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680B1 -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680B1
KR100414680B1 KR1020030070666A KR20030070666A KR100414680B1 KR 100414680 B1 KR100414680 B1 KR 100414680B1 KR 1020030070666 A KR1020030070666 A KR 1020030070666A KR 20030070666 A KR20030070666 A KR 20030070666A KR 100414680 B1 KR100414680 B1 KR 100414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battery
charging
secondary battery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상
채문영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에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에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에프.텍
Priority to KR1020030070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680B1/ko
Priority to US10/959,011 priority patent/US7166987B2/en
Priority to EP04023902A priority patent/EP1523081A3/en
Priority to CNA2004100809493A priority patent/CN1612406A/zh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21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the bel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6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prising a suspension strap or lanyar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폰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장착된 모바일 폰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모바일 폰의 볼륨 키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의 좌ㆍ우측 상부에 각각 형성된 커팅부를 가진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배면 개방부를 덮도록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배면에 스크류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리어 하우징과, 상기 리어 하우징)의 배면에 형성된 길다란 수용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하우징을 장착위치를 가변시키는 벨트 클립과, 상기 리어 하우징의 배면에 형성된 길다란 수용홈에 배설된 상기 벨트 클립의 이탈을 방지하는 시건부재와,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 형성된 수용홈의 좌우 측벽부에 선화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모바일 폰의 좌우 측벽에 각각 형성된 홈에 감입되어 충전시에 상기 모바일 폰의 이탈을 규제하는 한쌍의 클램퍼와,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리어 하우징 사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클램퍼의 출몰(들어가고 나옴)을 규제하는 릴리즈 버튼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 형성된 수용홈의 하부에 축 및 코일 스프링을 개재해서 선회가능하게 블록내에 설치된 인터페이스 커넥터와,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내에 배설되는 2차 전지와, 상기 트래블 어댑터에서 변환된 직류전압을 코드 및 커넥터를 통해 받아서 상기 2차 전지 및 상기 모바일 폰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시키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2차 전지에 충전된 직류전압을 상기 모바일 폰의 배터리에 충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충전제어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벨트 클립을 사용하여 허리 벨트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으며, 또한 허리 벨트에 장착시에 선회시켜 장착위치를 가변할 수 있고, 트래블 어댑터에서 직류로 변환된 직류전원에 의해 2차 전지 및 모바일 폰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시킬 수 있으며, 모바일 폰이 프론트 하우징의 수용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2차 전지에 충전된 충전전원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고, 주변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의 고온(45℃)이거나 일정온도 이하의 저온(-5℃)일 경우에는 충전을 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차전지에 충전된 DC전원을 모바일 폰의 배터리에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고, 핸즈 프리 키트에 전기적으로 접속해서 차량용 배터리를 사용해서 모바일 폰의 배터리에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고, 탁상용 충전거치대에 전기적으로 접속해서 트래블 어댑터를 사용하여 2차 전지 및 모바일 폰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PORTABLE CHARGER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모바일 폰(이동통신 단말기, 핸드 폰 또는 이동 전화기라고도 한다)의 휴대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가 용이하며, 2차전지에 충전된 DC전원을 모바일 폰의 배터리에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음과 동시에, 트래블 어댑터(travel adaptor)를 사용하여 2차전지 및 모바일 폰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시킬 수 있는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충전지를 내장한 휴대용 충전장치로서는 한국 실용신안등록공보의 등록번호 20-0275514호(등록일자 ; 2002년 5월 1일)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공보의 등록번호 20-0275514호에 개시되어 있는 충전지를 내장한 휴대용 충전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일측에는 가정용 전원 콘센트에 접속되도록 전원플러그(111)가 설치된 교류전원 접속부(11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전원플러그(111)는 본체(100) 내측에 구비된 회전축(112)을 통해 직각방향으로 절첩되어 사용시에는 본체(100)의 표면에 직각으로 고정되고(점선으로 도시), 비사용시에는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113)에 안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모바일 폰(또는 핸드 폰이라고도 한다) 등의 인터페이스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케이블(151), 상기 케이블(151)의 일측에 설치된 인터페이스 잭(152)이 설치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모바일 폰 인터페이스 커넥터의 내부 단자는 외부 배터리 접속부(115)의 양극(+)단자, 음극(-)단자 및 식별데이터 입력단자(IN)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류전원 접속부(120)에 의해 가정용 전원인 110V 또는 220V의 교류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교류전원 접속부(120)를 통해 인가되는 교류전원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교류전원 접속부(120)에는 EMI(ElectroMagneticInterference)필터(121)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EMI필터(121)에는 상기 EMI 필터(121)를 통해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직류로 정류해서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4)에 공급하기 위하여 정류부(122)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4)는 상기 정류부(122)로부터 입력되는 직류전원을 받아서 소정 듀티비에 따라 단속하여 강압(강하)된 충전전류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4)는 상기 정류부(122)로부터 입력되는 직류전원을 단속하여 강압된 유도전류를 생성하는 코일부(141)와, 상기 듀비티에 따라 상기 코일부(141)를 단속하여 충전지로 유입되는 충전전류량을 조절하는 스위칭제어부(142)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서 참조번호 115은 모바일 폰등의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통해 모바일 폰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외부 배터리 접속부로서, 상기 외부 배터리 접속부(115)는 모바일 폰에 있어서의 배터리의 식별단자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식별데이터(ID)를 식별데이터 출력단(OUT)을 통해 마이크로 프로세서(119)로 인가하도록 모바일 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인터페이스 잭(152)은 도시하지 않은 모바일 폰의 배터리의 충전단자, 접지단자 및 식별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양극(+)입력단, 음극(-)입력단 및 식별데이터 입력단(IN)이 구비되어 있다.
도 2에서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부(116)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9)로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전압제어신호를 근거로 상기 외부 배터리 접속부(115)로 공급되는 충전전압이 소정 기준전압에 도달 및 유지되도록 현재 충전전압의 전압레벨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기 PWM 제어부(16)의 변조신호 출력단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공급부(114)의 출력단은 역방향 전류차단용 다이오드(D1)를 통해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에 접속되며, 상기 외부 배터리 접속부(115)의 충전전류 입력단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에 접속되고, 상기 에미터단은 상기 PWM 제어부(16)의 전압궤환신호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공급부(114)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는 내부배터리(117)는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공급기(14)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충전전류로 하여 그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내부 배터리(2차 전지)로서, 상기 내부 배터리(117)는 외부 배터리 접속부(115)에 접속된 외부 배터리(모바일 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하여 전하가 충전되어 있는 배터리이다.
