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0279B1 - 교량 보수방법 및 구조물 - Google Patents

교량 보수방법 및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0279B1
KR100390279B1 KR1020000015717A KR20000015717A KR100390279B1 KR 100390279 B1 KR100390279 B1 KR 100390279B1 KR 1020000015717 A KR1020000015717 A KR 1020000015717A KR 20000015717 A KR20000015717 A KR 20000015717A KR 100390279 B1 KR100390279 B1 KR 100390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fiber
fiber sheet
bridge
column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2963A (ko
Inventor
박호완
Original Assignee
태백산업주식회사
박호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백산업주식회사, 박호완 filed Critical 태백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8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262Y1/ko
Priority to KR1020000015717A priority patent/KR100390279B1/ko
Publication of KR20010092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38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using permanent magnets
    • E05B47/0043Mechanical locks operated by cards having permanent 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5/0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 E05B35/007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the key being a card, e.g. perforated,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열이 발생된 교량상판이나 기둥에 탄소섬유시트를 시공하여 교량상판이나 기둥의 파괴하중은 2급에서 1급으로 상향시키면서도 콘크리트 내의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고, 탄소섬유시트 시공후에도 외부에서 균열의 진행상태를 관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소섬유시트의 경화시간을 단축시킴으로 인한 공정감소로 시공비용을 절감하고, 탄소섬유시트를 1차 보강한 교량이나 기둥에 탄소섬유시트를 재보강할 수 있도로 하는 교량 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균열이 발생한 교량 저면과 기둥의 콘크리트 표면에서 불량부를 제거하여 균열 및 손상된 부분을 보수, 복구하는 바탕처리작업을 하고, 에폭시계 수지인 주제와 경화제 및 용제, 경화촉진제를 혼합한 용제스타일 프라이머를 0.3kg/m2가 표준 도포량이 되도록 2-3회 도포하여 2시간 정도 충분히 양생시키며, 그 위에 표준 도포량 1.2kg/m2으로 접착용 수지를 도포하여 그 위에 교량 저면이나 기둥의 콘크리트 표면이 등간격으로 노출되도록 300g/m2중량의 탄소섬유시트를 10-100cm 폭으로 부착한 후, 함침용 수지를 도포하여 완전 양생하고, 그 위에 마감도장을 함으로서 이룰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교량 보수방법{Method for repairing bridge}
본 발명은 교량 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천이나 강 위에 설치되는 교량의 균열을 보수하여 교량의 붕괴를 방지함과 동시에 교량이 보수된 후에도 균열의 진행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강을 차량으로 건널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천이나 강을 가로지르는 교량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량은 수 많은 차량이 지나면서 반복적인 하중을 받게 되므로 장기간 사용할 때 교량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되고, 균열의 진행에 따른 교량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보수작업이 행해지고 있다.
종래의 교량 보수작업은 교량에 균열이 발생하면 그 균열이 발생된 교량의 저면이나 기둥에 도 3과 같이 탄소섬유시트(53)를 부착하여 보수작업을 하고 있다.
탄소섬유시트(53)는 건조한 망직물체를 한면 또는 양면에 대고 가열, 강압하여 융착시킨 무수지 상태의 강화섬유 시트로 인장강도 및 강성이 높아 토목, 건축용에 적용시 정적하중과 동적하중 및 기후에 대한 저항력이 뛰어난 것은 이미 입증되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탄소섬유시트(53)를 이용한 교량(51) 및 기둥(52) 보수작업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교량(51)의 저면이나 기둥(52)의 콘크리트 표면의 오염층과 불량부(박리, 공극, 부식 등)을 그라인더로 제거하고 균열이나 손상된 단면을 에폭시 수지 등으로 주입하여 보수, 복구한 후 콘크리트 표면에 탄소섬유시트(53)를 접착용 수지로 부착하되 교량(51)의 저면 콘크리트 표면 전체에 탄소섬유시트(53)를 부착할 뿐만 아니라,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 부착되는 탄소섬유시트(53)는 콘크리트 표면 전체에 부착하면서 탄소섬유시트(53)의 이음부분이 있을 때는 그 이음부분을 서로 10cm정도씩 겹쳐지도록 부착하였으며, 탄소섬유시트(53)를 교량(51)의 저면 전체에 부착한 후에는 도장작업으로 교량의 균열에 대한 보수작업을 완료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교량 보수방법은 탄소섬유시트(53)를 교량(51)의 저면이나 기둥(52)의 콘크리트 표면 전체에 부착하는 것이므로 교량(51)의 위로부터 스며든 물이 배수되지 못하고 탄소섬유시트(53) 위의 교량 내부에 고이게 되므로 교량(51) 내부의 철근이 쉽게 부식될 뿐만 아니라, 교량(51)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교량 보수방법은 교량(51) 보수후에 교량의 하부에서 균열의 계속적인 진행여부를 관측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비 경제적이고, 재 보강작업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이나 강 위에 설치되는 교량의 균열을 보수할 때 교량 저면의 콘크리트 표면에 탄소섬유시트를 등간격이 되도록 부분적으로 부착함으로서 교량의 붕괴를 방지하고, 교량 내부로 스며든 빗물이 배수 및 증발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교량이 보수된 후에도 균열의 진행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교량 보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공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시공된 상태의 교량 저면도
도 3은 종래의 시공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교량 2 : 기둥
