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6119B1 - A Signal Detecting Bluetooth System and a Method - Google Patents

A Signal Detecting Bluetooth System and a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119B1
KR100406119B1 KR10-2001-0011354A KR20010011354A KR100406119B1 KR 100406119 B1 KR100406119 B1 KR 100406119B1 KR 20010011354 A KR20010011354 A KR 20010011354A KR 100406119 B1 KR100406119 B1 KR 100406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luetooth
unit
transmission modul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3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71291A (en
Inventor
강송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1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119B1/en
Publication of KR20020071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2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119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8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for a headse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기능을 지원하는 통신장치에 장착되어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과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이루어지는 블루투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은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크기를 감지하여 상기 신호의 크기가 소정 값 이상인 경우에 한해 전원을 공급하는 신호감지부와, 상기 신호감지부에서 감지한 바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통신장치에서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동시에 상기 통신장치로 송신되는 신호는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부의 송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동시에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부합되도록 가공하는 블루투스 베이스밴드부와, 상기 블루투스 베이스밴드부에서 가공된 신호가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에 전달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을 통해 전송된 신호를 상기 베이스밴드부로 전달하는 RF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통신 대기상태에서의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어 효율적 배터리 관리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luetooth system comprising a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mounted on a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ccording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 and a Bluetooth headset for making a phone call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that detects the magnitude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supplies power only when the magnitude of the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ccordingly, when the power is supplied,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is converted into digital form, and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is converted into analog form,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of the converter is processed to meet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 Bluetooth processing if possible And an RF band for transmitting a signal processed by the Bluetooth baseband unit to the Bluetooth headset and transmitting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Bluetooth headset to the baseband uni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umption, so that efficient battery management is possible.

Description

신호감지형 블루투스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A Signal Detecting Bluetooth System and a Method}Signal Detecting Bluetooth System and a Method for Operation {A Signal Detecting Bluetooth System and a Method}

본 발명은 외부 기지국과 전화 통화에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장치에 사용된 신호감지형 블루투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신 유무에 관련 없이 항상 연결상태에 있어야 하는 기존의 블루투스 모듈을 사용한 통신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신호감지형 블루투스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sensing Bluetooth system used in a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required for a telephone call with an external base station, and in particular, a problem of a communication device using a conventional Bluetooth module that should always be connected regardless of commun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 sensing type Bluetooth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종래의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할 경우 통신장치의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모듈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헤드셋은 통신의 유무에 관계없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즉, 상기 블루투스 모듈가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은 통신 시는 액티브(ACTIVE) 상태에 있고 통신이 없을 시에는 블루투스 기술에 있는 파크모드(PARK MODE)에서 상호간에 신호를 주기적으로 주고받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In case of using the conventional Bluetooth technology, the Bluetooth modul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Bluetooth headse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Bluetooth module must remain connected regardless of communication. That is, the Bluetooth module should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Bluetooth headset periodically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in the Park Mode in the Bluetooth technology when the Bluetooth headset is in an ACTIVE state and there is no communication.

도 1은 새로운 무선 규격인 블루투스를 이용한 제품으로, 주파수 인증이 필요 없는 ISN(Industrial Scientific Medical)밴드를 사용하는 제품에 관한 사시도이다. 예시의 제품은 에릭슨(Ericsson)사의 이동전화기로 아직 시판은 되지 않고 있다. 상기 이동전화기는 통신장치(1)에 장착되는 동글형 블루투스 모듈(Dongle Type Bluetooth Module;10)과 블루투스 헤드셋(3)이 하나의 세트를 이룬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duct using a new wireless standard, Bluetooth, an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ISN) band that does not require frequency authentication. The example product is not yet available on Ericsson's mobile phone. The mobile telephone is a set of a dongle type Bluetooth module (10) and a Bluetooth headset (3) mounted on the communication device (1).

