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3474B1 - Device for alerting change point of time of rope for safety device - Google Patents

Device for alerting change point of time of rope for safet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3474B1
KR100403474B1 KR10-2001-0002538A KR20010002538A KR100403474B1 KR 100403474 B1 KR100403474 B1 KR 100403474B1 KR 20010002538 A KR20010002538 A KR 20010002538A KR 100403474 B1 KR100403474 B1 KR 100403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control signal
alarm
replacement time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5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61663A (en
Inventor
김효승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안전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안전공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안전공단
Priority to KR10-2001-0002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3474B1/en
Publication of KR20020061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6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474B1/en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장소에서 작업을 하는 도중에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대의 수명을 예측하여 교체시기를 경보하는 안전대의 로프 교체시기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pe replacement timing alarm device for warning the replacement time by predicting the life of the safety belt to prevent the fall while working in a high place.

본 발명은 높은 장소의 작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안전대의 로프에 대한 절단이나 파손상태를 감지하여 교체시기를 경보하기 위해, 안전대의 로프 교체시기 경보장치에 있어서, 로프와 함께 꼬아져 있으며 상기 로프가 안전범위 이상 늘어짐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전선과, 상기 로프에 꼬아져 있는 전선의 절단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절단상태 감지신호를 받아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경보제어신호에 의해 램프 점멸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발진부와, 상기 발진부로부터 램프 점멸제어신호를 받아 램프를 점멸시키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보제어신호를 받아 경보음을 발생하는 부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the cutting or broken state of the rope of the safety belt used in the workplace of the high place, in order to alert the replacement time of the safety rope rope replacement time, twisted together with the rope and the rope is safe A control unit that detects a cutting state of the wire twisted on the rope, a wire that is installed to detect a sag over a range, 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a cutting state detection signal from the detection unit, and outputs an alarm control signal; An oscillator for outputting a lamp flash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n alarm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a display unit for receiving a lamp flashing control signal from the oscillator and flashing the lamp, and a buzzer for receiving an alarm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and generating an alarm sound. It is characterized by.

Description

안전대의 로프 교체시기 경보장치{DEVICE FOR ALERTING CHANGE POINT OF TIME OF ROPE FOR SAFETY DEVICE}DEEPICE FOR ALERTING CHANGE POINT OF TIME OF ROPE FOR SAFETY DEVICE}

본 발명은 안전대의 로프교체 시기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은 장소에서 작업을 하는 도중에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대의 수명을 예측하여 교체시기를 경보하는 안전대의 로프 교체시기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pe replacement time alarm device of the harnes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pe replacement time alarm device for warning the replacement time in anticipation of the life of the harness to prevent the fall during work in a high place.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안전대는 벨트식과 안전그네식이 있으며, 이는 등급에 따라 1종부터 5종까지 있으며, 사용구분에 따라 U자걸이 전용, 1개걸이 전용, 1개걸이와 U걸이 공용, 안전블록, 추락방지대로 구분된다. 그런데 안전대는 건설현장의 고소작업이나 난간 등이나 전봇대 등에서 전선작업을 하는 추락의 위험성이 있는 작업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the safety belts used in the industrial field are belt type and safety swing type, which ranges from 1 to 5 types depending on the grade, and depending on the use type, U-hook only, 1-hook only, 1-hook and U-hook common, It is divided into safety block and fall prevention. However, safety belts are used at work sites where there is a risk of falling from working at heights of construction sites, handrails, and power poles.

이러한 종래의 안전대는 안전벨트에 고정되어 있는 로프가 끊어지면 추락의 위험이 발생하게 되는데, 추락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육안으로 절단 및 파손되었는지 확인하고 사용하기 때문에 로프(ROPE)가 늘어나 있음에도 불구하고 육안으로 식별이 곤란하여 로프가 절단되어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This conventional harness causes the risk of falling when the rope fixed to the seatbelt is broken, despite the fact that the rope is extended because it is checked and used to visually cut and break to prevent the risk of falling. And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with the naked eye, there was a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occurs because the rope is cut off.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높은 장소의 작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안전대의 로프에 대한 절단이나 파손상태를 감지하여 교체시기를 경보하는 안전대의 로프 교체시기 경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pe replacement time alarm device for alarming the replacement time by detecting a cutting or broken state of the rope used in the work place in a high plac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대의 외형도1 is an external view of a safety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대 로프 교체시기 경보장치의 블록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safety belt rope replacement time alarm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구체회로도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진부(26)의 동작 파형도4 is an operation waveform diagram of the oscillator 26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안전벨트 12: 고정부10: seat belt 12: fixing part

