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4821B1 - 영상신호적응형 프레임 파트 조절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신호적응형 프레임 파트 조절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821B1
KR100404821B1 KR10-2001-0016930A KR20010016930A KR100404821B1 KR 100404821 B1 KR100404821 B1 KR 100404821B1 KR 20010016930 A KR20010016930 A KR 20010016930A KR 100404821 B1 KR100404821 B1 KR 100404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 part
value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6799A (ko
Inventor
이길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Priority to KR10-2001-0016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4821B1/ko
Publication of KR20020076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8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입력 영상정보를 구성하는 화소 데이터들의 계조값들을 미리 설정된 소정의 연산방법에 따라 연산처리하여 연산계조값을 검출하고, 검출한 연산계조값에 따라 프레임 파트 방식이 선택되면, 입력 영상정보를 구성하는 화소데이터들의 계조가 상기 선택된 프레임 파트 방식에 따라 계조범위가 상이한 복수개의 프레임 파트들로 재구현된다.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되는 기본 구조로 변환하는 입력부가 입력 영상신호를 영상신호처리부와 영상평가부에 각각 입력하면 영상신호처리부는 입력 영상신호들을 프레임별로 분할 처리하여 그 결과를 프레임 파트 처리부에 입력하고 영상평가부는 입력된 영상신호를 평균이나 분산과 같은 소정의 연산방법을 통해 입력 화소데이타의 연산계조값을 산출하여 그 결과를 프레임 파트 처리부에 출력하면 프레임 파트 처리부는 상기 영상정보평가부에서 출력한 결과값을 통해 하나의 프레임 파트 방식을 선택하고 이를 프레임 처리된 입력영상신호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입력 프레임을 구성하는 화소의 계조들을 계조범위가 상이한 프레임 파트들의 합으로서 재구현한다.

Description

영상신호적응형 프레임 파트 조절장치 및 방법{Frame Part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rresponding To Each Video Signal}
본 발명은 입력 영상정보를 구성하는 화소 데이터들의 계조값들을 미리 설정된 연산방법에 따라 연산처리하여 연산계조값을 검출하고, 검출한 연산계조값에 따라 프레임 파트 방식을 선택하여 선택한 프레임 파트 방식에 따라 입력 영상정보의 계조를 계조범위가 상이한 복수개의 프레임 파트들로 재구현하는 영상신호 적응형 프레임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유기 EL패널에 적용되고 있는 데이터 구동방식은 데이터라인과 스캔라인의 전압 차에 따라 일정한 전위차를 가지게 되면 화소가 발광하고, 발광하는 화소의 계조는 그 화소에 흐르는 전류의 양에 따라 조정된다. 즉 화소의 계조는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전류의 인가시간에 따라 조정되며 그 시간은 패널을 구성하는 화소의 계조 표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게 된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유기 EL패널이 전류 구동으로 조정되는 계조 표현을 데이터라인에 흐르는 전류의 인가 시간으로 조정함에 따라 픽셀간 계조차가 현저히 나타날 때는 상호 픽셀간의 간섭에 의해 원래의 영상정보에 포함된 계조가 표시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으며, 데이터라인과 스캔라인간에 또는 각 픽셀들간의 불안정한 전위로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된 프레임파트방식(출원번호 2000-54117)은 전체적인 계조가 포함된 프레임 하나 전체를 패널상에 구동하는 대신,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화소들의 계조를 계조 범위가 상이한 프레임(프레임 파트)들의 합으로 재구성하여 한 라인에 여러 계조가 표시될 때 생기는 픽셀간의 간섭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하지만 상기 