그리고 상기 내부 배터리(117)는 내부에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의 과충전 방지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9)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전류제어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고 그 광신호를 소정 듀티비를 갖는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공급부(114b)로의 인가를 단속하도록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9)와 스위치모드 전원공급부(114)의 스위칭 제어부(114b) 사이에는 포토커플러(118)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19)는 상기 외부 배터리 접속부(115)에 모바일 폰의 배터리 접속되어 있을 경우, 상기 외부 배터리 접속부(115)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배터리의 식별데이터(ID)를 판독하여 최대 충전전압 및 충전전류값을 설정하고 이를 근거로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공급부(114)와 PWM제어부(116)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충전지를 내장한 휴대용 충전장치는 모바일 폰의 배터리 충전전원이 가정용 110V/220V 교류전원인 경우에는 여행지에서 모바일 폰의 배터리를 충전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도 1의 전원플러그(111)를 가정용 전원콘센트에 삽입하고, 인터페이스 잭(152)을 모바일 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에 접속시킨다.
다음에, 상기 교류전원 접속부(120)를 통해 유입되는 교류전원은 상기 EMI필터(121)를 거치면서 노이즈 성분이 필터링된 후, 상기 정류부(122)에 의해 직류전원으로 정류되고, 정류된 직류전원은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공급기(114)로 인가된다.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공급기(114)에 인가된 직류전원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9)의 제어하에 도시하지 않은 모바일 폰의 배터리 및 상기 내부 배터리(117)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전원으로 이용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9)는 미리 설정된 내부 배터리(117)의 최대 충전전압 및 최대 충전전류량에 따라 포토커플러(118)로 펄스폭 변조신호인 소정의 전류제어신호를 인가한 후, 상기 외부 배터리 접속부(115)로부터 전송되는 모바일 폰의 배터리의 식별데이터(ID)를 판독하여 해당 배터리의 최대 충전전압 및 최대 충전전류를 설정하게 되고, 해당 배터리의 최대 충전전압을 PWM 제어부(116)의 기준전압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포토커플러(18)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9)로부터 전송되는 전류제어신호에 대응되게 소정 듀티비의 전기신호를 상기 스위칭제어부(114b)로 출력하고, 상기 스위칭제어부(142)는 상기 전기신호의 듀티비에 따라 코일부(114a)의 동작을 단속함으로써 상기 외부 배터리 접속부(115) 및 상기 내부 배터리(117)로 공급되는 충전전류량을 조절한다.
한편, 상기 PWM 제어부(116)는 소정 주기 마다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과 상기 외부 배터리 접속부(115)의 접속노드에 걸리는 전압(모바일 폰의 배터리의 현재 충전전압)과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현재 충전전압이 설정된 기준전압에 도달 및 유지되도록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온/오프 구동주기를 조절한다.
그리고, 현재 충전전압이 기준전압에 도달되었을 경우, 상기 PWM 제어부(116)는 이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9)에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9)는 이를 근거로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공급부(14)로부터 출력되는 충전전류량이 점차 감소되도록 소정 전류제어신호를 상기 포토커플러(118)로 인가한다.
즉,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9)는 미리 설정된 내부 배터리(117)의 최대 충전전압 및 최대 충전전류량에 따라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공급기(114)의 동작을 제어하지만, 모바일 폰의 현재 충전전압 상태에 따라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공급기(114)로부터 출력되는 충전전류량을 조절하여 외부 상기 배터리 접속부(115)에 접속된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 배터리(117)가 만충상태에 도달된 경우, 상기 내부 배터리(117)에 내장된 도시하지 않은 내부 과충전 방지회로에 의해 만충전상태를 감지하여 충전전류의 유입을 자동 차단한다.
상기한 동작에 의하면,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공급부(114)로부터 출력되는 충전전류는 다이오드(D1)를 경유하여 내부 배터리(117)를 충전시킴은 물론 외부 배터리 접속부(115)로 인가되어 모바일 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내부 배터리(117)에 충전된 중전전원을 이용하여 모바일 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내부 배터리(117)는 상술한 동작에 의해 충전된 상태에 있고, 가정용 교류전원을 이용하기 곤란한 장소에서 모바일 폰을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의 인터페이스 잭(152)을 모바일 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에 접속시키면, 상기 내부 배터리(17)의 충전전원의 일부는 도시하지 않은 동작전원 공급회로를 통해 동작전원으로 공급된다.
이 때,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9)는 외부 배터리 접속부(115)로부터 전송되는 모바일 폰의 배터리의 식별데이터(ID)를 판독하여 해당 배터리의 최대 충전전압 및 최대 충전전류를 설정하고, 그 최대 충전전압을 PWM 제어부(116)의 기준전압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PWM 제어부(116)는 상기 외부 배터리 접속부(115)에 접속된 배터리의 현재 충전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현재 충전전압이 설정된 기준전압에 도달 및 유지되도록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온/오프 구동주기를 조절하여 모바일 폰의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충전지를 내장한 휴대용 충전장치는 가정용 교류전원이나 또는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의 사용이 어려운 장소에서도 모바일 폰의 충전지를 충전할 수 있으나, 휴대가 불편하고, 또한 모바일 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려면 모바일 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인터페이스 잭(152)이 설치된 케이블(152)이 필요하고, 또한 상기 케이블(152)의 타단이 본체(1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야 하므로, 충전작업이 복잡하고 불편하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 클립을 사용하여 허리 벨트에 용이하게 착탈 할 수 있으며, 또한 허리 벨트에 장착시에 선회시켜 장착위치를 가변할 수 있어서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래블 어댑터(travel adaptor)에서 직류로 변환된 직류전원에 의해 2차 전지 및 모바일폰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시킬 수 있는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바일 폰이 프론트 하우징의 수용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2차 전지에 충전된 충전전원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변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의 고온(45℃ 이상)이거나 일정온도이하의 저온(-5℃ 이하)일 경우에는 충전을 저지하는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차전지에 충전된 DC전원을 모바일 폰의 배터리에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는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핸즈 프리 키트(hands free kit)에 전기적으로 접속해서 차량용 배터리를 사용해서 모바일 폰의 배터리에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는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탁상용 충전거치대에 전기적으로 접속해서 트래블어댑터를 사용하여 2차전지 및 모바일 폰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시킬 수 있는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바일 폰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장착된 모바일 폰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모바일 폰의 볼륨 키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의 좌ㆍ우측 상부에 각각 형성된 커팅부를 가진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배면 개방부를 덮도록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배면에 스크류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리어 하우징과, 상기 리어 하우징)의 배면에 형성된 길다란 수용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하우징을 장착위치를 가변시키는 벨트 클립과, 상기 리어 하우징의 배면에 형성된 길다란 수용홈에 배설된 상기 벨트 클립의 이탈을 방지하는 시건부재와,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 형성된 수용홈의 좌우 측벽부에 선화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모바일 폰의 좌우 측벽에 각각 형성된 홈에 감입되어 충전시에 상기 모바일 폰의 이탈을 규제하는 한쌍의 클램퍼와,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리어 하우징 사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클램퍼의 출몰(들어가고 나옴)을 규제하는 릴리즈 버튼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 형성된 수용홈의 하부에 축 및 코일 스프링을 개재해서 선회가능하게 블록내에 설치된 인터페이스 커넥터와,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내에 배설되는 2차 전지와, 상기 트래블 어댑터에서 변환된 직류전압을 코드 및 커넥터를 통해 받아서 상기 2차 전지 및 상기 모바일 폰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시키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2차 전지에 충전된 직류전압을 상기 모바일 폰의 배터리에 충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충전제어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2차 전지를 내장한 휴대용 충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제어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 우측에서 본 도면으로서, 벨트 클립이 동작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벨트 클립이 동작한 상태(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도 3에서 2차 전지 및 충전제어회로를 제거한 상태에서 도 3의 화살표 A-A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