14: 로프 16: 전선14: rope 16: wire

18: 연결고리 20: 감지부18: linkage 20: detector

22: 증폭부 24: 제어부22: amplifier 24: controller

26: 발진부 28: 표시부26: oscillation unit 28: display unit

30: 부저30: buzz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전대의 로프 교체시기 경보장치에 있어서, 로프와 함께 꼬아져 있으며 상기 로프가 안전범위 이상 늘어짐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전선과, 상기 로프에 꼬아져 있는 전선의 절단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절단상태 감지신호를 받아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경보제어신호에 의해 램프 점멸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발진부와, 상기 발진부로부터 램프 점멸제어신호를 받아 램프를 점멸시키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보제어신호를 받아 경보음을 발생하는 부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ope replacement time alarm device of the safety bel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wire is twisted together with the rope and installed to detect the rope is stretched over the safety range, and the cutting of the wire twisted on the rope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state,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cutting state detection signal from the detection unit, and outputting an alarm control signal, an oscillator for outputting a lamp blink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alarm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and the oscillation unit from the And a display unit for blinking a lamp in response to a lamp blinking control signal and a buzzer for generating an alarm sound upon receiving an alarm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대의 외형도이다.1 is an external view of a safety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작업자의 몸체에 착용하기 위한 안전벨트(10)와, 상기 안전벨트(10)상에 로프(14)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2)와, 상기 고정부(12)에 연결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로프(14)와, 상기 로프(14)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12)나 작업현장에 설치된 지지대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고리(1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프(14)는 제조할 시 전선(16)과 함께 꼬아서 만들게 되고 전선(16)의 꼬임 횟수가 적게되어 있다. 전선(16)의 꼬임 횟수가 적게되는 것은 로프(16)가 일정범위 이상 늘어났을 경우 전선(16)이 먼저 절단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안전벨트(10)의 양측에는 로프(14)의 교체시기를 알려주기 위한 제1 및 제2 램프(LED1, LED2)가 부착되어 있으며, 제1 램프(LED1)의 우측부분에 부저(30)가 부착되어 있다.Safety belt 10 for wearing on the body of the worker, a fixing part 12 for fixing the rope 14 on the seat belt 10, a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12 to the fall of the worker Rope 14 to be prevented, a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rope 14 is composed of a connecting ring 18 for fixing to the fixing portion 12 or the support installed in the workplace. The rope 14 is made by twisting together with the wire 16 at the time of manufacture and the number of twisting of the wire 16 is less. The number of twists of the wires 16 is reduced so that the wires 16 are cut first when the rope 16 is stretched by a predetermined range or more. Both sides of the seat belt 10 are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lamps (LED1, LED2) for informing the replacement time of the rope 14, the buzzer (30)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lamp (LED1) Is attach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대 로프 교체시기 경보장치의 블럭구성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safety belt rope replacement time war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선(16)과 함께 꼬아져 있으며 작업 시 지지대에 고정시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하는 로프(14)와, 상기 로프(14)에 꼬아져 있는 전선(16)중 한 라인은 전지(BA1)와 연결되고 다른 한 라인은 접지와 연결되어 상기 전선(16)이 단선되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로프(14)의 절단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20)와, 상기 로프(16)내에 꼬아져 있는 전선(16)은 감지부(20)의 전지(BA1)에 한 라인이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 라인은 감지부(20)의 접지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감지부(2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하는 증폭부(22)와, 상기 증폭부(22)로부터 증폭된 신호를 받아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4)와, 상기 제어부(24)로부터 출력된 경보제어신호에 의해 램프 점멸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발진부(26)와, 상기 발진부(26)로부터 램프 점멸제어신호를 받아 램프를 점멸시켜 로프의 교체시기를 표시하는 표시부(28)와, 상기 제어부(24)로부터 경보제어신호를 받아 경보음을 발생하는 부저(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선(14)의 상부측라인은 감지부(20)의 전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라인이고, 상기 전선(14)의 하부측라인은 감지부(20)의 접지와 연결되는 라인이 된다.One line of the wire 14 twisted together with the wire 16 and fixed to a support to prevent a worker from falling, and the wire 16 twisted on the rope 14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BA1. The other line is connected to the ground, and when the wire 16 is disconnected, no current flows, so that the sensing unit 20 detects a cutting state of the rope 14 and a wire twisted in the rope 16. One line 16 is connected to the battery BA1 of the sensing unit 20 and the other line is connected to the ground of the sensing unit 20. An amplifier 22 for amplifying the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or 20 to a predetermined level, a controller 24 for receiving an amplified signal from the amplifier 22 and outputting an alarm control signal, and the controller ( An oscillator 26 for outputting a lamp flash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alarm control signal outputted from 24), and a display unit 28 for indicating a replacement time of the rope by receiving a lamp blinking control signal from the oscillator 26 to flash the lamp; And a buzzer 30 that receives an alarm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4 and generates an alarm sound. The upper side line of the wire 14 is a line to which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of the sensing unit 20, and the lower side line of the wire 14 is a line connected to the ground of the sensing unit 2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구체회로도이다.