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448B1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448B1
KR100392448B1 KR10-2001-0002460A KR20010002460A KR100392448B1 KR 100392448 B1 KR100392448 B1 KR 100392448B1 KR 20010002460 A KR20010002460 A KR 20010002460A KR 100392448 B1 KR100392448 B1 KR 100392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item
unit
display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4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61404A (en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2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2448B1/en
Publication of KR20020061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4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448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신호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절항목을 표시하는 항목표시부와; 상기 항목표시부에서 표시된 상기 조절항목의 변환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변환입력부와, 상기 변환입력부로부터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항목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조절항목으로부터 원하는 조절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조절선택부를 갖는 항목선택부와; 상기 항목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상기 조절항목에 기초하여 조절값을 입력하는 조절값입력부와; 상기 항목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상기 조절항목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조절값입력부를 통해 조절된 상기 조절항목의 조절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상태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별도의 하드웨어 설치없이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만으로 보다 효율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hav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as an imag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n item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one adjustment item for adjusting a display state of the display unit; An item having a conversion input unit for selecting whether or not to convert the adjustment item displayed on the item display unit, and an adjustment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desired adjustment item from the adjustment item displayed on the item display unit based on an input value from the conversion input unit A selection unit; An adjustment value input unit which inputs an adjustment value based on the adjustment item selected through the item selection unit;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adjustment item selected through the item selection uni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adjust a display state of the display unit based on an adjustment value of the adjustment item adjusted through the adjustment value input unit. As a result, a more efficient interface can be provided by only upgrading the software without installing additional hardware.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변 가능한 조절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apparatus having a variable adjustment uni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디스플레이장치는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연결되어 컴퓨터측에서 입력된 비디오신호에 의해 화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기능을 가진다. 최근 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기능과 함께 컴퓨터에서 발생된 화상신호에 관한 정보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정보를 조절하기 위한 OSD와, 디스플레이장치의 특정기능이 고정되어 있는 조절키를 갖는다. 조절키는 일반적으로 다이렉트키(Direct Key)라고 불리며, 하나의 특정 디스플레이 조절기능이 마련되어 있다.The display apparatus generally has a display function connected to a computer and outputting an image by a video signal input from the computer side. Recently, a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based on an input signal, an OS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bout an image signal generated by a computer and information about the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key to which a specific fun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fixed. Has Control keys are commonly referred to as Direct Keys and have one specific display control function.

도 5는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상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는, 도시 않은 신호입력부에서 입력된 비디오신호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0)를 갖는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의 표시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가 마련되어 있다. 조절부(107)에는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기능과 함께 컴퓨터에서 발생된 화상신호에 관한 정보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정보를 조절하기 위한 OSD선택부(108,109)와, 디스플레이장치의 특정기능이 고정되어 있는 조절키(111)가 마련되어 있다. OSD선택부(109)는 OSD메뉴가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면 상하좌우방향으로의 조절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키인 다이렉트키는 어느 특정 디스플레이기능을 OSD를 통하지 않고 바로 억세스하여 조정할 수 있는 조정자를 말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의 브라이트니스(113)와 콘트라스트(113)를 조절하는 조절키(111)이다.5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a conventional display apparatus. As shown in this figure, a conventional display apparatus has a display unit 120 for displaying an image based on a video signal input from a signal input unit (not shown). The display apparatus is provided with a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display state of the display unit. The adjustment unit 107 includes a display function for displaying an image based on an input signal, and OSD selection units 108 and 109 for adjusting information about an image signal generated by a computer and information about a display device, and specifying a display device. An adjustment key 111 having a fixed function is provided. The OSD selector 109 may adjust the adjustment function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the OSD menu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Control keys, direct keys, are controllers that allow you to access and adjust any particular display function directly without using the OSD. For example, an adjustment key 111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113 and the contrast 113 of the display devic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는, 다이렉트키는 한 기능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다른 기능을 그 코드, 즉 특정 조정기능에 연결시킬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기기가 발전할수록 멀티미디어 기능의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조정할 수 있는 메뉴도 많아지고 사용자가 자주 쓰는 기능도 고정적이지 않을 여지가 많아졌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에 많이 사용되는 기능을 디스플레이부의 조절부에 할당하는 것은 제작단계에서 제작자의 임의대로 정하여 설정시키는 것임으로써 개개의 사용자의 특성에 맞추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the direct key is fixedly connected to one function, so that another function cannot be connected to the code, that is, a specific adjustment function. In particular, as the development of display devices increases, the importance of multimedia functions increases, so there are more menus that can be adjusted and more frequently used functions are not fixed. Therefore, assigning a function frequently used in a display device to an adjustment part of a display unit is to set a user's arbitrarily in the production stage and thus does not fi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users.