프레임 파트 방식은 프레임을 구성하는 화소의 계조를 단순히 프레임 파트들의 합으로서 구현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입력되는 다양한 화소데이타들의 계조를 패널상에 표현할 때 발광되는 각 픽셀간의 간섭제거 효과를 일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상이한 계조범위를 가진 프레임 파트들을 합산하여 하나의 프레임을 구현하는 프레임 파트 방식을 정의하고 이 프레임 파트 방식을 각 입력 영상신호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하여 프레임 파트 처리를 일률적으로 하는 데서 발생되는 전력낭비를 줄이고, 구동되는 각 픽셀간의 간섭현상을 최소화하여 고휘도의 영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적응형 프레임 파트 조절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 적응형 프레임 파트 조절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영상정보평가부를 평균기와 분산기로 구성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적응형 프레임 파트 조절방법의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입력부 12, 30 : 영상정보평가부
11 : 영상처리부 13 : 프레임 파트 처리부
14 : 타이밍부 40 : 조정부
50 : 영상정보평가부 60 :프레임 파트 적용부
70 : 프레임 파트 테이블 80 : 타임 스탬프 발생부
90 : 타이밍 적용부 100 : 유기 EL 패널
110 : 평균검출부 120 : 분산검출부
111 : 가산기 112 : 제산기
113, 124 : 샘플기 121 : 감산기
122 : 절대치 검출부 123 : 평균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영상신호적응형 프레임 파트 조절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먼저 영상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10) ; 상기 입력부(10)가 입력한 영상신호들을 프레임별로 분할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1) ; 상기 입력부(10)가 입력한 영상신호의 화소 계조를 미리 내장된 연산장치로 연산처리하여 연산계조값을 산출하는 영상정보평가부(12) ; 미리 설정된 복수의 프레임 파트 방식들 중에서 상기 영상정보평가부(12)가 산출한 연산계조값에 따라 하나의 프레임 파트 방식을 선택하고 이를 상기 영상처리부(11)가 출력하는 프레임 단위의 영상신호에 적용하여 그 영상신호를 구성하는 화소데이타의 계조를 복수개의 프레임 파트로 재구현하는 프레임 파트 처리부(13) ; 및 상기 프레임 파트 처리부에서 구현된 프레임 파트들의 출력타이밍을 조절하여 유기 EL패널로 출력하는 타이밍부(14)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부 동작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력부(10)는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각각 영상정보 평가부(30)와 영상처리부(11)로 출력한다.
그러면 영상처리부(11)는 입력부(10)가 입력한 영상신호들을 일프레임 단위로 처리하여 이를 프레임 파트 처리부(13)에 출력하며, 영상정보 평가부(12)는 상기 입력영상정보를 구성하는 화소들의 계조들을 평균기나 분산기와 같은 연산처리장치로 연산처리하여 연산계조값을 검출하고 이를 프레임 파트 처리부(13)에 입력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 파트 처리부(13)는 상기 영상정보 평가부(12)가 출력한 연산계조값의 조합으로 하나의 프레임 파트 방식을 선택하고 그 프레임 파트 방식을 상기 영상처리부(11)가 프레임 단위로 처리한 영상신호에 적용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프레임 파트 방식은 화소데이타의 계조를 계조범위가 상이한 프레임 파트들의 합을 통해 재구현하는 방식으로 그 합산조합들이 룩업테이블(LUT)의 형태로 상기 프레임 파트 처리부(13)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논리 연산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파트 처리부(13)는 바로 이러한 프레임 파트 방식으로 상기 영상처리부가 출력한 입력 화소데이타의 계조를 프레임 파트들의 합으로 재구현하고 재구현된 프레임 파트들을 타이밍부(14)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타이밍부(14)는 상기 프레임 파트 처리부(13)를 통해 출력되는 프레임 파트들의 출력타이밍을 조절하여 이를 유기 EL패널로 출력한다.
