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6797B1 - Tray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battery - Google Patents

Tray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797B1
KR100406797B1 KR10-2002-0001192A KR20020001192A KR100406797B1 KR 100406797 B1 KR100406797 B1 KR 100406797B1 KR 20020001192 A KR20020001192 A KR 20020001192A KR 100406797 B1 KR100406797 B1 KR 100406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ray
pocket
guide
p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1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60473A (en
Inventor
이상국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1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797B1/en
Publication of KR20030060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4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797B1/en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둘레를 둘러싸며 상기 바닥면이 그것의 중간 부분에 위치함으로써 하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측벽;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전지 파우치가 삽입되는 다수의 포켓을 형성하며, 일측에 인서트가 형성되는 포켓벽; 및, 상기 인서트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가 일측에 부착되며 상기 포켓의 안으로 삽입되어 상기 전지 파우치의 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포켓에 대응하는 바닥면에는 전지 파우치의 탭이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A side wall surrounding a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the bottom surface being position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to form a lower space; A pocket wall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to form a plurality of pockets into which the battery pouch is inserted, and an insert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guide attached to one side and fixed to the insert, the guide being inserted into the pocket to support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pouch, and a tab of the battery pouch passing through the bottom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ocket. Provided is a tray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in which a hole is formed.

Description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Tray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battery}Battery charging tray {Tray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battery}

본 발명은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머 2 차 전지의 충방전에 사용되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y used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a polymer secondary battery.

통상적으로 폴리머 2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를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파우치내에 밀봉시킨 이후에 소정의 충방전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전지의 파우치는 전극 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전지 수용부와 개스를 수용할 수 있는 개스 수용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지 수용부와 개스 수용부는 통로를 통해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 2 차 전지는 충방전 공정을 통해서 전극 조립체로부터 발생하는 개스를 개스 수용부로 배출하며, 이후에 개스 통로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개스 수용부를 절단하게 된다.Typically, the polymer secondary battery performs a predetermined charge and discharge process after sealing the electrode assembly in a pouch made of aluminum. The pouch of the battery is formed to have a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a gas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gas, where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gas accommodating portion are interconnected through a passage. The secondary battery discharges the gas generated from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gas accommodating part through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process, and then cuts the gas accommodating part in a closed state of the gas passage.

도 1에는 통상적인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1 schematically shows a part of a typical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tray.

도면을 참조하면, 트레이(11)는 4 개층의 계단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층마다 전지 파우치의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11)에는 제 1 층 삽입구(12), 제 2 층 전지 삽입구(13), 제 3 층 전지 삽입구(14) 및, 제 4 층 전지 삽입구(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상호 계단식으로 형성된다. 도면에서 D1, D2, D3 및, D4 등으로 표시된 간격은 개별의 전지 파우치가 들어가는 삽입구의 폭을 표시한 것이다. 각각의 간격에는 돌출 가이드(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돌출 가이드(16)에 의해서 전지 파우치가 안내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tray 11 has a staircase of four layers, and an insertion opening for a battery pouch is formed in each layer. The tray 11 is provided with a first layer insertion hole 12, a second layer battery insertion hole 13, a third layer battery insertion hole 14, and a fourth layer battery insertion hole 15, which are formed in a stepwise manner with each other. do. In the drawings, the intervals indicated by D1, D2, D3, and D4 indicate the widths of the insertion holes into which the individual battery pouches enter. Protruding guides 16 are formed at each interval, and the battery pouches are guided by the protruding guides 16.