도 2는 상기 동글형 블루투스 모듈(10)이 장착된 통신장치(1)와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3)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상기 통신장치(1)와 동글형 블루투스 모듈(10)은 아날로그 음성신호와 디지털 데이터를 주고받는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 equipped with the dongle Bluetooth module 10 and the Bluetooth headset 3,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1 and the dongle Bluetooth module 10. Sends and receives analog voice signals and digital data.

이 신호들 중 상기 이동전화기(1)에서 수신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전원부(19)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상기 동글형 블루투스 모듈(10)의 변환부(11)의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1a)를 통하여 디지털화되고, 이 신호는 블루투스 베이스밴드부(13)를 거쳐 RF부(14)를 통하여 무선으로 전원부(29)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3)에 전달된다.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3)의 블루투스 모듈(20)에 전달된 신호는 RF단(24), 블루투스 베이스밴드부(23),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3)의 변환부(21)의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21b)를 거쳐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Among these signals, the analog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mobile telephone 1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9.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11a of the conversion unit 11 of the dongle-type Bluetooth module 10 operates. This signal is digitized through the Bluetooth baseband unit 13, and is transmitted to the Bluetooth headset 3 which oper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29 wirelessly via the RF unit 14 via the Bluetooth baseband unit 13.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Bluetooth module 20 of the Bluetooth headset 3 is an RF stage 24, a Bluetooth baseband unit 23, and a digital / analog converter 21b of the conversion unit 21 of the Bluetooth headset 3. It is delivered to the user through the speaker through.

상기 이동전화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음성은 마이크를 통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1a)를 통해 전기적인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설명과 역순으로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1b)를 거쳐 상기 이동전화기(1)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된다.The voice of the user using the mobile phone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analog signal through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21a through a microphone, and the mobile phone 1 is passed through the digital / analog converter 11b in the reverse order as described above. It is delivered to the other party through.

상기 도 1과 같이, 동글형 블루투스 모듈(10)은 통화의 유무에 상관없이 블루투스 헤드셋(3)을 인식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아야한다. 블루투스 기술에서는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에도 인식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 전원절약을 의한 파크모드를 정의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dongle-type Bluetooth module 10 periodically exchanges data with each other in order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Bluetooth headset 3 is recognized regardless of a call. Bluetooth technology defines a park mode with power saving when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recognized state even when a call is not being made.

그러나 상기의 파크모드도 주기적으로 서로를 인식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아야하며 이러한 경우 상기 동글형 블루투스 모듈(10)과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3)은 내부의 각 집적회로들이 동작하고 있는 상태로 적게는 수백 ㎂에서 수십 ㎃ 단위의 전류가 흐르고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ark mode also periodically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 order to recognize each other. In this case, the dongle-type Bluetooth module 10 and the Bluetooth headset 3 are opera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integrated circuits are operat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current of several tens of millivolts must flow in the unit.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휴대용 통신장치 및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에 장착된 무선신호 전송모듈이 송수신되는 신호의 크기에 따라 전원 공급 및 차단을 함으로써 통신 대기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효율적인 전원관리가 가능한 신호감지형 블루투스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urpose of the communication by the power supply and cut off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module mounted o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sensing Bluetooth system capable of reducing standby power and enabling efficient power management,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이 사용된 통신장치와 헤드셋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headset using a Bluetooth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의 통신장치와 헤드셋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headset of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감지형 블루투스 시스템의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과 블루투스 헤드셋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불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and a Bluetooth headset of a signal sensing Bluetoot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일부요소인 신호감지부의 내부블록이 도시된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block of a signal detection unit that is a part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감지형 블루투스 시스템의 동작방법이 나열된 순서도이다.5 is a flow chart list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signal sensing Bluetoot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a,30b : 신호감지부 31a,31b : 전원부30a, 30b: signal detection unit 31a, 31b: power supply unit

32 : 입력부 33 : 전원공급결정부32: input unit 33: power supply determination unit

34,35 : 제1,2 인버터부 40 :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34,35: first and second inverter unit 40: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50 : 블루투스 헤드셋 41, 53 : 변환부50: Bluetooth headset 41, 53: conversion unit