도 7은 도 3에서 벨트 클립을 분리한 후의 배면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벨트 클립의 고정부재로부터 결합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에 있어서 벨트 클립의 고정부재를 중심으로 해서 결합부재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90도씩 회전시키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에 충전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모바일 폰의 장착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에 모바일 폰을 장착시켜서 2차 전지로부터 모바일 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의 릴리즈 버튼이 동작되지 않은 상태를 설명하는 리어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를 분해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의 제어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를 차량용 핸즈 프리 키트에 결합시켜서 충전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를 탁자용 충전기에 장착시켜서 충전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프론트 하우징 12:모바일 폰
14:수용홈 16:커팅부
20:리어 하우징 22:스크류
30:벨트 클립 31:결합부재
31b:홈
31d:원형돌기 32:회전부재
32a,32b:원형돌기 32c:걸림부재
32d:코일스프링 33:고정부재
34:가동부재 35:코일 스프링
40:시건부재 41:슬라이더
42:돌기 43:돌기판
50:클램퍼 51:텐션 스프링
51a:축 52:하부 작동부재
53:상부 작동레버 60:릴리즈 버튼
62:코일 스프링 64:경사면
70:인터페이스 커넥터 71:블록
71a:축 71b:코일 스프링
80:충전제어유닛 81:마이크로 프로세서
82:전압 변환수단 83:제1 충전전류 검출수단
84:제1 정전류/정전압 조절수단 85:출력단자
86:제1 스위치 87:제2 충전전류 검출수단
88:제2 정전류/정전압 조절수단 89:제2 스위치
90:방전방지수단 91:충전상태 표시수단
92:온도검출수단 200:어댑터
202:코드 204:배선
206:배선 208:커넥터
210:2차 전지 1000:휴대용 충전장치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1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우측에서 본 도면으로서, 벨트 클립이 동작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벨트 클립이 동작한 상태(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서 2차 전지 및 충전제어회로를 제거한 상태에서 도 3의 화살표 A-A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에서 벨트 클립을 분리한 후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벨트 클립의 고정부재로부터 결합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에 있어서 벨트 클립의 고정부재를 중심으로 해서 결합부재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씩 회전시키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에 충전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모바일 폰의 장착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에 모바일 폰을 장착시켜서 2차 전지로부터 모바일 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의 릴리즈 버튼이 동작되지 않은 상태를 설명하는 리어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를 분해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의 제어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이다.
도 2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는 모바일 폰(12)을 수용하는 수용홈(14)이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4)에 장착된 모바일 폰(12)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모바일 폰(12)의 볼륨 키(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14)의 좌ㆍ우측 상부에 각각 형성된 커팅부(16)를 가진 프론트 하우징(10)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10)의 배면 개방부를 덮도록 상기 프론트 하우징(10)의 배면에 스크류(22)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리어 하우징(20)과, 상기 리어 하우징(20)의 배면에 형성된 길다란 수용홈(2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하우징(10,20)을 장착위치를 가변시키는 벨트 클립(30)과, 상기 리어 하우징(20)의 배면에 형성된 길다란 수용홈(22)에 배설된 상기 벨트 클립(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시건부재(40)와, 상기 프론트 하우징(10)에 형성된 수용홈(14)의 좌우 측벽부에 선화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모바일 폰(12)의 좌우 측벽에 각각 형성된 홈에 감입되어 충전시에 상기 모바일 폰(12)의 이탈을 규제하는 한쌍의 클램퍼(50)와, 상기 프론트 하우징(10)과 상기 리어 하우징(20) 사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클램퍼(40)의 출몰(들어가고 나옴)을 규제하는 릴리즈 버튼(60)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10)에 형성된 수용홈(14)의 하부에 축(71a) 및 코일 스프링(71b)을 개재해서 선회가능하게 블록(71)내에 설치된 인터페이스 커넥터(70)와, 상기 프론트 하우징(10)과 리어 하우징(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내에 배설되는 2차 전지(210)와, 트래블 어댑터(200)에서 변환된 직류전압을 코드(202) 및 커넥터(208)를 통해 받아서 상기 2차 전지(210) 및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도시하지 않음)를 동시에 충전시키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2차 전지(210)에 충전된 직류전압을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에 충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충전제어유닛(8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벨트 클립(30)은 상부에 한쌍의 돌기(31a,31a)가 각각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시건부재(40)의 돌기(42)가 감입되는 홈(31b,31b)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리어 하우징(20)의 배면에 형성된 길다란 수용홈(22)에 감입되어 상기 시건부재(40)에 의해 위치고정되는 결합부재(31)와, 상기 결합부재(31)의 원형돌기(31d)에 형성된 한쌍의 홈(31b,31b)에 각각 감입되는 원형돌기(32a,32b)가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걸림부재(32c) 및 상기 걸림부재(32c)를 하부로 부세하는 코일스프링(32d)이 배설된 회전판(32)과, 상기 결합부재(31)의 원형돌기(31d)에 초음파 용착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된 상기 회전판(32)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고정부재(33)와, 상기 고정부재(33)에 힌지 핀(33a)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부재(34)와, 상기 가동부재(34)의 선단부(도 6에서 하부)를 상기 고정부재(33)의 하부에 당접시키도록 부세하는 코일 스프링(3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건부재(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서 상부로 부세되는 슬라이더(41)와, 상기 슬라이더(41) 상부(선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벨트 클립(30)의 결합부재(31) 하부에 형성된 홈(31b)에 감입되어 상기 벨트 클립(30)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기(42)와, 상기 리어 하우징(20)의 배면에 형성된 길다란 수용홈(22)에 배설된 상기 벨트 클립(30)을 분리하도록 상기 슬라이더(41)를 하부로 슬라이딩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더(41) 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돌기판(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퍼(5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51a)에 설치된 텐션 스프링(51)과, 상기 릴리즈 버튼(60)의 누름을 해제할 경우에 상기 한쌍의 클램퍼(50)의 돌기(50c)를 각각 돌출시키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51)의 부세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부세되는 하부 작동부재(52)와, 상기 릴리즈 버튼(60)을 누를 경우에, 상기 한쌍의 클램퍼(50)의 돌기(50c)를 각각 후퇴시키도록 상기 릴리즈 버튼(60)의 하부에 내측을 향해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64)과 당접되어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도록 힌지축(50a)에 설치된 상부 작동레버(5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릴리즈 버튼(60)은 상기 클램퍼(50)의 돌기(50c)를 상기 프론트 하우징(10)에 형성된 수용홈(14)측으로 밀어내도록 코일 스프링(62)에 의해서 상부로 부세되고 있다.
