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041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리디렉션 실패시의 재접속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리디렉션 실패시의 재접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041B1
KR100405041B1 KR10-2001-0076872A KR20010076872A KR100405041B1 KR 100405041 B1 KR100405041 B1 KR 100405041B1 KR 20010076872 A KR20010076872 A KR 20010076872A KR 100405041 B1 KR100405041 B1 KR 100405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irection
state
message
termina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6658A (ko
Inventor
한우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6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041B1/ko
Publication of KR20030046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22One-way selective calling networks, e.g. wide area paging
    • H04W84/027One-way selective calling networks, e.g. wide area paging providing paging 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리디렉션 실패시의 재접속방법에 관한 것으로, 리디렉션 수행중에 시스템으로부터 정상적으로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기는 하였으나 최대접속 프로브(max access probe)에 도달할 때 까지 트래픽을 할당받지 못하는 경우, 처음부터 접속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리디렉션 시스템의 채널수 만큼 재발신(트래픽 할당 재요청)을 반복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적인 접속율과 접속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리디렉션 실패시의 재접속방법{Method for Re-Accessing to Redirected System in Access Failur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리디렉션 실패시의 재접속방법, 더 상세하게는 발신을 시도한 단말기가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리디렉션(Service Redirection)을 지시 받아 다른 시스템으로 접속을 다시 시도한 결과 접속이 실패한 경우의 재접속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상태도로서, 전원이 켜진 단말기가 호접속 및 신호송수신을 하기까지 단말기가 취할 수 있는 상태(state)는 크게 초기화상태(MS Initialization State), 대기상태(MS Idle State), 접속시도상태(System Access State), 통화상태(Traffic Channel State)의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상태 사이의 변화는 다음의 ① 내지 ⑧의 경우에 발생하며, 구체적인 것은 아래의 표 1에 정리된 바와 같다.
번호 상태변화 변화 동기
전원ON → 초기화상태 단말기에 전원을 인가
초기화상태 → 대기상태 단말기가 시스템으로부터 타이밍을 획득
대기상태 → 접속시도상태 단말기가 착신/발신/위치등록을 하려할 때 (paging channel message 수신)
접속시도상태 → 통화상태 접속성공 →단말기에 트래픽 채널 할당
통화상태 → 초기화상태 트래픽 채널을 반환(release)하는 경우
대기상태 → 초기화상태 페이징 채널 메시지(Paging Channel Message)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접속시도상태 → 대기상태 접속채널(Access Channel) 전송 요청에 대하여 Origination 또는 페이지 응답메시지(Page Response Message) 이외의 응답을 수신한 경우
접속시도상태→초기화상태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리디렉션(Service Redirection)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위의 설명에서 ⑧의 경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시 발신을 최초로 시도한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리디렉션을 받을 수 있다. 서비스 리디렉션(service redirection)이란 단말기가 최초 접속을 요청한 시스템이 요청을 받아 들일 수 없는 상태이어서, 해당 단말기를 다른 시스템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과정으로서 단말기로 서비스 리디렉션 메시지(service redirection message)를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때 해당 서비스 리디렉션 메시지에 리디렉션할 새로운 시스템의 채널을 함께 전송한다.
접속시도 상태에서 서비스 리디렉션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도 1의 상태변화 ⑧에서와 같이 초기화상태로 전이한 다음, 서비스 리디렉션 메시지에 포함된 새로운 시스템으로의 채널을 이용하여 다시 대기상태로 진입하고, 새로운 (리디렉션된) 시스템으로의 접속시도 및 통화를 수행한다.