전지 파우치(17)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스 수용부(18), 전지 수용부(19) 및, 커버(21)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개스 수용부(18)와 전지 수용부(19) 사이에는 도시되지 아니한 개스 유동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개스 수용부(18)와 전지 수용부(19)의 사이에는 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22)은 상기 트레이의 돌출 가이드(16)에 대응됨으로써 전지 파우치(17)가 전지 삽입구(12,13,14,15)에 삽입될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 번호 20 으로 표시된 것은 전지 수용부(19)의 내측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미도시)의 전극 탭에 연결된 전극이다. 전지를 충방전시킬 수 있도록 전원을 인가하는 전극 핀(미도시)은 상기 전극(20)에 접촉됨으로써 전지를 충방전시킬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battery pouch 17 includes a gas accommodating part 18, a battery accommodating part 19, and a cover 21 integrally formed with the gas accommodating part 18 and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 Between 19) there is formed a gas flow passage not shown. A groove 22 is formed between the gas accommodating portion 18 and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19, and the groove 22 corresponds to the protruding guide 16 of the tray so that the battery pouch 17 is a battery insertion hole. It acts as a guide when inserted into (12, 13, 14, 15).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20 is an electrode connected to an electrode tab of an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accommodated inside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19. An electrode pin (not shown) applying power to charge and discharge the battery may contact the electrode 20 to charge and discharge the battery.

위와 같은 폴리머 2 차 전지의 충방전 시스템에 있어서, 트레이(11)는 각 층별로 8 개씩 모두 32 개의 전지를 수용 가능했다. 그러나 상기 트레이(11)는 전지를 다층의 계단식으로 수용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불필요한 공간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트레이(11)에 전지를 삽입한 상태에서 전극(20)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전극 핀(미도시)을 접촉시킬 경우, 전극(20)과 전극 핀의 접촉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고, 그에 따라서 공정 수행에 곤란이 많았다.In the charging / discharging system of the polymer secondary battery as described above, the tray 11 was able to accommodate 32 batteries, each of which is eight in each layer. However, since the tray 11 accommodated the batteries in a multi-layered cascade, there was a problem that a lot of unnecessary space was generated as a whole. In addition, when contacting the electrode pin (not shown) in order to apply a voltage to the electrode 20 in the state in which the battery is inserted into the tray 11, the contact between the electrode 20 and the electrode pin is not made correctly, accordingly The process was difficult to carry out.

도 2 에 도시된 것은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한 부분적인 사시도이다.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tray.

도면을 참조하면, 트레이(25)는 전지의 삽입부(33)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33)에는 전지 파우치(17)를 도립의 상태로 삽입할 수 있는 다수의 삽입구(30)가 형성되어 있다. 전지 삽입부(33)는 테두리(26)에 의해서 둘러싸여져 있으며, 테두리의 상부 평면(29)은 삽입부(33)의 상부 평면(27)들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30)의 저면에는 다수의 구멍(미도시)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멍은 전지 파우치(17)의 전극(20)들이 통과할 수 있지만, 전지 파우치(17) 전체가 통과할 수는 없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지 파우치(17)를 삽입구(30)에 삽입하면 전지 파우치(17)는 구멍이 형성된 삽입구 저면에 의해 지지되고, 전극(20)만이 구멍을 통과하여 돌출한 상태가 될 수 있다. 테두리(29)의 저부 평면은 삽입부(33)의 저부 평면(32)보다 낮게 위치함으로써, 삽입부(33)의 저면은 공간에 떠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삽입구(30)의 저면 구멍을 통해서 돌출한 전극(20)은 트레이(25)가 놓여있는 바닥에 닿지 않고 공중에 떠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tray 25 is provided with a battery insertion portion 33, the insertion portion 33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sertion openings 30 for inserting the battery pouch 17 in an inverted state It is. The battery insertion part 33 is surrounded by the edge 26, and the upper plane 29 of the edge is formed higher than the upper planes 27 of the insertion part 33. A plurality of holes (not shown)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sertion hole 30, and the holes may pass through the electrodes 20 of the battery pouch 17, but may not pass through the battery pouch 17. Formed. Accordingly, when the battery pouch 17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0, the battery pouch 17 is supported by the bottom of the insertion hole in which the hole is formed, and only the electrode 20 may protrude through the hole. The bottom plane of the edge 29 is located lower than the bottom plane 32 of the insertion part 33, so that the bottom face of the insertion part 33 is in a floating state. Therefore, the electrode 20 protruding through the bottom hole of the insertion hole 30 may be maintained in the air without touching the bottom on which the tray 25 is placed.

