외부링용 스토퍼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겉에는 본체(1)의 속나사(14)에 체결하기 위한 나사(3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인장재를 제거할 때 웨지좌(11)에서 웨지(21)가 쉽게 분리되도록 돕기 위하여 웨지좌(11)에 분리막(5)을 삽입한다. 이 분리막(5)은 웨지좌(11)와 웨지(21) 외주면간의 접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면부호 (4)는 본체(1)와 캡(3)간의 수밀용 링패킹을 표시한다.
도 4는 튜브(F) 피복형 인장재(A)의 선단을 본체(1)의 후단을 통해 삽입하여 웨지 조립체(2)에 끼워 물려 정착하고 본체(1)에 캡(3)을 체결한, 사용가능한 상태의 내부 정착제를 도시한 것이다. 특기할 사항은 링홈(21c)에 낀 외부링(22)은 본체(1)의 선단과 캡(3)의 후단 사이에서 헐거운 상태로 머물고, 막이홈(21e)과 막이(24)의 외주면 사이에는 웨지(21)가 오므라들 수 있는 여유가 있다는 점이다. 상기 인장재(A)에 장력을 걸어 토류벽, 콘크리트 옹벽을 안정시킨 경우로 가정하고, 공사를 마친 후에 상기 인장재(A)를 제거하는 요령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장재(A)의 외부정착을 해제한다. 인장재(A)의 외부정착 해제는 외부 정착체를 제거하는 방법과 외부정착체의 바로 안쪽 인장재 부분을 용접기로 절단하는 방법이 있다. 어떤 방법으로든 인장재(A)의 외부정착을 해제하는 순간 그간 인장재(A)에 갈려 있던 장력에 대한 반작용이 일어난다. 이 때의 반작용에 의하여 인장재(A)는 선단쪽으로 퉁겨나간다.
이렇게 인장재(A)가 퉁겨나갈 때는 막이(24)를 밀고 간다. 막이(24)는 웨지 조립체(2)를 끌고 간다. 웨지 조립체(2)가 막이(24)와 날(21g)에 물린 채 끌려가는 물러 설 때의 힘에 외부링(22)은 캡(3)의 후단에 제지당하여 링홈(21c)에서 벗겨질 뿐 웨지 조립체(2)를 따라 가지 않는다.
웨지 조립체(2)가 물러서다가 멈춤홈(21d)이 외부링(22)에 일치되는 순간 외부링(22)은 탄력적으로 오므라들어 그 멈춤홈(21d)을 건다. 그러면 웨지 조립체(2)는 더 이상 물러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웨지 조립체(2)가 물러날 때는 내부링(23)이 탄력적으로 팽창되면서 모든 웨지(21)를 일시에 벌려준다. 웨지(21)가 벌어지면 그 때까지 물고 있던 인장재(A)의 선단이 해방된다.
이와 같이 인장재(A)의 선단에 대한 내부 정착체의 웨지물림이 인장재의 후단부에 대한 외부정착을 해제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풀린다. 인장재(A)의 내부 정착이 해제되면 인력으로도 인장재를 인발할 수 있다. 튜브(F) 속에 인장재(A)가 들어 있기 때문이다.
도 6은 내부링(23)에 의한 웨지 조립체(2)의 벌어짐을 더욱 원활히 하기 위한 변경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캡(3)의 운두 내주면에 2∼5°의 테이퍼(α)를 부여하여 웨지 조립체(2)가 캡(3) 속으로 물러날 때내부링(23)에 의한 벌림정도를 늘리는 것이다. 웨지(21)의 상부(21a)도 상기 테이퍼와는 반대로 테이퍼(β)를 주는 것도 후퇴시 웨지(21)가 더욱 원활하게 벌어지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상의 인장재 제거형 정착체를 단구형이라고 한다면 도 7과 도 8은 2구형이고 도 9는 3구 이상의 다구형이다. 본 발명에서는 2구 이상을 통틀어 다구형이라고 한다. 다구형 정착제의 특징은 2 이상의 웨지좌(11)를 가진 본체(1)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이 경우, 웨지좌(11)마다 안장된 웨지 조립체(2)는 단일 캡(3)으로 보호하거나 각자 독립된 캡(3)으로 보호한다. 후자의 경우는 본체(1)가 복수의 웨지좌(11)를 갖는 점을 제외하면 단구형 정착체와 다를 바 없다. 그러나 복수의 웨지 조립체(2)를 단일 캡(3)으로 보호하는 경우는 사정이 약간 다르다. 단일 캡(3)으로 각 구의 웨지 조립체(2)를 단속하는 것은 무리가 따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구형 정착체의 경우에는 캡(3)에 의한 외부링(22) 단속기능을 독립된 링(6)에 분담시키는 방안이 유력하다.
