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6115B1 - 에지 교환시스템과 타 교환시스템간 범용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에지 교환시스템과 타 교환시스템간 범용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115B1
KR100386115B1 KR10-2001-0007862A KR20010007862A KR100386115B1 KR 100386115 B1 KR100386115 B1 KR 100386115B1 KR 20010007862 A KR20010007862 A KR 20010007862A KR 100386115 B1 KR100386115 B1 KR 100386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 system
clock
clock information
synchronizer
synchronizer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7335A (ko
Inventor
장형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7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6115B1/ko
Publication of KR20020067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1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지 교환시스템과 타 교환시스템간 범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지 교환시스템과 타 교환시스템이 상호간의 인터페이스 환경에 관계없이 상호 연동될 수 있는 범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범용 인터페이스 장치는 에지 교환시스템에 내장된 T1/E1 framer로부터 발생된 망동기 클럭을 추출하는 제1 망동기 클럭 추출부, 타 교환 시스템의 T1/E1 framer로부터 발생된 망동기 클럭을 추출하는 제2 망동기 클럭 추출부, 타 교환시스템의 망동기 클럭 정보를 저장하는 클럭 정보 저장부, 제2 망동기 클럭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망동기 클럭 정보가 클럭 정보 저장부에 있는 망동기 클럭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두 교환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모드 설정부를 포함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터로 동작해야 할 타 교환시스템의 망동기 클럭 정보를 사전에 구비하여, 제2 망동기 클럭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망동기 클럭 정보가 상기한 망동기 클럭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에지 교환시스템과 타 교환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모드 설정 모드를 구비함으로써 교환시스템간 인터페이스 환경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가 가능하므로 종래의 에지 교환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장치는 그 인터페이스 환경에 따라 각기 달리 설계가 되어야 하는 불편 사항을 개선시킬 수 있어 망 구축을 위한 비용 절감의 효과에도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지 교환시스템과 타 교환시스템간 범용 인터페이스 장치{Apparatus for interfacing communication systems}
본 발명은 에지 교환시스템과 타 교환시스템간 범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지 교환시스템과 타 교환시스템이 상호간의 인터페이스 환경에 관계없이 상호 연동될 수 있는 범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지 시스템은 Ethernet 또는 ATM 네트워크와 같은 레거시(Legacy) 타입의 네트워크간에 정보 패킷을 통과시킬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계층 구조의 데이터 링크 레이어와 네트워크 레이어에 내재된 정보를 이용한다. 이의 가장 대표적인 예로는 에지 라우터를 들 수 있다. 에지 시스템은 네트워크 라우팅 정보의 취합(gathering)은 하지 않으며 단지 경로 분배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네트워크 레이어에서 발견되는 라우팅 정보를 이용만 한다(즉, 라우팅 정보에 인위적 조작은 하지 않는다).
한편 교환시스템간 인터페이스에 쓰이는 방식으로서 주로 T1/E1 방식을 사용하는데 T1은 미국, 일본 등에서 E1은 유럽에서 주로 쓰이는 방식이며 두 방식은 인터페이스라는 본질은 동일하며 다만 데이터 부호화 방식, 초당 데이터 전송량 등에 있어서 차이가 날 뿐이다.
그런데 에지 교환시스템이 타 교환시스템과 T1/E1 방식으로 연동 시에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내장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장치의 T1/E1 framer가 인터페이스를 위한 역할을 담당하며 T1/E1 framer에서 발생된 망동기 클럭을 타 교환시스템에 무조건 공급하게 되어 있어 상호 시스템간 동기(망동기)에 상당한 어려움을 내포하고 있다. 이 얘기는 타 교환시스템은 PABX와 같은 소규모 시스템에서 PSTN 교환기와 같은 대형 시스템을 아우를 수 있는데 PABX와 같은 소규모 시스템은 다양한 제조업자가 있는 관계로 각기 고유한 망동기 클럭을 가지고 있어 에지 교환시스템과의 동기의 어려움을, PSTN 교환기와 같은 대형 시스템은 항상 마스터(Master)로 동작하는데 종래의 에지 교환시스템도 항상 마스터로 동작을 하기 때문에 두 시스템간의 충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에지 교환시스템은 대형 시스템의 동기에 맞추어져 동작을 하게끔 설치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며, 포괄적으로 언급하면 종래의 에지 교환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장치는 그 인터페이스 환경에 따라(어떤 교환시스템과연결되느냐에 따라) 각기 달리 설계가 되어야 하는 불편 사항이 수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불편 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에지 교환시스템의 인터페이스 환경에 관계없이 능동적으로 타 교환시스템과의 망동기를 행할 수 있는 범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범용 인터페이스 장치는 에지 교환시스템에 내장된 T1/E1 framer로부터 발생된 망동기 클럭을 추출하는 제1 망동기 클럭 추출부, 타 교환 시스템의 T1/E1 framer로부터 발생된 망동기 클럭을 추출하는 제2 망동기 클럭 추출부, 타 교환시스템의 망동기 클럭 정보를 저장하는 클럭 정보 저장부, 제2 망동기 클럭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망동기 클럭 정보가 클럭 정보 저장부에 있는 망동기 클럭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두 교환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모드 설정부를 포함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동작 양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범용 인터페이스 장치(11)의 구성도이다.