상기 전술한 내부동작은 본 발명의 내부동작과정을 개괄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를 도 2, 도 3,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영상신호적응형 프레임 파트 조절장치의 블록구성도를, 도 3은 도 2의 영상정보평가부(12)를 구성하는 일예인 평균검출부(110)와 분산검출부(120)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영상신호 적응형 프레임 파트 조절 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되는 기본 구조로 변환하는 입력부(20)와 ; 입력 영상신호들을 프레임별 또는 라인별로 분할처리해주는 조정부(40)와 ; 상기 조정부(40)를 통해 프레임별 또는 라인별로 처리된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저장하는 영상정보 저장부(50)와 ; 하나의 프레임 파트 방식을 선택하기 위하여 입력 영상신호를 소정의 연산장치에 따라 평가하고 그 결과를 산술적인 값으로 저장하는 영상정보평가부(30)와 ; 입력영상을 평가한 결과값들을 입력받고 이들 값들의 조합으로 하나의 프레임 파트 방식을 선택하여 선택된 프레임 파트 방식을 조정부(40)를 통해 출력된 입력프레임에 적용하는 프레임 파트 적용부(60)와 ; 하나의 입력프레임을 계조들이 상이한 프레임 파트들의 합산으로 구현할 수 있는 다수개의 프레임파트 합산조합들을 각각 산술적인 값의 형태로 저장하여 상기 프레임 파트 적용부가 선택한 소정의 프레임 파트 방식에 따라 상기 입력프레임을 구현하는 소정의 프레임 파트 합산조합을 결정해 그 결과를 상기 프레임 파트 적용부로 출력하는 프레임 파트 테이블(70)과 ; 입력 프레임의 각 계조를 구현하는 프레임 파트들이 유기 EL패널에서 구동되는 시간을 조정해주는 타임 스탬프 발생기(80)와 ; 프레임 파트들이 구동되는 타이밍을 알려주는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프레임 파트들을 조정하여 유기 EL 패널로 출력하는 타이밍 적용부(90)로 구성된다.
상기 영상 정보 평가부(30)를 구성하는 연산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평균검출부(110)와 분산검출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평균검출부(110)는 입력 영상정보를 구성하는 화소데이타의 계조값과 상기 입력 영상신호와 연접한 영상정보의 평균 계조값을 입력받아 가산처리해주는 가산기(111); 상기 가산기(111)로부터 출력된 합산 계조값을 입력프레임과 상기 입력프레임에 연접하는 연접프레임을 구성하는 화소데이타들의 총 갯수로 나누는 제산기(112) ; 및 상기 제산기(112)를 통해 출력된 평균계조값을 샘플링하고 프레임 파트 적용부(60)로 출력하는 샘플기(11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분산검출부(120)는 입력 영상신호를 구성하는 화소데이타의 계조값과 상기 샘플기(113)를 통해 출력된 평균 계조값을 입력받아 감산처리하는 감산기(121) ; 상기 감산기(121)를 통해 출력된 감산값의 절대치를 구하는 절대치검출부(122) ; 상기 절대치검출부(122)에서 출력된 절대 계조값의 평균을 산출하고 그 값을 상기 프레임 파트 적용부(60)에 출력하는 평균기(123); 상기 평균기(123)에서 출력된 평균계조값을 샘플링하고 프레임 파트 적용부(60)로 출력하는 샘플기(124)로 구성된다.
이하 도 2, 도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의 내부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정부(40)는 도 4에 도시한 제 1단계(S11)에 따라 상기 입력부(20)로부터 출력된 입력 영상신호를 프레임 파트별로 처리하여 그 결과를 상기 영상정보 평가부(30)와 프레임 파트 적용부(60)에 입력한다.
또한 영상정보평가부(30)는 도 4에 도시한 제 2 단계(S12)에 따라 상기 입력부(20)로부터 출력된 입력 영상신호를 구성하는 화소계조값을 미리 설정된 소정의 연산방법에 따라 연산처리하고 그 결과를 프레임 파트 적용부(60)에 출력하여, 프레임 파트 적용부(60)가 상기 영상정보평가부(30)에서 출력된 결과에 따라 하나의 프레임 파트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입력 영상신호를 구성하는 계조를 프레임 파트의 합으로 구현할 수 있는 최적의 프레임 파트 방식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데, 여기서는 이러한 방법으로 입력 영상신호를 구성하는 화소의 계조 평균값과 산도값의 조합을 통해 하나의 프레임 파트 방식을 선택할 수 있게 하였다.
