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9104B1 - A supporting lock for the door - Google Patents

A supporting lock for the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9104B1
KR100409104B1 KR10-2001-0032447A KR20010032447A KR100409104B1 KR 100409104 B1 KR100409104 B1 KR 100409104B1 KR 20010032447 A KR20010032447 A KR 20010032447A KR 100409104 B1 KR100409104 B1 KR 100409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door
auxiliary
hand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4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94342A (en
Inventor
강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럽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럽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럽전자
Priority to KR10-2001-0032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9104B1/en
Publication of KR20020094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3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9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9104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용 보조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파트의 현관이나 사무소의 도어 등에 장착되는 보조록에 키를 삽입하여 1차적으로 잠금을 해제한후, 다시 직립형의 손잡이를 누르면 2차적으로 보조록의 잠금이 해제되면서 도어가 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lock for a door, and more particularly, by inserting a key into an auxiliary lock mounted on an entrance door or an office door of an apartment and releasing the lock first, pressing the upright handle again to make the secondary lock secondary. The door is opened while the lock is released.

그 구성은 도어용 보조록에 있어서, 보조록(1)을 이루는 몸체(2)의 상단에 장착된 키회전구(3)에 삽입되어 연결구(4)를 몸체(1)에 형성하고 있는 삽입홈(21)에 걸리도록 상하 이동시키는 잠금버튼(5)과, 상기 연결구(4)와 연결되어 수평이동하는 보조걸림구(6)와, 상기 보조걸림구(6)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구(7)와, 상기 몸체(2)의 하단에 장착되어 손잡이(12)와 접촉되는 돌기부(81)를 형성한 누름구(8)와, 상기 누름구(8)에 형성된 걸고리(82) 및 대각선으로 형성된 절결홈(83)과, 상기 걸고리(82)에 걸려 상기 대각선의 절결홈(83)으로 이동하는 걸림핀(91)을 형성한 ㄱ자형의 이동핀(9)과, 상기 이동핀(9)에 장착된 탄발스프링(92)과, 상기 이동핀의 ㄱ자형에 걸려 있는 걸림구(10)와, 상기 걸림구(10)를 원상복귀시키는 보조핀스프링(11)과, 상기 손잡이(12)를 직립형으로 형성하여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3)를 형성한 손잡이의 몸체(1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보조록을 제공하는 것이다.In the auxiliary lock for the door, the insertion groove is inserted into the key rotation hole (3)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2) forming the auxiliary lock (1) to form the connector (4) in the body (1) Lock button 5 to move up and down to be caught by 21, the auxiliary catch (6)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4) and horizontally moved, and the shock absorbing hole to mitigate the impact of the auxiliary catch (6) ( 7), a pressing hole 8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2 to form a protrusion 81 in contact with the handle 12, and a hook 82 formed at the pressing hole 8 and diagonally. A notched groove 83 formed therein, an L-shaped moving pin 9 formed with a catching pin 91 which is caught by the hook 82 and moved to the diagonal notched groove 83, and the moving pin 9 Tan ball spring (92) mounted on the hook, the engaging port (10) hanging on the L-shape of the moving pin, the auxiliary pin spring (11) for returning the locking hole (10) and the handle (12) Upright mold And to provide a secondary lock for the door which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body 14 of the handle form a (13) for supporting the top, characterized.

Description

도어용 보조록{A supporting lock for the door}A supporting lock for the door

본 발명은 도어용 보조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파트의 현관이나 사무소의도어 등에 장착되는 보조록에 키를 삽입하여 1차적으로 잠금을 해제한후, 다시 직립형의 손잡이를 누르면 2차적으로 보조록의 잠금이 해제되면서 도어가 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lock for a door, and more particularly, by inserting a key into an auxiliary lock mounted on an entrance of an apartment or an office door, and releasing the lock first, pressing the upright knob again to make the secondary lock secondary. The door is opened while the lock is released.