삽입구(30)는 전지의 단면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삽입구(30)에는 전지 파우치(17)의 홈(22)에 대응하는 돌출 가이드(28)가 상부 평면(27)으로부터 저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돌출 가이드(28)에 의해서 전지 파우치(17)는 삽입구(30)내에서 파우치(17)의 폭 방향으로 요동하지 않는다.Insertion port 3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battery. In the insertion port 30, a protruding guide 28 corresponding to the groove 22 of the battery pouch 17 extends from the upper plane 27 to the bottom surface. The battery pouch 17 does not swing in the insertion direction 3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ouch 17 by the protruding guide 28.

도 2 에 도시된 트레이는 비록 돌출 가이드(28)에 의해서 전지의 요동이 방지되기는 하지만, 다양한 크기의 전지 파우치(17)를 수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삽입구(30)가 전지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트레이가 제작되므로, 전지 단면의 크기가 변하면 트레이도 다시 제작하여야 하는 것이다.Although the tray shown in FIG. 2 is prevented from swinging the battery by the protruding guide 28,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accommodate battery pouches 17 of various sizes. That is, since the tray is manufactured so that the insertion port 30 corresponds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attery, the tray must also be manufactured again when the size of the battery cross section changes.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전지의 충방전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battery charging tra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지의 두께 및, 폭의 치수에 무관하게 전지를 수용할 수 있는 전지의 충방전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ging / discharging tray of a battery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battery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and the dimensions of the width.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이드에 의해서 전지가 포켓내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전지의 충반전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y for charging a battery, in which a battery is stably held in a pocket by a guide.

도 1은 통상적인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1 schematically shows a part of a conventional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tray.

도 2는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tray.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tray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도 3 에 도시된 가이드와 전지 파우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guide and the battery pouch shown in FIG.

도 5 는 가이드의 다른 예에 대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the guide;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Figure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tray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a tray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의 일부에 대한 평면도.8 is a plan view of a part of a tray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의 일부에 대한 저면도.9 is a bottom view of a part of a tray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Major Codes in Drawings>