이하 도 4에 도시한 제 3 단계(S13)와 같이 영상정보평가부(30)가 화소데이타의 평균계조값과 산도값에 따라 가변 조정되는 프레임 파트 방식을 어떠한 방법을 통해 판단하는가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 영상신호를 구성하는 화소데이타의 계조값이 영상정보평가부(30)에 내장된 가산기(111)와 감산기(121)에 각기 입력되면(S11), 상기 가산기(111)로부터 입력된 화소데이타의 계조값이 제산기(112)를 통해 출력된 연접 화소 데이터들의 평균계조값과 합산되어 상기 제산기(112)로 출력되면, 제산기(112)는 입력된 합산 계조값을 화소데이타의 총갯수로 나누어 저장한 후 그 평균계조값을 샘플기(113)로 출력한다.
그러면 샘플기(113)는 입력된 화소데이타의 평균 계조값을 프레임 단위로 샘플링하고 그 결과를 프레임 파트 적용부(60)와 분산검출부(120)내의 감산기(121)로각기 출력한다.
상기 감산기(121)는 상기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된 화소 데이터의 계조값과 제산기(112)를 통해 출력된 평균계조값과의 차를 구해 그 결과를 절대치 검출부(122)로 출력하고, 절대치 검출부(122)는 상기 출력된 결과값의 절대치를 구하여 평균기(123)로 입력한다(정정요).
이에 따라 평균기(123)는 절대치 검출부를 통해 출력된 화소 데이터들의 평균계조값을 구해 프레임 파트 적용부(60)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평균기블록(110)과 분산기블록(120)으로 이루어진 영상정보평가부(30)가 평균검출부(110)에서 출력된 화소 데이터들의 평균값과 분산검출부(120)를 통해 출력된 산도값을 프레임 파트 적용부(60)로 입력하여(S13), 프레임 파트 적용부(60)가 상기 영상정보평가부로부터 입력된 화소데이타들의 평균계조값과 산도값의 조합을 통해 하나의 프레임 파트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술한 동작에 따라 제 3 단계가 종료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파트 적용부(60)는 제 4 단계(S14)에 따라 영상정보평가부로부터 전달받은 평균계조값과 산도값을 조합하여 하나의 프레임 파트 방식을 선택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0 #1 #1 #1 #1 #1 #1 #1 #1 #5 #6 #6 #7 #7 #7 #7
1 #1 #1 #1 #1 #1 #1 #1 #1 #5 #6 #6 #7 #7 #7
2 #1 #1 #1 #5 #5 #5 #5 #5 #6 #6 #6 #6
3 #2 #2 #2 #2 #2 #2 #2 #2 #2 #2
4 #2 #2 #2 #2 #2 #2 #2 #2
5 #3 #3 #3 #3 #3 #3
6 #4 #4 #4 #4
7 #4 #4
최상측행에 표시된 숫자들은 화소데이타들의 평균계조값이고, 최좌측열의 값들은 상기 화소데이타들의 산도 계조값을 정의한 것이다.
또한 표 1의 블록내의 기호는 프레임 파트 방식의 종류를 나타낸 것으로서, 예를 들면 프레임 파트 방식중의 일예로서 표현되는 "#7"은, 하나의 프레임을 일곱 개 프레임파트의 합으로서 구현하는 프레임 파트 방식의 종류를 하나의 산술적인 값으로서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1에 따라 만약 영상정보평가부(30)에서 출력된 화소데이타들의 평균계조값이 5이고, 산도값이 3일 경우에는 표 1의 블록내에 "#2"로 정의되는 프레임 파트 방식이 선택되며, 상기 프레임 파트 적용부(60)내에는 표 1의 내용이 포함된 메모리(도시하지 않음)가 이미 저장되어 있어 상기 프레임 파트 적용부가 프로세싱 과정을 정상적으로 수행 할 수 있을 것이다.
