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1250B1 - 비동기전달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 운용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전달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 운용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1250B1
KR100411250B1 KR10-2001-0074725A KR20010074725A KR100411250B1 KR 100411250 B1 KR100411250 B1 KR 100411250B1 KR 20010074725 A KR20010074725 A KR 20010074725A KR 100411250 B1 KR100411250 B1 KR 100411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message
network
operator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4136A (ko
Inventor
임정묵
심재찬
허재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74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1250B1/ko
Publication of KR20030044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4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2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5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9Admission control
    • H04L2012/563Signalling, e.g. protocols, reference mod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전송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ATM-PON)의 효과적인 운용관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시지 처리부로부터 망 운용자의 요구를 프로세스간 연락(IPC) 메시지로 전달받은 기능 관리부는 상기 요구에 대한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CMIP)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메시지는 메시지 전달부에 의해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으로 전달되며, 상기 운용자의 요구에 대한 수행 결과를 상기 메시지 전달부로부터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CMIP) 메시지로 전달받은 상기 기능 관리부는 해당하는 처리 절차를 실행한 후 상기 망 운용자에게 다시 프로세스간 연락(IPC) 메시지로 전달함으로써, 운용자가 ATM-PON망의 운용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ATM-PON망 운용관리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동기전달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 운용관리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TM-PON(Asynchronous Transfer Mode-Passive Optical Network)}
본 발명은 비동기전달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 운용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관리 망(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이하, TMN이라 함)을 기반으로 한 비동기전달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ATM-PON;Asynchronous Transfer Mode-Passive Optical Network:이하, ATM-PON이라 함)을 효과적으로 운용관리하기 위한 ATM-PON망 운용관리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통신망 환경의 관리는 점차 복잡해지고 난해하게 만들어지고 있으며, 더욱이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여러 종류의 통신 서비스가 통합되어 제공되는 ATM-PON망의 관리는 망 운용자들에게 주어지는 부하가 점차 커지고 있다.
따라서, 통신망 환경의 운용 상태를 쉽게 보여주고 문제 발생시 문제의 분석을 통하여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망 관리 시스템의 개발은 사용자들의 지속적인 요구 사항이 되어왔으며, TMN 기술의 발달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하나의 대안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상기 TMN은 통신망과 서비스에 대한 관리 기능 및 통신망과 서비스와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제안된 망 관리 구조로서, 다양한 종류의 망 관리 시스템들과 이질적인 통신 장비 사이에 망 관리 정보의 원활한 교환을 위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ATM-PON망 운용관리의 경우, 전화(PSTN) 서비스, 종합 정보 통신망(ISDN) 서비스, 전용선 서비스, 방송(CATV) 서비스 및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 등 다양한 통신 서비스가 서비스 가입자들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통신 장치 및 최신의 접속 기술들이 사용됨에 따라 ATM-PON망을 구성하는 통신 장치들에 대한 운용 관리와 가입자들에 대한 관리가 복잡해지고 이들 관리 정보의 일관성 있는 유지 또한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망을 운용하는 일반 망 운용자가 이러한 기술적 난제를 망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아울러 이러한 망을 전체적으로 운용하는 운용자에게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복잡한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 이들에게 부가적인 부담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신망 운용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통신 장치 또는 망의 실제 운용 정보와 망 운용자가 관리하는 운용 정보와의 불일치는 통신망을 관리하는 측면에서 아주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게 되었다.
이러한 망 운용관리 방법의 한 예로 미국특허 US5,781,623호에 엑세스망에 연결된 교환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 포트를 갖는 엑세스망을 제어하는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교환기와 엑세스망 사이에 하나의 제어 채널을 통해 그와 관련된 프로토콜 메세지를 교환하고 이를 이용하여 교환기와 사용자 포트간의 필요한 연결을 설정함으로써 망을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엑세스망 운용관리함에 있어 엑세스망 장치가 아닌 교환기를 이용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통신 장치 및 복잡한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시 망 관리 운용자의 부하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없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88-11210호에는 공중 전화망을 통하는 원격 교환 운용센터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각 사이트의 교환기의 운용 및 유지보수하는 교환기의 원격운용 및 유지보수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방법도 공중망 장치의 운용관리방법에 한정되어 통신 망 전체의 모든 장치의 운용관리를 수행하는 운용자의 부담을 해결하지는 못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통신망 관리를 위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TMN 기술을 사용하여 망의 실제 운용 정보와운용자가 관리하는 운용 정보 사이에 지속적인 일관성을 보장하고 ATM-PON망의 운용 상태를 운용자가 정확하게 파악하여 관리하는 TMN 기반의 ATM-PON망 운용관리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관리 망(TMN) 기반 ATM-PON망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PON망 운용 관리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TM-PON망 관리자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세 구성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운용자의 요구에 따른 망 운용 관리 방법의 일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으로부터 운용자의 요구에 대한 결과를 망 운용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의 일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ATM-PON망 운용관리 시스템 102 : ATM-PON망
103 : 모국장치 104 : 자국장치
105 : 광분배망 201 : ATM-PON망 운용자
202 : GUI 관리부 203 :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204 : ATM-PON망 관리자 시스템 205 : CMIP 메시지 통신부