이 때, 대기상태에서 정상적인 경우에는 다시 자동적으로 발신을 하여 새로운 시스템에 접속을 시도하지만, 새로운 시스템으로부터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였거나, 발신후 최대접속 프로브(Max. Access Probe)에 도달한 경우에는 시스템 디터미네이션(System Determination)상태로 천이하여 모든 시스템 접속을 종료하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 리디렉션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현재의 망구조에서는 단말기가 서비스 리디렉션 수행 후, 새로운 시스템으로 접속을 시도할 때 위와 같은 이유(페이징 채널 메시지의 미수신, 최대접속 프로브 상태)로 인해 접속을 성공하지 못한 경우 바로 시스템 디터미네이션 상태로 천이하여 다시 처음부터 상태변화를 수행하여야 함으로써 시스템 접속율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또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 후 단말기는 새로운 시스템, 즉 리디렉션 된 시스템이 아닌 최초 접속을 시도한 시스템으로 다시 접속을 시도함으로써, 접속과정이 처음부터 반복됨으로써 전체적인 시스템 접속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서비스 리디렉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시스템으로의 접속(발신)이 실패한 경우, 신속하게 재발신(재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리디렉션 실패시의 재접속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비스 리디렉션 수행중에 시스템으로부터 정상적으로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기는 하였으나 최대접속 프로브(max access probe)에 도달할 때까지 트래픽을 할당받지 못한 경우, 일정한 회수동안 재발신을 반복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도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재접속 방법을 구현하는 과정에서의 단말기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리디렉션 접속 실패시 재접속방법의 전체 흐름을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리디렉션 실패시의 재접속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최초 접속 시도 시스템으로부터 새로이 접속할 시스템(리디렉션 시스템)의 n개 채널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리디렉션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1 단계와,
리디렉션 시스템의 파일럿채널 및 동기채널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초기화하는 초기화 상태에 진입하는 제 2 단계;
리디렉션 시스템으로부터 정상적인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시스템 디터미네이션 상태에서 소정 회수만큼 리디렉션 시스템의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검색하고, 정상적인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바로 접속상태로진입하는 제 3 단계;
단말기가 리디렉션 시스템으로 발신하고, 최대접속 프로브(Max Access Probe)까지 리디렉션 시스템으로부터 트래픽을 할당받지 못한 경우, 상기 리디렉션 시스템의 채널수(n)만큼 접속상태에서 리디렉션 시스템으로 재발신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 의하여 트래픽을 할당받지 못하는 경우 시스템 디터미네이션 상태로 천이함으로써 시스템 접속을 종료하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3 단계에서 소정회수의 검색에 의하여 해당 리디렉션 시스템의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시스템 디터미네이션 상태로 천이함으로써 시스템 접속을 종료하는 제 6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 2 단계후에 바로 정상적인 페이징 메시지 채널을 수신한 경우에는 제 4 단계로 바로 진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도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단말기와 접속될 수 있는 1 이상의 시스템(기지국; BS; 220,220'), 이동통신 교환기(MSC; 230)로 이루어진다.
1 이상의 시스템(기지국)은 단말기가 최초로 접속 시도하는 시스템(최초 접속 시스템; 220)과, 서비스 리디렉션할 대상이 되는 기지국(리디렉션 시스템; 2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의 단말기와 동일하나, 후술할 바와 같은 리디렉션 실패시 재접속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한 일반적인 접속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단말기(210)는 여러 기지국(시스템; 220, 220')이 송출하는 파일럿 채널 신호를 수신하여 그 중 가장 큰 신호를 가지는 시스템(기지국; 220)을 선택한다. 그 다음으로는 단말기가 선택된 시스템과 동기채널로 접속한 후 해당 시스템의 프로토콜 정보, 시스템 ID, 망 ID 등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파일롯 채널 오프셋, 시스템 시간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타이밍과 시스템 타이밍 및 망 타이밍을 동기시킨다. 이러한 동기화는 전원을 켜는 순간 이루어지며, 동기화가 수행되면 단말기는 시스템 디터미네이션 상태에서 초기화 상태를 거쳐 대기상태로 진입한다.
단말기(210)는 대기상태에서 해당 시스템(220)의 페이징 채널로부터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계속 감시·수신하고, 발신이나 페이징 채널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필요한 경우에 접속상태로 천이한다.
접속상태에서는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트래픽을 할당받기 위하여, 접속채널을 이용하여 해당 시스템(220)으로 트래픽 할당요청(발신)을 수행한다. 이 때, 단말기(210)는 초기에 정해진 전력으로 시스템과 접속을 시도하고 접속이 되지 않으면 전력을 조금 증가시켜 다시 접속을 시도한다. 전력이 최대접속 프로브(Max Access Probe)가 될 때까지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며, 최대 접속 프로브까지 기지국의 응답이 없으면 다시 새로운 접속시도를 시작한다.
접속이 되어, 즉 시스템으로부터 트래픽을 할당받은 후에는 그 트래픽을 이용하여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음성신호, 데이터 등을 송수신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한편, 이 때, 트래픽 할당요청을 받은 시스템(220)은 상황이 여의치 않는 경우, 다른 시스템(220')으로 접속을 유도하는 서비스 리디렉션 메시지를 단말기로 전송한다.
즉, 이러한 리디렉션 메시지는 단말기의 접속을 감지한 시스템이 다른 새로운 시스템(리디렉션 시스템)으로 단말기를 리디렉션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메시지로서 메시지 내의 파라미터에는 새로운 시스템(리디렉션 시스템)의 채널 n개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리디렉션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채널을 이용하여 초기화 상태(MS Initialization State)로 천이하여, 리디렉션 시스템(220')을 선택하고 발신메시지(트래픽 할당 요청)를 리디렉션 시스템(220')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가 발신(트래픽할당요청)을 하기 전에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받지 못하거나,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고 발신을 시도하였으나 최대접속 프로브까지 트래픽을 할당받지 못한 경우의 재발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재발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 4를 참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재발신 방법을 구현하는 과정에서의 단말기 상태도이다.
