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684B1 - 인터넷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4684B1
KR100384684B1 KR10-2000-0024666A KR20000024666A KR100384684B1 KR 100384684 B1 KR100384684 B1 KR 100384684B1 KR 20000024666 A KR20000024666 A KR 20000024666A KR 100384684 B1 KR100384684 B1 KR 100384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eatment
data
internet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4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9958A (ko
Inventor
이해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웹사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웹사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웹사랑
Priority to KR10-2000-0024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4684B1/ko
Publication of KR20000049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6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인터넷을 통해 수처리 관리를 위한 수처리 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한 회원에게 수처리를 위한 현장 관리화면이 제공되어서 상기 현장 관리화면에 제공되는 수처리를 위한 각 단위공정별로 구성된 공정선택 아이콘을 클릭하여 공정도의 흐름에 대응하는 공정이 구성되며, 상기 공정도에 구성되어 있는 특정 공정을 선택하여 설정된 데이터 입력양식에 맞는 필요 데이터를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계산식에 대입하여 상기 특정 공정에 필요한 결과데이터를 자동으로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결과데이터에 대해 소정 기간별로 변화경향에 대한 출력 또는 보고서로 작성됨으로써, 운영자가 인터넷을 통해 수처리 관리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각종 수처리 관련 데이터를 입력하여 출력되는 결과물을 확인함으로써, 수처리 공정 중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투여되는 사용약품의 양을 최적화하여 원가절감 효과 및 처리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through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을 통해 수처리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접속하여 폐수처리공정의 현장관리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분석,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현장관리에서 발생되는 각종 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수처리 공정을 위한 조치를 적절히 취함으로써 추가공수를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인터넷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 폐수, 중수, 하수 등의 수질에 대한 각 단위공정, 예를 들면 집수조, 유수분리기, 유량조정조, 산화조, 폭기조, 침전조, 여과/흡착시설 등이 조합되어 수처리 공정을 이룬다. 이러한 단위공정들은 공장 및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폐수의 오염정도 및 상태와 제거되어야 할 배출 오염물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되며, 산업시설별로, 업종별로 수처리 공정이 다르게 적용된다.
이와 같은 수처리 공정을 관리하는 운영자의 경우, 종래에는 각 공정에서의 관리지표와 관계되는 데이터를 일, 주, 월, 분기, 일년 등의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기록 및 관리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공정별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산출하여 실제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계산기나 컴퓨터를 통해 계산하여 새로운 데이터로 가공하는 작업을 운영자가 직접 수행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작업수행을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여기에서 소요되는 시간이나 공수는 실제 수처리 현장관리를 위한 소요 시간보다 과다하게 되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수처리 공정 현장관리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야 할 운영자가 사무적인 작업에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됨으로써 수처리 현장관리의 효율적 운영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였다. 