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0260B1 - 액체 분배성 및 보유성 섬유상 웹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체 분배성 및 보유성 섬유상 웹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0260B1
KR100390260B1 KR1019970704197A KR19970704197A KR100390260B1 KR 100390260 B1 KR100390260 B1 KR 100390260B1 KR 1019970704197 A KR1019970704197 A KR 1019970704197A KR 19970704197 A KR19970704197 A KR 19970704197A KR 100390260 B1 KR100390260 B1 KR 100390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rous web
web
region
fibers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저 브래드쇼 3세 퀸시
데브라 지인 맥도월
엘리자베스 디블러 갯스비
앨리스 이보네 로만스-헤스
게리 롤란드 볼트만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13/5371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3Microfiber, less than 100 micron diame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Surface property or characteristic of web, sheet or bl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52Of asbestos
    • Y10T428/31663As siloxane, silicone or si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8305Miscellaneous [e.g., treated surfaces, et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계면활성제로 처리된 섬유로 이루어진 제1 영역 및 코로나장에 노출된 섬유로 이루어진 제2 영역을 이루는 섬유상 웹이 개시되어 있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결코 섬유상 웹의 전부를 이루지 않는다. 또한, 제2 영역을 이루는 섬유는 제1 영역의 섬유의 일부분을 이룬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두 영역이 전체 섬유상 웹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본질적으로 섬유상 웹의 동일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둘다 결코 섬유상 웹의 전부를 이루지 않을 수 있다. 섬유상 웹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 방향으로 배향되는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어느 하나는 섬유상 웹의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체 섬유상 웹은 계면활성제로 처리되거나 또는 코로나장에 노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액체 분배성 및 보유성 섬유상 웹 및 이의 제조 방법 {Liquid Distribution and Retention Fibrous Web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본 발명은 액체 분배성 및 보유성 매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섬유상 웹에 관한 것이다.
흡수용품은 현재 광범위한 응용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중 여러 제품이 제한적이거나 또는 심지어 단독으로 사용하도록 고안된다. 이러한 제품의 전형적인 것으로는 일회용 기저귀; 실금용품; 위생 냅킨 및 탐폰과 같은 여성용 위생용품; 필터 부재; 와이프; 외과용 가운 및 휘장; 보호용 패드; 붕대와 같은 상처용 드레싱 등이 있다. 수많은 이들 제품은 통상 라이너 또는 신체측 층으로서 불리우는 직물층, 종종 부직웹으로 덮이는 흡수성 코어를 가지고 있다. 신체와 접촉하는 제품에 있어서, 라이너는 보통은 피부와 맞닿는다.
많은 흡수용품이 적어도 어느 정도는 액체의 분배성, 용량 및 보유성과 같은 인자와 관련이 있다. 액체 분배성, 용량 및 보유성은 이들이 다소간에 어느 정도는 제품이 액체를 누출시킴이 없이 흡수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관심의 대상이다. 이들은 또한 외관, 특히 사용 중 그리고 사용 후의 외관과 같은 심미적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때로는 위킹 (wicking)으로서 불리우는 액체 분배는 일반적으로 액체가 액체배설 부위로부터 떨어져 흡수용품의 나머지 부위로 움직이는 것을 포함한다. 사실상, 분배는 액체를 흡수하는데 있어서 흡수용품이 보다 많이 이용가능하도록 한다. 보유성은 누출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결과적으로, 지금까지 액체 분배성 및 보유성을 개선시키는데 상당한 연구 및 개발 노력이 기울여져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액체 분배성 및 보유성 모두를 더욱 개선시킬 여지가 남아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난점 및 문제점을 극복하고 액체 분배 및 보유를 개선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의범위 제1항에 따른 섬유상 웹, 독립항인 제17항에 따른 흡수용품, 독립항인 제18 및 19항에 따른 액체 분배성 및 보유성 매체의 제조 방법, 및 독립항인 제22항에 따른 액체 분배성 및 보유성 매체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추가 유리한 특징, 측면 및 상세한 사항은 청구의범위 종속항,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입증된다. 청구의범위는 본 발명을 일반적인 표현으로 정의하기 위한 무엇보다도 먼저의 비제한적인 접근법으로서 이해되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흡수용품의 일 구성성분인 액체 분배성 및 보유성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액체 분배성 및 보유성 매체를 제공한다. 매체는 계면활성제로 처리된 섬유로 이루어진 제1 영역 및 코로나장에 노출된 섬유로 이루어진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섬유상 웹이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결코 섬유상웹의 전부를 이루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2 영역을 이루는 섬유는 제1 영역의 섬유의 일부분도 이룬다. 또한, 몇몇 실시양태에서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모두 결코 섬유상 웹의 전부를 이루지 않는다.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섬유상 웹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한 방향으로 배향되는 섬유로 이루어질 것이다. 즉, 섬유상 웹은 다음에 약 2:1 이상으로 정의되는 섬유 정렬비를 가질 것이다. 예를 들면, 섬유상 웹은 멜트블로운 부직웹일 수 있다. 또다른 예로는, 섬유상 웹은 넥-신장된 멜트블로운 부직웹일 수 있다.
제1 영역이나 또는 제2 영역은 섬유상 웹의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체 섬유상 웹을 계면활성제로 처리하거나 또는 코로나장에 노출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섬유상 웹은 계면활성제로 처리될 것이다.
제2 영역을 이루는 섬유는 본질적으로 제1 영역을 이루는 섬유와 동일한 섬유일 수 있다. 달리 말하자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본질적으로 섬유상 웹의 동일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물론 두 영역이 전체 섬유상 웹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조건하에 그러하다.
섬유상 웹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한 방향으로 배향되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웹은 바람직하게는 액체를 주로 섬유의 배향 방향으로 분배시키는데 적합하다. 예를 들면, 섬유의 배향 방향으로의 액체 분배는 섬유의 배향 방향에 사실상 수직인 방향으로의 액체 분배의 약 2배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섬유상 웹은 약 2 이상의 액체 분배 종횡비를 가진다고 한다. 추가 예로는, 섬유의 배향 방향으로의 액체 분배는 섬유의 배향 방향에 사실상 수직인 방향으로의 액체 분배의 약 3배 보다 클 수 있는데, 즉 웹은 약 3 보다 큰 액체 분배 종횡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상 웹은 또한 제2 영역이 결여된 유사한 웹과 비교할 때 상당히 증가된 액체 분배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섬유상 웹은 제2 영역이 결여된 유사한 웹에 비해 약 1.5배 이상의 액체를 보유할 것이다. 예를 들면, 섬유상 웹은 유사한 웹에 비해 약 2배 이상의 액체를 보유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는, 섬유상 웹은 유사한 웹에 비해 약 3배 이상의 액체를 보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는, 섬유상 웹은 유사한 웹에 비해 약 4배 이상의 액체를 보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떠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가 처리된 섬유가 코로나장에 노출된 결과로서 습윤성이 증가되도록 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에톡실화 알킬-치환된 페놀이 포함된다. 별법으로, 계면활성제는 먼저 섬유를 코로나장에 노출시킨 결과물로서 섬유상 웹을 이루는 섬유에 대해 친화성이 증가되도록 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섬유상 웹을 제공하는 단계, 섬유상 웹의 적어도 일부분을 계면활성제로 처리하여 계면활성제로 처리된 섬유로 이루어진 제1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섬유상 웹의 일부분을 코로나장에 노출시켜 코로나장에 노출된 섬유로 이루어진 제2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체 분배성 및 보유성 매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결코 섬유상 웹의 전부를 이루지 않으며, 유리하게는 제2 영역을 이루는 섬유는 또한 제1 영역의 섬유의 일부분을 이룬다. 바람직하게는, 섬유상 웹을 이루는 섬유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한 방향으로 배향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섬유상 웹을 제공하는 단계, 섬유상 웹의 일부분을 코로나장에 노출시켜 코로나장에 노출된 섬유로 이루어진 제2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섬유상 웹의 적어도 일부분을 계면활성제로 처리하여 계면활성제로 처리된 섬유로 이루어진 제1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체 분배성 및 보유성 매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영역 및 유리하게는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결코 섬유상 웹의 전부를 이루지 않으며, 제2 영역을 이루는 섬유는 또한 제1 영역의 섬유의 일부분을 이룬다. 또다시, 섬유상 웹을 이루는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한 방향으로 배향될 것이다.
본 발명의 섬유상 웹은 일회용 기저귀; 실금용품; 및 위생 냅킨 및 탐폰과 같은 여성용 위생용품과 같은 흡수용품의 구성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웹은 흡수성 코어와 라이너 또는 신체측층 사이에 분배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면은 본 발명의 섬유상 웹을 포함하는 액체 분배성 및 보유성 매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액체 수송 매체의 일부분의 개략적인 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캐리어 시트, 섬유상 웹 및 코로나 마스크로 이루어지는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투시도이다.
