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684B1 - Steering Torque Detecter For Power Steering Wheel - Google Patents

Steering Torque Detecter For Power Steering Whe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684B1
KR100402684B1 KR10-2001-0014192A KR20010014192A KR100402684B1 KR 100402684 B1 KR100402684 B1 KR 100402684B1 KR 20010014192 A KR20010014192 A KR 20010014192A KR 100402684 B1 KR100402684 B1 KR 100402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haft
input shaft
power
tor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1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74520A (en
Inventor
홍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카테크
Priority to KR10-2001-0014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684B1/en
Publication of KR20020074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5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684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축이나 조향링크에 전동모터 등으로 토오크를 부가하여 운전자가 조향휠을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의 전동식 조향장치에 있어서 조향휠로부터 조향축에 가해지는 토오크를 검출하여 상기 구동부가 그 검출신호에 따라 작동하게 함으로써 동력조향장치가 필요한 경우에만 동력 조향을 행하게 하는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the torque applied to the steering shaft from the steering wheel in the electric steering apparatus of the automobile to add a torque to the steering shaft or the steering link, such as an electric motor to enable the driver to operate the steering wheel more easily. A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which causes the driving unit to operate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signal to perform power steering only when a power steering apparatus is required.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는 조향휠이 장착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에 탄성수단을 매개로 결합되는 출력축으로 이루어진 조향축에 대하여 토오크를 부가하는 구동부 전원회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에 각각 설치되어, 그 두 축 사이의 비틀림에 의해 단락되며, 그 상대 회전 변위량에 반비례하는 저항을 인가하는 가변저항수단과; 상기 입력축의 상기 출력축에 대한 상대회전 방향을 감지하는 조향방향 감지수단과; 상기 조향방향 감지수단의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부의 출력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제어수단과; 상기 가변저항수단의 단락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증폭하여 상기 구동부에 인가하는 증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installed on a driver power circuit for adding torque to a steering shaft comprising an input shaft on which a steering wheel is mounted and an output shaft coupled to the input shaft by means of elastic means. Variable resistance means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are short-circuited by the torsion between the two shafts, and apply a resistanc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relative rotational displacement amount; Steering direction sensing means for sensing a relativ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input shaft relative to the output shaft; Direction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an output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by a signal of the steering direction detecting mean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power applied to the short circuit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ans applied to the drive unit.

Description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Steering Torque Detecter For Power Steering Wheel}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Steering Torque Detecter For Power Steering Wheel}

본 발명은 조향축이나 조향링크에 전동모터 등으로 토오크를 부가하여 운전자가 조향휠을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의 전동식 조향장치에 있어서 조향휠로부터 조향축에 가해지는 토오크를 검출하여 상기 구동부가 그 검출신호에 따라 작동하게 함으로써 동력조향장치가 필요한 경우에만 동력 조향을 행하게하는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향토오크를 아날로그식으로 검출하여 상기 구동부의 출력을 가변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의 동작 정밀도를 크게 높일 수 있으며, 구성이 단순하여 제조원가도 매우 낮은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the torque applied to the steering shaft from the steering wheel in the electric steering apparatus of the automobile to add a torque to the steering shaft or the steering link, such as an electric motor to enable the driver to operate the steering wheel more easi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in which a drive unit operates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so that the power steering device only performs power steering when necessary. Particularly, an output of the drive unit is detected by analogously detecting steering torque. By controlling variably, the operation precision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can be greatly increased, and the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very low manufacturing cost is provided.

자동차 동력조향장치는 운전자에 의해 회전되는 조향휠에 의해 그 조향휠 회전각에 비례하는 각도로 앞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바꾸어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바꾸는 장치로서, 특히 조향휠에 의해 회전되는 조향축이나 또는 그 조향축에 의해 작동되는 조향링크에 대하여 별도 구동원으로 토오크를 가해 조향축의 회전력을 보충하여 줌으로써 운전자가 조향휠을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구성된다.An automobile power steering device is a device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a vehicle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axis of the front wheel at an angle proportional to the steering wheel rotation angle by a steering wheel rotated by a driver, in particular a steering shaft rotated by a steering wheel, or By applying torque as a separate driving source to the steering link operated by the steering shaft, the driver can operate the steering wheel more easily by supplemen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teering shaft.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는 조향축 회전력 보충에 이용하는 동력의 종류에 따라 유압을 이용하는 유압식과 전동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는 전동식으로 구분되는 바, 유압식 자동차 동력조향장치는 오일 펌프, 유압을 기계적인 토오크로 변환시키는 유압 액츄에이터, 유압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 및 상기 구성들의 정확한 작동을 확보하기 위한 기타 여러 가지의 부품 등 중량이 크고 복잡한 구성들로 이루어져 차량의 중량을 크게 늘리는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재는 유압식 보다는 전자식 동력조향장치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The automobile power steering system is divided into hydraulic type using hydraulic pressure and electric type using driving power of electric motor, depending on the type of power used to supplement the steering shaft torque. The hydraulic automobile power steering system converts oil pump and hydraulic pressure into mechanical torque. The hydraulic actuator, th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actuator and many other components to ensure the correct operation of the components, such as the heavy weight of the complex configuration,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greatly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vehicle The research on electronic power steering is more active than hydraulic.

자동차 조향장치는 통상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 상기 조향휠의 회전력을 바퀴를 회전시키는 조향링크에 전달하는 조향축으로 구성되는 바,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의 경우에는, 그 조향축이 서로 탄성 결합되는 두 개의 축 즉 조향휠에 의해회전되는 입력축과 그 입력축에 대하여 탄성수단에 의해 탄성 비틀림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향 링크에 연결되는 출력축으로 구성되며, 조향휠로부터 받는 조향축의 토오크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를 상기 조향축의 출력축에 대한 입력축의 비틀림각으로 감지하는 조향토오크 감지센서와, 상기 조향토오크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조향축 또는 조향링크에 조향력을 가하는 조향모터가 포함된 구동부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 automobile steering device is generally composed of a steering wheel operated by a driver and a steering shaft which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teering wheel to a steering link for rotating the wheel. In the case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the steering shafts are elas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It consists of two shafts, the input shaft rotated by the steering wheel and the output shaft coupled to the steering link by elastically twistably coupled to the input shaft by an elastic means, the case that the torque of the steering shaft received from the steering wheel is a certain size or more. It further comprises a steering torqu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t the torsion angle of the input shaft with respect to the output shaft of the steering shaft, and a driving unit including a steering motor for operating the steering torque or the steering link to apply a steering force to the steering shaft or the steering link. .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전동식 동력조향장치는, 조향휠이 조향축에 가하는 토오크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즉 조향축의 출력축에 대한 입력축의 비틀림 각도가 일정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를 조향토오크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신호를 보내면 구동부가 그 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조향축 또는 조향링크에 토오크를 가해줌으로써 조향휠에 의해 회전되는 조향축의 조향토오크를 보충하여 준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detects the steering torque sensing sensor when the torque applied by the steering wheel to the steering shaf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magnitude, that is, when the torsion angle of the input shaft with respect to the output shaft of the steering shaft become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magnitude. When the driver sends a signal, the driving unit operates according to the signal and applies torque to the steering shaft or the steering link to compensate for the steering torque of the steering shaft rotated by the steering wheel.