즉, 인장재에 대한 외부정착이 해제된 순간 그 반작용으로 웨지 조립체(2)가 물러설 때에 거기서 외부링(22)이 벗겨지게 하여 거의 제자리에 머물게 하는 캡(3)의 작용을 다른 수단에게 이행시키는 것이다. 그 수단이 바로 보조링(6)이다. 이 보조링(6)은 외부링(22)에 대하여 캡(3)의 운두가 하던 일을 대신하는 것으로, 상기한 단구형 정착체에서 캡(3)의 운두가 맡은 기능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는 치수로 보조링(6)을 본체(1)의 캡체결용 나사(14)가 있던 자리에 안치하고, 본체(1)의 나사(14)는 겉으로 옮긴다.
상기 보조링(6)은 애당초 주어진 본체(1)의 링턱(15)에서 선단까지의 칫수에서 외부링(22)의 두께를 뺀 칫수보다도 약간 짧게 형성하여 캡(3)을 씌우더라도 링턱(15)과 캡(3)의 링받이(32) 사이에서 보조링(6)에게 축방향으로 약간은 유동할 수 있는 여유를 부여함으로서 외부링(22)의 작용에 지장을 주지 않게 하고, 인장재에 대한 외부 정착의 해제에 의하여 웨지 조립체(2)가 후퇴할 때 충분한 후퇴여유를 가질 만한 길이로 형성한다.
그리고 캡(3)은 안쪽에는 모든 보조링(6)을 한꺼번에 가두는 링받이(32)를 형성하여 보조링(6)들의 이탈을 방지한다. 가공난이도를 문제만 삼지 않는다면 상기 보조링(6)은 캡(3)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인장재에 대한 외부정착이 해제된 순간 인장재의 반작용으로 후퇴하는 웨지 조립체(2)에서 외부링(22)을 벗겨서 멈춤홈(21d)에 걸리게 하는 보조링(6)의 역할은 본체(1)와 캡(3)의 나사(14,31)의 위치를 서로 맞바꿀 경우 단구형 정착체에도 원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인장재 제거형 정착체는 인장재가 정착된 상태에서 그 외부 정착체를 해체하거나 외부 정착체 바로 안쪽의 인장재 부분을 용접기 등으로 절단하는 순간 장력의 반작용으로 인장재가 선단쪽으로 퉁겨 나갈 때 웨지 조립체가 밀려가면서 내부링에 의해 모든 웨지가 일시에 벌어져 인장재의 선단에 대한 물림이 저절로 해제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인장재의 외부정착을 해제하는 단순 작업만으로 아주 간편하게 인장재를 제거할 수가 있다.
태양웨지와 위성웨지형 정착제와 열가소성 수지제 웨지통 받침을 사용하던 종래의 인장재 제거형 정착제에 비해서 구조가 간단하므로 부품 제작성과 조립성에 대한 개선효과도 있고, 부품수 감축에 따른 원가절감요소도 상당하다. 또한, 가벼워서 취급하기도 수월하다.

