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442B1 - 초고속 분광 타원계 - Google Patents

초고속 분광 타원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442B1
KR100395442B1 KR10-2001-0079681A KR20010079681A KR100395442B1 KR 100395442 B1 KR100395442 B1 KR 100395442B1 KR 20010079681 A KR20010079681 A KR 20010079681A KR 100395442 B1 KR100395442 B1 KR 100395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olarization state
parallel
polarization
colli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9473A (ko
Inventor
김상준
김상열
Original Assignee
(주)엘립소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립소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엘립소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1-0079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442B1/ko
Publication of KR20030049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4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4/00Measuring polarisation of light
    • G01J4/04Polarimeters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01B11/06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of coating
    • G01B11/064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of coating with measurement of polariz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05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optical manifolds, diffusers, windows
    • G01J3/0208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optical manifolds, diffusers, windows using focussing or collimating elements, e.g. lenses or mirrors; performing aberration corr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28Investigating the spectrum
    • G01J3/2889Rapid scan spectrometers; Time resolved spectromet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metry And Color Measure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속 분광 타원계에 관한 것으로서, 백색광을 발생하는 광원(light source); 백색광을 입사받아 집속시키는 제 1 평행 시준부(collimation); 집속광을 입사받아 편광시키는 편광상태 발생기(polarization state generator); 주어진 편광상태의 광을 입사받아 편광상태를 변환시켜 반사하는 시료(sample); 변화된 편광상태 광을 입사받아 평행광으로 변환하는 제 2 평행 시준부(collimation); 평행광을 입사받아 스톡스 벡터로 표현되는 편광 상태로 분리시키는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 분리된 편광상태 광을 광섬유(optical fiber)를 통하여 입사받아 분광시키고 분광된 광량을 측정하는 분광기/광다이오드 배열(spectrograph/PD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광학장비가 제공하는 진폭정보에 위상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뿐 만 아니라, 기존의 단파장 초고속 타원계에는 결여되어 있는 분광 능력을 가지며, OMA를 사용하는 회전편광자 방식의 고속 분광타원계와 비교하여 시간분해능을 수 밀리초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초고속 분광 타원계{ULTRA HIGH SPEED SPECTROSCOPIC ELLIPSOMETER}
본 발명은 밀리초(ms)의 측정시간을 갖는 초고속 분광 타원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ivision-of-amplitude photopolarimeter, DOAP)와 분광기(Spectrograph)에 장착된 광다이오드 배열(Photodiode Detector Array; PDA)를 이용하여 수 밀리초내에서 일어나는 광학적 진폭과 위상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초고속 분광 타원계에 관한 것이다.
타원계는 빛의 편광상태 변화를 측정하여 빛의 세기에 관한 정보 및 빛의 위상에 관한 정보를 동시에 획득하는 타원법(ellipsometry)이라 불리는 측정방법을 사용한다.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얻음으로 인한 여러 가지 장점들 중에서 빛을 흡수하는 물질의 경우 그 물질의 복소굴절율을 동시에 결정할 수 있는 장점과 박막이 있는 시료의 경우 그 박막 두께를 극히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하여 최근 반도체 공정 혹은 물질의 물성 및 두께를 측정하는 기기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타원계는 회전 검광자(회전 편광자) 방식이나 회전 보정기 방식 또는 위상 변조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PCSA계 타원계의 기본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PCSA계 타원계는 광원, 편광자, 보정기, 시료, 검광자 및 광측정기로 구성되며, 편광자,보정기, 검광자의 방위각은 x축을 기준으로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한다.
도 2는 종래의 위상변조를 이용하는 타원계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위상변조를 이용하는 타원계는 광원(source), 편광자(polarizer), 광탄성 변조기(photoelastic modulator), 시료(sample), 검광자(analyser), 분광기(monochromator), 광측정기(detctor), 광섬유(optic fiber) 및 컴퓨터로 구성되며, 편광자를 통과한 빛은 광탄성 위상 변조기에 의해 변조된 후 시료 표면에서 반사하고 검광자를 통과한다.