또한 운영자가 수처리 공정관리에 필요한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운영자 개인적으로 서적이나 자료를 입수하여 학습하고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현장관리의 경험을 축적하게 되는 바, 신입 운영자의 경우 수처리와 현장관리에 능숙히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을 투자한 교육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오수, 하수, 폐수, 중수 등의 수처리를 위한 사무적인 작업시간이 실제 수질을 관리하기 위한 시간에 비해 과다하게 소요되었고, 이로 인한 대처시간이 지연되어 효율적인 시간관리가 어려웠으며, 부정확한 자료에 의한 수처리가 발생될 수 있어서 처리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현장에서 수처리를 수행하는 운영자들로 하여금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수처리 관리 시스템에 각 공정에 적절한, 또는 현재 설치되어 운용중인 시설의 수처리 공정흐름에 맞는 공정도를 작성하여 각 공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자동으로 산출된 처리결과를 참조하여 수처리 공정수행에 용이하게 반영하여 공수를 줄이도록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 관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 관리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일반적으로 행하여지는 수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4는 폴리에스텔 등 합성섬유의 감량 염색가공후에 발생되는 폐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보여지는 수처리를 위한 초기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선택된 각 단위공정을 선택하여 작성한 공정도와 입력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중 폭기조에서 입력되는 각종 데이터 입력과 각종 출력에 대한 메뉴의 선택을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폭기조에서의 SSF01 관련 데이터 출력 양식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9는 도7에서 F/M비를 구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를 날짜별로 입력, 관리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0은 도 9에 의한 데이터로 얻을 수 있는 F/M비의 결과를 산출한 예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에 의해 얻을 수 있는 F/M비의 변화추이와 운전지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얻을 수 있는 연도별 약품 사용내역을 보여주는 도표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용자 12 : 인터넷 정보서버
14 : 수처리 관리시스템 16 : 자바실행부
18 : 콤포넌트부 20 : 데이터 접속기
22 : 데이터베이스 80, 88 : 관리화면
82 : 공정선택 아이콘 84 : 안내화면
86, 90 : 공정도 92 : 입력화면
94 : 조회화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 관리 방법은, 인터넷을 통해 수처리 관리를 위한 수처리 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한 회원에게 수처리를 위한 현장 관리화면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현장 관리화면에 제공되는 수처리를 위한 각 단위공정별로 구성된 공정선택 아이콘을 클릭하여 공정도의 흐름에 대응하는 공정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공정도에 구성되어 있는 특정 공정을 선택하여 설정된 데이터 입력양식에 맞는 필요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계산식에 대입하여 상기 특정 공정에 필요한 결과데이터를 자동으로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결과데이터에 대해 소정 기간별로 변화경향에 대한 출력 또는 보고서를 작성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정선택 아이콘은 수처리를 위한 집수, 유수분리, 유량조정, 산화, 중화, 응집, 폭기, 침전, 살균, 부상, 여과흡착, 탈색, 농축, 소화, 탈수 등의 공정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상기 공정도는 수처리를 위한 해당 분야별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고서는 데이터 시트, 그래프, 파일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기간별로 파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처리 공정은 각 공정별로 가상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예측 또는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본적인 시스템 구성의 예가 도1에 제시되어 있다. 즉, 수처리를 운영하는 사용자(10)가 인터넷을 통해 인터넷 정보서버(12)에 접속되며, 인터넷 정보서버(12)에는 자바실행부(16)와 각종 정보처리를 위한 컴포넌트부(18)가 구비되어 있는 수처리 관리시스템(14)이 연결되어 있다. 컴포넌트부(18)는 여러 형태의 다중 레코드(Record)가 일괄적으로 입력, 수정, 삭제,조회가 가능하도록 인터넷으로 자료를 취합, 출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ASP(Active Server Page) 컴포넌트와, 싱글라인(Single Line) 입력필드 및 도움말 형태를 데이터베이스(22)와 연동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하는 데이터베이스 콤보 및 리스트 ASP 컴포넌트와, 라디오 버튼과 그래픽 버튼을 데이터베이스(22)에 연동하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 라디오 및 그래픽 ASP 컴포넌트와, 수처리 이상진단을 데이터베이스(22)에 연동할 수 있는 이상진단 ASP 컴포넌트와, 조회연동시 조건검색의 편의성과 자동분류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베이스 필터링 및 분류 ASP 컴포넌트와, 데이터베이스(22)와 연동을 원하는 각종 보고서에 맞추어 출력하는 데이터베이스 출력 및 리포트 컴포넌트 및 입력 데이터와 시뮬레이션(Simulation) 관련 계산 컴포넌트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처리 관리시스템(14)은 데이터 접속기(2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22)에 연결된다. 