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로프(14)는 전선(16)이 함께 꼬아져 있고 전선(16)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있다. 감지부(20)는 전지(BA1)로부터 전원을 전선(16)으로 공급하기 위한 저항(R1)과, 상기 전선(16)이 단선될 시 스위칭 동작을 하여 전선(16)의 단선상태를 감지하는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되어 있고, 증폭부(22)는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가 베이스로 연결되고, 에미터가 접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1)로부터 출력된 단선상태감지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스터(Q2)로 이루어져 있다. 제어부(24)는 다이오드(D1)의 양단에 코일(L1)이 접속되고 상기 코일(L1)의 전류흐름에 따라 공통단자(COM)와 노말오픈단자(NO)가 연결되며, 상기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시 공통단자(COM)와 노말크로스(NC)단자가 연결되도록 스위칭 선택하는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로 구성된 릴레이(RY1)로 구성되어 있다. 부저(30)는 제2스위치(SW2)의 공통단자(COM)에 연결되어 릴레이(RY1)의 노말오픈단자(NC)로 공통단자(COM)가 연결될 시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음을 발생한다. 표시부(28)는 전지(BA1)에 상기 릴레이(RY1)의 제1스위치(SW1)의 공통단자(COM)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제1 및 제2 램프(LED1, LED2)로 구성되어 있다. 발진부(26)는 상기 제1 램프(LED1)에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 접속된 저항(R2)과,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가 접지되어 있고,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 연결되어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연결된 캐패시터(C1)와, 상기 릴레이(RY1)의 제1스위치(SW1)의 공통단자(COM)와 상기 캐패시터(C1)와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의 접속노드에 연결된 저항(R3)과, 상기 제2 램프(LED2)에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에 접속된 저항(R5)과,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가 접지되어 있고,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에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로 연결된 캐패시터(C2)와, 상기 릴레이(RY1)의 제2스위치(SW1)의 공통단자(COM)와 상기 캐패시터(C2)와 트랜지스터(Q3)의 접속노드에 연결된 저항(R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지(BA1)는 본 고안의 로프(14)의 절단상태를 검출하여 로프(14)의 교체시기를 경보하기 위한 장치에 전원(예를들어 9V)을 공급한다.The rope 14 is such that the electric wires 16 are twisted together and a current flows through the electric wires 16. The sensing unit 20 detects a disconnection state of the wire 16 by switching a resistor R1 for supplying power to the wire 16 from the battery BA1 and when the wire 16 is disconnected. A transistor Q1, the amplifier 22 having a collector of the transistor Q1 connected to a base, and having an emitter grounded to amplify the disconnection state detection signal outputted from the transistor Q1 ( It consists of Q2). The control unit 24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diode (D1) coil (L1), the common terminal (COM) and the normal open terminal (NO) is connected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flow of the coil (L1), the current to the coil It is composed of a relay (RY1) consisting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SW1, SW2) for switching selection so that the common terminal (COM) and the normal cross (NC) terminal is connected when not flowing. The buzzer 30 is connected to the common terminal COM of the second switch SW2, and when the common terminal COM is connected to the normal open terminal NC of the relay RY1, power is supplied to generate an alarm sound. The display unit 28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lamps LED1 and LED2 connected to the battery BA1,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ommon terminal COM of the first switch SW1 of the relay RY1. The oscillator 26 has a resistor R2 connected to the first lamp LED1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transistor Q3, and an emitter of the transistor Q3 being grounded, and the collector of the transistor Q3. A capacitor C1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4, a common terminal COM of the first switch SW1 of the relay RY1, and a connection of the capacitor C1 and the base of the transistor Q4. The resistor R3 connected to the node, the resistor R5 connected to the second lamp LED2 and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transistor Q4, and the emitter of the transistor Q4 are grounded, and the transistor ( The capacitor C2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Q4 and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3, the common terminal COM of the second switch SW1 of the relay RY1, the capacitor C2, and the transistor Q3. It consists of a resistor (R1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battery BA1 supplies a power supply (for example, 9V) to the device for detecting the cutting state of the rope 14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 alarming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rope 1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진부(26)의 동작 파형도이다.4 is an operation waveform diagram of the oscillator 26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1 to 4, the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1과 같은 안전대를 착용하여 사용하는 경우 전지(BA1)로부터 저항(R1)을 통해 전선(16)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로 인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는 저전위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는 턴오프 상태가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되면 릴레이(RY1)의 코일(L1)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제1 및 제2스위치(SW1, SW2)의 공통단자(COM)가 노말크로스단자(NC)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부저(30)와 발진부(28)이 동작하지 않는다.First, when the user wears the safety belt as shown in FIG. 1, current flows from the battery BA1 to the wire 16 through the resistor R1. As a result, a low potential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1, and the transistor Q1 is turned off. When the transistor Q1 is turned off, no current flows through the base of the transistor Q2, and the transistor Q2 is turned off. When the transistor Q2 is turned off, no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L1 of the relay RY1, so that the common terminal COM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SW1 and SW2 is connected to the normal cross terminal NC. Since the buzzer 30 and the oscillator 28 do not operate.