또한,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취향, 직업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조절하는 기능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처음 설치하여 사용할 때와 장시간의 사용기간이 경과된 후의 사용기능이 변할 수 있음으로써 일방적으로 조절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설정된 기능의 활용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occupation, and the like, and the use function may change when the display device is first installed and used and after a long period of use. If the control function is set unilaterally, the usability of the set function may be somewhat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기능이 고정 설정된 조절부의 기능을 가변적으로 만들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hich can make a function of a control unit in which a specific function is fix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럭도,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따른 제어흐름도,2 is a control flow chart 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of FIG.

도 3은 도 2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표시상태도,3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저장부에 조절항목 저장에 따른 제어흐름도,Figure 4 is a control flow chart according to the storage of the adjustment items in the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상태도이다.5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a conventional display apparatus.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 신호입력부 3 : 항목표시부1: Signal input part 3: Item display part

5 : 항목선택부 7 : 변환입력부5: Item selector 7: Conversion input unit

9 : 조절선택부 11 : 조절값입력부9: Adjustment selector 11: Adjustment value input unit

13 : 저장부 15 : 제어부13: storage unit 15: control unit

20 : 다스플레이부 21 : OSD부20: display unit 21: OSD unit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비디오신호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절항목을 표시하는 항목표시부와; 상기 항목표시부에서 표시된 상기 조절항목의 변환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변환입력부와, 상기 변환입력부로부터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항목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조절항목으로부터 원하는 조절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조절선택부를 갖는 항목선택부와; 상기 항목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상기 조절항목에 기초하여 조절값을 입력하는 조절값입력부와; 상기 항목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상기 조절항목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조절값입력부를 통해 조절된 상기 조절항목의 조절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조절기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apparatus hav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as an image, comprising: an item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one adjustment item for adjusting a display state of the display unit; An item having a conversion input unit for selecting whether or not to convert the adjustment item displayed on the item display unit, and an adjustment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desired adjustment item from the adjustment item displayed on the item display unit based on an input value from the conversion input unit A selection unit; An adjustment value input unit which inputs an adjustment value based on the adjustment item selected through the item selection unit;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adjustment item selected through the item selec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an adjustment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based on an adjustment value of the adjustment item adjusted through the adjustment value input unit.

상기 항목선택부는 상기 항목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조절항목의 위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조절키인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It is more effective that the item selector is a position adjusting key that enables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adjustment item displayed on the item display part.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라, 상기 목적은, 비디오신호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절항목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단계에서 표시된 상기 조절항목의 변환여부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 여부 선택값에 기초하여 상기 조절항목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조절항목 에 기초하여 조절값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조절항목과 상기 선택된 조절 항목에 기초하여 상기 조절값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조절값에 기초하여 상기 조절항목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 is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hav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as an image,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t least one adjustment item for adjusting a display state of the display unit; Wow; Selecting whether to convert the adjustment item displayed in the display step; Selecting the adjustment item based on the conversion selection value; Inputting an adjustment value based on the selected adjustment item; Storing the adjustment value based on the selected adjustment item and the selected adjustment item; It is also achieved by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adjusting the adjustment item based on the adjustment valu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디스플레이장치는, 비디오신호를 입력하는 신호입력부(1)와, 신호입력부(1)에서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를 갖는다. 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20)의 표시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절항목을 표시하는 항목표시부(3)와, 항목표시부(3)에서 표시된 조절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항목선택부(5)와, 항목선택부(5)를 통해 선택된 조절항목에 기초하여 조절값을 입력하는 조절값입력부(11)를 갖는다.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is figure, the present display apparatus has a signal input unit 1 for inputting a video signal and a display unit 20 for displaying an image based on th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input unit 1.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n item display unit 3 for displaying at least one adjustment item for adjusting the display state of the display unit 20, and an item selection unit 5 for selecting an adjustment item displayed on the item display unit 3. And an adjustment value input unit 11 for inputting an adjustment value based on the adjustment item selected through the item selection unit 5.

