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6983B1 - 스트리밍형 전자 출판물 사용자의 정당성 인증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리밍형 전자 출판물 사용자의 정당성 인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983B1
KR100386983B1 KR10-2000-0086391A KR20000086391A KR100386983B1 KR 100386983 B1 KR100386983 B1 KR 100386983B1 KR 20000086391 A KR20000086391 A KR 20000086391A KR 100386983 B1 KR100386983 B1 KR 100386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lectronic publication
side client
hardware information
se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6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8324A (ko
Inventor
김선기
Original Assignee
에듀이북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듀이북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듀이북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6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6983B1/ko
Publication of KR20020058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8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9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리밍형 전자 출판물 사용자의 정당성 인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초기 가입하는 일련의 "초기 가입 시점"에서 파악되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의 "초기 하드웨어 정보"와, 사용자가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이용하는 일련의 "전자 출판물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 시점"에서 파악되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의 "현 하드웨어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정당한 구매과정을 거친 정당 사용자 이외에는 전자 출판물의 스트리밍 과정이 아예 진행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이 경우, 부당 사용자는 비록, 정당 사용자의 아이디, 패스워드 등을 무단으로 양도받았다 하더라도, 전자 출판물을 임의로 사용할 수 없게 되며, 이에 따라, 불특정 다수에 의한 아이디/패스워드의 불법 양도가 최소한으로 억제될 수 있게 되고, 결국, 전자 출판물의 저작권자, 전자 출판물 판매 업체 등은 전자 출판물의 불법 사용에 따른 예측하지 못한 막대한 피해를 손쉽게 피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트리밍형 전자 출판물 사용자의 정당성 인증방법{Method for certifying a justness of a streaming type electronic publication user}
본 발명은 스트리밍형 전자 출판물(Streaming type electronic publication)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당성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정당성 인증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일련의 "전자 출판물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당성 여부가 사용자측 클라이언트의 하드웨어 정보에 의해 판별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부당 사용자에 의한 전자 출판물의 접근이 원천적으로 봉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특정 다수에 의한 "전자 출판물 무단 사용 문제"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스트리밍형 전자 출판물 사용자의 정당성 인증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종이를 이용한 전통적인 출판 방식이 일련의 전기·전자 데이터를 이용한 전자 출판물 방식으로 급격히 대체되고 있다.
예컨대, 미국특허공보 제 5689648 호 "정보 발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ublication of information)", 미국특허공보 제 5802516 호 "컴퓨터 시스템의 전자서적 제어 방법(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book for a computer system)", 미국특허공보 제 5893132 호 "전자책을 이용하여 읽을 수 있도록 책을 인코딩 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encoding a book for reading using an electronic book)", 미국특허공보 제 6029142 호 "전자 카탈로그 시스템 및 방법(Electronic catalog system and method)",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7115 호 "전자 정보 판매를 위한 표지",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37464 호 "구매자의 편집에 의한 맞춤 전자책의 생성방법 및 그 장치" 등에는 상술한 종래의 전자 출판물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좀더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다.
통상, 이러한 종래의 전자 출판물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일련의 전자 출판물파일을 전자 출판물을 판매하는 판매업체의 웹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후, 이를 자신의 PC(Personal Computer), 전용 단말기 등에 저장시키고, 필요시에 이 전자 출판물 파일을 선택적으로 오픈(Open) 시킴으로써, 해당 전자 출판물이 보유한 다양한 정보가 자신의 필요에 따라,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근래에, 이러한 전자 출판물이 단순히, 문자, 이미지 등만을 포함한 형태에서, 사운드, 영상 등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데이터(Multimedia data) 형태로 변모하면서, 전자 출판물 파일의 사이즈가 기존의 데이터에 비해, 대폭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 전자 출판물 파일을 전자 출판물 판매업체의 웹 서버로부터 일일이 다운 받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 방안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마치, 지속적인 물 흐름처럼 끊임없이 처리할 수 있는 이른바, "스트리밍" 기술이 개발되어 크게 각광 받고 있다.