그러나 로프(14)를 작업현장의 지지대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도중에 로프(14)가 늘어나 로프(14)에 감겨진 전선(14)이 단선되는 경우 감지부(20)는 이를 감지한다. 즉, 전지(BA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저항(R1)을 통해 전선(14)으로 흐르다가 전선(16)이 단선되면 전류가 흐르지 않고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인가된다. 이로인해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 트랜지스터(Q2)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트랜지스터(Q2)는 증폭작용을 한다. NPN형이 트랜지스터(Q2)의 증폭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베이스에는 아무것도 접속하지 않고 에미터에 전원의 -전압을 연결하고, 콜렉터에는 전원의 +전압을 가하고 있다. 이때 콜렉터의 부하저항을 Rc라하면, 콜렉터의 전자와 베이스의 정공은 PN접합에 대해 역방향 전압을 가한 것이므로 전류는 거의 흐르지 않는다. 다음에 베이스에 부하저항 Rb를 통해 +전압을 접속하면 에미터의 전자는 베이스의 +전압에 의해 베이스와 에미터의 전위장벽을 뛰어 넘어 베이스이 정공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므로 베이스전류 Ib가 흐른다. 그런데 트랜지스터(Q2)의 접합에서 베이스는 극히 얇게 만들었기 때문에 이때 에미터의 전자는 에미터의 전자와 함계 콜렉터의 +전압에 의해 이동을 시작하여 에미터와 콜렉터 사이가 전류가 통하는 상태가 되어 콜렉터 전류 Ic가 흐르게 된다. 또 베이스는 매우 얇기 때문에 베이스 안에 존재하는 정공 수가 매우 적어 에미터의 전자는 베이스의 정공쪽으로 이동하는 것보다는 콜렉터의 +전압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압도적으로 많게 된다. 이 때문에 베이스 전류 Ib모다는 콜렉터전류 Ic가 크며 약 10 내지는 200배 정도에 이른다. 콜렉터 전류 Ic와 베이스 전류 Ib의 비를 전류증폭률이라하고 다고 같은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However, when the rope 14 is stretched and used while connecting the rope 14 to the support of the work site, the sensing unit 20 detects this when the wire 14 wound on the rope 14 is disconnected. That is,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BA1 flows to the wire 14 through the resistor R1, and when the wire 16 is disconnected, no current flows and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1. As a result, the transistor Q1 is turned on. When the transistor Q1 is turned on, a current flows in the transistor Q2, and the transistor Q2 amplifies. When the NPN type explains the amplifying action of the transistor Q2, nothing is connected to the base, the negative voltage of the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emitter, and the positive voltage of the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collector. At this time, if the load resistance of the collector is Rc, the electrons of the collector and the holes of the base apply a reverse voltage to the PN junction, so the current hardly flows. Next, when the + voltage is connected to the base through the load resistor Rb, the electron of the emitter jumps over the potential barrier of the base and the emitter by the + voltage of the base, and the base current Ib flows because the base starts to move toward the hole. However, since the base is made extremely thin at the junction of the transistor Q2, the electrons of the emitter start to move by the + voltage of the emitter electrons and the collector together, and the current flows between the emitter and the collector. Current Ic flows. Also, because the base is so thin, the number of holes in the base is so small that the electrons in the emitter are overwhelmingly moving toward the collector's + voltage rather than toward the base. For this reason, the base current Ib modal has a large collector current Ic and reaches about 10 to 200 times. The ratio of the collector current Ic and the base current Ib can be expressed by the same equation as that of the current amplification factor.]