206 :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 301 : IPC 메시지 처리부
302 : 운용자 관리부 303 : 형상 관리부
304 : 연결 관리부 305 : 성능 관리부
306 : 장애 관리부 307 : 시험 관리부
308 : 가입자 관리부 309 : 운용 정보 관리부
310 : CMIP 메시지 처리부 311 :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로서의 본 발명은, 운용자의 요구를 받아 이를 실행하는 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을 구비한 통신 관리 망(TMN) 기반의 비동기전달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ATM-PON) 운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운용자의 요구를 프로세스간 연락(IPC) 메시지 형태로 수신하여 분석하며 상기 운용자가 요구하는 결과에 대한 프로세스간 연락 메시지를 전달받아 상기 운용자에게 전달하는 메시지 처리부;
상기 메시지 처리부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운용자의 요구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기능을 요구하는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CMIP)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달하며 상기 운용자가 요구하는 결과에 대한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 메시지를 전달받아 해당 기능을 처리한 후 상기 메시지 처리부로 전달하는 기능 관리부; 및
상기 기능 관리부에서 생성된 상기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CMIP) 메시지를 전달받아 망을 관리하는 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으로 전달하며 상기 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운용자가 요구하는 결과에 대한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 메시지를 전달받아 상기 관리부에 전달하는 메시지 전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의 본 발명은, 운용자의 요구를받아 이를 실행하는 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을 구비한 통신 관리 망(TMN) 기반의 비동기전달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ATM-PON) 관리자 시스템에서의 비동기전달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 운용관리방법에 있어서,
운용자의 요구를 프로세스간 연결(IPC) 메시지로 수신하여 분석하는 제1 단계;
상기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프로세스간 연결 메시지에 해당하는 기능을 요구하는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CMIP)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제2 단계;
상기 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운용자 요구의 결과에 대한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 메시지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 메시지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 후 상기 기능 수행에 대한 프로세스간 연결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운용자에게 전송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운용자의 요구를 실행하는 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을 구비한 통신 관리 망(TMN) 기반의 비동기전송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ATM-PON) 운용 관리 시스템에,
운용자의 요구를 프로세스간 연결(IPC) 메시지로 수신하여 분석하는 제1 기능;
상기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프로세스간 연결 메시지에 해당하는 기능을 요구하는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CMIP)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제2 기능;
상기 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운용자 요구의 결과에 대한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 메시지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제3 기능; 및
상기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 메시지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 후 상기 기능 수행에 대한 프로세스간 연결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운용자에게 전송하는 제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TMN 기술을 이용하여 ATM-PON망을 구성하는 여러 대의 모국장치와 자국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ATM-PON망 자체를 효과적으로 운용관리하는 ATM-PON망 운용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TMN 기반 ATM-PON망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도로서, 상기 TMN 기반 ATM-PON망 운용 관리 시스템(101)과 ATM-PON망(102)의 내부 구성 및 접속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는 상기 TMN 기반의 ATM-PON망 운용 관리 시스템(101)이 하나의 ATM-PON망(102)을 관리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하나의 TMN 기반의 ATM-PON망 운용 관리 시스템(101)은 최대 16개의 ATM-PON망(102)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ATM-PON망(102)은 망측의 장치인 하나의 모국 장치(ATM-PON, OLT)(103)와, 가입자측 장치인 복수개의 자국 장치(ATM-PON, ONU)(104), 및 상기 모국 장치(103)와 상기 자국 장치(104)를 연결해 주며 광전송매체 역할을 하는 광분배망(ATM-PON, ODN)(105)으로 구성된다. 상기 광분배망(ATM-PON, ODN)(105)은 상기 모국 장치(ATM-PON, OLT)(103)와 상기 자국 장치(ATM-PON, ONU)(104) 사이에서 광신호를 분배하는 역할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시분할다중화(TDM;time-division multiplexing), 파장분할 다중화(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공급망 관리(SCM;supply chain management) 등과 같은 다중화 방식과 광분배기(optical splitter)를 사용하여 한 개의 모국 장치(ATM-PON, OLT)(103)에 대해서 복수개의 자국 장치(ATM-PON, ONU)들(104)이 연결되는 수동형광가입자망을 구성한다.
상기 임의의 자국 장치(104)들은 상기 모국 장치(103)와 트리 구조로 연결된다. 또한, 광분배망(105)의 분기율에 따라 하나의 모국 장치(103)에 연결되는 자국 장치(104)의 수가 결정된다. 이 때, 상기 모국 장치(103)와 상기 자국 장치(104)간에는 STM-4급 또는 STM-1급의 선로(115)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모국 장치(103)와 비동기전송모드(ATM) 교환기(106), 방송 서비스 노드(107), 주문형 비디오 서버(108), 인터넷 서비스 노드(109) 사이에는 STM-1급의 선로(113)를 이용하여 연결되고, 상기 모국 장치(103)와 종합정보통신망(ISDN) 교환기(110), 전화 교환기(111)들 사이는 E1급의 선로(114)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모든 자국 장치에는 모뎀(예를 들어 VDSL 모뎀 또는 ADSL 모뎀)을 통하여 가입자와 연결되거나 일반 전화 연결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TMN기반의 ATM-PON망 운용 관리 시스템(101)은 상기 모국 장치(103)와 Q3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ATM-PON망(102)의 전체적인 운용관리 기능을 담당한다. 이와 같은 ATM-PON망(102)을 통하여 가입자(112)들은 방송 서비스,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인터넷 서비스, 종합정보통신망(ISDN) 서비스, 전용선 서비스 그리고 전화 서비스 등을 받게 된다.
도 2는 도 1의 ATM-PON망 운용 관리 시스템(101)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TM-PON망 운용 관리 시스템(101)은 ATM-PON망 운용자(20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이하 GUI라 함) 관리부(202),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03), ATM-PON망 관리자 시스템(204),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CMIP;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이하, CMIP라 함) 메시지 통신부(205) 및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Management Agent System)을 포함한다.