11. 트레이 12.13.14.15. 전지 삽입구11.Tray 12.13.14.15. Battery compartment

16. 돌출 가이드 17. 전지 파우치16. Protrusion Guide 17. Battery Pouch

18. 개스 수용부 19. 전지 수용부18. Gas compartment 19. Battery compartment

20. 전극 21. 커버20. Electrode 21. Cover

40. 포켓 41. 포켓벽40. Pocket 41. Pocket Wall

43. 가이드 45. 고정부43. Guide 45. Fixing par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둘레를 둘러싸며 상기 바닥면이 그것의 중간 부분에 위치함으로써 하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측벽;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전지 파우치가 삽입되는 다수의 포켓을 형성하며, 일측에 인서트가 형성되는 포켓벽; 및, 상기 인서트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가 일측에 부착되며 상기 포켓의 안으로 삽입되어 상기 전지 파우치의 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포켓에 대응하는 바닥면에는 전지 파우치의 탭이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A side wall surrounding a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the bottom surface being position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to form a lower space; A pocket wall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to form a plurality of pockets into which the battery pouch is inserted, and an insert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guide attached to one side and fixed to the insert, the guide being inserted into the pocket to support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pouch, and a tab of the battery pouch passing through the bottom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ocket. Provided is a tray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in which a hole is formed.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의 고정부의 저면에는 상기 인서트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다.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bottom of the fixing portion of the guide is formed with a hole into which the insert can be insert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의 고정부는 집게의 형태로 상기인서트를 파지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fixing portion of the guide grips the insert in the form of tongs.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지 파우치의 측면에 접촉하는 가이드의 일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전지 파우치의 두께와 상기 포켓의 폭의 차이에 대응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a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battery pouch,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corresponds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pouch and the width of the pocket.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포켓은 그것의 길이 방향으로는 일렬로 배치되고, 그것의 폭방향으로는 이웃한 포켓에 대하여 엇갈리도록 배치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ockets are arranged in a line in their longitudinal direction and staggered in their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neighboring pockets.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tray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는 전지 파우치(17)가 그 안에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포켓(40)과, 상기 포켓(40)내에서 전지 파우치(17)를 정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는 가이드(4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포켓(4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본체의 바닥면(49)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포켓 벽(41)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서 형성된다. 포켓(40)의 단면 크기는 다양한 크기의 전지 파우치(17)를 수용할 수 있도록 크게 형성된다. 포켓 벽(41)의 일측에는 다수의 인서트(4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인서트(42)는 가이드(43)의 일측에 부착된 고정부(45)의 내부로 삽입되어 가이드(43)를 고정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인서트(4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 벽(41)의 일부를 절개하여 제거함으로써 빗살과 같은 형상을 가진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attery charge and discharge tray has a plurality of pockets (40) into which the battery pouch (17) can be inserted, and the battery pouch (17) in the pocket (40) can be held in place. The guide 43 is provided. The pocket 40 is formed as a space surrounded by the pocket wall 41 which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49 of the tray body as shown in the figure.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pocket 40 is largely formed to accommodate the battery pouches 17 of various sizes. A plurality of inserts 42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pocket wall 41, and the inserts 42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45 attached to one side of the guide 43 to fix the guide 43. It plays a role. The insert 42 is shaped like a comb by cutting away a portion of the pocket wall 41 as shown in the figure.

가이드(43)는 포켓(40)의 내부 공간으로 전지 파우치(17)가 삽입되었을때 전지 파우치(17)의 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전지 파우치(17)를 포켓(40)내에서 안정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43)의 측면에는 고정부(45)이 부착되는데, 상기 ??정부(45)의 저면에는 인서트(42)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43)는 다수의 인서트(42)들중 적절한 하나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The guide 43 serves to keep the battery pouch 17 stable in the pocket 40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pouch 17 when the battery pouch 17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pocket 40. do. A fixing part 45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guide 43, and a hole into which the insert 42 can be inserted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 The guide 43 can thus be fixed in a suitable one of the plurality of inserts 42.

가이드(43)는 전지 파우치(17)의 측면 형상에 대응하여 별도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약 포켓(40)의 폭(W)이 전지 파우치(17)의 두께보다 넓다면 전지 파우치(17)는 포켓(40)의 내부에서 유동(遊動)하게 될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가이드(43)의 일측에 돌출부(43a)를 형성한다. 이러한 돌출부(43a)는 전지 파우치(17)의 두께와 포켓(40)의 폭(W)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돌출부(43a)가 형성됨으로써 가이드(43)는 그 측면이 전지 파우치(43)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포켓(40)의 폭(W)에 대응하여 그 안에 안착될 수 있다.The guide 43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to correspond to the side shape of the battery pouch 17. For example, if the width W of the pocket 40 is wid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pouch 17, the battery pouch 17 will flow inside the pocket 40. In order to prevent this, a protrusion 43a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guide 43. The protrusion 43a is to overcom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pouch 17 and the width W of the pocket 40. The protrusion 43a is formed, so that the guide 43 has a side surface of the battery pouch 43. ) Can be stably supported and seated therein corresponding to the width W of the pocket 40.