또한 인터넷 정보서버(12)도 데이터베이스(22)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접속기(20)는 ODBC(Open Database Connectivity) 인터페이스 모듈과, 웹사용자가 개방형 데이터베이스 접속을 위한 OLEDB(Object Linking Embedding Database)모듈과,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인터넷 익스플로러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으로 진보된 ADO(Active Data Objects) 모듈 및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을 지원하는 가상 태스크 관리(Virtual Task Management) 모듈이 포함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22)는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서버, 오라클 베이스 (Oracle Base) 등으로서 인터넷으로 송수신된 데이터의 입력, 수정, 삭제 및 조회의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10)가 인터넷 정보서버(12)에 접속하여 로그인한 후 수처리 공정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입력하면, 수처리 관리시스템(14)에서는 그에 대한 연산 및 적당한 형태로 가공이 이루어지고, 해당 공정에 대한 결과를 출력하거나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되어서 일별, 주별, 월별, 분기별, 연도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수처리 공정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도2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폐수의 처리를 위한 공정의 예를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폐수가 수처리 시설에 유입되면, 먼저 스크린조(30)에 투입되어서 폐수에 포함된 각종 고형물이 걸러진다. 그후 다음단계로 제공되는 유량 등을 조정하는 조정조(32)에 투입되고, 폐수에 포함된 미세한 부유물질을 약품을 사용하여 큰 입자로 응집시키는 응집반응조(34)에 공급된다. 응집반응조(34)를 통한 폐수는 1차침전조(36)에 투입되어 침전물과 폐수로 분리되고, 폐수는 폭기조(38)로 공급되어서 폐수를 활성오니와 혼합시켜 용존산소의 존재하에서 부유물질 및 용해성 오염물질이 용존산소나 미생물에 의한 산화나 동화 등의 대사작용에 의해 정화된다.
폭기조(38)를 통한 폐수는 2차침전조(40)에 공급되어서 침전물과 폐수로 나뉘며, 폐수는 다시 중간조(42)를 통해 3차처리시설(44)로 공급되어 잔류하는 수질오염 물질이 제거된 후 최종적으로 용수로써 사용가능한지 또는 방류할 정도인지가 판단된다. 그 결과 방류가 가능한 방류수는 COD(Chemical Oxygen Demand), pH, 수온 등이분석되어 방류구(46)를 통해 하천으로 방류되고, 용수로 사용가능한 용수는 용수공급부(54)로 공급되어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처리 공정 중 중간조(42)와 3차처리시설(44)은 특별히 관리되어야 할 수처리 공정에서 사용되는 공정이며 통상 생략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1차침전조에서 침강 분리된 침전물은 농축조(48)를 통해 침전물이 농축되어서 탈수기(50)를 통해 고형물과 폐수로 분리되어 고형물은 처리되고, 폐수는 스크린조(30)로 다시 공급된다. 그리고, 2차침전조에서 분리된 침전물은 오니농축조(52)로 공급되어 탈수기(50)로 공급되어 고형물과 폐수로 분리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일반적인 폐수가 처리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공정도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의해 구현되어 각 공정단계에서 관리되는 해당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여 나타나는 결과물(데이터)을 분석함으로써 각 공정에 대한 최적의 관리지표를 산출할 수 있으며, 투입되는 각종 약품들을 최적의 양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 단계마다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 및 공정도의 구성은 도 5 내지 도 7의 화면으로 제공되는 데이터 입력창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 구체적인 예로써 도 4와 같이 섬유가공 시설에서 채택되어 사용될 수 있는 공정도를 들 수 있다.
도 4의 공정도 형성은 도2에 제시된 바와 같은 흐름에 따라 진행되며, 사용자(10)는 먼저 인터넷 정보서버(12)에서 제공하는 수질관리 사이트에 접속하여(S2) 회원으로 등록한다. 회원으로 가입하여 로그인 하면(S8), 수처리 현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현장관리메뉴를 선택함으로써 현장관리화면이 제공된다(S10). 상기 현장관리화면은 도 5의 관리화면(80)과 같이 구성될 수 있는데, 사용자(10)는 해당 수처리 시설에 맞는 공정도(86)를 작성하기 위해 공정선택 아이콘(82)을 공정도(86)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선택하여 공정도를 구성한다(S12).