Claims (6)

  1. 본체의 후단 중앙으로 끼워 넣은 한 가닥 이상의 인장재 선단을, 탄성링에 의해 조합형태로 유지되는 원주분할형 웨지 조립체에 물려서 본체의 웨지좌에 안장하여 정착케 하고 상기 본체에 캡을 씌워 보호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단과 웨지좌(11)의 선단 사이에 웨지 조립체의 외부링 단속용 링턱(15)과 캡 체결용 나사(14)가 형성된 본체(1)와, 벌림용 내부링(23)과 후퇴용 막이(24) 및 후퇴시 벗겨진 외부링(22)이 기어들어 인장재 인발시 웨지가 인장재에 딸려 나오지 못하게 저지하기 위한 웨지 후퇴멈춤용 멈춤홈(21d)를 가진 웨지 조립체(2)와, 인장재의 외부정착 해제와 동시에 웨지 조립체(2)가 후퇴할 때 웨지(21)에서 외부링(22)을 벗겨 웨지(21)의 멈춤홈(21d)에 걸리게 하는 기능이 부여된 캡(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21)는 외부링용 링홈(21c)이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하여 외부링(22)이 쉽게 벗겨질 수 있는 형태로 된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좌(11)에 웨지 분리용 분리막(5)을 삽입한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4. 제1항에 있어서, 본체(1)는 캡체결용 나사(14)를 외주면에 형성하고 그 자리에 외부링(22)에 대한 캡(3)의 기능을 분담한 보조링(6)을 삽입하여 캡(3)을 씌워 가두게 한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5. 본체의 후단 중앙으로 끼워 넣은 한 가닥 이상의 인장재 선단을 탄성링에 의해 조합형태로 유지되는 원주분할형 웨지 조립체에 물려서 복수의 웨지좌마다 안장하여 정착케 하고 상기 본체에 캡을 씌워 보호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단과 웨지좌(11)의 선단 사이에 웨지 조립체의 외부링 단속용 링턱(15)과 선단 외주면에 캡 체결용 나사(14)가 형성된 본체(1)와, 벌림용 내부링(23)과 후퇴용 막이(24) 및 후퇴시 벗겨진 외부링(22)이 기어들어 인장재 인발시 웨지가 인장재에 딸려 나오지 못하게 저지하기 위한 웨지 후퇴멈춤용 멈춤홈(21d)를 가진 웨지 조립체(2)와, 인장재의 외부정착 해제와 동시에 웨지 조립체(2)가 후퇴할 때 웨지(21)에서 외부링(22)을 벗겨 웨지(21)의 멈춤홈(21d)에 걸리게 하는 기능이 부여된 보조링(6)과, 상기 보조링(6)의 이탈을 저지하는 캡(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21)는 외부링용 링홈(21c)이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하여 외부링(22)이 쉽게 벗겨질 수 있는 형태로 된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KR10-2001-0015335A 2001-03-23 2001-03-23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KR100418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335A KR100418466B1 (ko) 2001-03-23 2001-03-23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ES10011016.2T ES2568765T3 (es) 2001-03-23 2002-03-21 Anclaje interno para un elemento de tensión
PCT/KR2002/000479 WO2002077372A1 (en) 2001-03-23 2002-03-21 Wedge assembly and internal anchorage using the same
AU2002241372A AU2002241372B2 (en) 2001-03-23 2002-03-21 Wedge assembly and internal anchorage using the same
EP02707311A EP1373644B1 (en) 2001-03-23 2002-03-21 Wedge assembly and internal anchorage using the same
ES02707311T ES2402046T3 (es) 2001-03-23 2002-03-21 Conjunto de cuña y anclaje interno que utiliza el mismo
EP10011016.2A EP2305895B1 (en) 2001-03-23 2002-03-21 Internal anchorage for a tension member
JP2002575400A JP3694690B2 (ja) 2001-03-23 2002-03-21 グラウンドアンカーの引張材除去形内部定着体用のウェッジアッセンブリとこれを利用した内部定着体
CNB02801815XA CN100482899C (zh) 2001-03-23 2002-03-21 地锚的拉伸构件去除型内部锚具用的楔组合件及内部锚具
US10/470,054 US6932543B2 (en) 2001-03-23 2002-03-21 Wedge assembly and internal anchorag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335A KR100418466B1 (ko) 2001-03-23 2001-03-23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113U Division KR200235095Y1 (ko) 2001-03-23 2001-03-23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125A KR20020075125A (ko) 2002-10-04
KR100418466B1 true KR100418466B1 (ko) 2004-02-14

Family

ID=27698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335A KR100418466B1 (ko) 2001-03-23 2001-03-23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84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336B1 (ko) * 2002-10-07 2004-11-09 김경목 일체형 웨지가 구비된 정착장치
