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964B1 - 시트형의 광섬유 보호지지판 - Google Patents

시트형의 광섬유 보호지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964B1
KR100414964B1 KR10-2001-0011443A KR20010011443A KR100414964B1 KR 100414964 B1 KR100414964 B1 KR 100414964B1 KR 20010011443 A KR20010011443 A KR 20010011443A KR 100414964 B1 KR100414964 B1 KR 100414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support plate
protective support
optical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1332A (ko
Inventor
이정연
Original Assignee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이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이정연 filed Critical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1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964B1/ko
Publication of KR20020071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의 접속 연결 시 광섬유의 접속점 보호와 여장 정리를 담당하는 광접속함체 내부의 광섬유 보호지지판에 있어서, 다수개의 광섬유를 둘러싼 보호튜브가 삽입구를 통해 인입되면 상기 보호튜브를 고정시켜 유동을 방지하는 외부본체와, 외부본체 안에 내장되며 보호튜브내의 광섬유를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광섬유와 접속시키고 상기 광섬유의 여장을 정리하여 저장하는 시트형의 다수개의 내부보호지지판과, 외부본체의 상부를 소정의 범위로 덮어 외부환경으로부터 상기 광섬유를 보호하는 투명 재질의 커버로 구성된 시트형의 광섬유 보호지지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입된 다수의 광섬유를 개별적으로 나누어 내부보호지지판으로 유도하고 여기에서 각각 별개로 광섬유의 접속, 분리, 교체 및 여장 정리를 시행케하고 광섬유의 유지보수 시 필요한 광섬유 심선 만을 선택적으로 관리하여 광섬유 심선의 효율적 관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시트형의 광섬유 보호지지판{An Optical fiber Surpporting plate having Sheet type for protecting}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의 접속 연결 시 광섬유의 접속점 보호와 여장 정리를 담당하는 광접속함체 내부의 광섬유 보호지지판에 있어서, 다수개의 광섬유를 둘러싼 보호튜브가 삽입구를 통해 인입되면 상기 보호튜브를 고정시켜 유동을 방지하는 외부본체와, 외부본체 안에 내장되며 보호튜브내의 광섬유를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광섬유와 접속시키고 상기 광섬유의 여장을 정리하여 저장하는 시트형의 다수개의 내부보호지지판과, 외부본체의 상부를 소정의 범위로 덮어 외부환경으로부터 상기 광섬유를 보호하는 투명 재질의 커버로 구성된 시트형의 광섬유보호지지판에 관한 것이다.
통신 선로는 통신케이블의 한정된 길이로 인해 통신케이블을 연결 접속해야 하며 광손실에 취약한 이러한 접속점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장치가 광접속함체이다.
현재까지 다양한 형태의 광접속함체가 있으나 일반적인 구조는 내부의 광섬유 보호지지판을 구비하고 거기에서 광섬유의 여장정리와 두 광섬유간의 접속을 행한다.
이러한 광섬유 보호지지판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광섬유가 접속된 다수의 접속자를 하나의 광섬유 보호지지판에 정렬시키고, 광섬유 보호지지판 다수개 적층하여 조립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광섬유 보호지지판은 부분적으로 광섬유의 재접속이나 교체 및 보수하고자 할 경우 해당 광섬유를 접속자고정대에서 분리하며 여장정리부에서도 최소한의 길이만큼 분리한다.
