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366B1 - 디지털 무선 전화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무선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366B1
KR100414366B1 KR10-2001-0072870A KR20010072870A KR100414366B1 KR 100414366 B1 KR100414366 B1 KR 100414366B1 KR 20010072870 A KR20010072870 A KR 20010072870A KR 100414366 B1 KR100414366 B1 KR 100414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ct
signal
function
cp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2480A (ko
Inventor
정천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2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366B1/ko
Publication of KR20030042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3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home cordless telephone systems using the DECT stand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을 통해 입력된 통신신호를 인터페이스하고 자동응답신호 및 유선통신신호를 전송처리하는 스피치IC부와, 상기 스피치IC부에 연결되어 모드 스위칭기능을 실행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각종 모드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CPU와,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되어 CPU의 자동응답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응답기능을 실행하는 자동응답기부와,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되어 CPU의 DECT송수신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DECT송수신기능을 실행하는 DECT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무선 전화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채널 무선통화기능으로만 사용되던 DECT에 자동응답기를 구비하여 자동응답기능도 함께 실행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디지털 무선전화기의 기능성을 상당히 향상시키게 됨은 물론 유선연결포트를 통해 유선전화기를 연결하여 유선기능도 실행할 수가 있어 정전시에도 통화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디지털 무선전화기의 편의성도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무선 전화기{Digital european cordless telephone}
본 발명은 디지털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채널 무선통화기능으로만 사용되던 DECT에 자동응답기를 구비하여 자동응답기능도 함께 실행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디지털 무선전화기의 기능성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디지털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시스템은 산업사회가 급속히 확산됨에 따라 함께 급속히 발전되어 왔는데, 특히 1980년대 초에 북미지역에서 서비스 대상지역을 수 km ~ 수 10 km 직경의 육각형 셀로 분할한 후 , 지리적으로 떨어진 셀에서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가입자의 이동에 따라 셀간에서 무선채널 절체 기능을 구현한 셀룰러(cellular) 이동 통신 시스템을 최초로 상용화하므로써 이동 통신 시스템이 급성장하게 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일반전화기에 무선송수신기능을 내장하고 이동통신단말기와 링크하여 사용하는 유무선전화기도 급속히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대, 상기와 같은 유무선전화기 특히 유럽지역에서 사용하는 디지털 무선전화기는 DECT(Digital european cordless telephone)라 구분하는대, 이러한 DECT는 12개의 음성 커넥션에 대해 10개의 주파수 분할 채널을 갖고 있으며, 각 채널은 2개의 32Kbps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상기 DECT는 크게 유선에 연결되는 고정장치(70)와, 이 고정장치(70)와 무선으로 통신을 하는 다수의 핸드셋(71)으로 구성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DECT의 일례를 도 1을 참고로 설명하면, 유선(1)을 통해 입출력되는 통신신호를 일정신호처리하는 스피치부(72)와, 상기스피치부(72)를 경유하여 입출력되는 통신신호를 DECT신호처리 예컨대 디지털신호로 변조하거나 복조하는 DECT신호처리부(73)와, 상기 DECT신호처리부(73)를 포함하여 DECT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CPU(74)와, 상기 CPU(74)의 제어신호에 따라 다수개의 핸드셋(71)에 각각 채널을 할당하여 무선통신신호를 처리하는 RF모듈(75)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CPU(74)의 일단에는 사용자의 기능명령신호를 입력하는 키패드부(76)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DECT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외부 교환기(77)로부터 호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호신호는 DECT(70)의 스피치부(72)에 의해 인터페이스되어 DECT신호처리부(73)로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DECT신호처리부(73)는 입력된 호신호를 일정신호처리 예컨대, 노이즈제거나 디지털 복조하여 RF모듈(75)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DECT(70)의 CPU(74)는 RF모듈(75)을 통해 해당 핸드셋(71)에 채널을 할당하여 호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해당 핸드셋(71)으로부터 현재 형성된 호채널을 통해 무선의 통신신호가 RF모듈(75)로 입력되면 이 RF모듈(75)은 입력된 무선의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DECT신호처리부(73)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DECT신호처리부(73)는 입력된 음성신호를 일정신호처리하여 스피치부(72)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스피치부(72)는 CPU(74)의 제어에 따라 입력된 음성신호를 교환기(77)를 거쳐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DECT(70)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채널을 다수개 할당하여 다수의 핸드셋(71)으로 통화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DECT는 단순히 다수의 핸드셋에게 채널을 할당하여 무선통화를 실행하는 기능으로만 동작되기 때문에 자동응답서비스와는 부가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기호에 부합하지 못하므로 그에 따라 DECT의 편의성을 상당히 저하시켰으며, 또한, 고정장치가 바이어스전원이 인가될 경우에만 동작되기 때문에 정전시에는 전화통화를 전혀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다채널 무선통화기능으로만 사용되던 DECT에 자동응답기를 구비하여 자동응답기능도 함께 실행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디지털 무선전화기의 기능성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디지털 무선전화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선연결포트를 통해 유선전화기를 연결하여 유선기능도 실행할 수가 있어 정전시에도 통화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디지털 무선전화기의 편의성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디지털 무선전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선을 통해 입력된 통신신호를 인터페이스하고 자동응답신호 및 유선통신신호를 전송처리하는 스피치IC부와, 상기 스피치IC부에 연결되어 모드 스위칭기능을 실행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각종 모드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CPU와,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되어 CPU의 자동응답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응답기능을 실행하는 자동응답기부와,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되어 CPU의 DECT송수신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DECT송수신기능을 실행하는 DECT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무선 전화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DECT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DECT를 설명하는 설명도.