회전 검광자 방식이나 위상변조방식의 타원계는 모터를 이용하여 검광자(편광자)나 보정기를 회전시키거나 압전소자에 변조전압을 가하여 위상을 변조시키므로 하나의 타원상수쌍 (Δ,Ψ)를 얻는데 수십 ㎲ - 수십 ms의 측정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분광을 하는 경우 분광기를 움직여 각 파장에서의 타원상수쌍(Δ,Ψ)을 구하기 때문에 수 - 수십 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속 분광타원계로써 회전 편광자 방식에 광학 다채널 배열(Optical Multichannel Analyzer; OMA)를 사용하는 방식도 Hadamard변환을 사용하여 광학 4분 주기마다 광량적분을 하여야 하므로 하나의 분광타원 데이터를 구하는데 수백 밀리초(ms)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변조방식에 기초하는 종래의 분광타원계가 전체 분광영역에서 타원상수쌍(Δ,Ψ)를 얻는데 대개 수 - 수십 분의 측정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 방식들을 이용해서는 12" c-Si 웨이퍼 처럼 넓은 면적에 올라간 물질들의 2차원 두께분포 등을 구하는 데는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넓은 면적에 걸친 박막의 두께 분포를 찾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단파장의 타원계인 경우에는, 수 ms의 시간 분해능을 확보할 수 있지만, 물질의 굴절율을 미리 알고 있어야 하며 다층 박막시료에는 적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안된 것으로, 기계적 변조방식이나 전기적 변조방식 또는 간섭방식에 바탕을 둔 기존의 편광상태 측정 개념을 탈피하여 새로운 원리에 바탕을 둔 초고속 분광 타원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PCSA계 타원계의 기본 구조도.
도 2는 위상변조를 이용하는 타원계의 개략 구조도.
도 3은 90도의 위상 지연 각도를 가지는 위상지연자와 선편광자를 사용하여 스톡스 변수를 측정하는 전형적인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OAP를 이용한 초고속 분광 타원계의 개략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의 기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 상태 발생기의 구성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평행 시준부(광집속부)의 구성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평행 시준부(평행광부)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장별로 시료면에서 반사한 빛의 편광 상태를 초고속으로 측정하기 위한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와 분광기/광다이오드 배열(Spectrograph/PDA)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광원 110... 시료
120... 광섬유 200... 제 1 평행 시준부
250... 제 2 평행 시준부 300... 편광 상태 발생기
400...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 500... 분광기/광다이오드 배열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초고속 분광 타원계는, 백색광을 발생하는 광원(light source); 상기 광원으로부터 백색광을 입사받아 집속시키는 제 1 평행 시준부(collimation); 상기 제 1 평행 시준부로부터 집속광을 입사받아 편광시키는 편광 상태 발생기(polarization state generator); 상기 편광 상태 발생기로부터 편광 상태 광을 입사받아 편광상태를 변환하여 반사하는 시료(sample); 상기 시료로부터 반사된 편광상태 광을 입사받아 평행광으로 변환하는 제 2 평행 시준부(collimation); 상기 제 2 평행 시준부로부터 평행광을 입사받아 스톡스 벡터로 표현되는 편광 상태로 분리하는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 상기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로부터 분리된 평광상태 광을 광섬유(optical fiber)를 통하여 입사받아 분광시키고 분광된 광량을 측정하는 분광기/광다이오드배열(spectrograph/PD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평행 시준부(collimation)는 광원에서 방출하는 백색광을 집속하여 시료면에서의 직경이 1-2 mm정도의 크기가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볼록렌즈와 적어도 하나의 오목렌즈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평행 시준부(collimation)는 시료면에서 반사된 후 발산하는 광속을 평행광으로 변환시켜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로 입사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볼록렌즈와 적어도 하나의 오목렌즈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편광 상태 발생기(polarization state generator)는 상기 제1 평행 시준부(collimatiom) 에서 입사된 집속광을 입사 받아 A의 편광작용하는 편광자(polarizer);
상기 편광자의 편광 광을 입사받아의 위상 지연하여 B의 편광작용하는 위상 지연자(retard);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는 상기 제 2 평행 시준부(collimation)에서 입사된 평행광을 반사광과 투과광으로 분리하는 광분할기(BP); 상기 분리된 반사광과 투과광을 각각 입사받아 편광 분리 작용하는 울라스톤 프리즘(WP); 상기 분리된 직선 편광 각각의 광량을 측정하는 광량 측정기(detecto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지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1852년 스톡스(Stokes)에 의해 제안된 스톡스변수(Stokes parameter)는 빛의 편광상태를 기술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도구이다. 빛의 진행 방향을 z축으로 설정할 때, x, y방향으로 진동하는 두 직교하는 전기장 성분인 Ex 와 Ey 의 시간에 따른 평균값으로 스톡스변수를 나타낸다.