가이드(43)는 전지 파우치(17)의 양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43)는 전지 파우치(17)의 양 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가이드(43)에 부착된 고정부(45)의 저면 구멍에 포켓벽(42)의 인서트(42)가 삽입된다. 즉, 포켓 벽(41)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가이드(43)는 포켓(40)의 내부 공간에서 전지 파우치(17)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공간을 한정하는 것이다. 가이드(43)를 고정하는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폭을 가지는 전지 파우치(17)를 포켓(4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e guide 43 may support both sides of the battery pouch 17. In the state where the guide 43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battery pouch 17, the insert 42 of the pocket wall 42 is inserted into the bottom hole of the fixing part 45 attached to the guide 43. In other words, the guide 43 held fixed to the pocket wall 41 defines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ttery pouch 17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pocket 40. The battery pouch 17 having a width of various sizes may be stably held in the pocket 40 according to a position at which the guide 43 is fixed.

도 4 는 도 3 을 통해서 설명된 가이드와 전지 파우치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guide and the battery pouc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n more detail.

도면을 참조하면, 한쌍의 마주보는 가이드(43)의 내측면에는 전지 파우치(17)의 측면에 대응하는 측면(48)이 각각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돌출부(43a)가 상기 측면(48)으로부터 연장됨으로써,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전지 파우치(17)의 두께와 포켓(40)의 폭(W)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게 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t can be seen that the side surfaces 48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s of the battery pouches 17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pair of opposing guides 43, respectively. The protrusion 43a also extends from the side surface 48, thereby overcom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pouch 17 and the width W of the pocket 40, as described above.

도 5 에 도시된 것은 가이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guide.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43)의 배면에는 고정부(51)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부(51)는 집게의 형태로서, 가이드(43)와의 사이에 파지 공간(52)이 형성된다. 파지 공간(52)의 내측으로 포켓 벽(41)이 파지됨으로써 가이드(43)가 포켓 벽(41)의 일측에 고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고정부(51)는 탄성에 의해서 가이드(43)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fixing portion 51 is integrally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43. The fixing portion 51 is in the form of tongs, and the holding space 52 is disposed between the guide 43. Is formed. By holding the pocket wall 41 inwardly of the gripping space 52, the guide 43 can be held fixed on one side of the pocket wall 41. The fixing part 51 can hold the guide 43 more stably by elasticity.

도 6 에 도시된 것은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7 에 도시된 것은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의 단면도로서 전지가 포켓들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tray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y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is inserted into pockets.

도 6 을 참조하면, 트레이는 다수의 포켓벽(41)들이 트레이의 바닥면(49)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트레이의 둘레는 측벽(61)이 둘러싸고 있다. 트레이의 바닥면(49)은 트레이의 측벽(61)의 전체 높이의 중간 부분에 위치함으로써 바닥면(48)의 하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포켓벽(41)의 상단부는 측벽(61)의 상단부 표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또한 포켓(40)에 전지 파우치가 삽입되었을때, 전지 파우치(17)의 상단이 트레이 측벽(61)의 상단보다 높아지지 않도록 측벽(61)은 충분한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스럽다.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tray is formed by a plurality of pocket walls 41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49 of the tray. The circumference of the tray is surrounded by the side wall 61. The bottom surface 49 of the tray is located at the middle of the entire height of the side wall 61 of the tray, so that a space is formed below the bottom surface 48. The upper end of the pocket wall 41 is preferably formed lower tha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side wall 61. In addition, when the battery pouch is inserted into the pocket 40, the side wall 61 preferably has a sufficient height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pouch 17 is not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tray side wall 61.