종래에 사용되는 록(Lock)은 일반적으로 도어록이 도어 장착되어 있고, 또 이에 대한 시건장치의 보완을 위해 보조록을 다시 장착하여 시건장치를 보다 확실히 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도어록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키 이외의 것으로도 쉽게 잠금을 해제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완으로 보조록을 추가로 도어에 장착하여 사용하였지만, 이들 도어록과 보조록은 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도어록의 키와 보조록의 키를 두번 사용하여 잠금을 각각 해제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던 것이다.In the conventional lock (Lock) is a door lock is generally a door-mounted, and in order to supplement the lock device for this to re-install the auxiliary lock to make the lock more secure. However, since the door lock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be easily unlocked with a key other than the key, a supplementary lock is additionally used in the door as a complement to the door lock. However, the door lock and the auxiliary lock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was inconvenient to release the lock by using the key of the key and the auxiliary lock twice.

또한 상기 록의 잠금을 해제한 후에는 록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를 회전하여 도어를 열수 있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짐을 들고 있는 상태에서는 짐을 내려놓고 도어를 연후 내부로 들어가야 하므로 번거로움이 많았던 것이다.In addition, after releasing the lock, it was possible to open the door by rotating the handle formed on the lock, so it was a lot of trouble because the user had to put down the luggage and open the door after entering the loa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폐단을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도어록과 보조록을 일체로 형성하여 키하나로도 시건장치는 물론 사용상의 간편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losed en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door lock and an auxiliary lock integrally so as to simplify the use of the keying device as well as the key device.

또 본 발명은 도어용 보조록이 장착된 도어의 개폐를 보다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1차로 키를 보조록에 삽입하여 잠금을 해제한후에, 2차적으로 직립형의 손잡이를 누르기만 하면 잠금이 해제되면서 문이 열릴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ert the key into the auxiliary lock to release the door first, to mak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equipped with the auxiliary lock for the door more convenient, simply press the handle of the upright type to unlock the door. It is intended to be opened.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손잡이 몸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andl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보조록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의 정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of the unlocked state of the auxiliary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보조록이 잠겨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도 5a는 상기 도 3에 있어서 잠금버튼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도 5b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잠금버튼이 눌려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ked. Fig. 5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 button is released in Fig. 3. Fig. 5B is a lock button pressed in Fig. 4.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being presen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Code description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보조록 2. 몸체1. Appendix 2. Body

3. 키회전구 4. 연결구3. Key Rotator 4. Connector

5. 잠금버튼 6. 보조연결구5. Lock Button 6. Auxiliary Connector

7. 완충구 8. 누름구7. Shock Absorber 8. Push Inlet

9. ㄱ자형의 이동핀 10. 걸림구9. A-shaped moving pin 10. Hanger

11. 보조핀스프링 12. 손잡이11. Auxiliary pin spring 12. Handle

13. 지지부 14. 손잡이 몸체13. Support 14. Handle Bod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1의 분해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도어용 보조록에 있어서, 보조록(1)을 이루는 몸체(2)의 상단에 장착된 키회전구(3)에 삽입되어 연결구(4)를 몸체(1)에 형성하고 있는 삽입홈(21)에 걸리도록 상하 이동시키는 잠금버튼(5)과, 상기 잠금버튼(5)은 키회전구(3)내에서 앞 뒤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상기 잠금버튼(5)의 일측면에 형성된 홈(도시생략)과 상기 회전구(3)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해서 상기 연결구(4)가 삽입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4)와 연결되어 수평이동하는 보조걸림구(6)와, 상기 보조걸림구(6)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구(7)와,As shown in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in the auxiliary lock for the door, the connector 4 is inserted into the key rotational hole 3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2 constituting the auxiliary lock 1, thereby connecting the connector 4 to the body 1. Lock button (5) to move up and down to catch the insertion groove (21) formed in the), and the lock button (5) is inserted in the key rotation opening (3) to be moved back and forth, the lock button Through the groove (not shown) formed on one side of the (5) and the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rotary sphere 3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4 is fixed, connected to the connector (4) horizontal movement An auxiliary catching hole (6), a cushioning hole (7) for alleviating the impact of the auxiliary catching hole (6),