FP 1 FP 2 FP 3 FP 4
#1 0 - 15
#2 0 - 7 8-15
#3 0 - 4 5-9 10-15
#4 0 - 3 4-7 8-11 12-15
#5 0 - 10 11-15
#6 0 - 7 8-15 8-15
#7 0 - 4 5-15 5-15
최상측행(FP1 - 4)은 하나의 프레임을 구현하는 데 있어서 적용되는 프레임파트의 개수를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서는 일예로서 4개의 프레임 파트(FP1-FP4)를 통해 하나의 프레임을 구현하는 방식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표2의 최좌측열에 표시된 #1 - #7는 프레임 파트 적용 규칙을 하나의 값으로 정의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3은 상측부의 FP1과 FP2 , FP3의 합으로 하나의 프레임을 구현하는 방법을 정의한 기호이며, 표1의 블록내에 하이폰으로 연결된 숫자(예를 들면 0 -15)는 프레임 파트에 포함된 화소데이타의 계조값을 표현한 것이다.
예를 들어 프레임 파트 적용부(60)가 상기 영상정보평가부(30)에서 출력한 화소데이타들의 평균계조값과 산도값을 표 2의 조합에 따라 일선택한 "#2"는, 하나의 프레임을 두개의 프레임 파트로 구현하는 방법을 하나의 값으로 정의한 것으로서 표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화소데이타의 계조값이 0 -7 로 표현되는 FP(프레임 파트)1과, 화소 데이터의 계조값이 8-15로 표현되는 FP(프레임 파트)2의 합으로 상기 하나의 입력 프레임을 구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여기에서 상기 각 계조값들은 상기 프레임 파트에 포함된 화소 데이터를 구현하는 색상과 명도의 정도를 전기적신호로 표현한 것으로서, 여기서는 0 - 15단계로 분류된 값들이 일예로서 사용되어졌으며, 상기 프레임 파트에 따라 상이한 계조범위는 데이트 드라이브가 유기 EL패널(100)의 스캔 라인상에 데이터를 구동하기 위하여 출력하는 전류의 인가시간을 조절함으로써 그 범위를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술한 동작에 따라 프레임 파트 테이블(70)은 입력 프레임을 계조범위가 상이한 프레임 파트들을 몇 개의 합으로서 구현할 것인가를 구체적으로 결정하여 그 결과를 프레임의 순서나 혹은 영상데이타의 내용에 따라 저장하고 프레임 파트 적용부(60)로 출력한다.
그러면 프레임 파트 적용부(60)는 프레임 파트 테이블에서 출력된 결과에 따라 조정부(40))를 통해 프레임 단위로 처리된 입력 영상정보의 각 계조를 프레임파트 처리 할수 있게 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영상정보평가부(30)가 프레임 파트 방식으로 #2를 선택했을 경우 상기 프레임 파트 적용부는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조정부(40)에서 출력된 영상 프레임을 계조범위가 상이한 프레임 파트 두개의 합으로 처리하고 그 결과를 타이밍 적용부(90)로 출력하고 제 5 단계(S15)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제 5 단계(S15)가 종료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6 단계(S16)로 진행하면 유기 EL 패널을 구성하는 데이터 드라이브가 영상신호의 각 계조를 구성하는 프레임 파트를 조정하여 상기 유기EL 패널로 출력하는데 이 때 타이밍 적용부(90)는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 파트들을 타임 스탬프(80)에서 발생하는 동기신호에 따라 프레임 파트를 조정하여 데이터 드라이브로 입력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적응형 프레임 파트 조절 장치 및 방법은 입력 영상신호를 구성하는 각 화소데이타의 계조에 따라 프레임 파트 방식을 가변 조정함으로써 데이터 구동시 발생되는 인접 픽셀간의 간섭현상을 줄일 수 있고 각 픽셀간의 계조 차를 훨씬 명확히 표현할 수 있어 고휘도의 영상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체 계조를 포함하는 하나의 프레임을 일률적으로 패널상에 구동하는 방식보다 훨씬 더 효율적인 전력 소모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1)

  1. 영상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10);
    상기 입력부(10)가 입력한 영상신호들을 프레임별로 분할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1);