상기 GUI 관리부(202)는 ATM-PON망 운용자(201)의 요구 명령을 프로세스간 연락(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이하, IPC라 함)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ATM-PON망 관리자 시스템(204)과 통신하거나(207), 반대로 상기 ATM-PON망 관리자 시스템(204)으로부터 받은 망 운용관련 IPC 메시지를 해석하여 운용자(201)에게 GUI나 텍스트 형태로 보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 관리부(203)는 ATM-PON망 운용자(201)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는 운용 정보를 GUI 관리부(202)에 전달하거나 ATM-PON망 관리자 시스템(204)의 요구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운용 정보를 저장,변경, 삭제,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ATM-PON망 관리자 시스템(204)은 상기 GUI 관리부(202)에서 전달 받은 IPC 메시지를 해석하여 운용자 관리, 구성 관리, 성능 관리, 장애 관리, 시험 관리, 가입자 관리, 운용 정보 관리, 과금 관리,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 기능 등을 수행한다. 그리고, 각 기능에 따라서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과 연동을 위해 CMIP 메시지를 만들어 CMIP 메시지 통신을 담당하는 CMIP 메시지 통신부(205)에 전달하거나, 반대로 상기 CMIP 메시지 통신부(205)로부터 전달 받은 CMIP 메시지를 해석하여 각 기능 관리부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CMIP 메시지 통신부(205)는 상기 ATM-PON망 관리자 시스템(204)으로부터 받은 CMIP 메시지를 해당하는 상기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 적당한 통신 방법으로 전송하거나(208), 상기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으로부터 전송 받은 CMIP 메시지를 상기 ATM-PON망 관리자 시스템(204)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TM-PON망 관리자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와 동일한 장치에는 동일 부호가 기재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TM-PON망 관리자 시스템(204)은 IPC메시지 처리부(301)와, 운용자 관리부(302)와, 형상 관리부(303)와, 연결 관리부(304)와, 성능 관리부(305)와, 장애 관리부(306)와, 시험 관리부(307)와, 가입자 관리부(308)와, 운용정보 관리부(309)와, CMIP메시지 처리부(310)와,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부(311) 및 과금 관리부(312)로 구성된다.
상기 ATM-PON망 관리자 시스템(204)은 망 운용자 단말에 위치하며, ATM-PON망 운용자(201)의 요구를 받아 이를 해당하는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 전달하고, 수행 결과를 받아 해당하는 처리 절차를 거쳐 다시 ATM-PON망 운용자(201) 단말에 표시한다.
상기 IPC 메시지 처리부(301)는 운용자(201)의 요구를 GUI 관리부(202)를 통해 전달 받아 이를 해석하여 상기 각 요구에 해당하는 기능 관리부로 전달하거나, 상기 각 기능 관리부에서 전달된 운용자 요구의 수행 결과나 사건 통지를 IPC 메시지화 하여 상기 GUI 관리부(202)를 통해 ATM-PON망 운용자(201) 단말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 상기한 기능 관리부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운용자 관리부(302)는 ATM-PON망을 운용 관리할 수 있는 운용자들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상기 GUI 관리부(202)를 통해 전달 받아 이를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부(311)를 통해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형상 관리부(303)는 ATM-PON망을 구성하는 모국 장치(103)와 자국 장치(104)들의 시스템 형상을 관리하는데, 각 장치를 구성하는 노드, 모듈, 보드의 상태 정보뿐 아니라 STM1, STM4, E1, VDSL, SDSL, ISDN, PSTN 포트들의 상태 정보와 각 보드들의 이중화 관련 정보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형상 관리부(303)는 각 장치들의 초기 형상 정보를 구성하고 각 형상 관리 대상들에 대한 운용자의 요구, 즉 자국 장치의 추가, 모듈 단위의 초기화, 모듈 단위의 추가 삭제, 보드 초기화, 보드 착/탈, 보드 이중화, 포트 단위의블록/언블록 등을 해당 ATM-PON 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 전달하고, 그 처리 결과 또는 상기 기능과 관련된 사건 통지에 대하여 처리한 후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부(311)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관리 정보를 저장, 삭제, 변경한다.
상기 연결 관리부(304)는 ATM-PON망 내에 설정된 모든 ATM 연결들을 관리한다. 관리 대상이 되는 ATM 연결의 종류는 패스 연결과 채널 연결이 있고, 이들은 각각 영구 가상 연결(PVC)과 신호 가상 연결(SVC)로 구분되며, 이들 연결은 다시 일대일(PTP;Point to Point) 연결과 일대다(PTMP;Point to Multipoint) 연결로 나뉜다.
따라서, 총 관리 대상이 되는 ATM 연결의 종류는 8가지이다. 상기 연결 관리부(304)는 각 ATM 연결의 설정, 해제, 파티의 추가/삭제에 대한 운용자(201)의 요구를 해당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 전달하고, 그 처리 결과 또는 상기 기능과 관련된 사건 통지에 대하여 처리한 후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부(311)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관리 정보를 저장, 삭제, 변경한다.
상기 성능 관리부(305)는 모국 장치(103)와 자국 장치(104)들에 있는 다양한 종류의 포트에 대하여 각각의 성능 정보를 수집 관리하고, ATM 연결에 대한 ATM 성능 정보도 수집 관리한다. 이러한 포트나 연결에 대한 성능 정보는 운용자(201)에 의해 시스템 운용 중에 요구될 수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상기 성능 관리부(305)는 15분과 1일로 구분되는 주기적인 성능 정보를 해당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으로부터 보고 받아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부(311)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장애 관리부(306)는 각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보드, 포트 단위의 장애뿐 아니라 팬이나 전원 공급 장치들에 대한 장애를 관리하게 된다. 이러한 장애의 종류는 크게 통신 관련 장애, 장치 관련 장애, 환경 관련 장애들로 구분되며 국제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장애는 모두 사건 통지의 형태로 ATM-PON 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에서 전달 받아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부(311)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관리 정보를 저장, 삭제, 변경한다. 또한 장애별 등급 조절과 장애 보고 조건 변경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시험 관리부(307)는 운용자(201)의 요구에 따라서 루프백 시험, 연결성 검사, 성능 감시 시험 기능을 해당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 요구하고 그 처리 결과 또는 상기 기능과 관련된 사건 통지에 대하여 처리한 후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부(311)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관리 정보를 저장, 삭제, 변경한다.