상기 몸체(2)의 하단에 장착되어 손잡이(12)와 접촉되는 돌기부(81)를 형성한 누름구(8)와, 상기 누름구(8)에 형성된 걸고리(82) 및 대각선으로 형성된 절결홈(83)과, 상기 걸고리(82)에 걸려 상기 대각선의 절결홈(83)으로 이동하는 걸림핀(91)을 형성한 ㄱ자형의 이동핀(9)과, 상기 이동핀(9)에 장착된 탄발스프링(92)과, 상기 이동핀의 ㄱ자형에 걸려 있는 걸림구(10)와, 상기 걸림구(10)를 원상복귀시키는 보조핀스프링(11)과,A pressing hole 8 mount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2 to form a protrusion 81 contacting the handle 12, a hook 82 formed at the pressing hole 8, and a notch groove formed diagonally. 83) and an L-shaped moving pin 9 formed on the hook 82 to form a locking pin 91 for moving to the diagonal cutout groove 83, and a bullet mounted on the moving pin 9; A spring 92, a locking hole 10 hanging on the L-shape of the moving pin, an auxiliary pin spring 11 returning the locking hole 10 to its original shape,

상기 손잡이(12)를 직립형으로 형성하여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3)를 형성한 손잡이의 몸체(1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보조록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handle 12 is formed in an upright shape to provide an auxiliary lock for a do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dy 14 of the handle formed with a support 13 for supporting the upper por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When explaining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본 발명은 도 1의 분해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도어용 보조록(1)과 연결되는 손잡이(12)를 형성하고 있는 손잡이의 몸체(14)는 도어의 외부면에 장착되고. 도어용 보조록(1)의 몸체(2)는 도어의 내부면에 장착되는 것이다.As shown in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the body 14 of the handle, which forms the handle 12 connected to the auxiliary lock 1 for the door,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The body 2 of the auxiliary lock 1 for the door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또한 도 2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 도어용 보조록(1)의 몸체(2)에는 손잡이(12)를 직립으로 형성하여 누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손잡이(12)는 직립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에 지지부(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13)의 상부에는 보조록(1)을 해제할 수 있는 키회전구(3)를 삽입하기 위한 통공(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2, the body 2 of the auxiliary lock (1) for the door is formed so as to press the handle 12 in an upright position, so that the handle 12 can stand upright to support. The support part 13 is formed in the upper part.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3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5 for inserting the key rotation opening (3) to release the auxiliary lock (1).

그리고 상기 손잡이(12)의 상부 내측으로 누름구(8)의 전면에 형성된 돌기부(81)가 접촉되어 손잡이(12)가 눌려지면 누름구(8)가 후방으로 눌려지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누름구(8)가 눌려지면 누름구의 걸고리(82)에 걸려있는 ㄱ자형의 이동핀(9)을 잡아 당겨 대각선의 절결홈(83)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When the handle 12 is pressed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81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ressing hole 8 toward the upper inside of the handle 12, the pressing hole 8 is connected to be pressed backward. When the pressing hole 8 is pressed, it is to be moved to the notch groove 83 of the diagonal by pulling the L-shaped moving pin 9 hanging on the hook 82 of the pressing hole.

이에 대한 실시예를 하기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An embodiment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도어에 장착된 보조록(1)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도어의 외부에 장착된 손잡이 몸체(14)의 상부 통공(15)에 장착된 키회전구(3)에 키를 삽입한후 회전시켜서 보조록(1)의 잠금을 해제하면 되는 것이다. 즉, 도 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키에 의해 키회전구(3)가 회전되면 키회전구(3)내에 장착되어 있는 잠금버튼(5)과 상기 잠금버튼(5)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구(4)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연결구(4)의 회전은 360도 회전이 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예각(30도 내지 45도)을 갖고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First, in order to unlock the auxiliary lock 1 mounted on the door,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turning hole 3 mounted in the upper through hole 15 of the handle body 14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door, and then rotated. Just unlock the auxiliary lock (1). That is, as shown in FIG. 1, when the key rotational opening 3 is rotated by a key, the locking button 5 mounted in the key rotational opening 3 and the connector 4 connected to the locking button 5 are connected. ) Will rotate. At this time, the rotation of the connector 4 is not to be rotated 360 degrees to rotate with a constant acute angle (30 degrees to 45 degrees).