<부호의 상세한 설명>
1 : 유선 2 : 스피치IC부
3 : 스위칭부 4 : CPU
5 : 자동응답기부 6 : 유선전화부
7 : DECT송수신부 8 : DSP
9 : 메모리부 10: DECT 신호처리부
11: RF모듈 12: 마이크로폰
13: 키패드부 14: 교환기
15: 핸드셋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선(1)을 통해 입력된 통신신호를 인터페이스하고 자동응답신호 및 유선통신신호를 전송처리하는 스피치IC부(2)와, 상기 스피치IC부(2)에 연결되어 모드 스위칭기능을 실행하는 스위칭부(3)와, 상기 스위칭부(3)를 제어하여 각종 모드기능 예컨대, 유선전화모드, 자동응답모드 및 DECT송수신모드 등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CPU(4)와, 상기 스위칭부(3)에 연결되어 CPU(4)의 자동응답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응답기능을 실행하는 자동응답기부(5)와, 상기 스위칭부(3)에 연결되어 CPU(4)의 유선전화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유선전화모드를 실행하는 유선전화부(6)와, 상기 스위칭부(3)에 연결되어 CPU(4)의 DECT송수신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DECT송수신기능을 실행하는 DECT송수신부(7)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자동응답기부(5)는 자동응답 메시지신호를 디지털신호 처리하는 DSP(8;Digital signal processor)와, 상기 DSP(8)로 사용자의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전송된 응답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9)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DECT송수신부(7)는 입출력되는 DECT송수신신호를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신호로 변환처리하는 DECT 신호처리부(10)와, 상기 DECT 신호처리부(10)나 핸드셋(15)으로부터 입력된 통신신호를 RF신호처리하는 RF모듈(1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DSP(8)의 일단에는 마이크/스피커 기능의 마이크로폰(12)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CPU(4)에는 사용자의 기능설정신호를 입력하는 키패드부(13)가 연결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먼저, 외부의 교환기(14)로부터 유선(1)을 통해 DECT 호신호가 입력될 경우 이를 CPU(4)가 디텍트하여 스위칭부(3)를 DECT송수신모드로 전환시켜 호를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유선(1)을 통해 DECT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스피치IC부(2)가 인터페이스하여 스위칭부(3)를 경유하여 DECT송수신부(7)의 DECT 신호처리부(10)로 출력시킨다. 따라서, 상기 DECT 신호처리부(10)는 입력된 아날로그의 DECT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RF모듈(11)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RF모듈(11)은 입력된 DECT 음성신호를 RF신호처리하여 CPU(4)에 의해 설정된 채널의 핸드셋(15)으로 무선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핸드셋(15)으로부터 입력된 통신신호를 상기 과정의 역으로 처리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과정중에 만약 사용자가 부재중이어서 자동응답모드를 실행시켜야 할 경우 CPU(4)는 자동응답모드로 전환하여 스위칭부(3)의 스위칭연결을 자동응답기부(5)로 연결시키고 자동응답기부(5)의 DSP(8)로 자동응답모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DSP(8)는 CPU(4)의 제어신호에 따라 메모리부(9)로부터 사용자의 부재중에 송출할 응답메시지를 읽어들여 아날로그로 변환한 다음 스위칭부(3)를 경유하여 스피치IC부(2)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스피치IC부(2)는 입력된 부재중 응답메시지를 유선(1)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메모 메시지가 있을 경우 그 메모 메시지신호를 스피치IC부(2)와 스위칭부(3)를 경유하여 DSP(8)로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DSP(8)는 입력된 메모 메시지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메모리부(9)에 저장시킨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메모 메시지신호를 듣기위해 키패드부(13)를 통해 재생기능을 설정하면 CPU(4)는 DSP(8)로 메시지 재생제어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DSP(8)는 메모리부(9)에 저장된 메모 메시지신호를 읽어들여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한 다음 마이크로폰(12)을 통해 외부로 방출한다.