42, 52 : 블루투스 베이스밴드부 43, 51 : RF부42, 52: Bluetooth baseband unit 43, 51: RF unit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신호감지형 블루투스 시스템의 특징에 따르면, 통신기능을 지원하는 통신장치에 장착되어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은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크기를 감지하여 상기 신호의 크기가 소정 값 이상인 경우에 한해 전원을 공급하는 신호감지부와, 상기 신호감지부에서 감지한 바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통신장치에서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동시에 상기 통신장치로 송신되는 신호는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부의 송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동시에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부합되도록 가공하는 블루투스 베이스밴드부와, 상기 블루투스 베이스밴드부에서 가공된 신호가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에 전달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을 통해 전송된 신호를 상기 베이스밴드부로 전달하는 RF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a signal sensing type Bluetooth system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according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 mounted on a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a communication function is the magnitude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A signal detector for supplying power only when the magnitude of the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convert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into a digital form when power is supplied as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is converted into an analog form, a Bluetooth baseband unit for process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s of the converter at the same time to meet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 and the signal processed by the Bluetooth baseband unit is the Bluetooth The block at the same time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tooth headset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F unit which is configured including a transmission base ban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호감지형 블루투스 시스템 동작방법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에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감지하는 신호감지부가 내장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에 내장된 신호감지부는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에서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로 전송하는 신호의 크기를 감지하여 상기 신호 크기가 소정 값 이상일 경우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을 동작시키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에 내장된 신호감지부는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이 동작함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소정 값 이상일 경우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을 동작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 및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이 동작됨에 따라 전화통화자의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는 제4 단계와, 전화통호가 이루어진 후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이 대기상태에 들어가면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과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의 신호감지부가 다시 동작하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method of operating a signal-sensitive Bluetoot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p and the signal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and the Bluetooth headset, and the first step The second signal detecting unit built in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detects the size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o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to operate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when the signal siz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a third step of operating the Bluetooth headset when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s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operates in the second step. The Bluetooth signaling module and the Bluetooth A fourth step in which a telephone call is made by a telephone caller as the headset is operated; and a fifth step in which the signal detection unit of the Bluetooth headset and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is operated again when the Bluetooth headset enters a standby state after a telephone call is made. .

단거리 무선통신 분야에서 새로 사용되기 시작한 블루투스 규격은 스웨덴의 에릭슨, 미국의 IBM과 인텔, 핀란드의 노키아, 일본의 도시바 등이 개발중인 무선데이터통신 규격의 개발코드명이다. 블루투스는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 1Mbps에 최대 전송거리 10M(출력 증폭기 미 장착 시)의 무선데이터통신을 하며, 사용자가 면허 없이 2.4GHz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밴드를 사용해 비교적 손쉽게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new Bluetooth specification, which is being used i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the code name for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tandard being developed by Ericsson in Sweden, IBM and Intel in the US, Nokia in Finland, and Toshiba in Japan. Bluetooth provides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a maximum data transfer rate of 1M and a maximum transmission distance of 10M (without an output amplifier) and allows users to use the 2.4GHz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ISM) band without a license at a relatively low cost.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 3,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신호감지형 블루투스 시스템은 통신장치(2)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크기가 소정 값 이상인지를 감지하여 전원부(31a)의 전원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감지부(30a)와, 상기 신호감지부(30a)에서 감지한 바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통신장치(2)에서 수신된 신호는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동시에 상기 통신장치(2)로 송신되는 신호는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 변환부(41)와, 상기 변환부(41)의 송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동시에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부합되도록 가공하는 블루투스 베이스밴드부(42)와, 상기 블루투스 베이스밴드부(42)에서 가공된 신호가 블루투스 헤드셋에 전달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을 통해 전송된 신호를 상기 베이스밴드부(42)로 전달하는 RF부(43)로 이루어진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40)과,The signal sensing type Bluetoot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whether or not the magnitude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o determine whether to supply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31a, and the signal. When power is supplied a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30a, the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device 2 is converted into a digital form while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 is converted into an analog form ( 41), a Bluetooth baseband unit 42 for process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 of the conversion unit 41 and processing to meet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 and a signal processed by the Bluetooth baseband unit 42 to be transmitted to the Bluetooth headset. At the same time,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consisting of an RF unit 43 for transmitting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Bluetooth headset to the baseband unit 42,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40)과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적합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RF부(51)와, 상기 RF부(51)에서 수신된 신호의 크기가 소정 값 이상인지를 감지하여 전원부(31b)의 전원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감지부(30b)와, 상기 신호감지부(30b)의 감지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RF부(51)의 송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동시에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적합하도록 가공하는 블루투스 베이스밴드부(52)와, 상기 블루투스 베이스밴드부(52)에서 처리된 신호가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도록 상기 처리된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 동시에 외부 마이크롤 통해 입력된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블루투스 베이스밴드부(52)로 전달하는 변환부(53)로 이루어진 블루투스 헤드셋(50)으로 구성된다.The RF unit 51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conforming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40 and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 and whether the magnitude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RF unit 5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of the power supply unit 31b When the power is suppli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signal detection unit 30b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y, and the signal detection unit 30b is processed to proces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s of the RF unit 51 while processing to meet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s The Bluetooth baseband unit 52 and the signal processed by the Bluetooth baseband unit 52 are converted into an analog form so that the processed signal is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a speaker, and at the same time, the signal input through an external microphone is converted into a digital form. It consists of a Bluetooth headset 50 consisting of a conversion unit 53 for transmitting to the Bluetooth baseband unit 52.