따라서, 전동식 동력조향장치는 자동차가 정지하거나 저속 주행하는 경우 바퀴에 대한 노면의 마찰력으로 인해 조향휠이 무거워져 조향휠 조작에 큰 힘이 요구될 때 조향축의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의 비틀림 각도가 일정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를 감지하는 조향토오크 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구동부가 가동하여 조향축에 토오크를 가해줌으로써 조향휠을 가볍게 만들어 준다. 반면, 바퀴에 대한 노면의 마찰력이 매우 작아서 조향휠이 가벼워지는 고속 주행시에는 조향축의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토오크가 거의 작용하지 않게 되어 이들 사이의 비틀림각이 매우 작기 때문에 비틀림각이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에만 신호를 발생하도록 된 조향토오크 감지센서가 신호를 발생하지 않고 이에 구동부가 작동하지 않음으로써 조향휠에 가하는 운전자의 순수한 힘에 의해서만 조향이 이루어지게 하여 조향휠이 가벼워지는 것을 방지한다.Therefore, th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has a certain amount of torsion angle between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of the steering shaft when the steering wheel becomes heavy due to the friction of the road surface against the wheel when the vehicle is stopped or at low speed.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steering torque sensor to detect the case of abnormality, the driving unit starts to apply the torque to the steering shaft to make the steering wheel light. On the other hand, at high speeds where the steering wheel is light due to the very small frictional force on the wheels, torque is hardly applied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shafts of the steering shaft, and the torsion angle between them is very small. The steering torque sensor, which is supposed to generate a signal, does not generate a signal and the driving unit does not operate so that steering is performed only by the pure force of the driver applied to the steering wheel, thereby preventing the steering wheel from being light.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에 있어서 조향축에 가해지는 조향휠의 토오크를 검출하기 위하여 장착된 종래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감지센서는 소정의 크기 이상인 토오크만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주행속도가 변화에 따른 토오크의 변화를 동력조향장치의 동력조향 작동에 전혀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예컨대, 주행 속도가 변하는 경우 노면에 대한 바퀴의 마찰력이 변화되어 조향축이 바퀴로부터 받는 부하의 크기가 변화되는데, 종래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의 조향토오크 감지센서는 단순히 조향토오크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만을 감지하여 자동차의 전자식 동력조향장치를 온/오프식으로만 제어하기 때문에 조향축의 부하 변화에 따른 조향휠의 토오크 변화를 동력 조향에 전혀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조향토오크가 주행 속도의 변화 즉 바퀴의 부하에 변화로 인해 조향토오크 감지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토오크 근방에서 변화되는 경우에 조향휠의 조향력이 급격히 변화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조향감을 크게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주행 안정성까지도 크게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in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the steering torque sensor for the conventional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mounted to detect the torque of the steering wheel applied to the steering shaft can detect only a torqu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so that the traveling speed Has a problem that does not reflect the change in torqu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ower steering operation of the power steering system. For example, when the driving speed is changed, the frictional force of the wheels on the road surface is changed, and the magnitude of the load received from the wheels by the steering shaft is changed. The steering torque detection sensor of the conventional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simply detects only when the steering torqu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Since the electronic power steering device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only by the on / off typ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orque change of the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load change of the steering shaft is not reflected in the power steering at all. Therefore, when the steering torque is changed near the torque that can be detected by the steering torque sensor due to the change in the driving speed, that is, the load of the wheel, the steering force of the steering wheel changes drastically, which greatly reduces the driver's steering feeling.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greatly hurts the driving stability.

이에, 최근에는 조향축의 부하를 반영하여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조향축 등에 대하여 적정한 크기의 토오크를 보충할 수 있게 하는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가 개발되어 현재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에 채용되고 있다.Recently, a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has been develop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by reflecting the load of the steering shaft so that torque of an appropriate size can be compensated for. have.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평8-216899호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의 경우에는 조향축의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의 연결부에 리테이너, 슬라이더 등을 설치하고 이들 사이의 상대 회전 변위 즉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의 비틀림각을 측정자를 가진 포지셔너 미터로 측정하여 조향휠로부터 조향축이 받는 토오크를 산출한 다음 이를 토대로 구동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조향토오크 검출장치를 장착하고 있다.For example,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216899, a retainer, a slider, or the like is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n input shaft and an output shaft of a steering shaft, and a relative rotational displacement between them, that is, a torsion angle between the input shaft and an output shaft, is measured. It is equipped with a steering torque detector that measures the torque received by the steering shaft from the steering wheel by measuring the excitation positioner meter and then controls the output of the driving unit based on this.

그리고, 국내 특허공개 99-276609∼11호의 전동식 동력조향장치들은 조향축의 입력축과 출력축에 각각 설치된 발광수단과 수광수단으로써 두 축 사이의 비틀림각을 측정한 다음 이를 연산회로를 가진 전자제어부의 복잡한 연산을 통해 토오크를 산출하고 그것을 토대로 전자제어부가 구동부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조향토오크 검출장치로써 구동부의 출력을 가변하여 조향축에 적정한 크기의 조향토오크를 보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es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s. 99-276609 to 11 measure the torsion angle between two axes as light emitting means and light receiving mean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of the steering shaft, and then calculate the complex angle of the electronic controller having the calculation circuit. It is a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configured to calculate torque through the electronic control unit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drive unit based on it, and is configured to change the output of the drive unit to supplement the steering torque of the appropriate size to the steering shaft.

그 외에도 조향축의 부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조향장치들이 여럿 존재한다.In addition, there are several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s including a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the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which can reflect the load change of the steering shaft.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들은 토오크 센서 등과 같은 조향휠 토오크 감지수단,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들이 감지한 정보들을 가지고 조향토오크를 산출하여 구동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데, 그들 모두는 각기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s for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have a steering wheel torque detection means such as a torque sensor, a speed sensing means for detecting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ing means to produce a steering torque. Comprising an electronic control means for calculating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drive unit, each of them had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조향휠 토오크 감지수단이 감지한 정보를 제어부가 연산하여 그 결과를 반영한 신호로써 구동부의 출력을 제어하기 때문에 조향축이 회전하는 동안 신호를 불연속적으로 처리하여 조향시 불연속점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로 인해 매끄럽고 부드러운 조향이 불가능하였다.First, since the controller calculates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teering wheel torque detection means and controls the output of the driver as a signal reflecting the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discontinuity points exist during steering by discontinuously processing the signal while the steering shaft is rotating. there was. As a result, smooth and smooth steering was not possible.

