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063B1 -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수중형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수중형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5063B1
KR100415063B1 KR10-2001-0059739A KR20010059739A KR100415063B1 KR 100415063 B1 KR100415063 B1 KR 100415063B1 KR 20010059739 A KR20010059739 A KR 20010059739A KR 100415063 B1 KR100415063 B1 KR 100415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treatment tank
chamber
air
pum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6660A (ko
Inventor
윤 식 김
Original Assignee
윤 식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 식 김 filed Critical 윤 식 김
Priority to KR10-2001-0059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5063B1/ko
Publication of KR20030026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7Inorganic materials, e.g. sand,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3/001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using granular carriers or supports for the microorg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수중형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기성 오수등을 처리하는 처리조를 배양조등의 수중속에 설치하고,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여줌으로써, 자연순환으로 인한 배양의 기능을 갖도록 하여 실시간으로 많은 양의 오수등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전자장치에 의한 순환을 배제하여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 및 운용비가 저렴한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수중형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수중형 처리장치는, 펠릿(53)이 내설되는 펠릿 챔버(54)와, 경석(51)이 내설되는 경석 챔버(52)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처리조(50)가 배양조 등의 수중속에 안착 설치된 것과; 상기 처리조(50)의 상·하측에는 각각 다공판(55,56)이 설치되고, 상기 하측의 다공판(56) 아래에는 경사진 방향으로 디퓨저 통공(57)이 형성된 공기분사노즐(58)이 설치된 것과; 상기 처리조(50)의 하측에 형성된 다공판(56)과 경석 챔버(52) 사이에는 상기 공기분사노즐(58)의 디퓨저 통공(57)을 통한 기포가 회전유도되어 상승되도록 하는 회전유도벽(59)이 설치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수중형 처리장치{APPARATUS FOR SEWAGE DISPOSAL}
본 발명은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수중형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성 오수, 폐수 및 하수('오수등'이라고 총칭함)를 처리하는 처리조를 배양조 등의 수중속에 설치하여 자연순환으로 인한 배양의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전자장치에 의한 순환을 배제하여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 및 운용비가 저렴한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수중형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주방이나 목욕탕 등에서 배출되는 생활 하수나, 수세식 변기 또는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처리시키는 방법은 종래에 주로 혐기성 정화법과 호기성 정화법이 사용되었다.
혐기성(嫌氣性) 정화법이라는 것은 혐기성 미생물이 오탁물인 유기 물질을 흡착 분해하여 CO2, CH4, H2S, NH3등의 안정화된 저 에너지 물질로 변화시키는 것을 이용한 정화법이다.
호기성(好氣性) 정화법이라는 것은 용해되어 있는 오탁물을 호기성 생물 즉, 활성오니(活性汚泥)가 흡착·소화하여 오수등을 청정하게 하는 현상을 이용하는 것이다.
활성오니의 증감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용해된 오탁물이 처리조에 유입하면 편모충류, 섬모충류, 효소 등을 이용한 오니에 흡착·소화되어 용액은 청정화되고, 이렇게 함으로써 오니는 가속도적으로 증가하고 다음에 먹이가 부족한 상태에서 들어가 증가하는 추세가 감소된다.
먹이가 떨어지면 생물은 체내에 있는 영양분을 체내 호흡하는 호흡기에 들어가 자기 산화(酸化)에 의하여 오니량을 감소시킨다.
오수등을 호기성 정화법으로 처리할 경우에 처리조 내에 정화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고 오물이 고형물(固形物)로서 처리조내에 침적 안하도록 하여 활성오니의 증식과 자기 산화를 잘할 수 있도록 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호기성 정화법으로 오수등을 처리하되, 호기성 생물 즉 상술한 호기성 박테리아를 이용하는 활성오니법을 사용하지 않고 토양 활성 부식질인 펠릿을 이용한 토양 미생물을 배양하여 오니를 처리조 내에서 활성화시켜 오수등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제거하여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도 1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오수등의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오수등이 처리되는 처리조(10) 일측에는 위에서 아래로 오수 범람관(14), 오수 배출관(15), 배수관(16)이 차례로 측설되고, 처리조(10) 내부에는 경석(19)을 수용하는 경석 챔버(20)와 상기 경석 챔버(20) 상부에 위치되는 펠릿 챔버(22)가 내설되되, 오수 배출관(15)과 오수 범람관(14)은 연통되고 펠릿 챔버(22)에는 토양 활성 부식질의 펠릿(21)이 수용된다.