도 1의 종래 단말기 상태도와 마찬가지로, 단말기 상태는 기화상태(MS Initialization State), 대기상태(MS Idle State), 접속시도상태(System Access State), 통화상태(Traffic Channel State)의 4가지로 나누어져 있으며, 상태 사이의 천이 또한 종래의 방식과 유사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서는 상태천이 ⑨에서와 같이, 최초 접속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리디렉션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리디렉션 시스템으로의 접속을 시도한 결과 발신(트래픽 할당 요청)이 실패한 경우 소정 회수만큼 재발신하는 과정이 추가되어 있다.
또한, 상태천이 ⑩과 같이 리디렉션 시스템으로부터 정상적인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계속하여 모니터링하고, 정상적인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면 대기상태로 진입하지 않고 바로 접속시도상태로 천이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리디렉션 접속 실패시 재접속방법의 전체 흐름을 도시한다.
우선, 단말기는 최초 접속 시도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리디렉션 메시지를 수신한다(S411). 이 리디렉션 메시지에는 새로이 접속할 시스템(리디렉션 시스템)의 n개의 채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 다음으로는 리디렉션 시스템의 파일럿 채널 및 동기 채널 신호를 수신하여 동기화를 수행함으로써 초기화 상태를 거쳐 대기상태로 진입한다(S412, S413). 대기상태에서는 해당 리디렉션 시스템의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감시하고 있다가,정상적으로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접속시도상태로 천이한다(S414, S418).
정상적인 페이징 채널 메시지 수신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채널 검색 리스트(Scan List)가 비어있는 지 확인하고(S415), 채널 검색 리스트가 빌 때까지 페이징 채널 감시를 계속한다(S412 내지 S416).
감시 도중에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면, 발신모드로 접속시도상태로 천이한다(S414, S418). 이 상태에서 해당 리디렉션 시스템으로 트래픽 할당요청, 즉 발신을 하고 트래픽 채널을 할당받은 경우 트래픽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S421, S424).
물론, 채널 검색 리스트가 빌때(Scan List=0)까지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초기화 상태로 전이함으로써 시스템으로의 접속시도를 모두 종료한다(S417).
한편, 발신모드의 접속시도상태에서 최대 접속 프로브(Max Access Probe)까지 도달할 때까지 트래픽을 할당받지 못한 경우에는 재발신 모드의 접속시도상태로 천이한다. 재발신 모드의 접속시도 상태에는 재발신회수가 채널수 n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발신(트래픽 할당요청)을 한다.
이러한 발신 및 재발신 과정을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해당 발신의 전력이 최대접속 프로브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여(S419), 도달한 경우에는 재발신모드로 천이하고(S422),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재발신 회수를 모니터링하여 재발신 회수가 n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420).
재발신회수가 n보다 작은 경우에는 발신에 의하여 시스템이 트래픽 채널을 할당하였는 지 판단한다(S421). 트래픽 채널을 할당받지 못한 경우에는 다시 재발신모드의 접속시도상태로 천이하여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 물론, 이 때 재발신 회수를 하나씩 증가시킨다.
재발신 회수가 n이 될 때까지 트래픽 채널을 할당받지 못한 경우에는 시스템 디터미네이션 상태로 천이함으로써 시스템 접속을 종료한다(S423).
즉, 하나의 채널에 대한 발신을 최대접속 프로브까지 수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트래픽을 할당받지 못한 경우에는, 다른 채널을 이용하여 재발신을 수행하며, 이러한 재발신은 리디렉션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채널수만큼 반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면, 서비스 리디렉션 수행중 접속이 실패한 경우 다시 처음부터 접속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해당 리디렉션 시스템으로의 재발신을 채널수만큼 반복함으로써, 접속율과 접속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이동통신 단말기가 최초 접속 시도 시스템으로부터 새로이 접속할 시스템(리디렉션 시스템)의 n개 채널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리디렉션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1 단계와,
    리디렉션 시스템의 파일럿채널 및 동기채널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초기화하는 초기화 상태에 진입하는 제 2 단계;
    리디렉션 시스템으로부터 정상적인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시스템 디터미네이션 상태에서 소정 회수만큼 리디렉션 시스템의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검색하고, 정상적인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바로 접속상태로 진입하는 제 3 단계;
    단말기가 리디렉션 시스템으로 발신하고, 최대접속 프로브(Max Access Probe)까지 리디렉션 시스템으로부터 트래픽을 할당받지 못한 경우, 상기 리디렉션 시스템의 채널수(n)만큼 접속상태에서 리디렉션 시스템으로 재발신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 의하여 트래픽을 할당받지 못하는 경우 시스템 디터미네이션 상태로 천이함으로써 시스템 접속을 종료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리디렉션 실패시의 재접속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소정회수의 검색에 의하여 해당 리디렉션 시스템의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시스템 디터미네이션 상태로 천이함으로써 시스템 접속을 종료하는 제 6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리디렉션 실패시의 재접속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후에 바로 정상적인 페이징 메시지 채널을 수신한 경우에는 제 4 단계로 바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리디렉션 실패시의 재접속방법.