이때 해당 광섬유의 유동으로 인해 유지보수가 필요없는 나머지 광섬유도 유동할 위험이 있으며 이로인해 작업도중의 엉킴과 간섭으로 광섬유 접속부가 파단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유지보수 후 재정리를 위하여 교체 또는 보수가 필요없는 다른 광섬유 접속자까지 접속자 고정대에서 분리하여 다시 여장 정리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그로인해 광통신 운용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인입된 다수의 광섬유를 개별적으로 나누어 내부보호지지판으로 유도하고 여기에서 각각 별개로 광섬유의 접속, 분리, 교체 및 여장 정리를 시행케하여 광섬유의 유지보수시 필요한 광섬유 심선만을 선택적으로 관리하여 광섬유 심선의 효율적 관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시트형 광섬유 보호지지판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대량의 광섬유의 유지보수가 필요할 경우 광섬유 보호지지판을 상부로 적층하여 관리할 수 있게 하여 확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트형 광섬유 보호지지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트형의 광섬유 보호지지판의 전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외부본체 상세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내부보호지지판 상세분해도이다.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의 접속 연결 시 광섬유의 접속점 보호와 여장 정리를 담당하는 광접속함체 내부의 광섬유 보호지지판에 있어서, 다수개의 광섬유를 둘러싼 보호튜브가 삽입구를 통해 인입되면 상기 보호튜브를 고정시켜 유동을 방지하는 외부본체와, 외부본체 안에 내장되며 보호튜브내의 광섬유를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광섬유와 접속시키고 상기 광섬유의 여장을 정리하여 저장하는 시트형의 다수개의 내부보호지지판과, 외부본체의 상부를 소정의 범위로 덮어 외부환경으로부터 상기 광섬유를 보호하는 투명 재질의 커버로 구성된 시트형의 광섬유 보호지지판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트형의 광섬유 보호지지판의 전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시트형의 광섬유 보호지지판(10)은 다수개의 광섬유를 둘러싼 보호튜브가 삽입구를 통해 인입되면 보호튜브를 고정시켜 유동을 방지하는 외부본체(100)와, 외부본체(100)안에 내장되며 보호튜브내의 광섬유를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광섬유와 접속시키고 상기 광섬유의 여장을 정리하여 저장하는 시트형의 다수개의 내부보호지지판(200)과, 외부본체(100)의 상부를 소정의 범위로 덮어 외부환경으로부터 상기 광섬유를 보호하는 투명 재질의 커버(300)로 구성된다.
도 2는 도 1의 외부본체, 그리고 도 3은 도 1의 내부보호지지판 상세분해도이다.
외부본체(100)는 외부본체(100) 양단에 위치하며 보호튜브를 인입시키고, 내부 상단에 가이드를 구비하여 인입된 상기 보호튜브가 외부로 이탈없이 상기 외부본체(100) 내부에 안착되게 유도하는 좌우의 보호튜브 삽입구(110a,110b)와, 보호튜브 삽입구(110a,110b) 하단에 위치하며 보호튜브의 전단 일부로 노출된 다수의 광섬유들을 내부보호지지판(200)으로 개별적으로 나누어 유도하되 광섬유의 광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곡률을 갖는 좌우의 광섬유가이드(120a,120b)와, 외부본체(100) 내부의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위치하며 내부보호지지판(200)을 다수 적층시키는 내부보호지지판고정대(130)와, 외부본체(100) 상단부에 위치하며 대량의 보호튜브의 유지보수 시 필요에 따라 다수의 외부본체(100)를 상부로 적층시키는 힌지부(140)와, 외부본체(100)의 원호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위치하며 커버(300)와 접촉하여 고정시키는 커버지지대(150)로 구성된다.
내부보호지지판(200)은 광섬유 가이드(120)를 통해 인입되는 다수개의 광섬유 중에서 단 하나의 광섬유만을 뽑아내어 광손실 없이 소정의 곡률로 감아내고 여장시키는 좌우의 여장정리부(210a,210b)와, 여장정리부(210a,210b)의 원호상에 소정 간격으로 위치하며 여장된 광섬유가 여장정리부(210a,210b)에서 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최소곡률반경이 유지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여장가이드(220)와, 외부본체(100)의 내부보호지지판고정대(130)와 결합하여 내부보호지지판(200)을 여러장 적층할 수 있게 하는 내부보호지지판고정홀(230)과, 여장정리부(210a,210b)의 하단에 위치하며 광섬유의 연결부인 광섬유접속자를 수용하는 접속자고정대(240)와, 여장가이드(220)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며 여장된 광섬유가 내부보호지지판(200)에서 이탈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좌우의 여장덮개(250)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시트형 보호지지판의 작동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6개 또는 12개의 광섬유가 내장된 보호튜브가 보호튜브 삽입구(110a,110b)를 통해 삽입되면 내부의 가이드에 의해 유도되어 보호튜브 삽입구(110a,110b) 내면에 안착된다.
가이드는 보호튜브가 외부본체(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턱 역할을 하며, 전단 일부가 피복되어 다수의 광섬유가 노출된 상태의 보호튜브를 보호튜브 삽입구(110a,110b)에 안정하게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단 일부가 노출된 다수의 광섬유는 광섬유 가이드(120a,120b)를 통해 개별적으로 다수개의 내부보호지지판(200)으로 각각 유도되며 인입하는 과정에서 광섬유가 구부러질 경우 발생하는 광손실을 억제하기 위하여 소정의 곡률을 가진 완만한 굴곡으로 형성한다.