한편, 상기 과정중에 유선전화모드가 설정된 경우 CPU(4)는 유선전화모드로 전환하여 스위칭부(3)의 연결을 유선전화부(6)로 스위칭시킨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는 이 유선전화부(6)의 송수화기를 들고 통상의 유선통화를 실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유선전화부(6)의 음성신호는 스위칭부(3)와 스피치IC부(2)를 경유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유선전화부(6)는 일반 전화기처럼 정전시에도 교환기(14)로부터 공급된 통화전원을 이용하여 유선통화를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다채널 무선통화기능으로만 사용되던 DECT에 자동응답기를 구비하여 자동응답기능도 함께 실행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디지털 무선전화기의 기능성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선연결포트를 통해 유선전화기를 연결하여 유선기능도 실행할 수가 있어 정전시에도 통화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디지털 무선전화기의 편의성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유선을 통해 입력된 통신신호를 인터페이스하고 자동응답신호 및 유선통신신호를 전송처리하는 스피치IC부와, 상기 스피치IC부에 연결되어 모드 스위칭기능을 실행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각종 모드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CPU와,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되어 CPU의 자동응답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응답기능을 실행하는 자동응답기부와,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되어 CPU의 DECT송수신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DECT송수신기능을 실행하는 DECT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선 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의 일단에는 CPU의 유선전화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유선전화모드를 실행하는 유선전화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선 전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응답기부는 자동응답 메시지신호를 디지털신호 처리하는 DSP와, 상기 DSP로 사용자의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전송된 응답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선 전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SP의 일단에는 마이크/스피커 기능의 마이크로폰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선 전화기.
KR10-2001-0072870A 2001-11-22 2001-11-22 디지털 무선 전화기 KR100414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870A KR100414366B1 (ko) 2001-11-22 2001-11-22 디지털 무선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870A KR100414366B1 (ko) 2001-11-22 2001-11-22 디지털 무선 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480A KR20030042480A (ko) 2003-06-02
KR100414366B1 true KR100414366B1 (ko) 2004-01-07

Family

ID=2957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870A KR100414366B1 (ko) 2001-11-22 2001-11-22 디지털 무선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3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454A (ko) * 1997-01-31 1998-10-15 김광호 디지털 자동응답장치
JPH118889A (ja) * 1997-04-02 1999-01-12 Koninkl Philips Electron Nv 基地局及び少なくとも一台の加入者器からなる電話方式装置と、この電話方式装置を接続する方法
EP1006741A1 (en) * 1998-12-04 2000-06-07 Alcatel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incoming calls in a multi-terminal call system
EP1033856A1 (en) * 1999-03-01 2000-09-06 Alcatel Digital call-answering and message-record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454A (ko) * 1997-01-31 1998-10-15 김광호 디지털 자동응답장치
JPH118889A (ja) * 1997-04-02 1999-01-12 Koninkl Philips Electron Nv 基地局及び少なくとも一台の加入者器からなる電話方式装置と、この電話方式装置を接続する方法
EP1006741A1 (en) * 1998-12-04 2000-06-07 Alcatel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incoming calls in a multi-terminal call system
EP1033856A1 (en) * 1999-03-01 2000-09-06 Alcatel Digital call-answering and message-record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480A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341B1 (ko) 라디오 겸용 이어폰-마이크 및 그 이어폰-마이크를 이용한전화 통화/라디오 청취 제어 방법
US6813505B2 (en) Efficient and flexible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with base-to-base communication
US5416829A (en) Dual mode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n echo canceller employed in both analog and digital modes
US20060276165A1 (en) Dual mod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0414366B1 (ko) 디지털 무선 전화기
JPH04126418A (ja) 携帯電話装置
KR100393603B1 (ko) 무선 헤드셋의 재다이얼 번호 안내 방법
KR100397331B1 (ko) 터미널형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에서의 내선 전환 장치 및방법
KR200254411Y1 (ko) 핸드폰의이어폰에장착된자동전환라디오
KR200179159Y1 (ko) 라디오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전화기
KR200179158Y1 (ko) 라디오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전화기
KR100566997B1 (ko) 디이시티 시스템의 단말기능 및 베이스기능 겸용 무선장치
KR200321467Y1 (ko) 단축 다이얼을 갖는 핸즈프리
KR100443011B1 (ko) 전력선 안테나를 이용한 더불유엘엘 단말기시스템
KR20030046032A (ko)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휴대전화 통화 시스템 및 이시스템에 사용되는 베이스 스테이션 셋
KR100617539B1 (ko) 다양한 음성선택이 가능한 통신시스템의 자동응답방법
KR100323283B1 (ko) 이동전화 수신기
KR20010036594A (ko) 외부신호 수신 휴대용 핸즈프리 무선전화 시스템
KR0173074B1 (ko) 구내전화 사용시 시외통화 방지장치
JPH0738489A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00406955B1 (ko) 통신단말기의 단축전화번호 송출방법
JPH08265819A (ja)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接続方法
KR20020053213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대기모드시 음성메시지 송출방법
KR19980082886A (ko) 전화망 무선접속용 컴퓨터 통신시스템
KR19990040507U (ko) 무선전화기를이용한헤드폰무선휴대전화기및본체의헤드폰무선휴대전화기사용전환기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