도 3 내지 13은 모두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은 혈액 위킹 실험의 결론인 본 발명의 웹의 사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종방향 (machine direction)"이라는 용어는 웹이 형성될 때 웹 형성, 예를 들면 멜트블로우잉 장치를 통해 웹의 움직임과 본질적으로 평행인 방향, 즉 웹을 형성하는 형성 와이어의 방향과 평행인 방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횡방향 (cross direction)"이라는 용어는 횡적 기계 방향, 즉 종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액체"란 용어는 그의 통상적인 의미로서 사용된다. 실제적인 문제로서, 액체는 아주 종종 수성 액체일 것이다. 본 발명의 섬유상 웹을 흡수용품에 사용하는 경우, 액체는 전형적으로는 오줌, 혈액, 멘스, 혈청 등과 같은 신체 분비물일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액체 분배 종회비" (또는 "종횡비")라는 용어는 섬유상 웹을 이루는 섬유의 배향 방향에 본질적으로 평행한 액체의 최대 움직임 대 섬유의 배향 방향에 본질적으로 수직인 액체의 최대 움직임의 비율이며, 이는 실시예에 기재된 혈액 위킹 과정 또는 시험에 의해 측정된다. 따라서, 액체 분배 종횡비는 액체가 섬유의 배향 방향과 본질적으로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한 최대 거리를 액체가 섬유의 배향 방향에 본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한 최대 거리로 나눈 몫이다. 종횡비는 어떠한 특정 조건들의 세트하에 측정할 수 있는 반면에, 종횡비의 비교에는 본질적으로 시험한 섬유상 웹 각각에 대한 조건이 동일 세트인 것이 요구된다. 종횡비에 대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시험 조건으로는 혈액 유속 및시험 시간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라는 용어에는 단일 계면활성제 또는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계면활성제는 단지 혼합물내에 존재하는 계면활성제들이 서로 상용성이 있기만 하다면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부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모든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무엇보다도 선형 및 분지형 소듐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선형 및 분지형 알킬 황산염, 및 선형 및 분지형 알킬 에톡시 황산염이 포함된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예시적으로 우지(tallow)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가 포함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또다시 단지 예시적으로 알킬 폴리에톡실레이트, 폴리에톡실화 알킬페놀, 지방산 에탄올 아미드, 산화에틸렌, 산화프로필렌의 착화합물 중합체, 및 알코올, 및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함침량"이라는 용어는 섬유상 웹의 시료의 섬유상에 존재하는 계면활성제의 양을 나타내며, 이는 하기 화학식 1과 같은 웹 시료의 본래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한 백분율로서 계산된다.
함침량% = 100 X (g SWS - g WS) / g WS
식 중, "g SWS" ("g 계면활성제-웹 시료")는 계면활성제가 도포된 시료의 건조 중량을 의미하며, "g WS" ("g 웹 시료")는 본래의 시료의 건조 중량, 즉 계면활성제용액으로 처리되기 전의 시료의 건조 중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액체 분배성 및 보유성 매체는 길이, 폭 및 두께를 가지는 섬유상 웹이다. 웹은 계면활성제로 처리된 섬유로 이루어진 제1 영역 및 코로나장에 노출된 섬유로 이루어진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결코 섬유상 웹의 전부를 이루지 않는다. 또한, 제2 영역을 이루는 섬유는 제1 영역의 섬유의 일부분도 이룬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섬유상 웹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한 방향으로 배향되는 섬유로 이루어질 것이다. 즉, 섬유는 다른 방향, 예를 들면 횡방향으로 배향된 섬유 보다 많은 섬유가 특정 방향, 예를 들면 종방향으로 배향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섬유 배향은 섬유상 웹을 종으로 통과하는 음파의 속도를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 측정하고, 각 방향의 음파 모듈러스를 ASTM 시험법 F89-68 (음파법에 의한 가요성 장벽 재료의 모듈러스에 대한 표준 시험 방법 (Standard Method of Test for Modulus of a Flexible Barrier Materials by Sonic Method))에 따라 평가함으로써 측정되는 섬유 정렬비로서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섬유 정렬비는 종방향의 음파 모듈러스를 횡방향의 음파 모듈러스로 나눔으로써 계산된다. 따라서, 섬유 정렬비는 종방향의 음파 모듈러스 대 횡방향의 음파 모듈러스의 비율이다.
예시적으로, 섬유상 웹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섬유를 한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용융-압출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웹일 수 있다. 멜트블로우잉은 이러한 방법의 일례이며, 이 경우에 섬유의 배향 방향은 종방향이다. 멜트블로운 폴리프로필렌 부직웹에 대한 평균 섬유 정렬비는 약 2이다.
또다른 예로는, 섬유상 웹은 넥-신장된 멜트블로운 부직웹일 수 있다. 넥-신장은 섬유의 배향성을 신장 방향으로 증가시키면서 웹의 폭에 있어서 수축이 수반되는 과정이다. 넥-신장의 정도는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적인 문제로서, 넥-신장의 정도는 일반적으로 약 15% 내지 약 75%의 범위내일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넥-신장% (PNS)는 초기 시료의 폭 (Widthi)과 네킹된 시료의 폭 (Widthf) 사이의 차이를 초기 시료의 폭 (Widthi)으로 나눈 몫에 100을 곱함으로써 계산된다.
PNS = 100 X (Widthi- Widthf) / Widthi
이 과정에는 부직웹을 일련의 역상 S-루프로 닙 롤의 제1 쌍을 통해 복수개의 가열된 롤 위로 통과시켜 웹을 웹의 연화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포함된다. 가열된 롤의 온도 및 웹의 체류 시간은 웹의 기본 중량 및 웹을 제조한 중합체에 따라 변화될 것이다. 예를 들면, 멜트블로운 폴리프로필렌 섬유웹은 접촉 시간 약 1 내지 약 300 초 동안 약 90 ℃ 내지 약 150 ℃의 표면 온도로 가열된 일련의 스팀 캔의 위로 통과시켜 웹을 그의 연화점 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는 또다른 부직웹 가열 방법으로는 적외선, 가열된 공기, 마이크로파선, 초음파 에너지 및 대류 오븐이 포함된다. 이어서, 가열된 웹은 닙 롤의 제2 쌍을 통과한다. 닙 롤의 제1 쌍의 원주 선속도는 넥-신장 장력을 인가하기 위해 닙 롤의 제2 쌍의 원주 선속도 보다 작게 제어된다. 2개의 닙 롤 쌍 사이의 선속도차를 제어함으로써, 가열된 웹은 목적하는 정도로 네킹될 수 있다. 임의로는, 가열된 롤은 넥-신장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2개의 닙 롤 쌍의 속도의 중간인 선속도 또는 일련의 선속도를 가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닙 롤 배치 이외에,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장력 인가 방법 및 장치, 예를 들면 텐터 프레임 및 고뎃 롤을 이용할 수 있다. 넥-신장 웹은 냉각될 때까지는 정렬된 구조를 보유하도록 장력하에 유지된다. 냉각 공정은 냉각 공기 또는 냉각 롤을 이용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넥-신장 부직웹의 섬유 정렬비는 넥-신장도 또는 넥-신장의 정도의 함수이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50% 넥-신장된 멜트블로운 폴리프로필렌 부직웹의 평균 섬유 정렬비는 전형적으로는 약 40:1인 반면에, 30% 넥-신장된 멜트블로운 폴리프로필렌 부직웹의 평균 비율은 전형적으로는 약 17:1이다.
또다른 예로는, 섬유상 웹은 수력 방사에 의해 형성된 웹일 수 있다. 이러한 웹은 거의 완전히 종방향으로 배향되는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며, 앤더슨 (Anderson)의 미국 특허 제5,244,723호를 참조하며, 이를 본 명세서에서 참고 문헌으로서 채택한다. 필라멘트의 높은 종방향 배향도로 인해, 1종 이상의 지지 웹과 함께 수력적으로 방사된 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력적으로 방사된 웹은 멜트블로운, 공형성, 스펀본디드, 또는 카디드 및 본디드 웹과 같은 또다른 부직웹에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수력적으로 방사된 웹은 다른 2종의 부직웹들 사이에 샌드위치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는 멜트블로운 웹 또는 넥-신장된 멜트블로운 웹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섬유상 웹의 섬유는 임의의 조성물일 수 있다. 실제적인 문제로서, 섬유는 합성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합성 물질로는 열경화성 및 열가소성 중합체가 포함된다. "중합체"라는 용어는 2종 이상의 중합체의 배합물 및 2종 이상의 상이한 출발 물질 또는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교호, 랜덤, 블록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의미를 가진다.
열경화성 중합체의 예로는 단지 예시적으로, 프탈산 무수물-글리세롤 수지, 말레산-글리세롤 수지, 아디프산-글리세롤 수지 및 프탈산 무수물-펜타에리쓰리톨 수지와 같은 알키드 수지; 디알릴 프탈레이트, 디알릴 이소프탈레이트, 디알릴 말레에이트 및 디알릴 클로렌데이트와 같은 단량체가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에서 비휘발성 가교결합제로서 작용하는 알릴계 수지; 아닐린-포름알데히드 수지, 에텔렌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디시안디아미드-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술폰아미드-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와 같은 아미노 수지; 가교결합 에피클로로히드린-비스페놀 A 수지와 같은 에폭시 수지; 노볼락 및 레졸을 포함하는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와 같은 페놀계 수지; 및 열경화성 폴리에스테르, 실리콘 및 우레탄이 포함된다.