여기서 펠릿(21)은 나무, 잎, 사체, 화산 폭발 후의 부산물 등이 섞여서 부패 토양에 스며들어 혼합된 부식질 토양을 펠릿(Pellet)형으로 제조한 것을 말하고, 경석(19)은 안산암의 일종으로서 내부에는 공기 구멍이 자연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상측에는 오수 유입관(13)이 설치되어 오수등이 유입되고, 처리조(10)의 바닥과 경석 챔버(20) 사이에는 공기 공급관(11)과 연통된 공기 공급 파이프(17)가 내설되며, 상기 공기 공급 파이프(17)에는 다수의 디퓨저 통공이 형성된다.
오수 배출관(15)에는 오수등이 처리되고 난 후에 오수등을 오수 배출관(15)으로 배출시키는 배출 전동 밸브(18)가 설치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2)는 컨트롤 패널이다.
오수 유입관(13)을 통해 처리조(10)내에 오수등이 유입된 후 어느 정도 차게 되면 오수등의 유입이 정지된다.
정지하지 않고 계속하여 오수등이 유입되면 오수등이 처리되지 않고 오수 범람관(14)을 통해 그냥 배출된다.
그 후, 공기 공급 파이프(17)에 형성된 디퓨저 통공을 통해 공기가 공급되고 공급된 공기는 기포가 되어 경석(19) 사이 및 경석(19)에 자연 형성된 공기 구멍을통해 상승하여 펠릿(21)을 거쳐 처리조(10) 상부로 이동한다.
상기 경석 챔버(20)를 펠릿 챔버(22) 하단에 설치하는 이유는 펠릿(21)이 기포와 직접 충돌하지 않고 경석(19) 사이나 공기 구멍을 통하여 접촉하게 함으로써 펠릿(21)이 쉽게 마모되거나 유실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경석(19)에 자연 형성된 공기 구멍에는 토양 미생물이 서식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오수등의 처리 장치는, 처리조(10) 내에서 오수등이 회전 및 순환되지 않아 경석 챔버(20) 및 펠릿 챔버(22) 내에 오수등의 이물질이 침적되기 때문에 상기 챔버(20,22)를 꺼내어 청소를 하여야만 하고 막히지 않은 부분으로만 기포가 상승하기 때문에 배양 기능이 저하되어 결국은 오수등의 처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원발명 출원인은 처리조 내에서 오수등이 회전하고 하부에서 상부로 순환되어 펠릿 및 오수등과 기포와의 접촉이 골고루 이루어져 펠릿의 배양 기능이 향상되고 이물질의 침적이 적기 때문에 챔버를 청소할 필요가 없으며 처리조 외부에서 오수등과 기포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배양 기능이 향상되기 때문에 처리조 내부에 미량의 공기를 공급하여도 될 뿐만 아니라 특히 오수등의 처리 효율이 뛰어나도록 한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처리장치'를 1997년 4월 30일자로 출원(출원번호 : 10-1997-0016532호)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도 2는 상기한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처리장치 구성도이고, 도 3a, 도 3b는 순환수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회전 유도관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4는 공기의 회전방향을 나타내는 회전 유도벽의 평면도이다.
먼저, 상기한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처리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처리조(10) 내에서 기포와 펠릿(21)의 접촉에 의해 펠릿(21)을 이용한 토양 미생물을 배양하여 오니를 활성화시켜 오수등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제거하는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상기 처리조(10) 일측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11)의 일부가 내설된 펌프 챔버(25)가 순환수 입구(28)에 의해 상기 처리조(10) 하측과 연통된 순환수 챔버(27)와 에어 리프트 펌프(26)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순환수 입구(28)의 처리조(10) 하부에는 회전 유도관(29)이 내설되며 상기 공기 공급관(11)을 통한 공기가 유입되는 분사 노즐(35) 상부에 회전 유도벽(30)이 설치되되;
상기 회전 유도벽(30) 상부에는 타공판(31)이 설치되고 상기 처리조(10) 일측 상부에는 범람둑(23)이 형성되어 범람된 오수등이 오수로(36)를 통해 펌프 챔버(25)에 유입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공기 공급관(11)에는 공기 유량계(32a,32b)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본적인 구성 외에 공기 공급관(11)에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측정하는 공기 유량계(32a,32b)가 더 설치되어 펠릿(21)의 소모량을 예견할 수도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4)는 공기 공급장치, (32a),(32b),(32c)는 공기 조절밸브, (34)는 공기 배출관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처리장치의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오수 유입관(13)을 통해 오수등이 처리조(10) 내로 유입되고 어느 정도 가득 차게 되면 범람둑(23)을 범람하여 오수로(36)를 통해 펌프 챔버(25)에 유입되며 이때 에어 리프트 펌프(26)에도 오수등이 차게 된다.