상기 연결구(4)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연결구(4)와 결합되어 있는 보조걸림구(6)를 수평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걸림구(6)가 수평이동하게 되면 잠금이 해제되는 것이다.When the connector 4 is rotated, the auxiliary catch 6 which is coupled to the connector 4 is moved horizontally. When the auxiliary catch 6 moves horizontally, the lock is released.

그리고 상기 보조걸림구(6)가 외부에서 키에 의해 잠금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키회전구(3)에 장착된 잠금버튼(5)을 눌러주게 되면 잠금버튼(5)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던 연결구(4)가 눌려지면서 몸체(2)내에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홈(21)에 삽입이 되어 연결구(4)의 회전을 고정시키게 되므로 보조록(1)의 보조걸림구(6)는 고정이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auxiliary catching opening 6 from being released by a key from the outside, when the locking button 5 mounted on the key rotation opening 3 is pressed, the auxiliary locking opening 6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cking button 5. Since the connector 4 is press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 formed concave in the body 2 to fix the rotation of the connector 4, the auxiliary catch 6 of the auxiliary lock 1 is fixed. Will be.

다시 상기 연결구(4)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잠금버튼(5)을 당겨서 삽입홈(21)에서 연결구(4)를 분리한후, 상기의 작용과 같이 하여 키에 의해 보조걸림구(6)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rder to release the fixing of the connector 4 again, pull the locking button 5 to separate the connector 4 from the insertion groove 21, and then as described above, You will be able to unlock it.

이와 같이 키에 의해 보조걸림구(6)를 해제한후에는, 손잡이의 몸체(14)에 형성된 손잡이(12)를 눌러서 또 다른 잠금장치인 걸림구(10)를 해제하면 되는 것이다. 즉,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손잡이(12)를 누르면 손잡이(12)와 접촉되어 있는 돌기부(81)가 눌려지면서 상기 돌기부(81)와 일체인 누름구(8)를 눌러주게 되는 것이다.After releasing the auxiliary catch 6 by the key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release the catch 10, which is another locking device, by pressing the handle 12 formed on the body 14 of the handle. That is, as shown in FIGS. 2 and 4, when the knob 12 is pressed, the protrusion 81 in contact with the knob 12 is pressed while pressing the pusher 8 integral with the protrusion 81. will be.

상기 누름구(8)가 눌려지면 누름구(8)에 형성된 걸고리(82)에 연결된 걸림핀(91)을 잡아 당기면서 걸림핀(91)을 대각선으로 절결되어 형성된 절결홈(83)으로 당겨주게 되는 것이다.When the pressing hole 8 is pressed, while pulling the locking pin 91 connected to the hook 82 formed on the pressing hole 8, the locking pin 91 is diagonally cut and pulled into the notch groove 83 formed. Will be.

상기 절결홈(83)으로 걸림핀(91)이 당겨져서 걸리게 되면, 상기 걸림핀(91)과 일체로 형성된 ㄱ자형의 이동핀(9)도 도면에서 보아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ㄱ자형의 이동핀(9)에는 탄발스프링(92)이 장착되어 있어 이동핀(9)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탄발스프링(92)은 탄지가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이동핀(9)의 ㄱ자형에 삽입되여 연결된 걸림구(10)도 역시 일체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구(10)도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잠금이 해제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locking pin 91 is pulled and caught by the notch groove 83, the L-shaped moving pin 9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cking pin 91 is also moved to the right side as seen in the drawing. At this time, the 'B' shaped moving pin 9 is equipped with a tanbal spring 92 so that when the moving pin 9 moves to the right, the tanval spring 92 becomes a finger.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hole 10 inserted into the L-shape of the moving pin 9 is also integrally moved to the right. Therefore, the locking hole 10 is also to be released while moving to the right.