이상과 같이 공정도가 구성되면 도6과 같이 공정선택 아이콘(82)이 공정도(90)에 구성되어서 사용자(10)의 시설에 맞는 공정도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공정도(90)에 구성된 공정 아이콘 중 특정 공정선택 아이콘(91)을 클릭하면 입력화면(92)이 제공되며, 입력화면(92)은 도7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공정선택 아이콘(82)들은 수처리를 위한 각종 단위공정들을 나타내며, 집수조, 유수분리기, 유량조정조, 산화조, 중화반응조, 응집조, 1차침전조, 부상조, 질소/인 제거공정, 폭기조, 2차침전조, 여과흡착시설, 살균조, 탈색조, 방류조, 슬러지(Sludge) 농축조, 소화조, 탈수시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은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태로 화면상에 구성되며, 자바 애플릿에 의해 작성된다. 이렇게 공정도(90)가 작성되면 사용자(10)는 미리 시뮬레이션(Simulation)하거나, 실제 공정에 적용시킬 수 있다.
도7은 폭기조에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예를 나타내는 화면이며, 입력내용으로는 폭기조 용적, 유입유량, 반송슬러지량, 반송슬러지 농도, 폐기슬러지량, 유입COD(BOD ; Biological Oxygen Demand) 농도, 유입SS농도, MLSS농도, SV30, BOD:N:P 등의 데이터가 입력된다(S16). 입력값은 수정 및 저장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버튼이 제공되며, 당연히 입력한 날짜도 기입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입력값에 의해 관리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식의 예가 도8에 제시되어 있는데, 이는 폭기조를 예로 든 관리 데이터의 양식이다. 이 양식은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컴포넌트부(18)를 통해 인터넷 정보서버(12)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입력에 대해 수처리 관리시스템(14)에서는 이미 프로그램된 계산식에 의해 분석이 이루어지고(S18), 다양한 항목에 대한 결과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폭기조 체류시간 = (폭기조 용적/유입유량) * 24,
슬러지 체류시간 = MLSS * 폭기조 용적/{유입SS농도 * 폐슬러지량 + (유입유량 - 폐슬러지량) * 유출수 SS농도},
F/M비 = 유입유량 * 유입BOD 농도 / (폭기조 용적 * MLSS)
등에 의해 결과를 산출한다.
그리고, '단순계산'이라는 항목을 별도로 두어 질소(N) 영양제 투입요구량, 인(P) 영양제 투입요구량 및 슬러지 밀도지수 등도 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조회화면(94)을 통해서는 월별, 특정 기간별로 조회가 가능토록 한다. 조회항목으로는 폭기조 관리내역, 폭기조 체류시간 변화추이, 슬러지 체류시간 변화추이 등 다양한 항목에 대한 내역 및 추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일정한 날짜별로 입력된 데이터의 추이를 출력할 수 있는데(S22), 그 예가 도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날짜별로 입력된 각 항목에 대한 데이터가 제시되어 있으며, 그에 대해 각 항목별로 다양한 형태의 그래프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산출되어 제공되는 출력 중 F/M비에 대한 예가 도10에 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 F/M비에 대한 변화추이 및 운전지표를 그래프화한 도면이 도 11a 및 도 11b에 제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폭기조에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내역 들을 확인할 수 있다. 폭기조의 처리결과를 확인한 후 다음 공정이 있는 경우에는(S24) 해당 공정에 대한 공정선택 아이콘(82)을 클릭하여 특정공정을 선택한다(S14).
예를 들면 도 4의 침사 및 유수분리조(61)에서는 유입/유출 n-Hexane량이 대표적인 입력값일 것이다. 유량조정조(62)는 조정조의 용적, Venturi 상수, 파이프 구경, 비어(Weir), V-Notch 등의 값이 입력되며, 중화조(63)는 각종 사용약품에 대한 약품명, 입고량, 일(日)사용량, 단가 등의 데이터가 입력될 것이다. 1차침전조(65)는 유량조정조(62)와 유사한 용적에 대한 데이터와 유입 및 유출에 대한 BOD와 SS농도가 입력되며, 응집조(68)도 중화조(63)와 유사한 사용약품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된다. 그리고, 탈색방류조(71)에서는 탈색을 위한 사용약품의 각종 데이터와, 방류시의 유출유량, 유출BOD/COD, SS농도, 질소농도, 인농도 등의 데이터가 입력되어서 방류수의 기준에 맞도록 조절된다.