3 : 콘크리트 표면 4 : 프라이머
5 : 접착용 수지 6 : 탄소섬유시트
7 : 함침용 수지 8 : 마감도장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균열이 발생한 교량(1) 저면과 기둥(2)의 콘크리트 표면(3)에서 불량부를 제거하여 균열 및 손상된 부분을 보수, 복구하는 바탕처리작업을 하고, 에폭시계 수지인 주제와 경화제 및 용제, 경화촉진제를 혼합한 용제스타일 프라이머(4)를 0.3kg/m2가 표준 도포량이 되도록 2-3회 도포하여 2시간 정도 충분히 양생시키며, 그 위에 표준 도포량 1.2kg/m2으로 접착용 수지(5)를 도포하여 그 위에 교량(1) 저면이나 기둥(2)의 콘크리트 표면(3)이 노출되도록 탄소섬유시트(6)를 부착한 후, 함침용 수지(7)를 도포한다.이때 상기 용제스타일의 프라이머(4)는 교량의 저면에 도포되는 프라이머(4) 전체가 균일하고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도록 1회 표준 도포량을 0.3kg/m2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또한 상기 접착용 수지(5)의 도포량은 교량(1)의 저면으로부터 자중에 의해 떨어지려는 탄소섬유시트(6)가 교량(1)에서 들뜨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1.2kg/m2의 표준 도포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탄소섬유시트(6)를 2층이상 적층 부착할 때는 탄소섬유시트(6)의 부착과 함침용 수지(7)의 도포를 반복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탄소섬유시트(6) 위에 함침용 수지(7)의 도포가 완료되면 평균기온 10℃에서는 2시간, 평균기온 20℃에서는 1시간 양생기간을 시켜 완전경화를 시킨 후, 그 위에 마감도장(8)을 한다.
특히, 콘크리트 표면(3)의 부분 노출폭(b)과 탄소섬유시트(6)의 부착폭(a)이 등간격으로 부착되는 상기 탄소섬유시트(6)는 그 폭을 10cm-100cm까지 보수, 보강작업 대상물의 상태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cm-30cm의 폭이 되도록 등간격으로 부착한다.
또한 교량(1)이나 기둥(2)의 보수, 보강작업시 사용되는 탄소섬유시트(6)의 최적두께를 만족할 수 있도록 부착폭(a)에 300g/m2인 탄소섬유시트(6)를 2겹 또는 3겹을 반복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 및 구조물을 시험하기 위한 시험체의 제작은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우 표1에서와 같은 배합설계표에 준하여 제작되고, 콘크리트 슬래브에 내설되는 철근은 표2와 같은 물성치를 갖는 철근을 사용하여 240×120×15cm 크기의 콘크리트 슬래브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콘크리트 슬래브 시험체는 일정시간을 물에 담그었다가 건조시켜 균열을 발생시키고, 시험체 슬래브에 탄소섬유시트(6)를 부착하기 위해 프라이머(4)와 함침용수지(7)는 각각 표3과 표4와 같은 물성치의 것을 사용하여 탄소섬유시트(6)를 콘크리트 슬래브 시험체에 부착하였다.
상기 부착된 탄소섬유시트(6)는 고강도 탄소섬유시트인 CT7S로서 섬유중량이 200g/m2는 CT7S #2이고, 300g/m2는 CT7S #3를 표5와 같이 사용한다.
또한 탄소섬유시트(6) 중 섬유중량이 200g/m2인 CT7S #2는 0.11mm 두께를 사용하고, 섬유중량이 300g/m2인 CT7S #3는 0.165mm 두께의 탄소섬유시트(6)를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저면이 보수 보강되어 완성된 시험체는 위에서 50톤 엑츄에이터(actuator)로 가압하여 파괴시험을 한 결과, 탄소섬유시트(6)를 보강하지 않은 시험체의 경우에는 이론 파괴하중치인 34.06톤과 30.7톤 보다 약간 상회하는 상태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섬유중량이 200g/m2인 탄소섬유시트(6)를 10cm, 20cm, 25cm 간격으로 1겹 시공한 시험체의 경우에는 38.4톤-39.8톤의 파괴하중을 나타내어 이론치 34.06톤 보다 크게 상회하는 파괴하중치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탄소섬유시트(6)를 시험체의 저면 전체에 부착했을 때 44.9톤의 파괴하중을 나타내는 것에 비교하여도 손색없는 파괴하중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섬유중량이 300g/m2인 탄소섬유시트(6)를 10cm, 15cm, 20cm, 25cm, 30cm 간격으로 2겹 시공한 시험체의 경우에는 34.8톤-39.2톤의 파괴하중을 나타내어 이론치 30.7톤 보다 크게 상회하는 파괴하중치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200g 2겹의 탄소섬유시트(6)를 시험체의 저면 전체에 부착했을 때 36.2-42.3톤의 파괴하중을 나타내는 것에 비교하여도 손색없는 파괴하중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섬유중량이 300g/m2인 탄소섬유시트(6)를 25cm 간격으로 3겹 시공한 시험체의 경우에는 42.8톤의 파괴하중을 나타내어 이론치 30.7톤은 물론 시험체의 저면 전체에 200g 2겹 탄소섬유시트(6)를 부착했을 때의 파괴하중 36.2-42.3톤 보다 높은 파괴하중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섬유중량이 300g/m2인 탄소섬유시트(6)를 부착폭(a)과 노출폭(b)을 20-30cm 간격이 되도록 등간격으로 3겹을 부착 시공하면 교량(1)이나 기둥(2)의 파괴하중은 200g 2겹을 전체면에 시공할 때와 같으면서도 노출폭(b)을 통한 콘크리트 내의 수분 증발효과가 있고, 교량(1)이나 기둥(2)의 균열을 시공후에도 노출폭(b)을 통해 외부에서 관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소섬유시트(6)의 경화시간을 단축시킴으로 인한 공정감소로 시공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1차 보강된 부분에 노출폭(b)을 통한 관찰 결과에 따라 재 보강작업을 할 수 있어 구조물을 유지관리함에 상당한 효과가 있다.즉, 본 고안에서 등간격으로 탄소섬유시트(6)를 부착하여 시공하는 보강공사는 교량(1)이나 기둥(2) 등의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진행방향을 고려하여 균열의 진행을 막을 수 있는 방향을 선택하여 보강공사를 실시하는 것이므로 탄소섬유시트(6)가 직접 부착되지 않은 노출폭(b)부분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는 것일 뿐만 아니라, 탄소섬유시트(6)가 부착되지 않은 노출폭(b)부분을 통하여 보강공사된 구조물에서 추가로 균열이 발생되고 있는지와 균열의 방향이 다른 곳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구조물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안전하게 구조물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균열이 발생된 교량이나 기둥에 섬유중량이 300g/m2인 탄소섬유시트를 20-30cm의 등간격으로 2-3겹을 부착 시공함으로서 교량이나 기둥의 파괴하중은 2급에서 1급을 상향시키면서도 콘크리트 내의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고, 탄소섬유시트 시공후에도 외부에서 균열의 진행상태를 관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소섬유시트의 경화시간을 단축시킴으로 인한 공정감소로 시공비용을 절감하고, 탄소섬유시트를 1차 보강한 교량이나 기둥에 탄소섬유시트를 재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4)