도 7 을 참조하면, 전지 파우치(17)를 포켓(40)의 내부로 삽입하였을때 전지 파우치(17)는 도립의 상태로 유지되며, 단지 탭(20)이 바닥면(49)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트레이의 하부 공간(71)으로 돌출한 것을 나타낸다. 즉, 포켓(40)의 하부 표면에 대응하는 바닥면(49)에는 탭(20)의 통과를 위한 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전지 파우치(17) 자체는 포켓벽(41)과 가이드(43)들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내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반면에, 탭(20)은 바닥면(49)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트레이의 하부 공간(71)으로 돌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부 공간(71)으로 전지 충방전을 위한 접속 단자(미도시)들이 접근함으로써 소기의 전지 충방전 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battery pouch 17 is inserted into the pocket 40, the battery pouch 17 remains in an inverted state, and only the tab 20 forms a 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49. It protrudes through the lower space 71 of a tray through. That is, a hole for the passage of the tab 20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49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ocket 40. Thus, the battery pouch 17 itself remains stable in the space defined by the pocket wall 41 and the guides 43, while the tab 20 is at the bottom of the tray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bottom 49. It can protrude into the space 71. By accessing the connection terminals (not shown)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to the lower space 71, a desired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process may be performed.

도 8 에 도시된 것은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의 평면도이며, 도 9 에 도시된 것은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의 저면도이다.8 is a plan view of a tray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a bottom view of a tray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is shown in FIG. 9.

도 8 을 참조하면, 다수의 포켓(40)들은 수평 방향으로는 일직선상으로 배열되고, 수직 방향으로는 인접한 포켓에 대하여 서로 엇갈리는 배열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9 를 참조하면, 상기 수직 방향에서 인접한 포켓에 대하여 엇갈리게 배치된 포켓에 대응하여 탭이 통과하는 구멍(81)들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plurality of pockets 40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have a staggered arrangement with respect to adjacent pockets in the vertical direction. 9, it can be seen that holes 81 through which tabs pass are formed corresponding to pockets staggered with respect to adjacent pockets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포켓들의 배치를 통해서 하나의 트레이에 최대 다수의 포켓(40)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탭(20)에 대한 충방전 접속 단자의 접근성이 확보될 수 있다. 즉, 포켓(40)의 길이(L)는 최대 크기의 전지 파우치를 감안하여 설계되어야 하기 때문에 가급적 커야 한다. 또한 가급적 하나의 트레이내에 최대 다수의 포켓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에, 트레이의 바닥면 하부 공간(71)에서 충방전 접속 단자를 전지 파우치의 탭(20)에 접속시킬때는 이웃하는 탭(20)들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것과 같은 포켓의 배치는 이러한 상반된 조건을 충족시킨다.8 and 9, a maximum number of pockets 40 may be arranged in one tray, and accessibility of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ng terminal to the tab 20 may be ensured. That is, the length L of the pocket 40 should be as large as possible because it should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battery pouch of the maximum siz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maximum number of pockets are provided in one tray as much as possible. However, when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ab 20 of the battery pouch in the bottom space 71 of the tray, the neighboring tab 20 It is desirable to have a space between them. The arrangement of pockets as shown in Figures 8 and 9 fulfills these conflicting conditions.

본 발명에 따른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는 다양한 전지 파우치를 수용하여 소정의 충방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전지 파우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저렴하게 제작될 수 있는 가이드를 이용하여 전지 파우치를 유지하며, 전지 파우치의 크기에 따라서 트레이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더욱이, 트레이내에 최대 다수의 포켓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접속 단자를 탭에 접속시키는 작업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commodate a variety of battery pouch to perform a predetermined charge and discharge ope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aintain a stable battery pouch. In addition, it is very economical to maintain the battery pouch using a guide that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and do not have to produce a tra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attery pouch. Moreov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maximum number of pockets can be formed in the tray, and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he connection terminals to the tabs becomes easy.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claim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Claims (5)