즉, 약간의 베이스 전류로 큰 콜렉터 전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전류를 바꿈으로써 콜렉터 전류의 크기를 증감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 large collector current can be obtained with a slight base current. 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magnitude of the collector current by changing the base current.

이렇게 하여 트랜지스터(Q2)의 증폭작용이 이루어지면 전지(BA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릴레이(RY1)의 코일(L1)을 통해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에미터를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어 릴레이(RY1)는 제1 및 제2스위치(SW1, SW2)의 공통단자(COM)와 노말오픈단자(NO)로 연결된다. 따라서 배터리(BA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부저(30)와 발진부(26) 및 표시부(16)로 공급된다. 상기 발진부(26)는 비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로 구형파 발진기로 동작한다. 발진부(26)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도 4a와 같이 t=0되는 시점에서 저항(R4)과 캐패시터(C2)에 의한 시정수에 의해 캐패시터(C2)에 충전이 되기 시작하고, 저항(R3) 및 캐패시터(C1)에 의한 시정수에 의해 도 4b와 같이 캐패시터(C1)가 방전하기 시작하여 트랜지스터(Q3)는 턴오프되고 트랜지스터(Q4)는 턴온된다. 이때 제1램프(LED1)는 턴오프되고, 제2램프(LED2)는 턴온된다.When the amplification action of the transistor Q2 is performed in this wa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BA1 flows to the ground through the collector and emitter of the transistor Q2 through the coil L1 of the relay RY1, and the relay RY1. ) Is connected to the common terminal COM and the normal open terminal NO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SW1 and SW2. Accordingly,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BA1 is supplied to the buzzer 30, the oscillator 26, and the display unit 16. The oscillator 26 operates as a square wave oscillator as an unstable multivibrator.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oscillator 26, at the time t = 0 as shown in FIG. 4A, the capacitor C2 begins to be charged by the time constants of the resistor R4 and the capacitor C2, and the resistors R3 and Due to the time constant by the capacitor C1, the capacitor C1 starts to discharge as shown in FIG. 4B, so that the transistor Q3 is turned off and the transistor Q4 is turned on. At this time, the first lamp LED1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lamp LED2 is turned on.