  1. 균열이 발생한 교량 저면과 기둥의 콘크리트 표면에서 불량부를 제거하여 균열 및 손상된 부분을 보수, 복구하는 바탕처리작업을 하고, 에폭시계 수지인 주제와 경화제 및 용제, 경화촉진제를 혼합한 용제 프라이머를 0.3kg/m2가 표준 도포량이 되도록 2-3회 도포하여 2시간 정도 충분히 양생시키며, 그 위에 표준 도포량 1.2kg/m2으로 접착용 수지를 도포하여 그 위에 교량 저면이나 기둥의 콘크리트 표면이 등간격으로 노출되도록 탄소섬유시트를 부착한 후, 함침용 수지를 도포하여 완전 양생하고, 그 위에 마감도장을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교량 보수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 등간격으로 부착되는 상기 탄소섬유시트는 부분 노출폭과 탄소섬유시트의 부착폭을 10cm-100cm의 폭이 되도록 등간격으로 부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교량 보수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탄소섬유시트의 부착폭에는 300g/m2의 중량을 갖는 탄소섬유시트 2-3겹을 반복 부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교량 보수방법.
  4. 삭제
KR1020000015717A 2000-03-28 2000-03-28 교량 보수방법 및 구조물 KR100390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742U KR200195262Y1 (ko) 2000-03-28 2000-03-28 교량 보수구조물
KR1020000015717A KR100390279B1 (ko) 2000-03-28 2000-03-28 교량 보수방법 및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717A KR100390279B1 (ko) 2000-03-28 2000-03-28 교량 보수방법 및 구조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742U Division KR200195262Y1 (ko) 2000-03-28 2000-03-28 교량 보수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963A KR20010092963A (ko) 2001-10-27
KR100390279B1 true KR100390279B1 (ko) 2003-07-10