상기 가입자 관리부(308)는 ATM-PON망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받는 가입자(112)들에 대한 등록, 삭제, 변경 요구를 받아 해당 관리 대행자 시스템에 요구하고 그 처리 결과 또는 상기 기능과 관련된 사건 통지에 대하여 처리한 후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부(311)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가입자 관련 정보를 저장, 삭제, 변경한다.
상기 운용 정보 관리부(309)는 ATM-PON망의 운용 중에 ATM-PON망 관리자 시스템(204)과 각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서 관리되는 운용 정보의 불일치가 발생할 경우 상기한 양측의 운용 정보의 일치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CMIP 메시지 처리부(310)는 상술한 각 기능 관리부에서 발생한 요구에 대해서 해당 관리 대행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IPC 메시지를 표준화된 CMIP 메시지형태로 변환하여 CMIP 메시지 통신부(205)로 전달하거나, 그 요구에 대한 처리 결과를 CMIP 메시지 형태로 받아 이를 해석하여 상기한 해당 기능 관리부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으로부터 일방적으로 전달된 사건 통지 CMIP 메시지를 해석하여 역시 해당 관리부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부(311)는 상기한 각 기능 관리부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관리 정보를 저장하거나 삭제, 변경, 검색 하고자 할 때 각 관리부와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03)를 정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과금 관리부(312)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결과 성능 정보를 이용하여 각 가입자별로 과금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ATM-PON망 관리자 시스템에서의 ATM-PON망 운용 관리 방법 중 운용자의 요구에 따른 관리 방법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IPC 메시지 처리부(301)가 GUI 관리부(202)로부터 ATM-PON망 운용자(201)의 요구를 IPC 메시지 형태로 전달 받아 이를 분석한다(S401).
상기 단계(S401)의 상기 운용자(201) 요구의 IPC 메시지 분석결과 운용자 관리 요구이면(S402), 다시 상기 수신된 IPC 메시지를 해석하고 그 해석 결과에 따라 해당 기능별로 진행과정이 분기된다(S406). 상기 단계(S406)에서의 해석 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운용자 추가 요구이면(S410) 데이터베이스에 운용자 정보를 저장한 후(S422), 그 결과를 IPC 메시지로 만들어(S434) ATM-PON망 운용자(201)로 전달하여(S436) 운용자 화면에 표시한다(S437). 상기 단계(S406)에서의 해석 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운용자 삭제 요구이면(S411)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운용자 정보를 삭제하고(S423), 그 결과를 IPC 메시지로 만들어(S434) ATM-PON망 운용자(201)로 전달하여(S436) 운용자 화면에 표시한다(S437). 상기 단계(S406)에서의 해석 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운용자 정보 변경 요구이면(S412)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운용자의 정보를 변경한 후(S424), 그 결과를 IPC 메시지로 만들어(S434) 상기한 ATM-PON망 운용자(201)로 전달하여(S436) 운용자 화면에 표시한다(S437).
그러나, 상기 단계(S402)의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운용자(201) 요구의 IPC 메시지가 운용자 관리 요구가 아니면 이후의 단계(S403)로 진행하여 상기 IPC 메시지가 형상 관리 요구인지를 판단하여(S403) 형상 관리 요구인 경우 다시 상기 IPC 메시지를 해석하고 그 해석 결과에 따라 해당 기능별로 진행과정이 분기된다(S407). 상기 단계(S407)에서의 해석 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형상 정보 초기화 요구이면(S413) 관리하는 모든 형상 정보(예를 들어, 노드, 모듈, 보드, 포트, 이중화)를 요구하는 CMIP 메시지를 생성한 후(S425),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 CMIP 메시지를 전달한다(S435). 상기 단계(S407)에서의 해석 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자국 장치의 추가나 삭제인 경우(S414) 형상정보 초기화에 해당되는 CMIP 메시지를 생성한 후(S426),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 상기 생성된 CMIP 메시지를 전달한다(S435). 상기 단계(S407)에서의 해석 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블록/언블록 요구인 경우에도(S415) 이에 대응하는 해당 CMIP 메시지를 생성한 후(S427), 상기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 상기 생성된 CMIP 메시지를 전달한다(S435). 이때, 블록/언블록의 단위는 바람직하게는 포트나 연결이다. ATM-PON망 운용자(201)의 요구에 의해 관리되는 ATM 연결은 가상 채널(VC) 연결과 가상 패스(VP) 연결이 있으며, 이들은 영구 가상 연결(PVC)들이고 일대일(PTP) 연결과 일대다(PTMT)연결로 구분된다.
그러나, 상기 단계(S403)의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운용자(201) 요구의 IPC 메시지가 형상 관리 요구도 아니면 이후의 단계(S404)로 진행하여 상기 IPC 메시지가 연결 관리 요구인지를 판단한다(S404). 상기 단계(S404)의 판단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연결 관리 요구인 경우(S408) 다시 상기 IPC 메시지를 해석하고 그 해석 결과에 따라 진행과정이 해당 기능별로 분기된다(S408). 상기 단계(S408)에서의 해석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연결 설정이면(S416) 연결 설정에 필요한 CMIP 메시지를 생성하여(S428)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 상기 생성된 CMIP 메시지를 전달하고(S435), 상기 단계(S408)에서의 해석 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연결 해제이면(S417) 상기 연결 해제에 필요한 CMIP 메시지를 생성하여(S429) 상기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 상기 생성된 CMIP 메시지를 전달한다(S435),
만약, 일대다 연결인 경우에는 새로운 파티를 추가할 수 있는데 상기 단계(S408)에서의 해석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이러한 파티 추가인 경우에도(S418) 상기한 파티 추가에 필요한 CMIP 메시지를 생성하여(S430) 상기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 상기 생성된 CMIP 메시지를 전달하며(S435), 반대로 상기 단계(S408)에서의 해석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파티 삭제인 경우에는(S419) 파티 해제 CMIP 메시지를 생성하여(S431)상기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 상기 생성된 CMIP 메시지를 전달한다(S435).
