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794B1 - An ink-jet printer having an apparatus for drying ink - Google Patents

An ink-jet printer having an apparatus for drying i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794B1
KR100402794B1 KR10-2001-0055009A KR20010055009A KR100402794B1 KR 100402794 B1 KR100402794 B1 KR 100402794B1 KR 20010055009 A KR20010055009 A KR 20010055009A KR 100402794 B1 KR100402794 B1 KR 100402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rinting
carriage assembly
air
head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0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21646A (en
Inventor
우원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5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794B1/en
Publication of KR20030021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16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794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41J11/00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41J11/00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 B41J11/002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using convection means, e.g. by using a fan for blowing or suck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001Mechanisms for bodily moving print heads or carriage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는 용지급지 장치부에서 급지되는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 장치부와, 이송장치부에 의해 이송된 용지에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헤드를 이송 및 지지하기 위한 헤드캐리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부와, 용지의 받침대 역할을 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인쇄 장치부에서 인쇄된 용지를 배출시키는 용지 배출부를 포함하며, 인쇄를 위해 헤드캐리지 어셈블리가 이동하려는 방향으로 개방된 입구를 갖는 공기 흡입부, 용지가 놓여 있는 베이스 프레임 방향으로 개방된 출구를 갖는 공기 배출부, 및 공기 흡입부와 공기 배출부를 연결하는 연결통로부로 구성된 최소한 하나의 잉크 건조 장치를 헤드캐리지 어셈블리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잉크 건조장치가 헤드캐리지 어셈블리에 설치되어 있음으로, 헤드캐리지 어셈블리가 인쇄를 위해 이동 할때 헤드캐리지 어셈블리가 이동하는 속도에 의해 용지의 인쇄 부분쪽으로 공기가 분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쇄된 용지가 건조되며, 인쇄후 잉크의 건조시간을 단축시켜 고속인쇄가 가능 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An inkjet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ing device unit for conveying paper fed from the paper feeder unit, and a head carriage assembly for transporting and supporting a print head for printing on the paper conveyed by the conveying device unit. An air inlet including a printing device portion, a base frame serving as a support for the paper, and a paper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printed paper from the printing device portion, and having an opening ope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ead carriage assembly is to move for printing. And at least one ink drying device comprising an air outlet having an outlet open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frame on which the paper is placed, and a connection passage connecting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to the head carriag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k drying apparatus is installed in the head carriage assembly, air can be ejected toward the printing portion of the paper by the speed at which the head carriage assembly moves when the head carriage assembly moves for printing. As a result, the printed paper is dried, and the printing time is shortened after printing, thereby enabling high speed printing.

Description

잉크건조 장치를 갖는 잉크젯 프린터{An ink-jet printer having an apparatus for drying ink}An ink-jet printer having an apparatus for drying ink}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후 잉크의 건조시간을 단축 시켜 고속인쇄가 가능 하도록 하기 위한 잉크 건조장치를 갖는 잉크젯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jet prin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kjet printer having an ink drying apparatus for shortening the drying time of ink after printing to enable high speed printing.

일반적으로, 컴퓨터 사용자는 컴퓨터로 작성한 데이타나 파일을 프린터로 인쇄함으로써 문서화 하며, 이렇게 데이타나 파일을 문서화 하는 데에는 여러 종류의 프린터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잉크젯 프린터는 카트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잉크를 가열함으로서 발생하는 기포가 노즐을 통하여 일정한 형태로 용지에 분사 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In general, computer users document computer-generated data or files by printing them to a printer, and various types of printers are used to document the data or files. For example, an inkjet printer performs a print job by causing bubbles generated by heating ink stored in a cartridge to be sprayed onto a sheet in a predetermined form through a nozzle.

이와 같은 종래의 잉크젯 프린터(10)는 도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P)가 적재되는 용지 급지 장치부(20), 용지 급지 장치부(20)로부터 용지를(P)를 이송하는 이송 장치부(30), 이송 장치부(30)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P)에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인쇄 장치부(40), 인쇄 장치부(40)에서 인쇄된 용지(P)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지 배출부(60)로 구성된다.The conventional inkjet printer 10 transfers the paper P from the paper feeder unit 20 and the paper feeder unit 20 on which the paper P is loaded,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rinting device unit 40 for performing a printing operation on the paper P conveyed by the conveying device unit 30, the paper P printed by the printing device unit 40, and the like. It consists of a paper discharge unit 60 for discharging.