바닥면;Bottom surface; 상기 바닥면의 둘레를 둘러싸며 상기 바닥면이 그것의 중간 부분에 위치함으로써 하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측벽;A side wall surrounding a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the bottom surface being position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to form a lower space;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전지 파우치가 삽입되는 다수의 포켓을 형성하며, 일측에 인서트가 형성되는 포켓벽; 및,A pocket wall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to form a plurality of pockets into which the battery pouch is inserted, and an insert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상기 인서트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가 일측에 부착되며 상기 포켓의 안으로 삽입되어 상기 전지 파우치의 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를 구비하며,And a guide attached to one side and fixed to the insert and inserted into the pocket to support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pouch. 상기 포켓에 대응하는 바닥면에는 전지 파우치의 탭이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The tray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ocket is a hole through which the tab of the battery pouch pass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의 고정부의 저면에는 상기 인서트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The tray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characterized in that a hole in which the insert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fixing part of the gui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의 고정부는 집게의 형태로 상기 인서트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The fixing part of the guide is a tray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characterized in that for holding the insert in the form of tong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지 파우치의 측면에 접촉하는 가이드의 일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상기 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전지 파우치의 두께와 상기 포켓의 폭의 차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A protrusio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guide that contacts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pouch,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corresponds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pouch and the width of the pocke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포켓은 그것의 길이 방향으로는 일렬로 배치되고, 그것의 폭방향으로는 이웃한 포켓에 대하여 엇갈리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방전용 트레이.And the pockets are arranged in a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staggered with respect to neighboring pockets in the width direction thereof.
KR10-2002-0001192A 2002-01-09 2002-01-09 Tray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battery KR1004067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192A KR100406797B1 (en) 2002-01-09 2002-01-09 Tray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192A KR100406797B1 (en) 2002-01-09 2002-01-09 Tray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473A KR20030060473A (en) 2003-07-16
KR100406797B1 true KR100406797B1 (en) 2003-11-21

Family

ID=32217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192A KR100406797B1 (en) 2002-01-09 2002-01-09 Tray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679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091A (en) * 2004-09-22 2006-03-27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holder for assisting discharge
KR102108276B1 (en) * 2013-11-20 2020-05-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echargeable battery tray
KR101973741B1 (en) * 2017-07-17 2019-04-3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Battery Cell Common Tra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0755A (en) * 1998-07-15 2000-01-28 Toshiba Battery Co Ltd Charge/discharge tray for sheet battery
JP2000058136A (en) * 1998-08-06 2000-02-25 Toshiba Battery Co Ltd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for plate-like battery
JP2000223162A (en) * 1999-01-27 2000-08-11 Toshiba Battery Co Ltd Jig for charging/discharging sheet-like battery
KR100337887B1 (en) * 2000-06-14 2002-05-24 김순택 Charge and discharge system of batte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0755A (en) * 1998-07-15 2000-01-28 Toshiba Battery Co Ltd Charge/discharge tray for sheet battery
JP2000058136A (en) * 1998-08-06 2000-02-25 Toshiba Battery Co Ltd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for plate-like battery
JP2000223162A (en) * 1999-01-27 2000-08-11 Toshiba Battery Co Ltd Jig for charging/discharging sheet-like battery
KR100337887B1 (en) * 2000-06-14 2002-05-24 김순택 Charge and discharge system of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473A (en) 200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7887B1 (en) Charge and discharge system of battery
US9899645B2 (en) Battery pack
JP6109926B2 (en) Battery pack
JP4036805B2 (en) Pack battery
JP4646867B2 (en) Battery module
CN110277533B (en) Battery module
KR100839374B1 (en) Battery module
JP2008166191A (en) Battery pack
KR20020033561A (en) Power supply apparatus
EP3790074A2 (en) Battery pack
EP3916866A1 (en) Battery pack
EP3790075A1 (en) Battery pack
KR20110002355A (en) Battery pack
KR101776898B1 (en) Battery Module
JP2008097942A (en) Battery pack
CN112331981B (en) Battery pack and vehicle
CN112331997A (en) Battery pack and vehicle
WO2017097726A1 (en) Super cells formed of cylindrical electrochemical cells
KR100406797B1 (en) Tray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battery
JP2014067620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JP4744222B2 (en) Power supply
KR100768178B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JP2003323870A (en) Battery pack
KR100858793B1 (en) Cap assembly formed reinforcing bead and round-type secondary battery therewith
CN220291003U (en) Single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