한편, 상기 단계(S404)의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운용자(201) 요구의 IPC 메시지가 연결 관리 요구가 아니면 이후의 단계(S405)로 진행하여 상기 IPC 메시지가 성능 관리 요구인지를 판단한다(S405). 상기 단계(S405)의 판단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성능 관리 요구인 경우에는 다시 상기 IPC 메시지를 해석하고(S409) 그 해석 결과에 따라 진행 과정은 해당 기능별로 분기된다(S409). 상기 단계(S409)에서의 해석 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현재 성능 정보의 요구이면 원하는 포트나 연결에 대해 CMIP 메시지를 생성하여(S432)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 상기 생성된 CMIP 메시지를 전달하고(S435), 상기 단계(S409)에서의 해석 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주기적 성능 정보 요구이면(S421) 관리하는 모든 종류의 포트들과 연결에 대해 15분 주기와 1일 주기로 성능 정보를 보내도록 CMIP 메시지를 생성하여(S433) 상기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 상기 생성된 CMIP 메시지를 전달한다(S435).
그러나, 상기 단계(S405)의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운용자(201) 요구의 IPC 메시지가 성능 관리 요구가 아니면 이후의 단계(S451)로 진행하여 상기 IPC 메시지가 장애 관리 요구인지를 판단한다(S451). 상기 단계(S451)의 판단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장애 관리 요구인 경우에는 다시 상기 IPC 메시지를 해석하고(S455) 그 해석 결과에 따라 진행 과정은 해당 기능별로 분기된다(S455). 상기 단계(S455)에서의 해석 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장애 등급 변경이면(S459) 장애 등급 변경에 필요한 CMIP 메시지를 생성하여(S468)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 상기 생성된 CMIP 메시지를 전달하고(S435), 상기 단계(S455)에서의 해석 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장애 보고 조절이면(S460) 장애 보고 조절에 필요한 CMIP 메시지를 생성하여(S469)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 상기 생성된 CMIP 메시지를 전달한다(S435).
한편, 상기한 시험 관리부(307)에서의 시험 관리는 망의 상태가 의심이 가는 경우에 이를 점검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단계(S451)의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운용자(201) 요구의 IPC 메시지가 장애 관리 요구가 아니면 이후의 단계(S452)로 진행하여 상기 IPC 메시지가 시험 관리 요구인지를 판단한다(S452). 상기 단계(S452)의 판단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시험 관리 요구인 경우에는 다시 상기 IPC 메시지를 해석하고(S456) 그 해석 결과에 따라 진행 과정은 해당 기능별로 분기된다(S456). 상기 단계(S456)에서의 해석 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루프백 시험 요구이면(S461) 루프백 시험에 필요한 CMIP 메시지를 생성하여(S470) 상기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 상기 생성된 CMIP 메시지를 전달하고(S435), 상기 단계(S456)에서의 해석 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연속성 시험인 경우에는(S462) 연속성 시험에 필요한 CMIP 메시지를 생성하여(S471) 상기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 상기 생성된 CMIP 메시지를 전달하며(S435), 상기 단계(S456)에서의 해석 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성능 감시인 경우에는(S463) 성능 감시에 필요한 CMIP 메시지를 생성하여(S472) 상기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 상기 생성된 CMIP 메시지를 전달한다(S435).
또한, 가입자(112)들은 다양한 형태로 자국 노드에 접속하여 ATM-PON망을 통하여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게 된다. 상기 단계(S452)의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운용자(201) 요구의 IPC 메시지가 시험 관리 요구가 아니면 이후의 단계(S453)로 진행하여 상기 IPC 메시지가 이러한 가입자 관리 요구인지를 판단한다(S453). 상기 단계(S453)의 판단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가입자 관리 요구인 경우에는 다시 상기 IPC 메시지를 해석하고(S457) 그 해석 결과에 따라 진행 과정은 해당 기능별로 분기된다(S457). 상기 단계(S457)에서의 해석 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가입자 추가이면(S464) 가입자 추가에 필요한 CMIP 메시지를 생성하여(S473)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 상기 생성된 CMIP 메시지를 전달하며(S435), 상기 단계(S457)에서의 해석 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가입자 삭제이면(S465) 가입자 삭제에 필요한 CMIP 메시지를 생성하여(S474) 상기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 상기 생성된 CMIP 메시지를 전달한다(S435).
한편, ATM-PON망을 운용하다 보면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하여 관리자 시스템과 장치의 운용 상태를 반영하고 있는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서 각각 관리 되고 있는 망 관리 정보의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망 운용자(201)는 혼란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는 망 운용자(201)의 요구에 따라 현재의 운용 정보를 파악하거나 주기적인 운용 정보의 보고를 통해 해결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을 운용 정보 관리부(309)에서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단계(S453)의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운용자(201) 요구의 IPC 메시지가 가입자 관리 요구도 아니면 이후의 단계(S454)로 진행하여 상기 IPC 메시지가 운용 정보 관리 요구인지를 판단한다(S454). 상기 단계(S454)의 판단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운용 정보 관리 요구도 아니면 종료되고 반대로 상기 IPC 메시지가 운용 정보 관리 요구인 경우에는 다시 상기 IPC 메시지를 해석하고(S458) 그 해석 결과에 따라 진행 과정은 해당 기능별로 분기된다(S458). 상기 단계(S458)에서의 해석 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현재 운용 정보의 요구이면(S466) 해당하는 관리 정보를 요구하는 CMIP 메시지를 생성하여(S475) 상기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 상기 CMIP 메시지를 전달하고(S435), 상기 단계(S458)에서의 해석 결과 상기 IPC 메시지가 주기적 운용 정보 요구이면(S467) 주기적으로 모듈 단위의 운용 정보를 보낼 수 있도록 CMIP 메시지를 생성하여(S476) 상기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에 상기 생성된 CMIP 메시지를 전달한다(S435). 이때 운용 정보에는 반드시 상태 정보와 장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도록 CMIP 메시지를 구성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ATM-PON망 관리자 시스템에서의 ATM-PON망 운용 관리 방법 중 ATM-PON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으로부터 운용자의 요구에 대한 응답이나 운용 중에 발생하는 통보들을 CMIP 메시지 형태로 전달 받아 처리한 후 망 운용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의 일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먼저, ATM-PON망 관리자 시스템(206)으로부터 전달된 CMIP 메시지가 CMIP 메시지 통신부(205)와 CMIP 메시지 처리부(310)를 통해 수신되면(S501) 이를 분석한 다(S502).