공기 공급관(11)을 통해 공기가 에어 리프트 펌프(26)에 공급되면 공급된 기포는 자기 부상력에 의해 오수등과 접촉하면서 상부로 이동하여 순환수 챔버(27)로 오수등과 함께 넘어가서 기포는 상승하여 공기 배출관(34)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고 오수등은 순환수 챔버(27)에 차게 되어 하부에 있는 오수등은 순환수 입구(28)를 통해 처리조(10)에 다시 유입됨으로써 오수등이 순환된다.
이때 부상하는 기포와 오수등이 접착하게 됨으로써 용존 산소를 공급하게 되고 따라서 오니가 활성화된다.
순환수 입구(28)를 통해 처리조(10)에 재유입된 오수등은 곧바로 회전 유도관(29)을 거치게 되고, 상기 처리조(10)는 원형이므로 회전력을 갖게 되어 회전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또한, 공기 공급관(11)과 연통된 분사 노즐(35)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회전 유도벽(30)을 통하여 기포가 상승하므로 더욱 회전을 유도하게 되어 오수등은 회전하면서 경석 챔버(20) 및 펠릿 챔버(22)를 통해 상부로 상승한다.
이때 상기 분사 노즐(35)의 공기 분사 구멍의 방향은 회전 유도벽(30)의 회전 방향과 일치하도록, 즉 회전 유도벽(30)을 통하여 상승하는 기포 및 오수등의 회전을 더욱 유도하도록 경사를 주어 분사 노즐(35)의 공기 분사 구멍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분사 노즐(35)에서부터 분사되는 공기의 기포가 회전하여 분사되는것이다.
회전 유도벽(30)과 다공판(31)을 통해 부상하는 기포는 그 위에 있는 오니를 밀어 올리게 되며, 부상하는 기포와 기포에 의해 밀려 올라가는 오니는 일차로 경석 챔버(20)를 통과한 후, 펠릿 챔버(22)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펠릿(21)의 토양 활성 부식질과 교환되면서 오니는 영양분을 기포는 용존산소를 공급하여 토양 미생물 오니를 증식하게 된다.
토양 활성 미생물이 증식되어 활성화된 오니는 오수등의 유기성 양분을 섭취하여 생서(生棲)하는 동안 대사산물을 분비하게 되며, 이 대사산물에는 페놀 또는 페놀기의 어떤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 이것이 유기물과 접촉하여 급속히 결합, 입자화, 응집, 축합, 증합하며 거래 분자화하기 때문에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다.
처리조(10) 외부에서 순환되는 오수등이 기포와 접촉하여 용존 산소를 공급 받았기 때문에 처리조(10)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적게 공급하여도 처리 효율이 저하되지 않는 것이다.
상부로 상승하는 오수등은 범람둑(23)을 통하여 순환하게 되고 처리조(10) 내부에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계속하여 순환하므로 챔버(20,22) 내부에 이물질이 침적됨을 방지하게 되며, 기포는 펠릿(21) 사이를 고루 통과하게 되어 청소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갖는 장치의 처리방법은, 처리조(10) 내에서 기포와 펠릿(21)의 접촉에 의해 펠릿(21)을 이용한 토양 미생물을 배양하여 오니를 활성화시켜 오수등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제거하는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처리조(10) 외부로 범람하는 오수등이 부상하는 기포에 의해 상기 처리조(10) 내부로 다시 유입되어 순환되되 순환하면서 유입되고, 처리조(1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회전하면서 상승되어 기포가 펠릿(21) 사이를 골고루 통과되는 것이다.
따라서, 처리조(10) 내에서 오수등이 회전하고 하부에서 상부로 순환되어 펠릿 및 오수등과 기포와의 접촉이 골고루 이루어져 펠릿을 이용한 토양 미생물의 배양 기능이 향상되고, 이물질의 침적이 적기 때문에 챔버를 청소할 필요가 없으며, 처리조 외부에서 오수등과 기포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배양기능이 향상되기 때문에 처리조 내부에 미량의 공기를 공급하여도 될 뿐만 아니라 특히 오수등의 처리 효율이 뛰어난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처리장치는, 지상에 설치됨으로써 펌프에 의해 오수등을 유입시켜 타이머에 의한 자연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전자 장치에 의한 운용이 이루어짐으로써, 그 설치비가 고가이며, 운용비가 또한 고가인 점이 부담으로 작용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일정량의 오수등을 처리함에 있어서 1 cycle 당 대략 6시간이 소요되는 장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기인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기성 오수등을 처리하는 처리조를 배양조의 수중속에 설치하고,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여줌으로써, 자연순환으로 인한 배양의 기능을 갖도록 하여 실시간으로 많은 양의 오수등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전자장치에 의한 순환을 배제하여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 및 운용비가 저렴한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수중형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수등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기 출원된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서의 순환수 회전방향을 나타내는 회전 유도관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4는 도 2에서의 공기 회전방향을 나타내는 회전 유도벽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수중형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5의 평면도.