열가소성 중합체의 예로는 단지 예시적으로, 폴리(옥시메틸렌) 또는 폴리포름알데히드, 폴리(트리클로로아세트알데히드), 폴리(n-발레르알데히드), 폴리(아세트알데히드), 폴리(프로피온알데히드) 등과 같은 말단-캡핑된 폴리아세탈;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폴리(에틸 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아크릴계 중합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퍼플루오르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등과 같은 플루오로카본 중합체; 폴리(6-아미노카프로산) 또는 폴리(ε-카프로락탐),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 폴리(헥사메틸렌 세바크아미드), 폴리(11-아미노운데카노산) 등과 같은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노-1,3-페닐렌이미노이소프탈로일) 또는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 등과 같은 폴리아라미드; 폴리-p-크실렌, 폴리(클로로-p-크실릴렌) 등과 같은 파릴렌; 폴리(옥시-2,6-디메틸-1,4-페닐렌) 또는 폴리(p-페닐렌 옥사이드) 등과 같은 폴리아릴 에테르; 폴리(옥시-1,4-페닐렌술포닐-1,4-페닐렌옥시-1,4-페닐렌-이소프로필리덴-1,4-페닐렌), 폴리(술포닐-1,4-페닐렌옥시-1,4-페닐렌술포닐-4,4'-비페닐렌) 등과 같은 폴리아릴 술폰; 폴리(비스페놀 A) 또는 폴리(카르보닐디옥시-1,4-페닐렌이소프로필리덴-1,4-페닐렌) 등과 같은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실렌-1,4-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옥시메틸렌-1,4-시클로헥실렌메틸렌옥시테레프탈로일) 등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폴리(p-페닐렌 설파이드) 또는 폴리(티오-1,4-페닐렌) 등과 같은 폴리아릴 설파이드; 폴리(피로멜리트이미도-1,4-페닐렌) 등과 같은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폴리(2-부텐), 폴리(1-펜텐), 폴리(2-펜텐), 폴리(3-메틸-1-펜텐), 폴리(4-메틸-1-펜텐)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비닐 중합체; 1,2-폴리-1,3-부타디엔, 1,4-폴리-1,3-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클로로프렌 등과 같은 디엔 중합체;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ABS) 공중합체 등과 같은 상기 물질들의 공중합체 등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질은 열가소성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섬유로 이루어질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올레핀일 것이다.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폴리(2-부텐), 폴리(1-펜텐), 폴리(2-펜텐), 폴리(3-메틸-1-펜텐), 폴리(4-메틸-1-펜텐)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용어는 2종 이상의 폴리올레핀의 배합물 및 2종 이상의 상이한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랜덤 및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의미를 가진다. 상업적 중요성으로 인해, 가장 바람직한 폴리올레핀으로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이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섬유상 웹은 계면활성제로 처리된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영역 및 코로나장에 노출된 섬유로 이루어진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결코 섬유상 웹의 전부를 이루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영역"이라는 용어는 섬유상 웹의 소정의 부분 또는 용적을 이루는 섬유를 의미한다. 따라서, 영역은 길이, 폭 및 두께를 가질 것이며, 이들은 각각 섬유상 웹의 각각의 길이, 폭 및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 미만일 수 있다.
제1 영역의 섬유는 계면활성제로 처리된다. 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일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가 처리된 섬유가 코로나장에 노출된 결과로서 증가된 습윤성을 섬유에 부여하는데 적합하다. 예를 들면, 섬유가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제조되는 경우,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톡실화 알킬-치환된 페놀일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계면활성제는 섬유가 먼저 코로나장에 노출된 결과로서 섬유상 웹을 이루는 섬유에 대해 증가된 친화성을 가지는데 적합하다. 예를 들면, 섬유가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제조되는 경우, 계면활성제는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일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양은 전형적으로는 목적하는 분배 및(또는) 보유 효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양이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양은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다. 실제적인 문제로서, 제1 영역의 섬유상에 존재하는 계면활성제의 양은 섬유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5 중량% 범위내일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섬유상에 존재하는 계면활성제의 양은 약 0.3 내지 약 3 중량% 범위내일 것이다.
이제 제2 영역을 살펴보면, 그의 내부의 섬유는 코로나장에 노출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코로나장"이라는 용어는 이온화된 가스의 코로나장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코로나장의 발생 및 섬유의 노출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는 과정에 따라 달성된다. 섬유가 노출되는 조사량 또는 에너지 밀도는 1 m2당 약 0.6 내지 약 323 킬로주울 (약 0.6 내지 약 323 kJ/m2) (이는 대략 1 ft2당 약 1 내지 약 500 와트-분의 범위에 해당함 (약 1 내지 약 500 w-min/ft2)) 범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조사량은 약 10 내지 약 226 kJ/m2(약 15 내지 약 350 w-min/ft2) 범위내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질내의 섬유의 배향화 (물질의 형성 후에 수행되는 경우), 섬유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처리, 및 섬유의 코로나장에 대한 노출은 무순으로 수행될 수 있다. 가장 통상적으로는, 섬유상 웹을 먼저 계면활성제로 전부 또는 일부 처리하여 제1 영역을 형성할 것이다. 적절한 경우, 웹 또는 그의 일부분은 코로나장에 노출되어 제2 영역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섬유로 이루어진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섬유의 적어도 일부분을 계면활성제로 처리하는 단계, 및 섬유의 적어도 일부분을 코로나장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섬유상 웹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웹을 이루는 섬유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한 방향으로 배향될 것이다.
별법으로, 섬유상 웹은 코로나장에 전부 또는 일부 노출되어 제2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웹 또는 그의 일부분은 계면활성제로 처리되어 제1 영역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방법은 섬유로 이루어진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섬유의 일부분을 코로나장에 노출시키는 단계, 및 섬유의 적어도 일부분을 계면활성제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웹을 이루는 섬유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한 방향으로 배향될 것이다.
필요하다면, 섬유의 일부분을 제1 계면활성제로 처리하고 섬유의 또다른 부분 또는 상이한 부분을 제2 계면활성제로 처리할 수 있다. 게다가, 매체의 섬유 전부 또는 단지 그의 일부만을 코로나장에 노출시킬 수 있다. 이들 순열 및 조합 모두 뿐만 아니라 당업자들에게 명백하게 여겨지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내에 드는 것으로 간주된다.
액체가 본 발명의 섬유상 웹에 가해질 때, 액체는 적용 부위로부터 흘러나갈 것이다. 배향된 섬유로 이루어진 웹의 경우, 흐름 방향은 우선적으로는 배향 방향일 것이다. 이와 같은 개념은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용이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섬유상 웹 (100)의 일부분의 개략적인 투시도이다. 섬유상 웹 (100)은 길이 (102), 폭 (104) 및 두께 (106)을 가진다. 매체 (100)을 이루는 섬유의 배향 방향은 선 (108)로 나타내진다. 액체가 섬유상 웹 (100)에 위치 (110)에서 부딪칠 때, 액체는 섬유상 웹을 통해 위치 (110)으로부터 움직여나간다. 섬유의 배향 방향과 본질적으로 평행한 액체의 최대 움직임은 선 (112)로 나타내진다. 섬유의 배향 방향과 본질적으로 수직인 액체의 최대 움직임은 선 (114)로 나타내진다. 액체 분배 종횡비는 선 (112)의 길이를 선 (114)의 길이로 나눈 값이다.
섬유상 웹은 일회용 기저귀, 실금용품, 및 여성용 위생용품과 같은 흡수용품의 구성성분으로서 사용하기에 특히 매우 적합하기 때문에, 섬유상 웹은 일반적으로 그의 폭 보다 큰 길이를 가질 것이다. 달리 말하자면, 도 1을 참고하면, 길이 (102)는 일반적으로 폭 (104) 보다 클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각각 전형적으로는 그의 폭 보다 큰 길이를 가질 것이다. 섬유상 웹의 제2 영역이 그의 폭 보다 큰 길이를 가지는 경우, 가해진 액체의 흐름 방향은 우선적으로는 제2 영역의 길이에 평행한 방향일 것이다. 결과적으로, 섬유상 웹을 이루는 섬유의 배향 방향 및 제2 영역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부합되어 길이로 제2 영역 전체에 걸쳐서 액체의 분배가 최대로 될 것이다.
실시예에서, 제2 영역의 길이 방향은 항상 섬유상 웹의 길이 방향과 부합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유체가 가해지는 위치 (110)을 섬유상 웹의 표면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내의 카아티션 좌표 세트의 원점으로서 생각하는 것이 편리하다. 좌표의 y축은 길이 (102)와 평행하고 x축은 섬유상 웹 (100)의 폭 (104)와 평행하다. 섬유상 웹의 길이 (또는 제2 영역의 길이)와 평행한 방향으로의 유체의 움직임은 "y방향"으로의 움직임으로서 기술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섬유를 코로나장에 노출시킴으로써, (a) 섬유 처리에 사용된 계면활성제의 습윤성이 증가되거나 또는 (b) 후속 섬유 처리에 사용된 계면활성제에 대한 섬유의 친화성이 증가된다. 결과적으로, 분배 및 보유는 계면활성제의 선택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분배 및 보유는 섬유가 코로나장에 노출되는 방식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윈리의 설명을 위해서는, 폴리올레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제조된 섬유상 웹을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폴리에톡실화 알킬페놀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은 섬유상 웹의 전부를 이룬다. 이어서, 계면활성제로 처리된 웹을 코로나장에 노출시키기 전에 마스크함으로써, 결코 섬유상 웹의 전부를 이루지 않는 제2 영역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스크는 형상이 직사각형인 개구를 가질 수 있으며, 직사각형 개구의 장방향은 섬유상 웹을 이루는 섬유의 배향 방향과 본질적으로 평행일 수 있다. 섬유상 웹이 멜트블로운 부직웹인 경우에는, 제2 영역에서 웹과 부딪치는 액체의 움직임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약 2 이상의 종횡비가 초래될 것이다. 섬유상 웹이 넥-신장된 멜트블로운 부직웹인 경우에는, 제2 영역에서 웹과 부딪치는 액체의 움직임으로 인해 약 3 보다 큰 종횡비가 초래될 것이다.