그리고 캐패시터(C2)가 충전을 시작하여 -Vcc에서 0V가 도달되면 도 4c와 같이 캐패시터(C2)는 방전하기 시작하고, 캐패시터(C1)는 방전을 시작하여 0V에서 -Vcc가 도달되면 도 4d와 같이 방전하기 시작하므로 트랜지스터(Q3)는 턴온되고, 트랜지스터(Q4)는 턴 오프된다. 이때 제1램프(LED1)는 턴온되고, 제2램프(LED2)는 턴 오프된다. 이러한 동작이 저항(R4) 및 캐패시터(C2)와 저항(R3) 및 캐패시터(C1)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에 의해 주기적으로 제1 및 제2램프(LED1, LED2)가 교대로 점멸된다. 이러한 시정수는 각각 지연시간을 결정하고 그 값은 서로 같지 않아도 되며, 발진주파수(F)는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타낼 수 있다When the capacitor C2 starts charging and reaches 0V at -Vcc, the capacitor C2 starts to discharge as shown in FIG. 4C, and the capacitor C1 starts to discharge and when -Vcc is reached at 0V, as shown in FIG. 4D. The transistor Q3 is turned on and the transistor Q4 is turned off since the discharge starts together. At this time, the first lamp LED1 is turned on and the second lamp LED2 is turned off. This operation causes the first and second lamps LED1 and LED2 to alternately flash periodically due to the visibility determined by the resistor R4 and the capacitor C2 and the resistor R3 and the capacitor C1. Each of these time constants determines a delay time and the values do not have to be equal to each other, and the oscillation frequency F can be expressed by Equation 2 below.

따라서 안전대의 벨트 좌우측에 설치된 제1 및 제2 램프(LED1, LED2)가 교대로 점멸하게 되어 작업자에게 로프(14)를 교체하기 위한 시기를 알려 준다.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lamps LED1 and LED2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elt of the safety belt alternately flash to inform the worker when to replace the rope 14.

이와 동시에 릴레이(RY1)의 제2스위치(SW2)의 공통단자(COM)와 노말오픈단자(NO)가 연결되면 안전벨트(10)에 부착되어 있는 부저(30)에서는 경보음을 발생하여 작업자에 로프(14)를 교체하기 위한 시기를 알려 준다.At the same time, when the common terminal COM and the normal open terminal NO of the second switch SW2 of the relay RY1 are connected, the buzzer 30 attached to the seat belt 10 generates an alarm sound to the operator. Informs when to replace the rope (1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전대의 로프가 안전범위 이상 늘어날 경우 로프에 감겨진 전선이 단선되도록 하여 그 전선의 단선을 감지하여 로프의 교체시기를 경보하므로써 추락으로 인한 인명사고 및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wire wound on the rope to be disconnected when the rope of the safety belt is extended beyond the safety range, thereby detecting the disconnection of the wire and thus warning the replacement time of the rope to prevent personal accident and economic loss due to the fall. The benefits are effective.

Claims (3)

안전대의 로프 교체시기 경보장치에 있어서,In the rope replacement timing alarm of the harness, 로프와 함께 꼬아져 있으며 상기 로프가 안전범위 이상 늘어질 때 판단되도록 설치된 전선과,A wire twisted with a rope and installed to judge when the rope extends beyond a safe range; 상기 로프에 꼬아져 있는 전선의 절단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cutting state of the wire twisted in the rope, 상기 감지부로부터 절단상태 감지신호를 받아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cutting state detection signal from the detection unit and outputs an alarm control signal;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경보제어신호에 의해 램프 점멸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발진부와,An oscillator for outputting a lamp blinking control signal by an alarm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상기 발진부로부터 램프 점멸제어신호에 의해 점멸되어 로프의 교체시기를 표시하는 복수의 램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의 로프 교체시기 경보장치.Rope replacement time alarm device of the safety bel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amps flashing by the lamp flashing control signal from the oscillation unit to indicate the replacement time of the rop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보제어신호를 받아 경보음을 발생하는 부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의 로프 교체시기 경보장치.And a buzzer for receiving an alarm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to generate an alarm sound.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릴레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의 로프 교체시기 경보장치.The control unit is a rope replacement time alarm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as a relay.
KR10-2001-0002538A 2001-01-17 2001-01-17 Device for alerting change point of time of rope for safety device KR1004034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538A KR100403474B1 (en) 2001-01-17 2001-01-17 Device for alerting change point of time of rope for safet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538A KR100403474B1 (en) 2001-01-17 2001-01-17 Device for alerting change point of time of rope for safety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238U Division KR200241970Y1 (en) 2001-01-17 2001-01-17 Device for alerting change point of time of loop for safet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663A KR20020061663A (en) 2002-07-25
KR100403474B1 true KR100403474B1 (en) 2003-11-12