이상의 과정들을 통해 입력된 값에서 얻어질 수 있는 결과 보고서를 얻을 수 있다(S26). 도 12에는 상기의 사용약품에 대한 사용내역을 알 수 있는 데이터 양식의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약품별, 월별로 구분되어 사용량, 금액 및 일정량의 폐수에 대한 약품비용 등을 산출하여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결과에 대한 시각적인 확인뿐만 아니라 온라인으로 출력하거나 다운로드(Download) 받아서 별도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예에서는 섬유관련 폐수처리 과정에 대한 예가 제시되었으나 사용처 별로각 분야, 예를 들면, 의약품 제조, 스텐레스 스틸강판, 파이프, 코일 등의 금속관련 분야, 인쇄회로기판 제조분야, 가죽원단 제조분야, 각종 주류 및 음료 분야, 종이류 제조분야, 병원시설, 발전시설 등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출력되는 결과를 도표, 그래프, 보고서뿐만 아니라 각종 입력 데이터 및 결과자료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처리의 문제를 사전에 예측하여 이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수처리 공정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며, 원가절감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설현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미리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수처리 관리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각종 수처리 관련 데이터를 입력하여 출력되는 결과물을 확인함으로써, 수처리 공정 중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투여되는 사용약품의 양을 최적화하여 원가절감 효과 및 처리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가상의 공정조건을 설정하여 수처리 공정에 관한 각종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간접적인 수처리 시설에 대한 이해를 통해 교육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인터넷 서버를 통해 수처리 관리시스템에 접속한 회원에게 상기 수처리 관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라디오 및 그래픽 ASP 컴포넌트를 통해 현장관리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현장 관리화면을 통해 수처리를 위한 집수, 유수분리, 유량조정, 산화, 중화, 응집, 폭기, 침전, 살균, 여과흡착, 탈색, 농축, 탈수 등의 공정 중에서 특정 공정을 선택하고 설정된 데이터 입력양식에 맞게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상기 수처리 관리시스템의 컴포넌트부를 통해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계산식에 의해 상기 특정 공정에 필요한 폭기조 체류시간, 슬러지 체류시간, F/M비, 약품 투입요구량, 슬러지 밀도지수, 약품 사용량, 금액 및 일정량의 폐수에 대한 약품비용 등의 결과데이터를 자동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결과데이터를 소정 기간별로 조회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시트, 그래프 등의 형태로 출력하거나 온라인 출력을 위한 파일형태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수처리를 위한 해당 분야별로 다르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 관리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공정은 각 공정별로 가상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예측 또는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인터넷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 관리 방법.