T1/E1 framer(12,21)은 에지 교환시스템(10)과 타 교환시스템(20)이 상호 연동 시에 인터페이스를 위한 데이터 패킷 프레임 및 망동기 클럭을 생성해내는 부분으로서 그 프레임의 형식은 여러 통신 규격을 설명한 문헌에 자세히 제시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약한다.
제1 망동기 클럭 추출부(13)는 에지 교환시스템(10)에 내장된 T1/E1 framer(12)로부터 발생된 망동기 클럭을 추출하는 부분으로서 T1/E1 framer(12)가 에지 교환시스템(10)이 타 교환시스템(20)과 인터페이스를 위한 패킷 프레임을 생성해냄은 전술한 바와 같은데 이 패킷 프레임은 소정의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생성되며 바로 이 소정의 시간 단위가 망동기 클럭의 클럭 주기가 될 것이고 클럭의 파형은 통상 이 소정 시간 단위로 주기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파형 검출 회로(미도시) 등에 의하여 동기 파형을 추출함으로써 클럭의 주기를 추출할 수 있다.
제2 망동기 클럭 추출부(16)는 타 교환시스템(20)에 내장된 T1/E1 framer(21)로부터 발생된 망동기 클럭을 추출하는 부분으로서 T1/E1 framer(21)은 에지 교환시스템(10)과 인터페이스를 위한 패킷 프레임을 생성해냄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타 교환시스템(20)이 고유하게 가진 망동기 클럭을 추출해낸다. 이 패킷 프레임은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생성되며 바로 이 소정의 시간 단위가 타 교환시스템(20)의 망동기 클럭의 클럭 주기가 될 것이고 그 추출의 방식은 제1 망동기 클럭 추출부(13)에서와 같다.
클럭 정보 저장부(15)는 타 교환시스템(20)의 망동기 클럭 정보를 저장하는부분으로서 이는 특히 반드시 마스터로 동작해야 하는 타 교환시스템(20)의 망동기 클럭 정보를 저장한다. 마스터로 동작하는 타 교환시스템(20)은 주로 대용량 시스템으로서 위에서 예를 든 PSTN 망을 그 대표적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대용량 시스템의 망동기 클럭의 클럭 주기는 통상 IEEE, ITU 등과 같은 국제 통신 규격 단체에 의해 표준화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클럭 정보 저장부(15)에 대용량 시스템의 망동기 클럭 정보를 사전에 저장시켜 놓으면 제2 망동기 클럭 추출부(16)로부터 추출된 망동기 클럭이 표준화 된 클럭인지 그렇지 않은 클럭인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동작 모드 설정부(14)는 제2 망동기 클럭 추출부(16)로부터 추출된 망동기 클럭 정보가 클럭 정보 저장부(15)에 있는 망동기 클럭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두 교환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부분으로서 만일 제2 망동기 클럭 추출부(16)로부터 추출된 망동기 클럭 정보가 클럭 정보 저장부(15)에 있는 망동기 클럭 정보와 일치하면 타 교환시스템(20)을 마스터 모드, 에지 교환시스템(10)을 슬레이브(Slave) 모드로 설정하여 타 교환시스템(20)에 내장된 T1/E1 framer(21)로부터 발생된 망동기 클럭이 에지 교환시스템(10)과 타 교환시스템(20)간 상호 동기 클럭으로 사용되며 두 교환시스템은 이 클럭에 동기되어 인터페이스를 이루게된다.
마찬가지로 만일 제2 망동기 클럭 추출부(16)로부터 추출된 망동기 클럭 정보가 클럭 정보 저장부에 있는 망동기 클럭 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타교환시스템(20)은 슬레이브로 동작되므로 이를 슬레이브 모드, 에지 교환시스템(10)을 마스터 모드로 설정하며 에지 교환시스템(10)에 내장된 T1/E1 framer(12)로부터 발생된 망동기 클럭이 에지 교환시스템(10)과 타 교환시스템(20)간 상호 동기 클럭으로 사용되어 두 교환시스템은 이 클럭에 동기되어 인터페이스를 이루게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동작 방식을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의 동작 방식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에지 교환시스템은 타 교환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연동) 시에 경우에 따라서 마스터 모드 또는 슬레이브 모드로서 동작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마스터로 동작해야 할 타 교환시스템의 망동기 클럭 정보를 사전에 구비하여, 제2 망동기 클럭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망동기 클럭 정보가 상기한 망동기 클럭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에지 교환시스템과 타 교환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모드 설정 모드를 구비함으로써 교환시스템간 인터페이스 환경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가가능하므로 종래의 에지 교환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장치는 그 인터페이스 환경에 따라 각기 달리 설계가 되어야 하는 불편 사항을 개선시킬 수 있어 망 구축을 위한 비용 절감의 효과에도 기여할 수 있다.