둘째, 민감한 제어수단을 통해서만 성능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작원가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제어수단이 연산을 수행하는 동안 조향력 변화를 정확하게 제어하지 못하므로 제어 오류가 발생될 우려가 매우 높았다.Second, since the performance can be implemented only through sensitive control means, the manufacturing cost is very high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 control error because the control means cannot accurately control the steering force change during the calculation.

셋째, 조향시 오작동 가능성이 높아 안전성에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즉, 전원 및/또는 토오크 센서의 영향으로 인해 회로에 걸리는 전압이 일정치 않으므로 운전자의 의도와 다른 예기치 않은 동력 조향이 일어나게 할 가능성이 높아 주행시 조향 오작동에 기인한 사고를 초래할 위험이 있었다.Third, there was a high possibility of malfunction during steering had a fatal disadvantage in safety. That is, since the voltage applied to the circuit is not constant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ower and / or torque sensor,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ausing unexpected power steer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driver's intention, and there was a risk of causing an accident due to steering malfunction while driving.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들이 가진 문제점이 해소된 것으로, 토오크를 발생하는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조향축의 입력축과 출력축의 상대 회전 변위량에 따라 가변되는 가변저항을 통해 구동부에 인가하여 상기 구동부의 출력을 상기 입력축와 출력축 비틀림 각도 변화에 따라 아날로그식으로 가변 조정할 수 있음으로써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의 응답성과 동작의 정밀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구성이 아주 단순하여 제조원가도 매우 낮은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s for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and the power applied to the driving unit generating torque is varied according to the relative rotational displacement of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of the steering shaft. It is applied to the drive unit through the variable resistor, and the output of the drive unit can be analogically variab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torsion angle of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thereby dramatically improving the responsiveness and operation accuracy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It is very simple to provide a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with a very low manufacturing co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의 분해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의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의 구성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의 구성도.5 is a block diagram of a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의 가변저항수단의 조향토오크에 따른 저항변화를 나타낸 그래프.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resistance change according to the steering torque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ans of the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의 조향토오크에 따른 구동부 전류변화를 나타낸 그래프.Figure 7 is a graph showing the drive unit current change according to the steering torque of the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의 조향토오크에 따른 구동부 출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8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change of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steering torque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의 방향제어수단이 조향각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를 보인 그래프.9 is a graph showing a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steering angle change of the direction control means of the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토오크 검출장치가 장착된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의 조향력 변화를 보인 그래프.Figure 10a is a graph showing the steering force change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토오크 검출장치에 속도감응식 가변저항이 포함된 경우의 고속 주행시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의 조향력 변화를 보인 그래프.Figure 10b is a graph showing the steering force change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t high speed when the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eed-sensitive variable resistor.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 조향휠 2 : 조향축1: steering wheel 2: steering shaft

2a : 입력축 2b : 출력축2a: input shaft 2b: output shaft

3 : 가변저항수단 30 : 접촉자3: variable resistance means 30: contactor

31,32 : 좌,우 가변 저항체 35,36 : 발광소자31,32: left and right variable resistor 35,36: light emitting device

37 : 수광소자 4 : 조향방향 감지수단37: light receiving element 4: steering direction detection means

5 : 구동부 6 : 방향제어수단5 drive unit 6 direction control means

7 : 증폭부 8 : 조향링크7: amplification unit 8: steering link

9 : 하우징 10 : 속도가변저항9 housing 10 speed variable resistance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는, 조향휠이 장착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에 탄성수단을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입력축을 조향링크에 대하여 상대 회전 변위 가능하게 연결하는 출력축으로 이루어진 조향축에 대하여 토오크를 부가하는 구동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회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에 각각 설치되어, 그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의 비틀림에 의해 단락되며, 그 상대 회전 변위량에 반비례하는 저항을 인가하는 가변저항수단과; 상기 입력축의 상기 출력축에 대한 상대회전 방향을 감지하는 조향방향 감지수단과; 상기 조향방향 감지수단의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부의 출력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제어수단과; 상기 가변저항수단의 단락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증폭하여 그 증폭된 전원을 상기 구동부에 인가하는 증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ing wheel is composed of an input shaft on which a steering wheel is mounted and an output shaft coupled to the input shaft by means of elastic means to connect the input shaft to a relative rotational displacement with respect to the steering link. It is provided on a power supply circuit for supplying power to a drive unit that adds torque to the shaft, and is provided on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respectively, and is short-circuited by the twist between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and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relative rotational displacement amount. Variable resistance means for applying; Steering direction sensing means for sensing a relativ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input shaft relative to the output shaft; Direction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an output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by a signal of the steering direction detecting means; And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power applied by the short circuit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ans and applying the amplified power to the driving unit.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변저항수단의 바람직한 구성은, 상기 조향축의 출력축에 그 출력축의 회전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회전방향의 길이를 가지며 서로 대향하는 각 끝단이 상기 증폭부에 각각 연결되는 좌,우 가변저항체와; 상기 좌,우 가변저항체의 사이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의 입력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축 회전에 따라 상기 좌,우 가변저항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전원을 단락시키는 접촉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의 가변저항수단은 상기 가변저항체에 대한 접촉자의 접촉 위치에 따라 저항을 가변하게 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a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ans is installed on the output shaft of the steering shaft spaced apar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output shaft, each end having a length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opposed to each other is connected to the amplification unit, respectively. Left and right variable resistors; And a contactor installed on an input shaf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between the left and right variable resistors to selectively contact the left and right variable resistor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input shaft to short-circuit power. The resistance means varies the resistance in accordance with the contact position of the contact with the variable resistor.

또한, 상기 가변저항수단은, 상기 조향축의 입력축에 그 입력축의 회전방향으로 이격된 좌,우 출사공 내에 설치되는 좌,우 발광소자와; 상기 좌,우 출사공의 사이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의 출력축 상에 형성된 입사공 내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입사공과 선택적으로 겹쳐지는 상기 좌,우 출사공을 통해 투사되는 상기 좌,우 발광소자의 빛에 의해 전원을 단락시키고 그 수광량에 반비례하는 저항을 유도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도 한다.In addition, the variable resistance means, the left and right light emitt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left, right exit hole spaced apar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input shaft to the input shaft of the steering shaft; The left and right project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exit hole is installed in the entrance hole formed on the output shaft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between the left, right exit hole and selectively overlaps the entrance hol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input shaft It may include a light receiving element for shorting the power by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inducing a resistanc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는,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상기 가변저항수단으로부터 상기 증폭부에 입력되는 전원에 대하여 주행속도에 비례하는 저항을 부가하는 속도가변저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preferred configuration, further comprises a speed variable resistor for adding a resistance proportional to the traveling speed to the power input from the variable resistance means to the amplifier. It is done by

한편, 상기 조향방향 감지수단은, 상기 출력축 상에 그 출력축의 회전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입력축에 설치되어 그 입력축과 함께 회전되는 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 그에 따른 신호를 상기 방향제어수단에 제공하는 좌,우 택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steering direction detecting means is provided on the output shaft spaced apar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output shaft, selectively installed by the knob installed on the input shaft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input shaft, the signal according to the direction control means Providing left and right switches provided.