이러한 잉크젯 프린터(10)의 동작을 살펴 보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 급지 장치부(20)에 록업스프링(21)에 의해 탄력 지지된 상태로 적재된 용지(P)는 픽업 롤러(22)에 의해 픽업된 후에 이송 장치부(30)로 공급된다. 그런 다음, 용지(P)는 이송장치부(30)의 피드 롤러(31)와 프릭션 롤러(32)의 회전에 의해 인쇄 장치부(40)로 이송된다. 이렇게 이송 장치부(30)로부터 인쇄 장치부(40)로 용지(P)가 이송되면, 헤드캐리지 어셈블리 구동모터(45)가 작동되어 벨트(43)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인쇄 장치부(40)의 헤드캐리지 어셈블리의 헤드 캐리지(46)에 장착된 인쇄헤드(41)는 캐리지 샤프트(42)를 따라, 좌, 우로 이동 하면서 이송 장치부(30)에서 이송된 용지(P) 위에 잉크를 분사함으로써 데이타를 인쇄 한다. 인쇄 헤드(41)의 노즐(41a)로 부터 분사되는 잉크에 의해 데이타가 인쇄되는 용지(P)는 베이스 프레임(50) 위에서 점차적으로 이동하여 용지 배출부(60)에 도달 한 후에 배지 롤러(61)와 스타형 휠(62)를 통하여 배출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kjet printer 10, as shown in Fig. 2, the paper P loaded in the state of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lock-up spring 21 in the paper feeder unit 20 is a pickup roller ( It is picked up by 22) and then supplied to the conveying device section 30. Then, the paper P is conveyed to the printing apparatus section 40 by the rotation of the feed roller 31 and the friction roller 32 of the conveying section 30. When the paper P is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device unit 30 to the printing device unit 40, the head carriage assembly driving motor 45 is operated to drive the belt 43. Accordingly, the print head 41 mounted on the head carriage 46 of the head carriage assembly of the printing device unit 40 is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device unit 30 while moving left and right along the carriage shaft 42. Data is printed by spraying ink on the paper P. FIG. The paper P on which data is printed by ink sprayed from the nozzle 41a of the print head 41 gradually moves on the base frame 50 to reach the paper discharge section 60, and then the discharge roller 61 And the star wheel 62 are discharged.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잉크젯 프린터(10)는 용지(P)에 문서를 인쇄 하기 위해 잉크를 용지(P) 위에 분사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먼저 출력된 용지(P)의 잉크가 완전히 마르기 전에 뒤에 인쇄된 용지(P)를 출력하게 되면, 앞에 출력된 용지(P)에 인쇄된 내용이 뒤에 출력된 용지(P)에 의해 겹쳐짐으로써 손상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잉크젯 프린터(10)는 잉크 성분에 대한 꾸준한 개선작업에도 불구하고 열전사 방식 프린터와 달리 인쇄후 소정시간 동안 잉크를 건조하는 작업이 필요 하였으며, 이것은 고속인쇄 및 인쇄속도 향상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inkjet printer 10 uses a method of spraying ink onto the paper P in order to print a document on the paper P. When outputting the printed paper (P),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ents printed on the paper (P) that is output in front of it may be damaged by overlapping by the paper (P) that is output later. Therefore, the conventional inkjet printer 10, unlike the thermal transfer printer in spite of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 ink composition, it was necessary to dry the ink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printing, which is a stumbling block to high-speed printing and print speed improvement It is becoming.

이와 같은 인쇄내용 손상 및 건조작업의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같이,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 배출구 근처에 가드(63)를 배치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또 다른 잉크젯 프린터(10')가 제안 되었다. 이 프린터(10')의 가드(63)는 바로 뒤에 출력되는 용지(P)가 앞에 출력된 용지(P) 위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 그 다음 차례의 용지(P)가 출력될 때까지 용지(P)를 경사진 상태로 지지한다. 가드(63)에 경사진 상태로 얹혀 있던 용지(P)는 다음 차례의 용지(P)가 출력될 때 그 힘에 의해 바로 앞에 출력된 배출 트레이(64)내의 용지(P) 위에 떨어지게 된다.Another inkjet printer using a method of arranging the guard 63 near the paper outlet of the inkjet printer, as shown in Figs. 10 ') has been proposed. The guard 63 of this printer 10 'is placed until the next sheet of paper P is output so that the sheet of paper P that is output immediately afterwards does not directly touch the sheet of paper P that has been output. Support P) in an inclined state. The paper P placed on the guard 63 in an inclined state falls on the paper P in the discharge tray 64 output just before it by the force when the next paper P is output.