    상기 입력부(10)가 입력한 영상신호의 화소 계조를 미리 내장된 연산장치로 연산처리하여 연산계조값을 산출하는 영상정보평가부(12);
    미리 설정된 복수의 프레임 파트 방식들 중에서 상기 영상정보평가부(12)가 산출한 연산계조값에 따라 하나의 프레임 파트 방식을 선택하고 이를 상기 영상처리부(11)가 출력하는 프레임 단위의 영상신호에 적용하여 그 영상신호를 구성하는 화소데이타의 계조를 복수개의 프레임 파트로 재구현하는 프레임 파트 처리부(13); 및
    상기 프레임 파트 처리부(13)에서 구현된 프레임 파트들의 출력타이밍을 조절하여 유기 EL패널로 출력하는 타이밍부(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적응형 프레임 파트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영상처리부(11)는 상기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들을 프레임별 또는 라인별로 분할처리해주는 조정부(40)와;
    상기 조정부(40)를 통해 프레임별로 처리된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이를 저장하는 영상정보 저장부(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적응형 프레임 파트 조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 파트 처리부(13)는 입력영상을 평가한 연산계조값들을 입력받아 이들 값들의 조합으로 하나의 프레임 파트 방식을 선택하고 선택된 프레임 파트 방식을 조정부(40)를 통해 일프레임별로 분할 처리된 영상신호에 적용하는 프레임 파트 적용부(60)와;
    상기 프레임 파트 적용부(60)가 영상정보를 구성하는 화소데이타의 계조를 몇 개의 프레임 파트로써 구현할 것인가를 구체적으로 결정하고 그 결과를 상기 프레임 파트 적용부(60)에 출력하는 프레임 파트 테이블(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적응형 프레임 파트 조절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타이밍부(14)는 프레임 파트 적용부(60)에서 구현된 프레임 파트들이 유기 EL패널에서 구동하는 시간을 조정해주는 타임 스탬프 발생기(80)와;
    프레임 파트들이 구동되는 타이밍을 알려주는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프레임 파트들을 조정하여 유기 EL 패널로 출력하는 타이밍 적용부(9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적응형 프레임 파트 조절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 평가부(30)를 구성하는 연산장치는 입력 영상정보를 구성하는 화소 데이터의 계조값과 상기 입력영상신호와 연접한 영상정보의 평균 계조값과의 평균을 검출하는 평균검출부(110)와;
    상기 입력 영상신호를 구성하는 화소데이타의 계조값과 상기 평균검출부를 통해 출력된 평균계조값과의 산도를 구하는 분산검출부(1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적응형 프레임 파트 조절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검출부(110)는 입력 영상정보를 구성하는 화소데이타의 계조값과 입력 영상신호와 연접한 영상정보의 평균 계조값을 입력받아 가산처리해주는 가산기(111);
    상기 가산기(111)로부터 출력된 합산 계조값을 입력프레임과 상기 입력프레임과 시간중복성을 가지는 연접프레임들의 총 계조값으로 나누는 제산기(112) ; 및
    상기 제산기(112)를 통해 출력된 평균계조값을 샘플링하고 프레임 파트 적용부(60)로 출력하는 샘플기(1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적응형 프레임 파트 조절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검출부(120)는 입력 영상신호를 구성하는 화소데이타의 계조값과상기 제산기(112)를 통해 출력된 평균 계조값을 입력받아 감산처리하는 감산기(121);
    상기 감산기(121)를 통해 출력된 감산값의 절대치를 구하는 절대치검출부(122); 및
    상기 절대치검출부(122)에서 출력된 절대 계조값과 샘플기(113)에서 출력된 평균계조값과의 평균을 산출하고 그 값을 상기 프레임 파트 적용부(60)에 출력하는 평균기(123);
    상기 평균기(123)에서 출력된 분산값을 샘플링하여 프레임 파트 적용부(60)로 출력하는 샘플기(124)로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적응형 프레임 파트 조절 장치.