본 발명의 섬유상 웹은 또한 제2 영역이 결여된 유사한 웹과 비교할 때 상당히 증가된 액체 보유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섬유상 웹은 제2 영역이 결여된 유사한 웹이 보유하는 액체의 약 1.5배 이상의 액체를 보유할 것이다. 예를 들면, 섬유상 웹은 유사한 웹이 보유하는 액체의 약 2배 이상의 액체를 보유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는, 섬유상 웹은 유사한 웹이 보유하는 액체의 약 3배 이상의 액체를 보유할 수 있다. 추가 예로는, 섬유상 웹은 유사한 웹이 보유하는 액체의 약 4배 이상의 액체를 보유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정신 또는 범위를 어떠한 방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으로는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실시예 1>
멜트블로운 폴리프로필렌 부직웹을 본질적으로는 위스네스키 (Wisneski) 및 모르만 (Morman)의 미국 특허 제4,663,22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파일롯 규모의 설비로 제조하였으며, 웹은 약 51 g/m2또는 gsm (1 제곱 야드 당 약 1.5 온스 또는 약 1.5 osy)의 기본 중량을 가졌다. 폴리프로필렌은 PF-015 타입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 소재의 히몬트 인코포레이티드 (Himont Incorporated))를 사용하였다. 웹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50% 넥-신장되었다. 가열된 롤은 직경이 약 61 cm (약 24 인치)인 스팀 캔이었으며, 이 롤을 약 113 ℃의 온도로 가열하였다. 닙 롤의 제1 쌍에서의 웹의 선속도는 1초 당 약 18 cm (1분 당 36 피트)이었다. 웹을 1초 당 약 23 cm (1분 당 45 피트)의 선속도의 스팀 캔의 위를 통해 1초 당 약 31 cm (1분 당 약 62 피트)의 선속도의 닙 롤의 제2 쌍에 통과시켰다.
넥-신장된 웹을 약 18 cm X 25 cm (7 인치 X 10 인치)의 조각으로 절단하였다 (횡방향 또는 CD X 종방향 또는 MD). 트리톤 (Triton (등록 상표)) X-102, 폴리에톡실화 옥틸페놀 계면활성제 (미국 펜실바니아주 필라델피아 소재의 롬 앤드 하스 캄파니 (Rohm and Hass Company) 0.12 중량%를 함유하는 탈염수 용액 500 ml에 섬유상 웹의 조각을 약 3분 동안 개별적으로 각각 침지시킴으로써, 이 조각에 트리톤 (Triton (등록 상표)) X-102)를 0.5% 내지 0.6%의 함침량 수준으로 도포하였다. 2개의 조각을 500 ml의 계면활성제 용액에 침지시켰다. 조각을 계면활성제 용액에 침지시킨 후, 약 13.6 kg (30 파운드) 닙으로 설정된 아틀라스 라보라토리 링거 (Atlas Laboratory Wringer)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소재의 아틀라스 일렉트릭 디바이시즈 캄파니 (Atlas Electric Devices Company))에 통과시킨 후, 연기 후드에서 건조시켰다.
계면활성제가 처리되고 50% 넥-신장된 멜트블로운 폴리프로필렌 부직웹의 건조된 조각의 몇몇을 구획화된 코로나장에 노출시켰다. 이와 같은 구분된 코로나 노출은 부직웹의 각각의 조각을 캐리어 시트에 테이프로 붙이고, 웹을 도 2에 도시된 마스크로 덮고, 생성된 어셈블리를 코로나장에 통과시킴으로써 달성하였다. 도 2는 캐리어 시트 (202), 부직웹 조각 (204) 및 마스크 (206)으로 구성되는 어셈블리 (2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캐리어 시트 (202)는 어쓰와이즈 (EarthWise (등록 상표)) 상표의 파일 폴더의 약 20 cm X 30 cm (8 인치 X 12 인치) 조각이었다. 부직웹 (204)의 조각의 단방향 (CD) 연부를 캐리어 시트상에 놓아서 단방향 연부가 캐리어 시트 (202)의 단방향 연부와 접촉하고 웹의 장방향 (MD) 연부가 캐리어 시트의 장방향 연부와 평행하게 그로부터 등거리가 되도록 하였다. 웹의 장방향 연부 및 다른 단방향 연부에 의해 한정된 웹 (204)의 모퉁이를 2개의 작은 테이프 조각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의 3M 캄파니 하이랜드 (Highland (등록 상표)) 상표)을 사용하여 캐리어 시트 (202)에 고정시켰다. 2개의 파일 폴더를 함께 테이프로 붙이고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직사각형 구획으로 절단함으로써 코로나 마스크를 행하였다. 마스크로 인해 마스크내의 2개의 직사각형 개구의 밑에 위치한 웹의 부분으로 코로나 노출을 제한함으로써 코로나 처리 영역이 설정되었다. 웹의 양면을 코로나장에 노출시켰으며, 여기에는 캐리어 시트로부터 웹을 제거하여, 시트를 뒤집어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시트를 적절한 곳에 테이프로 붙이는 것이 필요하였다. 캐리어 시트 (202), 부직웹 (204) 및 마스크 (206)의 치수가 도 2를 참고로 하여 표 1에 나타나있다.
도 2에 응용가능한 치수
명칭 치수
인치 cm
208 8 25.4
210 12 30.5
212 7 17.8
214 10 25.4
216 8 25.4
218 12 30.5
220 11 27.9
222 0.75 1.9
224 0.75 1.9
226 2 5.1
228 2.5 6.4
230 2 5.1
코로나장은 CXC-5 파워 서플라이 (Power Supply)가 구비된 코로텍 라보라토리 코로나 트리팅 스테이션 (Corotec Laboratory Corona Treating Station) (미국 코넥티컷트주 콜린스빌 소재의 코로텍 코포레이션 (Corotec Corporation))에 의해 발생시켰다. 트리팅 스테이션은 전극으로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 금속 롤을 이용하며, 롤의 축은 수직 평면상에 놓여있다. 롤은 둘다 원주가 약 30.5 cm (12 인치)이고 직경이 약 9.7 cm (3.8 인치)이었다. 상부 롤은 음극이고 하부 롤은 양극이었다. 하부 롤은 상부 롤과 접촉하여 있는 2 mm 두께의 고무로 된 유전성 슬리브로 고정되어서, 전극들 사이에는 2 mm의 공간이 제공되었다. 상부 롤은 길이가 약 33 cm (13 인치)이며, 하부 롤은 길이가 약 40.6 cm (약 16 인치)이었다. 롤은 1초 당 약 6 cm (1분 당 12 피트)의 선속도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였다.
부직웹의 1측면 당 1 m2당 12 내지 220 킬로주울 (kJ/m2)의 에너지 밀도 수준으로 공기 중에서 코로나 처리를 행하였다. 에너지 밀도는 전극의 폭 및 웹이 코로나장을 통과하는 속도의 함수로서 흡수된 에너지를 일컫는다. 에너지 밀도는킬로와트 단위의 출력을 미터 단위의 전극의 폭으로 나눈 후, 1초 당 미터 단위의 선 속도로 나눈 다음, 웹이 전극들 사이를 통과하는 횟수를 곱함으로써 계산된다. 그 결과가 1 제곱 미터 당 킬로와트-초 단위의 에너지 밀도이며, 이는 1 제곱 미터 당 킬로주울에 해당한다. 4개의 상이한 섬유상 웹을 표 2에 요약한 바와 같이 제조하였으며, 표에서 코로나 에너지 밀도는 kJ/m2의 단위로 나타나있다.
섬유상 웹 처리 요약
계면활성제 함침량 (중량%) 코로나 에너지 밀도
1-A 0.6 0
1-B 0.5 22
1-C 0.6 116
1-D 0.5 220
코로나장에 노출되었든 노출되지 않았든간에 계면활성제로 처리된 부직웹의 각각의 조각을 반으로 절단하였으며, 절단부는 장방향 단부와 평행하였다. 이와 같은 절단으로 인해 약 9 cm X 25 cm (3.5 인치 X 10 인치)의 조각이 2개 생성되었다. 이어서, 각각의 조각의 "상부"를 약 5 cm (2 인치) 제거하여 잘라냄으로써 약 9 cm X 13 cm (3.5 인치 X 8 인치)의 조각을 만들었다. 코로나장에 노출된 조각들에 대해, "상부" 부분은 캐리어 시트에 테이프로 붙인 연부에서의 부분이었다.