여기서,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40)의 변환부(41)는 상기 통신장치(2)로부터 전송된 시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블루투스 베이스밴드부(42)로 전송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41a)와, 상기 블루투스 베이스밴드부(42)를 통한 수신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장치(2)로 전송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41b)로 구성된다.Here, the conversion unit 41 of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converts the tim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2 into a digital form and transmits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41a to the Bluetooth baseband unit 42. And a digital / analog converter 41b that converts the received signal through the Bluetooth baseband unit 42 into an analog form and transmits the received signal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

또한,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50)의 변환부(53)는 상기 블루투스 베이스밴드부(52)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여 외부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53a)와, 외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블루투스 베이스밴드부(52)로 전송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53b)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version unit 53 of the Bluetooth headset 50 convert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uetooth baseband unit 52 into an analog form and outputs it to an external speaker through a digital / analog converter 53a and an external microphone.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53b converts an input signal into a digital form and transmits the converted signal to the Bluetooth baseband unit 52.

특히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40)과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50)에 내장된 신호감지부(30a,30b; 이하 30이라 함)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부(31a,31b;이하 31이라 함)에서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32)와, 상기 입력부(32)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크기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전원공급여부결정신호를 출력하는 전원공급결정부(33)와, 상기 전원공급결정부(33)에서 출력된 전원공급여부결정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31)의 전원이 상기 RF부(43,51)와 블루투스 베이스밴드부(42,52) 그리고 변환부(41,53)로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하여 상기 입력부(32)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40)과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50)이 동작하거나 대기상태에 머물도록 하는 제1 인버터부(34)와, 상기 전원공급결정부(33)에서 출력된 전원공급여부결정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31)의 전원이 상기 전원공급결정부(33)로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하여 상기 신호감지부(30)가 동작하거나 대기상태에 머물도록 하는 제2 인버터부(35)로 구성된다.In particular, the signal detection units 30a and 30b (hereinafter, referred to as 30) embedded in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and the Bluetooth headset 50 are the power supply units 31a and 31b;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unit detects the magnitude of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32 and outputs a power supply determin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from the outside as power is supplied from (33) and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31 is converted into the RF unit 43, 51 and the Bluetooth baseband unit 42, 52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unit 33.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and the Bluetooth headset 50 operate or stay in a standby stat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32 by being supplied to or blocked from the units 41 and 53. First inverter section 34 and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In response to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signal output from 33,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31 is supplied or cut off to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unit 33 so that the signal detection unit 30 operates or stays in a standby state. It consists of the 2nd inverter part 35.