또한, 본 디스플레이장치는 항목선택부(5)를 통해 선택된 조절항목을 저장하는 저장부(13)와, 조절값입력부(11)를 통해 조절된 조절항목의 조절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0)의 표시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15)를 갖는다. 항목선택부(5)는 조절항목의 변환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변환입력부(7)와, 변환입력부(7)로부터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항목표시부(3)에 표시된 조절항목으로부터 원하는 조절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조절선택부(9)를 갖는다. 항목선택부(5)에는 OSD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OSD메뉴표시부(10)가 더 마련되어 있으며, OSD메뉴표시부(10)를 통해 OSD메뉴선택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15)는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상에 OSD부(21)를 표시한다. 본건에서 조절값입력부(11)는 다이렉트키(DK1,DK2,DK3..., 도 3 참조)로 실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apparatus may include a storage unit 13 storing an adjustment item selected through the item selection unit 5, and a display unit 20 based on the adjustment value of the adjustment item adjusted through the adjustment value input unit 11. And a control unit 15 for controlling the display state of. The item selection unit 5 selects a desired adjustment item from the adjustment input unit 7 for selecting whether to convert the adjustment item and the adjustment items displayed on the item display unit 3 based on the input value from the conversion input unit 7. It has an adjustment selector 9 for the purpose. The item selector 5 further includes an OSD menu display unit 10 for selecting an OSD menu. When the OSD menu selection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OSD menu display unit 10, the controller 15 controls the display unit 20. The OSD unit 21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is case, the adjustment value input part 11 is implemented with the direct keys DK1, DK2, DK3 ..., see FIG.