  8. 영상신호를 입력하는 제 1 단계(S11);
    상기 제 1 단계(S11)에서 입력된 영상정보를 일프레임단위로 분할처리하는 제 2 단계(S12);
    상기 제 1 단계(S11)에 따라 입력된 영상정보를 구성하는 화소데이타의 계조들을 연산처리방법으로 연산계조값을 생성하는 제 3 단계(S13);
    상기 제 3 단계(S13)에서 생성된 연산계조값들의 조합으로 계조범위가 상이한 프레임 파트들의 합으로 각 화소데이타의 계조를 구현하는 복수의 프레임 파트 방식들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제 4 단계(S14);
    상기 제 2 단계(S12)에서 일프레임단위로 분할처리된 입력 영상정보들의 각화소 계조를 상기 제 4 단계(S14)에서 일선택한 프레임 파트 방식에 적용하는 제 5 단계(S15); 및
    상기 제 5 단계(S15)에서 적용하는 프레임 파트 방식에 따라 상기 제 2 단계에서 일프레임단위로 처리된 화소데이타들의 계조를 복수개의 프레임 파트로 재구현하여 이를 출력하는 제 6 단계(S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적응형 프레임 파트 조절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S13)에서의 연산처리방법은 영상정보를 구성하는 화소 데이터들의 계조 평균값, 분산값, 편차값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상의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적응형 프레임 파트 조절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S14)를 통해 선택되는 프레임 파트 방식은 상기 제 3단계에서 산출되는 연산계조값의 조합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적응형 프레임 조절방법.
  11. 제 8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계조값의 조합은 산출되는 평균값, 분산값, 편차값중에서 둘 이상의 값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적응형 프레임 조절방법.
KR10-2001-0016930A 2001-03-30 2001-03-30 영상신호적응형 프레임 파트 조절장치 및 방법 KR100404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930A KR100404821B1 (ko) 2001-03-30 2001-03-30 영상신호적응형 프레임 파트 조절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930A KR100404821B1 (ko) 2001-03-30 2001-03-30 영상신호적응형 프레임 파트 조절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799A KR20020076799A (ko) 2002-10-11
KR100404821B1 true KR100404821B1 (ko) 2003-11-07

Family

ID=2769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930A KR100404821B1 (ko) 2001-03-30 2001-03-30 영상신호적응형 프레임 파트 조절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48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753B1 (ko) 2005-06-10 2014-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799A (ko) 200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14449A1 (zh) 屏幕亮度的控制方法、装置及终端设备
KR101608856B1 (ko) 디밍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US8711172B2 (en) Dither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70047808A1 (en)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supporting brightness enhancement and power control and method thereof
KR101132069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1343957A (ja) 液晶表示装置
KR102307501B1 (ko) 광학 보상 시스템 및 광학 보상 방법
KR100806056B1 (ko) 더블 라인 서브 필드 어드레싱을 이용하여디스플레이들에서 에러들을 감소시키는 방법
KR101126349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로드이펙트 보상장치
KR10042002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계조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0863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458593B1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어드레스 데이터 자동 전력 제어방법과 장치, 그 장치를 갖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장치
JP2001154631A (ja) Pdpにおける階調制御方法及び装置
KR20200026421A (ko) 잔상 보상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0869656B1 (ko) 서브-필드에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유닛
KR100404821B1 (ko) 영상신호적응형 프레임 파트 조절장치 및 방법
KR20030066511A (ko) 동영상 신호의 실시간 밝기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6860143A (zh) 一种图像显示处理方法及装置
KR100403698B1 (ko) 다계조 화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US93054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 display device with variable reference driving signals
KR20050116074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40227712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same
KR100484540B1 (ko) 단일 오차확산 적용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pdp)에서의 계조 재현 및 의사윤곽 저감 방법
KR20030020210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계조 의사윤곽을 저감하기 위한오차확산방법
KR20050111271A (ko) 하프톤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