내부보호지지판(200)은 광섬유가이드(120a,120b)에서 유도되는 다수의 광섬유중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인입시켜 광섬유별 접속 및 여장정리를 행하게 된다.
내부보호지지판(200) 내로 인입된 하나의 광섬유는 역시 광손실을 최소화할 수는 소정의 곡선으로 굴곡진 여장정리부(210a,210b)에 감기면서 여장 정리된다.
여장정리부(210a,210b)의 원호상에는 소정 간격으로 위치된 다수개의 여장가이드(220)가 있어 여장된 광섬유가 여장정리부(210a,210b)에서 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최소곡률반경이 유지한다.
또한 여장가이드(220)는 여장덮개(250)를 고정시키는 역할도 병행하여 여장된 광섬유가 내부보호지지판(200)에서 이탈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여장이 완료된 광섬유를 연결하고자 하는 광섬유와 융착접속법등을 이용해 연결 접속시킨다.
통상의 접속법에서와 같이 광섬유의 연결에는 전기아크를 이용해 두 광섬유의 연결을 도모하며 접속점에 열수축 슬리브를 씌어 생성된 접속자(미도시)를 접속자 고정대(240)에 안착시켜 접속점의 파단을 방지한다.
한편, 하나의 내부보호지지판(200)에는 하나의 접속자만을 수용할 수 있기때문에 광섬유 보호지지판(10)이 12심 내지 24심의 광섬유를 수용하려면 여러 개의 내부 보호지지판(200)들을 적층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외부본체(100)의 내부보호지지판고정대(130)에, 내부보호지지판(200)의 내부보호지지판고정홀(230)에 끼워 적층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수의 광섬유 관리를 가능하게 했다.
내부보호지지판(200)을 상부로 여러 개 적층하게 될 경우에는 복수 개의 내부보호지지판고정대(130)에 엇갈리게 반복하여 적층하여, 내부보호지지판(20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접속자고정대(240)가 서로 겹치지 않게 할 수 있어 적층된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내부보호지지판(200)을 외부본체(100)에 고정한다 할 지라도 현장에서 진동등의 외부 충격으로부터 내부보호지지판(200)이 이탈되어 광섬유의 과다한 굴곡에 의해 광손실이 발생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본체(100)의 상부에 커버(300)를 형성한다.
커버(300)는 외부본체(100)의 원호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위치한 다수개의 커버지지대(150)와 접촉하여 고정된다.
또한 대량의 보호튜브의 유지보수 시 필요에 따라 다수의 외부본체(100)를 상부로 적층시킬 수 있는 힌지부(140)도 구비하여 확장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입된 다수의 광섬유를 개별적으로 나누어 내부보호지지판으로 유도하고 여기에서 각각 별개로 광섬유의 접속, 분리, 교체 및 여장 정리를 시행케하고 광섬유의 유지보수시 필요한 광섬유 심선만을 선택적으로 관리하여 광섬유 심선의 효율적 관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섬유 보호지지판을 상부로 적층할 수 있게 하여 대량의 광섬유의 유지보수가 필요할 경우, 보다 용이하게 관리를 할 수 있는 편리함을 도모케 한다.