그리고, 상기 방향제어수단은, 상기 좌,우 택 스위치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조향축에 대하여 정,역회전 방향을 선택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된 전동(傳動)기구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irection control means is preferably an electric mechanism configured to transmit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by select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steering shaft by the power appli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switches. Do.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토오크 검출장치가 채용된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토오크 검출장치가 장착된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employing a steering torqu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steering torqu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자동차 전동식 동력조향장치는 운전자에 의해 회전되는 조향휠에 의해 그 조향휠 회전각에 비례하는 각도로 앞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바꾸어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바꾸는 조향장치에 있어서 특히 조향휠에 의해 회전되는 조향축이나 또는 그 조향축에 의해 작동되는 조향링크에 대하여 전동모터 등과 같은 구동부로써 토오크를 부가하여 조향휠에 의한 조향축의 회전력을 보충하여 줌으로써 운전자가 조향휠을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구성된 조향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향토오크 검출장치가 장착되는 자동차 전동식 조향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조작하게 되는 조향휠(1), 상기 조향휠(1)이 장착되는 조향축(2), 상기 조향축(2)의 토오크를 자동차의 바퀴 회전축에 전달하는 조향링크(8)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축(2)은 탄성수단(미도시)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입력축(2a)과 출력축(2b)으로 구성되어 하우징(9)에 의해 차폐된다.Motorized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is a steering shaft that is rotated by steering wheel, especially in steering system that changes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front wheel by changing steering wheel rotation angle by steering wheel rotated by driver. A steering device configured to allow the driver to operate the steering wheel more easily by adding torque to the steering link operated by the steering shaft or the steering shaft, such as an electric motor, to supplemen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teering shaft by the steering wheel. The motorized steering apparatus for automobiles in which the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s, as illustrated in FIG. 1, a steering wheel 1 to be operated by a driver and a steering shaft 2 on which the steering wheel 1 is mounted. ), And a steering link 8 for transmitting the torque of the steering shaft 2 to the wheel rotation shaft of the vehicle. 2 and 3, the steering shaft 2 is composed of an input shaft 2a and an output shaft 2b coupled to each other by elastic means (not shown) and shielded by the housing 9.

본 발명에 따른 조향토오크 검출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에 있어서, 조향휠(1)로부터 조향축(2)에 가해지는 토오크의 크기를 검출하여 구동부(5)가 그 검출신호에 따라 작동하게 함으로써 동력조향장치가 필요한 경우에만 동력조향을 행하게 하는 장치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탄성수단을 매개로 결합되는 입력축(2a)과 출력축(2b)으로 이루어진 조향축(2)의 각 입,출력축(2a,2b)에 각각 설치되어 입,출력축(2a,2b) 사이의 상대회전에 따라 전원을 인가하고 그 전원에 대하여 그 입,출력축(2a,2b)의 상대 회전 변위량에 반비례하는 저항을 부여하는 가변저항수단(3)과; 상기 출력축(2b)에 대한 상기 입력축(2a)의 회전 방향을 감지하는 조향방향 감지수단(4)과; 상기 조향방향 감지수단(4)의 신호에 의해 구동부(5)의 출력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제어수단(6);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여 그 속도에 비례하는 저항을 부가하는 속도가변저항(10), 그리고, 상기 가변저항수단(3)의 단락으로 인가되어 상기 속도가변저항(10)을 거치면서 가변된 전원을 증폭하여 그 증폭된 전원을 상기 구동부(5)에 인가하는 증폭부(7)로 구성된다.The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 which the drive unit 5 detects the magnitude of the torque applied to the steering shaft 2 from the steering wheel 1, and the drive unit 5 detects the detected signal. A power steering device is configured to perform power steering only when a power steering device is required, as shown in FIG. 4, which includes a steering shaft including an input shaft 2a and an output shaft 2b coupled to each other by means of elastic means ( It is installed on each of input and output shafts 2a and 2b of 2) and applies power according to the relative rot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shafts 2a and 2b, and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input and output shafts 2a and 2b with respect to the power supply. Variable resistance means (3) for imparting resistanc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displacement; Steering direction sensing means (4) for sensing a rotational direction of the input shaft (2a) with respect to the output shaft (2b); Direction control means (6) for controlling the output direction of the drive unit (5) by the signal of the steering direction detection means (4); A speed variable resistor 10 that detects a driving speed of a vehicle and adds a resistance proportional to the speed, and a power supply that is applied through a short circuit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ans 3 and passes through the speed variable resistor 10. And an amplifying unit 7 for amplifying and applying the amplified power to the driving unit 5.