이러한 종래의 잉크젯 프린터(10')는, 한페이지의 내용이 인쇄되는 시간동안 출력된 용지(P)들의 상호 겹침을 지연함으로써 인쇄내용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는 어느정도 달성할 수 있었으나, 잉크를 자연건조에 의존하여 수동적으로 건조함으로써 프린터의 성능을 개선하여 고속인쇄를 시현하려는 경우 저속 건조로 인해 인쇄속도를 일정율 이상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과, 잉크가 돌발적으로 과도하게 분사되는 경우와 같이 한페이지가 인쇄되는 동안 출력된 용지의 잉크가 완전히 마르지 않는 경우에는 여전히 인쇄 내용의 손상이 나타 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Such a conventional inkjet printer 10 ', by delaying the mutual overlap of the output paper P during the time that the contents of one page is printed to some extent can achieve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printed contents, but the ink is natural In order to achieve high speed printing 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printer by manually drying depending on drying, the printing speed cannot be improved more than a certain rate due to the low speed drying, and one page may be lost, such as when the ink is suddenly excessively sprayed. If the ink on the printed paper does not dry completely during print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int content may still appear damag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인쇄후 잉크의 건조시간을 단축 시켜 고속인쇄가 가능 하도록 하기 위한 잉크 건조장치를갖는 잉크젯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kjet printer having an ink drying apparatus for shortening the drying time of ink after printing to enable high speed print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쇄후 인쇄된 용지의 겹침에 의한 인쇄내용 손상을 방지 할 수 있는 잉크건조 장치를 갖는 잉크젯 프린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kjet printer having an ink dry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to printing contents due to overlapping of printed sheets after prin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의 물리적 또는 전기적 힘이나 에너지의 공급없이 헤드캐리지 어셈블리가 인쇄를 위해 이동하는 힘만으로 동작하는 잉크건조 장치를 갖는 잉크젯 프린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kjet printer having an ink drying apparatus which operates only by the force that the head carriage assembly moves for printing without supplying external physical or electrical force or energy.

도 1은 종래의 잉크젯 프린터의 요부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a conventional inkjet printer.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잉크젯 프린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FIG. 2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kjet printer shown in FIG. 1. FIG.

도 3a 및 도 3b는 인쇄후 인쇄된 용지의 겹칩에 의한 인쇄내용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guard)를 설치한 또 다른 종래의 잉크젯 프린더의 부분 사시도.3A and 3B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of another conventional inkjet printer provided with a guard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print contents by the stacking of printed sheets after printing.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요부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an inkjet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잉크젯 프린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FIG. 5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k jet printer shown in FIG. 4. FIG.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잉크젯 프린터의 헤드캐리지 어셈블리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d carriage assembly of the inkjet printer shown in FIG.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헤드캐리지 어셈블리의 잉크건조 장치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k drying apparatus of the head carriage assembly shown in FIG.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헤드캐리지 어셈블리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 carriage assembly of an ink jet prin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100: 잉크젯 프린터 20: 용지급지 장치부10, 100: inkjet printer 20: paper feed unit

30: 이송 장치부 40: 인쇄 장치부30: transfer unit 40: printing unit

41: 인쇄헤드 42: 캐리어 샤프트41: printhead 42: carrier shaft

43: 밸트 45: 헤드캐리지 어셈블리 구동모터43: belt 45: head carriage assembly drive motor

46: 헤드캐리지 48: 캐리어샤프트 수용부46: head carriage 48: carrier shaft receiving portion

50: 베이스 프레임 60: 용지 배출부50: base frame 60: paper exit

63: 가드 72: 이송지지부63: guard 72: feed support

80, 80': 잉크건조 장치 81, 81': 공기 흡입부80, 80 ': ink drying apparatus 81, 81': air intake

82, 82': 연결통로부 83, 83': 공기 배출부82, 82 ': connecting passage 83, 83': air exhaust

90, 90': 헤드캐리지 어셈블리90, 90 ': head carriage assembl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잉크 건조 장치를 갖는 잉크젯 프린터는 용지 급지 장치부에서 급지되는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 장치부와, 이송장치부에 의해 이송된 용지에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헤드를 이송 및 지지하기 위한 헤드캐리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부와, 용지의 받침대 역할을 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인쇄 장치부에서 인쇄된 용지를 배출시키는 용지 배출부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헤드캐리지 어셈블리는, 외부의 물리적 또는 전기적 힘이나 에너지의 공급없이 헤드캐리지 어셈블리가 인쇄를 위해 이동 할때 헤드캐리지 어셈블리가 이동하는 힘만을 이용하여 인쇄 헤드에 의해 인쇄된 용지의 인쇄 부분쪽으로 공기를 발생하도록 하는 최소한 하나의 잉크 건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nkjet printer having an ink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printing on the paper conveyed by the conveying device unit and the conveying device unit for conveying the paper fed from the paper feeder unit An inkjet printer comprising a printing device unit including a head carriage assembly for transporting and supporting a print head, a base frame serving as a support for the paper, and a paper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paper printed from the printing device unit. The head carriage assembly draws air toward the print portion of the paper printed by the print head using only the force that the head carriage assembly moves when the head carriage assembly moves for printing without supplying external physical or electrical forces or energy. Comprising at least one ink drying means for generating Gong.