예컨대, 한국특허공보 제 2000-12324 호 "인터넷에서 서적 내용의 멀티미디어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한국특허공보 제 2000-24522 호 "인터넷을 통한 컨텐츠 서비스 방법", 한국특허공보 제 2000-41813 호 "네트웍을 통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방법" 등에는 이러한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하여, 전자 출판물 서비스를 시행하는 종래의 다양한 기술이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다.
통상, 이러한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하여, 전자 출판물 서비스를 시행하는 경우, 판매업체의 웹 서버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본격적인 전자 출판물 스트리밍 서비스"를 진행하기 이전에, 사용자의 아이디(ID), 패스워드(P/W:Pass-Word) 등을 확인함으로써, 전자 출판물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당성 여부가 정확하게 판별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단지, 웹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이디, 패스워드 등을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하는 것만으로는 사용자의 정당성 여부를 정확히 확인하기가 매우 힘들다. 이는 예컨대, 임의의 정당 사용자가 불특정 다수의 부당 사용자에게, 자신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무단으로 양도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임의의 정당 사용자가 불특정 다수의 부당 사용자에게 자신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무단으로 양도하고, 해당 부당 사용자가 양도 받은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전자 출판물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종래의 전자 출판물 웹 서버는 현실적으로 이를 전혀 차단할 수 없게 되며, 결국, 전자 출판물의 저작권자, 전자 출판물 판매업체 등은 전통적인 종이 출판물과 비교할 수 없는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경우, 전자 출판물의 존립 기반 자체가 흔들리는 심각한 문제점이 야기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서비스를 초기 가입하는 일련의 "초기 가입 시점"에서 파악되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의 "초기 하드웨어 정보"와, 사용자가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이용하는 일련의 "전자 출판물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 시점"에서 파악되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의 "현 하드웨어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정당한 구매과정을 거친 정당 사용자 이외에는 전자 출판물의 스트리밍 과정이 아예 진행되지 못하도록 차단함으로써, 비록, 부당 사용자가 정당 사용자의 아이디, 패스워드 등을 무단으로 양도받았다 하더라도, 해당 전자 출판물을 임의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봉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당 사용자의 전자 출판물 접근을 원천적으로 봉쇄함으로써, 전자 출판물 시장의 안정화를 도모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반이 되는 스트리밍형 전자 출판물 관리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밍형 전자 출판물 사용자의 정당성 인증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측 클라이언트의 웹 페이지 개시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반이 되는 사용자 고유정보 D/B의 데이터 테이블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측 클라이언트의 웹 페이지 게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하드웨어를 구비한 상태로, 인터넷망에 접속중인 임의의 사용자측 클라이언트의 로그인 이벤트에 따라, 해당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 하드웨어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일련의 제 1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단계와, 이 제 1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의 하드웨어 정보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제 1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의 하드웨어 정보가 전송된 경우, 해당 사용자측 클라이언트의 하드웨어 정보가 기 등록된 고유 하드웨어 정보와 일치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사용자측 클라이언트의 하드웨어 정보가 기 등록된 고유 하드웨어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일련의 전자 출판물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자 출판물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일련의 전자 출판물 정보를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 스트리밍(Streaming)하는 단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리밍형 전자 출판물 사용자의 정당성 인증방법을 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밍형 전자 출판물 사용자의 정당성 인증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반을 이루는 전자 출판물 관리 시스템(100)은 D/B 블록(60), D/B 관리 서버(30),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 어플리케이션 로더(40), 사용자 고유정보 생성모듈(50), 전자 출판물 스트리밍 서버(20)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D/B 블록(60)에는 예컨대, 일련의 운영정보가 저장된 운영정보 D/B(61), 일련의 사용자 고유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고유정보 D/B(62), 일련의 전자 출판물 정보가 저장된 전자 출판물 정보 D/B(63) 등이 배치된다.
이때, 상술한 D/B 관리 서버(30)는 운영정보 D/B(61)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정보, 사용자 고유정보 D/B(62)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고유정보, 전자 출판물 D/B(63)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 출판물 정보 등을 선택적으로 출력·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D/B 관리 서버(30)는 단순히, 운영정보, 사용자 고유정보, 전자 출판물 정보 등을 출력·저장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각 운영정보, 사용자 고유정보, 전자 출판물 정보 등을 중복 없이 가장 신속한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지능적인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앞의 D/B 관리 서버(30)와 일련의 통신관계를 형성함과 아울러, 임의의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와도 예컨대, 인터넷망을 통해 인터페이스 한다.