상기 충전제어유닛(80)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 및 상기 2차 전지(210)의 충전에 대한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81)와, 상기 트래블 어댑터(200)에서 변환된 직류전원 및 상기 2차 전지(210)에 충전된 직류전원(직류전류 및 직류전압)을 받아서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승압 또는 강압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 출력하는 전압 변환수단(82)과, 상기 전압 변환수단(82)에서 승압 또는 강압된 직류전원을 받아서 충전전류를 검출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 출력하는 제1 충전전류 검출수단(83)과, 상기 전압 변환수단(82)에서 승압 또는 강압된 직류전압 및 제1 충전전류 검출수단(83)에서 검출된 충전전류를 각각 받아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서 연산처리하여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데 필요한 일정 레벨의 정전류 및 정전압이 아닐 경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충전전류 검출수단(83)에서 검출된 충전전류를 받아서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정전류 및 정전압으로 조절하는 제1 정전류/정전압 조절수단(84)과, 상기 제1 정전류/정전압 조절수단(84)에서 조절된 정전류/정전압을 받아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출력단자(85)를 개재해서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 충전을 단속하는 제1 스위치(86)와, 상기 트래블 어댑터(200)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직류전류 및 직류전압)을 받아서 상기 2차 전지(210)를 충전하도록 충전전류를 검출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 출력하는 제2 충전전류 검출수단(87)과, 상기 제2 충전전류 검출수단(87)에서 검출된 충전전류를 각각 받아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서 연산처리하여 상기 2차 전지(210)를 충전시키는데 필요한 일정 레벨의 정전류 및 정전압이 아닐 경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음과 동시에, 상기 제2 충전전류 검출수단(87)에서 검출된 충전전류를 받아서 상기 2차 전지(210)를 충전시키도록 정전류 및 정전압으로 조절하는 제2 정전류/정전압 조절수단(88)과, 상기 제2 정전류/정전압 조절수단(88)에서 조절된 정전류/정전압을 받아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2차 전지(210)의 충전을 단속하는 제2 스위치(89)와, 상기 출력단자(85)에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가 접속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상기 2차 전지(210)에 충전된 직류전원의 방전을 방지시키고, 상기 출력단자(85)에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가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2차 전지(210)에 충전된 직류전원을 상기 전압 변환수단(82)에 출력해서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단속하는 방전방지수단(90)과,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 충전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2차 전지(210)의 충전을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수단(91)과, 주변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의 고온(45℃)이거나 일정온도 이하(-5℃)의 저온일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 및 상기 2차 전지(210)의 충전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의 제어하에 저지하도록 주변온도를 검출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 출력하는 온도검출수단(9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방전방지수단(90)은 상기 출력단자(85)의 +전극 및 -전극에 모바일 폰(12)의 배터리가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는 바이어스 저항(R39,R54)을 통해 게이트단자에 로우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어서 스위칭 온되어 상기 2차 전지(210)에 충전된 직류전원을 상기 보호수단(211)을 통해서 상기 전압변환수단(82)에 출력하고, 상기 출력단자(85)의 +전극 및 -전극에 모바일 폰(12)의 배터리가 접속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바이어스 저항(R39,R54)을 통해 게이트단자에 하이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어서 스위칭 오프되어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Q5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충전상태 표시수단(91)은 도 10, 도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듀얼 타입 발광다이오드(LED1)이고, 상기 듀얼 타입 발광다이오드(LED1)는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가 먼저 충전되면 상기 듀얼타입의 발광다이오드(LED1)는 적색 컬러만으로 발광되어 2차 전지(210)가 충전되고 있음을 표시하고, 상기 2차 전지(210)의 충전이 먼저 완료되면 상기 듀얼타입의 발광다이오드(LED1)는 녹색으로 발광되어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충전 중임을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와 2차 전지(210)가 모두 충전되면 상기 듀얼타입의 발광다이오드(LED1)가 발광되지 않아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와 상기 2차 전지(210)가 모두 충전되었음을 표시한다. 상기 충전상태 표시수단(91)에 있어서, R62,R63은 전류제한 저항이다.
상기 온도검출수단(92)은 주위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센서이고, 상기 2차 전지(210)에는 과전류 및 과전압을 검출해서 필터링하도록 보호수단(211)가 내장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202는 어댑터(200)와 커넥터(208)를 연결하는 코드이고, 204는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70)와 상기 충전제어유닛(8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이고, 206은 상기 충전제어유닛(80)을 통해 상기 2차 전지(210)에 직류전원을 충전하는 충전용 배선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100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1000)에 내설되어 있는 2차 전지(210)를 충전시킬려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폰(12)을 상기 프론트 하우징(10)에 형성된 수용홈(14)에 밀어 넣으면서 상기 모바일 폰(12)의 하부에 형성된 충전단자(도시하지 않음)를 인터페이스 커넥터(70)에 접속시킨다.
이 때, 상기 프론트 하우징(10)에 형성된 수용홈(14)의 양측벽에 각각 설치된 클램퍼(50)의 돌기(50c)가 상기 모바일 폰(1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홈에 감입되어 상기 모바일 폰(12)이 본 발명의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100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상기 프론트 하우징(10)에 형성된 수용홈(14)의 양측벽에 각각 설치된 클램퍼(50)의 돌기(50c)가 상기 모바일 폰(1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홈에 감입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퍼(50)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상기 하부 작동레버(52)가 상기 코일 스프링(51)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힌지축(50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 작동레버(53)도 힌지축(50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모바일 폰(12)을 상기 프론트 하우징(10)에 형성된 수용홈(14)내에 용이하게 밀어 넣을 수 있다.