Claims (3)

  1. 통신케이블의 접속 연결 시 광섬유의 접속점 보호와 여장 정리를 담당하는 광접속함체 내부의 광섬유 보호지지판에 있어서,
    광섬유를 둘러싼 다수개의 보호튜브를 삽입구를 통해 인입하여 고정시켜 유동을 방지하는 외부본체(100)와,
    상기 외부본체(100)안에 내장되며 상기 보호튜브에 의해 둘러싸인 광섬유를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광섬유와 접속시키고 상기 광섬유의 여장을 정리하는 시트형의 다수개의 내부보호지지판(200)과,
    상기 외부본체(100)의 상부를 덮어 외부환경으로부터 상기 광섬유를 보호하는 투명 재질의 커버(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시트형의 광섬유 보호지지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본체(100)는, 상기 외부본체(100) 양단에 위치하여 상기 보호튜브를 인입시켜 상기 외부본체(100) 내부에 안착되도록 유도하는 보호튜브 삽입구(110a,110b)와,
    상기 보호튜브 삽입구(110a,110b)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보호튜브의 전단 일부로 노출된 다수의 상기 광섬유들을 상기 내부보호지지판(200)으로 개별적으로 나누어 유도하되 상기 광섬유의 광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곡률을 갖는 좌우의 광섬유가이드(120a,120b)와,
    상기 외부본체(100) 내부의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위치하며 상기 내부보호지지판(200)을 다수 적층시키는 내부보호지지판고정대(130)와,
    상기 외부본체(100) 상단부에 위치하며 대량의 상기 보호튜브의 유지보수 시 필요에 따라 다수의 외부본체(100)를 상부로 적층시키는 힌지부(140)와,
    상기 외부본체(100)의 원호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위치하며 상기 커버(300)와 접촉하여 고정시키는 커버지지대(15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의 광섬유 보호지지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보호지지판(200)은 상기 광섬유 가이드(120)를 통해 인입되는 다수개의 광섬유 중에서 단 하나의 광섬유만을 뽑아내어 광손실 없이 소정의 곡률로 감아내고 여장시키는 좌우의 여장정리부(210a,210b)와,
    상기 여장정리부(210a,210b)의 원호상에 소정 간격으로 위치하며 여장된 상기 광섬유가 상기 여장정리부(210a,210b)에서 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최소곡률반경이 유지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여장가이드(220)와,
    상기 외부본체(100)의 내부보호지지판고정대(130)와 결합하여 상기 내부보호지지판(200)을 여러장 적층할 수 있게 하는 내부보호지지판고정홀(230)과,
    상기 여장정리부(210a,210b)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광섬유의 연결부인 광섬유접속자를 수용하는 접속자고정대(240)와,
    상기 여장가이드(220)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며 상기 여장된 광섬유가 상기 내부보호지지판(200)에서 이탈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좌우의 여장덮개(2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의 광섬유 보호지지판.
KR10-2001-0011443A 2001-03-06 2001-03-06 시트형의 광섬유 보호지지판 KR100414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443A KR100414964B1 (ko) 2001-03-06 2001-03-06 시트형의 광섬유 보호지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443A KR100414964B1 (ko) 2001-03-06 2001-03-06 시트형의 광섬유 보호지지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332A KR20020071332A (ko) 2002-09-12
KR100414964B1 true KR100414964B1 (ko) 2004-01-13

Family

ID=27696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443A KR100414964B1 (ko) 2001-03-06 2001-03-06 시트형의 광섬유 보호지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9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332A (ko) 200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2180B1 (en) Tray for splicing optical ribbon fibers
US6507691B1 (en) Fiber optic splice organizer with splicing tray and associated method
JP3034788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クロージャ
AU691831B2 (en) Optical fibre organizer
JP2904836B2 (ja) スプライストレイ
EP0490644B1 (en) Optical fiber cable closure having enhanced storage capability
EP0756715B1 (en) Optical fibre organizer
EP0717862B1 (en) Optical fibre organizer
EP2115512B1 (en) Fiber optic splice trays
KR100481809B1 (ko) 광섬유 조직장치 및 광섬유 조직장치를 형성하기 위한 키트
US6580866B2 (en) Fiber splice holder with protected slack storage feature
US20100054687A1 (en) Cable slack handling device
US7331722B2 (en) Optical module for housing an optical component
EP0493407A1 (en) Connector holders and distribution frame and connector holder assemblies for optical cable
US20200073070A1 (en) Optical splice and termination module
EP1589361A1 (en) An optical module for housing an optical component
KR100414964B1 (ko) 시트형의 광섬유 보호지지판
KR200396500Y1 (ko) 휴코아 분리 저장기능을 가지는 광섬유 보호 지지판.
JP3065295U (ja) 光ファイバ接続収容トレイ及び光ファイバ接続収容ユニット
US10578823B2 (en) Wall cabinets and fiber management trays
KR100760717B1 (ko) 광케이블 중간 절체장치의 접속판
KR960003831B1 (ko) 다기능 광분배반용 광섬유 보호지지판
WO2003104873A1 (en) Optical fiber splice plate
MXPA99004613A (en) Optical fibre organ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