이 상태에서,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D/B 관리 서버(30)와 지속적인 신호 교환을 수행하여, 상술한 운영정보, 사용자 고유정보의 저장 및 추출 여부를 신속하게 결정짓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에 의해 일련의 전자 출판물 스트리밍 요구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에 따른 본격적인 전자 출판물 스트리밍 과정이 진행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를 대상으로 하는 일련의 "정당 사용자 인증과정"을 신속하게 진행한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 로더(4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80)에 위치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을 추출하고, 이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을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과정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80)로부터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로 전달된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70)은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에 의해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된 후,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의 소프트웨어 영역에서 활성화되어, 해당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가 보유한 다양한 하드웨어 정보, 예컨대, 하드디스크의 일련번호, 운영체제의 일련번호 등을 체크하고, 그 체크 결과를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70)으로부터 일련의 하드웨어 정보가 전송되면,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이 하드웨어 정보를 예컨대, 사용자 고유정보 D/B(61)에 기 저장되어 있는 고유 하드웨어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현재, 전자 출판물의 스트리밍 과정을 요구하고 있는 사용자가 정당 사용자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사용자 고유정보 생성모듈(50)은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전송되는 여러 가지 가입자 정보, 예컨대, 사용자의 아이디, 사용자의 패스워드 등과,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70)으로부터 전송되는 하드웨어 정보 등을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로부터 전달받은 후, 이 정보들을 하나로 결합시켜, 일련의 사용자 고유정보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사용자 고유정보를 상술한 D/B 관리 서버(30)로 전달함으로써, 해당 사용자 고유정보가 예컨대, 사용자 고유정보 D/B(61)에 안정적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출판물 스트리밍 서버(20)는 앞의 D/B 관리 서버(30),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 등과 인터페이스 한 상태에서, 예컨대,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전자 출판물 스트리밍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정당성 여부를 확인 받고, 만약, 해당 사용자가 정당 사용자로 확인되는 경우, 전자 출판물 정보 D/B(63)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전자 출판물 정보를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스트리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전자 출판물 스트리밍 서버(20)가 해당 사용자가 부당 사용자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전자 출판물의 스트리밍 과정을 아예 진행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스트리밍형 전자 출판물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한 스트리밍형 전자 출판물 사용자의 정당성 인증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일련의 전자 출판물을 스트리밍 받고자 하는 사용자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 및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전자 출판물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한다.
이 상태에서,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웹 접속 이벤트가 발행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
이때, 사용자가 전자 출판물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는 과정을 진행하지 않아,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웹 접속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플로우를 단계 S2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전자 출판물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는 과정을 진행하여,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웹 접속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일련의 메인 페이지를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3).
이 경우,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D/B 관리 서버(30)로 예컨대, 운영정보의 추출을 요구하게 되며, D/B 관리 서버(30)는 이러한 요구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운영정보 D/B(61)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정보를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로 전달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일련의 운영정보가 전달되면,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이 운영정보를 토대로, 메인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메인 페이지를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신속히 전달한다.
이 경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는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로부터 전달되는 메인 페이지(201)를 신속히 해석하여, 이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스트리밍형 전자 출판물을 사용할 수 있는 기반환경을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로그인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
이때, 사용자가 예컨대, 메인 페이지(201)에 게시되어 있는 아이디 입력항목(202), 패스워드 입력항목(203), 로그인 항목(204) 등을 선택하지 않아,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로그인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신규가입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재차 판단한다(단계 S5).
이때, 사용자가 예컨대, 메인 페이지(201)에 게시되어 있는 신규가입 항목(205)을 선택하지 않아,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신규가입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플로우를 단계 S6으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예컨대, 메인 페이지(201)에 게시되어 있는 신규가입 항목(205)을 선택하여,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신규가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해당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사용자의 시스템 가입과정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일련의 가입 가이드 페이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7).