상기 가변저항수단(3)은, 조향축(2)에 토오크를 부여하는 구동부(5)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회로 상에 설치되어 조향휠(1)로부터 조향축(2)이 받는 토오크 크기에 비례하는 토오크를 발생하도록 그에 비례하는 전류(또는 전압)의 전원을 구동부(5)에 인가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저항수단(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축(2)의 출력축(2b)에 그 출력축(2b)의 회전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좌,우 가변저항체(31,32)와; 상기 좌,우 가변저항체(31,32)의 사이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의 입력축(2a) 상에 설치되는 접촉자(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 가변저항체(31,32)들은 접촉자(30) 회전방향의 길이를 가지며 대향하는 쪽의 그 각 끝단이 각각 증폭부(7)의 증폭회로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변저항수단(3)은 조향휠(1)이 중립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접촉자(30)가 좌,우 가변저항체(31,32)의 중앙에 위치하여 어느 좌,우 가변저항체(31,32)와도 접점되지 않음으로써 구동부(5)에 대한 전원을 차단한다. 그리고, 조향휠(1)이 어느 한 쪽으로 조작되는 경우 그 조향휠(1)에 의해 회전되는 입력축(2a)의 접촉자(30)가 좌,우 가변저항체(31,32)에 선택적으로 접촉, 전원을 단락하여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구동부(5)가 구동하게 한다. 이 때, 접촉자(30) 회전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상기 좌,우 가변저항체(31,32)는 증폭부(7)에 입력되는 전원에 대하여 접촉자(30)의 접점에서부터 끝단까지 거리에 비례하는 크기의 저항 즉 입력축(2a)의 회전각이 클수록 작아지는 저항을 부여하여 증폭부(7)에 입력되는 전력이 입력축(2a)의 회전각도에 비례하고 주행속도에 반비례하여 커지게 함으로써 구동부(5)가 입력축(2a) 회전각에 대응하는 크기의 토오크를 출력하게 한다. 도 6과 7은 입력축(2a)의 회전 변위에 따른 가변저항수단(3)의 저항변화와 전류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고, 도 8은 구동부(5)의 출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The variable resistance means (3) is installed on a power supply circuit for applying power to the drive unit (5) which gives torque to the steering shaft (2) and the torque magnitude received by the steering shaft (2) from the steering wheel (1). As a power supply of a current (or voltage) proportional thereto to generate a torque proportional to the driving unit 5, the variable resistance means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Left and right variable resistors 31 and 3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output shaft 2b on the output shaft 2b of the steering shaft 2; And a contactor 30 provided on the input shaft 2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between the left and right variable resistors 31 and 32. The left and right variable resistors 31 and 32 have length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ontactor 30, and each end of the opposing side is connected to the amplifying circuit of the amplifying unit 7, respectively. In the variable resistance means 3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steering wheel 1 is in the neutral position, the contactor 3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variable resistors 31 and 32, so that the left and right variable resistors ( 31 and 32 are also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shutting off power to the driving unit 5. In addition, when the steering wheel 1 is operated to either side, the contactor 30 of the input shaft 2a rotated by the steering wheel 1 selectively contacts the left and right variable resistors 31 and 32, and the power supply is activated. The driving unit 5 is driven by applying a power supply by shorting the circuit. At this time, the left and right variable resistors 31 and 32 having the length of the contactor 30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re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from the contact point to the end of the contactor 30 with respect to the power input to the amplifier 7. The resistance of the input shaft 2a, i.e., the resistance becomes smaller as the rotation angle of the input shaft 2a becomes larger so that the power input to the amplifier 7 becomes larger in proportion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input shaft 2a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raveling speed. Outputs a torque of a magnitud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input shaft 2a. 6 and 7 are graphs showing the resistance change and the current change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ans 3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splacement of the input shaft 2a, and FIG. 8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change of the drive unit 5.

상기 속도가변저항은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가변저항수단(3)이 증폭부(7)에 인가하는 전원에 대하여 주행속도에 비례하는 저항을 부가한다. 이에, 차량의 주행속도가 증가하는 경우 증폭부(7)에 입력되는 전원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The speed variable resistor senses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and adds a resistance proportional to the traveling speed with respect to the power applied by the variable resistance means 3 to the amplifier 7. Thus, when the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increases, it serves to reduce the size of the power input to the amplifier 7.

조향방향 감지수단(4)은 상기 입력축(2a)의 회전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출력축(2b) 상에 그 출력축(2b)의 회전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좌,우 택 스위치(41,42)와, 상기 좌,우 택 스위치(41,42)의 가운데에 대응하는 입력축(2a)의 중앙에 설치되는 노브(40)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조향방향 감지수단(4)은 입력축(2a)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그 입력축(2a)의 노브(40)가 함께 회전하면서 좌,우 택 스위치(41,42) 중 그 회전방향 측에 위치한 택 스위치(41 또는 42)를 눌러 그에 따른 신호를 방향제어수단(6)에 보낸다. 도 9는 입력축(2a)의 회전에 따라 이 방향제어수단(6)이 발생하는 신호를 보인 그래프이다.The steering direction sensing means 4 is for sens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input shaft 2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output shaft 2b of the output shaft 2b is disposed on the output shaft 2b. Left and right switches 41 and 42 spaced apar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knob 40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input shaft (2a)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switches (41, 42) . The steering direction sensing means 4 of this configuration rotates among the left and right switches 41 and 42 while the knob 40 of the input shaft 2a rotates together when the input shaft 2a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tack switch 41 or 42 located on the direction side is pressed to send the corresponding signal to the direction control means 6. 9 is a graph showing a signal generated by the direction control means 6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input shaft 2a.

방향제어수단(6)은 상기 조향방향 감지수단(4)의 신호에 따라 구동부(5)에 인가되는 전원의 극을 바꾸어 줌으로써 정/역회전 전동모터가 포함된 구동부(5)의 회전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좌,우 택 스위치(41,42)에 의해 작동하여 각 좌,우 택 스위치(41,42)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구동부(5)의 회전방향을 제어한다.The direction control means 6 change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e part 5 including the forward / reverse electric motor by changing the pole of the power applied to the drive part 5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steering direction detection means 4. Play a role. That is, it operates by the left and right switches 41 and 42 to control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5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switches 41 and 42.

상기 증폭부(7)는 예컨대 트랜지스터와 같은 전원 증폭 회로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가변저항수단(3)의 단락으로 인가된 후 속도가변저항(10)을 거치면서 감소된 전원을 증폭하여 그 증폭된 전원을 상기 구동부(5)에 인가함으로써 구동부(5)의 출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The amplifier 7 has a power supply amplification circuit such as a transistor, for example, and is applied as a short circuit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ans 3 and then amplifies the reduced power while passing through the speed variable resistor 10, and the amplified power supply. By applying to the drive unit 5 serves to increase the output of the drive unit (5).

이상과 같은 작용을 하는 구성들로 이루어짐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는, 조향휠(1)로부터 조향축(2)에 토오크가 가해지는 경우, 조향축(2)의 입력축(2a)이 그 토오크에 비례하는 회전변위량으로 출력축(2b)에 대하여 상대회전하고, 그 상대회전에 따라 가변저항수단(3)의 접촉자(30)가 가변저항체에 접점되어 입력축(2a)의 회전각도에 비례하는 전원을 인가하고, 그 인가된 전원을 속도가변저항(10)이 주행속도에 비례하는 크기로 감소시켜 증폭부(7)에 인가한다. 그와 동시에 조향방향 감지수단(4)의 좌,우 택 스위치(41,42) 중 어느 하나가 입력축(2a)의 노브(40)에 의해 동작하여 방향제어수단(6)에 전원을 인가하고 방향제어수단(6)은 전원의 극을 조정, 구동부(5)의 정역회전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토오크 방향을 결정한다. 한편 증폭부(7)는 가변저항수단(3)으로부터 속도가변저항(10)을 거치면서 상기 입력축(2a)의 회전각에 비례하고 주행속도에 반비례하게 변화된 전원을 증폭하여 구동부(5)에 인가하고 구동부(5)는 증폭된 전원으로 작동하여 상기 방향제어수단(6)에 의해 선택된 회전방향의 동력을 조향축(2)에 전달, 조향축(2)의 회전력을 보충하여 줌으로써 운전자가 조향휠(1)을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한다.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having the func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orque is applied to the steering shaft (2) from the steering wheel (1), steering The input shaft 2a of the shaft 2 rotates relative to the output shaft 2b at a rotational displacement proportional to its torque, and according to the relative rotation, the contactor 30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ans 3 contacts the variable resistor. Power supplied in proportion to the rotational angle of the input shaft 2a is applied, and the applied power is reduced to a magnitude proportional to the running speed of the speed variable resistor 10 and applied to the amplifier 7. At the same time, one of the left and right switches 41 and 42 of the steering direction sensing means 4 is operated by the knob 40 of the input shaft 2a to apply power to the direction control means 6 and to The control means 6 determines the torque direction by adjusting the pole of the power supply and controll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unit 5. On the other hand, the amplifier 7 amplifies the power which is changed in proportion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input shaft 2a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raveling spe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peed variable resistor 10 from the variable resistance means 3 and applied to the driving unit 5. The driver 5 operates with the amplified power supply to transmit the power in the rotational direction selected by the direction control means 6 to the steering shaft 2 and to supplemen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teering shaft 2 by the driver. It makes it possible to operate (1) more easily.