여기서 상기 입력부(32)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32a)과, 상기 수신단(32a)을 통과한 신호를 처리 필터링하여 증폭시켜 상기 전원공급결정부(33)로 전달하는 필터(32b) 그리고 증폭기(32c)로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input unit 32 includes a receiver 32a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outside, a filter 32b for processing, filtering, amplifying a signal passing through the receiver 32a, and delivering the signal to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unit 33; It consists of an amplifier 32c.

또한, 상기 전원공급결정부(33)는 상기 전원부(31)로부터 상기 제2 인버터부(35)의 동작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아 입력부(32)에서 수신된 신호의 크기를 비교를 통해 감지하는 비교기(33a)와, 상기 비교기(33a)에서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2 인버터부(34,35)를 통한 전원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전원공급여부결정신호를 상기 제1,2 인버터부(34,35)로 출력하는 래치회로부(33b)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unit 33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3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inverter unit 35 and a comparator for sensing the magnitude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32 through comparison. And a power supply determination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o supply power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verters 34 and 35 according to a result detected by the comparator 33a. And a latch circuit portion 33b for outputting to 34,35.

여기서,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40)에 내장된 신호감지부(30a)는 상기 통신장치(2)에 따라서 PCS 또는 DCN 주파수 대역과 블루투스 사용 주파수 대역을 수신하고,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50)에 내장된 신호감지부(30b)는 블루투스 주파수 대역을 수신한다.Here, the signal detection unit 30a built in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receives the PCS or DCN frequency band and the Bluetooth use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 and is embedded in the Bluetooth headset 50. The signal detector 30b receives the Bluetooth frequency band.

즉,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40)과 블루투스 헤드셋(50)에 내장된 각 신호감지부(30a,30b)의 차이점은 수신하는 주파수 대역의 차이이며, 기본적으로 동작 상태에 있다가 상기 통신장치(2)를 통해 외부 기지국과 통화 연결이 이루어져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40)과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50)을 연결시켜야 하는 경우 각각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40)과 블루투스 헤드셋(50)의 각전원부(31a,31b)의 전원공급을 통하여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40)과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50)을 동작시키고 대기상태에 머무른다.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each of the signal detection units 30a and 30b built in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and the Bluetooth headset 50 is a difference between the received frequency bands and is basically in an operating state. 2) when a call connection is made with an external base station to connect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and the Bluetooth headset 50, respectively, each power unit 31a of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and the Bluetooth headset 50, respectively. 31b) operates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and the Bluetooth headset 50 through the power supply and stays in a standby stat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도 5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고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5.

먼저, 제1 단계에서 상기 통신장치와 연결된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에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 및 블루투스 헤드셋을 동작시키는 전원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신호감지부가 내장된다. (S1)First, in a first step, the signal detecting unit detects the magnitude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and the Bluetooth headse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determines whether to supply power to operate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and the Bluetooth headset accordingly. It is built. (S1)

제2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에 내장된 신호감지부가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로 전송되는 상기 통신장치 신호의 크기를 감지한다. 이 때 상기 통신장치가 외부 기지국과 전화통화를 위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상기 통신장치에서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로 전송하는 신호는 그 크기가 증가하게 되고 여기서 상기 신호감지부가 감지한 신호 크기가 소정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신호감지부는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을 동작시키는 동시에 대기상태로 들어간다. (S2)In the second step, the signal detection unit built in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detects the magnitud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signal transmitted to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in the first step. At this time, 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the external base station for the telephone call,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to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increases in size, and the signal size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on unit is a predetermined value. In case of abnormality, the signal detection unit operates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and enters a standby state. (S2)

제3 단계에서는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이 동작함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에 내장된 신호감지부는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소정 값 이상임을 감지하여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을 동작시키는 동시에 대기상태로 들어간다. (S3)In the third step, as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operates in the second step, the signal detection unit built in the Bluetooth headset detects that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operates the Bluetooth headset. Enter the standby state. (S3)