이 경우,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D/B 관리 서버(30)로 예컨대, 운영정보의 추출을 요구하게 되며, D/B 관리 서버(30)는 이러한 요구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운영정보 D/B(61)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정보를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로 전달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일련의 운영정보가 전달되면,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이 운영정보를 토대로, 가입 가이드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가입 가이드 페이지를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신속히 전달한다.
이 경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는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로부터 전달되는 가입 가이드 페이지(206)를 신속히 해석하여, 이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일련의 신규 가입과정을 원활하게 진행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물론, 이러한 가입 가이드 페이지(206)에는 전자 출판물과 관련된 금전적인 결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만, 이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본 설명에서는 이에 대한 내용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일련의 가입 가이드 페이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함과 아울러, 이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해당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의 하드웨어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일련의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70)을 전송하는 과정을 함께 진행한다(단계 S8).
이 경우,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어플리케이션 로더(40)로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70)의 추출을 요구하게 되며, 어플리케이션 로더(40)는 이러한 요구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어플리케이션 서버(80)에 저장되어 있는 하드웨어 정보 추출 어플리케이션(70)을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로 전달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일련의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70)이 전달되면,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그 즉시, 이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70)을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한다.
이 경우,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70)은 예컨대,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의 소프트웨어 영역에서 활성화됨으로써, 해당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가 보유한 다양한 하드웨어 정보, 예컨대, 하드디스크의 일련번호, 운영체제의 일련번호 등을 체크하고, 그 체크 결과를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로 전달한다. 물론, 가입 페이지(206)를 이용하여, 일련의 신규가입 과정을 수행하고 있는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 중인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의 하드웨어 정보가 체크되고 있다는 사실을 전혀 알 수 없다.
이 상태에서,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에 실행 중인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70)으로부터 일련의 하드웨어 정보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
이때,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70)의 하드웨어 정보 체크 과정이 아직 마무리되지 않아, 이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70)으로부터 일련의 하드웨어 정보가 전송되지 않았으면,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플로우를 단계 S10으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하드웨어 정보 추출 어플리케이션(70)의 하드웨어 정보 체크 과정이 모두 마무리되어, 이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70)으로부터 일련의 하드웨어 정보가 전송되었으면,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그 즉시,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가입 데이터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재차 판단한다(단계S11).
이때, 사용자가 고유정보 기입항목(207)에 아직 모든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가입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았으면,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플로우를 단계 S12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고유정보 기입항목(207)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입력하고, 가입항목(208)을 선택하여,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예컨대, "사용자의 아이디, 사용자의 패스워드"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가입 데이터가 전송되었으면,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앞의 하드웨어 정보 추출 어플리케이션(70)으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의 하드웨어 정보"와,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전달되는 "가입자 정보"를 취합하여, 이를 사용자 고유정보 생성모듈(50)로 전달한다.
이 경우, 사용자 고유정보 생성모듈(50)은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로부터 전달되는 가입자 정보, 하드웨어 정보 등을 하나로 결합시켜, 일련의 사용자 고유정보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사용자 고유정보를 D/B 관리 서버(30)로 전달함으로써, 해당 사용자 고유정보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사용자 고유정보 D/B(62)의 데이터 테이블에 안정적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13).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 고유정보의 저장과정이 모두 마무리되면,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앞의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일련의 가입 환영 페이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4).
이 경우,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D/B 관리 서버(30)로 예컨대, 운영정보의 추출을 요구하게 되며, D/B 관리 서버(30)는 이러한 요구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운영정보 D/B(61)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정보를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로 전달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일련의 운영정보가 전달되면,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이 운영정보를 토대로, 가입 환영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가입 환영 페이지를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신속히 전달한다.
이 경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는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로부터 전달되는 가입 환영 페이지(209)를 신속히 해석하여, 이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가입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단계 S4에서, 사용자가 예컨대, 메인 페이지(201)에 게시되어 있는 아이디 입력항목(202), 패스워드 입력항목(203), 로그인 항목(204) 등을 차례로 선택하여,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로그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전송되는 로그인 데이터를 체크하여, 이 로그인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아이디, 사용자 패스워드 등이 사용자 고유정보 D/B(62)에 기 저장되어 있는 등록 아이디/등록 패스워드 등과 일치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5).