이어서, 코로나에 전혀 노출시킴이 없이 구획화된 코로나 노출의 여러 수준을 가지며 국부적으로 도포된 트리톤 (Triton (등록 상표) X-102)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웹 조각의 혈액 위킹 특성을 시험하였다. 각 경우에 코텍스 (Kotex (등록 상표)) 맥시 패드 (Maxi Pad) (미국 위스콘신주 니나 소재의 킬벌리-클라크 코포레이션)로부터 라이너 또는 커버를 제거하고 패드의 흡수성 코어의 상부상에 시험하려는 부직웹의 조각을 위치시킴으로써 패드를 재조합시켜서 시험하였다. 구획화된 코로나장에 노출된 조각을 대략 패드의 중앙부에 위치한 약 1.9 cm (3/4 인치) 폭의 구획화된 대역을 가지는 코텍스 (등록 상표) 패드 흡수성 코어의 상부상에 위치시켰다.
재조합된 맥시 패드를 물이 충전된 콜로스토미 (colostomy) 백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실험실 잭에 올려놓았다. 콜로스토미 백내의 개구를 마노미터에 연결하였다. 실험실 잭을 올려서 맥시 패드 어셈블리를 약 2 kPa (1 제곱 인치 당 0.3 파운드 게이지 (psig))의 압력으로 플렉시글라스에 가져왔다. 판을 관통시켜 구멍을 뚫었으며, 내부에 무딘 바늘을 위치시켰다. 맥시 패드 어셈블리를 판에 대향하도로 배향시켜 판내의 바늘이 대략 패드를 덮는 웹의 중앙에 오도록 하였다. 바늘을 얇은 튜브를 사용하여 소 혈액이 함유된 주사기에 연결시켰다. 주사기를 1시간 당 약 4 ml의 유체를 운반하도록 설정된 주사기 펌프로 구동시켰다. 그러나, 운반된 혈액의 실제량은 혈액이 주사기로부터 얇은 튜브를 통해 플렉시글라스 판으로 움직일 때 접하는 저항에 따라 다소 좌우된다. 소 혈액을 30분 동안 각각의 맥시 패드를 덮는 웹상으로 펌핑하였다. 맥시 패드 어셈블리의 모든 구성성분 (즉, 웹 및 맥시 패드 흡수성 코어)를 각각의 실험 전후에 칭량하여 각각의 구성성분에 의해 보유된 혈액의 양을 측정하였다. 또한, 웹상의 혈액 얼룩의 치수를 각각의 실험 후에 측정하여 종횡비를 계산하였다.
표 3 및 4에는 사용된 섬유상 웹에 의해 확인된 혈액 위킹 실험, 즉 실험 1-A, 1-B, 1-C 및 1-D에 대한 맥시 패드의 흡수성 코어 및 섬유상 웹의 혈액 분배 및(또는) 보유 특성을 요약하였다. 혈액 위킹 실험 전후의 각각의 구성성분의 중량을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4에는 각각의 구성성분에 의해 보유된 혈액의 양이 두 구성성분내에 존재하는 혈액의 양 및 혈액의 총량의 %로서 나타나있으며, %는 하기 화학식 3으로 계산된다.
% = 100 X [구성성분의 양 / (웹의 양 + 코어의 양)]
표 3에 나타낸 모든 중량은 그람 (g) 단위이다. 각각의 실험에 대한 종횡비를 계산하여 표 4에 포함시켰다. 표 4에는 또한 y 방향의 분배 거리 측정치도 나타나있다.
소 혈액 위킹 결과 (중량)
실험 성분 초기 중량 (g) 최종 중량 (g)
1-A 1.112 1.252
코어 11.781 13.640
1-B 0.970 1.516
코어 10.322 11.727
1-C 0.925 1.467
코어 11.601 12.988
1-D 0.974 1.502
코어 11.915 13.278
소 혈액 위킹 결과 (계산치 및 측정치)
실험 성분 차이 종횡비 y방향 거리 (cm)
%
1-A 0.140 7.0 1.2 5.0
코어 1.859 93.0 N/Ra N/R
1-B 0.546 28.0 5.9b 11.8
코어 1.405 72.0 N/R N/R
1-C 0.542 28.1 6.2 12.5
코어 1.387 71.9 N/R N/R
1-D 0.528 27.9 6.2b 13.5
코어 1.363 72.1 N/R N/R
상기 표에서 a는 부적절함을 나타낸다. 코어내의 혈액의 분배 패턴은 일반적으로 웹의 분배 패턴을 반영하였다. 그러나, 웹과 코어의 분배 패턴의 상관관계는 단지 대략적이었으며, 이는 웹에 인접한 코어의 표면이 주름 또는 접힌 선의 존재로 인해 매끄럽지가 못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코어는 흡수성을 위해 디자인된 것이지 분배를 위해 디자인된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코어에 대한 종횡비 계산 및 y 방향 측정치는 본 발명에 부적절한 것으로 여겨졌다.
상기 표에서 b는 웹내에 존재하는 혈액의 대부분에 대한 종횡비를 나타낸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조한다.
실험 1-B, 1-C 및 1-D로부터, 구획화된 코로나 후처리로 인해 웹내의 혈액 보유량이 증가된다는 것이 입증된다. 각 경우에, 섬유상 웹에 의해 보유된 혈액의 양은 각각의 웹 1-B, 1-C 및 1-D와 유사하지만 제2 영역이 결여된 웹인 웹 1-A의 양의 4배였다.
설험 1-B, 1-C 및 1-D로부터, 또한 구획화된 코로나 후처리로 인해 웹내의 혈액 분배가 보다 커진다는 것이 설명된다. 각 경우에, 종횡비가 대략 5배 증가하였다. y 방향의 분배 거리는 2배 보다 크다는데 주목한다.
본 발명의 섬유상 웹을 사용한 결과인, 즉 종횡비 및 y 방향 분배 거리의 증가인 향상된 분배를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서, 혈액 위킹 실험의 결과인 웹 1-A 내지 1-D의 사진을 각각 도 3 내지 6에 도시하였다. 표 2로부터, 웹 1-A 내지 1-D는 각각 섬유상 웹의 전부로 구성되는 제1 영역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웹 1-A는 제2 영역을 가지지 않으며 1.2의 종횡비를 제공한다. 도 3으로부터, 혈액 분배 패턴이 대충 원형인 것을 알 수 있는데, 즉 웹의 장방향 또는 종방향에서의 혈액 분배는 웹의 단방향 또는 횡방향에서의 혈액 분배 보다 단지 약간 더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4 내지 6에서, 연신된 유체 분배 패턴이 용이하게 뚜렷해진다. 또한, 이들 도면의 유체 영상이 보다 어두울수록 유체 보유가 증가되어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웹 1-B, 1-C 및 1-D 각각은 제1 영역의 섬유의 일부분으로 구성되는 제2 영역을 가진다. 각 경우에, 제2 영역은 폭이 약 2 cm (0.75 인치)인 영역으로서, 이는 웹의 장방향과 평행하게 웹의 장방향 연부로부터 대략 등거리로 위치한다. 제2 영역은 제2 영역이 노출된 코로나장의 에너지 밀도에 있어서만 상이하다.
도 4 내지 6으로부터, 혈액 분배가 22 kJ/m2정도로 작은 에너지 밀도에서도 웹의 장방향과 평행한 방향, 즉 종방향으로 현저히 개선되었다는 것이 입증된다. 웹 1-B에 있어서, 대부분의 혈액에 대한 종횡비는 5.9이었으며, 이 값을 표 4에 나타내었다. 종횡비를 혈액의 횡방향으로의 최대 움직임을 사용하여 계산하는 경우, 3.4라는 값이 얻어진다 (도 4 참조). 도 5로부터, 웹 1-C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모든 혈액이 제2 영역내에만, 즉 코로나장에 노출된 제1 영역의 부분내에서만 분배되어 6.2의 종횡비를 유발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으로부터는, 대부분의 혈액이 웹 1-D의 제2 영역내에 분배되며, 단지 극소량의 혈액 줄무늬가 제2 영역의 외부로 분배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가지 현상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다는 웹 1-B 및 1-D에 대해 관찰된 횡방 향 분배에 기여하고 있을 수 있다. 첫번째로는, 마스킹 방법에 의해 마스크하의 섬유가 코로나장에 일부 노출되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두번째로는, 횡방향으로의 혈액 분배는 속도와 관련될 수 있다. 웹 1-C에 대해 나타난 결과 (도 5)는 속도와 관련된 현상이 웹 1-B 및 1-D 대신에 3개의 웹 모두에 대해 일부 횡방향 분배를 초래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첫번째 현상이 보다 가능성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부직웹의 조각을 먼저 구획화된 코로나장에 노출시키고 이어서 트리톤 (등록 상표) X-102 대신에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계면활성제로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였다.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는 하기 화학식 4를 가진다.
Figure pct00001
이 계면활성제는 수 평균 분자량이 약 6,000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11,100이며, z 평균 분자량이 약 16,000이었다. 이 계면활성제의 다분산성은 1.85이었다. 웹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처리하는 것은 웹을 계면활성제 0.25 중량%를 함유하는 탈염수 용액 500 ml에 침지시키는 것을 포함하였다. 조각을 코로나 전처리 5분내에 계면활성제 용액에 침지시키고 코로나 노출 수준에 따라 침지 시간을 약 30초 내지 2분으로 변화시켰다. 계면활성제 용액이 코로나장에 노출된 영역내의 웹을 우선적으로 습윤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계면활성제 용액에 침지시킨 후, 조각을 연기 후드에 매달아 건조시켰다. 계면활성제의 함침량 수준은 측정하지 않았다. 3가지 상이한 섬유상 웹을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하였으며, 표에서 코로나 에너지 밀도 값은 kJ/m2단위로 나타내었다.