또 걸림구(10)의 잠금이 해제됨과 동시에, ㄱ자형의 이동핀(9)에 장착되어 탄지되어 있던 탄발스프링(92)이 탄발되면서 ㄱ자형의 이동핀(9)을 밀어주게 되므로 걸림구(10)는 원상복귀가 되는 것이다. 이때 걸림구(10)의 일측에는 또 다른 보조핀스프링(11)이 장착되어 있어 걸림구(10)의 원상복귀를 보조적으로 도와 주게 되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locking port (10) is released and at the same time, it is mounted on the A-shaped moving pin (9) while the ball spring (92) that is being supported is pushed and pushed the L-shaped moving pin (9), so 10) is to return to normal.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catch 10 is provided with another auxiliary pin spring 11 is to assist the original return of the catch 10.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1차적으로 보조록(1)를 구성하고 있는 보조걸림구(6)는 키에 의해 잠금이 해제시키고, 2차적으로는 직립형의 손잡이(12)를 누름으로서 걸림구(10)의 잠금을 해제시킨후에는, 도어를 밀면 도어는 열리게 되는 것이다.By the above-described action, the auxiliary catching mechanism (6) constituting the auxiliary lock (1) is primarily unlocked by the key, and secondly, the pressing mechanism (10) is pressed by pressing the upright handle (12). After unlocking the door, push the door to open the door.

그리고 상기 미설명부호(7)은 보조걸림(6)가 이동할때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방에 장착된 완충구를 나타내는 것이다.다음으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해서 상기 회전구(3)와 일체로 움직이는 잠금버튼(5)과 연결구(4)와의 상호 연결관계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기술할 것이다.도 5a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잠금버튼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로서, 눌렀던 잠금버튼(5)를 잡아당겨 잠금버튼(5)을 해제함으로 회전구(3)와 일체로 움직이는 잠금버튼(5)과 연결구(4)가 움직여 잠금이 해제되게 되는 것이다.그리고, 도 5b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잠금버튼이 눌려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로서, 잠금버튼(5)이 키회전구(3)내에서 앞 뒤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상기 잠금버튼(5)의 일측면에 형성된 홈(도시생략)과 상기 회전구(3)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하여 연결구(4)가 삽입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상태에서 상기 잠금버튼(5)이 눌러져 상기 연결구(4)가 몸체(2)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21)에 삽입됨으로써 잠금상태가 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eference numeral 7 denotes a shock-absorbing hole mounted rearward to prevent an impact when the auxiliary catch 6 moves. Next, referring to FIGS. 5A and 5B, the rotating hole 3 and The inter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locking button 5 and the connector 4 which are integrally movabl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G. 5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utton shown in FIG. 3 is released. By pulling the lock button 5 to release the lock button 5, the locking button 5 and the connector 4, which are integrated with the rotary ball 3, are moved to release the lock.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 button shown in FIG. 4 is depressed, and the lock button 5 is inserted in the key rotation hole 3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nd on one side of the lock button 5. Groove (not shown) formed in the shaft and the rotation The connector 4 is inserted and fixed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one side of the sphere 3. 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the locking button 5 is pressed in the locked state so that the connector 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 concavely formed in the body 2 to be locked. Will b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작용하는 본 발명은, 기존의 도어록과 보조록을 하나로 일체화 함으로써, 사용자는 키하나로도 시건장치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 키하나로 보조록을 해제시킨후는 손잡이를 눌러서 또 다른 록을 해제시켜서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에 물건을 들고 있더라도 불편없이 도어를 열고 실내로 들어 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cting 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y integrating the existing door lock and the auxiliary lock into one, the user has an effect that can be more reliably the lock device even with one key, and after releasing the auxiliary lock with one key By opening the door by releasing another lock by pressing the handle, even if the user has an object in his hand, the user can open the door without any inconvenience and enter the room.