이 경우,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D/B 관리 서버(30)로 예컨대, 해당 사용자의 등록 아이디/등록 패스워드 등을 요구하게 되며, D/B 관리 서버(10)는 이러한 요구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사용자 고유정보 D/B(62)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사용자의 등록 아이디/등록 패스워드 등을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로 전달한다.
이때, 앞서 언급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사용자의 등록 아이디/등록 패스워드가 asd123/P4693a 인데 반해, 로그인 데이터에 포함된 아이디/패스워드가 asd123/P1232 이어서, 두 항목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운영정보 D/B(61)에 저장된 운영정보를 활용하여, 일련의 재시도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재시도 요구 메시지를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6).
이 경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는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로부터 전달되는 재시도 요구 메시지, 예컨대, "입력하신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습니다. 다시 한번 시도해 주십시오" 등과 같은 내용의 재시도 요구 메시지를 신속히 해석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패스워드를 잘못 입력한 사실을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해당 사용자의 등록 아이디/등록 패스워드가 37SSKim/3A441이고, 로그인 데이터에 포함된 아이디/패스워드 또한 37SSKim/3A441 이어서, 두 항목이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70)을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7). 이 경우,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어플리케이션 로더(40)로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70)의 추출을 요구하게 되며, 어플리케이션 로더(40)는 이러한 요구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어플리케이션 서버(80)에 저장되어 있는 하드웨어 정보 추출 어플리케이션(70)을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로 전달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일련의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70)이 전달되면,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그 즉시, 이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70)을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한다.
이 경우,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70)은 앞서 언급한 경우와 유사하게, 예컨대,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의 소프트웨어 영역에서 활성화됨으로써, 해당 사용자측 클라이언트가 보유한 다양한 하드웨어 정보, 예컨대, 하드디스크의 일련번호, 운영체제의 일련번호 등을 체크하고, 그 체크 결과를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로 전달한다. 물론,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 중인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의 하드웨어 정보가 체크되고 있다는 사실을 전혀 알 수 없다.
이 상태에서,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에 실행 중인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70)으로부터 일련의 하드웨어 정보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8).
이때,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70)의 하드웨어 정보 체크 과정이 아직 마무리되지 않아, 이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70)으로부터 일련의 하드웨어 정보가 전송되지 않았으면,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플로우를 단계 S19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하드웨어 정보 추출 어플리케이션(70)의 하드웨어 정보 체크 과정이 모두 마무리되어, 이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70)으로부터 일련의 하드웨어 정보가 전송되었으면,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이 하드웨어 정보가 예컨대, 사용자 고유정보 D/B(62)에 기 저장되어 있는 고유 하드웨어 정보와 일치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20).
이때, 해당 사용자가 asd123/P4693a의 등록 아이디/등록 패스워드를 갖는 사용자이고, 이 사용자의 고유 하드웨어 정보가 예컨대, "하드 디스크=374191, 운영체제=164PP"로 등록되어 있는데 반해, 현재 파악된 하드웨어 정보가 예컨대, "하드 디스크=59037, 운영체제=ALD323" 이어서, 두 항목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현재 로그인 중인 사용자가 부당 사용자인 것으로 판정하고,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일련의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21).
