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6216B1 - 블록베어링의 베어링 보호용 홀더 - Google Patents

블록베어링의 베어링 보호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216B1
KR100386216B1 KR10-2000-0077036A KR20000077036A KR100386216B1 KR 100386216 B1 KR100386216 B1 KR 100386216B1 KR 20000077036 A KR20000077036 A KR 20000077036A KR 100386216 B1 KR100386216 B1 KR 100386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block bearing
block
rail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6502A (ko
Inventor
이덕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비씨리니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비씨리니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비씨리니어
Priority to KR10-2000-0077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621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6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2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 F16C35/067Fixing them in a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니어 레일에 결합되어 이용되는 리니어 블록 베어링을 레일과 결합한 상태로 보관하지 않고 블록베어링을 별개로 보관하되 베어링을 이탈시키지 않고 보관할 수 있는 블록베어링의 베어링 보호 홀더에 관한 것이다.
블록베어링의 베어링은 상기 블록베어링이 레일에서 분리되면 베어링이 블록베어링에서 탈리되게 되므로 외부 구조를 레일의 외부 구조와 같은 홀더를 구성하여 레일이 결합되었던 부분에 홀더를 끼우므로 서 상기 블록베어링만으로도 유통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베어링 보호용 홀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블록베어링의 베어링 보호용 홀더{Bearing protective holder of block bearing}
본 발명은 리니어 레일에 결합되어 이용되는 리니어 블록 베어링을 레일과 결합한 상태로 보관하지 않고 블록베어링을 별개로 보관하되 베어링을 블록베어링에서 이탈시키지 않고 보관할 수 있는 블록베어링의 베어링 보호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리니어 레일용 블록베어링은 상기 리니어 레일과 블록베어링이 결합된 상태로 유통되어 레일이 필요 없을 경우에는 레일 구입 비용을 더 부담해야하는 부담이 있고 보관을 하더라도 레일과 블록베어링을 결합한 상태로 보관해야하는 불편이 있고 블록베어링과 레일을 분리하여 보관하고자 할 때는 블록베어링에서 레일을 분리할 수 있으나, 블록베어링의 베아링은 블록베어링과 레일의 결합에 의해서 만이 필요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므로 블록베어링과 레일을 분리하면 베어링이 이탈되어 이를 재 사용할 경우에는 그 작업에 많은 시간을 요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블록베어링을 생산할 때 레일이 결합되는 부분에 외부가 레일의 외부와 같이 구성된 홀더를 끼우므로 서 블록베어링의 베어링을 보호하여 보관하므로 서 상기 블록베어링의 재사용시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착용 상태도
도 2는 블록베어링과 홀더의 분리도
도 3은 종래의 유통용 블록베어링의 결합구조
도 4는 블록베어링과 홀더의 결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블록베어링 12 : 베어링
13 : 스토퍼(a,b) 14 : 몸체
15 : 가이드 16 : 돌출부재
17 : 돌기 18 : 구멍
19 : 홈 21 : 격판
22 : 안착부 23 : 팔
24 : 레일 25 : 라인홀
첨부된 도면과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합니다. 본 발명은 블록베어링(11)의 레일(24)이 결합되는 부분에 홀더를 결합하여구성되는 것으로서, 블록베어링(11)과 홀더의 몸체(14)가 결합되는 부분은 레일(24)의 외형과 동일하고 양측에 스토퍼(13a,13b)가 형성되어 상기 블록베어링(11)에서 홀더가 탈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하고자 한 것이며, 도 3은 홀더의 몸체(14)가 블록베어링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자 한 것이고, 도 4는 종래의 블록베어링과 레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블록베어링(11)의 구조는 상기 블록베어링(11)의 길이 방향으로 라인홀(25)과 가이드(15)가 형성되고 상기 라이홀(25)과 가이드(15)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라인홀(25)에는 베어링(12)이 연속적으로 내재되고 가이드(15)에는 베어링(12)이 연속적으로 접촉하면서 나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홀더 몸체(14)의 외부와 블록베어링(11)의 안착부(22)가 밀착되므로 서 가이드(15)에 접촉된 베어링(12)이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블록베어링(11)의 안착부(22)에 밀착되는 홀더의 몸체(14)는 상기 블록베어링(11)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형성되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는 레일(24)의 외부와 같이 가이드(15)가 형성되고 후부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양의 스토퍼(13b)가 수직으로 형성되며 전면부에는 몸체(14)의 양 측 하부에서 돌출하여 전방으로 진출한 돌출부재(16)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재(16)의 측부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멍(18)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4) 상부 표면에 횡으로 홈(19)이 형성되어 전면 스토퍼(13a)가 안착되며 상기 스토퍼(13a)의 양 팔(23)에는 내측으로 돌기(17)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리니어 레일(24), 리니어 블록베어링(11)은 고도의 정밀성을 요구하는 성형기에 이용할 수 있는 기구로서 그 정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리니어 레일(24)과 리니어블록베어링(11)을 일체로 결합하여 유통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유통되는 구성 단위는 복잡하여 유통과정에서 어려움이 있고, 구입할 때 2가지 품목을 같이 구입해야 하는 부담이 발생하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입자의 구입 부담을 줄이면서 블록베어링(11)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유통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블록베어링(11)에 장착되는 레일(24) 대신에 그 외부가 레일(24)의 외부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홀더를 장착시키므로 서 블록베어링(11)에 내재된 베어링(12)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홀더는 성형이 용이한 수지로 형성되고 체적을 축소하면서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14)의 이면에 다수개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공간부 사이사이에는 몸체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격판(21)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14)의 전면 스토퍼(13a)를 해제하고 몸체(14)를 블록베어링(11)의 안착부(22)로 완전 삽입시키면 후면의 스토퍼(13b)가 블록베어링(11)에 접촉하게 되어 몸체(14)는 안착부(22)의 삽입을 멈추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몸체(14)가 완전히 삽입되면 해제했던 전면 스토퍼(13a)의 내측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홈(19)에 안착되게 하고 양 팔(23)은 넓혀서 팔(23)의안측으로 돌출된 돌기(17)가 돌출부재(16) 측부에 형성된 구멍(18)에 삽입 고정시키므로 서 몸체(14)는 블록베어링(11)의 양 단부에서 차단되므로 블록베어링(11)의 안착부(22)와 몸체(14)가 일체로 형성되어 블록베어링(11)의 베어링(12)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홀더는 블록베어링이 완성된 상태, 즉 블록베어링과 레일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기능을 가지므로 서 블록베어링의 외형이 단순하여 보관이 용이하고 구입자의 선택에 따라 구입이 가능하므로 구입자의 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구입자가 설치 조립시 블록베어링과 레일의 부착 작업시 그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1)