Claims (3)

  1. 에지 교환시스템에 내장된 T1/E1 framer로부터 발생된 망동기 클럭을 추출하는 제1 망동기 클럭 추출부;
    타 교환 시스템의 T1/E1 framer로부터 발생된 망동기 클럭을 추출하는 제2 망동기 클럭 추출부;
    상기 타 교환시스템의 망동기 클럭 정보를 저장하는 클럭 정보 저장부;
    상기 제2 망동기 클럭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망동기 클럭 정보가 상기 클럭 정보 저장부에 있는 망동기 클럭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두 교환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모드 설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교환시스템과 타 교환시스템간 범용 인터페이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는 망동기 클럭 정보는 마스터로 동작해야 하는 타 교환시스템의 망동기 클럭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교환시스템과 타 교환시스템간 범용 인터페이스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설정부는,
    상기 제2 망동기 클럭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망동기 클럭 정보가 상기 클럭정보 저장부에 있는 망동기 클럭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타 교환시스템을 마스터 모드, 상기 에지 교환시스템을 슬레이브(Slave) 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타 교환시스템에 내장된 T1/E1 framer로부터 발생된 망동기 클럭이 상기 에지 교환시스템과 상기 타 교환시스템간 망동기 클럭으로 사용되어 상기 두 교환시스템간 인터페이스를 이루게하며;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타 교환시스템을 슬레이브 모드, 상기 에지 교환시스템을 마스터 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에지 교환시스템에 내장된 T1/E1 framer로부터 발생된 망동기 클럭이 에지 교환시스템과 타 교환시스템간 망동기 클럭으로 사용되어 상기 두 교환시스템간 인터페이스를 이루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교환시스템과 타 교환시스템간 범용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01-0007862A 2001-02-16 2001-02-16 에지 교환시스템과 타 교환시스템간 범용 인터페이스 장치 KR100386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862A KR100386115B1 (ko) 2001-02-16 2001-02-16 에지 교환시스템과 타 교환시스템간 범용 인터페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862A KR100386115B1 (ko) 2001-02-16 2001-02-16 에지 교환시스템과 타 교환시스템간 범용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335A KR20020067335A (ko) 2002-08-22
KR100386115B1 true KR100386115B1 (ko) 2003-06-02

Family

ID=27694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862A KR100386115B1 (ko) 2001-02-16 2001-02-16 에지 교환시스템과 타 교환시스템간 범용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61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295A (ko) * 1994-10-10 1996-05-22 김광호 교환망의 마스터-슬레이브 노드 간의 망동기 장치 및 방법
KR20000013195A (ko) * 1998-08-05 2000-03-06 박정수 방범창
KR20000020842A (ko) * 1998-09-24 2000-04-15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의 계조 확장 방법
JP2001036562A (ja) * 1999-07-16 2001-02-09 Fujitsu Ltd Atm接続モード設定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295A (ko) * 1994-10-10 1996-05-22 김광호 교환망의 마스터-슬레이브 노드 간의 망동기 장치 및 방법
KR20000013195A (ko) * 1998-08-05 2000-03-06 박정수 방범창
KR20000020842A (ko) * 1998-09-24 2000-04-15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의 계조 확장 방법
JP2001036562A (ja) * 1999-07-16 2001-02-09 Fujitsu Ltd Atm接続モード設定方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335A (ko) 200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04476B (zh) 时钟同步装置及方法
CN100486143C (zh) 异步数字家庭网络中的多媒体抖动消除装置和方法
US8693506B2 (en) Transparent clock adaptor for a network device
US20120263195A1 (en) Time synchroniz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1977104A (zh) 基于ieee1588精确时钟同步协议系统及其同步方法
CN103109501A (zh) 网络时延测量方法、装置和系统
CN101645869B (zh) 具有亚微秒级时钟的交换机及其交换处理方法
US20040246996A1 (en) Providing time synchronization across store-and-forward communication devices using protocol-enabled switches
WO2001013599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working unit between atm networks and ip networks
CN103546273B (zh) 基于ptp帧的频率同步装置及方法
WO2013155944A1 (zh) 一种时钟传输方法、边界时钟及透传时钟
JP2014127887A (ja) 通信制御装置
CN100474807C (zh) 通信系统中媒体网关实现同步的方法和装置
KR100386115B1 (ko) 에지 교환시스템과 타 교환시스템간 범용 인터페이스 장치
US20080212564A1 (en) Clock Synchronization Method For Wireless 1394 Heterogeneous Networks
CN101197656A (zh) 基于以太网时分化的时钟同步传递方法和装置及保护方法
CN110198197B (zh) 以太网无源光网络的时间同步方法及以太网无源光网络
EP2458757A1 (en) A method for transmitting IEEE 1588V2 synchronization packets over ethernet in link-by-link mode, via network elements having a transparent clock, and associated help device
Ferrari et al. High availability IEEE 1588 nodes over IEEE 802.1 aq shortest path bridging networks
CN105119679A (zh) 一种实现sntp客户端时间同步的方法及系统
KR20100048124A (ko) 근거리 통신망에서의 시간 동기화 방법
JP2016012820A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CN100393056C (zh) 以太网交换机
CN100375437C (zh) 一种集群模式下的网络安全设备同步方法
US20160309435A1 (en) Segment synchronization method for network based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