본 발명의 양호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건조 수단은 인쇄를 위해 헤드캐리지 어셈블리가 이동하려는 방향으로 개방된 입구를 갖는 공기 흡입부, 용지가놓여 있는 베이스 프레임 방향으로 개방된 출구를 갖는 공기 배출부, 및 공기 흡입부와 공기 배출부를 연결하는 연결통로부를 갖는 공기 가속통로로 구성된다. 공기 가속통로는 공기 흡입부에서 공기 배출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공기 가속통로는 헤드캐리지 어셈블리가 인쇄를 위해 좌,우 양방향으로 이동 할때 좌,우 양방향 모두에서 동일한 잉크건조 효과를 얻기 위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된 두개의 공기 가속통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 가속통로는 잉크건조 속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공기 흡입부, 연결통로부 및 공기 배출부 중 최소한 한곳에, 바람직 하기로는 공기 배출부내에 열선으로 구성된 히터를 설치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k drying means includes an air inlet having an inlet ope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ead carriage assembly is to move for printing, and an air outlet having an outlet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frame on which the paper is placed. And an air acceleration passage having a connection passage connecting the air intake and the air outlet. The air acceleration passage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area tha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air inlet to the air outlet. Optionally, the air accelerator passages may consist of two air accelerator passages staggered in opposite directions to achieve the same ink drying effect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the head carriage assembly moves in both directions for printing. Can be. In addition, the air accelerator passage may be provided with a heater consisting of a hot wire in at least one of the air intake, the connecting passage and the air discharge, preferably in the air discharge to improve the ink drying spe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 건조수단은 인쇄 헤드에 의해 인쇄된 용지의 인쇄 부분쪽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팬과, 헤드캐리지 어셈블리가 인쇄를 위해 좌,우 이동 할때 발생하는 직선운동의 힘을 회전운동으로 바꿔 송풍팬에 전달하여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회전운동 변환장치와, 헤드캐리지 어셈블리의 좌,우 이동중 한 방향의 직선운동만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래칫장치로 구성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k drying means includes a fan for blowing air toward the printing portion of the paper printed by the print head, and the force of linear motion generated when the head carriage assembly moves left and right for printing. It is composed of a rotational motion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vement to a blowing fan to rotate the blowing fan, and a ratchet device for converting only linear motion in one direction dur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ead carriage assemb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일치하는 잉크 건조장치를 갖는 잉크젯 프린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전체 도면에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n inkjet printer having an ink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the entire drawing,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prior ar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100)는 용지(P)가 적재되는 용지 급지 장치부(20)와, 용지 급지 장치부(20)에서 급지되는 용지(P)를 이송하는 이송 장치부(30)와, 이송 장치부(30)에 의해 이송된 용지(P)에인쇄를 수행하는 인쇄 장치부(40)와, 용지(P)의 받침대 역할을 하는 베이스 프레임(50)과, 인쇄 장치부(40)에서 인쇄된 용지(P)를 배출시키는 용지 배출부(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inkjet prin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per feeder unit 20 on which paper P is loaded, and a paper P fed from the paper feeder unit 20. ), A conveying device unit 30 for conveying), a printing device unit 40 for printing on the paper P conveyed by the conveying device unit 30, and a base frame serving as a support for the paper P. 50 and a paper discharge unit 60 for discharging the paper P printed by the printing device unit 40.

인쇄 장치부(40)는 인쇄헤드(41)를 이송 및 지지 하도록 캐리어 샤프트(42)에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헤드캐리지 어셈블리(도 6; 90)와, 헤드캐리지 어셈블리(90)를 좌,우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배후 프레임에 길이 방향으로 두개의 톱니바퀴형 휠에 의해 맞물려 있는 밸트(43)와, 밸트(43)를 구동하기 위해 위의 두개의 톱니바퀴형 휠 중의 하나와 연결된 헤드캐리지 어셈블리 구동모터(45)로 구성된다.The printing device unit 40 includes a head carriage assembly (FIG. 6; 90) and a head carriage assembly 90 arranged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on the carrier shaft 42 so as to transport and support the print head 41. FIG. Connected with one of the two cog wheels above to drive the belt 43 and the belt 43 engaged by the two cog whee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rear frame for transfer in the right direction. The head carriage assembly is composed of a drive motor 4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헤드(41)를 이송 및 지지하기 위한 헤드캐리지 어셈블리(90)는 인쇄헤드(41)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헤드 캐리지(46)와, 헤드 캐리지(46)의 양측면 및 배후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여 용지(P)의 인쇄된 부분(B) 쪽으로 분사하기 위한 잉크건조 장치(80)와, 잉크건조 장치(80) 배후에 배치되어 헤드 캐리지(46)와 잉크건조 장치(80)를 지지하는 헤드캐리지 어셈블리 이송지지부(72)로 이루어 진다. 여기서, 헤드캐리지(46)와 잉크건조 장치(80)는 도면에서 별도로 결합,구성되는 것으로 예시 하였지만,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6, the head carriage assembly 90 for transporting and supporting the print head 41 includes a head carriage 46 and a head carriage 46 having a shape capable of receiving the print head 41. An ink drying device 80 arranged to surround both sides and the rear surface of the ink delivery device, and disposed behind the ink drying device 80 to inhale air and spray it toward the printed portion B of the paper P. 46 and the head carriage assembly transfer support portion 72 for supporting the ink drying apparatus (80). Here, the head carriage 46 and the ink drying apparatus 80 are illustrated as separately coupled and configured in the drawing, but may be formed integrally.