제4 단계에서는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 및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이 동작됨에 따라 전화통화자가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에 연결된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전화통화를 하게 되며,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는 이러한 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로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송신한다.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은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을 통해 송수신된 신호를 상기 통신장치와 송수신함으로써 상기 통신장치를 통한 외부 기지국과의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S4)In the fourth step, as the Bluetooth signaling module and the Bluetooth headset operate, a telephone call makes a telephone call through a microphone and a speaker connected to the Bluetooth headset, and the Bluetooth headset transmits the signal to the Bluetooth signaling module. Transmit according to the standard.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headset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to make a telephone call with an external base st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S4)

제5 단계에서는 상기 제4 단계에서 전화통화가 종료된 후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이 대기상태에 들어가면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과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의 신호감지부가 다시 동작하게 되며 이때 블루투스 신호전손 모듈 역시 대기상태에 들어가게 된다. (S5)In the fifth step, if the Bluetooth headset enters the standby state after the telephone call is terminated in the fourth step, the signal detection unit of the Bluetooth headset and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is operated again. At this time, the Bluetooth signal loss module also enters the standby state. do. (S5)

참고로,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40)과 블루투스 헤드셋(50)의 절전모드인 파크모드에서와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40) 및 블루투스 헤드셋(50)에 내장된 각 신호감지부(30a,30b)의 전류값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40)과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50)은 파크모드에서 120㎂의 전류가 흐르며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 할 경우 41㎃의 전류가 흐른다. 그 반면 상기 각 신호감지부(30a,30b)는 동작 상태에서 항시 수십 ㎂의 전류만 흐르며, 그 만큼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40)과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50)이 대기상태에 머무를 때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park mode, which is a power saving mode of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and the Bluetooth headset 50, and each of the signal detection units 30a and 30b built in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and the Bluetooth headset 50, respectively. Comparing the current value of) is as follows.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and the Bluetooth headset 50 have a current of 120 mA in the park mode, and a current of 41 mA flows when the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signal detection unit (30a, 30b) is a current of only several tens of mA at any time in the operating state, the power consumed when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and the Bluetooth headset 50 in the standby state Can be reduc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 모듈은 송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감지하고, 상기 신호가 소정의 크기 이상인 경우에 한해 전원을 공급하는 신호감지부를 구현하여 통신장치와 헤드셋과의 단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를 이용한 무선연결에 있어서 오랜 시간의 밧데리 사용시간을 확보할 수 있고, 블루투스 모듈을 사용한 기타 휴대형 기기의 상호 연결 시에 대기상태에서의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Bluetooth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enses the size of a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implements a signal detecting unit for supplying power only when the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ize,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between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headset. In wireless connec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long time of using the battery an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in standby state when interconnecting other portable devices using a Bluetooth module.

Claims (6)