섬유상 웹 처리 요약
계면활성제 함침량 (중량%) 코로나 에너지 밀도
2-A N/D 66
2-B N/D 110
2-C N/D 220
이어서,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각의 혈액 위킹 특성을 시험하였다. 표 6 및 7에는 맥시 패드 어셈블리의 성분 (즉, 웹 조각 및 밑에 놓인 흡수성 코어)의 혈액 위킹 실험 후의 혈액 분배 및(또는) 보유 특성을 나타내었다.
소 혈액 위킹 결과 (중량)
실험 성분 초기 중량 (g) 최종 중량 (g)
2-A 0.883 1.170
코어 11.765 13.330
2-B 0.944 1.307
코어 10.575 12.118
2-C 0.932 1.272
코어 10.225 11.696
소 혈액 위킹 결과 (계산치 및 측정치)
실험 성분 차이 종횡비 y방향 거리 (cm)
%
2-A 0.287 15.5 3.8 8.8
코어 1.565 84.5 N/Ra N/R
2-B 0.363 19.0 3.2 9.8
코어 1.543 81.0 N/R N/R
2-C 0.340 18.8 3.5 9.8
코어 1.471 81.2 N/R N/R
a는 표 4와 관련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부적절함을 나타낸다.
표 6 및 7로부터, 구획화된 코로나 전처리에 이어서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계면활성제 후처리에 의해 혈액을 분배하는데 효과적인 웹이 생성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각 경우에, 종횡비는 3 보다 크며, y 방향의 분배 거리는 8.8 cm 내지 9.8 cm 범위내로 상당한 수준이었다. 이론에 얽매이기를 바라는 것은 아니지만, 표 6 및 7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웹을 이루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코로나 전처리 영역에 있어서의 증가된 친화성이 초래된다고 가정하였다. 이러한 가정을 시험하기 위해, 물의 액적을 코로나 전처리 영역내 및 코로나장에 노출되지 않은 웹의 영역내의 각각의 웹상에 놓았다. 각각의 경우에, 코로나 전처리 영역내에 놓인 물의 액적은 즉시 웹의 내부로 침투하였다. 그러나, 코로나 전처리 영역의 외부에서는, 물의 액적 중 일부가 단지 1 내지 2초 후에 웹을 침투한 반면에,퍼지거나 남아있는 물의 액적의 대부분은 1분 후에 방울졌다. 각 경우의 전체 웹이 계면활성제 용액에 노출되더라도, 코로나 전처리 영역의 외부의 웹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점착성은 최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섬유상 웹을 사용한 결과인 개선된 분배를 다시 잘 설명하기 위해, 혈액 위킹 실험의 결과인 웹 2-A 내지 2-C의 사진을 각각 도 7 내지 9에 나타내었다. 웹 2-A, 2-B 및 2-C 각각은 제1 영역의 섬유의 일부분으로 구성되는 제2 영역을 가진다. 다시, 제2 영역은 웹의 장방향과 평행하고 웹의 장방향 연부로부터 대략 등거리에 위치하는 약 2 cm (0.75 인치) 폭의 영역이다. 제2 영역은 제2 영역이 노출된 코로나장의 에너지 밀도에서만 상이하다. 그러나, 제2 영역이 각각 형성된 후에 제1 영역이 형성되었다. 도 7 내지 9로부터, 본질적으로 모든 혈액이 웹의 제2 영역내에 분배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영역을 형성한 후에 제1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계면활성제가 제2 영역내의 섬유에만 점착되거나 또는 그에 대해 친화성을 가진다고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접촉한다. 즉, 두 영역은 모두 동일 섬유를 포함하며 결코 섬유상 웹의 전부를 이루지는 않는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닙 롤의 제1 쌍에 대한 선속도, 스팀 캔에 대한 선속도, 및 닙 롤의 제2 쌍에 대한 선속도가 각각 1초 당 약 21 cm (1분 당 41 피트), 1초 당 약 23 cm (1분 당 45 피트), 및 1초 당 약 27 cm (1분 당 53 피트)인 것을 제외하고는, 기본 중량이 약 51 gsm (1.5 osy)인 멜트블로운 폴리프로필렌 부직웹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30% 만큼 넥-신장시켰다. 넥-신장된 웹을 약 18 cm X 25 cm (7 인치 X 10 인치)의 조각으로 절단하였다. 시료 한 세트 (웹 3-A 및 3-B)를 웹의 횡방향 (CD)으로 약 17.8 cm (7 인치) 치수로 절단한 반면에, 다른 세트 (웹 3-C 및 3-D)를 종방향 (MD)으로 동일 치수로 절단하였다. 따라서, 웹 3-A 및 3-B에서 섬유의 배향 방향은 섬유상 웹의 장방향과 평행한 반면에, 웹 3-C 및 3-D에서 섬유의 배향 방향은 섬유상 웹의 장방향과 수직이다. 웹 조각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2분 동안 개별적으로 침지시킴으로써 트리톤 (등록 상표) X-102 계면활성제를 웹 조각에 0.6 내지 0.7 중량%의 건식 함침량의 수준으로 국부적으로 도포하였다.
계면활성제 처리된 웹의 건조된 조각 중 일부를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획화된 코로나장에 노출시켰다. 4개의 상이한 섬유상 웹을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하였으며, 표에서 코로나 에너지 밀도 값은 kJ/m2단위이다.
섬유상 웹 처리 요약
계면활성제 함침량 (중량%) 코로나 에너지 밀도
3-A 0.7 0
3-B 0.7 116
3-C 0.7 0
3-D 0.6 116
코로나 노출 후, 웹 조각의 혈액 위킹 특성을 실시예 1에 기술한 바와 같이 시험하였다. 표 9 및 10에는 맥시 패드 어셈블리의 성분 (즉, 웹 조각 및 밑에 놓인 흡수성 코어)에 대한 혈액 위킹 실험 후의 혈액 분배 및(또는) 보유 특성이 나타나있다.
소 혈액 위킹 결과 (중량)
실험 성분 초기 중량 (g) 최종 중량 (g)
3-A 0.99 1.18
코어 11.63 13.40
3-B 0.91 1.51
코어 11.77 13.08
3-C 0.91 1.19
코어 11.52 13.24
3-D 0.92 1.51
코어 11.92 13.36
소 혈액 위킹 결과 (계산치 및 실험치)
실험 성분 차이 종횡비 y방향 거리 (cm)
%
3-A 0.19 9.7 1.0 5.5
코어 1.77 90.3 N/Ra N/R
3-B 0.60 31.4 6.5 13.0
코어 1.31 68.6 N/R N/R
3-C 0.28 14.0 1.7 5.0
코어 1.72 86.0 N/R N/R
3-D 0.59 29.1 0.7 10.0
코어 1.44 70.9 N/R N/R
a는 표 4와 관련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부적절함을 나타낸다.
실험 3-A 및 3-B로부터, 웹 3-A와 비교할 때 웹 3-B의 경우 종횡비는 6.5배, y 방향 분배 거리는 2배 보다 크게 증가된 것으로 입증되는 바와 같이 트리톤 (등록 상표) X-102로 처리된 30% 넥-신장된 멜트블로운 웹에 대해 구획화된 코로나 후처리는 혈액 보유 및 분배를 증가시킨다는 것이 명백하다. 게다가, 유체 보유성은 대략 3배 증가하였다. 실험 3-C 및 3-D로부터, 웹의 넥-신장된 방향 (즉, 종방향)이 웹 및 코텍스 (등록 상표) 맥시 패드 흡수성 코어의 장방향에 수직으로 정렬되는 경우에도, 구획화된 코로나 노출 (항상 패드의 장방향에 평행하게 정렬됨)은 여전히 혈액 분배에 상당히 충격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충격은 종횡비가 웹 3-C의 경우 1.7로부터 웹 3-D의 경우 0.7로 감소되고, y 방향 분배 거리가 웹 3-C의 경우 5.0 cm로부터 웹 3-D의 경우 10.0 cm로 2배 증가된 것에 의해 설명된다. 웹 3-D에 대한 유체 보유성은 웹 3-C에 대한 유체 보유성의 약 2배이었다.
혈액 위킹 실험의 결과인 웹 3-A 내지 3-D의 사진이 각각 도 10 내지 13에 나타나있다. 표 8로부터, 웹 3-A 내지 3-D는 각각 섬유상 웹의 전부를 이루는 제1 영역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웹 3-A 및 3-C는 제2 영역을 가지지 않는다.
웹 3-A는 1.0의 종횡비를 제공한다. 패턴이 불규칙하지만, 도 10으로부터 혈액이 웹의 장방향 연부와 평행인 방향으로 움직이는 거리는 이러한 연부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여 종횡비가 1.0으로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1로부터, 웹 3-B에 대해 표 10에 나타낸 6.5의 종횡비가 입증된다. 즉, 본질적으로 모든 혈액이 제2 영역내에 분배되어 있다.
웹 3-B 및 3-D는 각각 제1 영역의 섬유의 일부분으로 구성되는 제2 영역을 가진다. 각 경우에, 제2 영역은 웹의 장방향과 평행으로 웹의 장방향 연부로부터 대략 등거리에 위치하는 폭이 약 2 cm인 영역이다. 각 경우에, 코로나장의 에너지 밀도는 동일하였다.