상기 단계(S502)에서의 분석 결과 상기 수신된 CMIP 메시지가 형상 관리 요구이면(S503) 상기 형상 관리 요구 중 해당되는 기능별로 진행과정이 분기된다. 상기 단계(S503)의 상기 형상 관리 요구가 형상 정보 초기화 응답/보고이면(S507) 형상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S520), 상기 정보 추출 결과에 대한 IPC 메시지를 생성한 후(S434) 이를 GUI 관리부(202)에 전달하여(S436) 운용자(201)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437), 상기 단계(S503)에서의 상기 형상 관리 요구가 자국 장치 추가/삭제에 대한 응답이나 보고이면(S508) 역시 형상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삭제하고(S521), 그 결과에 대해 IPC 메시지를 생성한 후(S434) 상기 GUI 관리부(202)에 전달하여(S436) 상기 운용자(201)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며(S437), 상기 단계(S503)에서의 상기 형상 관리 요구가 블록/언블록에 대한 응답/보고이면(S509) 역시 형상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상태 정보를 변경하고(S522), 그 결과에 대해 IPC 메시지를 생성한 후(S434) 상기 GUI 관리부(202)에 전달하여(S436) 상기 운용자(201)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며(S437), 상기 단계(S503)에서의 상기 형상 관리 요구가 보드 착/탈에 대한 보고이면(S510) 보드 형상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삭제하고(S523), 그 결과에 대해 IPC 메시지를 생성한 후(S434) 상기 GUI 관리부(202)에 전달하여(S436) 상기 운용자(201)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S437). 운용자의 요구에 의해 관리되는 영구 가상 연결(PVC)뿐 아니라 시스템에서 신호기능에 의해 설정 관리되는 신호 가상 연결(SVC)도 매니저 시스템에서 관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단계(S503)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CMIP 메시지가 형상 관리 요구가 아니면 이후의 단계(S504)로 진행하여 상기 CMIP 메시지가 연결 관리 요구인지를 판단한다(S504). 상기 단계(S504)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CMIP 메시지가연결 관리 요구인 경우(S504) 상기 연결 관리 요구 중 해당되는 기능별로 진행과정이 분기된다. 상기 단계(S504)에서의 상기 연결 관리 요구가 연결 설정 응답/보고이면(S511) 영구 가상 연결(PVC)과 신호 가상 연결(SVC)에 관계없이 연결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S524), 그 결과에 대해 IPC 메시지를 생성한 후(S434), GUI 관리부(202)에 전달하여(S436) 상기 운용자(201)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며(S437), 상기 단계(S504)에서의 상기 연결 관리 요구가 연결 해제에 대한 응답이나 보고이면(S512) 역시 연결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연결 정보를 삭제하고(S525), 그 결과에 대해 IPC 메시지를 생성한 후(S434) GUI 관리부(202)에 전달하여(S436) 운용자(201)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며(S437), 상기 단계(S504)에서의 상기 연결 관리 요구가 일대다 연결인 경우 파티 추가에 대한 응답이나 보고이면(S513) 파티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S526), 그 결과에 대해 IPC 메시지를 생성한 후(S434) GUI 관리부(202)에 전달하여(S436) 운용자(201)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며(S437), 상기 단계(S504)에서의 연결 관리 요구가 파티 삭제에 대한 응답이나 보고이면(S514) 파티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연결 정보를 삭제하고(S527), 그 결과에 대해 IPC 메시지를 생성한 후(S434) GUI 관리부(202)에 전달하여(S436) 운용자(201)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S437).
그러나, 상기 단계(S504)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CMIP 메시지가 형상 관리 요구가 아니면 이후의 단계(S505)로 진행하여 상기 CMIP 메시지가 성능 관리 요구인지를 판단한다(S505). 상기 단계(S505)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CMIP 메시지가성능 관리 요구인 경우(S505) 상기 성능 관리 요구 중 해당되는 기능별로 진행과정이 분기된다. 상기 단계(S505)에서의 상기 성능 관리 요구가 현재 성능 정보요구에 대한 응답이면(S515) 성능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IPC 메시지를 생성한 후(S434) 상기 GUI 관리부(202)에 전달하여(S436) 운용자(201)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S437). 여기서, 현재 성능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지 않는다. 만약, 상기 단계(S505)에서의 성능 관리 요구가 주기적 성능 정보 보고이면(S516) 포트나 연결에 대한 성능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15분 주기나 1일 주기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S528), 그 결과에 대해 IPC 메시지를 생성한 후(S434) GUI 관리부(202)에 전달하여(S538) 운용자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S437).