통신기능을 지원하는 통신장치에 장착되어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과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이루어지는 블루투스 시스템에 있어서,In a Bluetooth system comprising a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mounted on a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according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 and a Bluetooth headset for making a telephone call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은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크기를 감지하여 상기 신호의 크기가 소정 값 이상인 경우에 한해 전원을 공급하는 신호감지부와; 상기 신호감지부에서 감지한 바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통신장치에서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동시에 상기 통신장치로 송신되는 신호는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부의 송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동시에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부합되도록 가공하는 블루투스 베이스밴드부와; 상기 블루투스 베이스밴드부에서 가공된 신호가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에 전달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을 통해 전송된 신호를 상기 베이스밴드부로 전달하는 RF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감지형 블루투스 시스템.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may include: a signal detection unit which detects the magnitude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supplies power only when the magnitude of the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 converter for convert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into a digital form and converting a signal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into an analog form when power is supplied as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on unit; A Bluetooth baseband unit which processe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of the conversion unit and processes the signal according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 And a RF unit for transmitting the signal processed by the Bluetooth baseband unit to the Bluetooth headset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Bluetooth headset to the baseband uni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은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과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적합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RF부와; 상기 RF부에서 수신된 신호의 크기가 소정 값 이상인지를 감지하여 전원부의 전원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감지부와; 상기 신호감지부의 감지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RF부의 송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동시에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적합하도록 가공하는 블루투스 베이스밴드부와; 상기 블루투스 베이스밴드부에서 처리된 신호가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도록 상기 처리된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 동시에 외부 마이크롤 통해 입력된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블루투스 베이스밴드부로 전달하는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감지형 블루투스 시스템.The Bluetooth headset includes an RF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conforming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 A signal detect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is supplied with power by detecting whether a magnitude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RF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 Bluetooth baseband unit for processing the transmit / receive signal of the RF unit and processing to conform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 when power is suppli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signal detection unit; And a converting unit converting the processed signal into an analog form so that the signal processed by the Bluetooth baseband unit is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a speaker, and simultaneously converting the signal input through an external microphone to a digital form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signal to the Bluetooth baseband unit. Signal-sensing Bluetooth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or 3, 상기 신호감지부는 상기 전원부에서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크기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전원공급여부결정신호를 출력하는 전원공급결정부와; 상기 전원공급결정부에서 출력된 전원공급여부결정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의 전원이 상기 RF부와 블루투스 베이스밴드부 그리고 변환부로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하여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이 동작하거나 대기상태에 머물도록 하는 제1 인버터부와; 상기 전원공급결정부에서 출력된 전원공급여부결정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의 전원이 상기 전원공급결정부로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하여 상기 신호감지부가 동작하거나 대기상태에 머물도록 하는 제2 인버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감지형 블루투스 시스템.The signal detector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outside as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A power supply determination unit which senses a magnitude of a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nd outputs a power supply determination signal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decision signal outputted from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unit,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is supplied or cut off to the RF unit, the Bluetooth baseband unit, and the conversion unit to transmit the Bluetooth signal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 first inverter unit for operating the module and the Bluetooth headset in a standby state; And a second inverter unit configured to allow the signal detection unit to operate or stay in a standby state by allowing the power supply unit to be supplied to or cut off from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unit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decision signal outputted from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unit. Signal sensing Bluetooth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전원공급결정부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제2 인버터부의 동작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아 입력부에서 수신된 신호의 크기를 비교를 통해 감지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에서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2 인버터부를 통한 전원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전원공급여부결정신호를 상기 제1,2 인버터부로 출력하는 래치회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감지형 블루투스 시스템.A comparator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second inverter unit and sensing a magnitude of a signal received from an input unit through comparison; Signal sensing type Bluetooth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latch circuit unit for outputting a power supply determination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ower supply through the first, second inverter unit according to the result detected by the comparator to the first, second inverter unit . 통신기능을 지원하는 휴대용 통신장치에 장착되어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과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전화통화자의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블루투스 헤드셋에 있어서,In a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mounted o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according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 and a Bluetooth headset for making a telephone call of a telephone caller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에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감지하는 신호감지부가 내장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에 내장된 신호감지부는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에서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로 전송하는 신호의 크기를 감지하여 상기 신호 크기가 소정 값 이상일 경우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을 동작시키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에 내장된 신호감지부는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이 동작함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소정 값 이상일 경우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을 동작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 및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이 동작됨에 따라 전화통화자의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는 제4 단계와; 전화통호가 이루어진 후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이 대기상태에 들어가면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과 상기 블루투스 신호전송 모듈의 신호감지부가 다시 동작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감지형 블루투스 시스템 동작방법.A first step of embedding a signal detection unit for sensing a magnitude of a signal received by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and the Bluetooth headset; In the first step, the signal detection unit built in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detects a magnitude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o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and operates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when the signal siz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Making a second step; A third step of operating the Bluetooth headset whe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embedded in the Bluetooth headset in the second step; A fourth step of making a telephone call of a telephone caller as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and the Bluetooth headset are operated; And a fifth step of reactivating the Bluetooth headset and the signal detection module of the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module when the Bluetooth headset enters a standby state after a telephone call is made.
KR10-2001-0011354A 2001-03-06 2001-03-06 A Signal Detecting Bluetooth System and a Method KR1004061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354A KR100406119B1 (en) 2001-03-06 2001-03-06 A Signal Detecting Bluetooth System and a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354A KR100406119B1 (en) 2001-03-06 2001-03-06 A Signal Detecting Bluetooth System and a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291A KR20020071291A (en) 2002-09-12
KR100406119B1 true KR100406119B1 (en) 2003-11-15