Claims (1)

도어용 보조록에 있어서, 보조록(1)을 이루는 몸체(2)의 상단에 장착된 키회전구(3)와, 상기 키회전구(3)에 삽입되는 눌렀다 뺏다 할 수 있는 잠금버튼(5)과, 상기 잠금버튼(5)에 연결되어 잠금상태일 때의 위치에서 상기 몸체(2)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21)에 삽입하여 고정될 수 있는 연결구(4)와, 상기 연결구(4)와 연결되어 수평이동하는 보조걸림구(6)와, 상기 보조걸림구(6)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구(7)와,In the auxiliary lock for the door, the key rotation opening (3)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2) constituting the auxiliary lock (1), and the locking button (5) that can be pushed in and out of the key rotation opening (3) And a connector 4 which is connected to the lock button 5 and can be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21 which is concave in the body 2 at a position when it is locked. An auxiliary catching hole (6) connected to (4) and moving horizontally; 상기 몸체(2)의 하단에 장착되어 손잡이(12)와 접촉되는 돌기부(81)를 형성한 누름구(8)와, 상기 누름구(8)에 형성된 걸고리(82) 및 대각선으로 형성된 절결홈(83)과, 상기 걸고리(82)에 걸려 상기 대각선의 절결홈(83)으로 이동하는 걸림핀(91)을 형성한 ㄱ자형의 이동핀(9)과, 상기 이동핀(9)에 장착된 탄발스프링(92)과, 상기 이동핀의 ㄱ자형에 걸려 있는 걸림구(10)와, 상기 걸림구(10)를 원상복귀시키는 보조핀스프링(11)과,A pressing hole 8 mount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2 to form a protrusion 81 contacting the handle 12, a hook 82 formed at the pressing hole 8, and a notch groove formed diagonally. 83) and an L-shaped moving pin 9 formed on the hook 82 to form a locking pin 91 for moving to the diagonal cutout groove 83, and a bullet mounted on the moving pin 9; A spring 92, a locking hole 10 hanging on the L-shape of the moving pin, an auxiliary pin spring 11 returning the locking hole 10 to its original shape, 상기 손잡이(12)를 직립형으로 형성하여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3)를 형성한 손잡이의 몸체(1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보조록.The auxiliary lock for a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12) is formed upright to include a body (14) of the handle formed with a support (13) for supporting the upper portion.
KR10-2001-0032447A 2001-06-11 2001-06-11 A supporting lock for the door KR1004091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447A KR100409104B1 (en) 2001-06-11 2001-06-11 A supporting lock for the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447A KR100409104B1 (en) 2001-06-11 2001-06-11 A supporting lock for the do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342A KR20020094342A (en) 2002-12-18
KR100409104B1 true KR100409104B1 (en) 2003-12-11

Family

ID=27708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447A KR100409104B1 (en) 2001-06-11 2001-06-11 A supporting lock for the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9104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342A (en) 200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6496B2 (en) Door lock with built-in safety device
KR100409104B1 (en) A supporting lock for the door
KR100903246B1 (en) A handle of locking device for sliding door
KR20070107293A (en) One touch door lock with one body type dual locking structure
KR100709147B1 (en) Assistance handle for locking device of sliding window
KR100623160B1 (en) Digital door lock
KR102125251B1 (en) Buried type door lock
KR200269128Y1 (en) The handle structure for door of a switchboard
KR200223410Y1 (en) Door lock device
KR100415053B1 (en) Door lock device
KR200203653Y1 (en) Auto locking device of window
JP2001262908A (en) Pull latch for lock
JP4975516B2 (en) Sliding door security lock
KR200175232Y1 (en) A locking device provided with for burglarproof
JPH11210277A (en) Plane handle
KR20210155538A (en) Push type locking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KR102147341B1 (en) Smart door lock for furniture with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KR102627362B1 (en) Push button type door-lock apparatus for sliding door
KR200419554Y1 (en) Opening and closing handle for sliding door
CN211500171U (en) Unlocking button and handle
KR102647823B1 (en) Door lock apparatus with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KR102123861B1 (en) Safety handle assembly for door lock
JPH0611334Y2 (en) Latch actuated flat handle device
KR200368958Y1 (en) auxiliary lock for opening and shutting type door
KR200146377Y1 (en) Flat handling device for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