헤드캐리지 어셈블리 이송지지부(72)는, 헤드캐리지 어셈블리(90)가 캐리어 샤프트(4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캐리어샤프트(42) 수용하기 위한 캐리어샤프트 수용부(48)와, 헤드캐리지 어셈블리(90)를 이송 하도록 밸트(43)의 내면에 형성된 톱니부와 맞물리는 톱니부(75)와, 배후 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헤드캐리지 지지랙(73)을 따라 헤드캐리지 어셈블리(90)가 지지 및 이동 할 수 있도록 헤드 캐리지 지지랙(73)의 하향 돌출단부를 수용 지지하는 홈(74)을 포함한다.The head carriage assembly conveying support 72 includes a carrier shaft accommodating portion 48 for accommodating the carrier shaft 42 so that the head carriage assembly 90 can move along the carrier shaft 42, and the head carriage assembly 90. The head carriage assembly 90 is supported and moved along the tooth portion 75 engaged with the tooth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lt 43 and the head carriage support rack 73 disposed longitudinally in the rear frame to convey the And a groove 74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the downwardly protruding end of the head carriage support rack 73.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건조 장치(80)는, 인쇄를 위해 헤드캐리지 어셈블리(90)가 밸트(42)를 구동하는 헤드캐리지 어셈블리 구동모터(45)에 의해 이송될 때 공기를 흡입하도록 헤드캐리지 어셈블리(90)가 이동하려는 방향(A)으로 개방된 입구(81a)를 갖는 공기 흡입부(81)와, 공기 흡입부(81)를 통해 흡입한 공기를 용지(P)의 인쇄된 부분(B)쪽으로 분사하도록 용지(P)가 놓여 있는 베이스 프레임(50) 방향으로 개방된 출구(83a)를 갖는 공기 배출부(83)와, 공기 흡입부(81)와 공기 배출부(83)를 연결하는 연결통로부(82)로 구성된다. 잉크건조 장치(80)는 외부의 물리적인 힘이나 에너지의 공급없이 헤드캐리지 어셈블리(90)가 인쇄를 위해 이동 할때 헤드캐리지 어셈블리(90)가 이동하는 속도에 의하여 공기를 흡입하며, 이 흡입력을 이용하여 인쇄헤드(41)에 의해 인쇄된 용지의 인쇄 부분(B)쪽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잉크를 건조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잉크건조 장치(80)는 공기 배출부(8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최대한 높이기 위하여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라 공기 흡입부(81)에서 공기 배출부(83)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단면적을 갖는 혼(horn) 형태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공기 배출부(83)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의 속도, 즉 잉크건조 효율은 헤드캐리지 어셈블리(90)의 이동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더욱 높아지므로, 종래기술의 잉크젯 프린터에서와 같이 잉크건조 속도에 따른 인쇄속도의 제약없이 본 발명의 잉크젯프린터는 고속인쇄가 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ink drying apparatus 80 is configured to supply air when the head carriage assembly 90 is transported by the head carriage assembly driving motor 45 which drives the belt 42 for printing. The air suction part 81 having the inlet 81a opened in the direction A to which the head carriage assembly 90 is to move, and the air sucked through the air suction part 81 of the paper P An air exhaust portion 83 having an outlet 83a open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frame 50 on which the paper P is placed to eject toward the printed portion B, the air intake portion 81 and the air exhaust portion ( 83 is composed of a connecting passage portion 82 for connecting. The ink drying apparatus 80 sucks air by the speed at which the head carriage assembly 90 moves when the head carriage assembly 90 moves for printing without supplying external physical force or energy. And blows air toward the printing portion B of the paper printed by the printhead 41 to dry the ink. The ink drying apparatus 80 has a cross-sectional area tha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air inlet 81 to the air outlet 83 according to Bernoulli's theorem in order to maximize the speed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83.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o have a horn form. At this time, the speed of the air injected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83, that is, the ink drying efficiency is higher the faster the moving speed of the head carriage assembly 90, the ink drying speed as in the prior art inkjet printer The inkjet pr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high speed printing without restriction of the printing speed.

잉크건조 속도를 배가하기 위하여, 잉크건조 장치(80)는 공기 흡입부(81)에 열선으로 구성된 히터(91)를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히터(91)는 예시의 편의를 위해 공기 흡입부(81)에 설치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열효율적 측면에서는 용지(P)의 인쇄부분에 직접적인 열을 부가하도록 연결통로부(82), 특히 공기 배출부(83)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터(91)의 양단은 전선 등을 통하여 인쇄 헤드(41)에 전원을 인가하는 헤드접속 패턴부(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In order to double the ink drying speed, the ink drying apparatus 80 may install a heater 91 composed of hot wires in the air suction unit 81. In this embodiment, the heater 91 is illustrated as being installed in the air intake 81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but in terms of thermal efficiency, the connection passage 82 to add direct heat to the printing portion of the paper (P)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install in the air outlet 83. Both ends of the heater 91 are connected to a head connection pattern portion (not shown) for applying power to the print head 41 through electric wires or the like.