KR100727675B1 (ko) 2006-09-04 2007-06-13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KR102512834B1 (ko) 2022-02-28 2023-03-22 주식회사 서평이앤씨 인장재 제거식 지반 보강재의 타격 캡과 이를 포함하는 인장재 제거식 지반 보강재 및 이의 설치와 인장재 제거 방법
KR20230129131A (ko) 2022-02-28 2023-09-06 주식회사 근영 반발력과 웨지의 구속을 이용한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보강재 및 이의 설치와 인장재 제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070B1 (ko) * 2001-12-17 2004-06-09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
KR100435069B1 (ko) * 2001-12-17 2004-06-09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
KR100780088B1 (ko) * 2005-12-05 2007-11-29 신종덕 인장재제거용 앵커의 내부정착제
CN109235432B (zh) * 2018-09-14 2020-09-22 苏州市能工基础工程有限责任公司 岩土地层中锚索筋体的拆除方法
CN110067246B (zh) * 2019-05-29 2024-01-23 建研地基基础工程有限责任公司 可回收锚索的锚具、锚索锁固及回收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336B1 (ko) * 2002-10-07 2004-11-09 김경목 일체형 웨지가 구비된 정착장치
KR100727675B1 (ko) 2006-09-04 2007-06-13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KR102512834B1 (ko) 2022-02-28 2023-03-22 주식회사 서평이앤씨 인장재 제거식 지반 보강재의 타격 캡과 이를 포함하는 인장재 제거식 지반 보강재 및 이의 설치와 인장재 제거 방법
KR20230129131A (ko) 2022-02-28 2023-09-06 주식회사 근영 반발력과 웨지의 구속을 이용한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보강재 및 이의 설치와 인장재 제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125A (ko) 200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5095Y1 (ko)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KR100780088B1 (ko) 인장재제거용 앵커의 내부정착제
JP3694690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の引張材除去形内部定着体用のウェッジアッセンブリとこれを利用した内部定着体
KR100418466B1 (ko)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CA2432835C (en) Yielding strata bolt
US20050158127A1 (en) Yielding strata bolt
CN111456784B (zh) 恒阻锚索结构和锚固方法
KR200242474Y1 (ko)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US11867210B2 (en) Expansion-type anchor, sleeve used in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KR200249170Y1 (ko) 태양 웨지를 이용한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정착체
KR100411567B1 (ko)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
KR100586078B1 (ko) 인장재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정착체
KR100412035B1 (ko) 인장재 정착 및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KR200375568Y1 (ko) 마찰력 및 인장력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
KR100435070B1 (ko)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
KR200163598Y1 (ko) 그라운드앵커의인장재제거용정착제
KR200282686Y1 (ko) 그라운드 앵커의 인장재 제거형 내부 정착체용 웨지
KR101924069B1 (ko) 분리형볼트를 구비한 정착용쐐기 및 이를 이용한 긴장재 시공방법
KR20100121867A (ko)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KR20100063243A (ko)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인장재용 심선 인장 절단기
KR20030061283A (ko) 앵커공법용 인장부재 해체방법
KR100494011B1 (ko) 인장부재 해체장치용 앵커
KR101076695B1 (ko) 그라운드 앵커체를 위한 인장재 호스의 방수재 고정용 지그 어셈블리
RU193534U1 (ru) Крепе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ногопрядного троса
KR200386826Y1 (ko) 인장재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정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3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