상기 모바일 폰(12)이 상기 프론트 하우징(10)에 형성된 수용홈(14)내에 완전히 장착되면, 상기 코일 스프링(51)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상부 작동레버(53) 및 상기 하부 작동레버(52)를 상기 힌지축(50a)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상기 클램퍼(50)의 돌기(50c)가 상기 모바일 폰(1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홈내에 감입되어 상기 모바일 폰(12)이 본 발명의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1000)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1000)의 프론트 하우징(10)의 수용홈(14)내에 모바일 폰(12)을 감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코드(202)의 일측에 설치된 커넥터(208)를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1000)에 설치되어 있는 충전커넥터(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나서, 상기 코드(202)의 타측에 설치된 트래블 어댑터(200)의 플러그(200a)를 110Vac 또는 220Vac 콘센트에 접속시키면, 상기 트래블 어댑터(200)에서 110Vac 또는 220Vac를 받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충전제어유닛(80)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 충전제어유닛(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 및 상기 2차 전지(210)를 동시에 직류전압으로 충전시키게 되며, 이 때 상기 듀얼타입의 발광다이오드(LED1)는 오랜지 컬러로 발광한다.
한편, 상기 충전시에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가 먼저 충전되면 상기 듀얼타입의 발광다이오드(LED1)는 적색 컬러만으로 발광되어 상기 2차전지(210)가 충전되고 있음을 표시하고, 상기 2차전지(210)의 충전이 먼저 완료되면 상기 듀얼타입의 발광다이오드(LED1)는 녹색으로 발광되어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충전 중임을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와 상기 2차전지(210)가 모두 충전되면 상기 듀얼타입의 발광다이오드(LED1)가 발광되지 않아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와 상기 2차 전지(210)가 모두 충전되었음을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해서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 및 상기 2차 전지(210)가 충전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1000)의 릴리즈 버튼(60)을 눌러서 상기 클램퍼(50)의 돌기(50c)를 내부로 몰입시키고 나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1000)로부터 상기 모바일 폰(12)을 분리하여 휴대하고 다니면서 통화를 할 수 있다.
상기 클램퍼(50)의 돌기(50c)를 내부로 몰입시키는 동작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릴리즈 버튼(60)을 누르면, 상기 코일 스프링(62)을 압압하면서 상기 릴리즈 버튼(60)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릴리즈 버튼(60)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경사면(64)이 상기 릴리즈 버튼(60)의 상부 작동레버(53)를 힌지축(50a)을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하부 작동레버(52)가 코일 스프링(51)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상기 축(51a)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서 상기 클램퍼(50)의 돌기(50c)가 상기 프론트 하우징(10)의 내측으로 들어가서 상기 모바일 폰(12)을 본 발명의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10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1000)에 있어서 상기 벨트 클립(30)의 가동부재(34)의 상부를 눌러서 상기 가동부재(34)의 하부가 상기 고정부재(33)로부터 벌어지면 허리 벨트(도시하지 않음)를 상기 고정부재(33)와 상기 가동부재(34)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재(34)를 놓으면 상기 가동부재(34)가 코일 스프링(35)의 부세력에 의해서 허리 벨트를 클램프함으로서 허리 벨트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1000)를 허리 벨트에 착용한 상태에서 앉거나 허리를 구부릴 경우에 불편하면, 본 발명의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100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면, 일정 각도(예를 들면, 30도)로 선회되면서 상기 벨트 클립(30)의 회전판(32)이 상기 고정부재(33)에 형성된 수용홈(도시하지 않음)내에서 회전된다.
이 때, 상기 벨트 클립(30)의 회전판(32)에 배설된 걸림부재(32c)가 상기 코일 스프링(32d)을 수축시키면서 회전되어 걸림부재(32c)의 선단부가 상기 고정부재(33)의 수용홈 내주면에 형성된 홈(33b)에 감입되면서 정지하며, 계속해서 회전시키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까지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1000)의 프론트 하우징(10)과 리어 하우징(20)의 조립체를 허리 벨트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하다.
상기 모바일 폰(12)의 사용에 따라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가 방전되고, 또한 상기 2차 전지(210)에 충전된 직류전원을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충전시킴에 따라 상기 2차 전지(210)가 방전되면, 허리 벨트에 착용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12)의 휴대용 충전장치(1000)의 상기 프론트 하우징(10)에 형성된 수용홈(14) 내에 상기 모바일 폰(12)을 밀어 넣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폰(12)의 하부에 형성된 충전단자(도시하지 않음)를 인터페이스 커넥터(70)에 접속시킨 다음, 상기 코드(202)의 일측에 설치된 커넥터(208)를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1000)에 설치되어 있는 충전커넥터(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나서, 상기 코드(202)의 타측에 설치된 트래블 어댑터(200)의 플러그(200a)를 110Vac 또는 220Vac 콘센트에 접속시켜서 상기 충전제어유닛(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 및 2차 전지(210)를 충전시킨다.
다음에, 상기 충전제어유닛(80)의 충전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트래블 어댑터(200)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은 상기 전압변환수단(82)에 의해 승압 또는 강압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충전전류 검출수단(83)에 출력한다.
상기 제1 충전전류 검출수단(83)에서는 상기 전압 변환수단(82)에 의해 승압 또는 강압된 직류전압을 받아 충전전류를 검출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정전류/정전압 조절수단(84)에 출력하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서는 상기 전압 변환수단(82)에 의해 승압 또는 강압된 직류전압 및 제1 충전전류 검출수단(83)에서 검출된 충전전류를 받아서 연산처리하여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데 필요한 일정 레벨의 정전류 및 정전압이 아닐 경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서 상기 제1 정전류/정전압 조절수단(84)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 정전류/정전압 조절수단(84)에 의해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데 필요한 일정 레벨의 정전류 및 정전압으로 조절해서 상기 제1 스위치(86)에 출력한다.
상기 제1 스위치(86)에서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로부터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스위칭 온되어 출력단자(85)의 +전극 및 -전극을 통해서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트래블 어댑터(200)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은 상기 제2 충전전류 검출수단(87)에서 충전전류를 검출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정전류/정전압 조절수단(88)에 출력하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서는 제2 충전전류 검출수단(87)에서 검출된 충전전류를 받아서 연산처리하여 상기 2차 전지(210)를 충전시키는데 필요한 일정 레벨의 정전류 및 정전압이 아닐 경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서 상기 제2 정전류/정전압 조절수단(88)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2 정전류/정전압 조절수단(88)에 의해 상기 2차 전지(210)를 충전시키는데 필요한 일정 레벨의 정전류 및 정전압으로 조절해서 상기 제2 스위치(89)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2 스위치(89)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되어 상기 제2 정전류/정전압 조절수단(87)에서 조절된 일정 레벨의 정전류 및 정전압을 상기 2차 전지(210)에 내설된 보호수단(211)에서 과전류 및 과전압을 검출하여 필터링한 다음, 상기 2차 전지(210)를 충전시킨다.
다음에, 상기 2차 전지(210)에 충전된 직류전원을 모바일 폰(12)의 배터리에 충전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모바일 폰(12)을 사용함에 따라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가 소모되었을 경우, 상기 2차 전지(210)에 충전된 직류 전원을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에 충전시킬려면, 상기 프론트 하우징(10)의 수용홈(14)에 상기 모바일 폰(12)을 밀어넣는다.