웹 3-C 및 3-D는 섬유의 배향 방향이 섬유상 웹의 장방향 연부와 수직이도록 절단되었다. 도 12는 웹에 제2 영역이 결여되어 있을 때 혈액이 우선적으로 섬유의 배향 방향과 평행한, 즉 웹의 장방향 연부와 수직인 방향으로 분배된다는 것을 설명한다. 도 13은 제2 영역이 혈액의 분배에 대해 영향을 크게 미친다는 것을 나타내며, 섬유의 배향 방향에도 불구하고 10.0 cm의 y 방향 분배 거리가 여전히 얻어졌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상기 실시예에서 기술한 표준 멜트블로운 폴리프로필렌 부직웹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였다. 웹의 기본 중량은 약 51 gsm (1.5 osy)이었으며, 사용된 폴리프로필렌은 HF-015 타입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 소재의 히몬트 인코포레이티드 (Himont Incorporated))이었다.
3개의 웹을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표에서, 코로나 에너지 밀도 값은 kJ/m2단위임).
섬유상 웹 처리 요약
계면활성제 함침량 (중량%) 코로나 에너지 밀도
4-A 0.9 0
4-B 0.9 0
4-C 0.8 116
이어서, 웹의 혈액 위킹 특성을 실시예 1에 기술한 바와 같이 시험하였다. 표 12 및 13에는 맥시 패드 어셈블리의 성분 (즉, 웹 조각 및 밑에 놓인 흡수성 코어)에 대한 혈액 위킹 실험 후의 혈액 분배 및(또는) 보유 특성이 나타나있다.
소 혈액 위킹 결과 (중량)
실험 성분 초기 중량 (g) 최종 중량 (g)
4-A 0.94 1.28
코어 11.84 13.56
4-B 0.95 1.41
코어 12.16 13.67
4-C 0.88 1.65
코어 11.71 12.88
소 혈액 위킹 결과 (계산치 및 실험치)
실험 성분 차이 종횡비 y방향 거리 (cm)
%
4-A 0.34 16.5 1.4 8.5
코어 1.72 83.5 N/Ra N/R
4-B 0.46 23.4 1.0 7.7
코어 1.51 76.6 N/R N/R
4-C 0.77 39.7 1.9 13.5
코어 1.17 60.3 N/R N/R
a는 표 4와 관련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부적절함을 나타낸다.
대조용인 웹 4-A 및 4-B의 평균 종횡비는 1.2이었다. 한편, 웹 4-C는 종횡비가 1.9이었다. 2개의 대조용 웹에 의해 보유된 혈액의 평균량은 각각의 웹에 가해진 혈액의 총량의 약 20%이었다. 그러나, 웹 4-C는 가해진 혈액의 총량의 약 40%를 보유하였다. 따라서, 코로나장 노출, 즉 제2 영역의 잇점은 섬유를 y 방향으로 상당히 배향시키기 위해 섬유상 웹을 넥-신장시킴이 없이도 용이하게 명백하다.
<실시예 5>
실시예 3에서, 섬유상 웹이 실시예 4에 사용된 표준 멜트블로운 폴리프로필렌 부직웹인 것을 제외하고는 웹 3-C 및 3-D에 대해 실시예 3의 과정을 반복하였다. 2개의 웹을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표에서, 코로나 에너지 밀도 값은 kJ/m2단위임). 2개의 웹 모두에서, 섬유의 배향 방향은 섬유상 웹의 장방향에 수직이다.
섬유상 웹 처리 요약
계면활성제 함침량 (중량%) 코로나 에너지 밀도
5-A 0.8 0
5-B 0.8 116
이어서, 웹의 혈액 위킹 특성을 실시예 1에 기술한 바와 같이 시험하였다. 표 15 및 16에는 맥시 패드 어셈블리의 성분 (즉, 웹 조각 및 밑에 놓인 흡수성 코어)에 대한 혈액 위킹 실험 후의 혈액 분배 및(또는) 보유 특성이 나타나있다.
소 혈액 위킹 결과 (중량)
실험 성분 초기 중량 (g) 최종 중량 (g)
5-A 1.00 1.13
코어 11.72 13.59
5-B 1.07 1.63
코어 12.22 13.49
소 혈액 위킹 결과 (계산치 및 실험치)
실험 성분 차이 종횡비 y방향 거리 (cm)
%
5-A 0.13 6.5 1.4 4.5
코어 1.87 93.5 N/Ra N/R
5-B 0.56 30.6 0.8 11.0
코어 1.27 69.4 N/R N/R
a는 표 4와 관련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부적절함을 나타낸다.
웹 5-A 및 5-B에 대해서도 웹 3-C 및 3-D에 대한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웹에 제2 영역이 결여되어 있는 경우, 혈액은 우선적으로 섬유의 배향 방향과 평행인, 즉 웹의 장방향 연부와 수직인 방향으로 분배된다. 또다시, 제2 영역이 혈액의 분배 및 보유 모두에 영향을 크게 미친다는데 주목한다. 섬유의 배향 방향에도 불구하고 11.0 cm의 y 방향 분배 거리가 여전히 얻어졌다. 또한, 혈액 보유는 6.5%로부터 거의 31%로 증가되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를 기재하였지만, 당업자들은 상기 내용을 이해함으로써 이들 실시양태의 변경, 변형 및 유사한 실시양태를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의범위 및 그에 상당하는 범위로 평가되어야 한다.

Claims (22)

  1. 계면활성제로 처리된 섬유로 이루어진 제1 영역; 및
    코로나장에 노출된 섬유로 이루어진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결코 섬유상 웹의 전부를 이루지 않고, 제2 영역을 이루는 섬유는 제1 영역의 섬유의 적어도 일부분을 이루는 섬유상 웹.
  2. 제1항에서 있어서, 제1 영역이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의 혼합물로 처리된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인 섬유상 웹.
  3.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제1 영역이
    제1 계면활성제로 처리된 섬유의 제1 부분; 및
    제2 계면활성제로 처리된 섬유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섬유상 웹.
  4.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섬유상 웹의 섬유 정렬비가 약 2:1 이상인 섬유상 웹.
  5.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섬유상 웹이 멜트블로운 부직웹을 포함하는 것인 섬유상 웹.
  6.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섬유상 웹이 넥-신장된 멜트블로운 부직웹을 포함하는 것인 섬유상 웹.
  7.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웹이 액체를 주로 섬유의 배향 방향으로 분배하기에 적합한 섬유상 웹.
  8.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섬유상 웹이 액체 분배 종횡비 약 2 이상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섬유상 웹.
  9.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섬유상 웹이 액체 분배 종횡비 약 3 이상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섬유상 웹.
  10.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섬유상 웹이 제2 영역이 결여되어 있는 유사한 웹에 비해 약 1.5배 이상의 액체를 보유하기에 적합한 섬유상 웹.
  11.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섬유상 웹이 제2 영역이 결여되어 있는 유사한 웹에 비해 약 2배 이상의 액체를 보유하기에 적합한 섬유상 웹.
  12.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코로나장에 계면활성제가 처리된 섬유가 노출된 결과로서 섬유에 증가된 습윤성을 부여하기에 적합한 것인 섬유상 웹.
  13.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섬유가 먼저 코로나장에 노출된 결과로서 섬유상 웹을 이루는 섬유에 대해 증가된 친화성을 가지기에 적합한 것인 섬유상 웹.
  14.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인 섬유상 웹.
  15.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제2 영역이 섬유상 웹의 섬유의 배향 방향과 본질적으로 평행한 장방향 치수를 가지는 것인 섬유상 웹.
  16.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본질적으로 섬유상 웹의 동일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섬유상 웹.
  17. 그의 구성성분으로서 제1 내지 16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섬유상 웹을 가지는 흡수용품.
  18. 섬유상 웹을 제공하는 단계;
    섬유상 웹의 적어도 일부분을 계면활성제로 처리하여 계면활성제가 처리된 섬유로 이루어진 제1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섬유상 웹의 일부분을 코로나장에 노출시켜 코로나장에 노출된 섬유로 이루어진 제2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결코 섬유상 웹의 전부를 이루지 않고, 제2 영역을 이루는 섬유는 제1 영역의 섬유의 일부분을 이루는 액체 분배성 및 보유성 매체의 제조 방법.
  19. 섬유상 웹을 제공하는 단계;
    섬유상 웹의 적어도 일부분을 코로나장에 노출시켜 코로나장에 노출된 섬유로 이루어진 제2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섬유상 웹의 적어도 일부분을 계면활성제로 처리하여 계면활성제가 처리된 섬유로 이루어진 제1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결코 섬유상 웹의 전부를 이루지 않고, 제2 영역을 이루는 섬유는 제1 영역의 섬유의 일부분을 이루는 액체 분배성 및 보유성 매체의 제조 방법.
  20. 제18 또는 19항에 있어서, 섬유상 웹의 섬유 정렬비가 약 2:1 이상인 방법.
  21. 제18 또는 19항에 있어서, 제2 영역이 섬유상 웹을 이루는 섬유의 배향 방향과 본질적으로 평행한 장방향 치수를 가지는 것인 방법.
  22. 제1 내지 16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섬유상 웹을 포함하는 액체 분배성 및 보유성 매체.