또한, 잉크건조 장치(80)는 도 6 에서는 하나로만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캐리지 어셈블리(90')가 인쇄를 위해 좌.우 양방향으로 이동할 때 좌.우 양방향 모두에서 동일한 잉크건조 효과를 얻기 위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된 두개의 잉크 건조장치(80, 80')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두개의 잉크 건조장치(80, 80')의 설치 형태는 도 8도에 도시한 구조로 한정되지 않으며, 인쇄 헤드(41)를 장착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는 어떠한 구조로도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ink drying apparatus 80 is illustrated as being composed of only one in FIG. 6, as shown in FIG. 8, the left and right bidirectional directions when the head carriage assembly 90 ′ moves left and right for printing. In order to obtain the same ink drying effect in all, it may be constituted by two ink drying apparatuses 80 and 80 'staggered in opposite directions. 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form of the two ink drying apparatuses 80, 80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 8, and may be configured in any structur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unting of the print head 41.

선택적으로, 잉크건조 장치(80, 80')는 각각 잉크건조 속도를 배가하기 위해 공기 흡입부(81, 81'), 연결통로부(82, 82') 및 공기 배출부(83, 83') 중 최소한 한곳에 열선으로 구성된 히터를 설치할 수 있다.Optionally, the ink drying apparatuses 80 and 80 'respectively include air intakes 81 and 81', connecting passages 82 and 82 'and air discharge portions 83 and 83' to double the ink drying speed. At least one of the heaters may be installed as a heating wire.

여기서 한가지 주목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건조 장치(80)가 혼(horn) 형태의 공기 가속통로로 구성되는 것으로만 설명하였지만, 그것은 헤드캐리지 어셈블리(90)에 설치되어 인쇄 헤드(41)에 의해 인쇄된 용지의 인쇄 부분(B)쪽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팬과, 프린터의 베이스 프레임 또는 배후 프레임등과 연동 설치되어 헤드캐리지 어셈블리(90)가 인쇄를 위해 좌,우 이동 할때 발생하는 직선운동의 힘을 회전운동으로 바꿔 송풍팬에 전달하여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랙과 피니언과 같은 회전운동 변환장치와, 헤드캐리지 어셈블리(90)의 좌,우 이동중 한 방향의 직선운동만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래칫장치 등으로 이루어진 공기 발생 또는 가속장치로도 구성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One thing to note here is that in this embodiment, the ink drying device 80 is described only as being composed of an air acceleration passage in the form of a horn, but it is installed in the head carriage assembly 90 and is provided by the print head 41. Installed in conjunction with a fan that blows air toward the printing part (B) of the printed paper, and the base frame or the rear frame of the printer, the linear motion generated when the head carriage assembly 90 moves left and right for printing. Rotational motion converters such as racks and pinions that rotate the blower fan by transferring the force to the blower fan, and converting only linear motion in one direction during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ead carriage assembly 90 into the rotational fa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can also be configured as an air generating or accelerating device consisting of a device or the like.

지금부터,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100)의 동작을 도 4, 도5, 도 6 및 도 7 에 도시한 잉크 건조장치(8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ink jet prin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nk drying apparatus 80 shown in FIGS. 4, 5, 6 and 7.

컴퓨터에서 작성된 데이터를 문서화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인쇄 명령을 내리면, 프린터(100)의 용지 공급부(20)에 적재된 용지(P)가 픽업 롤러(22)에 의해 픽업되게 되고, 이에 따라 피드 롤러(31)와 프릭션 롤러(32)의 회전하는 압력에 의해 앞쪽으로 피딩된다.In order to document the data created on the computer, when the user issues a print command, the paper P loaded in the paper feed section 20 of the printer 100 is picked up by the pickup roller 22, and thus the feed roller ( 31 and fed forward by the rotating pressure of the friction roller 32.

이렇게 용지(P)가 피딩되면, 헤드 캐리지 어셈블리 구동모터(45)가 구동되어, 밸트(43)가 좌,우로 이동된다. 밸트(43)가 좌,우로 구동됨에 따라 밸트(43)의 내면 톱니부에 맞물린 헤드캐리지 어셈블리 이송지지부(72)의 톱니부(75)에 의해 헤드캐리지 어셈블리(90)가 구동되고, 이 헤드캐리지 어셈블리(90)에 장착된 인쇄헤드(41)는 좌,우로 왕복이동 하면서 용지(P)에 잉크를 분사하여 인쇄를 수행한다. 이때, 헤드캐리지 어셈블리(90)의 잉크건조 장치(80)는 헤드캐리지 어셈블리(90)가 도 6의 화살표 방향(A)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그속도에 따라 넓은 공기 흡입부(8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좁아진 공기 배출부(83)을 통해 용지의 인쇄된 부분(B)으로 공기를 가속 분사하게 된다. 이에따라, 인쇄 헤드(41)에 의해 인쇄된 용지부분(B)의 잉크는 인쇄 헤드(41)에 의해 인쇄되는 즉시 공기 배출부(8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건조된다. 특히, 공기 배출부(83)에 히터(91)를 장착한 경우나, 양방향 모두에서 공기를 흡입/배출 할 수 있도록 두개의 잉크건조 장치(80, 80')을 엇갈리게 배치한 경우에는 잉크의 건조 속도가 더욱 빨라지며, 완전한 건조가 이루어 진다.When the paper P is fed in this way, the head carriage assembly driving motor 45 is driven to move the belt 43 left and right. As the belt 43 is driven left and right, the head carriage assembly 90 is driven by the teeth 75 of the head carriage assembly conveying support 72 engaged with the inner surface teeth of the belt 43, and the head carriage is driven. The print head 41 mounted on the assembly 90 performs printing by spraying ink onto the paper P while reciprocating left and right. At this time, the ink drying apparatus 80 of the head carriage assembly 90, when the head carriage assembly 9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of Figure 6 according to the speed through the wide air intake 81 (81) The air is accelerated and injected into the printed portion B of the paper through the air outlet portion 83 which is inhaled and narrowed. Accordingly, the ink of the paper portion B printed by the print head 41 is dried by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section 83 immediately after being printed by the print head 41. In particular, when the heater 91 is attached to the air outlet 83 or when the two ink drying apparatuses 80 and 80 'are alternately arranged to intake / exhaust air in both directions, the ink is dried. Faster and complete drying.