도 8은 도 6에서의 처리조 하부측에 설치된 다공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도 6에서 회전유도벽의 평면도.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공기분사 노즐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처리조 51 : 경석
52 : 경석 챔버 53 : 펠릿
54 : 펠릿 챔버 55,56 : 다공판
57 : 디퓨저(Diffuser) 통공 58 : 공기분사 노즐
59 : 회전유도벽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수중형 처리장치는, 처리조 내에서 기포와 펠릿의 접촉에 의해 펠릿을 이용한 토양 미생물을 배양하여 오니를 활성화시켜 오수등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제거하는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처리장치에 있어서, 펠릿이 내설되는 펠릿 챔버와, 경석이 내설되는 경석 챔버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처리조가 배양조 등의 수중속에 안착 설치된 것과; 상기 처리조의 상·하측에는 각각 다공판이 설치되고, 상기 하측의 다공판 아래에는 경사진 방향으로 디퓨저 통공이 형성된 공기분사노즐이 설치된 것과; 상기 처리조의 하측에 형성된 다공판과 경석 챔버 사이에는 상기 공기분사노즐의 디퓨저 통공을 통한 기포가 회전유도되어 상승되도록 하는 회전유도벽이 설치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수중형 처리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 및 도 6의 평면도이다.
한편, 도 8은 도 6에서 처리조 하부측에 설치된 다공판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6에서 회전유도벽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공기분사 노즐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수중형 처리장치는, 배양조 등의 수중에 안착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처리조(50)가 그 외형을 이루되, 이 처리조(50)의 내부에는 펠릿(53)이 내설된 펠릿 챔버(54)와, 경석(51)이 내설된 경석 챔버(52)가 상·하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석 챔버(52)의 저부측에는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면에 다수의 디퓨저 통공(57)이 형성된 공기분사 노즐(5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기분사노즐(58)에 형성된 디퓨저 통공(57)은 일정각도로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조(50)의 상·하측에는 각각 다공판(55,56)이 설치되어 오수등이 원활히 유동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처리조의 하측에 설치된 다공판(56)과 경석 챔버(52) 사이에는 일반적인 팬과 같이 호형상의 벽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회전유도벽(59)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처리조(50)가 배양조의 수중에 설치된 상태에서 공기분사 노즐(58)을 통해 공기가 공급되면 이 공기가 기포상태로 자기부상력에 의해 오수등과 접촉하면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부상하는 기포와 오수등이 접착하게 됨으로써, 용존 산소를 공급하게 되고 따라 오니가 활성화된다.
이 경우, 상기 처리조(50)의 하부측에 설치된 공기분사노즐(58)의 디퓨저 통공(57)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디퓨저 통공(57)을 지난 기포가 회전유도벽(59)을 통과하게 되는 바, 부상하는 기포와 오수등이 회전 유도되어 경석 챔버(51) 및 펠릿 챔버(53)를 통해 상부로 상승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상승된 기포와 오수등은 상기 저장조의 상부측에 설치된 다공판(56)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분사 구멍을 통하여 처리조(5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출된 오수등은 다시 배양조내에 잠수 안착된 처리조(50)내를 자연순환하게 되며, 침전조에서 공급된 오수등이 범람할 경우, 정화 처리된 일정량의 오수등이 배양조보다 낮은 수위를 갖는 폭기조로 넘쳐 흐르게 된다.