이하에서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따른 제어흐름도인 도 2와, 도 2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표시상태도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디스플레이장치에는 복수의 조절값입력부(11; 11a,11b,11c)즉, 다이렉트키(DK1(11a),DK2(11b),DK3(11c)...)와, 다이렉트키(11a,11b,11c...)에 대응하는 저장부(13;13a,13b,13c, 13d...)가 마련되어 있다. 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사용자가 조절선택부(9)를 통해 조절항목의 변환여부가 선택되면(S21), 선택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0)에 조절항목이 표시된다(S23). 디스플레이부(20)에 조절항목이 표시되면, 표시된 조절항목 중 사용자가 원하는 조절항목을 선택한다(S25). 사용자에 의해 조절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조절항목에 기초하여 조절값입력부(11a,11b,11c)를 통해 조절값을 입력한다(S27). 조절값이 입력되면 입력된 조절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0)의 표시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S29).Hereinafter, a control flow diagram 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of FIG. 1 and FIG.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adjustment value input units 11 (11a, 11b, 11c), namely direct keys (DK1 (11a), DK2 (11b), DK3 (11c) ...) and And storage units 13; 13a, 13b, 13c, 13d ... corresponding to the direct keys 11a, 11b, 11c ... are provided. When the user selects whether to convert the adjustment item through the adjustment selection unit 9 in the display device (S21), the adjustment item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based on the selection value (S23). When the adjustment item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adjustment item among the displayed adjustment items (S25). When the adjustment item is selected by the user, the adjustment value is input through the adjustment value input units 11a, 11b, and 11c based on the selected adjustment item (S27). When the adjustment value is input, the display state of the display unit 20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input adjustment value (S29).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입력부(7)를 통해 조절항목 변환여부가 선택되면, 사용자는 항목표시부(3)를 통해 표시된 조절항목을 선택하고, 선택된 조절항목의 조절값을 조절하여 디스플레이부(20)의 표시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저장부(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소거기능, 화면소거기능의 조절항목이 저장되어 있는 제1저장부(13a)와, 브라이트니스(Brightness), 콘트라스트(Contrast) 및 칼라기능의 조절항목이 저장된 제2저장부(13b)와, 볼륨게이지, 스케일선택기능의 조절항목이 저장된 제3저장부(13c) 등이 마련되어 있다. 본건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값입력부(DK1(11a))선택되면, 그에 대응하는 저장부(13a)가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된다. 화상에 표시된 저장부(13a)의 내용 중음소거기능이 선택되면, 제어부(15)는 그 기능에 따라 다이렉트키(DK1)의 조절기능을 표시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the adjustment item conversion is selected through the conversion input unit 7, the user selects the adjustment item displayed through the item display unit 3, and adjusts the adjustment value of the selected adjustment item. The display state of the display unit 20 may be adjusted. As illustrated in FIG. 3, the storage unit 13 includes a first storage unit 13a in which adjustment items of a mute function and a screen mute function are stored, and a brightness, contrast, and color function. The second storage unit 13b in which the control items are stored, and the third storage unit 13c in which the adjustment items of the volume gauge and scale selection function are stored. In this case,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adjustment value input unit DK1 11a is selected, the storage unit 13a corresponding thereto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When the middle mute function of the contents of the storage unit 13a displayed on the image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5 displays the adjustment function of the direct key DK1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저장부에 저장되는 조절항목의 저장에 따른 제어흐름도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항목을 저장부(13)에 저장하는 경우,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을 다이렉트키로 구현한다는 기본적인 개념으로 볼 때, 사용횟수를 체크하여 조절항목을 조절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우선, 제어부(15)에서 저장부(13)의 저장용량이 풀(Full)인지를 판단한다(S41). 저장부(13)의 저장용량이 풀(Full)인 것으로 판단되면, 저장부(13)에 저장된 조절항목들의 사용횟수를 체크한다(S43). 체크된 조절항목의 사용횟수 중 최저 사용횟수를 가지는 조절항목을 저장부(13)에서 삭제할 수 있으며(S45), 그 후 사용자는 저장부(13)에 새로운 조절항목을 사용자의 임의대로 추가할 수 있다(S47).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4 which is a control flow diagram according to the storage of the adjustment items stored in the storag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is figure, when storing the adjustment item in the storage unit 13, in view of the basic concept of implementing the most frequently used functions as a direct key, it is possible to use a method of adjusting the adjustment item by checking the number of times of use Can be. First, the controller 15 determines whether the storage capacity of the storage unit 13 is full (S4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orage capacity of the storage unit 13 is full, the number of times of adjustment item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 is checked (S43). The control item having the lowest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checked control item can be deleted from the storage unit 13 (S45), after which the user can add a new control item to the storage unit 13 at will. There is (S47).

이와 같이, 다이렉트키(DK1,DK2,DK3...)에는 각각 일정 크기의 저장부(13)가 다이렉트키에 연동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각각 디스플레이부의 내부 기능에 연결되는 조절기능을 적어도 하나이상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조절기능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그 다이렉트키에 조절기능을 할당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rect keys DK1, DK2, and DK3 ... each have a storage unit 13 of a predetermined size interlocked with the direct key, and each of the direct keys DK1, DK2, DK3 ... can store at least one or more control functions connected to the internal functions of the display unit. If any one of the stored controls is selected, the controls can be assigned to the direct key.

일정 크기의 저장부(13)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서 항상 OSD를 통해 기능을 골라야 하므로, 일정크기의 저장부(13)를 마련함으로써, 하나의 기능으로 고정적으로 사용하던 다이렉트키를 다양한 조절기능을 갖는 가변 가능한 다이렉트키로 사용할 수 있다.If the storage unit 13 of a predetermined size is not provided, the user should always select a function through the OSD in order to set a desired function. Thus, by providing the storage unit 13 of a predetermined size, it is fixedly used as one function. The direct key can be used as a variable direct key with various adjustment functions.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저장부에 저장된 조절항목의 사용회수에 따라 내용을 삭제할 수 있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이전 웹페이지를 저장하는 알고리즘으로 쓰이는 FIFO방식을 저장부(13)의 저장알고리즘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tents can be dele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adjustment items stored in the storage unit. However, the FIFO method used as the algorithm for storing the previous web page in Internet Explorer can be used as the storage algorithm of the storage unit 13. Can be.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만을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다이렉트키에 고정시키고자 하는 사용자도 고려하여 사용자 강제설정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저장부관리 알고리즘을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 user force setting method may be used in consideration of a user who wants to store only a function desired by a user in a storage unit or to a direct key. In addition, various storage management algorithms may be adop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기능이 고정 설정된 조절부의 기능을 가변적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임의대로 조절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효율적인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a specific function to make the function of a fixed set part variably,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device capable of setting an adjustment function arbitrarily and thereby implementing an effective interface A method is provided.