이상과 같은 작동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는 조향축(2)의 입력축(2a)과 출력축(2b)의 상대 회전 변위량에 반비례하는 저항을 유도하는 가변저항수단(3)과 주행속도에 비례하는 저항을 유도하는 속도가변저항(10)을 거치면서 조향휠(1)의 조향토오크에 비례하고 주행속도에 반비례하게 변화된 전원을 증폭하여 구동부(5)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구동부(5)가 상기 입력축(2a)과 출력축(2b) 사이의 비틀림 각도와 주행속도 변화에 따라 아날로그식으로 민감하게 가변되는 조향력을 조향축(2)에 부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조향축(2)이 회전하는 동안 조향축(2)에 가해진 조향휠(1)의 토오크에 비례하여 연속적으로 가변되는 토오크를 부가할 수 있으므로 조향장치의 조향이 아주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한다.In the above operation, the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a resistanc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relative rotational displacement amount of the input shaft (2a) and the output shaft (2b) of the steering shaft (2). The driving unit 5 amplifies a power that is proportional to the steering torque of the steering wheel 1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raveling speed, through the variable resistance means 3 and the speed variable resistance 10 that induces a resistance proportional to the traveling speed. The driving unit 5 can apply to the steering shaft 2 a steering force which is sensitively changed analogously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torsion angle and the traveling speed between the input shaft 2a and the output shaft 2b. . Therefore, since the torque can be continuously changed in proportion to the torque of the steering wheel 1 applied to the steering shaft 2 while the steering shaft 2 is rotated, steering of the steering apparatus is made very smooth.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토오크 검출장치가 장착된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의 조향력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고, 도 10b는 속도감응식 속도가변저항을 추가된 본 발명에 따른 조향토오크 검출장치에 의한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의 주행속도 증가시 조향력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Figure 10a is a graph showing the steering force change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b is an electric power by the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ded a speed-sensitive speed variable resistance This graph shows the change in steering power when the driving speed of the steering system increases.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토오크 검출장치를 채용한 동력조향장치는 조향축(2)의 비틀림각(입력축(2a)의 출력축(2b)에 대한 비틀림각) 즉 조향축(2)의 토오크 변화에 따라 매끄럽게 가변되는 조향력을 발생할 수 있어 조향감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속도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속도가변저항(10)의 작용으로 조향력이 감소되어 고속 주행시 조향휠(1)이 가벼워지는 것을 방지한다.As shown in FIG. 10A, a power steering apparatus employing a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rsion angle of a steering shaft 2 (a torsion angle with respect to an output shaft 2b of the input shaft 2a). That is,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steering force smoothly variable according to the torque change of the steering shaft (2) can greatly improve the steering feeling.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0b, when the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increases the steering force is reduced by the action of the speed variable resistor 10 to prevent the steering wheel (1) from being lighter at high spe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는 별도의 연산회로 없이 구동부(5)의 구동을 제어하므로 연산오류로 인한 오동작 발생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제거, 조향장치의 안전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있다. 또한, 그 구성이 매우 단순하여 제조원가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차량의 경량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Such a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5 without a separate calculation circuit, thereby fundamentally eliminating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due to arithmetic errors, and the safety of the steering device. It can increase dramatically.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is very simp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expensive, it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weight reduction of the vehicle.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가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5 illustrates a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는 일 실시예와 달리 구동부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전동모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전동식 동력조향장치(본 출원인의 기출원한 특허공개 제1998-076895호의 동력조향장치)에 적용된 것으로서, 그 가변저항수단(3)이 상기 조향축(2)의 입력축(2a)에 그 입력축(2a)의 회전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좌,우 발광소자(35,36)와, 상기 좌,우 발광소자(35,36)의 사이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의 출력축(2b)에 설치된 수광소자(37)로 이루어진 광 제어방식의 비접촉식 조향토오크 검출장치이다. 그리고, 방향제어수단(6)은, 구동부(5)가 일 실시예의 조향장치와 달리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전동모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므로, 상기 조향축(2)에 정,역회전 방향을 선택하여 전달하는 정/역회전부(60a)(60b)를 가지는 전동부(傳動部)(60)와 상기 전동부(60)의 정/역회전부(60a)(60b)의 작동을 상기 택 스위치(41,42)의 전원인가에 의해 제어하는 전자클러치(61)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is, unlike one embodiment,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including an electric motor in which a driving unit rotates in only one direction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patent application No. 1998-076895) And the left and right light emitting elements 35 and 36, the variable resistance means 3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input shaft 2a on the input shaft 2a of the steering shaft 2, A light control non-contact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comprising a light receiving element 37 provided at an output shaft 2b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between the left and right light emitting elements 35 and 36. And, the direction control means 6, the drive unit 5 is made of an electric motor that rotates in only one direction, unlike the steering apparatus of an embodiment, so that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direction to the steering shaft (2) by selecting The tack switch 41 may operate the transmission part 60 having the forward / reverse rotation parts 60a and 60b to transmit and the forward / reverse rotation parts 60a and 60b of the transmission part 60. And electronic clutches 61 which are controlled by applying the power of 42.

상기 좌,우 발광소자(35,36)는 각각 입력축(2a) 내에 설치되며, 소정의 내경을 가진 출사공(35a,36a)을 통해 빛을 조사한다. 그리고 수광소자(37)는 출력축(2b)의 소정 내경의 입사공(37a) 내에 설치되며, 그 입사공(37a)을 통해서 유입된 빛을 감지하여 증폭부(7)에 인가되는 전원에 대하여 그 수광량에 반비례하는 저항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수광량이 0 인 경우에는 무한대의 저항으로 증폭부(7)에 인가되는 전원을 완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The left and right light emitting devices 35 and 36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input shaft 2a and irradiate light through the exit holes 35a and 36a having a predetermined inner diameter. The light receiving element 37 is installed in the incident hole 37a of the predetermined inner diameter of the output shaft 2b, and detects light introduced through the incident hole 37a to the power applied to the amplifier 7. And induce a resistanc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received light. And when the amount of received light is zero, it is configured to completely cut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amplifier 7 with infinite resistance.