한편, 기포와 오수등이 접촉하면서 발생된 오니는 기포의 자기부상력에 의해 위로 밀려올라가는 바, 계속해서 그 위에 있는 오니를 밀어 올리게 됨으로써, 기포와, 이 기포에 의해 밀려올라가는 오니는 일차로 경석 챔버(52)를 통과한 후, 펠릿 챔버(54)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펠릿(53)의 토양 활성 부식질과 교환되면서 오니는 영양분을, 기포는 용존 산소를 공급하여 토양 미생물인 오니를 증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수중형 처리장치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지상형인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처리장치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수중형 처리장치에서의 경석 챔버(52) 및 펠릿 챔버(54)는 별도의 인양체인을 사용하여 지상으로 꺼낸 후 청소하여 보충하고 다시 안착시키면 되는데, 이때 보충은 지상형과 마찬가지로 대략 1년분을 보충하나, 필요에 따라 소량씩 충진하여 보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수중형 처리장치는, 종래의 지상형인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처리장치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지면서도, 연속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여줌으로써 자연순환으로 인한 배양의 기능을 갖도록 하여 실시간으로 많은 양의 오수등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전자장치에 의한 순환 즉, 일정시간 정화처리하고 배출한 후에 일정량의 오수등을 재공급하여 정화처리하는 일련의 과정을 배제하게 됨으로써, 타이머나 펌프기 및 전자조정 패널 등의 구조가 필요없어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 및 운용비가 저렴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

  1. 처리조(50) 내에서 기포와 펠릿의 접촉에 의해 펠릿을 이용한 토양 미생물을 배양하여 오니를 활성화시켜 오수 등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제거하는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 등의 처리장치에 있어서,
    펠릿(53)이 내설되는 펠릿 챔버(54)와 경석(51)이 내설되는 경석 챔버(52)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처리조(50)가 배양조의수중 속에 안착 설치된 것과;
    상기 처리조(50)의 상·하측에는 각각 다공판(55,56)이 설치되고, 상기 하측의 다공판(56) 아래에는경사진 방향으로 디퓨저 통공(57)이 형성된 공기분사노즐(58)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형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처리장치.
KR10-2001-0059739A 2001-09-26 2001-09-26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수중형 처리장치 KR100415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739A KR100415063B1 (ko) 2001-09-26 2001-09-26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수중형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739A KR100415063B1 (ko) 2001-09-26 2001-09-26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수중형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660A KR20030026660A (ko) 2003-04-03
KR100415063B1 true KR100415063B1 (ko) 2004-01-13

Family

ID=29562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739A KR100415063B1 (ko) 2001-09-26 2001-09-26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수중형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50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641Y1 (ko) * 2010-06-15 2010-12-28 화순군 축산폐수 악취저감용 미생물접촉 폭기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258B1 (ko) * 2021-03-04 2021-07-09 주식회사 한미엔텍 토양미생물을 이용한 하폐수의 악취저감 고도처리 방법 및 그 처리시스템
KR102645378B1 (ko) 2021-11-02 2024-03-11 유원이엔이 주식회사 선회류 유동식 챔버형 미생물 반응기
CN116351131A (zh) * 2023-05-12 2023-06-30 潍坊市天源环保科技有限公司 一体化养殖污水处理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641Y1 (ko) * 2010-06-15 2010-12-28 화순군 축산폐수 악취저감용 미생물접촉 폭기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660A (ko) 200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7557B2 (en) Wastewater treatment method
CN101538106B (zh) 无耗能污水处理装置
KR100303811B1 (ko) 생물·산화 여과장치
CN102633411B (zh) 一体化中水处理装置
CN107500479A (zh) 一种农村生活污水处理方法
CN104628135B (zh) Mbbr反应器
KR100415063B1 (ko)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수중형 처리장치
CN103864215B (zh) 一种污水处理系统
CN201424418Y (zh) 无耗能污水处理装置
US8652329B2 (en) Sewage nitrate removal by free-draining asphyxiant filtration and carbon addition
US201702535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household waste water treatment
KR100225537B1 (ko) 토양 활성 부식질을 이용한 오수등의 처리장치
CN205820977U (zh) 一种一体化兼氧污水处理器
KR100458764B1 (ko) 침적형 고정층 미생물막법을 이용한 수처리 방법 및 장치
JPH054092A (ja) 池の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RU2698694C1 (ru) Способ аэробной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взвешенным активным илом с гидроавтоматическим режимом регулирования скорости рециркуляции в зависимости от единовременных объемов неравномерно подаваемых сточных вод частных домов и специальным ночным режимом денитрификац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0561170B1 (ko) 폭기식 인공습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수, 오수,폐수등의 고도 처리 방법
CN209178189U (zh) Cast工艺与生物膜法四类水污水处理无人机
JP2006122745A (ja) 水浄化装置および水浄化方法
CN104609679A (zh) 根据循环式生物学处理的下水、废水处理装置
KR20200016114A (ko) 생물접촉 순환여과 방식의 오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RU108755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0274168B1 (ko) 합병처리 정화장치
KR101155963B1 (ko)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잠수형 수처리장치
JP3239990B2 (ja) 有機排水浄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026

Effective date: 20070720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