한편, 상기 단계(S505)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CMIP 메시지가 형상 관리 요구도 아니면 이후의 단계(S506)로 진행하여 상기 CMIP 메시지가 장애 관리 요구인지를 판단한다(S506). 상기 단계(S506)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CMIP 메시지가 장애 관리 요구인 경우(S506) 상기 성능 관리 요구 중 해당되는 기능별로 진행과정이 분기된다. 상기 단계(S506)에서의 상기 장애 관리 요구가 장애 등급 변경에 대한 응답이나 보고이면(S517) 등급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변경하고(S529) 그 결과에 대해 IPC 메시지를 생성한 후(S434) GUI 관리부(202)에 전달하여(S436) 운용자(201)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며(S437), 상기 단계(S506)에서의 장애 관리 요구가 장애 보고 조절에 대한 응답이면(S518)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IPC 메시지를 생성한 후(S434) GUI 관리부(202)에 전달하여(S436) 운용자(201)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며(S437), 상기 단계(S506)에서의 장애 관리 요구가 장애 발생에 대한 보고이면(S519) 장애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S530), 그 결과에 대해 IPC 메시지를 생성한 후(S434) GUI 관리부(202)에 전달하여(S436) 운용자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S437).
만약, 상기 단계(S506)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CMIP 메시지가 장애 관리 요구도 아니면 이후의 단계(S551)로 진행하여 상기 CMIP 메시지가 시험 관리 요구인지를 판단한다(S551). 상기 단계(S551)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CMIP 메시지가 시험 관리 요구인 경우(S551) 상기 시험 관리 요구 중 해당되는 기능별로 진행과정이 분기된다. 상기 단계(S551)에서의 상기 시험 관리 요구가 루프백 시험에 대한 응답이나 보고이면(S554) 시험 결과 정보를 추출하여 IPC 메시지를 생성한 후(S434) GUI 관리부(202)에 전달하여(S436) 운용자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며(S437), 상기 단계(S551)에서의 시험 관리 요구가 연속성 시험에 대한 응답이나 보고이면(S555) 역시 시험 결과 정보를 추출하여 결과에 대해 IPC 메시지를 생성한 후(S434) GUI 관리부(202)에 전달하여(S436) 운용자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며(S437), 상기 단계(S551)에서의 상기 시험 관리 요구가 성능 감시에 대한 응답이나 보고이면(S556) 성능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결과에 대해 IPC 메시지를 생성한 후(S434) GUI 관리부(202)에 전달하여(S436) 운용자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S437).
한편, 상기 단계(S551)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CMIP 메시지가 장애 관리 요구도 아니면 이후의 단계(S552)로 진행하여 상기 CMIP 메시지가 가입자 관리 요구인지를 판단한다(S552). 상기 단계(S552)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CMIP 메시지가가입자 관리 요구인 경우(S552) 상기 가입자 관리 요구 중 해당되는 기능별로 진행과정이 분기된다. 상기 단계(S55)에서의 상기 가입자 관리 요구가 새로운 가입자의 추가에 대한 응답이나 보고이면(S557) 가입자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S561), 그 결과에 대해 IPC 메시지를 생성한 후(S434) 상기 GUI 관리부(202)에 전달하여(S436) 운용자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며(S437), 상기 단계(S552)에서의 상기 가입자 관리 요구가 기존 가입자의 삭제에 대한 응답이나 보고이면(S558) 가입자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하고(S562), 그 결과에 대해 IPC 메시지를 생성한 후(S434) GUI 관리부(202)에 전달하여(S436) 운용자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S437).
그러나, 상기 단계(S552)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CMIP 메시지가 장애 관리 요구도 아니면 이후의 단계(S553)로 진행하여 상기 CMIP 메시지가 운용 정보 관리 요구인지를 판단한다(S553). 상기 단계(S553)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CMIP 메시지가 운용 정보 관리 요구인 경우(S553) 상기 운용 정보 관리 요구 중 해당되는 기능별로 진행과정이 분기된다. 상기 단계(S553)에서의 상기 운용 정보 관리 요구가 현재 운용 정보에 대한 응답이면(S560) 형상과 장애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변경하고(S563), 그 결과에 대해 IPC 메시지를 생성한 후(S434) GUI 관리부(202)에 전달하여(S436) 운용자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며(S437), 상기 단계(S553)에서의 상기 운용 정보 관리 요구가 주기적인 운용 정보 보고이면(S560) 운용 관련 정보(상태 정보와 장애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변경하고(S564), 그 결과에 대해 IPC 메시지를 생성한 후(S434) GUI 관리부(202)에전달하여(S436) 운용자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S437).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항상 관리자 시스템(204)과 관리 대행자 시스템(206)은 일관성 있는 운용 관리 정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ATM-PON망 운용 관리에 적용하면 표준으로 정의한 관리 정보들을 이용하여 망 운용을 하게 되므로 망을 구성하고 있는 통신 장치들의 상황을 편리하게 감시, 관리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운용 관리 시스템과의 연동도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망의 운용 상태와 운용자가 관리하는 운용 정보가 항상 일치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보장된 통신망 운용 관리를 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운용자의 요구를 받아 이를 실행하는 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을 구비한 통신 관리 망(TMN) 기반의 비동기전달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ATM-PON) 운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운용자의 요구를 프로세스간 연락(IPC) 메시지 형태로 수신하여 분석하며 상기 운용자가 요구하는 결과에 대한 프로세스간 연락 메시지를 전달받아 상기 운용자에게 전달하는 메시지 처리부;
    상기 메시지 처리부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운용자의 요구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기능을 요구하는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CMIP)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달하며 상기 운용자가 요구하는 결과에 대한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 메시지를 전달받아 해당 기능을 처리한 후 상기 메시지 처리부로 전달하는 기능 관리부; 및
    상기 기능 관리부에서 생성된 상기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CMIP) 메시지를 전달받아 망을 관리하는 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으로 전달하며 상기 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운용자가 요구하는 결과에 대한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 메시지를 전달받아 상기 관리부에 전달하는 메시지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달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 운용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관리부는,
    운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운용자 관리부;
    망의 형상 및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형상 관리부;
    상기 망내에 설정된 연결 정보를 관리하는 연결 관리부;
    상기 망의 성능 정보를 관리하는 성능 관리부;
    상기 망의 장애 정보를 관리하는 장애 관리부;
    상기 망의 시험 정보를 관리하는 시험 관리부;
    상기 망의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부; 및
    상기 망의 운용 중 운용 정보의 불일치를 보장하며 상기 운용 정보를 관리하는 운용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달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 운용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관리부는,
    상기 관리되는 연결과 성능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별로 과금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과금 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달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 운용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처리부로부터 상기 운용자의 요구에 대한 프로세스간 연락 메시지를 전달받아 해석한 후 상기 기능 관리부로 전송하며 상기 기능 관리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운용자가 요구하는 결과를 프로세스간 연락 메시지화하여 상기 메시지 처리부로 전달하는 프로세스간 연락 메시지 처리부;
    상기 운용자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는 운용 정보를 상기 메시지 처리부에 전달하며 상기 기능 관리부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운용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및
    상기 기능 관리부에서 발생된 요구를 관리정보 프로토콜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메시지 전달부로 전달하며 상기 요구에 대한 처리를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 메시지로 전달받아 해석한 후 상기 기능 관리부로 전송하는 관리정보 프로토콜 메시지 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달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 운용관리 시스템.