이와 같이, 인쇄된 용지(P)는 잉크가 건조된 상태로 용지 배출부(60)의 스타형 휠(62)과 배지 롤러(61)를 통해 배출된다.In this way, the printed paper P is discharged through the star wheel 62 and the discharge roller 61 of the paper discharge unit 60 while the ink is dri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터 장치는 인쇄후 잉크의 건조시간을 단축 시켜 고속인쇄가 가능하도록 할 뿐아니라 인쇄후 인쇄된 용지의 겹침에 의한 인쇄 내용의 손상을 방지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kjet print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horten the drying time of the ink after printing to enable high-speed printing and can also prevent the damage of the print contents due to the overlapping of the printed paper after printing.

또한,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터 장치는 외부의 물리적 또는 전기적 힘이나 에너지의 공급없이 헤드캐리지 어셈블리가 인쇄를 위해 이동하는 힘만으로 인쇄된 부분을 건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inkjet printe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ry the printed portion only by the force that the head carriage assembly moves for printing without supplying external physical or electrical force or energy.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위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사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

Claims (6)

용지 급지 장치부에서 급지되는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 장치부와, 이송장치부에 의해 이송된 용지에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 헤드를 이송 및 지지하기 위한 헤드캐리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부와, 용지의 받침대 역할을 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인쇄 장치부에서 인쇄된 용지를 배출시키는 용지 배출부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터에 있어서,A printing device section including a conveying device section for conveying paper fed from the paper feeding device section, a head carriage assembly for transporting and supporting a print head for printing on the paper conveyed by the conveying device section, and An inkjet printer comprising a base frame serving as a pedestal and a paper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printed paper from the printing device unit, 상기 헤드캐리지 어셈블리는 인쇄를 위해 이동 할 때 상기 인쇄 헤드에 의해 인쇄된 용지의 인쇄 부분쪽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인쇄를 위해 상기 헤드캐리지 어셈블리가 이동하려는 방향으로 개방된 입구를 갖는 공기 흡입부, 용지가 놓여 있는 베이스 프레임 방향으로 개방된 출구를 갖는 공기 배출부, 및 상기 공기 흡입부와 상기 공기 배출부를 연결하는 연결통로부를 구비하는 공기 가속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건조 장치를 갖는 잉크젯 프린터.The head carriage assembly has an air inlet, paper having an opening that is ope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ead carriage assembly is intended to move for printing, so as to discharge air toward the printing portion of the paper printed by the print head when moving for printing. An ink jet printer having an ink drying apparatus comprising an air discharge portion having an outlet opening in a direction of the base frame in which the light is placed, and a connection passage connecting the air suction portion and the air discharge portion. .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가속통로는 공기 흡입부에서 공기 배출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건조 장치를 갖는 잉크젯 프린터.The inkjet printer having an ink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acceleration passage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ing from the air inlet to the air outlet. 제 1항 또는 제 3항 에 있어서, 상기 공기 가속통로는 헤드캐리지 어셈블리가 인쇄를 위해 좌,우 양방향으로 이동 할 때 좌,우 양방향 모두에서 동일한 잉크건조 효과를 얻기 위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된 두개의 공기 가속통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건조 장치를 갖는 잉크젯 프린터.The air accelerator of claim 1 or 3, wherein the air accelerator passages are staggered in opposite directions to achieve the same ink drying effect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the head carriage assembly moves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for printing. An inkjet printer having an ink dry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two air acceleration passage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가속통로는 잉크건조 속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공기 흡입부, 연결통로부 및 공기 배출부 중 최소한 한곳에 히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건조 장치를 갖는 잉크젯 프린터.5. An inkjet printer having an ink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air accelerator passage is provided with a heater at at least one of the air inlet, the connecting passage, and the air outlet to increase the ink drying speed. 용지 급지 장치부에서 급지되는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 장치부와, 이송장치부에 의해 이송된 용지에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 헤드를 이송 및 지지하기 위한 헤드캐리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부와, 용지의 받침대 역할을 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인쇄 장치부에서 인쇄된 용지를 배출시키는 용지 배출부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터에 있어서,A printing device section including a conveying device section for conveying paper fed from the paper feeding device section, a head carriage assembly for transporting and supporting a print head for printing on the paper conveyed by the conveying device section, and An inkjet printer comprising a base frame serving as a pedestal and a paper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printed paper from the printing device unit, 상기 헤드캐리지 어셈블리에 설치되고 상기 인쇄 헤드에 의해 인쇄된 용지의 인쇄 부분쪽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A blowing fan installed in the head carriage assembly and blowing air toward a printing portion of the paper printed by the print head;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랙;A rack installed in the base frame; 상기 헤드캐리지 어셈블리가 인쇄를 위해 좌, 우 이동할 때 발생하는 직선 운동의 힘을 회전운동으로 바꾸어 상기 송풍팬에 전달하도록, 상기 랙과 맞물림과 동시에 상기 헤드캐리지 어셈블리에 설치된 상기 송풍팬과 연결된 피니언; 및A pinion connected to the blower fan installed in the head carriage assembly simultaneously with the rack to transfer the force of the linear motion generated when the head carriage assembly moves left and right for printing to the blower fan by converting the force into a rotational motion; And 상기 헤드캐리지 어셈블리의 좌, 우 이동중 한방향의 직선운동만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상기 피니언에 설치된 래칫부를 구비하는 공기 발생 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건조 장치를 갖는 잉크젯 프린터.And an air generating device portion having a ratchet portion installed in the pinion so as to convert only linear movement in one direction dur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head carriage assembly.
KR10-2001-0055009A 2001-09-07 2001-09-07 An ink-jet printer having an apparatus for drying ink KR1004027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009A KR100402794B1 (en) 2001-09-07 2001-09-07 An ink-jet printer having an apparatus for drying 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009A KR100402794B1 (en) 2001-09-07 2001-09-07 An ink-jet printer having an apparatus for drying i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646A KR20030021646A (en) 2003-03-15
KR100402794B1 true KR100402794B1 (en) 2003-10-22