이 경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는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로부터 전달되는 경고 메시지, 예컨대, "사용자님은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이므로, 전자 출판물을 보실 권한이 없습니다. 관리자에게 문의하십시오" 등과 같은 내용의 경고 메시지를 신속히 해석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시킴으로써, 현 사용자의 전자 출판물 접근이 원천적으로 봉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사용자가 서비스를 초기 가입하는 일련의 "초기 가입 시점"에서 파악되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의 "초기 하드웨어 정보"와, 사용자가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이용하는 일련의 "전자 출판물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 시점"에서 파악되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의 "현 하드웨어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정당한 구매과정을 거친 정당 사용자 이외에는 전자 출판물의 스트리밍 과정이 아예 진행되지 못하도록 차단함으로써, 비록, 부당 사용자가 정당 사용자의 아이디, 패스워드 등을 무단으로 양도받았다 하더라도, 해당 전자 출판물을 임의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부당 사용자의 전자 출판물 접근이 원천적으로 봉쇄되는 경우, 임의의 사용자들은 아이디/패스워드 등의 무분별한 불법 양도를 미리 포기하게 되며, 결국, 전자 출판물의 저작권자, 전자 출판물 판매 업체 등은 예측하지 못한 막대한 피해를 손쉽게 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단계 S20에서, 해당 사용자가 asd123/P4693a의 등록 아이디/등록 패스워드를 갖는 사용자이고, 이 사용자의 고유 하드웨어 정보가 예컨대, "하드 디스크=374191, 운영체제=164PP"로 등록되어 있으며, 현재 파악된 하드웨어 정보 또한, "하드 디스크=374191, 운영체제=164PP" 이어서, 두 항목이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가 정당 사용자인 것으로 판정하고,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일련의 전자 출판물 선택 페이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22). 이 경우,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D/B 관리 서버(30)로, 예컨대, 운영정보의 추출을 요구하게 되며, D/B 관리 서버(30)는 이러한 요구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운영정보 D/B(61)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정보를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로 빠르게 전달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일련의 운영정보가 전달되면,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이 운영정보를 토대로, 일련의 전자 출판물 선택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전자 출판물 선택 페이지를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신속히 전달한다. 이 경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는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로부터 전달되는 전자 출판물 선택 페이지(210)를 신속히 해석하여, 이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스트리밍을 원하는 전자 출판물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기반환경을 조성한다.
이 상태에서,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전자 출판물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3).
이때,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별도의 전자 출판물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플로우를 단계 S24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예컨대, 전자 출판물 선택 페이지(210)의 다운로드 항목(211)을 선택하여,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전자 출판물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일련의 스트리밍 정보 페이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25).
이러한 스트리밍 정보 페이지에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가 스트리밍을 받아야 할 전자 출판물 파일의 종류와, 이 전자 출판물 파일의 스트리밍을 요청할 전자 출판물 스트리밍 서버(20)의 URL에 대한 정보가 기재된다.
앞서 언급한 과정을 통해,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로부터 일련의 스트리밍 정보 페이지가 전송되면,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는 이 스트리밍 정보 페이지에 기재된 정보를 토대로 하여, 전자 출판물 스트리밍 서버(20)로 특정 파일명을 갖는 전자 출판물의 스트리밍을 요청한다. 이 경우, 전자 출판물 스트리밍 서버(20)는 D/B 관리 서버(30)로 예컨대, 해당 전자 출판물 정보의 추출을 요구하게 되며, D/B 관리 서버(30)는 이러한 요구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전자 출판물 정보 D/B(63)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 출판물 정보를 전자 출판물 스트리밍 서버(20)로 전달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일련의 전자 출판물 정보가 전달되면, 전자 출판물 스트리밍 서버(20)는 해당 전자 출판물 정보를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실시간 전송하게 되며, 결국,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는 이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인(212)을 통해 디스플레이 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정당 사용자는 해당 전자 출판물이 보유한 다양한 정보를 자신의 필요에 따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단계 S26). 계속해서,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다른 전자 출판물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재차 판단한다(단계 S27). 이때,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별도의 전자 출판물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플로우를 종료시킨다.