Family

ID=27691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538A KR100403474B1 (en) 2001-01-17 2001-01-17 Device for alerting change point of time of rope for safet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347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281A (en) 2013-12-18 2015-06-26 (주)반도옵티칼 Interchangeable lens eyeglasses
KR20200124380A (en) 2019-04-24 2020-11-03 손진균 Sunglasses with easy design chang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983B1 (en) * 2023-05-09 2023-10-05 김창순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afety signals for three-effect type smart telephone pole seat belts composed of piezoelectric power generation, safety signal sound, and wear resista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07081A (en) * 1988-02-13 1989-08-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Column safety band with removal-proof buzzer
KR19990026200U (en) * 1997-12-19 1999-07-15 홍종만 Vehicle crack detection and alarm
JPH11267237A (en) * 1998-03-23 1999-10-05 Daiwa House Ind Co Ltd Automatically warning device and safety band for work
KR200241970Y1 (en) * 2001-01-17 2001-09-29 한국산업안전공단산업안전보건연구원 Device for alerting change point of time of loop for safet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07081A (en) * 1988-02-13 1989-08-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Column safety band with removal-proof buzzer
KR19990026200U (en) * 1997-12-19 1999-07-15 홍종만 Vehicle crack detection and alarm
JPH11267237A (en) * 1998-03-23 1999-10-05 Daiwa House Ind Co Ltd Automatically warning device and safety band for work
KR200241970Y1 (en) * 2001-01-17 2001-09-29 한국산업안전공단산업안전보건연구원 Device for alerting change point of time of loop for safet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281A (en) 2013-12-18 2015-06-26 (주)반도옵티칼 Interchangeable lens eyeglasses
KR20200124380A (en) 2019-04-24 2020-11-03 손진균 Sunglasses with easy design chan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663A (en) 200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4321A (en) Power supply circuit with load protection function
US5351037A (en) Refrigerant gas leak detector
EP129877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suppressing a parallel arc fault
US7733078B2 (en) Self-test probe design &amp; method for non-contact voltage detectors
US5436427A (en) Welding control unit power supply
JP2014530106A (en) Real-time inductance monitoring in power supply for welding and fusing
KR101820162B1 (en) Precise detection system for series arc
KR100403474B1 (en) Device for alerting change point of time of rope for safety device
EP0387837A2 (en) Externally discernible power supply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KR200241970Y1 (en) Device for alerting change point of time of loop for safety device
CA2286514C (en) Improvements relating to monitoring apparatus for electrical circuits
JP2000030158A (en) Signal transmission device provided with removal detection head
JP6744183B2 (en) Ground fault current detector
JPS62127173A (en) Abnormality detecting method for electrode of plasma torch, or the like
KR200196952Y1 (en) Circuit breaker
JP4339668B2 (en) Breaker
KR100240695B1 (en) Automatic alarming device for rescue
KR100497515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insulation of a motor
JP2004336887A (en) Circuit protector
KR200291216Y1 (en) Earth Leakage Breaker having function for displaying power trouble
JP2724564B2 (en) Overvoltage alarm device
JP3223365B2 (en) Terminator for fire alarm track monitoring
JP2564716B2 (en) Safety monitoring device
KR100285924B1 (en) Personnel leakage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US4047234A (en) Low voltage protection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