  1. 몸체(14)의 양 측면에 리니어 레일(24)에 형성된 가이드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고 몸체(14)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15)와, 몸체(14)의 후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14)의 상부 면 보다 돌출한 스토퍼(13b)와, 몸체(14) 전면 상부에 횡으로 형성된 홈(19)과, 몸체(14) 전면 하부에 측면으로 돌출되고 몸체(14)의 전면으로 진출되며 측부에 구멍(18)이 형성된 돌출부재(16)와, 내측으로 홈(19)에 안착되고 양 팔(23)의 내측으로 돌기(17)가 형성된 스토퍼(13a)와, 몸체(14)의 저부에 체적을 축소하고 장력을 크게 하기 위해 형성된 격판(2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베어링의 베어링 보호용 홀더.
KR10-2000-0077036A 2000-12-15 2000-12-15 블록베어링의 베어링 보호용 홀더 KR100386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036A KR100386216B1 (ko) 2000-12-15 2000-12-15 블록베어링의 베어링 보호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036A KR100386216B1 (ko) 2000-12-15 2000-12-15 블록베어링의 베어링 보호용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502A KR20010016502A (ko) 2001-03-05
KR100386216B1 true KR100386216B1 (ko) 2003-06-02

Family

ID=19703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036A KR100386216B1 (ko) 2000-12-15 2000-12-15 블록베어링의 베어링 보호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621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7621U (ko) * 1985-08-23 1987-03-05
JPS63121816U (ko) * 1987-02-02 1988-08-08
JPS6438259U (ko) * 1987-09-01 1989-03-07
JPH04101823U (ja) * 1991-02-14 1992-09-02 日本精工株式会社 リニアガイド装置のストツパ装置
JPH06147224A (ja) * 1992-11-04 1994-05-27 Nippon Seiko Kk ミニチュアリニアガイ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53821U (ja) * 1992-12-28 1994-07-22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直動転がり案内ユニット
JPH09317765A (ja) * 1996-05-27 1997-12-09 Nippon Thompson Co Ltd 直動転がり案内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7621U (ko) * 1985-08-23 1987-03-05
JPS63121816U (ko) * 1987-02-02 1988-08-08
JPS6438259U (ko) * 1987-09-01 1989-03-07
JPH04101823U (ja) * 1991-02-14 1992-09-02 日本精工株式会社 リニアガイド装置のストツパ装置
JPH06147224A (ja) * 1992-11-04 1994-05-27 Nippon Seiko Kk ミニチュアリニアガイ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53821U (ja) * 1992-12-28 1994-07-22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直動転がり案内ユニット
JPH09317765A (ja) * 1996-05-27 1997-12-09 Nippon Thompson Co Ltd 直動転がり案内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502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385291S (en) Eyeglass front
USD430190S (en) Eyeglass frame
KR950033558A (ko) 안경용 스프링 힌지
USD423243S (en) Seat frame
USD417541S (en) Case for spectacles or other articles
USD460571S1 (en) Reinforcing bar protection cap
USD424744S (en) Razor guard bar
KR100386216B1 (ko) 블록베어링의 베어링 보호용 홀더
USD423035S (en) Eyeglass components
USD334584S (en) Sunglasses temple
USD343307S (en) Dust mask holder
USD411860S (en) Organizer rack with vertical storage sections
US7431452B2 (en) Lens attachment to eyewear having cushion pad
USD369377S (en) Temple for sunglasses
USD437087S1 (en) Combined razor holder and cap
USD403296S (en) Sunglass caddy
USD455451S1 (en) Eyeglasses
USD416630S (en) Reinforcing bar protection cap
USD444498S1 (en) Writing instrument
USD423576S (en) Writing instrument
USD393866S (en) Eyeglass frame assembly
USD426566S (en) Eyeglass frame
USD389854S (en) Auxiliary nose piece for eyeglasses
USD441015S1 (en) Writing instrument
USD349811S (en) Combination eyeglass/contact lens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