KR1019970704197A 1994-12-21 1995-12-19 액체 분배성 및 보유성 섬유상 웹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90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361392 1994-12-21
US08/361,392 US5614295A (en) 1994-12-21 1994-12-21 Liquid distribution and retention medi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0260B1 true KR100390260B1 (ko) 2003-08-19

Family

ID=23421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4197A KR100390260B1 (ko) 1994-12-21 1995-12-19 액체 분배성 및 보유성 섬유상 웹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614295A (ko)
KR (1) KR100390260B1 (ko)
CN (1) CN1132559C (ko)
AR (1) AR000372A1 (ko)
AU (1) AU692353B2 (ko)
BR (1) BR9510474A (ko)
CA (1) CA2208885A1 (ko)
DE (1) DE19581898T1 (ko)
GB (1) GB2311305B (ko)
TW (1) TW340041B (ko)
WO (1) WO1996019171A2 (ko)
ZA (1) ZA95108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0767648T3 (da) * 1994-06-30 1999-12-20 Procter & Gamble Fluidtransportvæv, der udviser overfladeenergigradienter
US6608236B1 (en) 1997-05-14 2003-08-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abilized absorbent material and systems for personal care products having controlled placement of visco-elastic fluids
US6172276B1 (en) * 1997-05-14 2001-01-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abilized absorbent material for improved distribution performance with visco-elastic fluids
JP2001525700A (ja) * 1997-05-14 2001-12-11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安定化吸収性材料及び粘弾性流体の制御された配置を有する個人ケア製品のためのシステム
EP1093539A1 (en) * 1998-06-29 2001-04-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oil removal and transport, and device for oil removal and transport
US20050008839A1 (en) * 2002-01-30 2005-01-13 Cramer Ronald Dean Method for hydrophilizing materials using hydrophilic polymeric materials with discrete charges
US7700500B2 (en) * 2002-12-23 2010-04-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urable hydrophilic treatment for a biodegradable polymeric substrate
US20050136155A1 (en) * 2003-12-22 2005-06-23 Jordan Joy F. Specialty beverage infusion package
AU2006287463A1 (en) 2005-09-06 2007-03-15 Tyco Healthcare Group Lp Self contained wound dressing with micropump
DE102009029194A1 (de) 2009-09-04 2011-04-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eenah Abtrennung gefärbter Stoffe aus wasserhaltigen Flüssigkeiten
US9333124B2 (en) 2010-11-30 2016-05-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symmetric printed patterns for providing a functional cue
US9044356B2 (en) 2011-05-19 2015-06-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enhanced leakage protection
US8847002B2 (en) 2011-05-19 2014-09-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apertures arranged in registration with an embossed wave pattern
CN107252383A (zh) 2011-07-14 2017-10-17 史密夫及内修公开有限公司 伤口敷料和治疗方法
US9161869B2 (en) 2012-03-30 2015-10-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decolorizing agents
EP3354293B1 (en) 2012-05-23 2019-12-11 Smith & Nephew plc Apparatuses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CN104661626B (zh) 2012-08-01 2018-04-06 史密夫及内修公开有限公司 伤口敷料
HUE033329T2 (en) 2012-08-01 2017-11-28 Smith & Nephew dressing
US9237975B2 (en) 2013-09-27 2016-01-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side barriers and decolorizing agents
JP6586431B2 (ja) 2014-06-18 2019-10-02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ピーエルシーSmith & Nephew Public Limited Company 創傷包帯および治療方法
KR102486259B1 (ko) 2015-12-02 2023-01-1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개선된 취득 분배 적층체
GB2555584B (en) 2016-10-28 2020-05-27 Smith & Nephew Multi-layered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1735A (en) * 1969-10-14 1972-05-09 Johnson & Johnson Shaped articles having improved surface properties and corona discharge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US3880966A (en) * 1971-09-23 1975-04-29 Celanese Corp Corona treated microporous film
US3997647A (en) * 1973-10-01 1976-12-14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filaments and webs of chemically modified cellulose fibers
US4110143A (en) * 1974-10-21 1978-08-29 W. R. Grace & Co. Process for making a wettable polyolefin battery separator
US4275105A (en) * 1978-06-16 1981-06-23 The Buckeye Cellulose Corporation Stabilized rayon web and structures made therefrom
US4469746A (en) * 1982-06-01 1984-09-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ilica coated absorbent fibers
US4535020A (en) * 1982-07-26 1985-08-13 Ethyl Corporation Perforated film
US4456570A (en) * 1982-07-26 1984-06-26 Ethyl Corporation Treatment of perforated film
US4650479A (en) * 1984-09-04 1987-03-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orbent sheet product
US4663220A (en) * 1985-07-30 1987-05-05 Kimberly-Clark Corporation Polyolefin-containing extrudabl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formation into elastomeric products including microfibers
US4714647A (en) * 1986-05-02 1987-12-22 Kimberly-Clark Corporation Melt-blown material with depth fiber size gradient
JPS62263361A (ja) * 1986-05-09 1987-11-16 東レ株式会社 不織布の製造方法
US4865596A (en) * 1987-09-01 1989-09-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e absorbent structures and absorbent articles containing such structures
US5093197A (en) * 1987-12-21 1992-03-03 Entek Manufacturing Inc. Microporous filaments and fibers
US4920168A (en) * 1988-04-14 1990-04-24 Kimberly-Clark Corporation Stabilized siloxane-containing melt-extrudable thermoplastic compositions
US4910064A (en) * 1988-05-25 1990-03-20 Sabee Reinhardt N Stabilized continuous filament web
US4965122A (en) * 1988-09-23 1990-10-23 Kimberly-Clark Corporation Reversibly necked material
US4933229A (en) * 1989-04-21 1990-06-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igh wet-strength polyolefin blown microfiber web
BR9106048A (pt) * 1990-02-20 1993-07-06 Procter & Gamble Estrutura e folha polimericas de canais capilares,tecido,processo e matriz de extrusao
US5112690A (en) * 1990-11-01 1992-05-12 Kimberly-Clark Corporation Low hydrohead fibrous porous web with improved retentive wettability
US5102738A (en) * 1990-11-01 1992-04-07 Kimberly-Clark Corporation High hydrohead fibrous porous web with improved retentive absorption and acquision rate
EP0617604B1 (en) * 1991-12-18 1999-07-2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iquid management member for absorbent articles
US5244723A (en) * 1992-01-03 1993-09-14 Kimberly-Clark Corporation Filaments, tow, and webs formed by hydraulic spinning
US5366793A (en) * 1992-04-07 1994-11-22 Kimberly Clark Co Anisotropic nonwoven fibrous web
US5352480A (en) * 1992-08-17 1994-10-04 Weyerhaeuser Company Method for binding particles to fibers using reactivatable bin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40041B (en) 1998-09-11
GB9713101D0 (en) 1997-08-27
US5614295A (en) 1997-03-25
AU4603496A (en) 1996-07-10
WO1996019171A2 (en) 1996-06-27
GB2311305B (en) 1998-12-23
CA2208885A1 (en) 1996-06-27
AR000372A1 (es) 1997-06-18
BR9510474A (pt) 1998-05-26
AU692353B2 (en) 1998-06-04
ZA9510854B (en) 1996-06-25
CN1175198A (zh) 1998-03-04
WO1996019171A3 (en) 1996-09-26
CN1132559C (zh) 2003-12-31
MX9704599A (es) 1997-10-31
DE19581898T1 (de) 1999-04-08
GB2311305A (en) 1997-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0260B1 (ko) 액체 분배성 및 보유성 섬유상 웹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75477B1 (ko) Z-방향액체전달매체
US7521587B2 (en)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hydrophilic nonwoven fabrics
JP2620267B2 (ja) 選択的表面親水性の繊維状または貫孔シート
EP1718344B1 (en) Hydrophobic surface coated absorbent articles
JP6339010B2 (ja) 吸収性物品の吸収性構造体
KR100259316B1 (ko) 표면 에너지 구배를 나타내는 유체 전달 웹
US8328782B2 (en) Hydrophobic surface coated light-weight nonwoven laminates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EP0245074A2 (en) Absorbent article
DE69908388T2 (de) Mit flüssigkeit dauerbefeuchtbarer durchlässiger stoff
JP2015533623A (ja) チャネル及びシグナルを備えた吸収性物品
CN1376044A (zh) 分配流体的防渗漏设置
JP2014515981A (ja) 吸収性物品の吸収性構造体
WO2015007212A1 (zh) 一种立体无纺布
ES2209554T3 (es) Bandas permeables a los liquidos duramente humectables preparadas usando un procedimiento de polimerizacion por plasma distante.
KR20020025254A (ko) 흡수용품용 엠보싱된 라이너
US6878857B1 (en) Fibrous structure and absorbent article including such a fibrous structure
US5912194A (en) Permeable liquid flow control material
EP0669420A2 (en) Mixed surfactant system as a durable fabric coating
MXPA97004599A (en) Fibrous tissue of retention and distribution of liquid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the
ZA200109520B (en) Personal care products with improved fluid handling properties.
EP1228272A1 (en) Durably wettable liquid pervious webs prepared using a radiation curing process
CN206642001U (zh) 一种瞬洁多孔槽卫生巾
JP2005089946A (ja) 吸収性素材
MXPA01002957A (en) Durably wettable liquid pervious webs prepared using a remote plasma polymerization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