즉 전기장이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시간의 변수로 주어질 때,
편광상태는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타원의 방정식으로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δ= δx -δy는 위상차를 나타낸다.
상기 타원 방정식은 대개 한 주기의 시간동안 평균을 취한 형태로 표현되며 이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아래 수학식 3과 같다.
또한, x, y 방향으로 직교하는 두 전기장성분으로부터 편광을 나타내는 4개의 스톡스변수는 각각 아래 수학식 4와 같이 정의된다.
이 4개의 스톡스변수는 완전 편광상태 뿐만이 아니라 무편광이나, 부분편광 등의 일반적인 편광상태도 분명하게 기술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스톡스변수를 결정함으로써 임의의 편광상태를 완전하게 기술할 수 있다. 스톡스변수를 측정하는 한가지 전형적인 방법으로 90°의 지연각을 갖는 위상지연자와 선편광자를 이용한다.
도 3은 90도의 위상 지연 각도를 가지는 위상지연자와 선편광자를 사용하여 스톡스 변수를 측정하는 전형적인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과 같은 배치에서 위상지연자의 빠른축이 x축과 φ의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φ는 위상지연자의 방위각), 빠른축과 느린축의 위상지연각도를 90˚라 한다.
선편광자의 투과축이 x축과 이루는 각도인 방위각이 θ이며 위상지연자에 입사하는 빛의 전기장이 수학식 1과 같을 때 선편광자를 통과한 빛의 세기는 아래 수학식 5와 같다.
스톡스변수를 사용하면, 이 빛의 세기를 4개를 아래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위상지연자의 방위각과 선편광자의 방위각을 바꾸어가며 측정한 빛의 세기로써 스톡스변수를 결정할 수 있다.
몇 가지 간단한 방위각의 조합으로 스톡스변수를 결정하는 한가지 방법을 아래 수학식 7로 제시한다.
위상지연자와 선편광자를 사용하는 방법 외에도 스톡스변수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진폭분할 편광측정기(Division-of-amplitude photopolarimeter, DOAP)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를 이용한 스톡스변수 결정방법은 아래 도5에서 상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를 이용한 초고속 분광 타원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DOAP를 이용한 초고속 분광 타원계는 광원(light source)(100), 제 1 평행 시준부(collimation)(200), 편광 발생기(polarization state generator)(300), 시료(sample)(110), 제 2 평행 시준부(collimation)(250),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400), 광섬유(optical fiber)(120), 분광기/광다이오드 배열(spectrograph/PDA)(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제 1 평행 시준부(collimation)(200)는 광집속 기능을 수행하는 광집속부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고, 제 2 평행 시준부(collimation)(250)는 입사광을 평행 광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평행광부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한다.
먼저 Xe-Arc Lamp을 광원(100)으로하여 발생시킨 백색광을 편광 상태 발생기(300)의 편광자와 색지움 위상지연자를 통과시켜 원하는 임의의 편광상태로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백색광은 광집속부(200)를 사용하여 시료(110)면에서 1-2 mm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집속시킨다. 시료(110)에 입사되는 이 집속광은 시료(110)에서 반사되면서 시료(110)의 굴절율과 두께 등의 영향으로 그 편광상태가 바뀌게 된다.
이 변화된 편광상태의 광은 다시 평행광부(250)를 거쳐 평행광으로 바뀐 후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400)로 들어가게 된다.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400)에 들어간 광은 광분할기(Beam Splitter, BS)(410)와 편광 분할기를 거치면서 스톡스벡터로 표현되는 편광상태로 분리가 되고 분리된 각각의 광속은 광섬유(120)를 통하여 분광기(Spectrograph)(512, 522, 532, 542)에 입사되고 분광된 다음, 광다이오드 배열(PDA)(514, 524, 534, 544)로 들어가 각 파장에서의 광량을 제공하게 된다. 이렇게 구해진 분광 광량정보는 컴퓨터(도시되지 않음)에서 반사광의 편광상태를 구하는데 사용되고 궁극적으로는, 분광 타원 상수쌍 (Δ,Ψ)λ으로 바뀌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400)를 이용한 초고속 분광 타원계의 구성요소를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의 기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400)는 1개의 BS(410)와 2개의 WP(420. 430) 및 4개의 광량 측정기(514, 524, 534, 5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분할기(Beamsplitter, BS)(410)는 입사한 빛을 반사광와 투과광으로 나누는 구성요소이고, 울라스톤 프리즘(Wollaston prism, WP)(420, 430)은 분리된 각각의 빛을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직선편광으로 다시 나누어주는 구성요소로서,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400)를 구성하는 핵심 편광소자이다.