이 때, 상기 모바일 폰(12)의 하부에 설치된 충전단자(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70)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출력단자(85)에 접속된 모바일 폰(12)의 배터리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방전방지수단(90)의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52)의 게이트단자에 바이어스저항(R39,R54)을 통해서 게이트단자에 로우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어서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52)가 스위칭 온되어 상기 2차 전지(210)에 충전된 직류전원을 상기 보호수단(211)을 통해서 상기 전압변환수단(82)에 출력한다.
상기 전압 변환수단(82)에는 상기 보호수단(211) 및 상기 방전방지수단(90)을 통해서 상기 2차 전지(210)에 충전된 직류전원을 받아서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승압 또는 강압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충전전류 검출수단(83)에 출력하며, 상기 제1 충전전류 검출수단(83)에 의해 검출된 충전정류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 및 상기 제1 정전류/정전압 조절수단(84)에 각각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서는 상기 전압 변환수단(82)에 의해 승압 또는 강압된 직류전압 및 제1 충전전류 검출수단(83)에서 검출된 충전전류를 받아서 연산처리하여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데 필요한 일정 레벨의 정전류 및 정전압이 아닐 경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서 상기 제1 정전류/정전압 조절수단(84)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 정전류/정전압 조절수단(84)에 의해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데 필요한 일정 레벨의 정전류 및 정전압으로 조절해서 상기 제1 스위치(86)에 출력한다.
상기 제1 스위치(86)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로부터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스위칭 온되어 출력단자(85)의 +전극 및 -전극을 통해서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충전한다.
한편, 상기 출력단자(85)에 접속된 모바일 폰(12)의 배터리가 접속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방전방지수단(90)의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52)의 게이트단자에 바이어스저항(R39,R54)을 통해서 게이트단자에 하이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어서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52)가 스위칭 오프되어 상기 2차 전지(210)에 충전된 직류전원이 자연 방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1000)를 차량용 핸즈 프리 키트에 결합시켜서 충전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를 탁자용 충전기에 장착시켜서 충전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1000)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벨트 클립(30)을 분리한 후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충전장치(1000)의 리어 하우징(100)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홈(22)과 상기 차량용 핸즈 프리 키트(220) 또는 상기 탁자용 충전기(230)를 브래킷(224)에 의해 결합고정한 후, 상기 프론트 하우징(10)의 전면에 형성된 수용홈(14)내에 모바일 폰(12)을 밀어 넣어서 장착시킨다.
다음에, 상기 차량용 핸즈 프리 키트(220) 또는 상기 탁자용 충전기(230)에 접속되어 있는 커넥터(226)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충전장치(1000)의 충전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에 접속시킨 후, 상기 차량용 핸즈 프리 키트(220) 또는 상기 탁자용 충전기(230)의 플러그(228)를 차량용 배터리에 접속시키거나 또는 110Vac/220Vac에 전기적으로 접속시켜서 앞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 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충전장치에 내장된 상기 2차전지(210)를 충전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1000)의 배면, 즉 상기 리어 하우징(20)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홈(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벨트 클립(30)의 분리와 장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1000)의 리어 하우징(20)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홈(22)에 결합되어 있는 벨트 클립(30)을 분리할려면, 도 7 및 도 8에서 시건부재(40)의 슬라이더(41) 상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돌기판(43)을 아래쪽으로 밀어 내리면,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시건부재(40)의 슬라이더(41)가 하부로 내려가면서 상기 슬라이더(41)의 선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돌기(42)가 상기 벨트 클립(30)의 결합부재(31)의 하부에 형성된 홈(31b)으로부터 빠져나온다.
이때, 상기 벨트 클립(30)의 고정부재(33) 및 가동부재(34)를 하부를 향해서 밀어내리면서 들어 올리면, 상기 결합부재(31)의 선단부(상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쌍의 돌기(31a)가 상기 리어 하우징(20)의 배면에 형성된 상부의 수용홈(부호표시 하지 않음)으로부터 빠져 나오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1000)의 리어 하우징(20)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홈(22)에 결합되어 있는 벨트 클립(30)이 분리된다.
이와 같이 분리된 상기 벨트 클립(30)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1000)의 리어 하우징(20)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홈(22)에 결합시킬려면, 도 7 및 도 8에서 상기 시건부재(40)의 슬라이더(41) 상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돌기판(43)을 아래쪽으로 밀어 내린 상태에서 상기 벨트 클립(30)의 선단부(상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쌍의 돌기(31a)를 리어 하우징(20)의 배면 상부에 형성된 수용홈(부호표시 하지 않음)에 밀어넣으면서 상기 벨트 클립(30)의 고정부재(33) 및 가동부재(34)를 상기 리어 하우징(20)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홈(22)에 밀어넣는다.
다음에, 상기 시건부재(40)의 슬라이더(41) 상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돌기판(43)의 파지를 해제하면,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또는 탄성부재)의 부세력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더(41)가 상부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슬라이더(41)의 선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돌기(42)가 상기 벨트 클립(30)의 결합부재(31) 하부에 형성된 홈(31b)에 감입되므로, 상기 벨트 클립(30)의 결합부재(31)가 견고하게 상기 리어 하우징(20)의 수용홈(22)에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벨트 클립을 사용하여 허리 벨트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으며, 또한 허리 벨트에 장착시에 선회시켜 장착위치를 가변할 수 있고, 트래블 어댑터(200)에서 직류로 변환된 직류전원에 의해 2차 전지(210) 및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시킬 수 있으며, 모바일 폰(12)이 프론트 하우징(10)의 수용홈(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상기 방전방지수단(90)을 오프시켜 상기 2차 전지(210)에 충전된 충전전원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의 고온(45℃) 이상이거나 일정온도 이하의 저온(-5℃) 이하일 경우에는 충전을 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5℃ 내지 45℃ 사이의 온도에서 상기 2차 전지(210)에 충전된 DC전원을 모바일 폰(12)의 배터리에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고, 핸즈 프리 키트(220)에 전기적으로 접속해서 차량용 배터리를 사용해서 모바일 폰(12)의 배터리에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고, 탁상용 충전거치대(230)에 전기적으로 접속해서 2차 전지(210) 및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를 허리 벨트에 장착해서 휴대하는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예를 들면 상의의 가장자리 또는 하의의 주머니 가장자리에 벨트 클립을 사용해서 장착하여 휴대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하우징(10)의 수용홈(14)내에 모바일 폰(12)에 장착된 배터리를 함께 감입시켜서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수용홈(14)내에 배터리만을 감입시켜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에 의하면, 모바일 폰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장착된 모바일 폰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모바일 폰의 볼륨 키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의 좌ㆍ우측 