그리고, 방향제어수단(6)은, 구동부(5)가 일방향의 회전력만을 출력하므로 구동부(5)의 회전방향을 바꾸어 줄 수 있는 정/역회전부(60a)(60b)를 가지는 전동부(傳動部)(60)와 상기 전동부(60)의 정/역회전부(60a)(60b)의 작동을 상기 택 스위치(41,42)의 전원인가에 의해 제어하는 전자클러치(61)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도 1 참조). 이와 같은 구성으로, 방향제어수단(6)은 조향방향 감지수단(4)인 좌,우 택 스위치(41,42)가 인가하는 전원으로 전자클러치(61)가 구동부(5)에 연결된 전동부(60)의 정회전부(60a) 또는 역회전부(60b)를 선택적으로 조향축(2)에 연결함으로써 조향축(2)에 부가되는 구동부(5)의 토오크 방향을 제어한다.Then, the direction control means 6, the drive unit 5 outputs only the rotational force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transmission unit having a forward / reverse rotation unit 60a, 60b that can chang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unit 5 (傳動 部) (60) and electromagnetic clutches 6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orward / reverse rotation parts 60a and 60b of the transmission part 60 by applying power to the tack switches 41 and 42 ( See FIG. 1). In this configuration, the direction control means (6) is a power source applied by the left and right switches (41, 42), which is the steering direction detection means (4), the electric clutch 61 is connected to the drive unit (5) The torque direction of the drive unit 5 added to the steering shaft 2 is controlled by selectively connecting the forward rotation unit 60a or the reverse rotation unit 60b of the 60 to the steering shaft 2.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좌,우 발광소자(35,36)와 하나의 수광소자(37)로 이루어진 가변저항수단(3)은, 앞서의 일 실시예의 가변저항수단(3)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바, 조향휠(1)이 중립위치 즉 조향축(2)이 직진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출사공(35a,36a)과 입사공(37a)의 겹침구간이 없어 수광소자(37)의 수광량이 0 이 되므로 수광소자(37)가 무한대의 저항으로 증폭부(7)의 전원을 차단한다. 그리고, 조향휠(1)의 조작으로 입력축(2a)이 회전되는 경우, 출사공(35a,36a)과 입사공(3a)의 겹침구간이 생겨나면서 발광소자(35,36)의 빛이 수광소자(37)에 입사되고, 수광소자(37)는 그 수광량에 반비례하는 크기의 저항을 유도하여 증폭부(7)에 인가되는 전원에 가한다. 그와 동시에 조향방향 감지수단(4)이 노브(40)에 의해 동작하는 좌,우 택 스위치(41,42)로써 조향방향을 감지하면 방향제어수단(6)이 상기 좌,우 택 스위치(41,4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전자클러치(61)로써 전동부(60)의 정회전부(60a)와 역회전부(60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조향축(2)에 연결함으로써 조향축(2)에 부가되는 구동부(5)의 토오크 방향을 결정한다. 이에 증폭부(7)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부(5)가 입력축(2a) 회전각에 비례하는 크기의 토오크를 출력하여 방향제어수단(6)을 거쳐 조향축(2)에 그 조향축(2)의 회전방향으로 부가한다. 이상과 같은 작동을 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향토크 검출장치의 작용과 그에 따른 효과는 앞서의 일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variable resistance means 3 including the left and right light emitting elements 35 and 36 and one light receiving element 37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variable resistance means 3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the steering wheel 1 is in a neutral position, that is, the steering shaft 2 is in a straight position, there is no overlapping section between the exit holes 35a and 36a and the entrance hole 37a, so that the light receiving amount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37 is zero. Therefore, the light receiving element 37 cuts off the power supply of the amplifier 7 with infinite resistance. Then, when the input shaft (2a) is rotated by the steering wheel (1), the overlap section of the exit hole (35a, 36a) and the incident hole (3a) is generated,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35, 36) is received Incident on (37), the light receiving element 37 induces a resistance having a magnitud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received light and applies it to a power source applied to the amplifier 7. At the same time, when the steering direction detecting means 4 detects the steering direction by the left and right switches 41 and 42 operated by the knob 40, the direction control means 6 causes the left and right switches 41 to be detected. The electronic clutch 61 is operated by the power applied through any one of 42, and one of the forward rotation unit 60a and the reverse rotation unit 60b of the transmission unit 60 is selected to the steering shaft 2. By connecting, the torque direction of the drive part 5 added to the steering shaft 2 is determined. Accordingly, the driving unit 5 outputs torque of a magnitude proportional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input shaft 2a by the power applied from the amplifier 7, and passes through the direction control means 6 to the steering shaft 2 to the steering shaft 2. It is added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2). The operation and effects thereof of the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operates as described above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oregoing embodimen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광제어 방식의 가변저항수단(3)을 통해 증폭부(7)에 인가되는 전원의 저항과 전류는 입력축(2a)의 회전 변위에 따라서 도 6과 도 7에 나타난 그래프와 같이 변화되며, 그 증폭부(7)에서 증폭된 전원으로 구동하는 구동부(5)의 출력은 도 8의 그래프와 같이 변화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sistance and current of the power applied to the amplifier 7 through the variable resistance means 3 of the light control method is changed as shown in the graphs shown in Figs. 6 and 7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splacement of the input shaft 2a, The output of the driver 5 driven by the power amplified by the amplifier 7 is changed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에 따르면, 조향축의 입력축과 출력축의 상대 회전 변위량에 따라 정교하게 가변되는 가변저항을 통해 조향축에 가해진 조향휠의 토오크에 비례하는 전원을 증폭하여 구동부에 인가함으로써 구동부가 상기 입력축의 비틀림 각도 변화에 따라 아날로그식으로 민감하게 가변되는 출력으로 조향축에 토오크를 부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조향장치의 전동모터가 조향축에 대하여 그 조향축에 가해진 조향휠의 토오크에 비례하여 연속적으로 가변되는 토오크를 부가하게 할 수 있으므로 조향장치의 조향감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torque of the steering wheel applied to the steering shaft through a variable resistance that is elaborately variable according to the relative rotation displacement of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of the steering shaft. By amplifying a proportional power source and applying it to the driving unit, the driving unit can add torque to the steering shaft as an output that is sensitively changed analogously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torsion angle of the input shaft. Therefore, the electric motor of the steering apparatus can add a torque that is continuously variable in proportion to the torque of the steering wheel applied to the steering shaft with respect to the steering shaft, thereby improving the steering feeling of the steering apparatu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는 별도의 연산회로 없이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므로 연산오류로 인한 오동작 발생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제거, 조향장치의 안전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without a separate calculation circuit,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due to a calculation error,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steering device.