광분할기(410)를 지나며 분리된 빛은 각각 울라스톤 프리즘(420, 430)을 통과하며 4개의 서로 다른 편광상태의 빛으로 나누어지며, 4개의 광량 측정기(514, 524, 534, 544)는 이들의 세기를 측정한다.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400)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스톡스변수를 구할 수 있다. 광분할기(410)로 입사하는 빛의 편광상태를 나타내는 스톡스벡터를, 광분할기(410)에 의하여 갈라진 빛 중 반사된 빛의 스톡스벡터과 투과한 빛의 스톡스벡터는 광분할기(410)의 반사특성 Mueller 행렬인과 투과특성 Mueller 행렬인을 사용하여 아래 수학식 8과 같이 쓸 수 있다.
한편 방위각이 θ인 이상적인 선편광자(310)의 편광작용을 나타내는 Mueller 행렬에서 첫 번째 행으로 만들어진 벡터는 아래 수학식 9와 같다.
따라서, 시료(110)면에서 반사한 빛이 광분할기(410)를 통과한 뒤 각각 θ1, θ2의 방위각을 갖는 울라스톤 프리즘(420. 430)을 통과하게 되면 각각의 광량측정기(514, 524, 534, 544)에서 검출되는 빛의 세기는 아래 수학식 10과 같다.
이식은 다시 아래 수학식 11과 같이 광분할기(410)와 2개의 울라스톤 프리즘(420, 430)의 편광작용을 나타내는 특성행렬 4x4의 특성행렬의 곱의 형태로 쓸 수 있다.
여기서 특성행렬의 성분은 아래 수학식 12와 같다.
단, j = 1,2,3,4이다. 마지막으로 수학식 11을 역변환하여 입사광의 스톡스벡터에 관한 표현을 구하면 아래 수학식 13과 같다.
행렬은 구성하는 편광소자인 광분할기(410)와 울라스톤 프리즘(420, 430)의 Mueller 행렬로부터 바로 계산할 수 있다. 즉 광분할기(410)와 울라스톤 프리즘(420, 430)의 Mueller 행렬을 각각이라 하면행렬을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고속 분광 타원계는 기계적으로 회전시키거나 전기적으로 위상을 변조하는 등의 능동적 편광소자에 의존하지 않고 정적인 편광소자를 통과하는 빛의 편광상태를 측정하는 수동적 방법이기 때문에 데이터 획득속도는 빛의 세기를 측정하는 광량 측정소자의 반응시간과 측정된 광세기를 A/D변환하는 신호처리 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단파장이 아닌 분광타원 데이터를 초고속으로 구하기 위해서는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400)에서 나뉘어진 4개의 광속을 초고속으로 분광측정을 할 수 있는 광측정장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는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400)에서 방출되는 4개의 광속을 각각 광섬유(120)를 통과시켜 분광기(Spectrograph)(512, 522, 532, 542) 및 광다이오드(514, 524, 534, 544) 배열을 거치게 한다.
도 6은 편광 상태 발생기(Polarization-State Generator, PSG)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편광 상태 발생기(300)는 선편광자(310)와 위상지연자(320)로 구성된다.
선편광자(310)는 그 편광작용을 아래 수학식 1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λ/4의 위상지연을 나타내는 위상 지연자(320)의 편광작용은 아래 수학식 15와 같이 나타난다.
선편광자(310)와 λ/4 위상지연자(320)를 차례로 통과한 빛의 편광상태는 아래 수학식 16과 같다.
여기서 P는 선편광자(310)의 방위각을, C는 위상지연자(320)의 빠른축과 선편광자(310)가 이루는 각도를 각각 가리킨다.
따라서, 하나의 단결정 편광자와 하나의 색지움 위상지연자를 이용하여 넓은파장 대역에서 원하는 임의의 편광 상태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a는 제 1 평행 시준부(광집속부)의 구성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광집속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렌즈와 적어도 하나의 오목렌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광학계이다.