Family

ID=27722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009A KR100402794B1 (en) 2001-09-07 2001-09-07 An ink-jet printer having an apparatus for drying i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79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164B1 (en) * 2005-07-20 2007-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drying device, and drying method
KR100981138B1 (en) * 2008-05-07 2010-09-10 주식회사 디지아이 Heater and digital printing machine therewith
KR200450176Y1 (en) * 2008-05-07 2010-09-09 주식회사 디지아이 Heating divice of head in Digital Printing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1749A (en) * 1985-11-08 1987-05-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k jet recorder
KR960020754U (en) * 1994-12-30 1996-07-18 Inkjet printer
JP2001232761A (en) * 2000-02-21 2001-08-28 Duplo Seiko Corp Stencil printing machine with ink drying system
US6283590B1 (en) * 1999-10-04 2001-09-04 Xerox Corporation Liquid ink printer including a non-scorching dryer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1749A (en) * 1985-11-08 1987-05-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k jet recorder
KR960020754U (en) * 1994-12-30 1996-07-18 Inkjet printer
US6283590B1 (en) * 1999-10-04 2001-09-04 Xerox Corporation Liquid ink printer including a non-scorching dryer assembly
JP2001232761A (en) * 2000-02-21 2001-08-28 Duplo Seiko Corp Stencil printing machine with ink dry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646A (en) 200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1012B2 (en) inkjet printer
JP5079730B2 (en) Printing system and method for decurling cut sheet print media for ink jet printing
JP2003285427A (en) Inkjet printer
JP4550618B2 (en) Inkjet recording device
JP2010240867A6 (en) Printing system
WO2011024727A1 (en) Drying device and printer
JPWO2017221628A1 (en) Droplet discharge device
KR100402794B1 (en) An ink-jet printer having an apparatus for drying ink
JP4142345B2 (en) Inkjet recording device
JP7206799B2 (en) printer
JP2013086457A (en) Printing apparatus and sheet drying apparatus
JP2005161814A (en) Inkjet image forming device
JP6297987B2 (en) RECORDING MEDIUM CONVEYING DEVICE AND IMAGE RECORDING DEVICE
JP2010000711A (en) Printer
WO2018235437A1 (en) Transporting device, dr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KR100412496B1 (en) paper-discharging system of an inkjet printer
CN219382002U (en) Coloring printer
JP2000108325A (en) Ink jet imaging system
JPH10193722A (en) Ink jet printer
JP4597812B2 (en) Printer
US20240034075A1 (en) Printing device
US20200298593A1 (en) Inkjet printer
JPH10193580A (en) Ink jet printer
JP2004001328A (en) Inkjet recorder
JPH10217439A (en) Ink jet pr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