Claims (5)

비디오신호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A display apparatus hav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as an image,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절항목을 표시하는 항목표시부와;An item display unit displaying at least one adjustment item for adjusting a display state of the display unit; 상기 항목표시부에서 표시된 상기 조절항목의 변환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변환입력부와, 상기 변환입력부로부터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항목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조절항목으로부터 원하는 조절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조절선택부를 갖는 항 목선택부와;A conversion input unit for selecting whether or not to convert the adjustment item displayed on the item display unit, and an adjustment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desired adjustment item from the adjustment item displayed on the item display unit based on an input value from the conversion input unit; Neck selection unit; 상기 항목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상기 조절항목에 기초하여 조절값을 입력하는 조절값입력부와;An adjustment value input unit which inputs an adjustment value based on the adjustment item selected through the item selection unit; 상기 항목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상기 조절항목을 저장하는 저장부와;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adjustment item selected through the item selection unit; 상기 조절값입력부를 통해 조절된 상기 조절항목의 조절값에 기초하여 상기 조절항목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And a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adjustment item based on the adjustment value of the adjustment item adjusted through the adjustment value input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항목선택부는 상기 항목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조절항목의 위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조절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And the item selector is a position control key for enabling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adjustment item displayed on the item display part. 비디오신호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hav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as an image,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절항목을 표시하는 단계와;Displaying at least one adjustment item for adjusting a display state of the display unit; 상기 표시단계에서 표시된 상기 조절항목의 변환여부를 선택하는 단계와;Selecting whether to convert the adjustment item displayed in the display step; 상기 변환여부 선택값에 기초하여 상기 조절항목을 선택하는 단계와;Selecting the adjustment item based on the conversion selection value; 상기 선택된 조절항목에 기초하여 조절값을 입력하는 단계와;Inputting an adjustment value based on the selected adjustment item; 상기 선택된 조절항목과 상기 선택된 조절항목에 기초하여 상기 조절값을 저장하는 단계와;Storing the adjustment value based on the selected adjustment item and the selected adjustment item; 상기 조절값에 기초하여 상기 조절항목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And adjusting the adjustment item based on the adjustment value. 삭제delete
KR10-2001-0002460A 2001-01-16 2001-01-16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3924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460A KR100392448B1 (en) 2001-01-16 2001-01-16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460A KR100392448B1 (en) 2001-01-16 2001-01-16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404A KR20020061404A (en) 2002-07-24
KR100392448B1 true KR100392448B1 (en) 2003-07-22

Family

ID=2769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460A KR100392448B1 (en) 2001-01-16 2001-01-16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244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404A (en) 200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40504A1 (en) Customized menu system for hierarchical menu and television system with the same
US6211856B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touch screen with an auto zoom feature
US79790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77222B1 (en) Display and os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09123030A1 (en) User interface generation device
EP192631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nu in cross shape
KR960039900A (en) Custom menu for television receivers accessed via remote control keyboard
WO2015131531A1 (en) Widget display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US20020163540A1 (en) GUI display processor
KR20070043332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104630A (en) Video surveillance system
RU2562392C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enu display
US6727921B1 (en) Mixed mode input f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f a data processing system
JP2007114402A (en)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KR100731776B1 (en) Mobile Terminal With Displaying Menu And Method Of Displaying Menu Using Same
KR100392448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923026B2 (en) Menu display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EP2200281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hierarchical menu
KR100435236B1 (en) Menu display method for display
JP2000188792A (en) Method for sharing key and method for sharing the same function
KR100284180B1 (en) How to create TV function icon and how to execute icon
KR10063212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oll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croll rate
JP2828101B2 (en) Window display control device
KR0144186B1 (en) Menu handling method
KR100224844B1 (en) Method for displaying to overlay an internet text information in the screen of internet tv and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