광원(100)에서 방출되며 발산하는 백색광을 집속시켜 시료(110)면에서의 직경이 1-2 mm정도의 크기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광집속부(200)는 두개의 볼록렌즈(202, 204)와 하나의 오목렌즈(206)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b는 제 2 평행 시준부(평행광부)(250)의 구성도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평행광부(250)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렌즈와 적어도 하나의 오목렌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광학계이다.
시료(110)면에서 반사된 후 발산하는 광속을 평행광으로 변환시켜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400)로 입사하기 위하여, 평행광부(250)는 두개의 볼록렌즈(202, 204)와 하나의 오목렌즈(206)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파장별로 시료면에서 반사한 빛의 편광 상태를 초고속으로 측정하기 위한 진폭분할 편광측정기(Division-of-amplitude photopolarimeter, DOAP)와 분광기/광다이오드 배열(Spectrograph / Photodiode Detector Array, Spectrograph/PDA)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와 분광기/광다이오드배열(Spectrograph/PDA)(500)을 이용한 빛의 편광상태 측정과정을 살펴보면, 평행광부(250)에 의해 평행광으로 바뀐 광은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400)로 입사된다.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400)에서는 광 분할기(Beam Splitter; BS)(410)에 의해 반사광과 투과광으로 분리된 후 반사광과 투과광은 각각 편광 분할작용을 하는 울라스톤 프리즘(Woollaston Prism, WP)(420, 430)에 의해 직교하는 두개의 직선편광으로 분리된다.
이렇게 최종적으로 분리된 4개의 직선편광들은 각각 분광기(512, 522, 532, 542)에 장착된 광다이오드 배열(514, 524, 534, 544)으로 들어가 각 편광상태별, 각 파장별 광량을 측정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지 의미의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고속 분광 타원계는 기존의 광학장비가 제공하는 진폭정보에 위상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뿐 만 아니라, 기존의 단파장 초고속 타원계에는 결여되어 있는 분광 능력을 가지며, OMA를 사용하는 회전편광자 방식의 고속 분광타원계와 비교하여 시간분해능을 수 밀리초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고속 분광 타원계는 수 밀리초의 시간 간격으로 분광 타원 데이터를 제공하므로 초고속 분광 복소굴절율 변화를 수반하는 많은 동적기구를 연구하는데 적합한 도구가 될 수 있고, 다층박막 시료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 등을 필요로 하는 반도체, 평판형 영상표시, 광학 박막성장 및 식각 등의 관련 산업체에서의 품질 관리 및 제어, 제품의 수율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백색광을 발생하는 광원(light source);
    상기 광원으로부터 백색광을 입사받아 집속하는 제 1 평행 시준부(collimation);
    상기 제 1평행 시준부로부터 집속광을 입사받아 편광시키는 편광상태 발생기(polarization state generator);
    상기 편광 상태 발생기로 부터 편광상태의 광을 입사받아 편광상태를 변환하여 반사하는 시료(sample);
    상기 시료로부터 반사된 편광상태의 광을 입사받아 평행광으로 변환하는 제 2 평행 시준부(collimation);
    상기 제 2 평행 시준부로부터 평행광을 입사받아 스톡스 벡터로 표현되는 편광 상태로 분리하는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
    상기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로부터 분리된 편광상태 광을 광섬유(optical fiber)를 통하여 입사받아 분광시키고 분광된 광량을 측정하는 분광기/광다이오드 배열(spectrograph/PDA);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초고속 분광 타원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행 시준부(collimation)는
    광원에서 방출하는 백색광을 집속하여 시료면에서의 직경이 1-2 mm정도의 크기가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볼록렌즈와 적어도 하나의 오목렌즈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초고속 분광 타원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평행 시준부(collimation)는
    시료면에서 반사된 후 발산하는 광속을 평행광으로 변환하여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로 입사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볼록렌즈와 적어도 하나의 오목렌즈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초고속 분광 타원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상태 발생기(polarization state generator)는
    상기 제1 평행 시준부(collimation) 에서 입사된 집속광을 입사 받아 A의 편광작용하는 선편광자(polarizer);
    상기 선편광자의 편광을 입사받아의 위상 지연하여 B의 편광작용하는 색지움 위상 지연자(achroamtic retarder);
    를 포함하는 초고속 분광 타원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분할 편광 측정기(DOAP)는
    상기 제 2 평행 시준부(collimation)에서 입사된 평행광을 반사광과 투과광으로 분리하는 광분할기(BP);
    상기 분리된 반사광과 투과광을 각각 입사받아 편광 분리 작용하는 복수개의 울라스톤 프리즘(WP);
    상기 분리된 직선 편광 각각의 광량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광량 측정기(detector);
    를 포함하는 초고속 분광 타원계.