상부에 각각 형성된 커팅부를 가진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배면 개방부를 덮도록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배면에 스크류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리어 하우징과, 상기 리어 하우징)의 배면에 형성된 길다란 수용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하우징을 장착위치를 가변시키는 벨트 클립과, 상기 리어 하우징의 배면에 형성된 길다란 수용홈에 배설된 상기 벨트 클립의 이탈을 방지하는 시건부재와,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 형성된 수용홈의 좌우 측벽부에 선화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모바일 폰의 좌우 측벽에 각각 형성된 홈에 감입되어 충전시에 상기 모바일 폰의 이탈을 규제하는 한쌍의 클램퍼와,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리어 하우징 사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클램퍼의 출몰(들어가고 나옴)을 규제하는 릴리즈 버튼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 형성된 수용홈의 하부에 축 및 코일 스프링을 개재해서 선회가능하게 블록내에 설치된 인터페이스 커넥터와,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내에 배설되는 2차 전지와, 상기 트래블 어댑터에서 변환된 직류전압을 코드 및 커넥터를 통해 받아서 상기 2차 전지 및 상기 모바일 폰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시키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2차 전지에 충전된 직류전압을 상기 모바일 폰의 배터리에 충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충전제어유닛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벨트 클립을 사용하여 허리 벨트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으며, 또한 허리 벨트에 장착시에 선회시켜 장착위치를 가변할 수 있고, 트래블 어댑터에서 직류로 변환된 직류전원에 의해 2차 전지 및 모바일 폰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시킬 수 있으며, 모바일 폰이 프론트 하우징의 수용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2차 전지에 충전된 충전전원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고, 주변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의 고온(45℃)이거나 일정온도 이하의 저온(-5℃ 이하의 온도)일 경우에는 충전을 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차전지에 충전된 DC전원을 모바일 폰의 배터리에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고, 핸즈 프리 키트에 전기적으로 접속해서 차량용 배터리를 사용해서 모바일 폰의 배터리에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고, 탁상용 충전거치대에 전기적으로 접속해서 트래블 어댑터를 사용하여 2차 전지 및 모바일 폰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시킬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모바일 폰(12)을 수용하는 수용홈(14)이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4)에 장착된 모바일 폰(12)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모바일 폰(12)의 볼륨 키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14)의 좌ㆍ우측 상부에 각각 형성된 커팅부(16)를 가진 프론트 하우징(10)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10)의 배면 개방부를 덮도록 상기 프론트 하우징(10)의 배면에 스크류(22)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리어 하우징(20)과, 상기 리어 하우징(20)의 배면에 형성된 길다란 수용홈(2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하우징(10,20)을 장착위치를 가변시키는 벨트 클립(30)과, 상기 리어 하우징(20)의 배면에 형성된 길다란 수용홈(22)에 배설된 상기 벨트 클립(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시건부재(40)와, 상기 프론트 하우징(10)에 형성된 수용홈(14)의 좌우 측벽부에 선화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모바일 폰(12)의 좌우 측벽에 각각 형성된 홈에 감입되어 충전시에 상기 모바일 폰(12)의 이탈을 규제하는 한쌍의 클램퍼(50)와, 상기 프론트 하우징(10)과 상기 리어 하우징(20) 사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클램퍼(40)의 출몰(들어가고 나옴)을 규제하는 릴리즈 버튼(60)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10)에 형성된 수용홈(14)의 하부에 축(71a) 및 코일 스프링(71b)을 개재해서 선회가능하게 블록(71)내에 설치된 인터페이스 커넥터(70)와, 상기 프론트 하우징(10)과 리어 하우징(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내에 배설되는 2차 전지(210)와, 트래블 어댑터(200)에서 변환된 직류전압을 코드(202) 및 커넥터(208)를 통해 받아서 상기 2차 전지(210) 및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시키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2차 전지(210)에 충전된 직류전압을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에 충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충전제어유닛(8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클립(30)은 상부에 한쌍의 돌기(31a,31a)가 각각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시건부재(40)의 돌기(42)가 감입되는 홈(31b)이 형성되며, 상기 리어 하우징(20)의 배면에 형성된 길다란 수용홈(22)에 감입되어 상기 시건부재(40)에 의해 위치고정되는 결합부재(31)와, 상기 결합부재(31)의 원형돌기(31d)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홈(31b,31b)에 각각 감입되는 원형돌기(32a,32b)가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걸림부재(32c) 및 상기 걸림부재(32c)를 하부로 부세하는 코일스프링(32d)이 배설된 회전판(32)과, 상기 결합부재(31)의 원형돌기(31d)에 초음파 용착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된 상기 회전판(32)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고정부재(33)와, 상기 고정부재(33)에 힌지 핀(33a)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부재(34)와, 상기 가동부재(34)의 선단부를 상기 고정부재(33)의 하부에 당접시키도록 부세하는 코일 스프링(35)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건부재(40)는 스프링에 의해서 상부로 부세되는 슬라이더(41)와, 상기 슬라이더(41) 상부(선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벨트 클립(30)의 결합부재(31) 하부에 형성된 홈(31b)에 감입되어 상기 벨트 클립(30)의이탈을 방지하는 돌기(42)와, 상기 리어 하우징(20)의 배면에 형성된 길다란 수용홈(22)에 배설된 상기 벨트 클립(30)을 분리하도록 상기 슬라이더(41)를 하부로 슬라이딩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더(41) 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돌기판(43)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50)는 축(51a)에 설치된 텐션 스프링(51)과, 상기 릴리즈 버튼(60)의 누름을 해제할 경우에 상기 한쌍의 돌기(50c)를 각각 돌출시키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51)의 부세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부세되는 하부 작동부재(52)와, 상기 릴리즈 버튼(50)을 누를 경우에, 상기 한쌍의 돌기(50c)를 각각 후퇴시키도록 상기 릴리즈 버튼(50)의 하부에 내측을 향해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64)과 당접되어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도록 힌지축(50a)에 설치된 상부 작동레버(5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유닛(80)은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 및 상기 2차 전지(210)의 충전에 대한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81)와, 상기 트래블 어댑터(200)에서 변환된 직류전원 및 상기 2차 전지(210)에 충전된 직류전원(직류전류 및 직류전압)을 받아서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승압 또는 강압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 출력하는 전압 변환수단(82)과, 상기 전압 변환수단(82)에서 승압 또는 강압된 직류전원을 받아서 충전전류를 검출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 출력하는 제1 충전전류 검출수단(83)과, 상기 전압 변환수단(82)에서 승압 또는 강압된 직류전압 및 제1 충전전류 검출수단(83)에서 검출된 충전전류를 각각 받아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서 연산처리하여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데 필요한 일정 레벨의 정전류 및 정전압이 아닐 경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충전전류 검출수단(83)에서 검출된 충전전류를 받아서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정전류 및 정전압으로 조절하는 제1 정전류/정전압 조절수단(84)과, 상기 제1 정전류/정전압 조절수단(84)에서 조절된 정전류/정전압을 받아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출력단자(85)를 