Family

ID=27696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354A KR100406119B1 (en) 2001-03-06 2001-03-06 A Signal Detecting Bluetooth System and a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61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665B1 (en) * 2005-08-09 2008-03-05 한국과학기술원 An apparatus for mobile telephone terminal consisting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and a method for calling and receiving of telephone communicatio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570A (en) * 2000-12-21 2001-03-05 이재학 Wireless earphone with bluetooth chip built in for controlling wireless terminals
KR20010026667A (en) * 1999-09-08 2001-04-06 윤종용 Method for setting lock function in a mobile wireless terminal
EP1199879A2 (en) * 2000-10-17 2002-04-24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power in a communications device
KR20020046102A (en) * 2000-12-12 2002-06-20 김홍기 Bluetooth Type Wireless Hand-free Apparatus
KR20020056745A (en) * 2000-12-29 2002-07-10 송재인 A Signal Detect Alarming Device using Bluetooth
US20020111140A1 (en) * 2001-02-13 2002-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headset capable of automatic link conne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20069997A (en) * 2001-02-28 200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current in mobile terminal using bluetooth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667A (en) * 1999-09-08 2001-04-06 윤종용 Method for setting lock function in a mobile wireless terminal
EP1199879A2 (en) * 2000-10-17 2002-04-24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power in a communications device
KR20020046102A (en) * 2000-12-12 2002-06-20 김홍기 Bluetooth Type Wireless Hand-free Apparatus
KR20010016570A (en) * 2000-12-21 2001-03-05 이재학 Wireless earphone with bluetooth chip built in for controlling wireless terminals
KR20020056745A (en) * 2000-12-29 2002-07-10 송재인 A Signal Detect Alarming Device using Bluetooth
US20020111140A1 (en) * 2001-02-13 2002-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headset capable of automatic link conne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20069997A (en) * 2001-02-28 200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current in mobile terminal using bluetoo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291A (en) 200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5848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loss of portable telephone us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protoco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00025955A (en) Combination radio and earphone-micro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lephone call/radio listening using earphone-microphone
JP3050181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20066249A (en) Method for establishing link among tele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bluetooth device
JP2000083009A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5526405A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with a speakerphone operation mode cordless
EP1119161A2 (en) Wireless hands-free system of cellular phone
EP1107548A2 (en) Battery changing method during call processing in wireless telephone set
KR20020046772A (en) Bluetooth access point for the interface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KR100406119B1 (en) A Signal Detecting Bluetooth System and a Method
KR10042960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volume of wireless headset in portable phone onboard bluetooth
KR200202271Y1 (en) Earphone for portable telephone having emergency call button
KR100437256B1 (en) The detachable CDMA card and the cellular phone and the wireless modem including the card
KR100393603B1 (en) Method for informing redial numbers of wireless headset
JP2002152078A (en) Portable telephone set
KR200376833Y1 (en) Power Supply for Wireless Phone Using Battery of Portable Phone
KR100189619B1 (en) Auto station ring controlling method
JP3187312B2 (en)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JPH07303077A (en) Radio telephony equipment
KR100370969B1 (en) Calling connection circuit of mobile phone
KR100217225B1 (en) Mobile terminal having function to be capable of directly connecting with pstn
KR200292434Y1 (en) Private branch exchange system using wireless technic
KR100687764B1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bluetooth network and bluetooth device therefor
KR20020030517A (en) A Mouse having a Function of a Telephone
JP3147889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