그러나, 사용자가 예컨대, 전자 출판물 선택 페이지(210)의 다른 다운로드 항목을 선택하여,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전자 출판물 선택 이벤트가 다시 한번 연속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앞서 언급한 단계 S25, S26을 반복·진행시킴으로써, 정당 사용자의 전자 출판물 활용 과정이 연속적으로 더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전자 출판물 관리 서버(10)는 임의의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각종 전자 출판물 정보의 스트리밍이 요청될 때마다, 상술한 "하드웨어 정보를 토대로 하는 일련의 정당 사용자 인증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시킴으로써, 부당 사용자에 의한 일련의 "전자 출판물 접근"이 원천적으로 봉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초기 가입하는 일련의 "초기 가입 시점"에서 파악되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의 "초기 하드웨어 정보"와, 사용자가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이용하는 일련의 "전자 출판물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 시점"에서 파악되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의 "현 하드웨어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정당한 구매과정을 거친 정당 사용자 이외에는 전자 출판물의 스트리밍 과정이 아예 진행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이 경우, 부당 사용자는 비록, 정당 사용자의 아이디, 패스워드 등을 무단으로 양도받았다 하더라도, 전자 출판물을 임의로 사용할 수 없게 되며, 이에 따라, 불특정 다수에 의한 아이디/패스워드의 불법 양도가 최소한으로 억제될 수 있게 되고, 결국, 전자 출판물의 저작권자, 전자 출판물 판매 업체 등은 전자 출판물의 불법 사용에 따른 예측하지 못한 막대한 피해를 손쉽게 피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소정의 하드웨어를 구비한 상태로, 인터넷망에 접속중인 임의의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진행되며,
    상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의 로그인 이벤트에 따라, 상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 상기 하드웨어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일련의 제 1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의 하드웨어 정보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의 하드웨어 정보가 전송된 경우, 해당 사용자측 클라이언트의 하드웨어 정보가 기 등록된 고유 하드웨어 정보와 일치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의 하드웨어 정보가 기 등록된 고유 하드웨어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일련의 전자 출판물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자 출판물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일련의 전자 출판물 정보를 상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 스트리밍(Stream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형 전자 출판물 사용자의 정당성 인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 일련의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일련의 가입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일련의 가입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시스템 가입과정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일련의 가입 가이드 페이지 및 가입 이벤트를 발생시킨 상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의 하드웨어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일련의 제 2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하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의 하드웨어 정보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함과 아울러, 상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가입 가이드 페이지에 대응되는 일련의 가입 데이터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파드웨어 정보추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의 하드웨어 정보가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가입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 상기 가입 데이터 및 사용자측 클라이언트의 하드웨어 정보를 결합하여, 일련의 고유 하드웨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고유 하드웨어 정보를 등록·저장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형 전자 출판물 사용자의 정당성 인증방법.
KR10-2000-0086391A 2000-12-29 2000-12-29 스트리밍형 전자 출판물 사용자의 정당성 인증방법 KR100386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6391A KR100386983B1 (ko) 2000-12-29 2000-12-29 스트리밍형 전자 출판물 사용자의 정당성 인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6391A KR100386983B1 (ko) 2000-12-29 2000-12-29 스트리밍형 전자 출판물 사용자의 정당성 인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324A KR20020058324A (ko) 2002-07-12
KR100386983B1 true KR100386983B1 (ko) 2003-06-09

Family

ID=27689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6391A KR100386983B1 (ko) 2000-12-29 2000-12-29 스트리밍형 전자 출판물 사용자의 정당성 인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69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324A (ko) 200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3180B2 (en) Content distribution method, content obtain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US7849323B2 (en) Password presentation for multimedia devices
Choudhury et al. Copyright protection for electronic publishing over computer networks
EP130186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ity certification and verification of content consumption environments
TWI220620B (en) Method of protecting and managing digital contents and system for using thereof
JP4155393B2 (ja) ファイル交換装置、個人情報登録・紹介サーバ、送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0164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accessing digital media content using smart card technology
EP1277305B1 (en) Secure digital content licensing system and method
CN1333314C (zh) 软件执行控制系统
KR100690417B1 (ko) 컴퓨터 네트워크 내에서 응용 프로그램 코드와 콘텐트데이터의 분배 제어
EP1920354B1 (en) Remotely accessing protected files via streaming
TWI241105B (en) Method and apparatus of storage anti-piracy key encryption (sake) device to control data access for networks
WO2000044119A1 (en) Universal mobile id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US8752187B2 (en) Portable license server
AU20012852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ity certification and verification of content consumption environments
JP2005526320A (ja) デジタル著作権管理における安全なコンテンツの共有
KR20040029307A (ko) 콘텐츠 배신 시스템 및 콘텐츠 배신 방법, 및 클라이언트단말기
KR20100121620A (ko) 캡차 광고
JP2004062870A (ja) データ配信システム
KR101034127B1 (ko) 무결성 보증 및 검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302335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transmitting and distributing information and for producing a physical instantiation of the transmitted information in an intermediate, information-storage medium
JP2001256192A (ja) コンテンツの配信方法
JP200712941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386983B1 (ko) 스트리밍형 전자 출판물 사용자의 정당성 인증방법
JP2002007912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賃貸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