개재해서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 충전을 단속하는 제1 스위치(86)와, 상기 트래블 어댑터(200)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직류전류 및 직류전압)을 받아서 상기 2차 전지(210)를 충전하도록 충전전류를 검출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 출력하는 제2 충전전류 검출수단(87)과, 상기 제2 충전전류 검출수단(87)에서 검출된 충전전류를 각각 받아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서 연산처리하여 상기 2차 전지(210)를 충전시키는데 필요한 일정 레벨의 정전류 및 정전압이 아닐 경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음과 동시에, 상기 제2 충전전류 검출수단(87)에서 검출된 충전전류를 받아서 상기 2차 전지(210)를 충전시키도록 정전류 및 정전압으로 조절하는 제2 정전류/정전압 조절수단(88)과, 상기 제2 정전류/정전압 조절수단(88)에서 조절된 정전류/정전압을 받아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2차 전지(210)의 충전을 단속하는 제2 스위치(89)와, 상기 출력단자(85)에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가 접속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상기 2차 전지(210)에 충전된 직류전원의 방전을 방지시키고, 상기 출력단자(85)에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가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2차 전지(210)에 충전된 직류전원을 상기 전압 변환수단(82)에 출력해서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단속하는 방전방지수단(90)과,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 충전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2차 전지(210)의 충전을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수단(91)과, 주변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의 고온(45℃)이거나 일정온도 이하(-5℃)의 저온일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 및 상기 2차 전지(210)의 충전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의 제어하에 저지하도록 주변온도를 검출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 출력하는 온도검출수단(92)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방지수단(90)은 상기 출력단자(85)의 +전극 및 -전극에 모바일 폰(12)의 배터리가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는 바이어스 저항(R39,R54)을 통해 게이트단자에 로우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어서 스위칭 온되어 상기 2차 전지(210)에 충전된 직류전원을 상기 보호수단(211)을 통해서 상기 전압변환수단(82)에 출력하고, 상기 출력단자(85)의 +전극 및 -전극에 모바일 폰(12)의 배터리가 접속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바이어스 저항(R39,R54)을 통해 게이트단자에 하이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어서 스위칭 오프되어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Q5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상태 표시수단(91)은 듀얼 타입 발광다이오드(LED1)이고, 상기 듀얼 타입 발광다이오드(LED1)는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가 먼저 충전되면 상기 듀얼타입의 발광다이오드(LED1)는 적색 컬러만으로 발광되어 2차 전지(210)가 충전되고 있음을 표시하고, 상기 2차 전지(210)의 충전이 먼저 완료되면 상기 듀얼타입의 발광다이오드(LED1)는 녹색으로 발광되어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를 충전 중임을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와 2차 전지(210)가 모두 충전되면 상기 듀얼타입의 발광다이오드(LED1)가 발광되지 않아 상기 모바일 폰(12)의 배터리와 2차 전지(210)가 모두 충전되었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검출수단(92)은 주위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센서이고, 상기 2차 전지(210)에는 과전류 및 과전압을 검출해서 필터링하도록 보호수단(211)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
KR1020030070666A 2003-10-10 2003-10-10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 KR100414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666A KR100414680B1 (ko) 2003-10-10 2003-10-10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
US10/959,011 US7166987B2 (en) 2003-10-10 2004-10-05 Portable charger for mobile phone
EP04023902A EP1523081A3 (en) 2003-10-10 2004-10-07 Portable charger for mobile phones
CNA2004100809493A CN1612406A (zh) 2003-10-10 2004-10-10 便携式手机充电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666A KR100414680B1 (ko) 2003-10-10 2003-10-10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4680B1 true KR100414680B1 (ko) 2004-01-13

Family

ID=37423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666A KR100414680B1 (ko) 2003-10-10 2003-10-10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6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923B1 (ko) * 2007-10-22 2008-05-26 (주)대림코리아 시거잭을 이용한 멀티형 보조전원공급장치
KR100873971B1 (ko) 2006-09-18 2008-12-1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 내장용 충전기
CN109921484A (zh) * 2019-03-12 2019-06-21 郑州万迪来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双电压摄像机电池
CN110994722A (zh) * 2019-12-10 2020-04-10 深圳市创益新材料有限公司 一种便携式多面充电的智能充电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971B1 (ko) 2006-09-18 2008-12-1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 내장용 충전기
KR100831923B1 (ko) * 2007-10-22 2008-05-26 (주)대림코리아 시거잭을 이용한 멀티형 보조전원공급장치
CN109921484A (zh) * 2019-03-12 2019-06-21 郑州万迪来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双电压摄像机电池
CN109921484B (zh) * 2019-03-12 2023-09-26 郑州万迪来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双电压摄像机电池
CN110994722A (zh) * 2019-12-10 2020-04-10 深圳市创益新材料有限公司 一种便携式多面充电的智能充电器
CN110994722B (zh) * 2019-12-10 2023-07-28 深圳市创益新材料有限公司 一种便携式多面充电的智能充电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6987B2 (en) Portable charger for mobile phone
CN104411464B (zh) 背包型电源
JP4486942B2 (ja) 動力工具への電力供給装置
US7839119B2 (en)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battery and portable phone battery
EP2602064B1 (en) Electric tool system
US8575887B1 (en) Universal charging holster for charging and transpor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A2639446A1 (en) Inductive charger battery replacement system, device &amp; method
WO2007143007A2 (en) Recharging power source with lighting accessory
US20210228041A1 (en) Rechargeable cleaner
GB2344229A (en) Battery charger
CN217607501U (zh) 适于对第一电池组和第二电池组中的任一个充电的充电器及套件
JP2006504240A (ja) 外装型電池パック
KR100414680B1 (ko)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
CN112313851B (zh) 一种电源设备
KR101567048B1 (ko)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KR100449650B1 (ko) 모바일 폰용 휴대 충전장치의 충전제어방법
KR20050037534A (ko) 표준 유에스비(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인터페이스 커넥터와축전지 잔량 표시기를 부착한 휴대용 충전장치
GB2313242A (en) Charging portable telephone batteries
KR20070006969A (ko) 상용교류전원 및 퍼스널 컴퓨터의 직류전원을 이용한단말기에 내장된 2차전지의 충전장치
KR100432172B1 (ko) 모바일 폰의 휴대용 충전장치
KR100305501B1 (ko) 충전기 겸용 어댑터
KR100468126B1 (ko) 이동 통신기기용 밧데리 충전기
KR200425205Y1 (ko) 직류-교류 겸용 단말기 충전 회로
KR200316322Y1 (ko) 휴대폰과 같은 전자기기용 솔라셀 이용 충전지
AU2020102987A4 (en) Battery charger for multiple battery pa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G171 Publication of correction by opposition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