뿐만 아니라 그 구성이 매우 단순하여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차량의 경량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is very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it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weight reduction of the vehicle.

Claims (6)

조향휠이 장착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에 탄성수단을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입력축을 조향링크에 대하여 상대 회전 변위 가능하게 연결하는 출력축으로 이루어진 조향축에 대하여 토오크를 부가하는 구동부의 전원회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에 각각 설치되어, 그 입력축과 출력축사이의 비틀림에 의해 단락되며, 그 상대 회전 변위량에 반비례하는 저항을 인가하는 가변저항수단과;It is installed on the power circuit of the drive unit for adding torque to the steering shaft consisting of an input shaft on which the steering wheel is mounted and an output shaft coupled to the input shaft by means of elastic means so as to connect the input shaft in a relative rotational displacement with respect to the steering link. Variable resistance means each provided on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and short-circuited by a torsion between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and for applying a resistanc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relative rotational displacement amount; 상기 입력축의 상기 출력축에 대한 상대회전 방향을 감지하는 조향방향 감지수단과;Steering direction sensing means for sensing a relativ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input shaft relative to the output shaft; 상기 조향방향 감지수단의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부의 출력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제어수단과;Direction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an output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by a signal of the steering direction detecting means; 상기 가변저항수단의 단락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증폭하여 그 증폭된 전원을 상기 구동부에 인가하는 증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And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power applied by the short circuit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ans and applying the amplified power to the drive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변저항수단은The variable resistance means 상기 조향축의 출력축에 그 출력축의 회전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회전방향의 길이를 가지며 서로 대향하는 각 끝단이 상기 증폭부에 각각 연결되는 좌,우 가변저항체와;Left and right variable resistors installed on the output shaft of the steering shaft and spaced apar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output shaft, the left and right variable resistors having length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amplifying units, respectively; 상기 좌,우 가변저항체의 사이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의 입력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축 회전에 따라 상기 좌,우 가변저항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전원을 단락시키는 접촉자를 포함하여,A contactor installed on an input shaf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enter between the left and right variable resistors to selectively contact the left and right variable resistors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input shaft to short-circuit a power supply, 상기 가변저항체에 대한 접촉자의 접촉 위치에 따라 저항을 가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vary the resistance in accordance with the contact position of the contact with the variable resist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변저항수단은The variable resistance means 상기 조향축의 입력축에 그 입력축의 회전방향으로 이격된 좌,우 출사공 내에 설치되는 좌,우 발광소자와;Left and right light emitting devices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exit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input shaft of the steering shaft in a rotational direction of the input shaft; 상기 좌,우 출사공의 사이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의 출력축 상에 형성된 입사공 내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축의 회전에 따라 그 입사공과 선택적으로 겹쳐지는 상기 좌,우 출사공을 통해 투사되는 상기 좌,우 발광소자의 빛에 의해 전원을 단락시키고 그 수광량에 반비례하는 저항을 유도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The left and right project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exit hole installed in the entrance hole formed on the output shaft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between the left and right exit hole, and selectively overlaps the entrance hole with the rotation of the input shaft. A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comprising: a light receiving element for shorting the power by light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inducing a resistanc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제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가변저항수단에 의해 인가되어 상기 증폭부에 입력되는 전원에 대하여 주행속도에 비례하는 저항을 부가하는 속도가변저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And a speed variable resistor which adds a resistance proportional to the traveling speed with respect to the power applied by the variable resistance means and input to the amplifying unit. 제 1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조향방향 감지수단은,The steering direction detection means, 상기 출력축 상에 그 출력축의 회전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입력축에 설치되어 그 입력축과 함께 회전되는 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 그에 따른 신호를 상기 방향제어수단에 제공하는 좌,우 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The left and right switches are provided on the output shaft spaced apar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output shaft and selectively operated by a knob mounted to the input shaft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input shaft, thereby providing a signal to the direction control means.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comprising a.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방향제어수단은,The direction control means, 상기 좌,우 택 스위치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조향축에 정,역회전 방향을 선택하여 전달하는 정/역회전부를 갖는 전동부와,An electric motor having a forward / reverse rotation part configured to transfer the power of the driving part to the steering shaft by a power appli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switches, and to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directions; 상기 좌,우 택스위치의 전원 인가에 의해 상기 전동부의 정/역회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클러치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용 조향토오크 검출장치.A steering torque det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s an electromagnetic clutch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orward / reverse rotation part of the electric drive by applying power to the left and right switches.
KR10-2001-0014192A 2001-03-20 2001-03-20 Steering Torque Detecter For Power Steering Wheel KR1004026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192A KR100402684B1 (en) 2001-03-20 2001-03-20 Steering Torque Detecter For Power Steering Whe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192A KR100402684B1 (en) 2001-03-20 2001-03-20 Steering Torque Detecter For Power Steering Whe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520A KR20020074520A (en) 2002-10-04
KR100402684B1 true KR100402684B1 (en) 2003-10-22

Family

ID=27697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192A KR100402684B1 (en) 2001-03-20 2001-03-20 Steering Torque Detecter For Power Steering Whe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684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520A (en) 200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668B1 (en) Steer unit for steer-by-wire
US6847876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6691820B2 (en) Torque detecting apparatus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4811595B2 (en) Vehicle steering system
US20200070878A1 (en) Vehicle steering control system, vehicle and control method
JPH1178947A (en) Steering device for vehicle
KR100402684B1 (en) Steering Torque Detecter For Power Steering Wheel
JP2002154473A (en) Magnetic detecting type sensor
US20220379950A1 (en) Steer-by-wire type steering apparatus
KR100665543B1 (en) Torque detector with reflector for power steering system
KR100460035B1 (en) Steering system for automobile
JP2001260909A (en) Steering torque detecting device
JP2000074761A (en) Human power detecting method for human power assisting power unit
JP4321809B2 (en) Vehicle transmission mechanism
JP2000146720A (en) Potentiometer of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KR960012232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handling force of steering system
JP3079967B2 (en) Vehicle steering system
JPH0717635Y2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NL1020453C2 (en) Torque sensor device for use in e.g. motor vehicle, comprises sensors for measuring deformation of part mounted between casing and fixed base
JPH10132672A (en) Torque sensor, and power-steering device
KR20210002909A (en) Torque bar angle sensor and torque for MDPS
JP3655357B2 (en) Rudder angle detection mechanism
JP2003146230A (en) Steering device
JPH09323661A (en) Vehicle steering apparatus
KR20050081732A (en) Torque detector for power stee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