KR10-2001-0076872A 2001-12-06 2001-12-06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리디렉션 실패시의 재접속방법 KR100405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872A KR100405041B1 (ko) 2001-12-06 2001-12-06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리디렉션 실패시의 재접속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872A KR100405041B1 (ko) 2001-12-06 2001-12-06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리디렉션 실패시의 재접속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658A KR20030046658A (ko) 2003-06-18
KR100405041B1 true KR100405041B1 (ko) 2003-11-07

Family

ID=2957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872A KR100405041B1 (ko) 2001-12-06 2001-12-06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리디렉션 실패시의 재접속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50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813B1 (ko) 2004-07-16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접속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794B1 (ko) 2011-07-15 2017-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통화서비스 성능저하 방지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4428A (ja) * 1997-04-22 1998-11-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Phs端末のローミングにおけるリダイレクション方法
KR19990021553A (ko) * 1997-08-30 1999-03-25 추호석 간단한 스위칭구조를 갖는 테이블의 회전장치
KR19990062532A (ko) * 1997-12-29 1999-07-26 윤종용 이동무선단말기의 호 재접속 장치 및 방법
KR20000044324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재설정 방법
EP1021056A1 (en) * 1999-01-11 2000-07-19 Lucent Technologies Inc. Signaling to support wireless service redirec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4428A (ja) * 1997-04-22 1998-11-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Phs端末のローミングにおけるリダイレクション方法
KR19990021553A (ko) * 1997-08-30 1999-03-25 추호석 간단한 스위칭구조를 갖는 테이블의 회전장치
KR19990062532A (ko) * 1997-12-29 1999-07-26 윤종용 이동무선단말기의 호 재접속 장치 및 방법
KR20000044324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재설정 방법
EP1021056A1 (en) * 1999-01-11 2000-07-19 Lucent Technologies Inc. Signaling to support wireless service redire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813B1 (ko) 2004-07-16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접속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658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7861B2 (en) Connection management for dual mode access terminals in a radio network
US9100960B2 (en) Direct transition to CELL DCH
JP4805361B2 (ja) モニタ状態からデュプレックス接続状態に遷移する遷移状態を有する無線送受信装置および方法
US6845236B2 (en) Method for concurrent multiple servi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1421946B (zh) 移动通信系统中切换时执行上行链路定时同步过程的方法和设备
WO201006205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345626B2 (en) Handover method for minimizing packet call reconnection delay time between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schemes and multi-mode terminal for the same
WO2015142083A1 (en) Network selection and random access method and apparatus of machine-type communication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A46827C2 (uk) Спосіб переведення зв&#39;язку абонентського пристрою у безпровідній системі зв&#39;язку (варіанти), спосіб роботи абонентського пристрою у цій системі та стільникова телефонна система, що забезпечує обслуговування абонентського пристрою
US7613169B2 (en) Enhancement of packet transfer mode when circuit switched resources are requested
EP3445091A1 (en) A method of operation in a dual carrier communication system
WO2006010344A1 (fr) Procede et systeme permettant a un terminal de recevoir un numero appelant a l&#39;avance
US200602596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nodes in a mesh network
US65101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acket data serv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40209621A1 (en) Base station,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base station control apparatus
KR10040504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리디렉션 실패시의 재접속방법
US7421280B2 (en) Wireless network and wireless access terminals using enhanced SYNC—ID parameter
KR100275470B1 (ko)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자원관리 프로토콜 처리 방법
KR20050080507A (ko) CDMA2000 1xEV-DO 시스템에서 세션 정보 관리 방법
JP3641414B2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KR2004002829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웃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호 셋업방법
KR100654540B1 (ko) 휴지 상태에서 호 연결없이 수행 가능한 핸드오프 방법
KR2002005320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호 단절시 자동 재접속 방법
JP2000261400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方法
KR100504523B1 (ko) 이동 스위칭 센터와 기지국 사이에 정보를 가진 경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