Family

ID=196591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717A KR100390279B1 (ko) 2000-03-28 2000-03-28 교량 보수방법 및 구조물
KR2020000008742U KR200195262Y1 (ko) 2000-03-28 2000-03-28 교량 보수구조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742U KR200195262Y1 (ko) 2000-03-28 2000-03-28 교량 보수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902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3346B2 (en) 2002-04-27 2007-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ace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component-based face descriptor
CN106087781A (zh) * 2016-08-08 2016-11-09 北京交通大学 一种用外贴材料提高桥梁耐久性的方法
CN106758875B (zh) * 2016-12-22 2018-12-18 江苏四通路桥工程有限公司 混凝土桥梁修补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628B1 (ko) * 1994-12-02 1998-12-15 히가키 시게루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628B1 (ko) * 1994-12-02 1998-12-15 히가키 시게루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262Y1 (ko) 2000-09-01
KR20010092963A (ko) 200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25197A (zh) 一种基于钢板-预应力碳纤维板的混凝土梁抗弯加固方法
KR20090033573A (ko) 분사식 섬유보강 코팅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보수/보강공법
ES2234516T3 (es) Refuerzo externo para vigas, columnas, placas y similares.
KR100390279B1 (ko) 교량 보수방법 및 구조물
KR100537407B1 (ko) 보강재 수직 삽입식 구조물의 보강방법
Dawood Fundamental behavior of steel-concrete composite beams strengthened with high modulus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CFRP) materials
Al-Salloum et al. Rehabilitation of the infrastructure using composite materials: overview and applications
Carolin Strengthening of concrete structures with cfrp: shear strengthening and full scale applications
Abe et al. Proposition of thin-layer repairing methods using low-elasticity polymer portland cement materials and glue and study on the fatigue resistance of reinforced concrete slab
CA2926664A1 (en) Method of strengthening an existing infrastructure using sprayed-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Dhanoa et al. Retrofitting of reinforced concrete beam by ferrocement technique
KR10095032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보강공법
Jumaat et al. Problems associated with plate bonding methods of strengthening reinforced concrete beams
KR20080078766A (ko) 고장력 볼트를 이용한 탄소섬유 보강공법
JP2021167515A (ja) 舗装構造の施工方法及び舗装取替方法
CZ19083U1 (cs) Zesilované valené zděné klenby zpevněné tkaninami
Sobuz et al. Structural strengthening of RC beams externally bonded with different CFRP laminates configurations
M Njeman et al. Ductility and toughness of unsymmetrical CFRP strengthening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RU212958U1 (ru) Восстановленная железобетонная опора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Daniel et al. The Specifics of Use of Composite Materials in Consolidation of Historical Monuments
RU2788372C1 (ru) Железобетонная опора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с локально восстановленным участком
Matallah et al. Shear assessment of failed RC beams retrofitted by sisal mat polymer composite
RU2484218C1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и/или усиления влажных и/или засоленн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Franklin et al. Retrofitting of RC Beam using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Amin et al. Retrofitting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one way sla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40814

Effective date: 2005082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300015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40814

Effective date: 200508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1027

Effective date: 2006022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0000259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1027

Effective date: 200602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200003038; INVALIDATION

EXTG Extinguishm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404

Effective date: 20061124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200003038;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404

Effective date: 2006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