KR10-2000-0024666A 2000-05-09 2000-05-09 인터넷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 관리 방법 KR100384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666A KR100384684B1 (ko) 2000-05-09 2000-05-09 인터넷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666A KR100384684B1 (ko) 2000-05-09 2000-05-09 인터넷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958A KR20000049958A (ko) 2000-08-05
KR100384684B1 true KR100384684B1 (ko) 2003-05-22

Family

ID=19668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4666A KR100384684B1 (ko) 2000-05-09 2000-05-09 인터넷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46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265B1 (ko) * 2000-08-22 2003-08-21 (주)유니엔텍 환경기초시설의 통합운영관리를 위한 방법 및 그에 따르는 공정체계
KR100468435B1 (ko) * 2002-06-21 2005-01-27 주식회사 포스콘 웹기반의 보고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54693B1 (ko) * 2002-07-05 2004-11-03 주식회사 롯데캐논 기종장 업무를 도입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788450B1 (ko) * 2007-06-01 2007-12-24 장태수 네트워크를 이용한 환경기초 처리설비의 에너지관리시스템
KR102344936B1 (ko) * 2019-11-19 2021-12-31 주식회사 부강테크 수처리 공정 최적화 및 자동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설계 방법
KR102396986B1 (ko) 2020-07-07 2022-05-13 주식회사 위코테크 머신 런닝 플랫폼 기반 지능형 수처리 공정 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483A (ko) * 1998-05-19 1999-12-06 이순석 통신을 이용한 냉각수계의 원격감시제어방법
JPH11344477A (ja) * 1998-06-02 1999-12-14 Japan Organo Co Ltd 有害有機物質の分解処理装置の排水のモニタリング方法及び装置
KR20000019203A (ko) * 1998-09-09 2000-04-06 황선정 환경 설비 원격 관리 시스템
KR200182086Y1 (ko) * 1999-12-17 2000-05-15 주식회사신화에프에이시스템 수(水) 처리설비의 자동제어 시스템
KR20000050327A (ko) * 1999-01-06 2000-08-05 이규철 수처리 플랜트 설비의 원격 감시 및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483A (ko) * 1998-05-19 1999-12-06 이순석 통신을 이용한 냉각수계의 원격감시제어방법
JPH11344477A (ja) * 1998-06-02 1999-12-14 Japan Organo Co Ltd 有害有機物質の分解処理装置の排水のモニタリング方法及び装置
KR20000019203A (ko) * 1998-09-09 2000-04-06 황선정 환경 설비 원격 관리 시스템
KR20000050327A (ko) * 1999-01-06 2000-08-05 이규철 수처리 플랜트 설비의 원격 감시 및 제어시스템
KR200182086Y1 (ko) * 1999-12-17 2000-05-15 주식회사신화에프에이시스템 수(水) 처리설비의 자동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958A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o et al. Technology status and trends of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A patent analysis
Andrews Dynamic models and control strate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Saeed et al. Treatment of POME using Fenton oxidation process: removal efficiency, optimization, and acidity condition
Mabrouki et al. Smart monitoring system for the long-term control of aerobic leachate treatment: dumping case Mohammedia (Morocco)
KR100384684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 관리 방법
Lu et al. Optimal synthesis and operation of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with dynamic influent
Vidal et al. Design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s using a conceptual design methodology
R-Roda et al. Automatic knowledge acquisition from complex processes for the development of knowledge-based systems
Galleguillos et al. Simulation of a membrane bioreactor pilot treating old landfill leachates with activated sludge model No. 1 and No. 3
Maria et al. Databank transfer-of-information, shortcut and exact estimators used in the wastewater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identification
Cortés et al. A conceptual model to facilitate knowledge sharing for bulking solving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s
Robinson et al. Sulfide precipitation of heavy metals
Ladiges et al. Applied off-line expert system for effluent, operational and technical problems of waste water treatment plants
Wang et al. Mathematical modeling of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and heating requirements by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Burgess et al. Innovational adaptation in the UK water and wastewater industry: a case study of introducing DTA
Nabizadeh et al. Analyzing flow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of biological growth on dispersion in Aerated Submerged Fixed-Film Reactors (ASFFR)
WO2023163054A1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排水処理システム
Mines Jr et al. Treatability study of a seafood-processing wastewater
Krichten et al. Application of expert system technology to control of 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plant
KR100417640B1 (ko) 수처리시설의 평가장치
Liaw et al. Use of microcomputers in the preliminary design of wastewater systems
Kroiss et al. 50 years of design and operation of large wastewater treatment plant conferences. A history of innovation and development
Meric et al. Operational strategies for a small wastewater treatment plant using OUR, microscopic analysis, and toxicity test
Daigger et al. WERF PROJECT: FEASIBILITY OF MEMBRANE TECHNOLOGY FOR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IDENTIFICATION OF ISSUES AND MBR TECHNOLOGY ASSESSMENT TOOL
Castillo et al. Environmental decision support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