KR10-2001-0079681A 2001-12-15 2001-12-15 초고속 분광 타원계 KR100395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681A KR100395442B1 (ko) 2001-12-15 2001-12-15 초고속 분광 타원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681A KR100395442B1 (ko) 2001-12-15 2001-12-15 초고속 분광 타원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473A KR20030049473A (ko) 2003-06-25
KR100395442B1 true KR100395442B1 (ko) 2003-08-21

Family

ID=29575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681A KR100395442B1 (ko) 2001-12-15 2001-12-15 초고속 분광 타원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54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379B1 (ko) * 2006-04-16 2007-09-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소 광량 조절형 다중채널 분광 타원해석기
KR100757378B1 (ko) * 2006-04-16 2007-09-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Led를 이용한 현미경 타원해석기
KR101112037B1 (ko) * 2009-03-25 2012-02-14 (주)에이치엔씨 소방 장비 세척기구 및 이를 이용한 감염방지장치
CN103776445B (zh) * 2014-02-24 2017-01-04 北京理工大学 分振幅偏振导航角度传感设计方法及装置
RU2583959C1 (ru) * 2015-03-24 2016-05-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физики им. Л.В. Киренского Сибирского отд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атрицы мюллера
KR102550690B1 (ko) 2018-05-28 202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원해석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9357A (en) * 1986-03-06 1994-07-12 Sopra-Societe De Production Et De Recherches Appliquees Spectroscopic ellipsometry apparatus including an optical fiber
US5373359A (en) * 1992-09-18 1994-12-13 J. A. Woollam Co. Ellipsometer
US5596411A (en) * 1994-10-21 1997-01-21 Therma-Wave, Inc. Integrated spectroscopic ellipsome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9357A (en) * 1986-03-06 1994-07-12 Sopra-Societe De Production Et De Recherches Appliquees Spectroscopic ellipsometry apparatus including an optical fiber
US5373359A (en) * 1992-09-18 1994-12-13 J. A. Woollam Co. Ellipsometer
US5596411A (en) * 1994-10-21 1997-01-21 Therma-Wave, Inc. Integrated spectroscopic ellipso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473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4377B1 (ko) 분광 엘립소미터
US7265830B2 (en) Fourier Transform spectrometer apparatus using multi-element MEMS
US45897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s
CN104568765B (zh) 一种微型化光谱椭偏仪装置和测量方法
US6744509B2 (en) Retardance sweep polarimeter and method
CN112236666A (zh) 瞬时椭偏仪或散射仪及相关测量方法
US10634607B1 (en) Snapshot ellipsometer
KR20130038808A (ko) 편광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798957B1 (ko) 고속분광편광 측정장치 및 방법
CN103471992A (zh) 一种光谱椭偏仪中氙灯光源的光强平滑处理装置及方法
EP1947445B1 (en) System and process for analysing a sample
US11264256B2 (en) Wafer inspection apparatus
CN108332945A (zh) 一种光栅衍射效率测试系统及方法
CN111208067A (zh) 光谱-偏振成像测量系统
KR100395442B1 (ko) 초고속 분광 타원계
US7440108B2 (en) Imaging spectrometer including a plurality of polarizing beam splitters
US20230266233A1 (en) System for measuring thickness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in film using spatial light modulator
US3520615A (en) Optical phase measuring apparatus
US7515262B2 (en) Crystal grating apparatus
KR102016452B1 (ko) 타원해석기
CN110763633A (zh) 一种大量程成像式双折射分布测量装置及方法
US11391666B1 (en) Snapshot ellipsometer
KR102316503B1 (ko) 동축 분광 이미징 엘립소미터
JPH11101739A (ja) エリプソメトリ装置
RU2749149C1 (ru) Двухсторонний скоростной эллипсомет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