  5. 운용자의 요구를 받아 이를 실행하는 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을 구비한 통신 관리 망(TMN) 기반의 비동기전달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ATM-PON) 관리자 시스템에서의 비동기전달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 운용관리방법에 있어서,
    운용자의 요구를 프로세스간 연결(IPC) 메시지로 수신하여 분석하는 제1 단계;
    상기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프로세스간 연결 메시지에 해당하는 기능을 요구하는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CMIP)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제2 단계;
    상기 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운용자 요구의 결과에 대한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 메시지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 메시지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 후 상기 기능 수행에 대한 프로세스간 연결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운용자에게 전송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달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 운용관리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운용자 관리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며 그 결과를 상기 운용자로 전달하는 제5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달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 운용관리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망의 형상 관리, 연결 관리, 성능 관리, 장애 관리, 시험 관리, 가입자 관리 또는 운용 정보 관리 중에서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 운용관리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운용자의 형상 관리, 연결 관리, 성능 관리, 장애 관리, 시험 관리, 가입자 관리 또는 운용 정보 관리 요구에 대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고 상기 결과에 대한 프로세스간 연결 메시지를 상기 운용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 운용관리방법.
  9.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운용자의 요구를 실행하는 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을 구비한 통신 관리 망(TMN) 기반의 비동기전송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ATM-PON) 운용 관리 시스템에,
    운용자의 요구를 프로세스간 연결(IPC) 메시지로 수신하여 분석하는 제1 기능;
    상기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프로세스간 연결 메시지에 해당하는 기능을 요구하는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CMIP)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제2 기능;
    상기 망 관리 대행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운용자 요구의 결과에 대한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 메시지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제3 기능; 및
    상기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공통관리정보 프로토콜 메시지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 후 상기 기능 수행에 대한 프로세스간 연결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운용자에게 전송하는 제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1-0074725A 2001-11-28 2001-11-28 비동기전달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 운용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411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725A KR100411250B1 (ko) 2001-11-28 2001-11-28 비동기전달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 운용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725A KR100411250B1 (ko) 2001-11-28 2001-11-28 비동기전달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 운용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136A KR20030044136A (ko) 2003-06-09
KR100411250B1 true KR100411250B1 (ko) 2003-12-18

Family

ID=29571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725A KR100411250B1 (ko) 2001-11-28 2001-11-28 비동기전달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 운용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125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136A (ko) 2003-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38505C (zh) 无源光网络用户终端
CN101150365A (zh) 一种无源光网络终端的管理方法
WO2007131430A1 (fr) Système à réseau optique passif, procédé d'acquisition de la capacité du dispositif dépendant par le dispositif de commande principal
CN103379005A (zh) 一种光线路终端设备及其实现方法
CN102611519B (zh) 一种对无源光网络进行链路保护的方法和装置
CN103227966A (zh) Pon中的透明保护切换操作
CN102480319A (zh) 一种对pon终端进行维护管理的方法
CN101917225B (zh) 一种gpon系统中盘间stm-1接口自动保护倒换的实现方法
KR100411250B1 (ko) 비동기전달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 운용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0474817C (zh) 接入设备的管理系统及方法
KR20020051614A (ko) Atm-pon 액세스망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
KR0175737B1 (ko) 비동기식 분산형 교환 시스템
CN102377556B (zh) 一种实现主备光线路终端时间戳同步的方法及系统
CN101771488A (zh) 提高多业务传送网可靠性的方法、系统及设备
KR100495330B1 (ko)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관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97194B1 (ko) Atm-pon olt 시스템의 감시 제어 처리 장치
KR100431192B1 (ko) 비동기전송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 운용관리 정보를관리하는 장치관리시스템
KR100327116B1 (ko) 통신 관리망 기반의 통합 엑세스망 관리자 시스템 및 그를이용한 엑세스망 운용관리 방법
CN101442438B (zh) 接入系统中终端设备的管理方法、局端设备以及接入系统
KR100452889B1 (ko) 수동형 광가입자망에서 관리 대행자를 이용하는자국장치의 관리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 매체
KR100233940B1 (ko)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의 가입자 링크 접속장치
KR100255803B1 (ko) Ds1/ds1e-atm 셀 버스 접속장치의 제어방법
KR20010002242A (ko) 에이티엠 접속 성능 관리방법
KR100263384B1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뱅크 제어 및 관리유니트 제어방법
CN115334377A (zh) 网络设备控制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